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딸기의 코이어 수경재배에서 FDR 센서 자동관수제어 시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이 배액율, 수분이용효율, 비료이용효율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딸기의 코이어 수경재배에서 FDR 센서를 이용한 관수조절 시 관수 후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이 배액율, 수분이용효율, 비료이용효율 및 딸기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관수 후 다음 관수까지의 최소대기시간은 0분, 5분, 10분, 15분과 계절에 따라 10분(11월)-15분(12월~2월)-5분(3월~4월)으로 변화를 갖도록 설정하였다. 관수종료시각은 13시, 15시, 17시 처리와 관수종료시각 없이 24시간 관수한 처리로 하였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겨울(12월~1월)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162.9mL이었고, 배액율은 25.4%이었다. 겨울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30.3~72.9% 수준이었다. 즉,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16%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최소대기시간 10분의 배액율은 5% 이하였고, 일평균 주당 수분 보유량은 112.2mL로 관행의 주당 수분 보유량 121.5mL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봄(2월~4월)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269.4mL이었고, 배액율은 35.4%이었다. 봄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37.5~89.1%였다.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20%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최소대기시간 0분, 15분 10-15-5분 처리의 배액율은 15% 미만이었다. 그 중 최소대기시간 15분에서 가장 낮은 8.5%의 배액율을 보였고 일평균 주당 수분 보유량은 115.4mL 로 가장 높았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겨울에 급액량은 162.8mL이었고, 배액율은 25.4%였다.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관행의 41.3~79.9% 수준이었다. FDR 센서 제어의 배액율은 17%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관수종료시각 13시의 배액율은 10% 이하였고, 급액량이 관행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봄에 관행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267.1mL이었고, 배액율은 26.5%였다. 같은 시기에 FDR 센서 제어의 일평균 주당 급액량은 타이머의 37.8~67.4%였고, 배액율은 15% 이하였다. FDR 센서 제어 중 관수종료시각 17시의 배액율은 6% 이하였고, 급액량이 관행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행의 수분이용효율은 13.8g·L·plant-1이었다. 최소대기시간에 따른 수분이용효율은 최소대기시간 5분을 제외한 모든 FDR 센서 제어에서 관행보다 높았다. 그 중 최소대기시간 15분과 0분의 수분이용효율은 관행에 비하여 170.2%와 160.9% 로 통계적 유의하게 높았다. 딸기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는 최소대기시간 15분에서 높았다.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수분이용효율은 관행에서 13.8g·L·plant-1이었다. FDR 센서 제어의 수분이용효율은 모든 처리에서 관행보다 높았고,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딸기의 품질을 나타내는 당도는 관수종료시각 17시에서 높았다. 딸기의 코이어 재배에서 관행의 전 재배기간 동안 투입되는 비료양은 주당 3,272.4kg/ha이었다. FDR 센서 제어 시 최소대기시간에 따른 비료양은 주당 1,182.3kg/ha~2,765.7kg/ha이었고, 가장 많이 절감한 처리는 최소대기시간 15분으로 주당 2,090.1kg/ha 절감할 수 있었다. FDR 센서 제어 시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비료양은 주당 1,340.6kg/ha~2,016.2kg/ha이었고, 비료양을 가장 많이 절감한 처리는 관수종료시각 17시로 주당 1,931.8kg/ha 절감할 수 있었다. 광합성 특성과 딸기의 지상부 생육 특성에서는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처리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과실생육 특성 및 수량에서는 전 재배기간 동안 주당 총 수량과 주당 평균 과중도 최소대기시간과 관수종료시각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Water drainage from open hydroponics causes significant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agrochemicals and loss of water and nutri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n irrigation schedule based on threshold values of volumetric substrate water content for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ultivation aimed at minimizing effluent from coir substrate hydroponics and improving water and fertilizer use efficiencies and yield using a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sensor-automated irrigation system. For the purpose, it was necessary to determine proper duration of off-time between irrigation cycles and end-time of irrigation hours. For the off-time duration between irritation cycles, a 0-, 5-, 10-, or 15-minute treatment was applied to three different growing seasons using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For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a 13:00, 15:00, 17:00, or no end-time treatment was also applied to three different growing seasons using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As comparisons, a timer-set irrigation(TIMER) system was applied. In results,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reduced irrigation volume and drainage ratio by 15% and lower than 50%, respectively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compared to those in the TIMER irrigation system. Also it was found that maintaining proper duration of off-time reduced significant drainage ratio. During the winter season, maintaining 10-minute off-time resulted in the drainage ratio lower than 5% with higher retained water volume (= irrigated water volume–drained water volume). During the spring season, maintaining 15-minute off-time resulted in a drainage ratio lower than 15% with the highest retained volume than other treatments. When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was controlled in the FDR-automated irrigation system, the daily average irrigation volume and drainage ratio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were decreased by 25% and 50%, respectively, compare to those of TIMER. During the winter season, controlling end time of irrigation off hour at 13:00 resulted in a 10% of drainage ratio. During the spring season, controlling end time of irrigation off hour at 17:00 resulted in a drainage ratio lower than 6%. The highest soluble solid content (SSC) was observed when the duration of off-time was the 15 minutes, and the end-time of irrigation hours was controlled at 17:00. A higher water use efficiency (WUE) was found in all the treatments of off-time duration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except for the treatment of 5-minute off-time duration. Also a higher WUE was observed in all the treatments of end-time of irrigation hours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except for the treatment of 13:00 end-time. The amount of fertilizer used for 1.0 hectare was decreased by 506.7~2,090.1kg in all the treatments of off-time duration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and also decreased by 1,256.2~1,931.8kg in all the treatments of end-time of irrigation hours in the FDR-automated system than that in the treatments of TIMER system. All the integrated results indicate that the FDR sensor-automated irrigation system with 10-minute off-time and 13:00 end-time during winter season, and with 15-minute off-time and 17:00 end-time during spring season may be more applicable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coir substrate hydroponics improving water and fertilizer efficiency, minimizing leachate, and reducing pollution.

      •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변화 연구

        김민경 인하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in preterm labor after admiss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47 women with preterm labor who were admitt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bstetric characteristics, stress level of preterm labor and nursing needs.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admission day and the 5th day after admi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y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aired t-test, ANOV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using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ress level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t=.-713, p=.473). Among the various elements of stress, the stresses about fetus, therapy and medical staff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but those about pregnant women, husband and environ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ssion. 2.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ursing needs between the admission day and the 5th day after admission was not significant (t=.185, p=.854). The physical part was only increased significantly in four nursing needs after admission(t=.-2.034, p=.048). 3. The total level of stress and total level of nursing needs were correlated on the 5th day after admission(r=.374, p=.009). Thes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ess and nursing needs of women in preterm labor undergo changes after admission.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ccording to stressors which change from day to day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본 연구는 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부의 스트레스 요인과 간호요구의 변화를 파악하여 조기진통 임부의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관련 간호 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1월 15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4개월이었고, 연구의 대상자는 조기진통을 진단받고 수도권 2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20세에서 39세의 임부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안황란(1985), 김혜경(2002)의 도구와 김재희(2002)에 의해 번안된 White와 Ritchie(1984)의 산전 입원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Antepartum Hospital Stressor Inventory: AHSI)를 수정ㆍ보완한 조기진통 스트레스 도구와 이평숙과 유은광(1995)의 조기진통 임부의 간호요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입원 시와 입원 5일 2회에 걸쳐 자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분석, t-test, ANOVA, paired t-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1)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1일 총 스트레스는 총점 184점 중 109.36점, 입원 5일 총 스트레스는 111.02점으로 중정도의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원은 태아관련 스트레스(평균 2.90), 임부관련 스트레스(평균 2.39), 배우자관련 스트레스(평균 2.18), 환경관련 스트레스(평균 2.09), 처치관련 스트레스(평균 2.07), 의료진관련 스트레스(평균 1.8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입원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전체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는 입원 후 태아관련 스트레스(t=2.061, p=.045), 처치관련 스트레스(t=1.905, p=.064), 의료진관련 스트레스(t=2.235, p=.032)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임부관련 스트레스(t=-3.157, p=.003), 배우자관련 스트레스(t=-2.859, p=.007), 환경관련 스트레스(t=-2.929, p=.005)는 증가하였다. 3)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1일 총 간호요구는 총점 124점 중 83.33점, 입원 5일 총 간호요구는 82.95점으로 입원 후 5일째 간호요구가 약간 감소하였다. 그리고 간호요구는 전문 간호(평균 2.05), 교육 간호(평균 2.63), 정서 간호(평균 3.04), 신체 간호(평균 2.90)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입원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간호요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85, p=.854). 간호요구 하위영역에서는 입원 후 신체 간호요구만이 증가하였다(t=.-2.034, p=.048). 5) 입원 시 총 스트레스와 전체 간호요구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r=.222, p=.129) 스트레스원과 간호요구의 하부 영역에서는, 태아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335, p=.019),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478, p=.001), 입원 1일 총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416, p=.004), 태아관련 스트레스와 전문 간호요구(r=.310, p=.036),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총 간호요구(r=.294, p=.043)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입원 5일 경과 후 총 스트레스와 전체 간호요구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74, p=.009). 하부 영역에서는 임부관련 스트레스와 정서 간호요구(r=.502, p=.000)가 중등도의 상관정도를 나타냈고, 태아관련 스트레스(r=.476, p=.001), 환경관련 스트레스(r=.356, p=.013)는 정서간호 요구와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관련 스트레스(r=.352, p=.016)와 환경관련 스트레스(r=.463, p=.001)는 신체간호 요구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 후 총 스트레스 수준과 총 간호요구의 수준은 변하지 않으나 스트레스원과 간호요구의 하부 영역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스트레스원에 따른 시기별 간호 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입원 후 스트레스 수준과 간호요구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하부 요인별로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간호요구를 고려한 간호중재를 통하여 입원 후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향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의 상관관계에 대한 반복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추출물의 물질분리 및 생리활성 탐색

        김민경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vestigations conducted with Ulmus davidiana stem bark have demonstrated it to contain (-)-catchin (Compound 1) and (-)-catechin-7-o-β-D-apiofuranoside (Compound 2), which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another compound and identified as (-)-catechin-7-o-β-D-xylopyranoside (Compound 3)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metric methods. The structure of the (-)-catechin-7-o-β-D-xylopyranoside was established primarily by analysis of 1H- and 13C- NMR, HMQC and HMBC. Three isolated compounds were analyzed for antioxidant activity using several different model systems,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il (DPPH) radical scavenging, hydroxyl radical (OH?) scavenging,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Compounds 1 exhibit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radicals, with IC50 values of 29.08 μM. The percentage inhibition compounds at 10 μM concentrations on scavenging activity of OH? radicals were 67.82%, 68.22%, 74.71%, respectively. and greater than those 10 μM of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57.52%, 56.54%). The reducing power of compound 1 were excellent, and were 1.07 at 1 mM. And we have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Compound 1 inhibition of LPS-induced NO without appreciable cytotoxicity on the RAW 264.7 cells.

      •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민경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진입장벽이 낮은 여행업계의 특성상 중소여행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불안정성을 연구의 시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이 지각한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직원 수 100명 이하의 중소여행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돌린 결과 290부가 회수되었다.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가지고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이 낮아진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직무만족을 통제변수로 설정해 조절회귀분석을 통한 실증조사를 했다.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고용불안정이 높을수록 종속변수인 직무몰입은 음(-)의 영향을 보였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음(-)의 영향에 있어서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낙관적희망의 양(+)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몰입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소여행사 직원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직무몰입의 음(-)의 효과를 해소하기 위해 직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차원에서 직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교육 등을 실시하여 업무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한다면,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아지며 결국 기업 차원에서도 높은 생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employment instability in the tourism industry as the number of small travel companies increases due to low entry barriers of the industry. This research analyzes moderation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ir lower job commitment caused by their perceived job insecurity.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by small travel company’s employee was analyzed moderation effect of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control. Surveys were undertaken by 300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which have fewer than 100 employees, and 290 employees answer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which shows that employees tend to have lower concentration on their works as their job insecurity is higher, an empirical analysis was taken to test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of employees in small travel companies, us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s a controlling variable. The result of research, which are prove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insecurity negatively impacts job involvement of employees. Employees in the small travel companies showed lower commitment to their jobs as their job insecurity was higher. Second, self-efficacy and optimism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leviated above negativ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employees who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ended to have higher job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increa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s effective to lower nega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job commitment. In order to increas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mpanies should provide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work with stability with methods such as regular job training. The effort on the company level will lead to higher job commitment of employees, which consequently improves service to customers and higher productivity.

      • 유령멍게 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김민경 삼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국내 해양생태계의 침입 외래종으로 보고되어 있는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의 알 발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여 유령멍게의 최적 발육 조건을 확인하고 생태적 특성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유령멍게의 알 발육 실험에 사용된 개체는 2016년 11월 구룡포항의 항벽, 항구 내 시설물 및 로프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성체를 채집하였고 신속하게 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 해수 수조에서 사육하였다. 유령멍게의 성체로부터 정자와 난자를 채취하여 수정시키고, 수정란을 24 well plate의 각 wcell에 한 개씩 분주한 후, 항온수조에서 유지하며 알의 부화 및 유생의 부착을 8시간 간격으로 조사하고 기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 발육에서의 수온 및 염분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5개의 수온 조건(10, 12, 16, 20, 24℃)과 8개의 염분 조건(26, 28, 30, 32, 34, 36, 38, 40psu)에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령멍게 알의 발육은 수온과 더불어 염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적 발육 수온 범위는 16∼20℃, 염분 범위는 32∼34psu 사이로 판단된다. 두 번째 실험은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을 파악하고 염분의 차이가 유령멍게 알의 최적 발육 수온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첫 번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2개의 염분 조건(30psu와 34psu)과 9개의 수온 조건(10, 12, 14, 16, 18, 20, 22, 24, 26℃)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30psu 조건에서 16∼22℃, 34psu 조건에서 12∼22℃로 추정되었고, 유령멍게 알의 저온 발육임계수온은 34psu에서 약 4.25℃ (y=0.0044x-0.0187), 30psu에서 약 7.69℃ (y=0.0055x–0.0426)로 추정되었다. 고염분 조건(34psu)에서는 저염분 조건(30psu)에 비하여 부화 및 부착을 위한 수온 범위가 넓어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동해(32∼35psu), 남해(30∼33psu) 그리고 서해(29∼32psu)의 연중 염분 변동을 고려할 때, 서해 염분 조건은 유령멍게의 알 발육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며 실제 유령멍게가 발견되지 않는 원인으로 생각되며, 제주 지역까지는 확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령멍게의 분포 및 확산을 추정하는데 수온과 염분 및 두 인자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인자로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프로그램진행자와 시청자 선호도와의 관계 연구 : 제주지역 방송을 중심으로

        김민경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텔레비전의 영향력이 강조되면서 시청자와 프로그램을 이어주는 교량과 같은 방송 진행자, 프로그램의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출연자, 즉 진행자 없이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가 없게 되었고, 자질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많은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행자와 시청자와의 관계, 즉 진행자가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시청자가 선호하는 진행자는 어떠한 모습인지 등에 대해서는 특히 지역방송에서 아직 밝혀진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진행자의 속성들을 하나의 개별 변인으로 두고 그 속성의 하위 요소들을 찾아내 실제 프로그램 진행자별로 비교 분석한 뒤, 이런 속성에 대한평가와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들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문제 1> : 제주지역 방송 3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 속성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 제주지역 방송 3사 텔레비전 프로그램 진행자의 개별 속성에 대한 평가는 수용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 연구문제 3> : 수용자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속성에 따라 제주지역 방송 3사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기대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앞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로 지역의 일반 시청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였는데, 설문지 회수 후 응답을 성의 없이 기재하였거나 조사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전혀 시청하지 않은 시청자와 대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20부를 제외한 28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 수용자 성별로 평가한 남, 여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각각의 평가는 대체적으로 남, 여 모두 남자 프로그램진행자로는 JIBS의 최재혁 아나운서를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 진행자로 꼽았으며, 여자 프로그램 진행자로는 JIBS 김민경 아나운서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이유로는 외모와 목소리, 전달력, 진행 솜씨, 신뢰감, 세련됨 그리고 기타항목으로 구성된 7개의 평가에서 남,녀 모두 다른 두 명의 진행자에 비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방송사 만족도와 프로그램 진행자와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청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진행자 뿐 만 아니라 각 방송사 이미지 구축이나 프로그램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연구문제에 있어서 그 결과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와 중앙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간의 차이점은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앞으로 더 기대하는 이미지 부분에 대해서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 노련하지 못한 진행을 꼽음으로 인해 가장 중요한 자격요건으로 손꼽았다. 다음으로는 학구적 자세, 공인정신 결여 순으로 나타났는데. 외모나 스타일 면에서는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들로부터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어떤 하나의 이미지가 시청자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지만, 시청자는 나름대로 각 방송사의 프로그램 진행자에 대한 이미지와 자질에 대해서 분석 하고 있었으며 주의 깊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자질이나 조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 프로그램 진행자는 늘 겸손한 마음으로 노력하는 자세를 임해야 할 것이다.

      • 필라테스 체어 운동이 폐경기 여성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Effects of Pilates Chair Exercise on Lower-muscles Strength in Menopeusal Women Kim, Min-gyeong Advisor : Prof. Seo Yeong-hwan Department of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ilates Chair exercise program for 8 weeks on the lower muscles strenth in menopausal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in middle-aged with menopause period that a total of 16 subjects were divided into 8 women with Pilates Chair exercise(Exercise Group) and nd 8 women with Control Group. Primary and after 8-week tests were examined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and the following conclisions were drawn. The body composition had no change weight, BMI, body fat percentage in both groups but Pilates chair exercise group had change skeletal muscle mass. Regarding change in the lower muscles EMG, pilates chair exercise groupshowed signifiant increase in gluteus maximus, va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p<.01,p<.01,p<.001, p<.05). Especially in the tibialis anterior,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experiment(P<.01). In conclusion, Pilates chair exercise is a positive factor in improving skeletal muscle mass among menopausal women's body composition and lower muscles EMG and it can contribute to changes in skeletal muscle and an increase in leg strength as an important index of body compos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ilates chair exercise program can be recommended for the menopausal women 's health.

      •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김민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creasingly in need of early treatment and management in the mild stag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s lacking in depth research despite the need for research.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is because the living environment in rural areas increases the risk of dementia and affects quality of lif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rural area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OO region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They were diagnosed as dementia by MMSE-DS test, and diagnosed as mild dementia when they were 1 on Clinical Dementia Rating(CD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to September 2017 for 123 mild demented elderly people who were registered and managed by public health center. Prior to the data collection, I received the IRB approval from the University of C(No.2-1046881-A-N-01-201705-HR-016). and the permission from the director of the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scor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rural areas was 30.14 ± 6.62, and the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MMSE-DS was 19.52 ± 3.38. The depression measured by SGDS-K was 5.96 ± 4.26(Mean of depressed group = 9.71 ± 2.76). The dependency measured by Dependence scale was 4.18 ± 3.46. The comorbidity measured by the Charlson index was 4.99 ± 1.30, the sleep measured by PSQI was 7.54 ± 4.67. The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ge(F = 2.855, p = .040)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 = 19.798, p <.001).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was fou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r = 0.512, p <.001), dependence(r = -0.255, p = .004), sleep(r = -0.482, p <.001), depression(r = -0.741, p <.001). Age, education, income, perceived health status, comorbidity, dependence, sleep and depression accounted for 54.0% as a variable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rural are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was depression (β = -0.997, p <.001). Conclusion: In conclusion, depression was the factor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rural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 of depression and establish a linkage system between public health centers and health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We suggest the need for individualized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and integrated psychological health service considering depression.

      • 말레이시아 토속주거의 근대적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 쿠알라룸푸르의 깜풍바루 지역을 대상으로

        김민경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주거의 근대화를 논하는 관점에 있어 식민지배에 따른 외적 요인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말레이시아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내적인 변화상에 대한 파악을 통해 총체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는 필요성에 의해 수행되었다. 주거의 근대적 변화는 전통적 주거질서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적응하고 발전의 과정이라는 관점하에 말레이시아의 토속주거를 대상으로 근대적 변화 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전통마을의 모습이 가장 많이 보존되어 있는 깜풍바루의 주거를 대상으로 평면과 입면에 대한 시대적 분석을 거쳐, 현존하고 있는 다양한 주거에 대한 유형화를 통해 토속주거의 변화특성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1) 시기적 상황에 대한 분류를 통해 말레이시아 토속주거는 전통적 주거질서를 기반으로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면계획에 변화를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생활양식의 변화, 전통적 공간구성 질서의 약화, 통합공간의 용도별 개실화, 가족적 공간의 중요성 등으로 인해 나타났다. 또한, 상하수도 시설의 발달, 전기의 공급, 수세식화장실의 도입 등에 의하여 평면계획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변화하는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지속되는 전통적 평면계획 질서가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거의 입면계획은 전통적 주거질서를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에 따라 변화의 특성은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전통적 질서의 계승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 전통적 질서의 지속이 나타난다. 전통적 질서를 기반으로 새로운 질서를 선택하는 과정에 의해 새로운 질서가 토착화된다. 새로운 질서를 수용하는 경우 동화라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새로운 질서로의 전면적 교체가 아닌 토착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를 기반으로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주거의 입면을 대상으로 한 시기적 분석의 결과 총 25가지의 다양한 입면계획 유형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전통적 질서를 지속하고자 하는 강도에 따라 계승, 변용적 계승, 선택적 계승, 선택적 수용, 변용적 수용, 수용의 6단계로 분류,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토속주거를 변화의 속성별로 범주화하여 네 가지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적 질서를 지속하고 있는 토속주거에서의 평면적 변화는 다용도로 사용되던 공간의 용도별 분리라는 자생적 근대화를 거쳤다. 공간구성 위계에 있어 종교적 율법에 의한 공적공간의 계획, 성별에 따른 공간분리 질서를 지속하고 있다. 입면계획 역시 전통적 질서를 지속하고 있으며, 초기 건축당시와 달라지는 점은 지붕재의 사용에 있어서만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 지붕재인 아탑은 내구성이 약하고 교체주기가 짧다는 불편으로 인하여 징크와 골함석 등 새로운 지붕재가 도입되면서 전면 교체되었다. 둘째, 식민토속주거는 말레이시아 전통주거를 기반으로 하여 식민주거양식을 일부 선택하여 수용한 결과로 나타나게 된 주거유형이다. 평면계획에서는 전통적 공간구성 질서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은 다층주거로 건축될 때에도 위계의 층간분리라는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입면의 계획에서는 식민양식의 입면계획 요소를 도입하고 있어 다른 주거유형과는 두드러지는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주로 주거의 전면부에 식민양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건축주의 경제적 능력의 발현과 심미적인 고려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평면의 계획과 전반적인 입면계획에서는 전통방식을 따르고 있으며, 주거의 전면부에 집중된 외래양식의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선택적 수용에 의해 토착화된 주거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근대토속주거는 당대의 상황이 변수로 작용하여 다른 주거유형에 비해 보다 다양한 변화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활양식의 변화 및 종교적 율법에 의한 성별 공간분리에 대한 고려가 약화되면서 사회적 공간인 전면부의 용도변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서구식 생활양식의 도입으로 중심부와 후면부가 용도에 따라 공간을 분리 계획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핵가족화 현상에 따라 공간의 구성은 가족중심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가족의 공간인 거실, 식당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었다. 상하수도 시설의 발달로 외부적 요소였던 목욕실이 실내공간으로 계획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화장실, 목욕실과 화장실이 통합된 욕실이 공간구성 요소로써 자리 잡았다. 입면의 계획에서의 변화는 구조와 건축재의 사용에서 파악되고 있다. 지붕의 형태, 벽부의 계획에서는 전통방식을 지속하려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새로운 건축재의 도입은 일부분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즉, 새로운 주거질서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용하는 방식으로 수용이 나타나며, 이와 함께 전통적 질서 역시 선택을 통한 변용에 의해 적용되고 있는 주거유형이다. 종합하여 보면, 전통적 질서를 기반으로 새로운 질서를 일부 받아들여 토착화하는 과정에서, 선택의 다양성에 따라 주거의 유형 역시 다양하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넷째, 근대주거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전통적 질서와 새로운 질서가 혼합되는 과도기에서 나타나게 된 근대토속주거의 발전적인 유형이라는 것과, 외래의 주거양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수용하였다는 측면에서 동화현상으로 분류된다. 근대토속주거의 자생적 변화에 의해 정착된 근대주거는 입면과 평면계획에 있어서 다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근대토속주거로 분류하기에는 건축재의 사용에 있어서 전통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어 근대주거로 분류된다. 반면, 서구식 주거양식을 수용한 유형의 경우, 주로 고층화된 공동주거에서 파악되는 부분이다. 평면계획에서도 전통적 공간구성 질서에 대한 고려가 나타나지 않으며, 입면계획에 있어서도 서구식 공동주거의 입면형을 따르고 있어 동화의 개념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시아 토속주거는 생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자생적으로 나타나게 된 유형들이며, 전통질서의 지속과 시대적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의 차이에 의해 건축적 표현상의 다양성이 표출된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전통적 주거질서를 근간으로 한 변화의 자생적 재해석 과정의 결과에 의한 것이며, 토속주거의 변화는 새로운 주거질서로 급변하는 것이 아닌, 전통적 질서를 내재하여 점진적인 발전과 수정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가지게 된 것이라는 점에서 말레이시아 토속주거의 근대적 변화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modernization in vernacular houses of Malaysia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modernization of houses is a proces of adaptation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hronologicaly analyzed the plane and elevation of the houses in Kampong Bharu, which has preserved the features of a traditional vilag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hanges in vernacular houses through a typology of various houses in existence. 1)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oral contexts, it is known that the vernacular houses of Malaysia have gradualy changed in the proces of moderniz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If there is strong wilingnes to suced a traditional order, there apears the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al order. A new order is localized through the proces of selecting the new order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When the new order is acepted, there emerges a phenomenon of asimilation, indicating that a more evolved form of houses apears based on the houses emerged in the localization proces, not in the overal replacement into the new order. 2) A temporal analysis of the plane of houses led to 6 stages of sucesion, modified sucesion, selected sucesion, selected aceptance, modified aceptance and aceptance, depending on the degre of intention to continue the traditional order, and derived 4 styles of vernacular houses by categorizing the atributes of changes in vernacular houses, which exist in various forms.- 196 - First, the vernacular houses maintain the traditional order in flor plan and elevation design. Changes are identified only in the spontaneous modernization, a separation of space by use, and the use of rof materials. Second, the colonial vernacular houses are a housing style emerged as a result of partly chosing and acepting the colonial housing style, based on the traditional houses of Malaysia. They folow the traditional method in flor plan and overal elevation design, and are a localized housing style through selected aceptance in terms of the aplication of an exotic style to the front part of houses. Third, the modern vernacular houses are acepted in a way that a new order is selectively modified as necesary and the traditional order is also aplied by modification through selection. Taken together, the style of houses has emerged in a diverse maner with a variety of selection in the proces of localization by acepting a part of a new order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Fourth, the modern houses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an evolving style of modern vernacular houses emerged in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traditional order and a new order, and the other is an asimilated style in which an exotic housing style was acepted as it was. The vernacular houses of Malaysia are the styles that have spontaneously and diversely emerged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are the representation of diversity in a constructional expresion by the diference in the atitude of acepting the continuance of traditional orders and temporal changes. This is a result of the proces of spontaneous reinterpretation of changes based on the traditional order. The significance of modern change in vernacular houses of Malaysia lies in the fact that the change in vernacular houses is not a rapid change into a new order, but a change into the curent features through a gradual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by encompasing the traditional orde

      • 초등학교 6학년의 수동적·능동적 영어 어휘 성취도 평가 연구

        김민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 어휘를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읽고 이해하는 수동적 어휘지식과 직접 문장에서 사용하여 말하고 쓸 수 있는 능동적 어휘지식의 사용능력을 측정하여 영어 학습능력과의 관련, 품사에 따라 어휘지식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고빈도 어휘를 학습할수록 수동적, 능동적 어휘지식이 수월하게 향상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West(1953)의 General Service List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권장 이수 단어 798개를 대조하여 어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현 초등학교 6학년의 어휘 실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와 같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 맞는 어휘 지도 방법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실험 연구를 하였다. 1. 영어 학습능력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품사의 종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품사별 빈도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 도에 차이가 있는가? 4. 어휘의 빈도순위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 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모국어와 외국어의 어휘 습득 양상을 알아보고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이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되는지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을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고찰해 본 후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을 측정하는 평가지를 고안하여 서울 M초등학교 184명 대상으로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을 영어 학습능력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었을 때,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성취도 평가 점수가 높았고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점수 차가 크게 나지 않았다. 반면 영어 학습능력이 낮은 학생은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간의 차이가 컸고 성취도 평가 점수 또한 낮았다. 이를 통해 영어 학습능력과 어휘 습득에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품사에 따라 어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명사, 동사, 형용사, 기타(조동사, 전치사, 부사)에 따른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점수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품사는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품사별 빈도수에 따라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통계분석한 결과, 명사와 동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형용사에서는 GSL에서 빈도의 순위가 높을수록 단어의 정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GSL의 빈도순위가 높을수록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에 대한 정답률이 높을 것인가에 대한 가설의 결과는 빈도수는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능동적 어휘에선 빈도수 순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이는 GSL이 문어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데에서 온 결과로 보인다. 초등학교 영어의 목표는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므로 구어 코퍼스의 빈도수도 참고하여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에 관련된 과제 활동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향상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초등학교의 궁극적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므로 실제로 단어를 사용하는 능동적 어휘 능력에 주목해야한다. 이에 교사는 학습자가 직접 발화해보고 써 보는 능동적 어휘능력 향상 과제를 제시해야 하고, 품사는 아직 초기 학습자인 관계로 명시적 지도 대신 문장 안에서 단어의 연계성을 자연스레 익히도록 하며, 고빈도 어휘라 할지라도 초등학생의 사용역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그들이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소재를 바탕으로 어휘를 선정하여 지도해야한다. 또한, 어휘는 단시간에 습득되는 것이 아니므로 교실 수업에서 꾸준한 노출과 반복을 통해 내재화시킬 수 있는 교수법과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