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창희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건강성, 양육행동, 자기분화, 가족탄력성의 관계를 밝히고,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건강성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원가족건강성은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 셋째,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은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충남지역 어린이집의 만 0-5세 영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 369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최종 추출된 문항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 Version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건강성은 부모의 양육행동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원가족의 경험에서 기억하는 전체적인 건강성은 부모가 가족 내에서 실제적인 양육행동과 자녀-부모와의 관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원가족건강성은 자기분화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가족탄력성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원가족으로부터 긍정적인 기억들을 많이 갖고 있을수록 타인과의 상황에서 압력을 받았을 때 자신의 신념이나 입장이 흔들리지 않았고, 갈등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가족이 건강할수록 생식가족 또한 가족 간의 강점을 발휘하여 성장하고 적응적인 가족이 된다. 셋째,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개인의 자기분화 수준은 개별적이고 모두 다를 수 있으며 같은 부모에게서 자란 자녀라 하더라도 환경과의 관계적 특성에서 영향을 받는다. 이는 사람마다 모두 자신의 환경과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부모들의 자기분화 수준이 낮다고 하더라도 자녀 양육에 대한 교육수준이 높거나 설문에 반영된 자녀와 반영되지 않은 자녀를 대상으로 한 양육행동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넷째,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족탄력성은 기존의 결점 관점으로 가족을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관점인 강점 관점으로 가족을 보는 것으로 가족이 가진 자원과 역량을 발휘하여 더욱 성장하고 변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긍정적인 영향은 가족 내 부모의 양육행동에도 영향을 주고, 효능감을 높이며,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부모로서 성숙한 양육행동을 하는 부모가 되도록 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이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매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담심리학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세대 전수 이론에 의하면 원가족에서의 양육행동은 대물림된다고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요인은 원가족으로부터 전수되어 온 과거의 경험이 아니다. 과거의 경험에서 모든 사람이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사람의 개별성에 따라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환경이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정주의적인 관점이 아닌 인간의 자유의지적인 관점으로서 살펴봐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원가족건강성이 생식가족 부모의 자기분화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가족이 정서적으로 건강하면 부모 개인의 자기분화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반대로 원가족의 정서가 건강하지 못하면 자기분화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분화된 자아 군을 가진 원가족의 부모일수록 자녀에게 부정적인 정서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자녀의 자기분화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족의 건강한 정서를 조성하기 위한 부모의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가족탄력성이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다는 결과는 가족탄력성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가족 내에서 영유아기 자녀와 부모의 소통, 감정 공유, 가족 내 의사결정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등 가족의 강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유도하여 적응적인 가족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족탄력성은 위기 가족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이 갖고 있는 고유한 강점을 찾고 개발함으로써 자녀를 양육하거나 가족이 살아가면서 닥칠 위기를 예방하는 차원의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오랜 시간 집단생활을 하는 대상들에게도 가족탄력성의 특성을 적용한 강점 찾기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의 원가족건강성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자기분화에 대한 부모상담과 단위로서의 가족탄력성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개입으로 부모에게는 자신의 건강한 자아 정체성과 행복한 양육을, 자녀에게는 건강한 가족상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기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상담에서 좀 더 다양한 변인들을 고찰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parenting behavio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parenting behavior? Second, do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ffec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Third, do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affect parenting behavior? Fourth, do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a validity test was conducted for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0-5 at daycare centers in the Gyeonggi and Chungnam areas.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of 369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0-5, focusing on the final extracted ques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 program and AMO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The overall health by family-of-origin experiences did not affect parents' actu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parent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Second,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This shows that the more positive the memories from the family-of-origin are, the less their beliefs or positions are swayed when they are under pressure from a situation with others and the better they cope emotionally in conflict situations. The healthier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 the stronger the family will be, grow, and adap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is is in line with Bowen's argument that every person's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is individual and can vary, and that even children raised by the same parent are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to the environment. This is because everyone has different interactions with their environment and their families. In other words, even if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of the parents is low, the level of education for parenting may be high, and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children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family resilience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Family resilience is not looking at the family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ing defects, but rather from looking at the family from a more active positive point of view. This enables the family to grow and change further through the use of their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is positive influence also affects the parenting behavior in the family, increases the sense of efficacy, and reduces parenting stress, making them mature and parents with better adaptive parenting behavio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and that fami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parenting behavio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theory, parenting behavior in the family-of-origin is passed down. However, in this study, the factor that most affects the parenting behavior is not the past experience passed down from the family-of-origin. Not everyone can be free from the past experience, but since the past experience and the present environment interact and influence the person depending on the individuality of the person, it implies that it should be viewed as human free will and not from a deterministic perspective. Second, it shows that the health of the family-of-origin influences the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of the parents from the family of procreation. This suggests that if the family-of-origin increased. Conversely, if the family-of-origin is emotionally unhealthy, it can act as a factor that can lower the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addition, parents with undifferentiated ego groups may hav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n their children, which may affect their children's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Therefore, this implies that the ability of parents to create healthy emotions in the family is very important. Third, the result showing that family resilience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reveal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parenting behavior. By improving family resilience such as communica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parents in the family, sharing emotions, and involving the child in family decisions, it is possible to induc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help adaptive family function. Fourth, for family resilience, it is necessary for a training program to raise children by finding and developing the unique strengths of all families, not just those at risk, and to prevent crises that may occur while the family liv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find strengths as a group with family resilience for those who are in groups for a long time, such as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basis for correct parenting behavior an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family counseling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by revealing the roles of related variable.

      • 가족 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시정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하위변인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독립변인으로, 학교생활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관계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11년 11월부터 12월까지 포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논의 및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들 중에서 교사관계, 학습활동, 학교행사참여를 보면 가족건강성과 좀 더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를 성립하는 시기에 있는 아동은 가족환경에 양향을 많이 받는다. 이런 점에서 사회체계와 상호 작용을 통한 가족건강성 확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아동 생활의 연장선에 있는 학교라는 공간은 가족의 환경이 그대로 반영되는 가장 큰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가족구성원 간에 이루어지는 아동의 건강성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관계, 학습활동, 학교행사참여와 같은 아동의 행복 척도에 반영 되는 것이다. 둘째,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들 중에서 교우관계와 같은 내적 요소를 포함하는 변인들은 자아탄력성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긍정적 대인관계는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친구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이것은 학교생활 만족도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 할 수 있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규칙준수는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모두 에게 비슷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관계가 특정한 변인들에 의해 좌우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과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중에서 어느 쪽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 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이분법적인 연구결과의 한계성을 살필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세밀한 연구 분석 통해 변인들의 어떤 요소들이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파악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sub-variabl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healthiness of the family and ego resiliency on a child's school life satisfaction. As such, a relationship model using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and ego resilienc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as drafted for review. To gather data, surveys of 396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in the region of Pohang from November, 2011, to December of the same year.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summary and conclusion of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sub-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 school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were more closely linked to a healthiness of the family. Children in the stage of forming their ego are greatly affected by the family environment. Therefor, ensuring a healthiness of the family through th social system and interactions is significant. Also, the school,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hild's life, is the greatest area in which the family environment is reflected as it stands. So the health of the child formed through family relations is reflected in signs of the child's happiness such a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Second, of the sub-variable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variables including internal factors such as peer relationships were affected more by ego resiliency. We can conclude that th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s enabled by ego resiliency help the child form relationships with peers at school, and this in turn is reflected in the satisfaction levels towards their school lives. Third, adherence to rules, a sub-variabl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effected similarly by both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and ego resiliency. As seen fro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does not seem to be decided by specific vari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and those of ego resiliency affect a child's satisfaction towards his/her school life. Most existing studies focused their analysis on results on which factor affected school life satisfaction, healthiness of the family or ego resiliency. However, this study enabled us to realize the limitations of such dichotomic study results, and allowed us to more clearly understand which factors affect the child's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a more detailed study and analysis.

      •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을 중심으로

        김혜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그들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자녀의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충남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와 다문화 지원 센터에 의뢰하여 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태도성숙을 종속변인으로 SPSS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진로태도성숙의 차이를 보면, 가족건강성은 외국인 부모님의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 외국인 어머니의 직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로태도성숙에서는 외국인 어머니의 나라, 본인의 한국어 실력, 경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 진로태도성숙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거의 모든 하위변인은 진로태도성숙 하위변인 전체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의 거의 모든 하위변인에서도 진로태도성숙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 중 진로태도성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그 중 가족건강성은 하위 변인인 가족원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원간의 유대만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하위 변인 중에서는 가족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지지가 가장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가정 자녀의 진로태도성숙에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기에, 가족의 건강성과 사회적지지를 통해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진로태도를 성숙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u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areer guidance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y analyzing impacts of their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from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stud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has been conducted from the 58 children selected by requesting the schools and support centers in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where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re attending. As analysis metho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using SPSS 18.0 by determining the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s of the family strength, the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the population-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amily strength represen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the parents, and the social support represen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occupation of the alien mother. And finally,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re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of the alien mother, children'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the economical level Second, to find out the impacts of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and represented that the family strength, the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Almost all the sublevel variables of the family strength represent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ntire sublevel variables of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lmost all the sublevel variables of social support also re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 impacts of the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variable, which has much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between the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was the social support. Only the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members, the sublevel variables of family strength, represented the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ut of sublevel variables of the social support, the family support represented the greatest impacts and the teacher's support represented having lowest impac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ince the family strength and the social support represented as important variables having impa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t might suggests that through the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the career attitude can be matured.

      •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조직 갈등 및 조직건강성이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주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Effect of Resilienc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Health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Park, Sung-ju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lienc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30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A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ilience, organizational conflict, organizational healt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e type, and marital status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onflict, there was only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While the conflict was lower in the 20s than in the 30s, 40s, and 50s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regarding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organization, certificate typ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e type, and marital status. As for turnover intention, differences in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organization, certificate type, and marital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in their 20s with younger age and less experience showed lower resilience and higher organizational conflic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an teachers with higher age and more experience. Second, there was a consiste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 of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burnout, whereas conflict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colleague teacher showed a consiste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sides, organizational health and burnou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As for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nfli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whereas organizational health and turnover inten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 resilience, high organizational conflict, and feeling that the organization where one belongs is unhealthy were related to having hig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 resilience,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ed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conflict between the principal and colleague teache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health had more influence than resilience.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health,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limate had an impact, whereas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not. Interestingly, the conflict with the principal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than the conflict with the colleague teachers, while the effect with the colleague teachers, in contrast, showed the larger burnout. In other words, conflict with colleague teachers affected the burnout of teachers, while conflict with the principal had a grea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resilience which is an individual variable of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onflict and health which are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was a variable that affected the burnout of teachers rather than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Also,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conflict with the principal or organizational health had more influence than resilience. Therefore, to reduce the burnout of teacher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build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colleague teachers rather than with the principal and enhances positivity and self-regulation. Also,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teachers, it is essential to resolve conflict and to have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the principal. Furthermore, these findings forecast that it is required to democratize the structure and climate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aus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esenting the need for various programs and education that can reduce or prev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key terms: resilience, organizational conflict, organizational health, burnout,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근무기관 조직 갈등 및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30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 근무기관 조직 갈등, 조직건강성, 소진과 이직의도의 차이가 있었다.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교사연령과 교사경력, 학력, 자격증 유형, 결혼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 갈등의 경우 교사연령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는데, 20대가 30, 40, 50대 집단에 비하여 갈등이 낮은 반면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 자격증 유형,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 배경 변인에 따른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사 연령, 교사경력, 학력, 자격증 유형, 결혼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직의도에서는 교사 연령,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 자격증 유형, 결혼여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낮고 경력이 낮은 20대 교사들은 연령과 경력이 높은 교사들에 비하여 낮은 회복탄력성, 높은 조직 갈등과 소진, 이직의도를 나타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과 소진 간에는 일관적인 부적 상관관계가, 원장 갈등과 동료 갈등은 소진과 일관적인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성과 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직의도와 관련해서,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유아교사의 조직 갈등은 이직의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조직건강성과 이직의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회복탄력성이 낮고, 조직 갈등이 높으며 자신이 속한 조직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은 높은 소진과 이직의도를 갖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 갈등 및 조직건강성은 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조직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갈등하위요인 원장‧동료 갈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해서는 회복탄력성 보다는 조직 갈등과 조직건강성이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조직건강성에서는 조직의 구조와 풍토가 영향을 미쳤으나 원장의 지도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흥미로운 것은 동료와의 갈등보다 원장과의 갈등이 이직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동료 갈등의 영향이 큰 소진과는 반대의 양상을 나타냈다는 것이다. 즉 동료와의 갈등은 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지만, 원장과의 갈등은 이직의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 변수인 회복탄력성과 환경 변수인 조직 갈등 및 건강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영유아교사의 소진과 관련하여 원장과의 관계보다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이직의도와 관련해서는 회복탄력성 보다는 원장과의 갈등이나 조직건강성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교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원장과의 관계보다는 동료교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도모하고 긍정성과 자기조절력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며, 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원장과의 갈등을 해결하고, 원장과 의사소통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조직의 구조와 풍토를 민주적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소진과 이직의도를 초래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소진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회복탄력성, 조직갈등, 조직건강성, 소진, 이직의도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현진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의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가족건강성 척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32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에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4.0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랩핑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주관적 행복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지지 간에 상관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이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족건강성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깊은 관계가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가족구성원 간의 원할한 의사소통과 함께 보내는 시간, 가치체계 공유 등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을 이끌어 내야함을 알 수 있다. 가족건강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지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밝혔다는 점이다. 따라서 행복감이 낮은 청소년을 상담할 때 그들이 속해있는 가족건강성을 살펴보고, 청소년이 사용하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무엇인지, 사회적지지 자원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심리적인 측면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과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

        신여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이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정도 및 관련 변인들을 살펴보고 중학생의 관련 변인 및 가족건강성 인식에 따라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인식한 가족건강성 수준은 어떠하며, 이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한다. 둘째, 중학생이 인식한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도는 어떠하며, 이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분석한다. 셋째,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및 학교관련 변인, 가족특성 변인, 가족건강성 인식이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으로 총 525명을 유의 표집하였으며, 인천지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오프라인 조사와 온라인 전문조사업체의 중학생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질문지로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인 배경을 알아보는 일반 문항과 가족건강성 척도,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 척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일원분산분석, t-test,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65로 나타나 5점 Likert 척도의 중간 점수인 3점보다 높아 중학생의 가족건강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족건강성 인식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감사와 애정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대감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성별, 학교형태, 반 석차, 기술·가정 성적, 부 연령, 모 연령, 부 학력, 모 학력, 부 직업, 가족구성형태, 경제생활정도, 가족의 대화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인지하는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7로 나타나 5점 Likert척도의 중간 점수인 3점보다 높아 중학생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중 ‘진로와 생애설계(3.58)’가 가장 높았으며, ‘청소년의 자기관리(3.51)’, ‘가족의 이해(3.49)’,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3.49)’, ‘청소년의 생활(3.40)’, ‘청소년의 이해(3.39)’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이 인지하는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성별, 기술·가정 성적, 부 직업, 경제생활정도, 가족의 대화, 가족 수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학교관련 변인, 가족특성 변인과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이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영역 흥미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가족 건강성 인식 변인군들이 다른 두 변인군들에 비해 모든 단원의 흥미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이해’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특성 변인은 부 직업,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은 유대감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생활’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및 학교관련 변인은 기술·가정교과성적, 가족특성 변인은 부 직업, 가족의 대화,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은 유대감, 문제해결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기관리’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및 학교관련 변인은 기술·가정 성적, 가족특성 변인은 몇째자녀인지,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은 문제해결능력 등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이해’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특성 변인은 부 학력, 부 직업,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은 유대감, 문제해결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녹색가정생활의 실천’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족특성 변인은 부 학력, 경제생활정도,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은 유대감, 문제해결능력 등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와 생애설계’단원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구사회학적 및 학교관련 변인은 기술·가정교과성적, 가족건강성 변인은 유대감, 문제해결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이 중간점수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등에 가족건강성 인식이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김혜래·최승희, 2009; 이경선·남현우, 2011; 최정혜, 2005)결과를 고려해 본다면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을 긍정적으로 함양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학생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가 중간점수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다고 볼 수 있다.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가 학습 동기 및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생각할 때 중학생의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가 높아지고 학습결과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면 그 교과를 중요한 교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교과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인구 사회학적 및 학교관련 변인, 가족특성 변인과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 중 가족건강성 인식 변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특히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인식 중 유대감과 문제해결능력이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가족관계를 강화하여 유대감을 향상시키고, 가족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매체등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시킨다면 중학생 자신의 가족 건강성도 증진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에 대한 흥미도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정과 교사는 학생 가족의 건강성이 교과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여 수업시간이외에도 생활지도를 통하여 학생의 가족에 관심을 가지고 가족의 건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학생의 교과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는데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가정과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가지각한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학교적응에미치는영향

        이지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에 따른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녀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 해 부모의 역량 강화 필요성 인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 자녀의 학교적응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에 따른 학교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자녀의 학교 적응에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전남 동부지역인 순천, 구례, 광양 지역에 거주하며 첫아이가 - ii -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 자녀를 둔 350명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 후 회수의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Cronbach's ), t-test, ANOVA, Pearson 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 모두 3점 이상 중간 점수를 보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경향 중 사회적 지지 점 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 감, 자녀의 학교적응의 차이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족건강성과 관련하여 거주지의 규모가 큰 도시지역인 동(洞에) 거주하며 조사대상자의 배우자 가 있는 가족의 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배우자가 있는 가족일수 록 가족의 응집력이 높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가족형태가 부부, 자녀, 부모(남편부모 또는 아내부모)가 함께 지내는 3대 가족인 조부모가 함께 생활하며 가족유대가 높고, 종교가 있는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가족건강 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구월소득이 높음에 따라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조사대상자가 동에 살고 있는 집단이 주거 환경에 의해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높 다고 나타났다. 혼인여부에 따라 초혼이 재혼보다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높았으며 이는 재혼일 경우 새로운 가족원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부모 스스로가 사회적 지지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 다. 현재 배우자가 있는 가족이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고, 부모 학력 - iii - 이 고학력집단이 스스로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가족형태가 부 부, 자녀, 부모(남편부모 또는 아내부모) 집단이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 이외에 가족구성원인 조부모가 함께 동거함으로써 자녀에 게 정서적인 지지를 더 충족할 수 있다고 지각함을 알 수 있었다. 종교가 있는 집단이 사회적 지지에도 영향을 미쳤고, 가구 월소득에 따라 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효능감은 조사대상자의 연령대와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연령대가 46세 이상으로 나이 가 많은 집단이 부모 스스로가 지각하는 부모효능감이 높다는 것으로 해 석 할 수 있다. 직업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전문직, 공무원, 사무직, 자영 업, 주부, 판매서비스, 일반직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거주지, 혼인여부, 현재 배우자 유무, 학력, 가족형 태, 종교, 자녀수, 첫아이학년상태, 가족월소득에 관계없이 부모가 지각한 자녀의 학교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학교적응은 농촌지역인 읍에 거주하 는 집단의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의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해석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배우자가 없는 집단보다 자녀 의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배우자가 없는 집단의 가족 구성이 불안정하여 자녀의 학교적응에 어렵다는 해석을 하고 있다. 반면 에 조사대상자의 성별, 연령대, 혼인여부, 학력, 가족형태, 종교, 자녀수, 첫아이 학년상태, 직업, 가구월소득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학교 적응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를 부여하지 못했다. - iv - 3)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에 따른 자녀의 학교적응의 차이에 있어서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높은 집단, 사회 적 지지가 높은 집단, 부모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자녀의 학교적응을 잘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스스로 가족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환경적응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가 높고, 부모로써의 자존감이 높을 때 자녀의 학교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들의 상대적 인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가 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 모두 높은 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부모가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부모 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교적응이 매우 잘 이루어지는 영향력으로 나 타났다. 자녀의 학교적응에 대한 모든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 면 가족건강성과 부모효능감이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이며, 학교적응에 가 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부모가 지 각한 가족건강성과 부모효능감을 확인하였다. 부모가 가족건강성이 높다 고 지각할수록, 부모효능감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학교적응이 높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부모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관련하여 유의 미한 영향력을 밝혀지지 않아 학령기 자녀들의 사회적 1차 지지원인 부모 가 자녀의 학교생활, 가정생활의 적응을 위해 사회적 지지원이 풍부한 사 람일수록 학교적응력이 높음의 중요성을 알고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파악 해본다면 자녀의 학교적응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by their parents perception and to submit basic material to recognize necessity of strengthening parental capability for enhancing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The concrete subjects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as below.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parents efficacy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 2) What differences were showed in parents recognized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have, based on social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 75 - 3) What difference were showed i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based on parents recognized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and parents perception? 4) What is the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of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by their parents perception?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the way that paper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350 parents who have first child in primary or middle school, living Sunchon, Gurye and Gwangyang area, which are in east district of Jeonnam provinc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Cronbach's ), t-test, ANOVA, Pearson's moment relationship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summery of results of the study is written as below. 1) All of the subjects recognized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by their parents perception showed middle score over 3. The social support marked highest score among general trends of the subject parents. 2) The results of the examine on difference of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by their parents perception, based on social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showed that, related to family strength, the family strength who are residents of Dong in cities, which is comparatively bigger residential district, and who has spouse, showed high score. The family strength recognized by the subject parents marked high score in the 3 generation family with couples, children and parents(parents of husband or wife) living together with religion, so the unification of family is strength, and also it is high in the family with high monthly income.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ased on social and demographical - 76 -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group of the subject parents who live in Dong marked high score in the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the parents due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the parents in first marriage family marked higher than that of second marriage family, it is also higher in the family with a spouse, and the family of highly educated group showed high score in the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the parents themselves. In the family with couple, children and parents (parents of husband or wife), the social support marked highest. The religion has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due to monthly family income on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the parents. The parents efficacy based on social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has meaningful difference due to age group and occupations of the subjects. The parents efficacy recognized by the parents themselves was analyzed high in the group of age over 46. The social support due to occupation showed high in the order of professional, public service, office work, self employment, homemaker, sales service, and other general job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occupation are meaningful.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o school which were recognized by the parents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having no relationship with sex, residential district, marriage, spouse, education, family form, religion, number of children, grade of first child, and monthly family income. The result of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showed positive analysis that the parents living in Eup, which is agricultural area, recognized positively on their children's school adustment to school. The group with spouse showed higher score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spouse i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On the contrary the difference of children's school adustment to school based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ex, age group, marriage, education, family form, religion, number of children, grade of first child, occupation, and monthly family income of the subject families had no statistical meanings. 3) The groups of parents recognized high family strengths, high social - 77 - support, and high parents efficacy showed better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n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parents recognized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and parents efficacy. When the parents themselves feel their family is strengths, with high social support which has influence to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also feel high self respect as parents, the fact that these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known to us. 4)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was examined to inspect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parents recognized environments which has influence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All of the family strengths, social support, parents efficacy showed high static relationship. It means,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has better influence as higher the parents recognized family strengths is, as more the social support is, and as higher the parents efficacy is. The examination on comparative influence of all variables about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showed that the family strengths and parents efficacy are most important predict variables, and hav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parents recognized family strengths and parents efficacy were examined as the influence factors which has influence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t showed that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is better as the parents recognize family strengths is higher, and as parents recognize parents efficacy is higher. But related to parents recognized social support, no meaningful influence was appeared, so if the parents who are first social supporter of school aged childre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 which has high adaptability with high social support,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or the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and home, it could be the factor to reduce children's adjustment problem to school. Key Words :

      •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한보현 인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령 후기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높이는 것을 돕는데 목적을 두고 일반학교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이하 교복우 대상학교)를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 소재 일반학교 4곳의 5, 6학년 340명과 인천 소재 교복우 대상학교 3곳의 5, 6학년 346명을 대상으로 학교행복감 척도, 가족건강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또래애착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 프로그램 및 SPSS MACRO를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각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α를 검토하였다. 또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또래애착이 학교행복감을 어느 정도 예언하는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학교와 교복우 대상학교에 따른 가족건강성, 학교행복감, 자아존중감, 또래애착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건강성이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클수록 학교에서 느끼는 행복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이 건강할수록 학교에서 행복감을 더 느낀다는 이러한 결과는 아동이 가족 간에 신뢰감을 느끼고, 가족 간에 유대의식을 느끼며, 가족 안에서 정서적인 편안함을 느낄 때, 또 다른 공간인 학교 생활에서도 행복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가족 건강성의 증진을 위해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가족건강성이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동시에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즉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그 자체로 학교행복감을 높이는데 기여함과 동시에 높은 가족건강성을 가진 아동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이는 학교에서의 행복감이 더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가족건강성이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동시에 또래애착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 모형이 채택되었다. 즉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그 자체로 학교행복감을 높이는데 기여함과 동시에 높은 가족건강성을 가진 아동은 또래관계 기술이 높아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를 갖게 되어 학교에서도 행복감을 더 느끼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와 교복우 대상학교에 따라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학교행복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는 점과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써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아동의 학교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구하는 후속연구를 위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유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2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226명의 설문지를 취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가족건강성,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자기효능감은 자아탄력성과 정적인 관련이 있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보다는 자아탄력성에 대해 더 많은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외부 환경적 요인인 가족의 건강성이 개인내적 신념 체계인 자기효능감을 높여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가정은 건강한 가족생활을 통해 애매하거나 새로운 상황에서도 자녀가 자신의 수행능력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양육해야 할 것이며, 학교나 지역사회에서도 가족의 건강성과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지원해 줄 때, 청소년의 자아탄력성도 한층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가족건강성보다 자아탄력성을 더 잘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비록 역기능적인 가족 구조 안에서 성장한 학생이라 할지라도 학교 현장이나 지역사회로부터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꾸준히 제공 받는다면 높은 자아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에 힘써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