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체험 기반 동화읽기가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손미경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동화의 배경이 되는 덴마크의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보는 활동, 즉 문화체험 활동을 하면서 동화읽기를 하는 것이 창의성과 자아개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따라서 문화체험을 기반으로 한 동화읽기가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인지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여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4세 유아 두 학급의 유아 39명으로, 한 학급은 실험집단, 다른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동화책 5권을 선정한 후, 1차시 활동으로 동화 속 이야기에 있는 문화를 체험한 후, 후속활동인 2차시 활동으로 동화읽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통제집단은 동일한 동화책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하였다. 실험은 2018년 10월01일 부터 10월30일까지 5주에 걸쳐 총 10회기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실시된 사후검사 점수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는 ‘K-ICT 유아 통합창의성검사’(이경화, 2014)와 ‘SCI-II 유아 자아개념 검사’(이경화, 고진영 2017)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체험 기반 동화읽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유아들이 동화를 읽기 전에 주제와 관련된 문화에 대해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활동은 유아들의 내적 동기와 흥미 및 호기심, 과제집착력 등을 증진시키고, 동화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겪는 이야기를 통해 유아들은 등장인물들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게 된 것이 유아들로 하여금 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의 향상과 자아개념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준 것이라 추론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문화체험 기반 동화읽기 활용을 적용한다면 효과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story book read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while having a cultural experience (i.e. hav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the culture in Denmark where provides a background of story books). Therefor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in order to find whether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is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and verified through tests. 4-year old children of two classes from daycare centers in S-si,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tests as study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5 story books were first selected and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experience the culture in the stories as the preliminary activity and then to read story books as the secondary activity.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storytelling activity using the same story books. A total of 10 tests were performed for 5 weeks, Oct. 1, 2018 to Oct. 30, 2018. After completion of tests, t-test sco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K-ICT(Korean-Integrat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Lee Kyung-hwa, 2014) and SCI-II(Self-Concept Inventory-II) for young children(Lee Kyung-hwa, Go Jin-young, 2017).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was effective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It is inferred that an indirect experience on the culture relating to the subject before young children read a story book helped young children enhance their internal motive, interest, curiosity, obsession with tasks and more, and that they had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 characters through situations they go through in the stories, thereby leading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creativity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and bring positive changes to their self-concept. Likewise, if applying story book reading based on the cultural experience, it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 창의적 문제해결과정(CPS)에 기반한 단편 애니메이션 활용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배수민 동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단편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단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첫째, 창의성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본 프로그램에서의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CPS)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총 6인의 전문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따라서 통합적 관점 속에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증진 시킬 수 있는 창의성의 하위요인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단계를 설정하며 프로그램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을 표출 할 수 있는 활동으로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과 미술활동으로 조직하였고, 이는 평면 활동과 입체 활동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활용 될 단편 애니메이션 10편이 음악성과 영상성을 기준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넷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CPS)에 준하여 본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다. 다섯째, 선정된 단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총 10차시의 활동으로 교사지침서가 작성되었다. 여섯째, 이러한 절차를 거쳐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CPS)에 기반한 단편 애니메이션 활용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학과 교수 3인과 유아교육박사 2인, 어린이집 원장1인 총 6인의 프로그램 타당화 검증을 받고,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본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만 5세 유아를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웠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에서의 실외활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집단을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었으며, 사용된 척도는 TTCT 창의성 검사 도형 검사였다.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10주간 주 1회로 총 10회 실시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해 냈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실험집단은 창의성 검사에서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geared toward boosting the creativity of preschoolers and to examine its effects, as short animations are of educational value. Several efforts were made before the program was developed. First, earlier studies of creativity were analyzed to define the concepts of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CP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six experts to find out their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subfactors of creativity could be improved by this program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was investigated, and the stag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were set up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program. Second, the activities that could help young children to exert their creativity were devised based on the artistic experience area and art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and th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two-dimensional activities and three-dimensional activities. Third, 10 short animations were selected by the standards of musicality and image. Fourth, the teacher's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n a draft program was drawn up based on the stag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Fifth, a teacher's manual for 10 sessions of activities were prepared by utilizing the selected short animations. Sixth, the validity of the CPS-based early childhood creativity program that used the short animations was tested by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two experts with a doctoral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 childcare center director, and then the program was finalized with some modifications.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young children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five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outdoor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preschoolers in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TTCT-figural form. The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for 10 weeks, once a week, to test its effects. After the program was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every subfactor of creativity that was fluency, originality, title abstractness,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us, the program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 로슨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인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우요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SCP를 처치하여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기존의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과 제언을 하는 연구이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창의성을 창의적 문제해결력으로 정의하여 Lawson(2001)의 창의적&비판적 사고 과정 모델을 수정, 보완한 틀(이상희, 2012)을 활용하여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SCP)’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N구에 위치한 O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실험반(1개 학급 25명)과 통제반(1개 학급 25명)으로 선정하였다.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창의성 검사를 위해 Torrance(1974)의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 A, B형 동형검사를 사용하였다(김영채, 2002). 과학적 태도 검사를 위해 김효남 등(1998)이 개발한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도구를 과학적 태도 평구 도구 21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반과 통제반의 반별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과학적 태도는 하위 요소에 따라 질적인 분석을 병행하였다.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반의 평균이 106.36, 표준편차는 11.55이며, 통제반의 평균은 94.14, 표준편차는 12.93로 실험반이 사후검사에서 평균이 6.86 증가한 것으로 보아 t 통계 값 3.53, 유의확률은 .001로서 유의수준 .05에서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창의성의 하위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SCP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험반의 평균이 77.52, 표준편차는 13.18이며, 통제반의 평균은 62.64, 표준편차는 7.25로 실험반이 통제반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12.8 증가한 것으로 보아 t 통계 값 4.95, 유의확률은 .000로서 유의수준 .05에서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7개 요소 중 비판성을 제외한 개방성, 호기심,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 6개 요소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소별 학생들의 반응을 반성적 저널(과학일기), 소감문 등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SCP를 통하여 의문을 생성, 경험상황, 원인적 설명자 동정, 가설적 설명자 동정, 가설 검증 방법 및 평가 방법 고안, 결론 도출과 같은 귀추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가 함께 형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여러 정보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찾아냄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SCP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교육현장에서 전통적인 과학 수업과 병행하여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투입한다면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정의적 영역에서 과학자처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끝으로 일반적인 창의성 영역이 아닌 과학교과 영역 특수한 창의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어머니-아동간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919

        창의성에 대한 관심은 사회의 변화양상이 복잡해지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점차 증가한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사회에서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이야말로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창의성에 대한 관점이 '선천적이고 측정이 곤란하며 교육이 영향을 거의 주지 못한다는 것'이었으나, 현대로 접어들수록 이러한 관점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잠재능력이고, 측정가능하며, 교육에 의해 증진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견해가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아동의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가정환경 변인 중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창의성 발달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창의성은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취업 여부 및 직업의 종류에 따라 아동의 창의성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은 아동의 창의성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종류는 아동의 창의성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5: 아동의 학년에 따라 창의성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있는 6개 초등학교의 저학년(1·2·3학년)아동 484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표적 표본 선정을 위해 서울시 동부(학교1), 동작(학교2), 북부(학교2), 남부(학교4), 강남(학교5), 강서(학교6)교육청 관할의 1개교씩을 선정하여 각 학교마다 1학년, 2학년, 3학년에서 각각 1반씩 선정하고 아동에게는 학교에서 창의성 검사지를, 각 아동의 어머니에게는 어머니용 설문지를 가정으로 발송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학력과 아동의 창의성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등학교 졸업학력을 가진 어머니의 아동과 대학졸업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의 아동들간에는 창의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취업여부는 아동의 창의성과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어머니의 아동이 창의성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직업중에 교육관련 직업과 집단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관련 직업을 가진 어머니와 그 이외의 직업을 가진 어머니의 아동들 사이에는 창의성 검사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시간과 아동의 창의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상력과 탐구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증 결과 하위집단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 종류와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와 아동이 함께 한 활동의 종류가 책읽기, 놀이감으로 놀아주기, 체험학습 하기, 음악감상하기에서 미미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보였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창의성에 차이는 미미한 차이지만 1학년 아동이 나머지 2·3학년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 까닭은 분석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1학년아동이 인지영역에서 확산적 지식이나 인성영역의 흥미다양성, 탐구심, 그리고 학습동기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어머니와 아동의 상호작용과 아동의 창의성과는 비교적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도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나 실제적으로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 결과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이러한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의 후속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creativity in low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established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ild's creativity? 2.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other having her own career or the type of career she has and child's creativity?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creativity? 4.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creativity? 5.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grade level and child's creativity? The subjects were 484 boys and girls in lst, 2nd and 3rd grade from 6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with. SAS8.0 windows version, and was analyzed using ANOVA, and thettest and correlation.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1.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ild's creativity. In comparing children whose mothers have high school degree and children whose mothers have college degree, there was difference in childs creativity. 2.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 having her own career or the type of career she has and child's creativity. Children whose mothers have professional jobs showed higher level of creativ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reativity among children whose mothers have educational careers and among children whose mothers have careers in other fields. 3. There ware i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creativity. 4. There was sligh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ading books, going to field trips and playing with an object and child's creativity. If the sub-factor of creativity is analyzed further, reading book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ntextual thinking, imagination, exploration and motivation. Playing with an objec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vestigative thinking and going to field trip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ntextual thinking, imagination, exploration and motivation. Looking at these results, activities that show relevancy in childs creativity are reading books, playing with children with toys, going to field trips together. 5.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level of child and their creativity.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childrens creativity in accordance to their grade level is slight, children in the first grade scored higher in creativity as compared to children in 2nd and 3rd grade. As it is shown in the analysis, in the cognitive domain, the children in the first grade scored high in divergent thinking and scored high in interests, exploration and motivation in personality domain.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i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s creativity. Although few statistical results showed slight significant relationship, they were not too meaningful. Becaus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children in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iding in Seoul, these test results need to be carefully interpreted and will need to undergo further research.

      •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 창의성, 지식공유, 혁신의지, 혁신행동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김명섭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bsorption capacity, creativity, knowledge sharing, innovation will and innovation behavior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6 employees working in D public enterprise in D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21 and AMOS 18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bsorption capac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directly affects creativity,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will, creativity affects innovation will, and knowledge sharing directly affects creativity and innovation will. Second, the absorption capacity of local public enterprise employees affects their innovation will through mediation of creativity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absorption capacity affects innovation will through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ity as sequential mediators. Third, the innovation will directly affects their behavior of innov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nnovation behavior (intention to innovate) reveal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ans that it is highly likely to be expressed as an actual innovation behavior. Companies need to provide enough education and training to absorb new knowledge to drive their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And they will need to foster a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employees can be creative without fear. It also suggests that creating a learning culture that encourages continuous organizational learning by encouraging active knowledge sharing among colleagues is an important factor in inducing innovative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 창의성, 지식공유, 혁신의지,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D 광역시 D 공기업에 재직 중인 486명의 직원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21과 AMO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은 창의성, 지식공유, 혁신의지에, 창의성은 혁신의지에, 지식공유는 창의성과 혁신의지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방공기업 직원의 흡수역량은 창의성과 지식공유를 매개로 하여 혁신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흡수역량은 지식공유와 창의성을 순차적 매개로 하여 혁신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혁신의지는 혁신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나타난 혁신행동(혁신의지)은 실제 혁신행동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은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새로운 지식을 흡수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직원들이 두려움 없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또한, 동료 간 활발한 지식공유를 촉진함으로써 지속적인 조직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혁신행동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

        배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력 신장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면서, 학교 현장에서 학업 성취를 예언하는 창의성과 지능간 관계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성공적인 학업 성취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창의성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은 지능과 학업성취간의 상관보다 낮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2>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3> 창의성의 하위 요인과 지능의 하위 요인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문제 4> 지능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은 높은 상관을 보일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1998년 9월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 강남에 있는 J초등학교 6학년 학생 2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 측정은 이영덕과 정원식이 제작하고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발행한 표준화 간편 창의성 검사(국민학교 4·5·6학년용)를 사용하였고, 지능 측정은 정범모와 김호권이 공동으로 제작하고 코리안 테스팅 센터에서 발행한 일반 지능 검사(국민학교용 A형)를 사용하였으며, 학업 성취는 국어·수학·음악·미술 과목의 학기말 총괄 평가 성적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변인간의 상관분석과 상관 계수 차이의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창의성 및 지능과 학업 성취간의 상관 관계 행렬에서 모든 상관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어, 수학, 음악, 미술을 포함하는 전체 학업 성취와의 상관은 창의성보다 지능이 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창의성과 학업 성취간 상관은 지능과 학업 성취간 상관보다 낮은 것임이 지지되었다. 2.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교과별로 살펴보면 국어, 수학, 미술과목에서는 지능이 학업 성취를 더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과 학업 성취는 창의성이 더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즉, 창의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지능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3. 창의성의 하위 요인과 지능의 하위 요인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국어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언어 추리, 산수 추리, 독창성, 융통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산수 추리와 유창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융통성, 언어 추리, 유창성, 도형 추리인 것으로 나타났고, 미술과 학업 성취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 변인은 언어 추리, 융통성, 독창성, 유창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위 요인별로 창의성과 지능이 각 교과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른 것임이 지지되었다. 4. 지능 수준이 낮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은 높은 상관을 보일 것이라는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 분석과 상관 계수의 차이의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지능 수준별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지능 上집단에서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이 지능 下집단에서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보다 밀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집단에서의 창의성과 지능간 상관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능 수준이 낮아질수록 창의성과 지능간의 상관이 높아질 것이라는 문제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의 창의성과 지능은 학업 성취와 상관이 있으며, 특히 지능과 학업 성취의 상관이 창의성과 학업 성취의 상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및 지능의 하위 요인과 교과별 학업 성취의 상관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지능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성과 지능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창의성 및 지능의 하위 요인과 각 교과목과의 상호 관련성에 비추어 지도한다면 아동의 학업 성취 향상은 물론 창의성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o relationships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in elementary schoolers. For the above purpose of the study, the specific hypotheses proposed in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 Hypothesis 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ill be lower than that between the measures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 Hypothesis 2 >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ill vary with subjects. < Hypothesis 3 > The Effect of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ill vary with subjects. < Hypothesis 4 > As the intelligence level of group become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will become increas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proposed, the following instrument were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the sample : Standardized Compact Creativity Test and General Intelligence Test both published by Korean Testing Center. As the index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er used the results of most recent comprehensive tests administered in school. Subjects were 247 sixth graders and all the students were given the both tests to measure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their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t was founded that the simple and multipl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lower than those between the measures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rom examination of those results the contention of the first hypothesis is sustained. 2. Inspec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that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vary with the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 Art was mostly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intellig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usic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creativity. 3. Inspec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ub-factors of creativity and that of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vary with the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was mostly influenced by verbal reasoning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mostly influenced by Arithmetic reasoning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usic was mostly influenced by flexibility fact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rt was mostly influenced by verbal reasoning factor. 4. Examination of the simple correlations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s different significance by groups. As the intelligence level of group becomes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will become increased. Following points summarized the main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1. The dominancy of on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predicting of academic achievement appears differently by subjects(Korean, Mathematics, Music, Art) and groups. Generally, intelligence is dominant in accounting for the variance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creativity-related subjects, creativity produce much more greater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2.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research, these findings provide some explanatory studi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mphasis in the divergent thinking reflected on both planning and developing programs and instructional material to meet the needs of gifted children. 3. It is suggested that the further studies of this type should involve a large number of measures from the domain of creativity,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valid interpretation and generalization, random sampling on various grade levels and the standardaized ability tests which have up-dated norms are needed.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의 창의성 문항 분석

        이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지식과 사회문화가 급변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습에서 벗어난 사고인 창의성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 시대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창의성이 교육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인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9종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17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임선하 DESK 모형의 창의성 측정 문항 기준으로 교과서의 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창의성 구성 요소 문항별로 총 39개의 예비문항으로 타당도 검사지를 만들었다. 과학교사 7명으로부터 얻은 검사지에 대한 반응을 수합하여 문항성분분석 후 다시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문항은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평균 4.0개가 분석되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평균 10.7개가 분석되어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창의성이 더욱 강조되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출판사별로 보면 창의성 문항이 많은 것은 32개에서부터 적은 것은 1개 문항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7종 교과서를 단원별로 창의성 문항 분포를 분석하였다. 창의성 문항이 ‘힘과 운동’ 단원은 23.3%,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단원은 14.8%,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단원은 14.2%, ‘분자의 운동’ 단원은 13.1%, ‘식물의 영양’ 단원은 13.1%,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은 9.1%, ‘지각의 물질과 지표변화’ 단원은 5.7%, ‘지각변동과 판구조론’ 단원은 4.0%, ‘정전기’ 단원은 2.8%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7종 교과서를 창의성 구성 요소별로 분석하여 창의성 문항이 유창성 52.2%, 독창성 22.7%, 정교성 13.9%, 융통성 11.2%로 분석되었다. 교과서의 창의성 문항은 비슷한 유형의 문항이 반복적으로 제시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시대적인 요구에 맞는 인간상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의 교과서의 창의성 문항이 많이 증가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하위 요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교과서 교육을 통해 좀 더 다양한 창의적인 능력을 신장 할 수 있은 기회가 제공 되었으면 한다.

      •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영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시에 위치한 H지역아동센터와 Y지역아동센터 두 곳의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주1회, 1회기당 60분, 총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전경원, 전경남(2008)이 개발한 초등 도형 창의성 검사(K-FCTES)와 김은경(2016)이 활용한 자기조절능력 척도(SCR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능력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Mann Whitney U 검증 방법을 실시하고, 각 집단 차이는 Wilcoxon부호 순위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둘째,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한 특정지역의 일부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표집의 대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없으므로 통계적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른 지역 아동들을 대상으로 2~3그룹으로 나누어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실시한다면, 예술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좀 더 일반화된 연구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기법들을 적용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의 구성 및 프로그램의 적용은 아동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n artistic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on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ildren in grades 3-4 of both H regional children‘s center and Y region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M city,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2 children and a control group of 12 children.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2017,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12 sessions in total. This study was measured using instruments of K-FCTES(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Jeon Kyung-Won and Jeon Kyung-Nam(2008) and SCRS(Self Control Rating Scale) used by Kim Eun-Kyung(2016). Data analysis performed the Mann-Whitney U test method for the pre-post test results of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SPSS WIN 21.0, and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was analyzed by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artistic activity program on children‘s creativity,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higher creativity overall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at an artistic activity program helps children improve creativity.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artistic activity program on children‘s self-regulation,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dicated higher self-regulation overall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means that the artistic activity program helped children improve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artistic activity program improves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statistical results because the results cannot be said to be represented in the representative sample since this study targeted some children who were randomly selected in a specific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s of artistic activity program o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are expected to be more generalized if children from different areas are divided into two or three groups and an artistic activity program is run and conducted for them. In conclusion, as the result of developing and conducting an artistic activity program that applied methods using various media,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effective on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