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의 긍정적·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이한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examined self-compassion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adults’ satisfaction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that can help adults with conflicts and dissatisfaction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and self-compassion? 2) Does self-compassion have a moderation effect between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3) Does self-compassion have a moderation effect between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and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analyzed the data with a total of 306 adults (86 males and 220 females) using an online survey, and the instruments included the Rahim O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II, a modified version of Korea Matital Satisfaction Inventory, and the Korean Self-Compassion Scale. Using the SPSS Windows 21.0, this research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of inter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test if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Research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self-compass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 and self-compassion. 2) Self-compassion has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3) self-compassion has a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 between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dults’ satisfaction 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and that improving one’s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ing one’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improving one’s satisfact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ends with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조절변인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이성관계에서 갈등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성인들을 이해하고 이들을 조력하기 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 자기자비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셋째, 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306명(남자 86명, 여자 22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갈등해결전략척도(ROCI-Ⅱ),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orea Mat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를 수정한 이성관계 만족도 검사,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변인 간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은 이성관계 만족도, 자기자비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은 이성관계 만족도, 자기자비와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 초기 이성관계 만족도에 갈등해결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고, 갈등해결전략의 변화 및 높은 이성관계 만족도를 위해 자기자비를 증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이어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정서표현갈등, 갈등해결전략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갈등과 갈등해결전략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9명(남자 160명, 여자 279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갈등척도, 갈등해결전략척도, 대인관계만족도 척도를 도구로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갈등이 높은 집단은 정서표현갈등이 낮은 집단보다 대인관계 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절충 및 협력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적게 사용하는 집단보다 대인관계 만족도가 높았으며 양보전략과 회피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적게 사용하는 집단보다 친구관계만족도가 낮았다. 그러나 지배전략의 수준에 따른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적 대인관계 만족도를 예언하는 변인으로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절충 및 협력전략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친구관계 만족도를 예언하는 변인으로는 자기방어적 양가성, 절충 및 협력전략, 지배전략, 양보전략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구관계 만족도를 예언할 때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절충 및 협력전략,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양보전략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군집분석결과 '관계집단', '회피집단', '협력집단', '자기주장집단', '비노력집단' 등의 5개의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각 군집에 따른 정서표현갈등과 대인관계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 문제중심학습(PBL)에 의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연구

        김은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갈등은 민주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민주 사회에서는 개인의 관점과 의사를 자유롭게 표명하며, 오늘날에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그러한 양상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 민주 사회의 구성원은 갈등을 적극적으로 대면하여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 학생들 또한 현대 민주 사회의 구성원이자 미래 사회의 주체로서 갈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건설적인 발전의 계기로 삼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과거 학교에서는 갈등을 부정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교사 일방의 강의식 수업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로써 갈등해결교육의 한계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갈등해결교육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의 함양과 갈등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태도의 제고 및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갈등과 갈등해결, 갈등해결교육과 문제중심학습(PBL)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갈등은 개인이나 관계에 있어 생각이나 이해관계가 달라 충돌하는 것을 의미한다. 갈등해결은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며 그 방법인 갈등해결전략에는 양보, 회피, 지배, 절충 및 협상전략이 있다. 갈등해결교육은 갈등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고 갈등상황에서 지혜롭고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배워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다.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문제중심학습(PBL)의 절차에 대해서는 국내외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연순(2006)의 절차를 참고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은 갈등해결교육의 효시라 할 수 있는 Johnson & Johnson의 교육 절차를 기본으로 하였다. 차시별 구체적 내용은 국내 실정에 맞도록 국내 연구자들의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총 27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차시의 수업 모형을 문제중심학습(PBL)으로 하여 본 프로그램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였다. 이 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셋째,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정량적 도구와 정성적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 및 갈등해결에 대한 가치·태도 변화, 갈등해결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각 항목 모두 주분석 방법으로 교사일지, 학생 활동지, 면담법 분석과 같은 정성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 구사 능력의 효과의 객관성 입증을 위해 설문지 조사와 같은 정량 분석을 부분석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수업을 적용하여 분석 및 검증한 후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갈등해결전략의 건설적인 사용이 함양하였다.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결과 갈등해결전략 중 가장 중요한 절충 및 협렵전략의 활용이 증가하여 학생들의 건설적인 갈등해결전략의 사용이 증가하였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갈등해결에 대한 가치·태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였다. 정량 분석의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적용 전 무관심하거나 타인 의존적이었던 갈등해결이 프로그램 적용 후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자세로 변화하였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실생활에서 갈등해결에 대한 실천의지가 함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해결교육에 대한 문제중심학습(PBL)의 의의가 도출되었다. 갈등해결교육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함으로써 학생들은 흥미를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갈등해결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학습한 갈등해결전략을 실생활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모습과 실제로 실행한 사례가 있어 갈등해결교육에 있어 문제중심학습(PBL)이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갈등해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아직까지 갈등해결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접목한 사례의 연구는 미비하나, 본 연구에서 구체적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상황에 맞게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갈등해결교육에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교사들이 갈등해결교육에 대한 애정과 중요성을 인지하여 갈등해결교육을 발전시키길 바란다.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및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

        김지혜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및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학교상담전공 김 지 혜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및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갈등해결전략, 친구관계의 질 간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소도시 3개 초등학교 5∼6학년 413명이며,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문용린(1997)이 Mayer와 Salovey의 정서지능 초기모형에 입각하여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이치훈(2012)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갈등해결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Mendelson 등(1995)이 제작한 McGill 친구관계 질문지-갈등해결방식을 이은해 등(2000)이 수정, 보완한 것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절하도록 문항내용을 수정, 보완한 배선영(200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친구관계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의 질 척도(Friendship Quality Scale: FQ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정서지능과 절충 및 협력, 양보, 지배, 회피 등 모든 갈등해결전략은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그 중에서 정서지능과 절충 및 협력의 갈등해결전략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서의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특히 하위 요인인 절충 및 협력형 전략과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났고, 친구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절충 및 협력, 양보 전략은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의 질에서의 친구에 대한 긍정적 감정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의 정서지능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여 변인 및 대상을 확장하여 살펴보고 정서지능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두 변인이 정적 상관이 있으며 절충 및 협력, 양보형 갈등해결전략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친구관계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정서지능 뿐만 아니라 갈등해결전략 향상을 위한 개발도 함께 이뤄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핵심어 : 정서지능, 갈등해결전략, 친구관계의 질

      •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 아동의 자기통제 및 또래갈등지각이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현지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 아동의 자기통제 및 또래갈등지각이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아동의 자기통제와 또래갈등지각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자기통제, 또래갈등지각 및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보고, 둘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자기통제, 또래갈등지각 및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셋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자기통제, 또래갈등지각 및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력과 넷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아동의 자기통제와 또래갈등지각의 매개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 Y초등학교와 D초등학교, P초등학교의 학생 82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 척도, 아동의 자기통제척도, 또래갈등지각척도,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척도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들 중 자료로서 유효한 5학년 347부, 6학년 366부 총 713부만을 가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 아동의 자기통제, 또래갈등지각 및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을 살펴본 결과 남아보다 여아가 자기통제가 높았고,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 역시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표현을 제한하지 않고 온정적인 어머니일수록 아동의 또래 간의 갈등상황에서 갈등을 해결하고자 절충 및 협력을 사용하며, 통제적이고 지배적인 양육태도일수록 아동에게 자신감 없고 수동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여 수동적인 회피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기통제는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자기통제능력이 높을수록 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전략, 회피전략, 양보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넷째, 아동의 또래갈등지각은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아동의 또래갈등지각이 높을수록, 아동은 회피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자기통제는 어머니의 심리통제의 하위변인인 자기표현제한, 비난, 애정철회, 불안정감정기복이 절충 및 협력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 아동의 자기통제 및 또래갈등지각이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혔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그에 따른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부모교육, 아동의 자기통제 및 또래 간 갈등의 긍정적인 해결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Mothers' Psychological, Children's Self-Control and Peer Conflict Percep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Ji, Won Hyun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Child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Mothers' Psychological, Children's Self-Control and Peer Conflict Percep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713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Gyunggi-do.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trol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according to gender. In specific, girls used more than boys. Secon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an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In specific, use agreement and cooperation strategy as is a mother which is kindly without limiting child's expression, the regimental and dominate nursing is no pride to child and uses passive avoidance strategy. Third, children's self-control had an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In specific, the level of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got higher as previewed use agreement and cooperation strategy, avoidance strategy, concession strategy. Fourth, peer conflict perception had an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In specific, the level of peer conflict perception got higher as previewed use avoidance strategy. Fifth, children's self-control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self expression restriction, criticism, the affection of a parent for a child retraction, an unstable emotion and agreement and cooperation strategy. Key word :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hildren's Self-Control, Peer Conflict Percep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s Friendship.

      • 유아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수용도 및 피수용도와의 관계

        현우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examines resolution strategies of children on conflict situations and shows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are the main resolution strategies that children use in conflict situations?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preference?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acceptance? Question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peer preference means the degree of how much a child accepts and favors his or her peers and peer acceptance, the degree of how much a child is accepted or favored by his or her pe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8 children in eight classes of five public kindergartens and four classes of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Daejeon City. The tests performed in this study are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test,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test.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after showing a picture of the hypothetical conflict situations to children with explanation one by one, a tester marked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that children chose from pictures on the test paper. To examine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peer rating scale was used. Peer rating scale evaluates the degree on how much a child like the entire class. A child whom the other child wants to play with is given 3 point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as analyzed by SPSS WIN(11.0). To examine what is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that children us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strategy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main results that this study acquire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sex, age, number of siblings, and order of siblings, in conflict situation,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resolution strategy is self-assertive strategy and the least, arbitration request and hostile strategy. Second, among children's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hostile strategy and receptive strategy have negative relation with the peer preferen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acceptanc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reference and peer accept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 that this study reaches is as follows: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acceptance.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t between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acceptance but there i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peer preference.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peer preference, the higher peer acceptance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갈등상황에 따른 해결전략을 알아보고, 갈등해결전략과 또래수용도 및 피수용도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조사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하며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유아가 갈등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해결전략은 무엇인가? 문제 2. 유아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수용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문제 3. 유아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피수용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문제 4. 유아의 또래수용도와 피수용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로, 또래수용도란 한 유아가 또래유아들을 얼마나 수용하고 받아들이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또래피수용도란 한 유아가 또래유아들로부터 얼마나 선호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5개원 8개 반과 사립유치원 1개원 4개 반의 유아들로 총 27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갈등해결전략검사와 또래수용도 및 피수용도검사이다. 갈등해결전략검사는 개별 면접 상황에서 유아에게 가설적 갈등상황의 그림을 차례대로 1장씩 보여주면서 설명한 후, 유아가 그림을 보고 선택한 갈등해결전략을 검사자가 검사지에 표시하게 되어있다. 또래수용도 및 피수용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또래평정척도가 사용되었다. 또래평정척도는 한 유아가 학급 전체 유아를 좋아하는 정도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으로 함께 놀고 싶은 유아를 3점 척도로 평가 하게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각 유아들이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갈등 해결전략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갈등해결전략과 또래수용도 및 피수용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이 갈등상황에서 성별, 연령, 형제 수, 형제서열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볼 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선택한 전략은 자기 주장적 전략이고, 가장 적게 선택한 갈등해결전략은 중재요청 전략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수용도와의 관계를 보면 적대적 전략과 수동적 전략을 사용했을 때에 또래수용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피수용도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넷째, 또래수용도와 피수용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아들이 갈등상황에서 성별, 연령, 형제 수, 형제서열에 관계없이 전체적인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선택하는 전략은 자기 주장적 전략이고, 가장 적게 선택하는 전략은 중재요청 전략이다. 둘째,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 중 적대적 전략과 수동적 전략은 또래수용도와 부적 관계를 맺고 있다. 셋째, 유아들의 갈등해결전략과 또래피수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다. 넷째, 또래수용도와 피수용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다.

      • 청소년의 학대경험, 갈등해결전략 및 의사소통능력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with abuse experiences, to figure out mediation effects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communicative ability, and to raise the adaptability to them. The examination of this study is processed by a quantitative survey and implemented to teenagers who go to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s a targe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According to their sex there were divides between men and women und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ir grade there were gaps only unde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emotional abuse and attacks. 2) According to their abuse experience there were valid differences amongs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3) Abuse experie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communicative ability of adolescents all unveiled to have valid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4)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eem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s upon impacts which adolescents abuse experience have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5) Communicative ability seem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s upon impacts which adolescents abuse experience have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conclusion above, abuse experience reveals to have an impact directly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r to have influence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communicative ability, which show to have effects on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gain. Therefore, I believe that we offer theological groundwork for the youth having abuse experience who can use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appropriately communicative ability in peer relationships so that we will be able to reduce negative influences occurred by one. 본 연구의 목적은 학대경험을 가진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의 질을 살펴보고, 갈등해결전략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학대경험을 가진 청소년들의 또래관계에서의 적응능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대경험, 갈등해결전략, 의사소통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두 번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에 따라 갈등해결전략, 의사소통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세 번째, 청소년의 학대경험, 갈등해결전략 및 의사소통능력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네 번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다섯 번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는 양적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해서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증, 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서 방임, 회피의 갈등해결전략, 언어적 의사소통능력,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능력 전체, 긍정적 또래관계의 질, 부정적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관계의 질 전체에서 남녀 간의 차이를 보인 반면, 학년에서는 정서적 학대 및 공격형 갈등해결전략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에 따른 갈등해결전략, 의사소통능력 및 또래관계의 질에서는 협력형 갈등해결전략과 갈등해결전략, 부정적 또래관계의 질에서 학대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대경험, 갈등해결전략과 의사소통능력 모두 또래관계의 질과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갈등해결전략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를 받았던 경험이 갈등이 발생했을 때 쓰이는 적절한 전략을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주거나 혹은 학대경험이 또래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이 것이 다시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대경험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의사소통능력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경험이 직접적으로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방임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다시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학대경험을 가진 청소년들에게 또래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갈등해결전략과 적절한 의사소통능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여 학대경험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임수진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분화와 정서지능, 갈등해결전략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규명하고,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배경변인(성별 및 학교 계열)에 따라 자아분화와 정서지능, 갈등해결전략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자아분화 및 정서지능과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 있어 정서지능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충북소재 고등학교 1,2학년 남녀 475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였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과 학교계열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도출한 다음, 성별과 학교계열에 따른 자아분화와 정서지능 및 갈등해결전략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에서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별 따른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에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정서지능은 여학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에서 협력 및 절충전략과는 정적 상관을, 지배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정서지능은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에서 협력 및 절충전략, 양보전략과는 정적상관을 지배전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아분화와 협력 및 절충전략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자아분화와 지배전략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nother concern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have a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adolescent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depending on the gender and school types of adolescents? Second,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fferent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adolescents?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elf - differenti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r adolescent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475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from 2 academic high school and 2 specialized high schools located Chungbuk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 -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 - 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Baron and Kenny(1986)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self - differenti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terms of gender and school types of adolescents. However, female students and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 higher in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 -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 compromise strategy,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 - differentiation and domination strategy.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gration-compromise strategy and obliging strategy,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domination strategy. Finally, the results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have a fully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compromise strategy and a partly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domination strategy.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이은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해결전략이 이들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 간에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마산, 창원, 김해 및 밀양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 3학년 20개 학급 7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이들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정도에 부적인 영향을, 대인관계 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을 통제하고 나서 양보와 회피 갈등해결전략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배 갈등해결전략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를 통제하고 나서 양보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와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 중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직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친구와의 갈등장면에서 협력 및 절충 갈등해결전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관계에서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was made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friends of the teenagers by behavior problems, personal relations with self-differentiation.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20 classes of 5 middle schools in Changwon, Masan, Kimhae and Miryang, Kyungsangnam-do. The research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behavior problems and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Secondly, obliging and avoid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dominat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Thirdly, obliging strategy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 personal relation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Fourthly,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of the teenagers were confirmed by mediation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personal relations. The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directly improv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and indirectly elevat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sum, this study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validity of adolescents influenced to th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urned out mediation effect from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adolescents.

      •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자녀신뢰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박숙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의 자녀신뢰와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녀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아동들이 친구간의 갈등상황에서 갈등해결전략을 선택하는데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3개 초등학교의 5․6학년에 재학 중인 286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부모의 자녀신뢰,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의 자녀신뢰,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먼저 부모 양육태도 하위요인 모두 부모의 자녀신뢰의 하위요인 전체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아동은 부모가 자신을 신뢰한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아동이 부모의 신뢰를 지각하는데 부모의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성취적이며 합리적일수록 아동은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에서 절충 및 협력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회피전략 및 지배전략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모 양육태도 중 성취적인 양육태도는 절충 및 협력전략뿐만 아니라 지배전략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의 자녀신뢰와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절충 및 혐력 전략은 부모의 자녀신뢰의 전체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동이 부모의 신뢰를 지각할수록 절충 및 협력전략으로 갈등을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부모 자녀신뢰의 하위요인인 적극적인 신뢰는 지배전략을 포함한 아동의 갈등해결전략의 전체 하위요인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지배전략은 부모의 자녀신뢰 하위요인 중 자기통제, 책임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녀신뢰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갈등해결전략 하위요인 중 절충 및 협력전략의 관계에서 부모의 자녀신뢰가 완전 매개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절충 및 협력전략에 미치는 설명력보다 부모의 자녀신뢰가 함께 투입되었을 때 절충 및 협력전략에 미치는 설명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충 및 협력전략 외의 다른 전략들은 부모의 자녀신뢰와 상관이 없어 매개효과 역시 없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의 자녀신뢰는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되며 대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이고 부모의 자녀신뢰를 높게 지각할수록 절충 및 협력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원만한 친구관계 유지를 통한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더불어 부모-자녀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