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군에 대한 지역사회의 집단간 갈등인식 구조에 관한 연구 : 진해시 해군 시청 언론사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강경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군항도시인 진해시에서 해군의 효과적인 갈등관리 PR 전략 수립을 위해 해군에 대한 지역 집단의 갈등인식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군과 지역사회 집단들간에 다양한 쟁점이 발생하고 있고 그에 따른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공중들이 군에 대해 가질 수 있는 갈등적 요소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우호적인 지역사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 소도시인 진해시에 있어서 해군에 대한 대표적인 갈등집단으로 지방정부인 시청과 지역 언론사를 선정하여 주된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해군에 대한 해군·공무원·언론인 집단의 갈등인식 유형과 갈등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해군과 공무원·언론인 집단간 갈등인식의 차이에 있어서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갈등해결을 위한 해군·공무원·언론인 집단의 갈등관리 전략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진해시에 위치한 해군부대와 진해 시청, 그리고 지역언론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연구자는 군 조직의 특성에 근거해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통제성, 신뢰성, 사회봉사성, 상호공존성, 유대성, 지역쟁점, 폐쇄성의 7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각 집단의 갈등관리 전략을 케네스(Kenneth)의 모델에 근거해 회피, 수용, 타협, 협동, 경쟁의 5가지로 구분하여 각각의 갈등수준과 태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해군에 대한 해군·공무원·언론인 집단의 갈등인식 유형은 크게 세 가지 요인으로 의미있게 구분되었다. 통제성, 지역쟁점, 폐쇄성과 같이 지역주민들의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면문제 요인'과 유대성, 신뢰성 같이 지역공동체의 일원으로써 의식하는 '공동체 요인', 상호공존, 사회봉사와 같이 사회적인 역할을 요구하는 '사회적 역할 요인'이다. 둘째로, 갈등수준에 있어서 가장 높은 갈등수준을 나타낸 요소는 '직면문제 요인'으로 분류된 통제성, 지역쟁점, 폐쇄성이었으며 집단별로는 시청 공무원이 가장 높은 갈등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언론인, 군인 순이었다. 셋째로, 갈등인식의 차이를 보기 위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 해군과 언론인간에는 유사한 갈등인식 구조를 보인 반면, 해군과 공무원간에는 상호간에 오해와 착각의 정도가 매우 심한 상태로 나타났다. 넷째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태도에 있어서 세 집단은 대체적으로 수용, 타협, 협동전략을 선호하고 있었으나 해군의 경우 언론사에 비해 시청에 대한 회피전략의 사용정도가 높음으로써 해군에 대한 시청의 갈등수준을 높이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결과를 통해 진해시에서 당면한 해군의 PR전략 방향은 첫째, 단순한 부대 이미지 홍보를 벗어나 주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주요 대상으로 접근해야 하며, 둘째, 언론사 위주의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홍보보다는 시청과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해군의 정책과 입장을 이해시키려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s to find out what the difference of conflict cognitive structure of community groups toward Navy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Navy's PR strategies. This study is needed for navy's friendly community relationship because there have been various arguing points between military and local groups since local autonomy were enforc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ailor, public servant, local journalist who were representative groups in Jinhae cit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conflict cognitive factor and degree of conflict cognitive level in sailor·public servant·journalist groups toward the navy? Questio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agreement, congruency, accuracy among navy·public servant·journalist groups? Question 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conflict managing attitudes among navy·public servant·journalist group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in naval headquarters, city hall, local press & broadcasting stations located in Jinhae city. Among the major variables used in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factors of conflict cognition were classified into seven items, based on characteristic of military: control mutuality, trust, communal service, coexistence, communal relationship, communal issue, secrecy. And factors of strategies of conflict management were classified into five items, based on Kenneth's model: avoiding, accommodating, competing, collaborating, compromising. The find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conflict cogni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ignificant factors, each of which were named 'facing problem factor' including control mutuality, communal issue, secrecy items, 'partnership factor' including trust, communal relationship items, 'social role factor' including coexistence, communal service items. Second, the most serious conflict cognition factor were discovered 'facing problem factor' including Control mutuality, communal issue, secrecy. and the most serious group were discovered 'public serv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coorientaion models, there were simililar structures of conflict cognition between navy and journalist. but, there were considerably misunderstanding structures of conflict cognition between navy and public servant. Fourth, In case of conflict managing attitudes, each groups were preference for accommodation, compromising, collaborating strategies. but, particulary, in case of navy's attitudes, Avoiding strategies were more frequently used for public servant than journalist.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navy should makes a strategic PR plan not approaching customary publicity but approaching actual problems connected with citizen life. and before everything, navy should makes an effort to communicate toward public servant. finally, I hope this study helps the better planning of Navy's PR strategies for good community relationship.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인식 및 해결방법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아들은 교육기관에 들어오게 되면서 일상의 대부분을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보내게 되고 이 과정에서 흔히 또래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또래갈등에 대처하는 해결방법이 유아의 또래관계와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갈등상황을 다룬 그림책을 활용하여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에게 또래관계, 상호이해 및 존중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주고 나아가 부모 및 교사에게도 유아의 또래갈등 중재 시 활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에 나타난 또래갈등상황을 토대로 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그림책에 나타난 또래갈등상황을 토대로 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성남시에 소재한 I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갈등인식 및 해결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방법을 진행하였다. 실험처치는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비교집단은 동일한 그림책을 읽어주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이혜정, 김미경(2012)이 개발한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사전, 사후검사 자료는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갈등인식 및 해결방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소유적 갈등인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발달 특성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ung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as they enter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often leads to peer conflicts. Conflict resolution method to the peer conflict can affect the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conflict recognition, resolution method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give young children a chance to think of the meaning of peer relationships,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to each other and moreover, provide parents and teachers with a desirable guidance that can be used in mediating child conflic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eer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ution method? 2.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2 children of 5-years-old in I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conflict recognition, resolution method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given twice a week during 6 weeks, totaling 12 times through the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the same picture books but had not story sharing activities. As a research tool,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ving Test of Young Children’ developed by Haejung Lee and Mikyung Kim(2012) and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PBSYC)’ developed by Young-Ok Kim(2003) were used. All of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conflict recognition and resolution method.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ossession perception, which can be caused by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children's growth. Second, story shar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정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면서 사회신뢰와 정부신뢰가 조절변수로서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갈등은 갈등의 한 요소로 사람과의 마찰과 충돌을 일으키는 역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오히려 국가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순기능을 내포하고 있어 사회갈등을 관리함에 있어 방향성 적립이 필요하다. 때문에 사회신뢰와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서 사회갈등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황에서 신뢰수준을 통해 행복감을 증진시킬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2021년에 행해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013년과 2015년, 2017년, 2020년도에 대해 연도별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도비교에서 독립변수인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은 종속변수인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갈등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식할수록 행복감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신뢰와 정부신뢰가 모두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연도에 따라 두 신뢰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부신뢰의 경우 모든 연도에서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신뢰의 경우 2021년에는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2013년과 2020년에는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신뢰는 사회갈등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반면, 정부신뢰는 부정적인 영향을 오히려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신뢰의 경우 2020년의 경우 사회갈등인식이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어, 사회갈등 인식수준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사회신뢰수준의 증가가 필수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갈등인식이 언제나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으로써 사회갈등 인식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사회신뢰의 경우 시기에 따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신뢰에 대한 정책 시행 시 연도별․시기별로 달리 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신뢰의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부신뢰에 치중된 행정연구에서 사회신뢰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on happines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trust and government trust as control variables. Social conflict is a factor of conflict and has a reverse function that causes friction and conflict with people, but rather contains a net function that allows in-depth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national development, so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irection in managing social conflict. Therefore,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trust and government trust, we would like to find a way to improve happiness through the level of trust in a situation where the level of social conflict is maintained constant. To this end, the information on the Seoul Survey Urban Policy Indicator Survey conducted in 2021 was used to analyze, and additionally, 2013 and 2015, 2017 and 2020 were analyzed by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ll year comparis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a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serious the social conflict is perceived, the more happiness decreas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both social and government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but the effect of the two trust types on happiness wa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year. Specifically, in the case of government trust,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all years. In the case of social trus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2021,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in 2013 and 2020.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that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conflict perception on happiness, while government trust has a moderating effect that rather strengthens the negative effe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ocial trust, in 2020,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an increase in the level of social trust is essential in Korea, where the level of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 is hig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previous studies, the necessity of managing social conflict perception was suggested by confirming that social conflict perception always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in the case of social trust,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 on happiness varies depending on the period, so that it should be different by year and time when implementing the policy on social trust. Third, by confirming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trust, the importance of social trust was suggested in administrative research focused on government trust.

      • 사회갈등의 기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 집회시위 현장의 의무경찰을 중심으로

        이영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Objective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rapid development for last half-century. But this 'compressed' development caused complicated and multi-leve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which obstacles continuous progress to a developed country. So, korean society must focus their efforts on managing the social conflicts. especially, it needs the bond of sympathy that social conflict is not the thing that we should suppress and restrict but the one that has great potential as a keystone which brings social progress in case it is well managed by society. following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find a clue to managing social conflict well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s To achieve this paper's goal, research cases were selected among auxiliary police at the protest scene who were continuously present at the social conflict scene especially units in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500cases) and Sejong government complex security guards(200cases). Among them, 651 question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y using SPSS18 and AMOS18. By analysing preceding research, this paper used 3 independent variables (reliability, ideological tendency and stratum traits) in personal recognition level, three parameters(police legitimacy, protest participant legitimacy, protest legitimacy) in social conflict scene recognition level and one dependent variable(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that consists of three detailed variables(level of contribution at social development, inevitability of social conflict and direction of handling social conflict). this paper also considered the subject's police traits(working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period of service, frequency of mobilization on pretest scene). By using these variables, this paper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through path analysis based on the preced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a clue to solve Korean society's complicated social conflict. Result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conflict scene recognition level variables (police legitimacy, protest legitima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Second, compared to independent variables in personal recognition level, parameters in social conflict scene recognition level have more significant effect on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Third, stratum traits (objective stratum level, subjective stratum level recognition)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Forth, system-institution reliability has negative relation with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Fifth, ideological tendency has great effects on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so that the more progressive ideological tendency the subjects have,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the subjects have. Sixth, subject's police trai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The more job satisfaction they have and the less period of service they had, they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Conclusion Based on 6 results,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in 3ways. First, to the institutionalized social conflict, recognize of the importance of protest scene and changes of police and civil-society are needed. until now, the importance of protest scene as a social conflict scene was neglected. but in this research, social conflict scene recognition level variables (police legitimacy, protest legitimacy)and police trai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So, now it is time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agency and political neutrality of police and make civil-society's changes about some cultures of violence and disrespect to the law at the protest scene. Second, korean society should get out of old-distorted 'ideology' it has. in this paper, 'ideological tendency' was divided by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onsidering(depending on?) korean society's character. it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about the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Considering korean society's serious ideological conflict and some behaviors of political party and journals using ideological conflict, the 'ideology' of korean society is not rooted on the thoughtful thinking nor evidence to the fact but based on the distorted agreement or disagreement to the present regime. so, it is time to establish a new 'ideologial tendency' based on the evidence and fact grounded discuss and consultation. Third, korean society need to activate conflict managing function to institutionalized social conflict. the fact that system-institution reliability has negative relation with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means that korean society's system and institutions have provoked or restricted social conflict and had no matured ability to manage social conflicts and lead it to the progressive way. so, it is time to show a different figu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conflict's function' of its people, korean society should establish the systems and institutions managing social conflict to progress and developed society. 한국사회는 지난 반세기 동안 급격한 발전을 이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압축적 발전의 결과로 한국사회는 다양한 수준의 복잡한 갈등이 매우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을 맞이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사회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때, 사회갈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갈등을 바라보는 인식이 매우 중요한데, 사회갈등은 억압하고 통제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제도적으로 잘 관리할 경우 사회발전을 위한 기능적인 역할이 가능하다는 인식적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회 구성원의 ‘사회갈등의 기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데, 언론에 의한 사회갈등의 왜곡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갈등현장이자 시민적 결사의 표출을 수용하는 공론장 역할을 하는 집회시위현장에 갈등당사자가 아니면서 21개월 동안 계속 존재하는, 지속적인 현장성을 가지고 있는 ‘의무경찰’이라는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갈등의 기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함으로서 갈등의 제도화를 위한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4년 10월, 집회시위현장에 자주 동원되는 서울지방경찰청 기동본부 소속 의무경찰 500명과, 정부세종청사경비대 소속 의무경찰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651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변수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여 신뢰도(체계제도신뢰, 생활세계신뢰), 이념성향, 계층적 특성(객관적 계층, 주관적 계층의식)을 중심으로 경찰근무특성(근무만족도, 생활만족도, 복무기간, 집회시위현장 동원빈도)까지 네 가지의 개별수준적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집회시위현장에서 경찰 정당성, 참가자 정당성, 집회시위 정당성 등의 갈등현장인식 변인들을 매개변수로하여 갈등의 ‘사회발전 기여도’, 사회발전 과정에서 ‘갈등발생 불가피성’, ‘사회갈등 대처방향’ 으로 구성된 ‘사회갈등 기능인식’의 세 가지 세부변인에 대한 영향력의 유무와 상대적 강도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선행된 AMOS18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갈등의 기능인식이라는 종속변인에 대해 갈등현장인식 변인인 경찰 정당성과 집회시위 정당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인인 개별수준적 변인들에 비해 매개변인인 갈등현장인식 변인인 경찰 정당성과 집회시위 정당성의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층관련 변수들인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은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계제도신뢰는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부(-)의 영향을 주어, 체계제도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사회갈등의 기능성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념성향은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이념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긍정적이고, 보수적일수록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찰근무특성은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의무경찰들의 복무기간이 늘어날수록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반면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의 사회적 함의를 제시하면, 첫째, 사회갈등의 제도화를 위한 집회시위현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경찰과 시민사회 모두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 동안 사회갈등연구에 있어서 집회시위현장은 상대적으로 등한시되었지만 집회시위 정당성, 현장의 경찰 정당성, 그리고 집회시위 현장에 동원되는 의무경찰들의 복무기간, 근무만족도가 유의미한 변수로 지목되며 집회시위 현장에 임하는 집단의 인식적인 측면에 대한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나 집회시위 현장에서 경찰 정당성에 대한 인식과 경찰근무특성을 연결시켜 생각해 볼 때에 현장에서 경찰과 집회시위를 주관하는 시위대 모두의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경찰의 경우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더욱 확보하여 집회시위현장에서 갈등의 관리자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며, 시민사회 역시 일부 적대적이고 투쟁적인 시위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사회의 가지고 있는 ‘이념’의 바람직한 세대교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이념성향의 구분을 사용한 ‘진보’와 ‘보수’로 조사한 결과, ‘진보’와 ‘보수’사이의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대한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는데, 이는 명확한 사고와 근거에 뿌리를 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의견의 차이가 아닌, ‘현재’의 체제에 대한 동의의 정도로 이념성향이 왜곡되어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회갈등의 원인으로 이념갈등과 함께 이념을 이용하는 일부 언론과 정치권의 행태와 더하여 볼 때에 한국사회의 ‘이념’에 대한 새로운 방향설정이 필요하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에는 특정 대상이나 집단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지나 반대가 아닌, 토론과 협의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사고에 기반 한 새로운 ‘이념성향’의 정립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가의 사회갈등의 제도화를 위한 갈등관리기능의 실질적인 활성화가 필요하다.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대통령에 대한 신뢰를 합산한 후 평균을 낸 체계제도신뢰가 높을수록 ‘사회갈등 기능인식’에 부정적이라는 사실은 한국사회의 체계와 제도가 그 동안 사회갈등을 유발하거나 통제하는 역할을 주로 해왔고 사회의 각지에서 터져 나오는 갈등을 조율하고 관리하여 발전적으로 이끄는데 미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나 계층관련변수의 영향성의 미비함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회갈등과 관련한 인식에 있어서 과거와 같이 상류층과 하류층(또는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의 갈등구조로는 모두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계층을 떠나 사회갈등의 기능인식에 많은 국민들의 동의하는 만큼, 이러한 인식적인 지지를 기반으로 하여 갈등관리를 위한 국가적 제도와 협의체가 구성되면, 사회갈등의 제도화를 통한 사회발전으로의 연결고리를 더욱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행정직원의 갈등인식과 조직몰입도에 관한 연구

        임형빈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대학조직에서의 행정직원이 인식하고 있는 갈등의 유형, 수준 및 결과를 실증적으로 조사·분석을 통하여 대학조직의 갈등인식에 관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즉, 행정직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갈등의 원인 및 결과에 대한 여러 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향력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행정직원들이 인지하는 갈등의 유형 및 수준이 조직 내에 적응하고 몰입하는 정도 및 이직하고자 하는 의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모형은 대학의 개인적 갈등원인인 커뮤니케이션, 복리후생을 독립변수로 하고 결과변수로서 갈등의 유형 및 갈등의 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였으며, 더 나아가 대학 조직 내에서의 몰입도 및 이직의사를 최종적인 결과변수로 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본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행정직원의 개인적 요인에 따른 갈등유형의 인식 2. 행정직원의 개인적 요인에 따른 갈등수준의 인식 3. 대학의 갈등유형/수준에 대한 요인과 조직몰입의 인식관계 4. 대학의 갈등유형/수준에 대한 요인과 이직의사의 인식관계 5. 대학의 조직몰입에 대한 요인과 이직의사와의 인식관계 위의 내용을 검정하기 위해 경인지역 7개 대학교의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총 177부의 설문을 통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위의 총 5개의 내용 모두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개인적 특성은 갈등유형 및 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갈등유형 및 갈등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에서의 몰입도는 낮아지고 이직의사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대학행정직원이 느끼는 갈등의 해결방안은 부서 간 업무분담의 규정을 분명히 하고 제도화시키는 것이며, 구성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복리후생제도의 활성화를 통하여 갈등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중학교 교사와 학생 간 갈등 인식과 관리전략의 차이

        배정이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 간의 갈등이 상황을 인식하는 차이에서 시작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하였다. 교사가 갈등으로 심각하게 인식하는 상황을 학생은 갈등을 유발하지 않는 즉, 문제될 것 없는 상황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도 상호 인식의 차이가 클수록 교사의 갈등관리가 어렵다는 전제이다. 교사가 학생과의 상황별 갈등 인식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학생의 선호와 상황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관리전략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성장할 수 있다는 상황적합론의 기반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2학년 학급 내에서 담임교사와 학생의 갈등 상황 인식의 차이에서는 같은 상황을 학생보다는 교사가 더 갈등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역별로 학생은 학교생활 관심 및 목적의식 영역에 갈등 인식 수준이 제일 낮았고, 다음으로 학습활동 및 수업태도, 교권 인식, 가치관 및 생활태도 영역 순으로 높아졌다. 교사는 학교생활 관심 및 목적의식 영역, 교권 인식, 학습활동 및 수업태도, 가치관 및 생활태도 순으로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 셋째, 학생이 교사에게 기대하는 갈등 관리 전략으로 통합과 타협이 전체 영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배려나 회피보다 지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생활 관심 및 목적의식과 학습활동 및 수업태도 영역에서는 지배 전략 선호율이 다른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수행하는 갈등관리전략은 지배가 우세하며 영역별로는 교권인식 영역, 학습활동 및 수업태도 영역, 가치관 및 생활태도 영역에서는 지배와 통합을, 학교생활 관심 및 목적의식 영역에서 통합과 타협을 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갈등인식 수준이 학생보다 높은 집단이 학생의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과 교사와 학생의 차이가 없는 집단보다 학생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학생이 기대하는 갈등 관리 전략과 교사가 수행하는 전략의 차이가 학생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 차이와 갈등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행정적 지원과 함께 학생에게는 실천적인 도덕성 교육의 방안을, 교사에게는 학생을 이해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연수를 지원하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start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ituation. The premise was that the situation which the teachers recognized as conflict seriously was recognized without problem, not induce conflict, by the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larger the difference in the mutual recognition was, the more difficult the conflict management by the teachers was. This study was to execute it based on the contingency theory that the teachers and students were able to grow in establishing the mutual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management strategies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onflict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each situation and by considering the students' preference and relevance of situation.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eachers recognized the same situation as conflict more than the students in the perception of conflict situ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Second, the students had the lowest level of conflict recognition in the areas of interest in the school lives and purpose consciousness. It was followed by the areas of learning activities, class attitudes, values, and lifestyles in order. The teachers had higher recognition level of interest in the school lives, area of purpose consciousness,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attitudes, values, and lifestyles in order. Thir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Integrating and Compromising had high level in the whole area as management strategies of conflict that the students expected the teachers. It was followed by Dominating more preferable than Obliging or Avoiding. In particular, the Dominating strategy preference in the areas of interest in the school lives, purpose consciousness,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Fourth,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conflict that the teachers performed were superior in Dominating, and they performed Dominating and Integrating mainly in the areas of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attitudes, and values and lifestyles. Furthermore,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y performed Integrating and Compromising mainly in the areas of interest in the school lives and purpose consciousness. Fifth, there was low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group with the high recognition level of conflict by the teachers compared with those by the students rather than the group with the high recognition level by the students and the group whic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Sixth,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conflict which the students expected and the strategies which the teachers performed had not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above, this researcher can understan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happened within the clas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as foundation to supply the method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and methodological training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 students for the teachers together with the administrative support which can be managed effectively.

      • 유자녀 맞벌이 남녀의 일-가족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박연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유자녀 맞벌이 남녀를 대상으로 일-가족 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관련변인들이 일→가족 갈등인식과 가족→일 갈등인식의 두 영역에 어떤 상대적 영향력을 가지는지, 이러한 영향력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일-가족 전이이론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선행연구와는 달리 관련변인 들 중 객관적 시간변인과 주관적 만족도변인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제3차 전국가족실태조사의 원자료 중 만12세 미만의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기혼 남녀 총 1012명이었다. 일→가족 갈등인식과 가족→일 갈등인식의 두 영역을 종속변수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직업관련 변인, 객관적 시간 변인, 주관적 만족도 변인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갈등인식에는 근무시간과 여가 충분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가족→일 갈등인식에는 평일의 여가시간만이 남녀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일→가족 갈등인식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평일 여가시간과 여가 충분성 변인의 영향력이 동시에 나타났다. 둘째, 일→가족 갈등인식의 성별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은 여가 충분성이, 여성은 근무시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여성은 남성과 달리 부부 대화시간과 고용형태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가족→일 갈등인식의 경우 남성은 주관적 만족도 변인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고, 여성은 영·유아 자녀의 유·무와 돌봄분담 만족도의 영향이 컸고 남성은 연령과 학력의 영향이 커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일 갈등인식은 일→가족 갈등인식과 다르게 남성 집단은 주관적 만족도 변인보다는 객관적 시간 변인을 투입한 모델의 설명력이 높았다. 여성 집단은 두 영역 모두에서 객관적 시간 변인보다는 주관적 만족도 변인을 투입한 경우 모델의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일→가족갈등, 가족→일 갈등은 성별에 따라 그 인식 수준이 차이가 있었고, 양적 요소와 질적 요소에 따라서도 갈등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일-가족 갈등을 보다 심층적으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men with children under 12 years.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relative effect o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between gender and related variables using work-family spillover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lative influence between objective time variabl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unlike previous research. For research, this study used the data of 1012 working men and women from the 3rd Nation survey of Korean Family in 2015. Two domai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ere used dependent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work related variables, objective time variabl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were used independent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Business hours and cognition of enough leisure time had more relativ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an any other variable. On the other hand, leisure time on weekdays had the effect of family→work conflict with women and men. Second, gender difference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as identified. In work→family conflict, men were influenced cognition of enough leisure time, women were influenced couple conversation time and employment status unlike men. In family→work conflict, men were not influenced subjective satisfaction variables. But women were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division of child care. Third, in family→work conflict, the addition of time variables in Model of men resulted in an increased -value, but i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the addition of subjective time variables in Model of women resulted in an increased -value.

      •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 및 갈등해결에 미치는 효과

        이순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국 문 초 록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유아기에 형성된 습관은 평생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성경은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잠 22:6)”고 말하고 있다. 이는, 덕목이 가장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시기는 영아, 유아기부터이다. 한 번 길든 삶의 습관은 잘 고쳐지지 않으므로 영․유아기부터 덕목교육은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인간성 상실, 도덕성 결여, 물질만능주의 가정교육 부재, 정서불안, 가치관 혼란, 출산율 저하, 지나친 경쟁성의 강조 등으로 유아들이 이기적인 태도와 충동성을 유발시키고 자기조절의 문제, 타인 배려의 부족, 협동심의 부족 등의 문제를 뒤따르게 하고 있다(최기영, 신선희, 2003). 즉,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거나 사회적인 활동에서 부적응을 나타내거나 끊임없이 갈등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말미암아 교육과학기술부(2010)에서 유아기는 인성형성의 결정적 시기이며, 유아에게 타인을 배려하고 더불어 존중하며 협력적으로 살아가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유아기 인성교육은 실시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에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갈등인식 및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의 인성교육 및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의 향상에 도움을 제공하고 이후 연극놀이를 활용한 갈등해결 및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1)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의 소유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2)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의 거부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3)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의 감정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해결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해결의 소유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해결의 거부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해결의 감정적의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실험설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광명시에 소재하고 있는 교회부설 A유치원생 만 5세 유아 52명이이며, 그 중 만5세 P반 유아 26명을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같은 원에 재원중인 만5세 C반 유아 26명은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들려준 후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고, 2013년 9월 2일부터 2013년 10월4일 까지 5주간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일주일에 3회기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유아의 갈등인식 및 갈등해결 검사를 측정하기 위해 이혜정, 김미경(2012)이 개발한 유아용 갈등인식 및 해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점수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집단 간 차이는 t 검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신뢰도는 Chronbach's α 를 이용하여 검증하고 이를 위한 자료 분석 프로그램은 SPSS Win 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갈등인식 및 갈등해결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듣고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갈등인식 하위영역 중 소유적의지 인식과 감정적의지 인식영역을 제외한 거부적의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갈등해결부분에서는 하위영역(소유적의지, 거부적의지, 감정적의지)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유아에게 덕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실시하는 것이 유아의 갈등인식 및 갈등해결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희진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6

        이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4~6학년 지적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험통제집단설계를 적용하였다. 10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4주 동안 12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고, 10명의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중재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갈등인식, 갈등해결전략, 자기조절능력의 변화 정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7.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갈등인식과 갈등해결전략 및 자기조절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programs using picture books on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conflict? Second,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how does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pre- and post-experimental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o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ades 4 to 6 attending specia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e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12 interventions for four weeks in a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1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rovide any interventions.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abilit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arbitration. Since th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s conflict percep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flict awareness amo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ffects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nflict resolution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conflict awar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내국인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현실갈등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 : 내국인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현실갈등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

        이경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실태를 고찰하고, 자민족중심주의와 세계화 의식이 외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현실 갈등 유발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월평균 소득, 학력, 취업 여부와 같은 변인들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데이터를 활용했고, 다중회귀분석 및 기초통계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에는 낮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았지만, 취업 여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월평균 가구소득이 세계화에 대한 인식과 자민족중심주의는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조절했지만, 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은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자민족중심주의는 다문화 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세계화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경계해야 할 가치는 자민족중심주의 정체성이며 세계화에 발맞춘 그로 향한 인식은 오히려 더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다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학력별, 소득별, 취업상태 및 직업별 집단에 따라 다양하고 적합한 방식으로 한국 사회 구성에 대한 신념과 인식의 전환 교육 및 법 제도가 함께하는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thnocentrism and globalization consciousnes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due to the increase in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as moderating effect variable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this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data in 2018 was used for the data, and it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sic statistics. In conclusion, the variables of globalization and self-ethnicism had a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variables(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were partially affected multicultural accep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