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항기 목포 이주 일본인의 도시 건설과 도시 생활

        토쿠마 하지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43

        1897년 10월 근대 세계사의 다양한 움직임 속에 목포는 개항되었다. 근대라는 새로운 세계 질서 속에 조선과 일본 또한 자신들의 새로운 삶을 모색해야 하였다. 일본정부는 전략적인 요충지로, 조선정부는 관세수입을 기대하여 목포를 개항하였다. 지금까지 개항기 목포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성과들은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한 과정, 즉 일본에 의한 조선 침탈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물론 그러한 시각은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지만, 이러한 지배자와 피지배자라는 구조 때문에 일본인을 침략자로 서술할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개항기 목포를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인의 목포 이민·이주의 과정, 도시건설의 과정, 그들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개항기 목포의 전체상의 한 조각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관공문서, 조선 이민을 소개·장려하는 자료 등에 주목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목포 개항의 배경과 일본인의 목포이민·이주의 양상에 대해 세 부분으로 나눠 설명하였다. 먼저 목포 개항은 청일전쟁 이후 조선을 둘러싼 러시아와 일본의 대립이라는 국제적인 상황 속에서 제기되었다. 또한 그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은 살아남기 위한 수단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주적인 목포 개항을 결의하였다. 다음으로 일본의 국내 상황에서 진행된 조선이민의 배경·동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정부는 특히 농민과 상인의 이민을 장려·지원하였는데, 그 배경에는 메이지정부에 대한 내부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일본정부의 이민 장려 정책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특히 본 논문에서는 남성에 대한 이민 장려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정부의 이민 장려 정책으로 인해 실제로 조선에 이민·이주한 일본인의 경로와 개항기 목포 일본인의 인구추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이민자 중에서는 일본에서 이민한 사람뿐만 아니라 조선의 다른 개항지 또는 제3국에서 이주한 사람도 있었는데, 특히 서일본지역 출신자가 많았다. 또한 개항 이후 목포로 이민·이주한 일본인들의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군산개항과 러일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그 증가폭이 둔화되었다. 3장에서는 목포로 이민·이주한 일본인들이 도시를 건설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개항기’라는 상황에서 목포 일본영사관과 다른 특수한 권익을 가진 일본인 민간단체(이 논문에서는 ‘목포 거주 일본인 단체’라 부름)에 주목하였다. ‘거류민단’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다른 거류지에서도 보이는 이 단체는 목포 개항기에 중요한 역할을 가졌다. 또한 목포의 각국거류지에서 ‘목포 거주 일본인 단체’가 중심이 되어 활동했으므로 일본정부와의 협조·갈등 관계가 보인다. 이와 같은 ‘목포 거주 일본인 단체’와 일본정부, 나아가 이들과 조선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토지구획과 경매, 도로공사, 해벽공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그들이 담당하던 공공시설로 학교와 병원 운영에 주목하였는데, 거기서 펼쳐진 권력관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목포로 이민·이주, 정착했던 일본인의 삶에 대해 서술하였다. 목포에 이민·이주한 일본인은 거주지 확보, 물 부족, 전염병이라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개항초기에 거주지가 없는 상황에서는 많은 일본인이 거류지 바깥에서 조선인의 주거를 임대하여 생활하였다. 또한 간석지가 많은 목포는 매립으로 도시를 건설해 갔는데, 물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생활환경 속에서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였는데, 전염병을 두려워하는 일본인들은 개항 직후 일찍 전염병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만들어 환자들을 격리하였다. 이와 같은 생활조건에서도 일본인들은 자기들의 여가 시간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일본인 중에서도 계급으로 인한 생활의 차이를 엿볼 수가 있었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사람들은 당구장이나 극장 등의 오락을 즐겼지만, 일반대중들은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해 복권과 같은 오락을 즐겼다. 하지만 복권과 같은 사행성 오락은 일본 당국의 단속 대상이 되었다. 또한 일본인과 조선인의 교류도 이루어졌는데, 예컨대 장사를 통한 이해관계 속에서는 민족을 넘은 협조관계도 있었지만, 민족적 갈등도 자주 보였다. 이와 같은 협조·갈등 관계 속에서 일본인들은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갔다. 개항초기 목포를 둘러싼 각각의 이해관계는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하면서, 목포라는 도시공간에서 자신의 삶, 그리고 역사를 만들어 나갔다. 이와 같은 ‘개항기 목포의 역사’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세계가 시작된 근대초기의 역사와 식민지시기 직전의 조선, 나아가 조선에 일본의 지역적 기반이 조성되는 ‘조선과 일본의 역사’를 엿볼 수가 있다. 이러한 근대 초기의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개항기 목포의 역사’가 가진 의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개항기 부산 문화재의 변화 양상

        허태진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usan's reactions to the "modern times" that came after opening a port and the changes to the perceptions of Busan's local people based on the changing patterns of its cultural assets during that period. There are a vast number of cultural assets around Busan, and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eriod and area.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in particular, Busan witnessed the emergence of cultural assets with completely different tendencies from their predecessors.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Joseon faced a new era with a mixture of tradition and modernism. This study restricted this periodic situation to Busan to figure out its meaning. In 1876, Joseon made its first modern treaty,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and opened three ports, and of the three ports, Busan was the first one to ope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a window of modern ideas and civ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Busan's cultural asse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first type included cultural assets in a traditional style. These cultural assets depict the aspects of Busan's local people that made active reactions to the pillage of foreign power in those days. The second type of cultural asset was the fusion of traditional styles and Western techniques. These cultural assets show the ruling class's perspective of modern times and changes of those days. The last type of cultural assets were made by foreign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Busan was an international city and had many foreigners living there. These cultural assets show their aspects as they were. The changing patterns of cultural assets in Busan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indicate that the process of perceiving modern times during the short period of port opening did not happen in stages. The attempts at searching for a new direction of nation and tradition based on modern ideas, however, brought a turning point to the national movement of colonized Joseon. They became the power to lead the worthy uprising of students at modern schools who were the center of the March 1 Movement and the foundation of national firms including Baeksan Firm. 본 논문은 개항기 부산 문화재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개항기 이후 전래된 ‘근대’에 부산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부산 지역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는 어떠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지역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존재하고 있으며, 시대와 지역적으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개항기의 경우 이전과는 전혀 다른 경향을 지닌 문화재들이 등장하고 있다. 개항기 조선은 전통과 근대가 뒤섞여 있는 새로운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상황을 부산지역에 한정하여 그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1876년 조선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인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고 3포를 개항하였는데 부산은 3포 중 가장 먼저 개항하였다. 이로써 부산은 근대사상과 문물의 창구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개항기 부산의 문화재는 특성에 따라 3종류로 나누어진다. 첫째, 전통양식의 문화재이다. 이 문화재들은 외세의 침탈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당시 부산지역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둘째, 전통양식과 서양의 기법이 융합 된 문화재이다. 이 문화재들은 당시 지배층이 근대를 바라본 관점과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셋째, 타국에 의해 제작된 문화재이다. 개항기의 부산은 국제도시로 많은 외국인들이 실제로 생활하였다. 이 문화재들은 그러한 모습들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개항기 부산의 문화재 변화 양상은 짧았던 개항기 속에서 근대를 인식하는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근대적 사상위에서 민족과 전통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던 시도들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운동의 전환점을 가지고 왔다. 3·1운동에 중심이 된 근대학교 학생들의 의거와 백산상회를 비롯한 민족기업 양성을 주도하는 힘이 되었다.

      • 고등학교『한국사』교과서의 개항기 서술 분석 : 세계사와의 연계학습과 관련하여

        이정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724

        역사 교과서는 역사를 배우기 위한 다양한 교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교과서는 역사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는 일은 학습자들에게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바람직한 역사관을 함양시켜 주기 위한 선행과정이므로 의미있는 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2011년부터 학교 현장에서 배우게 될 『한국사』교과서의 특징과 개항기 부분의 서술내용을 세계사와의 연계와 관련하여 분석해 보았다. 개항기는 기존의 중화질서의 국제관계에서 벗어나 서구 열강과 본격적으로 관계를 맺기 시작한 시기이고 서구 열강의 침투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세계 자본주의체제 속에 노력하는 오늘의 현실과 많은 점에서 닮아있다. 그리고 열강의 침투에 개화와 척사의 입장으로 나뉘어져 갈등했던 것은 보수와 진보의 첨예한 대립으로 사회 갈등이 나타나는 현재의 모습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므로 세계사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조선의 개항기에 대한 세계사적 관점에서의 고찰은 필요하다. 먼저『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칙과 세계사 비중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교과서의 최저 필수 요소를 중심으로 내용 요소를 정선함으로써 교과서 저작의 재량권이 강화되어 교과서 마다 집필자의 다양한 해석에 따라 특색 있는 교과서가 만들어 졌다. 또, 세계사 비중의 강화는 지나친 민족사 중심의 한국사 교과서에서 벗어나 세계사의 맥락속에서 한국사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한국사』교과서에서 세계사의 내용이 비중있게 차지하여 대단원마다 한 개의 중단원에 세계사의 내용을 서술하였다. 단원구성 또한 ‘대강화’ 원칙에 의거 집필진의 의도에 따라 대단원 아래 다양하게 단원을 구성하여 교과서마다 차별성을 보였고, 세계사와 한국사를 유기적으로 단원을 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교과서가 첫 중단원에 세계사를 배치하고 다음 단원에서 한국사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단원을 구성하였다. 한 종의 교과서만 같은 중단원에서 세계사와 한국사를 융합하여 서술하고 있다. 세계사와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한국사』교과서의 서술을 분석해 보면 ‘개항과 불평등 조약’ 부분에서는 서구 열강의 침투와 동아시아의 개항과 관련해 동아시아 인접국의 개방 과정을 비교․검토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나 일본의 근대화 서술에서 부국강병과 대외팽창 시도가 조선의 근대화와 함께 서술되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였다. 또한 이 시기와 관련한 학계의 연구가 세계 자본주의 차원 수준에서 고려되고 있다는 점을 비추어 본다면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성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서구 자본주의 차원의 상황도 함께 설명해 주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개항 정책에 대한 서술’과 관련해서는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 등 대체적으로 평이한 서술을 하였지만 온건 개화파와 급진개화파의 대립만을 강조하여 이들의 사상이나 인접국과의 교류 과정을 세계사와 관련지어 서술하지 못했다. ‘갑신정변’에 대한 서술에서도 사건의 배경, 전개, 결과, 영향에만 초점을 맞추어 단편적인 사건 파악으로 이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갑신정변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근대 개혁을 위한 한‧중‧일의 노력을 서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문의 서술 내용을 바탕으로 심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탐구활동과 역사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자료들은 읽는 교과서에서 활동하는 교과서로 발전된 교과서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각 출판사는 본문의 심화학습 목적으로 탐구활동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역사적 탐구력을 향상시키려 하였지만 『한국사』교과서의 탐구활동은 자료의 제시, 질문의 형태 등에서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사료를 중점적으로 탐구활동을 구성하여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시하지 못하였고, 빈칸 채우기 등의 단순사실의 확인은 고차원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을 탐구할 수 없었다. 또한 세계사적 안목에서 봐야 할 사건들을 한국사 측면에서만 다룬 경우는 세계사 흐름 속에 한국사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국사』교과서의 교육 목표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가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세계사 측면에서 한국사를 바라본다는 한국사 교과서의 교육 목표가 실현되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개항기는 제국주의라는 19세기의 상황을 반영하여 한국사를 열강들과의 관계만이 아닌 동남아시아의 상황을 보완하여 조선의 개항기를 객관적 입장에서 평가할 수 있게 총체적인 세계사 흐름에 한국사가 서술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서술되어야 한다.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리로 집필진들의 개성이 강하게 드러날 수 있게 되면서 특정한 연구 성과만을 반영할 수 있는 문제는 더욱 높아졌다. 이를 지양하기 위해 역사적 사건을 서술함에 있어 단순한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세계사의 흐름을 읽을 수 있도록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주장을 통해 서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세계사의 흐름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탐구활동과 학습자료들을 개발해야 한다. 한정된 본문 서술의 양으로 세계사의 내용을 모두 싣는다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세계사의 흐름과 내용을 탐구활동과 학습자료를 이용한다면 보다 풍부하고 거시적인 한국사 교과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이 개선된다면 『한국사』교과서가 한국사 안에서 틀에 박힌 인식이 아닌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거시적이고 총체적인 역사 인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개항기 국지 시장의 발달과 농민 운동의 증가 : 1894년 이전 '민란'을 중심으로

        박광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11

        이 논문은 우리 사회가 "근대"로 전환하는 상징적 시기였던 개항기에 왜 농민 운동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만연하기에 이르렀는지를 질문함으로써, 이론의 면에서는 자본주의의 충격이 전통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역사에서 우리 사회가 개항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기존 연구들이 가지고 있었던 "근대 이행" 이라는 목적론적 전제와 결정론적 시각에 도전하여 개항이 가져다 준 여러 가능성들이 전통 사회의 구조적 조건과 맞물리면서 어떻게 현실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전향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한다. 이는 상업화로 인한 사회 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 사회를 이해하여야 한다는 울프 등의 연구와 농민 반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농민 계급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 전체를 보아야 한다는 무어의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시각에 기반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우선, 개항으로 상업화의 충격이 오기 이전의 전통 사회의 구조를 다룬다. 개항 이전 조선의 향촌 사회는 재지 사족이 정치적으로 몰락하고, 수령의 권력이 상대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수령은 정치적 수탈의 중심에 서게 되는데, 조세 제도 재편의 결과 나타난 도결은 수령의 중심의 결탁 세력에 의한 수탈이 커질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 주고 있었다. 또한, 조선 후기 이후 국가 재분배 기능의 문란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포구와 장시라는 국지 시장을 정립하고 있었다. 국지 시장의 상업은 관리들과 결탁하는 새로운 형태의 특권 상인들을 낳고 있었고, 관리들은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시장에 개입하여 부를 축적하고 있었다. 한편, 조세 제도 재편의 결과로 강화된 공동납 제도는 향촌 사회에서 농민들의 조직 역량을 강화하는 부수 효과를 낳고 있었고, 공동 노동 조직, 계 조직 등 조세 공동체 내부의 강한 연결망은 농민들의 조직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조직 역량을 바탕으로 농민들은 실제로 개항 이전 1862년에 남부 지역에서 농민 운동을 일으키고 있었는데, 국가는 농민 항쟁으로 조성된 국가 역량 강화의 기회를 놓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어닥친 개항은 조선의 경제 규모를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상업의 성격을 변화시키면서 조선의 자급적 경제 구조를 파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제한적 개방으로 인해 국지 시장의 특권적 성격이 유지됨에 따라 상인들과 결탁할 수 있었던 지방 관리들은 상인들과의 결탁 관계와 그들의 정치적 힘을 활용해 조세를 자본으로 상업에 참여하였다. 반면, 농민들은 조세 납부를 위해 국지 시장에 강제로 편입되면서 상업화로 얻을 수 있었던 그들의 잠재적 이윤을 지방 관리와 지주들에게 빼앗기면서, 경제 상태의 악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지방 관리들은 개항 이후 국가의 수탈이 강화된 사정을 활용하여 부패한 관료 조직에서 살아 남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었는데, 농민들로부터 조세 수탈을 강화하고 그렇게 받은 조세를 연체, 횡령하는 방법을 통해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자본을 마련하고 있었다. 관리들은 시장에서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그들의 정치적 힘과 상인들과의 결탁 관계를 활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방 관리들의 시장 개입이 조세를 활용한 것이었던 만큼, 농민들은 지방 관리들에게 더 많이 수탈당하게 되었고, 지방 관리들의 횡령분까지 떠 안게 됨에 따라 농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이는 향촌 사회에서 수령 중심의 수탈 세력과 수탈 당하는 세력 사이의 갈등을 낳고 있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개항 이후 조선의 농민 운동은 증가 추세에 있었는데, 1890년대 이후가 되면 농민 운동이 전국에 만연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이 농민 운동이 증가하였던 데에는 경제적 상태가 악화되는 데도 수탈이 늘어나게 되는 상황에서 농민들이 정치적 수탈의 정당성에 대해 그들 나름의 세계관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문제 제기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농민들의 조직 역량이 확보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개항 이전 국가 역량 강화에 실패한 국가는 농민 운동을 억압할 만한 군사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고, 재지 사족의 몰락으로 농민 운동을 통제할 수 있는 사회적 통제력이 무너지고 있었던 사정 역시 농민 운동이 증가하게 되는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렇듯, 개항으로 인한 상업화의 충격은 조선 사회에 개항 이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던 위기에 조건 지워져 있었으며, 그에 따라 위기를 지속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이론의 면에서 상업화의 충격이 전통 사회 구조의 특성에 조건 지워진다는 울프 등의 이론적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각을 통해 이후 식민지 시기, 해방 공간 등 우리 사회의 전환기의 연속과 단절의 문제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thesis, I ask why the peasant movements exceedingly increased in late Chosun dynasty after the incorporation to the world economy. Through this question I pursue two purposes. One i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to traditional society and the other is the concrete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 of Chosun society by the influence of opening ports by imperialism. Especially I challenge the teleological presumption and the deterministic approach of pre-existing studi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rely on the theory of Eric Wolf and Barrington Moore Jr. about traditional society and peasant rebellion albeit some modifications. At this point of view, first I deal with traditional society before the effects of commercialization was entered into Chosun society. In late Chosun, local landlords(Jaej isaj ok) was being collapsed gradually and then local officials power was relatively enhanced. Accordingly exploitation of peasants was merged to local officials rather than economical ruling class. Moreover, because the commerce in the local markets which was shaped as the complement to state's redistribution activities in this period was largely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merchants and the local officials, local officials could make money through this connection. While as a side-effect of the joint payment system in taxation, peasants' organizational capacity to mobilize resources for peasant movements remarkably increased, the capacity of state was weak as it used to be. On these conditions, Chosun open its door to world economy in 1876 by Japan. the opening of ports made not only the Scale of Chosun economy expend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e change from the complement to state's redistribution activities to sub-market of the world economy. But, because the connection of the merchants and the local officials was sustained, local officials could earn much more money. Meanwhile economical states of peasants whose capability to sale grain was very limited were worse and worse. In addition, exploitations enhanced by local officials wor sened the states of peasants. The reasons why local officials were willing to increase tax were partly the crisis of state's finance and the corruption of bureaucracy system. But the main reason originated in the fact that tax was used as investment capital. Local officials appropriated tax for making capital, peasants faced dual obligations. The relation of the exploiting and the exploited gave rise to complications in the regional community. In this condition, after opening ports the peasant rebellions was on the tendency of increases, and spreaded whole country in the 1890's. This increase was made possible of two reason. One was local officials' exploitation was seemed to unfair at the peasants' view. The other was the organizational capacity made peasant rebellions possible. And because the capacity of state and local landlords didn't ensure state' and social control to the peasants, peasant rebellions could grow. The commercialization effects of opening ports enlarged the crisis of state combined with inherited state condition. In theory, this conclusion show that the commercialization transformed traditional society on the condition of it self. And this point of view was possible examine to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ransition period of Korean society like colonial period and the period after emancipation of 1945.

      •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 분석 및 수업 사례 연구 : 개항기 변혁운동을 중심으로

        이혜진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708

        역사 교육에서 교과서는 학생들이 우리나라 역사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이다. 그러므로 교과서의 서술은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시작이며 바람직한 역사관을 심어주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후 교과서의 개편도 아울러 추진되어 한국사를 국사와 한국 근현대사로 분리하였고, 10학년에 배정된 필수과목인 국사는 국정교과서 체제, 11, 12학년의 심화 선택과목인 한국근현대사는 검정교과서 체제로 편찬되었다. 본고의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 수록된 개항기의 변혁운동을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개항기의 일련의 변혁운동-갑신정변, 갑오개혁, 동학농민운동, 독립협회, 대한제국-에 대한 7차 교육과정 검정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서술을 검토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업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제시하기 위하여 U여자상업고등학교 12학년 1개 학급 34명을 대상으로 발표학습과 제작학습(역사신문 만들기)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과서의 근대사 부분의 서술을 검토해 본 결과, 거의 대부분 내재적 발전론-식민지 수탈론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어 근대 자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1차 검정을 통과한 금성, 대한, 중앙, 두산 4종의 교과서의 서술을 분석해 본 결과, 보수에서 진보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에 따라 학계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통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접근 및 새로운 관점은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을 통해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다양한 교과서의 선택에서부터 방대해진 지식을 학생 수준에 맞게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수업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것까지 모두가 교사의 몫으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현장교사로서 필자는 발표학습과 역사신문 만들기라는 제작학습을 도입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발표학습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길러지며 현실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도 길러진다고 판단되었다. 역사신문 만들기를 통해서는 각각의 사건들을 조사하여 직접 기사, 사설, 만평, 인물 탐구, 광고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각 사건 및 당시 사회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력 및 통찰력이 길러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시대적 흐름을 사건의 인과관계에 따라 유기적으로 파악하는데도 효과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韓國貿易의 生成發展에 關한 硏究 : 開港期를 中心으로

        윤창국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2 국내석사

        RANK : 24769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e, when Korea adopted its open-door policy. In the thirty-year period between Korea's 1876 adoption of the open door policy and her 1910 annexation by Japan, Korean foreign trade was characterized by a great imbalance of imports over exports. The import excess of ¥196,394 in 1887 grew to about ¥20,000,000 in 1907. Needless to say, this trade imbalance did not result from the importation of capital goods, but of consumer goods. Accordingly, I would surmise that a great amount of gold and silver drained out of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thirty years to offset the debt incurred by this excess of imports, Despite the immense outflow of specie, Korea could not completely defray it's foreign debt. In fact, a large portion remained out standing. Korea was forced to pay her debt in kind, expecially through the sale of land and other real estate. Thus, several years before the formal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Japanese-owned land in Korea had increased so rapidly that adefacto annexation already existed. This land transfer not only accelerated the subordination of Korea's economy to Japan's, but also hastened the actual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 found out the fact that at the end of late Chosun Dynasty, which was the most complicated period in Korean history, "the closed door policy" which had retarded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capitalism into the Dynasty had kept the Dynasty from emerging early from the backwardness in the world history. Therefore, I studied here the causality between "the closed door policy" and the backwardness, and the process of the infiltration into the Dynasty of the World Powers which were busy themselves about finding a new market. In addition, considering historically the confusion and the predicament which at that time the court of Chosun Dynasty under "the closed door policy", evading the demand of the international capitalistic World Powers for opening foreign trade with the Dynasty, and being seized with the narrow-minded persecutionmania and the vulnerable ideology of seclusion, had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making the trade agreement with the modern capitalistic states almost involuntarily, by threats and coercion, and in collision, I tried here to analyse the impact of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on the economy of Chosun Dynasty at that time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lack of the knowledge about the outside world and the insufficient comprehension of the true character and economic value of foreign trade had driven the government to evade and delay adopting the open door policy, and that the government, especially being complicated in the Japanese ulterior ambition and the reality of export and import in the developing stage of modern foreign trade after opening the door, had committed, in the contents of the treaty which she had signed, the deplorable mistakes, for example, the exemption of custom duties, etc. To sum up, the contemporary powerholders and the statesmen had not realized that the extreme "closed door policy" itself was inconsistent. As they had no insight into the foreign policies of other countries and the hidden ambition of Japan, and were entirely cut off from the outside world, so their foreign policy had fostered only the insecurity and fear. To make matters worse adopting the open door policy untimely without any appropriate measures and doing nothing, they had introduced foreign enemy only to promote the fall of the Dynasty. In particular, in the study of the developing stage of modern foreign trade at the time of the open door policy. analysing the historical fact that in view of the true picture of trade with Japan the Dynasty was not only to be made the victim of the elaborate economic infiltration plot by the newly rising capitalism of Japan, but also to be encroached on as an economically weak country, I realized the mutual relations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politics and the economy, between the economy and the foreign trade, and between the foreign trade and the national power, etc. In a wor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our modern foreign trade was not conducive to our economic development, but to the political tactics of the agressor under the hidden ambition and invasion plot of Japan. So we need not enlarge further upon the fact we I were forced to accept the form of modern foreign trade in the invaded country which was submissive to the modern foreign trad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economy resulting from the weakening of native economy, and the abnormal development poisoned by the fang of colonial exploitation economic policy and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 開港期.日帝强占期의 釜山 市街地 變遷에 관한 硏究

        김철권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79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후 우리 나라에 있어서 유일한 왜관으로 존속되어 온 부산 초량왜관은 釜山組界條約에 따라 일본전관거류지로 개방되어 부산에서 가장 넓은 거류지를 확보하게 되었고, 그 후 원산·인천 일본 전관거류지의 모델케이스가 되었다. 일본전관거류지는 부산이 도시로서 발전하는 계기가 된 지구로 여기에 기반의 형성은 일본의 손에 의해 이루어졌고, 부산의 중심시가지로서 근대적인 시설이 배치되었고, 그 후 이곳을 중심으로 해면 매축을 시행하여 항만 시설을 행하면서 그 중심시가지를 형성해 갔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고문헌과 고자료, 고사건에 기초를 두고 현장조사, 지명 및 시설물 조사를 통해 근대초기 부산의 시가지 형성과정을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개항이후 부산의 행정구역 및 일본전관거류지의 발전과정을 행정구역의 변천, 인구, 각종시설 및 산업의 분포상태로서 공간구조 및 중심지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Ⅱ장에서는 동래부의 개략적 시가지 형성을 수집한 고지도 및 기존 문헌자료를 토대로 개항 전까지의 동래부의 행정구역, 인구, 산업과 왜관의 형성과 변천을 고찰하였고, Ⅲ장에서는 개항이후 일제강점기 기간 동안의 동래부의 변화 및 일본전관거류지의 설치와 행정구역의 변천, 주요 도시계획사업의 실시에 의한 시설물의 설치에 따른 전관거류지의 발전과정을 규명하고 도면화하여 설명하였고, Ⅳ장에서는 일본전관거류지와 부산부의 공간구성의 변화를 도시공간을 형성하는 주요인자인 인구, 도시계획사업, 산업시설의 분포를 도면에 구성하여 영향을 고찰하였다. 중심지 또는 도시의 발달은 배후 지역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본전관거류지가 배후지와의 상호관련 속에서 중심지로서 자연스럽게 성장하였다기보다는, 항만과 일본이라는 요인, 즉 지리적인 요인과 역사적인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항이후 일본전관거류지가 현재의 부산시 공간구조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라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개항기와 일제강점기의 일본 전관거류지를 중심으로 그 물리적인 요소와 항만건설을 비롯한 도시계획의 발전과정을 통해 중심지로써 성장했음을 고찰 해 보았다. 부산의 성격은 개항기를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그 이전의 왜관 존치 역사와 관계가 깊다. 전관거류지가 경제적 중심으로 작용함에 따라서 개항이후 부산시가지 형성의 발생적인 핵이 되었고, 중심지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동래부를 중심으로 하던 부산의 지역구조는 개항이후 일본전관거류지를 중심으로 중심지가 변하여 형성되었다. 근대 부산의 중심시가지 형성은 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시대에 전관거류지를 중심으로 발전되어져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본문의 분석으로부터 인구이동 및 분포, 공장 및 시장·금융기관의 분포를 비롯한 산업시설의 분포, 도로, 주변의 상점 등 과거의 시가지 구조가 현재에서도 그 연장선상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ryang WaeKwan" continued to be only "WaeKwan" after concluding Kwanghwa-do Treaty had guaranteed the largest Japanese Settlement due to Pusan Settlement Treaty and became the type of Japanese Settlement in Wonsan and Inchon. It had been constructed by Japanese and formed the stepping stone of development of Pusan as a modern city. Accordingly, there had been constructed so many modern facilities and port facilities with it as the center through foreshore reclamation. On the basis of old document records and the scene surveying with investigation of the name of place and diverse facilities,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center of Pusan in the beginning of modern ages was sufficiently examined with the aspects of history. As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apanese Settlement came from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district, population, facilities and distribution of industries have been cleared, the spacial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center and its characteristics was able to be defined clearly. This is the point of this article. For this, In chapter Ⅱ,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district, population and industry of Dongre-Bu before the Opening Port was observed through ancient maps and document records which show the center of Dongre-Bu in Choesun. In chapter Ⅲ, after the Opening Port of Japanese Ruling era, the formation of Japanese Settlement and the change of administration district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apanese Settlement formed by constructing main modern facilities were demonstrated with illuminations which represents the contents related to them. Finally, In chapter Ⅳ, the main factor which had made influences to formation of city including popul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and distribution of industries were observed with depth for understanding the spacial change of Japanese Settlement and Pusan-B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Generally the develope and formation of cities are due to interaction with surroundings. But this case make some differences, because the main influence factors of the formation of the center in Pusan had been under controled historical situations in the yeat of Opening Port and Japanese Ruling at that time. Accordingly, the center of Pusan had been transferred from Dongre-Bu to Japanese Settlement during Japanese Ruling era after the Opening Port, and this regional structure have been continued until now. Consequently, it have been extracted though this study that the structure of the center in Pusan including population drift, distribution of main facilities and markets and office have been on the same to the fact.

      •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개항기 서술 분석 : <한국사> 교과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현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1

        <동아시아사> 과목은 동아시아 국가 간의 갈등과 대립을 지양하고 상호 발전과 평화 공존을 추구한다는 목표를 내세우며 2007년 신설되었다. 여기에는 2000년대 들어 심화되기 시작한 한‧중‧일 3국간의 역사 분쟁과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 방안으로 역사교육의 강화를 요구하는 여론의 고조가 크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그에 앞서 이전부터 자국 중심적인 <한국사>와 유럽 중심적인 <세계사>의 이원 체제로 양분되어 있는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지역사로서 <동아시아사>의 필요성을 제기해 온 학계의 노력이 있었다. 세계 최초로 개설된 <동아시아사> 과목의 탄생은 우리나라 역사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도전임과 동시에 희망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은 동아시아사의 학문적 체계가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고, 이러한 상황에서 개설된 <동아시아사> 과목은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가르쳐지기도 전에 몇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을 거쳐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이미 2011년판과 2014년판 두 종류가 출간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지역사로서 <동아시아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개선해야 할 점을 모색하기 위해 2014년판 <동아시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석 시기는 개항기로 설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 시기가 동아시아 국가들이 서양이라는 새로운 세계와 접하고 전통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로서 동아시아 각국이 서로 밀접하게 맞물려 역사가 전개된 시기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지역사로서 <동아시아사>의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분석 시기를 개항기로 설정하되, 구체적인 분석 주제는 개항, 근대화 운동,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서구 문물의 수용의 5가지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한국사> 교과서에 비해 대체로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을 인식하고 국제 관계를 부각시키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동아시아 지역의 상호 연계성을 드러내지 못하고 각국사를 나열해 놓은 듯한 서술 방식과 <한국사> 교과서와 크게 차별성이 없는 일부 서술은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제언이 반영되어 향후 더욱 다채롭고 풍성해진 <동아시아사> 교과서가 출현하기를 기대한다.

      • 韓末 開港期에 있어서 米豆의 日本流出 硏究

        김기만 淸州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government of Yi Dynasty experienced shifts of political power several times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But it could not establish a revolutionary administrative power, always coming under the sway of the foreign influences. It finally suffered the nation's annexation to Japan. The government was thus completely unprepared to utilize the flow of western capitalism to the very en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s Chosen Dynasty did not understand perfectly Japanese alliance into Korea with militaristic and imperialistic aim, she was forced to export rice and bean as a means of economic penetration. Japan tried to wash her pain in Korean Peninsula, which she suffered from America and some capitalistic countries in Europe, so that she plundered Korea by means of foreign policy and a treaty draft. Mass export of rice from Korea to Japan was a sort of illegal way and became the basis of the national capital for Japanese industrialization which brought the shortage of food in Japan just beginning industrialization in 1890's. But in Korea, rural economy came to stand on the brink of ruin according to the exploitation of farmers of bureaucratic and feudalistic Korean officers and the penetration of Japanese merchants, as the end of Chosen Dynasty prepared a chance of a good eye for the world's capitalistic market. She was arranging for the fall of the Japanese Colony, because of the shortage of knowledge on modernization and had a presentiment of the plan for increasing production of rice and land investigation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She was being interested in modernization in spite of such adversit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rice and bean came to be expoted to Japan. From the beginning, the government had been apprehensive of adverse effects of such export rise of the price of cereal and consequent rise of commodity price. The regulations had been provided in the treaty which allowed the government to prohibit the exports of rice in the year of bad harvest. This provision for the prevention of rice outflow had been and internal legal regulation by which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could prohibit the export of rice from one province to other in case of bad harvest. Soy-bean had been the largest export until 1889, and rice was the largest from 1890 and all these were exported to Japan. In the provinces of Cholla and Kyongsang, the granories of Korea, the local officials attempted to prohibit the purchase of rice by Japanese merchant from time to time. The Japanese minister to Korea dema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move the embargo each time. The embargo of Soy-bean and rice was enforced in Hamgyong Province in 1889 and in Hwanghae Province in 1890. The Japanese protested and claimed the compensation for their loss causing a protracted dispute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government. The export of rice to Japan eventually come to affect the price of rice in Korea itself, and it inevitably caused the rice of prices of not only rice but also other daily necessaries. Between 1890 and 1892, the price of rice in Korea rose three fold. This sharp increase of rice prices made the life of the peasants harder than ever. Although the increase of foreign trade increased customs revenue, it did not benefit the Korean peasants, and the so-called "enlightenment" of Korea gave rise to grievances only. Cholla Province was imported not only for the collection of levied rice but also for the purchase and export of rice by the Japanese mercharts. The Kobu district, the seismic center of the Donghak Rebellion was the most important of all areas of these provinces. This was why Donghak forces denounced the levied-rice forwarders and foreign rice exporters form the very start of the Rebell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