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교리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 견진성사 교리교육에 대한 연구

        김기수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톨릭교회는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의 과정 중 중요한 시기에 성사를 거행한다. 그중 세례, 견진, 성체성사는 입문성사들이 지닌 단일성 안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신자들은 되도록 ‘유아세례-어린이 첫영성체-청소년 견진’의 순서로 신앙생활을 이어나가려 한다. 특히 견진성사를 통하여 신자들은 성령의 특별한 힘을 받아 그리스도를 더욱 완전히 닮고, 교회와 일치하여 말과 행동으로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책임을 지게 된다. 견진성사의 대상은 청소년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보인다. 그러나 대부분의 견진교리는 어른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청소년은 이와 함께 참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청소년들이 어른들의 수준에 따른 견진교리를 받으며, 견진성사의 의미를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채 견진성사를 받고 있다. 견진교리는 청소년과 어른이 구분되어 이루어져야 효과적이고 유익하다. 한국교회는 각 교구별로 청소년을 위한 견진교리 프로그램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보통 2~3일간의 캠프나 피정기간동안 교육을 한 뒤 견진성사를 주는 단기 프로그램과, 몇 개월 동안 교리교육을 한 후 견진성사가 이루어지는 장기 프로그램으로 나눠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년 견진교리 프로그램들에서는 가정의 역할이 거의 없다. 청소년 교리교육에서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이 지닌 중요한 역할에 비해, 청소년 견진교리에서 가정의 역할이 너무 적다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의 차원을 보완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첫영성체 가정교리를 살펴보았다. 첫영성체 가정교리는, 먼저 부모가 부모교사로부터 교리를 배우고, 부모가 자녀에게 그 교리를 가르친 후, 자녀는 가정에서 배운 교리내용을 어린이 교사와 함께 심화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한국에서는 첫영성체를 받기까지 1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며, 5주에 1번씩 신앙을 쇄신하기 위한 전례 예식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 견진교리가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첫영성체 가정교리 방식을 청소년 견진교리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간은 6개월로 단축하고, 기도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YOUCAT』의 내용을 역순으로 담았으며, 전례 예식들도 ‘성령의 은사에 대한 찬미 예식’, ‘세상을 향한 믿음 예식’ 등과 같이 견진성사가 지닌 의미에 맞게 수정했다. 청소년 견진성사 가정교리를 시행하는 데에 겪게 될 어려움도 있다. 먼저 지구나 교구 단위의 교리교사들을 양성하는 일에 많은 노력과 정성을 쏟아야 한다. 또한 현대 사회 안에서 다양한 가정의 상황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평범한 가정에서도 직장에 다니는 배우자, 특히 아버지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에 난점이 있다. 그리고 편부모 가정의 자녀, 부모가 아닌 보호자와 지내는 자녀 등의 경우도 사목적인 차원에서 고민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들은 교회 공동체의 배려와 관심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부모가 없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대부·대모나 친척, 교리교사, 본당 수녀가 대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본 논문은 청소년 견진교리를 가정교리 방식으로 시행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청소년 견진성사 가정교리는 입문성사들의 단일성을 효과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청소년 가정의 신앙에 유익할 것으로 보인다. The Catholic Church carries out sacraments on the important periods of a man's lifetime. Among them, Baptism, Confirmation, and the Eucharist should be considered within unity of the sacraments of Initiation. Therefore, the devotees try to pursue their religious events in the order of infant Baptism, first Holy Communion, and adolescence Confirmation. Especially, through the Confirmation, the believers take the responsibilities to become more Christlike wit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o be a witness of Christ through their words and actions. Confirmation is for various age groups, from adolescents to adults. However, most of the Catechism classes for Confirmation are only designed for the grown-ups. And the teenagers have no other options but to take classes at the level of the adults, which leads them to be confirmed without understanding the true meaning of the ceremony. The Catechism classes for Confirmation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y are differentiated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Dioceses of Korean Catholic Church are offering short-term and long-term Catechism programs for adolescents. The first option involves educating the students on a camp or a spiritual retreat for two to three days before the ceremony. And the latter requires months of Catechism classes before the Confirmation. However, it seems that the family plays barely any roles in the adolescent Catechism programs, and this can be quite inconvenient considering how important the household is in the education of faith. In order to find countermeasures to the lack of household involvement, family Catechism on the first holy Communion was looked into; the home Catechism proceeds as follows. The parents learn from the catechist, they teach their children what they've learned, and the kids deepen the catechism with their teacher. It usually takes about a year until the first communion in Korea, and the ceremony to reform faith is held once every five weeks. Thus, introducing the method of family Catechism on the holy Communion to the adolescent Confirmation education would be suggest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will also be discussed- shortening the training period to six months, listing the contents of YOUCAT in the reverse order to emphasize the prayer part, and modifying ritual practices such as 'Ceremony of the holy Spirit’s blessing', and 'Ceremony for the faith in the world' to be more suitable for the true meaning of the Confirmation. There are difficulties when it comes to practicing the family Catechism on the sacrament of Confirmation for adolescents. First of all, the Church needs to put a lot more effort in training more catechists to the dioceses and the parish. Also, different family types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s usually quite difficult to get the participation of the father. And children with a single parent, or with foster care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Howev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with the particip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church community. The role of the parents for the kids without their guardians can be taken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such as the godfather, godmother, relatives, catechists, and the nun. Based on the points that have been discussed, this paper would like to suggest implementation of the family Catechism method to the sacrament of Confirmation for adolescents.

      •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가정교리에 관한 연구 : 부모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김병조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이 걸어가는 수많은 길 가운데 “가정이 첫째가는 길이요 가장 중요한 길”이라고 강조한 요한 바오로 2세의 말처럼 가정은 ‘생명’이 세상에 태어나서 만나는 최초의 사회요, 가장 먼저 사람과 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이루는 곳이다. 혈연 가정을 넘어선 신앙 가정으로서 교회는 가정에 미래가 달려있음을 인식하고, 사회의 ‘기초 공동체’요 ‘작은 교회’라고 하며 그 중요성을 언급해 왔다. 하지만 오늘날 급격한 서구주의적 사고의 물결유입과 산업화, 이혼과 낙태, 가정폭력과 혼인제도의 의미 상실 등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로 인해 이렇게 중요한 가정 공동체는 오늘날 그 본모습과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이는 세상 속에서 가족 간의 끊임없는 사랑과 신뢰의 인간관계를 통해 하느님과의 근본적인 관계를 드러내며 신앙을 전달하고 키워나가야 하는 복음화의 기초라 할 수 있는 가톨릭 가정 공동체도 예외일 수 없다. 이에 본 글은 이러한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와 원인들에 주목하여 가정 안에서 신앙교육의 부재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인간사회와 교회의 기본세포, 사랑의 전달자이자 생명에 봉사, 인간성 교육의 원천, 하느님과 대화하는 복음화 공동체, 세상 속에서 권리를 지닌 주체’로서의 가정은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느린 대처능력으로 인해 사회적 측면으로 핵가족화, 부모부재, 가족이기주의, 대중매체 침투로 인한 대화 단절 및 정신과 가치관의 혼란, 잘못된 가정교육관 형성, 신앙적 측면으로 교회의 역할 부재, 신앙교육에 대한 부모의 무관심, 구체적 교육 방법과 제도적 지원의 미흡,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없는 등 여러 원인들이 작용하여 위기에 처해 있다. 오늘날 가톨릭 가정 공동체가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회는 가정의 재인식과 가정교리교육의 중요성, 더불어 하느님을 중심으로 함께 기도하고 대화하는 가정을 만들어나가야 함을 강조하면서 치유와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들(선택, M.E., 혼인강좌, 행복한 가정운동, P.E.T.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와 인식의 부족, 교회와 성직자, 수도자, 전문가 중심, 사목자에 의한 일시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을 지니기도 해 지속적인 도움을 주는데는 한계를 보일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가정에서 자녀들의 신앙을 교육시켜야할 부모들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구체적인 교육방법과 제도적 지원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실 교회의 교리교육에서 성인교육, 어린이 교육을 실시해 왔지만, 성인교육에서는 자녀들과 교류하는 점을, 어린이 교육에서는 부모들과 함께하는 방안을 간과한 채 서로 분리되어 흘러왔다. 곧, 성인과 어린이가 각각 신앙의 지식은 성장했다 하더라도, 정작 일상의 삶에서 부모와 자녀가 자연스럽게 신앙에 대한 대화나 체험을 나누는 것은 중요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로 인해 신앙교육이 가장 잘 이뤄질 수 있는 가정교회인 가정이 소홀히 다뤄져왔고, 교회와 가정, 학교 등 전반적인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교육적 상호작용이 이뤄질 수가 없었다. 어쩌면 이것이 오늘날 가정의 위기와 교회의 위기를 가져온 원인일 것입니다. 분명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과 복음화를 위해서는 먼저 가정 안에서의 교리교육과 신앙의 첫 교육자인 부모가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끌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기존 가정사목프로그램이 가진 문제점을 보완하고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가정복음화에 헌신하려는 시도인 가정교리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칠레 산티아고 교구에서 성공을 거둔 혁신적 방법으로, 초기교회 가정의 교육적 형태를 모델로 삼은 가정교리는 부모를 교회의 협력자로 보아 부모가 자녀에게 신앙교육을 하도록 하고, 가족 구성원 모두로 하여금 교리교육 활동에 폭넓게 참여하도록 고무한다. 곧, 일상의 삶 안에서 부모로 하여금 자녀들에게 신앙을 가르치게 하여, 신앙의 첫 교육자이자 평생 교육자가 되도록 하며, 서로의 신앙을 삶의 여정 안에서 키워나가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교회의 협력을 기본으로 하지만, 사제나 수도자, 교리교사 중심이 아닌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중심의 종교교육이라는 것이다. 가정교리는 가정의 복음화, 성인들의 복음화, 자녀에 대한 부모의 임무 인식 및 실천, 안정된 공동체 생활에 참여, 정의로운 사회건설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모를 교리교육시킴으로써 하느님을 이해하고, 부모와 자녀간의 참다운 관계 맺음을 통해 자녀를 하느님께 인도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가족의 삶을 향상시키고, 교회 기초 공동체 건설을 도와준다. 가정이 교회를 구성하는 건강한 단위가 되는 힘을 스스로 찾도록 돕는 가정교리가 더욱 발전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가정교리를 진행 중이거나 수료한 부모들의 상황과 요구를 면밀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설문을 통해 가정교리의 현황과 효과, 한계 및 과제를

      •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의 통합을 위한 '가정교리' 연구

        장영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능동적 신앙을 견고하게 할 '가정교리(Catequesis Familiare)'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가정교리'를 오늘날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 특히 청소년들의 감소현상, 쉬는 신자들의 증가, 이혼급증, 가정파탄 등의 현실적 도전들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정교리'는 칠레 산티아고 교구에서 성공을 거둔 혁신적 방법으로 교회의 협력을 기본으로 하나, 사제·수도자·교리교사 중심이 아니라, 부모와 자녀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중심의 종교교육을 의미한다. 하지만 가정교리는 정교한 이론을 기반으로한 체계적 틀이라기보다 실천의 장에서 출발한 방법적 모색이었다. 본 논문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의, 특정 문화에서 시작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이론화 작업의 시도이다. 먼저 '가정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Gabriel Moran과 Thomas H. Groome의 종교교육이론을 제시한다. 모런의 이론은 종교교육이 인간의 일상 안에서 종교적이며 교육적 형태들이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그룸의 이론은 종교교육이 과거로부터 전승된 지식과 앎을 현재적 경험에 의해서 미래를 새롭게 건설해 나가도록 의식을 일깨우는 것을 실천적 토대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이론은 P. Carlos Decker. G의 가정교리이론의 설명틀 안에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모런의 이론에서 주요한 요소인 종교 교육적 형태와 부모자녀간 상호작용, 그리고 그룸의 핵심적 개념인 실천적 나눔과 가정교리를 상보적(相補的) 실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모런의 교육적 형태들인 가정, 학교, 직업, 여가 등을 통하여 종교적 형태들인 공동체, 지식, 일, 지혜 등의 가치들을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룸의 시간적 개념이 가정 종교교육에 있어 과거로부터 오는 성찰적 인식, 현재적 과정의 의미, 미래로의 충만한 가능성을 이끌어내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실천적 함의는 교회의 위기라는 시대적 도전에 가정을 해결의 일주체로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때 가정교리는 단순히 효과적인 교리교육이라는 방법상의 효과성을 넘어서 가정이 교회 안에서 자신의 힘을 깨달아나가는 참된 인식과 성화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Family Catechism' which is aimed at intensifying active Christian faith. The author presents her study as a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s of today's Church which include de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increasing number of indifferents, divorced couples and broken families. The Family Catechism is based on the method successfully used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hurches of the San Diego Diocese in Chile. However, it is not centered on the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y priests, religious or catechists. But religious education started through interplay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so it is centered on the family. The Family Catechism is a practical method of research rather than a systematic study of relevant theories. This study tries to apply the method which started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author presents the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by Gabriel Moran and Thomas H. Groome as a system of understanding the Family Catechism. The theory of Moran is a mutual interaction of symbols which occurs between religion and education of daily life. Groome's theory means that religious education makes people awake to build a new future from past knowledge and present experience. These two theories can be understood better through the theory of Family Catechism by P. Carlos Decker G. Because it shows the religious educational system which is the primary element of Moran's theory, whereas practical sharing and mutual action are the main points by Groom.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finds a possibility of exploring from the educational system such as family, school, career, leisure and the religious system such as community, knowledge, work and wisdom. Moreove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harmonize rational concepts with present experience in order to find a possible solution for the future according to Groom's idea of time. In conclusion, the study implies that the main point of church's crisis is to confront the challenge of the modern family. For this reason, the Family Catechism can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actical too for education but can also families to realizes their own strength within the church as true knowledge and spiritual growth.

      • 혼인 교리교육의 신학적 고찰과 방향 모색

        서성만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8

        현대 사회에서 혼인과 가정이 지니는 중요성에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인류의 구원과 미래가 달려 있다. 이러한 가정은 오늘날 자신의 고유한 본성을 잃어가고 있다. 이는 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든 시점에서 발생한 급속한 사회 변화와 가치관의 혼란으로 인해 가정이 본연의 자리를 지키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인간성의 교육장인 가정이 자신의 본성을 잃어가면서 현대 사회에도 여러 가지 문제를 낳았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한 한국교회는 가정의 성화와 생명 수호라는 목적으로 사목적 대응을 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한국 교회의 가정 사목은‘가정성화’라는 총체적인 방향보다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단편적으로 움직여온 경향을 보인다. 즉 한국교회는 전체적 맥락의 가정 사목보다는 생명 수호운동 차원만의 편중된 가정 사목을 전개하여 온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혼인과 가정문제에 있어서 생명 수호운동 차원의 단편적 사목이 현대 가정문제의 모든 것에 답을 줄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가정 사목에 대한 문제는 총체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혼인과 가정문제의 사목적 대응에는 문제의 진단과 더불어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사목적 대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사실, 오늘날 대두되는 생명문제의 저변에는 생명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과 혼인과 가정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깔려있다. 따라서 혼인과 가정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혼인당사자들에게‘혼인의 의미와 목적을 올바르게 인식시키는 것’과 이들의‘가정에 관한 가치관 정립’이 필요한 것이다. 결국 혼인과 가정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교회에서 혼인 전 교육을 통하여 혼인 당사자들에게 올바른 혼인관을 심어주고, 가정교회를 이룰 성가정에 관한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인도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혼인관을 심어주고 타당한 혼인성사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혼인 교리교육에 있어 기초적이고 신학적인 배경을 고찰하고 가정사목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대사회에서 가정 의 복음화를 강조하는 신학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혼인 교리교육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을 위하여 우선 제1장에서 오늘날 위기를 맞고 있는 혼인과 가정의 현실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가정의 붕괴와 그 해체 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혼인과 가정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보고 신학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성서적 배경과 교부들과 교황들의 가르침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나타난 혼인과 가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그리스도인 가정을 이루어 나가기 위한 혼인의 준비에 대하여 논하고 각 준비 단계와 교리교육의 연계성에 대하여 신학적인 검토와 그 기초에 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혼인 전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가나강좌의 신학적 기초와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혼인 교리교육의 신학적 전망을 제시하고 가정 사목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대 사회에서 가정의 복음화에 관한 신학적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망을 통하여 혼인 교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혼인 교리교육의 시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혼인 교리교육은 단기 집중적 교육으로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혼인의 준비로서 먼 준비, 중간 준비, 가까운 준비의 세 단계로 점진적이고 계속적 과정으로 실천되어야 하는 것임을 살펴보았다. 가정은 사회의 가장 기초적 단위이자 교회 공동체의 세포적 구성요소이며 건전한 사회와 건전한 교회를 이루는 바탕이다. 오늘날 가정 사목이 중요한 위치로 부상하고 있는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으며 교회는 인류의 미래와 복음화가 가정에 달려 있음을 확신한다. 따라서 가정 사목이 장래의 핵심 사목이자 개별적 프로그램들의 통합적 사목으로서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기에 혼인 교리교육 또한 가정사목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가정은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서 신앙과 삶의 통합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장소이며 인간성의 성숙과 신앙 발달의 원초적 체험을 제공한다. 이는 세상의 복음화를 위하여 가정의 복음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혼인 교리교육은 예비 부부들이 혼인성사를 올바로 받을 수 있도록 준비시키고 생명과 가정의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통하여 현대사회에서 모든 가정이 가정 성화와 복음화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In modern society, marriage and the family is not primarily about the pursuit of personal happiness so much as it is God's plan for one's sanctification and salvation. Family life today is losing its unique role. This is because family life and family values are being threatened and corrupted by the negative forces of rapid social change in a highly developed computerized, technical and scientific age. When family life loses its role as a place of education and human and spiritual formation many problems arise.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recognizes this dilemma and tries to address the problem through various apostolic initiatives. However, these apostolic works appear to lack a harmony, a focus and a unity of purpose. For example, there tends to be a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certain works of pro-life ministry and too little attention given to the promotion, care and development of marriage and family apostolates. In today's secular climate, the Christian values of life and marriage are often lost or buried beneath the complexity of so many social and ethical problems. What is required, therefore, is a program of catechesis to help couples, spouses and others properly understand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in the light of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sanctity of marriage and family life. This thesis then, deals fundamentally and theologically with the praxis of marriage catechesis as a tool of preparation for the sacrament of marriage and as a tool of evangelization for family life. In chapter one, I address the dangers already at work today corrupting and breaking up marriages, and weakening the whole fabric of family life. In chapter two, I reflect on marriage and famil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the Church Fathers, Vatican Council II and, most importantl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Holy Scripture. In chapter three, I consider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marriage preparation and the spiritual formation of a Catholic home. In chapter four, I propose a theological vision, supported by the draught of a plan, for a renewed catechesis of marriage and evangelization of family life. The aim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argue the urgent need for intens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that demand a serious commitment from the couples involved in their pursuit of a happy and holy life together. In addition, the family is the basic unit of society and lies at the heart of community/parish life. The family unit is a crucial element in the formation of a healthy society and a healthy Church. For this reason, the Church has a vital responsibilty to develop catechetical programs that not only enrich and strengthen marriage and but also strengthen and nurture family life. In Korea, the home is regarded as a an important place of unity and faith. It is, after all, where a life begins and where a child's humanity and faith is developed. For this reason, I would submit that proper catechesis for the sacrament of marriage, and a renewed evangelization for the sanctity of family life are two apostolates that should merit priority of importance over many other apostolates in the Church's life.

      • 개혁교회의 교육이 한국장로교회 교육에 주는 함의

        제락영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99

        한국장로교회는 짧은 기독교 역사에서 수적으로 놀랍게 성장했다. 그러나 현재는 교회교육에 있어서 교회 내 젊은이들에게 신앙의 전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교회를 점차 떠나고 있다. 본 연구는 개혁교회의 교육 전반을 탐구함으로써 현재 한국장로교회가 경험하는 수적 감소와 신앙전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로 개혁교회의 신학과 특성에 관련된 문헌을 통해 개혁교회의 범주와 신학적 정체성을 정리하였다. 다음 단계로 특정한 신학적 정체성을 가진 개혁교회와 그 성도들에게 어떤 교육의 형태가 존재하는지, 그 특성들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예배, 교리문답서 교육, 가정 신앙교육, 기독교학교까지 4개의 항목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으로는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예배에 참석하는 것, 교리문답 설교가 주일마다 시행되고 청소년 교리교육반이 주중에 시행된다는 것, 자녀의 신앙교육을 부모가 책임과 사명을 가지고 감당한다는 것, 세상과 구별된 그리스도인을 양육하기 위해 주간 기독교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의 형태와 특성을 통해 한국장로교회의 교육에 주는 다음의 4개의 함의를 도출했다. 첫째는 세대통합 예배를 도입함으로써 언약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어린이를 예배자로 인식하고 교육할 수 있다. 둘째는 주일오후예배에 교리설교를 시행함으로 모든 신자에게 바른 신앙을 체계적으로 확립할 수 있으며, 특히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교리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목사의 사명이다. 셋째는 부모가 자녀를 언약의 자녀로 인식함으로써 부모가 그 책임을 다해야 하는 것과 가정에서 대화와 가정예배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가정신앙교육을 할 수 있다. 넷째로 언약의 자녀를 신앙으로 양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독교학교의 설립과 운영이 필요하며, 이로써 주중에 기독교문화를 경험하며 기독교 세계관을 형성할 수 있다. 주제어: 개혁교회, 한국장로교회, 교회교육, 세대통합 예배, 교리교육, 기독교가정 교육, 기독교학교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increased in amazing numbers in its short Christian history. However, currently in the church education, the young people are leaving the church as the transmission of faith to young people in the church is not being done well. This study seek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overcome the crisis of the current Korean Presbyterian Church's decline in numbers and the issue of the transmission of faith by studying the overall education of the Reformed Church.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first step to survey the categories of the Reformed church and theological identity by studying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theology of the Reformed church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econd step was to analyze the Reformed church that has uniqu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what type of education is available to their members,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author found that there are 4 categories of public worship services, catechism education, faith education in their homes, and Christian schools. As their characteristics, the parents attend worship services with their children; they offer catechism class every Sunday; youth catechism class is offered during the week; parents take primary responsibilities and calling to education their children in their faith, they establish and run Day Christian schools in order to nurture Christians apart from the world. Through thes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his author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four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education. First, by introducing intergenerational worship, we can strengthen the sense of covenant community, and recognize and educate children as worshipers. Secondly, by implementing catechism sermons in the Sunday afternoon services, all the believers can systematically establish with the right faith. It is especially true that it is a duty for pastors to offer catechism education for the growing young people. Thirdly, by recognizing their children are the children of the covenant, the parents can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they can naturally offer faith education in their homes through conversations and home worship. Fourth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un Christian schools for the purpose of nurturing children with faith, and thereby they can experience Christian culture and form Christian worldviews. Key Words: The Reformed Church,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hurch Education, Intergenerational Worship, Catechism Education, Christian Home Education, Christian School

      •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어려움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과 사목적 제언

        정희채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9518

        본 논문은 다문화 사회에 돌입한 우리나라의 현실 속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회가 그들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 부모의 국가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통계자료를 활용해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경제적인 어려움, 언어문제, 다문화 가정 자녀라는 이유로 받는 차별 및 소외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러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봤다. 먼저, ‘가정과 자녀’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봤다. 자녀가 축복받아야 할 대상이며, 하느님의 선물이고 가정의 주요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교리에서는 교회의 세포로서 가정은 생명의 지성소이고, 자녀출산은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동참하는 것이라 가르쳤다. 두 번째로, ‘이주민’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성경에서는 이주의 연속적인 역사를 갖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과 이주민처럼 사셨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은 이주민들이 환대의 대상이며 존중해야할 대상으로 인식된다. 마지막으로, 이 두 가지 신학적 개념을 종합하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신학적 의미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선교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사회교리의 원리들이 그들에게 어ᄄᅠᇂ게 적용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제3장은 전체 문맥상 사목적 제언에 다가가기 위한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즉 교회의 사목적 대안에 앞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방법들을 서술한 것이다. 이는 크게 세 가지 접근 방법을 서술하였는데 먼저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셋째,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러한 논거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사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편교회와 지역교회, 본당 공동체의 세 가지 범주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서술 하였다. 먼저 보편교회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사목의 큰 틀로서 대화, 친교, 일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지역교회의 범주에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사목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사목 프로그램에 있어서 신앙교육이 포함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당은 다문화 가정 자녀와 첫 만남과 대화가 이루어지는 장소이기 때문에, 사제와 수도자, 평신도 모두 그들을 환대하고 그들이 신앙을 갖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똑같이 사랑받아야 할 우리들의 자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단지 피부색, 언어, 문화의 차이로 인해 차별 및 소외, 편견으로 상처 받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대한 교회의 목소리는 분명하고 교회는 이들에 대한 특별한 사목적 배려가 필요하다. 즉 그들에게 대화로 다가가고 친교로 가까워지며 선교로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attempt to look into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under the reality in our country that has rush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a way how the churches have to make efforts for them. The first chapter has a thing abou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country. Now the number of them has been increased continually and the countries of their foreign parents are diversifying more and more. And also, I found that they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economic difficulties, language problems, racial discriminatio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so on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The second chapter ha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there i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Family and the Child' in it. I could know that a child should be blessed and he is a present of God and the main purpose of the family. With this in mind it was taught that the family as a cell of the church is a sanctuary of life and the procreation of a child is a part of the creative business of God by the social doctrine. Second, there is a teaching of the church for 'emigrants'. The Bible shows that the emigrants are cognized as objects of the hospitality and the respect through the figures of Israelis with a history of the successive emigration and Jesus Christ that lived like other emigrants. Lastly, two theological concepts that mentioned before are synthesized and then it is described ab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the objects of missionary works and I searched how they should be applied by the principles of the social doctrine. The third chapter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bridge to approach a pastoral suggestion in the whole context. In other words, it is described for the general approach method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prior to the pastoral alternative. And, I approached it with three methods, that is, legal & institutional aspects, a social aspect and an educational aspect. On the basis of these arguments, I tried to suggest the role of a church and the pastoral alternative for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ourth chapter. First of all, I classified with three categories, the universal church, the local church and the main building community and I described how they can help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as a big stage of the pastoral for them, I searched about conversation, friendship and unity in the universal church. Second, the pastoral must be performed essentially for them in the local church and on these pastoral programs, the religious educations must be included in it. Lastly, all of the priests, monks and laymen have to receive them with open arms and have to lead them to have religious beliefs because the first meeting conversation is accomplished with them in the main building. The children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our children to be loved without distinction. Nevertheless, they are injured with discrimination,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prejudice due to the skin colors, languages and cultures, etc. The exclamation of a church must be obvious for them and the church must have a special pastoral care for them. In conclusion, we must not only have a conversation but also form a true friendship with them and it should be in accord with them through the missionary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