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공간표현 지도를 위한 무대디자인 활용방안 연구

        손명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가 높아짐에 따라 공연문화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주변 공간을 직접 가꾸는 D.I.Y. 문화가 확산되면서 공간을 스스로 창조해 나가고자 하는 욕구도 늘어나고 있다. 초등미술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수용하고 반영하여 학습자가 맞닿고 있는 현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연문화 중 미술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무대디자인을 통한 공간표현 지도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무대디자인을 통한 공간표현 프로그램을 2015년 11∼12월, 2016년 1∼2월, 80분씩 총 16차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뒤에는 질적 연구를 위해 학생 작품, 설문지, 인터뷰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공간 표현 시에 조형원리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공간을 인식하고 표현할 때 통일, 비례, 균형과 같은 조형원리를 토대로 하여 작품을 만든 것이다. 또한 심미적으로 작품을 수정하는데 조형원리를 근거로 활용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무대 공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하였다. 무대의 정면성을 고려하여 오브제를 배치하였고 정면을 기준으로 원근과 중첩을 활용하여 공간에 사실성을 더했다. 셋째, 학습자는 공간표현 시에 텍스트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텍스트에 나오는 요소로만 표현하던 초반과는 다르게 점차 작품 전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를 강조하거나 연상 작용을 통해 떠오른 오브제를 추가하여 만들었다. 새로운 오브제를 추가할 때에는 그것이 텍스트에 제시된 시간적, 공간적 배경과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복합적인 사고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무대 디자인을 초등미술교육에 도입하여 국어 교과서의 극본과 이야기자료를 기반으로 독창적인 공간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무대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구체적인 교사 연수 방안 등의 후속 논의와 연구가 기대된다.

      • 내적 풍경화에 나타난 공간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선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예술활동은 개인적인 삶을 감성적으로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계기이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예술작품은 생명, 정서, 내면적 실재에 대한 하나의 개념을 표현하며 현실을 비현실과 만나게 해주는 동시에 사물과 세계에 대한 우리의 상투적이고 습관적인 시선과 감각을 예리하게 비틀어 준다. 그리고 자아를 성숙시킨다. 현대문명이 발달하고 많은 사람들이 도시속에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요즘 모든 인공적인 것들과 우리는 공존하고 있다. 까만 아스팔트를 호위하듯 서 있는 생명이 있는 나무들을 볼 때 잠시나마 새로움과 왠지 모를 행복함을 느낀다. 이처럼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공기와도 같은 자연 경치에 대한 잔잔한 애정을 느끼며 본인 작업은 시작되었다. 실제 본인이 살았던 집, 누군가 살고 있는 집, 많은 사람들이 하루를 보내는 일터, 이런 공간들은 너무도 일상적인 우리들의 삶의 한 단면이다. 하지만 그곳은 우리들만의 특별한 공간이고 쉼터이며 보금자리인 것이다. 이처럼 집 또는 건물들과 자연이라는 대상과의 조화로움을 본인의 내적 심상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담아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재현을 통한 새로운 내적 풍경화이다. 일상적이고 사소한 것들의 특정한 형태로 고정되어진 가치에 안주하지 않고 언제나 새로운 것을 찾아나가는 것, 끊임없는 노력과 시도야말로 삶을 창조적으로 살아가는 방식이자 예술가의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본인은 풍경 속에 살아가는 개인의 삶과 체험을 통한 내면적 감성을 토대로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풍경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전체적 구성은 원근법을 기본으로 하며 면 분할에 중점을 두고 현실을 표현하였지만, 색채의 사용을 원색에 가깝게 표현하여 현실과는 다른 화면상에 있어서 낯설은 풍경으로 유도하였다. 또한 화면의 구성에 역점을 두고 물체를 배치하였으며, 건물의 지붕부문을 생략하여 뒷면에 보이는 공간을 시각적으로 독특한 느낌으로 재구성하였다. 두 공간이 만나 하나의 풍경의 모습으로 재현되었지만 보는 이로 하여금 실존에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써 보여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공간에 존재할 것 같지 않은 잔디나 꽃이 활짝 핀 나무를 심어 사실적이지만 낯설은 풍경으로 표현하였고 작품들마다 보여지는 문과 창문은 본인이 원하는 이상향의 행복공간으로 향하는 소통의 통로인 것이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을 바라보는 사소한 감정으로 시작되었지만 눈에 보이는 풍경의 외관만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풍경에 대해서 내면적으로 무엇인가를 말해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풍경화의 이론적 배경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과 관련하여 그 시대성을 알아보았으며 사실적이면서도 팝아트적인 작품들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풍경화에 있어 공간의 형성과 공간표현의 확장을 인지하며, 본인의 내면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조형요소들의 역할, 의미를 고찰하였다.

      • 몽환적 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차민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몽환적(夢幻的)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의 본질을 바탕으로 무의식 상태에서 표출되는 현상과 몽환적 이미지를 고찰함으로써, 몽환적 표현을 통하여 이상을 갈망하는 내면세계를 작품에 나타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몽환은 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인간이 현실세계에 대한 상처와 한계성으로 인해 이상세계에 대한 상상을 하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몽환을 꿈꿀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의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인간의 정신세계는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의식보다 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는 무의식은 현실 속에서 인간의 잠재된 내면의 모습을 밖으로 표출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심리적, 정신적으로 분석한 이론에 따르면 융은 무의식으로의 접근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꿈(夢)이였고, 의식하지 않는 꿈속에서의 기억들을 가지고 무의식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프로이트는 개인의 꿈 해석을 통해 그의 과거를 알아내고 치유할 수 있다고 하였고, 융은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다. 동양에서의 꿈은 상징적인 것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수한 정신 상태와 정신적 활동임을 고대 중국에서부터 과학적인 탐색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연구하여 꿈에 대한 깊이를 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양에서의 꿈은 초현실적인 것을 뜻하며, 현실세계를 상상과 환상이 극대화 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는 인간의 무의식속에서 나타나는 이상에 대한 갈망과 이러한 것들이 표출되어 탄생하는 몽환적 공간이 인간에게 주는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따라서 그러한 특징이 연구자의 작품 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표현방식과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현실세계에서 이상을 갈망하는 인간의 모습과 이상세계에 도달한 인간의 모습 이렇게 두 가지로 분리하여 ‘바라보는 것’과 ‘노닐다’라는 관점에 중점을 두어 동양화의 전통적인 채색화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세계 속 ‘몽환적 공간 표현’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작품에 표현 된 우주공간과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이상에 대한 갈망을 감성적 이미지를 통하여 표현한다. 인간의 내면세계, 즉 무의식 상태에서 표출되는 현상에 대하여 신비로운 몽환적 이미지들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느낌을 더하여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통하여 동양 회화의 새로운 장을 보여주고자 하는 논문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dreamlike spatial expression. Considering the current state and dreamlike image released unconsciously based on human nature, this is trying to show the inner world longing for ideal is well portrayed in the work through the dreamlike expression. The word, fantasy means dream and phantasm and it is kind of an imaginary state for an ideal world with injuries and limits from real world. A Key factor to dream of dream & phantasm is to lapse into unconsciousness. The human psyche is consisted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has much more extensive meaning than consciousness and it releases out the potential inner part of human in the real world. According to the theory analyzed this psychologically and mentally, Carl Gustav Jung considered dream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pproach to unconsciousness and tried to approach to unconsciousness with memories from dreaming. He also thought it would be possible to predict future as well as pulling the memories out from the past while Sigmund Freud said the past can be pulled out and heal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personal dreams. The dream in the East is symbolic and constant studying on dreaming through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from ancient china period found dreaming predicates special mental state and mental practice and added academic depth to dream. The dream in the West is surrealistic and it indicates the real world as maximized imagination and illusion. A researcher went over the characteristics of dreamlike space for human where desires from unconsciousness for ideal exist and they’re released. Accordingly, expression method and features on how those characteristics portrayed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have been studied. The work of researcher shows the human longing for ideal in the world and the human in the ideal world and expressed through the traditional painting of the Orient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nd ‘enjoying’.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reamlike spatial expression’ of the work of researcher theoretically. The researcher expresses the space in the work and the desire for ideal existed in mind through emotional images. This thesis, through the dreamlike images, shows the inner world of human which is the state released from unconsciousness and based on this, it is also trying to show a new chapter of oriental painting through the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adding contemporary feel.

      •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방안 연구

        김소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7차 교육과정에 들어와서 전통회화만을 다루는 단원이 생기고, 근래에 들어서는 한국화라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보면 전통회화가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참고작품만으로 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통회화에 대하여 자세히 다루는 단원은 5학년의 '수묵화와 채색화' 뿐이다. 그 또한 전통회화에 대하여 본질적인 접근을 하지 못한 채 교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참고작품들로 제시된 전통회화들은 전통회화가 가지고 있는 공간표현 특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자료들도 충분치 못하다. 교사들이 보고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 갖추어져있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는 전통회화의 특성에 대해서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재료와 용구의 사용법에 대한 언급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의 이러한 미술교육은 제대로 된 전통회화 교육이 아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를 통하여 아동들이 전통 미술에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고,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방식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게 하여 전통 미술을 전통적인 관점으로 보도록 하는 것이다.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밝히기 위한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통회화 교육에서 공간표현 특성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 전통회화와 아동화의 표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참고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고찰한 후,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지도하기 위한 실제 교수·학습 지도안은 미술과 교사용 지도서와 선행 연구물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셋째, 실제 수업안을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아동들의 반응과 작품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적용 전, 후의 아동 작품을 비교하고, 미술 활동 학습지를 분석하여 전통회화 공간표현 특성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렇게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 지도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면의 구성이 융통성이 있고, 자유롭다. 둘째, 이동시점과 산점투시를 사용하여 그림이 다양해졌으며 작품에서 움직임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여백을 고려하여 그렸기 때문에 아동의 작품이 함축적이고, 여운을 느낄 수 있었다. 넷째, 공존화 표현 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아동들이 훨씬 자유롭고 역동적인 화면을 구성할 수 있었다. 다섯째, 비례를 왜곡하여 표현함으로써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여섯째, 다양한 주제, 표현 방법으로 전통회화를 그릴 수 있어서 아동들의 전통회화에 대한 흥미 진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일곱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에 대해 배움으로써 우리 전통회화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이해하게 되었다. 여덟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배움으로써 우리 전통회화를 우리의 전통적인 관점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아홉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이 아동화의 공간표현 특성과 유사하여, 그와 연관시켜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추출하여 지도했기 때문에 아동들이 공간표현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친근하게 느끼며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다. 열째, 전통회화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졌다. 이처럼 전통회화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가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교사의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도 전통회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아동들이 전통문화에 자긍심을 갖고 진정한 전통회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s long as unit who enter and handl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ccur, and enters at recent times, terminology that is Korean painting is used. If see these truths,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s seeming to pick at place. But, member of party who deal in detail abou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xcept case that is presented to reference work is only 'Chinese ink picture and colored picture' of fifth grade student. Doing not essential access abou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lso, composed teaching material. Bear also and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at is presented to works do not show space expression attributes that only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has. Datas that is presented a text book or guide for teacher are not enough. Datas that teachers see and active are not equiped. Actually, is being untold almost about special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n a text book or guide for teacher, and stop on reference about directions of material and tool. Therefore, present these art education is no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that become properly. So,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ake children have interest and interest in tradition art through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and that make to see tradition art as traditional viewpoint because do to understand peculiar characteristic of space expression mod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pply in spot developing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research contents and method to clear the effect are as following. First, presented educational sense after search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investigate literature cited and research reports to compar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child's painting, to search application possibility of space expression attribut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Second, actual studying guidance plan to guide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references and developed guide for teacher of art and research reports. Third, applied actual instruction plan in art education spot and analyze children's effect and work result. And analyze art activity studying paper and search application possibility and the effect of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Got following result as result that teach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so. First, composition of screen is flexible and, free. Second, picture became various and could feel action and dynamic attribute in work because using moving visual point and disperse points perspective. Third, child's work could be implication enemy, and feel trailing note because painted considering unfilled space. Fourth, children could compose far free and dynamic screen because used expression way coexistence. Fifth, children could express positively by expressing distorting ratio. Sixth, saw affirmative effect on interest stimulation for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ecause could paint korean traditional pictures by various subject, expression method. Seventh, knew little more concretely about ou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s learning about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understand. Eighth, could appreciate ou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y our traditional view point as learn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Ninth, because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s resemblant with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children's painting, draw and guided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ecause connect with it, children understand better space expression special quality, and to be intimate and took part in lesson with interest. thenth, good feeling degree fo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rose. In this way, right comprehension about peculiar special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may have to consist in art education, and may need many efforts of teacher which teach to do. Also, because much researches fo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re continued forward, must do so that children may can have pride to culture heritage and take genuin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 空間擴大를 통한 이미지 表現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오성희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근래 5년간 제작된 본인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의 동기와 목적, 이론적 고찰, 평면구조 확장을 통한 공간구조의 역할 의미를 서술하고자 한다. 본인 작품은 주로 숲, 나무, 꽃 등 자연 이미지를 추구한다. 자연이라는 소재를 통해 공간에서 갖는 구조와 조형성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이후 이미지의 이중적 구조를 통해 판화가 갖고 있는 평면성을 탈피하고자 아크릴의 투명성을 이용해 촉각적인 요소를 추가한다. 이러한 시각을 통해 평면적 이미지에서 복합적인 자체 공간을 확립하고 확장된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다. 초기 평면구조 속의 공간에서 여백이 갖는 의미는 중요하다. 주로 찍혀지지 않은 흰 여백을 작품에 주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과거와 현재를 비워두는 공간으로서 쉼(휴식)을 의미하는 것이다. 기억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얻어지고 존재하지만, 진행되는 시간 속에서 사실적 사건보다는 이미지가 기억되고 반복적인 이미지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자신의 존재를 가볍게도 혹은 무겁게도 하면서 새로운 시간의 흐름 속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런 개별적 이미지들의 생성부분에 주안을 두고 투명한 아크릴이라는 시각적 매체를 이용해 이미지의 이중구조를 만든다. 그것을 통해 복합적인 공간으로의 지위와 자유로운 공간으로의 기호-상징성과 시각적 매체를 통해 공간의 확장을 시도한 변화된 작업의 흐름을 파악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의식 속에 간직하고 있는 기억의 잔상들을 내면과 외면의 풍경을 외화한 이중구조를 어떻게 아크릴의 투명성과 판에 의해 생긴 여백에 대해 논하려 한다. 그리고 판과 아크릴 투명성의 이중구조를 통해 화면에 존재하는 이미지들과 존재하지 않는 것을 동시에 보여주며 그리고 판(版)이란 매체에서 사진기법과 꼴라쥬 기법 활용의 표현방법과 아크릴의 투명성 표현을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문 2장에서는 초기작업에서 나타난 자연에 대한 의미와 자연에 대한 동·서양의 사유를 비교하고, 공간에서의 조형적 특징과 빈 여백이 갖는 공간의 변용성(變用性)을 검토하여 본인 작품 속에 드러날 조형성과 빈 여백의 표현의도를 설명하여 현재 작업과의 연계성을 지적한다. 3장에서는 자연 이미지를 통한 공간 표현에서 새로운 이원적(二元的) 구조를 통한 공간 확대가 나타나는 작업 변화의 흐름을 제시한다. 또한 상징적 이미지의 생성과 자유로운 공간속에서 기호-상징성이 갖는 의미와 매체론적 접근을 통해 공간의 확장을 시도한 변화된 작업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작품의 제작과정과 표현방식에 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먼저 공간에서 표현되는 사물에 관해 여러 작가들의 비교 검토를 통해 본인의 작업에서 어떻게 접근되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이런 작업에서 평면 구조속에서 공간을 어떤 표현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고 이후 현재 작업에서 아크릴의 투명성을 이용한 평면 구조로부터의 전환을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논하려 한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본인 작품의 의미와 위치를 재 정립하고 새로운 매체론적 접근을 통해 앞으로 창작 방향을 확고히 하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at describing the motive and purpose of creation,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role and meaning of spatial structure through expanding plane structure for my work produced recently for five years. My work pursues mainly natural images such as forest, trees and flowers. It aims a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plasticity intrinsic to space through the material of nature, and tries to add tactile elements by using acrylic transparency to evade plane nature proper to print through dual structure of an image later. Through such perspective, it tries to establish complex space from a plane image and express expanded space. Space has important meanings in initial plane structure. White space not printed is mainly used in a work, meaning rest as space emptying the past and the present. Memory exists obtained in the passage of time, but an image rather than a factual case is memorized in the passage of time. A repetitive image creates a new story making its own existence light and heavy, which drives it into the passage of new time. Focusing on the generation part of the individual image, I make dual structure of an image by using the visual medium of a transparent acrylic. Through it I try to understand the flow of changed work of trying to expand space through position as complex space and sign-symbolism as free space and the visual medium. This paper tries to argue how the space created by acrylic transparency and a print tries to indicate the dual structure of depic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landscape of the afterimages of memory cherished in my consciousness. And it tries to simultaneously show the images existing and not existing in the canvas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a print and acrylic transparency and help to understand by explaining the methods of expression utilizing the techniques of photograph and collage in the medium of a print and the expression of acrylic transparency. Chapter 2 compares the meanings of nature and Oriental and Occidental ideas about nature as shown in my initial work, and points out its connection with present work by examining the plastic characteristics in space and possibility of changing uses intrinsic to empty space and explaining the plasticity to appear in my work and the intention of expression in empty space. Chapter 3 presents the flow of work change indicated through expanding space through a new dual structure in the expression of space through natural images. It also tries to examine the meanings sign and symbolism have in symbolic images generated and free space and the flow of changed work of trying to expand space through media approach. Chapter 4 tries to expla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for the work. First, it explores what approach my work took among various artists' approaches to things expressed in space, And it tries to explore in what mode space was expressed in a plane structure in this work and concretely argue in what mode conversion from the structure by using acrylic transparency is utilized in present work later.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I want to reestablish the meaning and position of my work and make firm my future direction of creation through a new media approach.

      • 버츄얼 스튜디오에서 나타난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 가상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백화림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영상물과 시각적인 표현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매체의 사용은 영상표현의 한 형태로 특히 영화, 방송, 극무대, 이벤트, CF 등의 공간 표현 분야에 적용시킨 결과, 새로운 기출과 연구, 다양한 시도로 공간 표현의 사실성과 가상성에 대한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가상 표현에 의한 영상매체의 주역인 TV방송에서도 컴퓨터의 기술을 사용한 다양하고 역동적인 애니메이션과 효과로, 종래의 실제 세트에서 재현하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인건비, 재료비의 절감뿐만 아니라 구현하기 어려운 공간의 깊이감과 다양한 특수효과 표현에 있어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3차원 그래픽으로 작업 후 크로마키에서 연기자를 동시에 합성하여 마치 세트에 연기자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버츄얼 스튜디오' (Virtual studio)가 바로 그러한 것인데 실제 세트에 비해 시간적인 낭비와 인건비가 줄어들고, 세트 보관이라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며, 실시로 세트 디자인의 수정과 응용이 가능하고 최종 디자인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여러 많은 방송국에서 선호하고 있고, 점차적인 발전과 함께 응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9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어 현재까지 몇 개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특집으로 진행되는 선거방송이나 교양 다큐프로그램, 시사교양 프로그램, 음악 소개 프로그램 등해서 선보인 적이 있으며 지금까지도 계속 활용되고 있다. 제작 편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EBS의 경우는 전체 제작의 30~40%를 버추얼 세트로 제작하고 있어서 활용면에서는 공중파에 비해 더욱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버추얼의 활용에 있어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것은 1) 자연미의 결여 (조명과 세트 배경과의 매치, 그림자 처리) 2) 복잡한 프로그램 제작 과정 (철저한 사전 준비와 동선를 예측해야하는 점) 3) 고가의 구성 장비로 초기 투자비가 비싸다는 점 등으로, 인식과 활용면에서 여러 제약이 있다. 하지만 버추얼 스튜디오가 가지고 있는 장점, 다양한 공간 표현과 응용이 어떠한 물리적인 제약 없이 가능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감나게 시각화 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앞으로 기술적, 환경적 제약 요소가 개선된다면 점차 더 많은 사용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버추얼 세트의 공간표현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공간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이라는 콘텐츠에 맞추어서 활용되고 있다. 첫째. 현실을 기반으로 한 공간 표현(expression on reality) - 현실감을 중시하며 실감나는 공간과 환경을 만들고, 재현과 상황 설명 시 주로 사용되는 공간 표현 방법인 실재감을 통해 최종적으로 연출된 영상의 사실성을 높여 몰입을 통한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표현 방법이다. 둘째.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적인 공간 표현을 응용한 공간 표현(expression of remediacy) - 버추얼에서 많이 선호하는 형태로 반은 현실과 반은 가상으로 재현되는 공간 표현방법이다. 이러한 표현은 단순한 리얼리티를 개선하며 '환영' 이라는 디지털 미디어만의 독특한 매력으로 물리적인 세트의 한계를 넘어 가상의 공간을 사실처럼 보이게 한다는 특징이 있다. 셋째. 비현실성을 바탕으로 한 공간표현 방법(Hyper reality) - 현실적 재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상상의 이미지와 추상적인 형상화를 통해 오락적인 요소와 호기심을 줄 뿐만 아니라 가상으로 형성되는 공간표현의 자유로움을 이용해 가상 공간만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표현방법이다. 버추얼 스튜디오에서의 각 공간은 이러한 특성을 배경으로 창의적이며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버추얼 스튜디오를 교양, 시사, 교육 등의 프로그램에서만 사용하고 있고, 정적이고 단순한 배경, 그래픽 패널 정도에 활용하는 데 그치고 있어, 인식과 활용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미 외국의 경우 다양한 방송 콘텐츠 - 게임쇼나 토크쇼, 드라마, 라이브 쇼, 경기 등 - 에 접목시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버추얼 스튜디오의 활용에 대한 관심, 철저한 준비와 연구, 버추얼 스튜디오 발전을 위한 많은 노력에 기한 것이다. 우리 역시 이러한 다양한 노력과 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버추얼 스튜디오의 활용과 발전에 대한 노력을 찾아본다면 선진국의 여러 사례처럼 여러 프로그램에 응용이 가능하도록 버추얼의 환경을 개선시키는 일 - 예를 들면 버추얼 스튜디오로 제작된 3D 이미지를 배경막에 쏘아서 연기자가 실제 세트에서 연기하는 듯한 느낌을 줌으로씨 연기와 동작을 자유롭도록 하는 예, 다양한 각도에서 정교하게 촬영된 디지털 영상과의 합성으로 사실감과 현장감을 증대시키는 방법, 초기 투자비의 부담 때문에 장비도입을 못했던 일반 업체에 버추얼 세트디자인 전문회사의 등장으로 미리 제작된 버추얼 세트의 각도와 장면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서 판매하여, 버추얼 세트를 대중화, 일반화하려는 추세 - 이 있다. 우리 역시 이러한 활용과 발전을 위한 인식의 전환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의 지속적인 진행으로, 공중파 외에 일반 기업체, 케이블 방송국 및 지방 유선방송국 등에서도 활용을 증대시킨다면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과 그의 발전을 예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다양한 공간 표현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외국의 사례를 기반으로 알아보았다. 사례분석을 통해, 외국의 경우 국내에 비해 다양한 공간 연출을 시도하고 있으며, 단순히 디자이너의 노력으로만이 아니라 스텝들과의 협업으로 최대 영상 표현을 창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역시 스텝들의 단독적인 진행을 피하고 일반 세트디자이너와 3D 디자이너 간 상호 지식의 교류를 꾀하며, 조명과 카메라 파트가 전체적인 진행을 서로 이해하여 창의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한 협력을 만들어 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시대에 훌륭한 영상 디자인은 통합적 메시지 전달을 위해 확립된 디자인 법칙과 구성에 의한 시각 영상물의 사용을 통해 전체 조화를 위한 통합 디자인으로 어떻게 이끌어내느냐에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디자인적인 측면에 있어서 버추얼의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n the whole world, they show the interest in various object images and visual expression by using the digital media. The use of these media is a kind of image expression, as a result of especially application to the part of the spatial expression, a new technology, study and various attempt have caused the advance of reality and imagination of the spatial expression. The leading part of video media by imaginary expression, TV broadcasting, has been used the various animations and effects by computer technology ,it makes expenses of labor and material costs cut down and the expression of spatial sense of depth that is hard to embody, various special effects possible, too. It is the 'virtual studio'- it makes us feel as if a player were in a studio set by synthesizing a player and scene worked with 3D graphic at chroma key at the same time - that it makes wastes of time and labor costs go down as compared with the real studio set, solves the difficult for the preservation of a studio set, in addition, we can modify and apply to the design of studio set at real time and see immediately the final design. Due to these advantages, it has been being preferred in many broadcasting company today, applied and advanced gradually. In the case of Korea, it has been used in earnest since the 1990's late, continuously used in some broadcasting program at present. It has been seen in the program such as a special broadcast for election campaign, an educational documentary program, a current program, a music recommendation program etc.. In the case of EBS(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there are many number of produced programs, they have produced 30~40% of the entire program in virtual studio set, it shows that EBS has been more actively applying to it than in that of public broadcasting system. But there are some difficulty in an application of virtual as yet, like this ; 1) a lack of natural beauty (the match lights with background set, the manage of shadow) 2) a complicated process of producing programs (an exhaustive prior prepare, an estimate of moving line) 3) As constituent equipment are high-priced, the first invested cost is expensive. It has been restricted yet by recognition and application. The advantages of virtual studio, however, are that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various space and apply without any physical restrict and to visualize a creative idea realistically. If these advantages are embossed and the technological and the conditional restrict elements are improved, gradually it is expected that the using of it will increase. The spatial expression in virtual studio set is classified by three kinds, each space is used by setting contents styled various broadcasting programs. First, expression on reality - With paying attention to reality, we make realistic space and condition. And through the sense for the existence, the way of spatial expression used primary at the time of reproduction and explanation of situation, raises reality of the final directed images, we can feel the sense for the existence by absorption. Second, expression of remediacy - It is preferred at virtual studio set, is the way of spatial expression reproduced partly realistic and virtual space. This expression has features that improve simple reality and make virtual space seen like real things beyond limits of the physical studio set by the unique attraction, an illusion, that only digital media have. Third, Hyper reality - Without influence of the actual restrict, not only it offers entertainments and excitement by the fancy images and an abstract figuration, but also it is possible to make the most of the features of only the virtual space by free for the virtual spatial expression. Such of these space of the virtual studio it showed that based on the these originalitic feature applyed to variable contents. but in case of korea, the virtual studio is only used some of programs culture, dacument, education which are quit for application in simply background, graphic pannel so it needed to develop of recognition and application. Already as a case of foreign, they applied to many variable broadcasting contents - gameshows, talkshow, drama, live show, play- which are matched eachother. It shows that many effort about interesting in the virtual studio and application of the virtual studio and radical ready or study. So also we are need to these effort and experiment. To find effort about application and archivement in advanced virtual studio, such as highly developed country improve surroundings of virtual studio to make an apply to variable programs. When looking for the efforts to the practical use and development of virtual studio which are advancing now, like many examples of a highly developed country So that application may become possible at many programs virtual environment by composition with the example which frees adjournment and operation by giving touch which strikes 3D image manufactured by making improve - for example, virtual studio, to a background film, and a performer actually acts by the set, and the digital image elaborately photoed at various angles, presence and a feeling of the reality and each angle at scene of the virtual set beforehand manufactured which is advenced reality and by the appearance of a virtual set design special company at the general business company where equipment introduction was not able to carry out because of the burden of the method of increasing, and an initial investment which is going to popularize a virtual set and it is going to generalize we by continuous advance of research for such practical use, conversion of recognition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if a nonfinancial company object, a cable broadcasting station, and a district cable-broadcasting office also increase practical use besides a public group, the design of various forms and its development are expected and it should see . In the case of the foreign country, research of a book has tried various space production compared with domestic through. case analysis which investigated whether space expression various again was applied however and the foreign example at the base, and simply by cooperation not only with a designer's effort but a step and others the maximum image expression We also avoid an independent advance of a step and others, aim at exchange of the mutual knowledge between a common set designer and 3D designers, a camera mutual-looks an overall advance like lighting, and he understands. . newly building turned out to be it is important to complete the cooperation for making originality-space above all an image design splendid in the digital age at the . last for integrated message.In the design -the paper seen since that was right-side it must be in whether it draws however in the general integrated design for harmony of a whole image thing through the use in which the vision image thing by the design law and composition which were established was temperate . which was going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a virtual studio space design.

      •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공간표현능력 신장 지도 연구

        송은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에서 표현능력은 학습자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성장에 따라 발달하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한 미술작품을 창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교육과정에서는 표현영역과 관련하여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목표로 설정하고 학습자들이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해 자유로운 상상력과 독창적인 생각, 개성적인 표현력을 표출할 수 있도록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의사실기에 접어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는 시기로 미술표현을 더 이상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활동이 아닌 ‘관찰한 것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어 주변의 대상과 공간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시각적인 관찰력에 비해 자신의 표현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 점차 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잃고 미술은 어렵고 잘하는 사람들만 하는 것이라 생각하게 되어 미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고 창작의 욕구마저 사라져 미술을 멀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감을 가지고 미술표현을 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관찰력과 표현력의 차이를 좁혀줄 수 있는 사실적인 표현 능력의 향상을 위해 평면에서의 공간표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체계적인 공간표현방법을 연구하여 지도하였다. 또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미술활동을 경험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향상시켜 미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공간표현 수업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인지적․정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공간표현 지도를 통하여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표현방법인 크기, 수직적 배치, 중첩, 투시, 공기원근법을 활용하여 제 1제작 작품과 제 2제작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공간표현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었다. 그리고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한 학생들의 작품에서 다양한 공간표현의 방법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주제를 정하고 자신의 의도에 따라 표현활동을 한 후 주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살펴보면서 새롭게 알게 된 표현 방법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시켜 나타내었다. 또한 완성된 작품에 대한 평가와 제작 과정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수업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내면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창작, 지각, 반성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은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급격히 감소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미술활동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넷째, 본 학습을 마친 후 자신의 작품에 공간표현이 나타난 것을 보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는 학습자들이 많았는데 이는 본 학습이 학습자의 사실적인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공간표현방법을 지도한 결과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공간표현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고 새롭게 알게 된 공간표현의 방법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여 표현하면서 점차적으로 공간표현능력이 신장되었다. 또한 작품에 사실적 표현이 나타나면서 작품 제작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고 더 나아가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학습자의 공간표현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아트프로펠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한 본 연구는 학습자가 미술활동 과정을 즐기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미술교육으로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art, the ability to express develops according to the learner's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growth and it allows them to create art works that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freely and creatively.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set as its objective, the ability to express creatively and originally, in relation to the expression area, and to give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hat allows the learners to express their free imagination, creative thoughts, and original expressions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But, for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entered into the practic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stage, is at a stage where they are starting to think logically and critically, making them think that an artistic expression is no longer about an act of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more freely and diversely but as an act of ‘expressing your observations objectively and portraying them realistically', whereby they try to express their surrounding objects and spaces more realistically. But, compared to visual observation abilities, once they feel that they lack in expressing abilities, they gradually lose confidence to express and start to think that art is a difficult activity and only for someone who has talent, making them lose interest in art and even the desire to create, showing a tendency to avoid art altogether. Hence, this study has looked into and found that it is necessary for a student to learn and study spatial expressions on fla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realistic expression abilities, which can close the gap between visual observations and the ability to express, and which help leaners to express artistically with confidence, thereby in this study a systematic spatial expression method was studied and instructed. Also, we have applied spatial expression classes, utilizing the 'Arts PROPEL Teaching·Learning Method' centered around the learner in order for them to experience meaningful art activities through self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ies that increase interest in art, and examined the learners' cognitive․emotional changes. The results we have gathered through the practice of teaching spatial expression utilizing the 'Arts PROPEL Teaching·Learning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re given a wider understanding of spatial expressions by making two art works, product no. 1 and product no. 2 utilizing size, vertical arrangement, stacking, see through, and aerial perspective, methods of spatial expressions. And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various spatial expression methods were presented in the works of the students, who have made these art work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Second, the students decided on a class subject on their own and after doing expre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own intentions, they were instructed to study materials on the subject they chose then apply new expression methods that they have learned into their art work. Also,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the students internalized what they have learned in class through evaluations on their art work and self-reflection on the production process. Third, the Arts PROPEL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s centered on the learner through creation, perception, and self-reflection, brings out the student's interest in art and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o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drastically lost interest and confidence in art. Fourth, after the class,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fel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t seeing how their spatial expression was embedded in their completed art work. We feel that this was because the class was able to satisfy the student's need to express realit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be confident and be interested in art, a significant factor in this study.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eaching spatial expression methods utilizing the Arts PROPEL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tudents resolved problems on their own, gained a natural understanding of spatial expression, and steadily increased their spatial expression abilities by expressing through applying newly acquired spatial expression methods in their art work. Also, as the realistic expressions started to melt into the art work, the students were able to feel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further, were able to gain confidence and interest in art, a significant meaning in this study. In this respect, this study used teaching methods utilizing the Arts PROPEL Teaching·Learning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er's spatial expression abilities, and we expect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art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where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njoy art activities.

      • 화예조형으로서의 공간표현 연구 : 허준 박물관 설치 작품을 중심으로

        노순복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정신과 기의 흐름을 중요시 하는 동양의 의술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한의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의학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2005년에 서울 강서구에 우리나라 최초로 한의학 전문 박물관인 ‘허준 박물관’이 개관하였다. 이는 한의학의 거성으로 불리는 「허준」의 위업을 기리는 것을 넘어 지역주민들에게 한국의 전통 한의학문화와 정보공유를 위한 장을 마련해 주고 있다.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시대와 지역, 문화를 초월하여 보편적이다. 그러나 정신과 신체를 대체로 별개로 보는 서양 의학과는 달리 동양 의학은 정신과 육체의 강한 연관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통 의학인 한의학도 서양 의학과는 매우 다른 의학적 체계, 기술, 치료 도구들을 발전시켜 왔다. 정신과 육체와의 교감을 중요시하는 한의학의 이러한 특성은 고도의 정신적 활동과 육체활동의 결과인 작품의 창작과도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특히 소재의 특성상 생명성 및 시간성을 중요시 하는 화예조형의 창작활동에 많은 영감을 준다. 본 연구는 화예조형 작품을 허준박물관에 전시 설치하는 것을 문제로 제기 하여 다양한 현대 미술의 재료를 사용하여 화예조형 작품을 창작 하고 허준 박물관에 전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으며 허준과 한의학에 관한 문헌을 연구하고 전시장을 방문하여 작품의 주제를 설정 하고 표현 하는 것을 연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작품「태(胎)」는 장방형의 입방체로 구성 하여 내부공간을 느티나무의 굵은 가지와 잔 가지로 태의 형태로 구성 하여 외곽에서부터 중앙으로 올수록 가늘고 섬세한 선을 밀집되게 채움으로 중앙부분의 비어 있는 공간이 태의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작품「업(業)」은 동의보감 형태의 입방체를 지나 다래덩굴로 큰 여백을 표현 하여 작품 외곽을 구성 하였다. 기하형태와 자유형태의 대비에 의해서 기하형태가 강조됨으로 허준의 중요한 업적인 의서(醫書)를 표현함으로서 주와 객의 다름에 따라서 이 작품의 주제가 강조 되었다. 셋째, 작품「기(氣)」는 약절구의 이미지에 의한 오브제 작품으로 철선과 화훼재료로 교차와 집적에 따른 반투명 한 형태가 구성되어 질감 양감 공간의 변화가 이루어 졌다. 넷째, 작품「환(還)」은 동판과 철선으로 약연의 이미지를 오브제 작품으로 표현 하였다. 비움과 채움, 성김과 빽빽함 허와 실의 기법으로 반투명한 작품 공간이 구성 되었고 공간, 양감, 질감 대비 효과가 이루어 졌다. 다섯째, 작품「생(生)의 유영(遊泳)」은 다양한 화훼재료로 리리프(부조) 작품으로 구성 하였다. 연밥, 연잎, 말채로 침 자리인 경혈을 표현한 작품으로 다양한 화훼재료의 질감과 색채의 특성으로 점묘법의 효과를 이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크기(18000mm×2400mm×250mm)에 따른 규모로 공간을 압도 하였다. 여섯째, 작품「초대(招待)」는 다래덩굴에 의한 양감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는 세(勢)의 표현에 의해서 역동적인 운동감이 강조되고 굵은 선의 배치에 의해 큰 여백과 작은 여백에 의한 동양화 같은 공간이 표현이 되었다. 단순한 소재의 변화를 주어 관객을 전시장으로 유도하도록 흐름을 강조 하였다. 재료의 색채 표현을 갈색, 녹색, 동녹색, 등으로 표현하여 전공간 차분하고 자연스러운 공간으로 표현 하였다. 화예조형 작품의 전시 배경을 살펴볼 때 친환경성과 생명력을 내포하고 있는 화예조형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해 보려는 적극적인 시도가 필요하며 이는 새로운 미술장르로서의 화예조형이 체계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앞으로도 더욱 많은 미술의 조형이론과 소재들이 자연과 결합하여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본질적인 특성내포와 작품이 물체에서 공간으로 전환되고 일회성이라는 특수성을 탈피하여 공간과 자연과의 결합을 통해서 더욱 더 많은 화예조형 작품이 탄생되어 창작예술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In world medical circles, oriental medical science has recently come into the spotlight, which cast a new light upon oriental medical science in Korea as well. Following this trend, Heo-Jun Museun, the first museum dedicated to oriental medical science in Korea, opened in Kang-seo Ku, Seoul. This museum not only pays a high tribute to Heo-Jun's achievements in Korean medical history but also provides local community with place to share information on Korean traditional medical science. Human needs to pursue healthy life is universal throughout times, countries, and cultures. The perspective on pursuing healthy life, however, is different from culture to culture. Oriental medical science emphasizes on connection between mind and body very strongly while western medical science focuses more on individual function of each part of body.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of art is a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body and mind. In this respect, the spirit of oriental medical science have some similarities with a floral formative art. This thesis attempts to create floral formative arts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to install these works in the Heo-Jun Museum.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steps: first, literature review on Heo-Jun's life and oriental medical science was conducted. Then, main themes were decid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everal visitations to Heo-Jun museum. 「Tae(胎)」, the first work of art, is a rectangular cube. The inner part of the work was filled with thick branches and twigs. More twigs than thick branches were used towards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Tae(胎)」 was left empty to express the image of womb. In「Up(業)」, the second work of art, big space was created outside frame, using actinidia arguta planch. Heo-Jun's life-long achievement, Dong Euy Bo Gam, is emphasized by contrast between geometry and free style. In other words, the contrast between "host" and "guest" was used to emphasize the theme. In「Ki(氣)」, the third work, is an objet d'art that adopts image of a medicine mortar. In this work, semitransparent shape was created by crossing and accumulating materials like wires and floral materials. This process created variation in the volume, space, and the texture of materials. In「Hwan(還)」, the fourth work, copperplate prints and wires were used to create an image of a chemist's mortar. The semitransparent space was created by using a variety of technic such as emptying and filling, loosening and tightening, and so on. In「Sang(生) Euy Yoo Young(遊泳)」, the fifth work, various floral materials were used to create an embossed sculpture.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were expressed using lotus fruits, lotus leaves, and Korean dogwood. Pointillism was expressed by textures and colors of various floral materials. The size of this work, 8000mm×2400mm×250mm, overwhelms the space. In「Cho Dae(招待)」, the sixth work, the volume created by actinidia arguta planch played a key role in expressing dynamic movements, which flew from left to right. Thick lines were arranged to create spaces which can be seen on a oriental painting. Changes in the materials were carefully made to attract audiences into the museum. Two criteria were considered in analyzing the six work of arts: the basic elements of formative arts and the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On a basis of the criteria, the floral formative arts were effectively applied to space display. It is because that the changes in volume, contrasts, unification of materials, emphasis were effectively conducted. Nowadays, audiences tend to appreciate environmentally friendly display more and more. This is why application of the floral formative arts, the arts created with natural materials, to display field is getting important. Therefore, successful combination of the two different fields would open up new genre in art and this new genre would transform objects oriented works to space oriented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