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지네이트를 활용한 이화학적 수처리 방안 연구 : 해파리 저항물질의 활용가능성 연구

        김종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알지네이트를 활용한 이화학적 수처리 방안 연구 : 해파리 저항물질의 활용가능성 연구 김종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응용과학과 지도교수 오종민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존재하는 납, 구리, 카드뮴 3가지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생분해성, 무독성으로 친환경적인 흡착제인 알지네이트를 이온교환 수지로 선 정하였다. 이에 추가로 최근 기후변화로 문제가 되고있는 해파리를 활용하고자 해 파리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여 저항물질(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JEI)을 추출하고 이를 알지네이트 비드에 혼합하여 비드(Bead)를 제작, 실험을 통 해 중금속 이온의 제거 성능을 확인하고 수처리 과정에서 JEI의 활용 가능성을 탐 구하였다. 비드 분석 결과, 무게와 크기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FT-IR 분석을 통한 작용 기 스팩트럼은 오히려 JEI가 높은 농도로 함유된 비드에서 더 약하게 분석되었다. 비드들은 기존 알지네이트의 특성에 맞게 납> 구리> 카드뮴의 선택성을 보였다. 흡 착 평형에서 각 시료 중의 중금속 농도는 납 약 1mg/L, 구리 0.68~0.75mg/L, 카 드뮴 0.27~0.39mg/L로 분석되었다. 흡착은 90~120분 사이에 급격히 진행되었으 며 흡착평형은 300분에서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중금속 흡착을 위한 교 반 시간은 300분으로 설정하였다. 등온흡착실험 결과 납을 Freundlich식에 적용하 여 구한 parameter가 R2 : 0.888~0.930, 1/n : 0.41~0.45 로 나타나 설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구리와 카드뮴은 두 식 모두 잘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JEI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중금속을 흡착제거 하지만 흡착량 의 증가와 JEI의 농도의 증가가 서로 비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화학적 수처리에 유해생물인 해파리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해 보 았다. JEI는 충분히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나, JEI의 추출 비용, 대량 발생한 해파리의 보관 비용 등의 경제성 문제와 작은 규모의 실험으로 인한 실적용 가능성 여부 등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면 생물유래 재료로서 JEI는 충분히 친환경적인 수처리 재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Caledonian Ogcheon Orogeny of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gcheenu raniferous manne black slate : 김종환

        김종환 東京大學 1988 해외박사

        RANK : 247647

        오랜지질학의 문제점인 옥천 변성 퇴적암의 특성 특히 퇴적연대와 층서에 대한연구에 의하면 본두꺼운 쇄설퇴적층은 퇴적분지의 횡적변위에 의해 오르도뷔스기말의 석회암을 정합으로 피복퇴다. 단층으로 구회된 옥천분지는 그 북동부의 캄브리아해가 오르도뷔스기말에서 남으로해침을 받쓸퓸�사이루리아기말까지 퇴적작용이 계속되었다. 뒷이은 속성작용과 변성작용은 우라늄을 많이 픽譯治볜÷鉗��대한 Rb-Sr전암연대 측정법에의해 392±13. 4Ma 변성사질암의 흑운묘에 대한 K-A정법에의해 318±4. 71 Ma로 각각 그시기가 측정되었다. 후변성구조운동은 오늘날의 지층분포의 좇�형성시켰다. 이러한 이벤트는 오래동안 알려저온 한국지질계통에있어서의 고생대중기의 대결쳄肩��痼막�이는 "카레도니아조산운동"과 대비된다. 따라서 옥천대는 고생대 구조운동에 있어 지피가 안인 "양재"지피에 연결되어야 한다. 구룡산(옥천)스레이트의 지구화학적특성은 잘알려진 가" 및 "아럼셰일" 과 그산상이 유시하다. 그러면서도 옥천스레이트는 우랴늄을 포함하여 미량금화비에있어 가장 높은 치를 나타낸다. 이것은 흑색점토와 실트의 윤회퇴적 기타 알려진 산출에 별3薦�pH조건의 지속적환경의 형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금속고함유해성흑색점토는 주로 고생대기에 출현한다. 이것은 대기중 산소함량에 관계된 지질학적조건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조건은 지굔乍�있어선 캠브리아기말-고생대초기에 이르러 비로서 갖추어졌다.

      • 복합 자질 기반 언어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채팅 문장 생성

        김종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채팅 시스템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인간과 컴퓨터 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어와 화행을 입력으로 받아 자연스러운 채팅 문장을 생성하는 통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먼저 핵심어를 포함한 어절을 말뭉치에서 선택하고, 해당 어절의 주위에 있는 어절의 출현 정보와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문장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행에 기초한 언어 모델, 어절간 공기 정보, 각 어절의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후보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 모델은 단순한 언어 모델에 기반한 기존의 모델보다 좋은 86.2%의 적합 문장 생성률을 보였다. A chatting system is a computer program that simulates conversations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using natural language. Assuming that keywords and speech acts are inputs of responding sente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method to create natural sentences. The proposed method is first to choose Eojeol, or a paragraph, including keywords, from chatting corpus, and to create sentence candidates fit in the constraint condition of generating sentence, having syntact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paragraphs located around a corresponding paragraph. And the final step is to choose one of the sentence candidates by using the following: speech acts-based language model, co-occurrence between paragraphs, and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paragraph. According to the testing result, the proposed model shows 86.2% correct sentence generation rate, better than the previous models based on simple language model have.

      • (The)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Root Barks of Acanthopanax henryi Hamrs

        김종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엽오가피(Acanthopanax henryi Harms)는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중국의 산서성, 호남성, 사천성, 산시성, 호북성 등 중남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오갈피나무 속 식물의 뿌리껍질은 주로 관절염, 항염, 피로회복 등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 들어 오갈피나무 속 식물의 뿌리껍질의 엑스 및 성분들이 염증, 산화적 스트레스, 골질환 등 다양한 염증질환에서 항염작용 효능이 입증되어 가고 있으나 그 기전이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는 조엽오가피의 뿌리껍질에서 약효성분을 확인하고 그 메탄올 엑스 및 분획들을 얻어 세포독성,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에서 염증매개물의 분비억제 효능 및 각종 암세포주에서 항암작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실험결과, 80 % 메탄올 분획이 LPS-stimulated RAW 264.7 cells에서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interleukin-1β, interleukin-6의 분비를 유의성 있게 억제함으로써 항염활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Western blot을 통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조엽오가피의 뿌리껍질에서 메탄올 엑스를 얻은 후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메탄올 분획을 얻어 XAD-4, silica gel, ODS, sephadex LH-20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8개의 성분을 분리하였고, DART-MS 및 를 통하여 주요한 8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즉, DART-MS에 의해서는 taiwanin C를, NMR 분석 등에 의해서는 stigmasterol, β-sitosterol, pimaric acid, (+)-sesamin, l-savinin, syringin, eleutheroside E을 확인 동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오갈피나무과 식물 중 지리산오갈피나무에서 분리된 바 있는 taiwanin C가 조엽오가피 뿌리껍질에도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들 성분이 함유된 메탄올분획에서 염증매개물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조엽오가피도 오가피가 갖는 전통적인 항염작용이 있는 약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canthopanax henryi Harms belongs to Araliaceae family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rovinces of ShanXi, HuNan, SiChun, ShanSi, HoNan and HuPei in China. The dried root barks of various Acanthopanax spp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nti-rheumatoid arthritis, anti-inflammation and adaptogenic efficacy. Recently extract and compounds from the root bark of Acanthopanax spp have been reported for its efficacies such as on oxidative stress and bone disease, but not been clearly revealed its detailed mechanism.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on the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of the A. henryi root barks, MeOH extract and its fractions have been obtained from the A. henryi root barks and investigated on the effects on cytotoxicity, inflammation mediator release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 cell and cytotoxic effects on some cancer cell lines. 80% MeOH fraction was showed the anti-inflammtion effect by significant suppression in the release of nitric oxide, prostaglandin E2, interleukin-1β, interleukin-6 and dose-dependently inhibition o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western blot. Meanwhile, from the MeOH extract of the A. henryi root barks, 8 compounds were isolated in the column chromatography with XAD-4, silica gel, ODS and sephadex LH-20. Taiwanin C was identified by DART-MS and stigmasterol, β-sitosterol, pimaric acid, (+)-sesamin, l-savinin, syringin, eleutheroside E were isolated and its structure was confirmed by NMR spectra analyses. From the above results, taiwanin C isolated from A. chiisanensis was also present in the A. henryi, MeOH fraction containing these compounds was found to exhibit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 Hereby the A. henryi root barks could be used in the traditional treatment on inflammations like Acanthopanax spp plants.

      • 교사와 행정직원의 상호 역할수행에 관한 인식 비교

        김종환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through the comparison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on mutual role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rmulated. Problem 1 : How is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1) Are there differences of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administrative staffs' sex? 2) Are there differences of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administrative staffs' career? Problem 2 : How is teachers'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1) Are ther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sex? 2) Are ther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position? 3) Are ther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Ⅱ.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0 teachers from 3 district education offices randomly selected in Incheon and 165 administrative staffs from whole schools in Incheon. And the selection of the teacher subjects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ex, position and career of teacher. And the selection of the administrative staffs subjects wa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sex and career of administrative staffs. The questionnaire of teacher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18 items, the questionnaire of administrative staff was consisted of 20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one-way ANOVA and t-test, and the significant level is α = .05. Ⅲ. Finding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x of administrative staff. the male administrative staff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than the female administrative staff.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areer of administrative staff.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less than ten yea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than higher than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higher than ten year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x of teacher. the female teach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than the male teacher.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areer of teacher.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less than ten yea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than higher than teachers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higher than ten year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 perception about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eacher. the major teach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ministrative staffs' role performance than the teacher.

      • 효율적인 OPC 클라이언트 생성을 위한 activeX 기반 프레임워크

        김종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어지던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들은 장비 벤더에 의존적인 드라이버를 사용했기 때문에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준 인터페이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게 되었고 그 결과, 장비와 이를 제어 및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지원하는 OPC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게 되었다. OPC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COM/DCOM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장비(DCS, PLC, 등)와 각종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것으로 OPC 표준을 따르는 소프트웨어(OPC Client)와 하드웨어는 쉽게 통합되어 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OPC Client나 컴포넌트를 개발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OPC의 기반이 되는 COM/DCOM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고, OPC에 대한 이해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OPC 기반의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OPC Client의 효율적인 생성을 지원하는 ActiveX 기반의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컴포넌트는 크게 OPC Server와의 연결 및 OPC Server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을 수행하는 부분과 생성된 OPC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부분, 그리고 GUI 기반에서 OPC Server 및 그룹과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진다. OPC Server의 검색 및 기타 정보를 GUI 기반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OPC Server와의 연결 및 조작을 대신 수행해주고, 그리고 생성된 OPC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구현하는 컴포넌트를 사용하게 되면 GUI 기반의 환경을 통해 OPC Server의 설정 및 조작이 쉬워지게 되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OPC Client를 생성할 수 있고, OPC Client의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puter systems had distributed in each elementary school and internet network had also established. The contents of WBL(Web Based Learning) for first through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developed and those for fifth and sixth grade will be finished by the beginning of 2002.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indicates that this kind of learning hasn't activated yet. Because the facility for WBL were installed recently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don't have much experience in WBL collaborative learning. The models of collaborative learning that can be used for WBL are various. But among them, GI(Investigation Collaborativ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the most appropriate one for cooperating activity and solving problems on the web because it's the model mostly lead by learners. The research shows that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s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higher mind capability such as getting a concept, solving a problem etc.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I chos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an example of 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The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will be very helpful for inexperienced learner because it can give an idea to solve the problem. But we need to verify by an experiment how effective the cases presented can be effective as a solv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presentation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can affect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on the WBL. And we made some hypothesis as follows. <Hypothesis> There might b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etween two groups. One that the cases were presented and the other that were not.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 6th grade student selected from 2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Group I) was presented with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other group(Group II) was not. And the project for the study was done with the chapter called 'Many countries those are changing in the world' from the social textbook for second term of sixth grade. For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 developed the cas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internet site for the groups. The experiment proceded during 8 periods of the chapter for 4 weeks from October 22 to November 17, 2001. After the process, I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 solving methods and verified the mean to prove the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hypothesis was turned out to be positive. And the means of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in Group I was 0.82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I. The statistic difference of mean between two groups was very meaningful.(p<0.01) The result shows that it is much better to presen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That is to say, presenting the cases in the WBL can be a great help to make a plan for collaborative learning, to get an idea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o choose the way of learning. The reasons are as follow. First, the cases of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acted as a positive feedback of learning guide owing to their own attribute. Because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include the idea of preceding students, which are very useful in solving problems. Second, the learners were motivated by the GI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and they study very actively.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on the board by Group(I) was twice as many as that by Group(II). This means that the presenting cases of the preceding students would make an inexperienced learners have confidence in studying. Third, the education by the presentation of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Cases on the WBL correspond with the opinion of 'Learning by modeling an experts' and the assertion about 'Obtaining a new behavior by observing and imitating other people' suggested by The modeling of the learning method presented by the preceding students is the same with the learning by observing. As stated above, the presenting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on WBL enables learners to study hard with great motivation because they can study by observing the preceding students.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get an necessary idea for the problems.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olving methods by presenting the cases of GI collaborative learning. 초등학교 각 교실에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설치되었으며 웹기반 콘텐츠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어서 앞으로 웹기반 학습이 활성화될 것이다. 웹기반 협동학습은 웹의 장점과 협동학습의 장점 때문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 그러나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많지 않았으며 웹기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있는 곳에서도 학습자들의 활동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학교에 웹기반 시설이 완료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며, 교사와 학습자들이 웹기반 협동학습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웹기반에 이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GI(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 모형은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모형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웹에서 다른 사람들과 능동적으로 협동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적합하다. GI 협동학습은 개념획득, 문제해결과 같은 고등정신능력을 기르는데도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참고하여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제시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는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학습자간에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K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2학급 중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으로 편성하고 다른 한 학급(37명)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으로 편성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을 위한 학습 과제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사회과 '변화하는 세계 여러 나라' 단원이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를 위해 본 연구자가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는 집단과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는 집단에게 제공할 협동학습 사례와 학습용 사이트를 제작하였다. GI 협동학습 실험은 2001년 10월 22일부터 11월 17일까지 4주 동안 8차시 분량을 학습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은 긍정되었으며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를 한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는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평균 점수보다 0.82점이 높았으며, 두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연구 결과에 따르면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한 집단에서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I 협동학습 사례를 제시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웹기반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협동학습 사례제시 하는 것을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가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 제시가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활발한 학습활동이 가능해졌다. 둘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에는 사례 자체가 지니고 있는 학습을 안내하는 자체의 속성 때문에 적극적인 학습안내 자료로서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작용했다. 셋째, 웹기반 학습에서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통한 학습활동은 구성주의의 인지적 도제 학습 이론에서 주장하는 전문가를 따라하면서 배운다는 견해와 일치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교사가 협동학습을 설계하는데 GI 협동학습 사례제시를 참고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웹기반 협동학습 사례 제시 연구와 관련되어 사례제시 유형과 사례제시 방법, 학습자의 능력과 인지양식, 학생의 연령, 남녀의 차이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비교 검증에 관한 연구는 현장교사들이 교수 학습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방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한국산 하늘지기속(사초과)의 분류학적 연구

        김종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 morphological study was conducted of the Korean Fimbristylis in order to clarify the taxonomical position and scientific naming among species. It was determined that anther size and style lengt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the species-level identification of Fimbristylis. Fimbristylis longispica, F. sericea, and F. stauntonii were positioned as separate taxa, without controversy. An urgent conservational strategy is required as all of these species are sparsely distributed and their natural habitats are under threat from human pressure. Fimbristylis dipsacea var. verrucifera and F. complanata var. exaltata varied only slightly from typical species, whereas F. sieboldii clearly differed from the tropical species F. ferrugineae with respect to the style length and stamen size. Thus F. sieboldii is clearly an independent species. There has long been confusion between F. littoralis and F. miliacea due to two different specimen types. We concur with Strong(2004), that F. littoralis is the legitimate name. Although F. diphylloides and F. drizae show similarity in their appearance, F. diphylloides has leaves that are shorter than its' stem and relatively short style. In comparison, F. drizae has leaves longer than the stem and longer style. These differences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y are independent species. F. pierotii and F. jindoensis are similar in having a long creeping rhizome, but F. pierotii has simple inflorescence, whereas F. jindoensis has compound inflorescence. F. complanata var. exaltata resembles F. jindoensis, having similar inflorescence, but F. jindoensis has a long creeping rhizome and solitary culm, while F. complanata var. exaltata is distinguished by its' very short rhizome and tufted culm.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F. jindoensis lie between F. pierotii and F. complanata var. exaltata in anther size and flowering period. Therefore these three taxa are treated as independent species. F. tomentosa has 11-20 longitudinal rows and F. dichotoma var. dichotoma has 7-10 longitudinal rows in the surface achene patterns. In addition, two species have different anther size. Therefore these taxa is treated as different species. According to this study, Korean Fimbristylis is classified into a total of 20 taxa, including sixteen species and four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