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훈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2016 국내석사
<논문초록> ‘낙오자’ 인물 유형 분석 한신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김태훈 소설은 현실 사회를 반영한다. 이때 소설 속에 그려지는 현실은, 작가의 세계관에 의해 재해석된 무대와도 같은 것이다. 작가는 이 세계 속에서 이야기를 풀어낼 인물, 문제적 개인을 찾아낸다. 이 문제적 개인이 누구인가, 어떤 인물인가 하는 정체성과 소설의 사건과 주제를 따로 떼어내어 이야기할 수는 없는 것이다. 본고는 본인의 창작 소설에서 두드러지는 모티프인 ‘낙오자’의 의미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문학은 무엇보다도 패배의 기록이라 서영채는 주장했다. 완강한 세계의 질서에 한 개인이 비타협적인 도전을 하고 끝내 패배한다. 그 외적 패배를 통해 내적 승리에 도달하고자 하는 욕망의 산물이 문학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루카치의 소설 이론에서 문제적 개인의 개념과 동일하다. 먼저 본론을 세 단계로 나누어, 첫째 단락에서 근현대 소설 속에 드러나는 문제적 개인, 당당한 패배자들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다. 본론의 두 번째 단락에서는 패배하지도 못한 낙오자들에 대해 말할 것이다. 낙오자는 바로 생존의 문제에 실존의 문제가 매몰되는 세태를 반영하는 인물이다. 기존 소설에 등장하는 낙오자 모티프와 본고의 수록 소설의 인물들의 교차검증을 통해 이 개념을 분명히 한다. 이 낙오자들과 앞서 서술한 ‘당당한 패배자’들은 어떻게 갈리는가. 무엇보다 그들은 싸울 곳을 찾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낙오자들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살펴보았다면, 이제 그들은 어디로 가는가에 대해 말해야 할 것이다. 본고의 수록 소설 속에서 보이는 낙오자들의 선택을 살펴보면, 그들은 자신이 싸워야 할 대상을 잘못 찾거나, 싸움을 회피하고 떠나거나, 애초에 싸울 기회 자체를 박탈당했다. 그것은 그대로 헛소동, 유랑, 지리멸렬의 유형으로 드러난다. 결국 그들은 그 자리에 머무르지 못하지만 어디로 떠나지도 못한다. 세 번째 단락, 낙오자들이 주인공이 된 소설에서는 패배자들의 이야기가 주는 아이러니를 통한 통합도, 카타르시스도 없다. 이것은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이 구현하는 사건도 내러티브도 없는 소설, 즉 ‘총체성 없음’의 형태를 띌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 논하는 소설들은 그것과는 분명히 경계를 짓는다. 이것은 조금 더 핍진한 세계에 다가서려는 노력이며, 한편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한 발짝 물러나되 “이것은 삶인가?”라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행위라 할 것이다. 본고는 소설에서 중심인물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상기하고, 수록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의 낙오자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통해 소설이 반영하는 사회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런 작가의 선택이 소설의 사건과 주제에 미치는 연관성을 파악하고, 낙오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 쓰기가 독자와 작가 자신에게 좀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수 있는가 하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이라 하겠다.
It is reported that neural crest stem cells (NCSCs) are present in the bulge regions of human hair follicle. They can migrate and differentiate into multipotent lineages via bipotent precursors of Schwann cells and melanocytes. Recent trials have reported treating vitiligo by inducing the differentiation of melanocyte precursors from NCSC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whether NCSCs could be isolated directly from the human hair follicle bulge and induced to differentiate along the melanocyte lineage. I evaluated NCSC as a cell source for repigmentation therapy in vitiligo treatment by assessing cell survival and life span of melanocytes. Data were reviewed from 19 vitiligo patients who underwent narrow-band UVB (NBUVB) phototherapy for 2 years or more. I performed follicular unit extraction (FUE) graft combined with NBUVB on vitiligo lesions from 4 patients and mini-punch graft on vitiligo lesions from 2 patients. In addition, I conducted ex vivo experiments using hair follicle specimens from healthy donors. NCSCs were isol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along the melanocyte lineage by treatment with bone morphogenic protein 4 (BMP-4) and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The mean repigmentation gra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cond year of NBUVB phototherapy than that in the first year of treatment (2.53 vs. 0.95, p < 0.001). In those intractable vitiligo patients, the FUE graft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mini-punch grafting in repigmentation after NBUVB treatment (at 6 months, 5.93 mm vs. 4.38 mm, p = 0.009). In ex vivo experiments,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SRY-related HMG-box transcription factor 10 (SOX10)+ cells. Emigrated hair bulge cells did not spontaneously differentiate into micropthalmia transcription factor (MITF)-expressing cells, but did differentiate into SOX2-expressing Schwann cell progenitors after further cultivation during a prolonged duration. Subsequent BMP-4 and α-MSH treatment promoted differentiation into MITF-expressing cells. I reveal that the mean repigmentation rate of vitiligo lesions peaked at 1 year of NBUVB treatment and then decreased with prolonged treatment. This study also shows that basic FGF treatment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survival of NCSCs, and spontaneous differentiation into SOX2+ Schwann cell progenitors, but not into MITF-expressing cells. After all, BMP-4 and α-MSH treatment promote a differentiation of NCSC into MITF-expressing cells. Both clinically and experimentally, hair follicle unit extraction(FUE) graft is an excellent source for repigmentation therapy in vitiligo when it is combined with NBUVB treatment. 피부 부속기이자 특수한 소기관인 모낭은 다능 신경릉줄기세포를 함유하고 있으며 얼굴, 몸통 부위 피부의 모낭팽대부와 진피초, 혹은 얼굴 부위 모낭의 진피유두부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신경릉줄기세포로부터 미성숙 슈반세포, 멜라닌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신경 손상 및 염증성 탈색소 질환을 치료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본 저자는 인체 모낭팽대부의 외모근초세포로부터 신경릉줄기세포를 직접 분리 및 멜라닌세포 전구체로의 분화 유도를 확인하고, 난치성 백반증 환자에서 재색소침착의 세포 원천으로서의 신경릉줄기세포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년 이상 장기간의 단파장 자외선 B (NBUVB) 치료를 시행한 19명의 백반증 환자의 기록을 검토하였고, 이 중 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 4명을 대상으로 모낭단위추출 (follicular unit extraction; FUE) 이식을, 2명을 대상으로 미니 펀치 (mini-punch) 이식을 시행한 후 각각 NBUVB 치료를 6개월간 시행하고 색소침착 여부를 비교하였다. 또한 생체외 (ex-vivo) 실험을 위해, 환자로부터 공여받은 두피 피판에서 채취한 모낭 단위에서 모낭 팽대부를 포함한 모근 부분을 남기고 잘라낸 절편을 배양하였다. 외식된 모낭 단위 절편은 세포 이출을 확인한 후 제거하였고 배양된 세포는 동일한 배양액으로 유지하였다. 충분한 세포를 확보한 후 슬라이드로 옮겨 신경릉줄기세포를 확인하기 위한 SOX10, 슈반세포 전구체를 확인하기 위한 SOX2, 멜라닌세포 전구체를 확인하기 위한 MITF 항체에 대한 면역형광염색법을 시행하였다. 기본 배양액에 bFGF를 첨가하여 SOX10 양성 세포(신경릉줄기세포)의 수적 변화를 확인하고, 배양액에 BMP-4와 α-MSH를 첨가하여 MITF 양성 세포(멜라닌세포 전구체)의 수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bFGF를 첨가하였을 때 유의하게 많은 SOX10 양성 세포를 확인하였고, BMP-4와 α-MSH를 첨가하였을 때만 MITF 양성 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기간의 NBUVB 치료에서 재색소침착의 효율이 떨어짐을 확인하였고, 고갈된 저장소 멜라닌세포의 보충에 모낭단위이식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임상적으로 밝힐 수 있었다. 역시 실험적으로 모낭 팽대부에서 신경릉줄기세포를 직접적으로 분리 배양할 수 있고, MITF의 발현에 BMP-4와 α-MSH 가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 집단상담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ARO․PLUS를 활용한 프로그램
김태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남학생을 대상으로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의사결정능력(Career Decision-making Ability)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2.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가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3.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진로의사결정능력(Career Decision-making Ability)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4.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지속적으로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가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W고등학교에서 매년 4월에 실시하는 1학년 종합진로검사를 바탕으로 비교적 진로정체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는 학생들 중에서 희망자 34명을 선발한 뒤, 이질 통제집단 전후검사설계 (Non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여 이들을 17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능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ren(1979)의 진로의사결정검사(ACDM)를 Buck 등(1985)이 수정 보완하고 정채기(1992)가 번역한 것을 일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진로성숙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Crites(1978)가 제작한 진로성숙도검사(CMI)를 이현림(1994)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써 기존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인 서울특별시 교육과학연구원의 <진로탐색 및 의사결정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에서 교육부의 위탁 운영하는 커리어넷의 <ARO·PLUS 진로탐색 프로그램 및 교사용 안내서>를 중심으로 각 시도 교육과학연구원 자료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이다. 연구절차는 실험집단에게만 주 1회(회당 50분)씩 11주간 총11회의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사후 검사와 추후 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서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의사결정능력(Career Decision-making Ability)을 향상시키는데 대체로 효과가 있었다. 둘째,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를 향상시키는데 대체로 효과가 있었다. 셋째,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의사결정능력(Career Decision-making Ability)의 향상은 지속적인 효과가 있었다. 넷째, ARO·PLUS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은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의 향상은 지속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구조화된 아로 플러스를 활용한 구조화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의사결정능력 훈련이 포함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실시되어 중·고등학생들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더욱 검증되고 합의된 정의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RO·PLUS affected th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of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Hypothesis 1.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RO·PLUS might show a significant better impro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2.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RO·PLUS might show a significant better improvement in career matur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3.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RO·PLUS might make a significantly better and sustained progress i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4.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RO·PLUS might make a significantly better and sustained progress in career maturity than a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sophomores in W regular high school in the city of Weonju. A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an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with 17 students each.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Careernet's ARO·PLUS Career Exploration Program and data released by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providing group counsel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only 11 times, once a week, 50 minutes each.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pretest, posttest and retention test were implemented, an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1.5 program and t-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grounded in ARO·PLUS made better strides in career maturity generall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wer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grounded in ARO·PLUS made better strides i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generall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weren'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grounded in ARAO·PLUS continued to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weren't.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grounded in ARAO·PLUS continued to make a better improvement i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wer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had an effect on boost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nd career maturity of the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밀집된 환경에 존재하는 RNA tetraloop 조각의 분자동력학 시뮬레이션 연구
이번 연구에서는 서열이 r(GC[GCAA]GC)로 테트라루프를 가지는 RNA motif가 존재하는 수용액을 대상으로하여, 활동 공간에 제한이 생기도록 계를 설정한 후 REMD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단순히 좁은 공간을 설정하여 진행한 것이 아니라, 이번 연구에서는 RNA를 가두는 입자를 설정하여 입자에 의한 상호작용까지 고려를 하여 계를 완성하였다. 공간의 제약은 RNA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소수성 물질인 아르곤 입자로 이루어진 내벽까지 2.5Å, 4.5Å, 7.5Å의 3가지 크기로 구현하였으며, REMD 모의실험은 280 K부터 500 K 까지 20~29개의 replica를 이용하여 총 300 ns까지 진행하였다. 이후 결과의 해석에는 후반 200 ns의 결과만을 취급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의 극심한 제약은 직접적으로 RNA가 가질 수 있는 구조의 다양성에 한계를 가져옴으로써 접힌 구조가 보다 잘 유지가 되었다. 그보다 큰 제약들에서는 좀 더 다양한 구조가 나타났지만, RNA와 이를 가두는 소수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히는 과정에 영향이 미쳐 변성된 구조가 나타났다. 이 공간이 좀 더 커지면서는 RNA가 소수성 물질과 상호작용 하는 것이 적어지고, 용매와 상호작용 하는 효과가 커져 다시 접힌 구조를 잘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REMD simulations were performed after setting the system that space confines aqueous solution containing RNA motif which has tetra-loop with r(GC[GCAA]GC) sequence. Instead of simply setting a narrow space, the system consists with the particles that hold the RNA and others considered the interaction by confiners. The confinement was realized in three sizes of 2.5 Å, 4.5 Å and 7.5 Å, which is the inner wall made of argon, which are hydrophobic particles that confine the RNA and others. The REMD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from 280 K to 500 K with 20 to 29 replica. The results of last 100 ns in total 300 n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the extreme confinement keeps the folded structure of RNA by directly imposing limits on the variety of structures that it can have. In the more less confinement, more diverse structures were shown, specially misfolded structures were appeared in the folding process, due to the interaction by hydrophobic particles in RNA was placed. As this cavity larger, the RNA is less likely to interact with hydrophobic particle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solvent increases, which seems to keep the folded structure well.
운송물 인도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해상운송인을 중심으로
김태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In general, the carrier shall, subject to the relevant Convention, national rul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terms of the contract of carriage, carry the goods to the place of destination and deliver them to the consignee. Particularly, under a carriage contract in which a bill of lading is issued, the cargo should be delivered exactly as a repayment to the bill of lading from the carrier to the proper holder of B/L except for the non-negotiable bill of lading. Therefore, if this duty is not done by carrier, the carrier should be liable for damages wholly to the consignee under relevant laws. In some cases, the carrier could be sued in contract or tort, presumably, without the protection by LLMC,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cases in law and precedents internationally. The issue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carrier can be raised especially where a container cargo is located in the container yard(CY) and/or container freight station(CFS) after discharging from the carrier's liner-service vessel and therefrom the cargo should be in his or subordinates's custody. The importer carries the cargo from the CY or CFS to the his warehouse through bonded transportation by only notice to custom without the presentation of B/L and eventually the carrier results in mis-delivery of the goods. Caus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commercial law and customs law, there is no way of protection for the carrier under law in presence. Therefore, considering the commercial and maritime laws in domestic and foreign nation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the possible protection ways for the carrier against mis-delivery could be suggested with amendments on the designated and authorized bonded-warehouse regulations and unified procedures of delivery with delivery order(D/O) and the expansion of limitation of liability based on the analyzed case laws and precedents as per the extended delivery scope in recent tendency and policy of carriage contract with B/L.
Application of Biomedical-Polymerfor Cancer and Coronary Disease Therapy
For disease therapy, biomedical polymer was applied in wide field such as diagnosis, medicine, and medical device. Especially, for the drug delivery to disease lesion, polymer was many researched as a drug carrier such as polymeric drug, polymeric micelle, nanoparticles, sphere etc. Biomedical polymer was applied both drug delivery system and various medical device such as wound dressing, hemostatic, implant, and vascular scaffold.PART2is drug delivery system based onO-carboxymethylchitosan(OCMCh). Anticancer agent, doxorubicin(DOX)and OCMCh backbone between conjugate by hydrazine bond(OCAD). In addition, for specific cancer targeting, transferrin was conjugated to DOX-conjugated OCMCh(TPOCAD). The chemical structure was analyzedby 1H-NMR and diameter of products were confirmed 230 nm and 250 nm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respectably. The drug release profile showed that acidic pH was rapidly released than neutral pH. To compare cellular uptake of OCAD and TPOCAD, its internalization was analyz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In addition, cytotoxicity of TPOCAD was accomplished by MTT assay. Therefore, TPOCAD has potential ability as drug delivery system for effective chemotherapy against cells. PART 3-1is novel drug eluting stent (DES) for multi controllable coronary stent. The novel DES was prepared by Hyaluronic acid, specific peptide (endothelialization induce peptide), and everolimus coating.The HA/peptide/everolimus-coated stent was evaluated successfully coating quality by using scanningelectron microscopy (SEM), optical microscopy (OM), and reflection spectrometry. The drug release profile was confirmed that WPP was released until short termand everolimus was until 2 month. In vivo study, HA/WPP/everolimus-coated stent was implanted into coronary artery model for 1 month, and the restenosis and endothilialization effect were confirmed by histopathological study. PART3-2is bioresorbable vascular scaffold (BRS) based on Poly-L-lactic acid (PLLA) for coronary disease therapy. For BRS preparation, PLLA wasmanufacturedtube typeby tubing extruder. And the tube was manufactured micro mesh type by femto-second laser cutting machine. For restenosis reduce, BRS was coated sirolimus/PDLLA (wt% 50/50). The BRS strut diameter and width were confirmed optical microscopy (OM).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such as radial force, flexibility, recoil, and foreshortening. The drug release profile was confirmed at 2 month. Final product was crimped BRS with balloon catheter by crimping machine for target lesion delivery.The in vivo study, BRS was implanted in porcine modelby balloon catheter. The angiographywas confirmed by QCA, X-ray, and OCT such as vessel size, wall apposition, and malposition. The restenosis and thrombosis were confirmed by histological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RS has a maximum radial force for vascular support and minimum flexibility for vascular conformability. The importance of the effects of this differencein scaffold design and their potential relationship with restenosis remains to be determined.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tudy circle activiti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topic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circ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second, to find out how participation types influenc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ird, to find out how a participation level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urth, to find out how a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4 respondents aged more than 50 years old who were participating in any lifelong learning programs or study circles in Gangneung Lifelong Learning Center, Gangneung Women's Cultural Center, Gangneung Senior Welfare Center, or Gangneung Educational Cultural Center located in Gangneung, Gangwon-do. SPSS v.21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feasibility examination, and the reliability was inspected to verify Cronbach's alph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distribution, and un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based on study circle activities. Statistically analytic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First, we have reviewed participants’ ages, gender, education, marital statu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occupations before retirement to discuss the differences in social capital and study circle activities according to participant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circ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Participation types of the study circle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y gender, ages, and education variables. That is, a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advanced learning-typed circles and social practice-typed circles was shown for older, male rather than female, and spouseless. A longer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tudy circle was shown for older, male rather than female, >400,000 won and <700,000 won rather than <400,000 won of monthly income earner. Executive positions (leader or manager) in the study circles were more often performed by male rather than female, educated, and professional job holders before retirement. A higher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study circles was shown for younger, female rather than male, educated, and responders living with spouse. For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 higher ‘Network’ of social capital was shown for younger, female rather than male, and responders living with spouse or children, whereas a higher level of 'Trust' and 'Network' was shown for responders living with spouse. Education, income, and retirement statu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hree variables of social capital, namely, higher educated, more income, and still hired responders showed a higher level of social capital. However, former occupation before retirement did not affect social capital. Second,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participation types (a further study type, a professional research type, and a social practice type) in the study circle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for the variable of ‘Social Participation’,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relationship for ‘Trust’ and ‘Network’ of study participation type and social capital,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a social practice type is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Soci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more people participate on the social-practice typed study circle, the higher ‘Social Participation’ they have. Third,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participation level (a participation period, an elapsed time per activity, and a role of participant) of study circle, it was revealed that an elapsed time per activity was related with ‘Network’ of social capital, which means that a longer elapsed time per activity increases ‘Network’ of social capital.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level and ‘Trust’ variable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a participation period and a role of participant in the study circle were rela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of social capital, which means that ‘Social Participation’ level of social capital increased as much as executive role is performed, or as much as participation period continues. Fourth,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study satisfac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y satisfaction was meaningfully related with all three variables (‘Trus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ocial capital. The higher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tudy circle people have, the higher level of ‘Trust,’ ‘Networks,’ and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Namely, a participant satisfaction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to form social capital.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influence study circle activities and social capital, a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study circle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Especially, it was verified that a participant satisfaction of study circle strongly affect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s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attention of the emerging new silver generation in the aging society, and to verify that study circle activities of new silver gener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establish appropriate plans for aging society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학습동아리 활동 및 사회적 자본에 차이가 있는지, 둘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유형이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이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넷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시 소재 평생학습기관인 강릉시평생학습센터, 강릉시여성문화센터, 강릉시노인종합복지관, 강릉교육문화회관의 평생학습프로그램 및 학습동아리에 참가하고 있는 만 50세 이상 참가자 4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도구의 타당성 검정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 자본 및 학습동아리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분석,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습동아리 활동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학습동아리 활동 및 사회적 자본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뉴실버 세대의 연령, 성별, 학력,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퇴직 전 직업 등으로 검정하였다. 먼저,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학습동아리 활동의 차이는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의 경우 연령, 성별,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화학습형과 사회실천형 학습동아리는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참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은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월평균소득이 40∼70만원인 경우가 40만원 미만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에서의 역할은 여성보다 남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 전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가 리더, 총무 등 운영진의 역할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뉴실버 세대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혼자 사는 경우보다 배우자 및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신뢰’와 ‘네트워크’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소득, 퇴직 여부는 사회적 자본의 세 가지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직장을 다니고 있는 경우가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퇴직 전 직업에 따른 사회적 자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심화학습형, 전문탐구형, 사회실천형)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 변인과 사회적 자본의 ‘신뢰’ 변인, ‘네트워크’ 변인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동아리 참가 유형 중 사회실천형의 경우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사회실천형 학습동아리에 많이 참가할수록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참가 기간, 1회 활동 시간, 참가자의 역할)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동아리 참가 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신뢰’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동아리 1회 활동 시간은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동아리 1회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 및 참가자의 역할은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동아리 참가 기간이 길수록 학습동아리에서 운영진의 역할을 할수록 사회적 자본의 ‘사회참여’ 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 만족도는 사회적 자본의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 세 가지 변인 모두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동아리 학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신뢰’, ‘네트워크’, ‘사회참여’ 수준 모두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있어 학습동아리 참가자의 학습 만족도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뉴실버 세대의 개적인 배경에 따라 학습동아리 활동과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동아리 참가자의 학습 만족도가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뉴실버 세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뉴실버 세대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보다 적실성 있는 고령화 정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디안젤로(D'angelo)의 작곡, 편곡 연구를 통해 본 네오 소울(Neo Soul) 위상에 대한 고찰
김태훈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논문은 디안젤로(D’angelo)라는 흑인음악 아티스트의 음악세계 및 작곡, 편곡 연구이기에 데뷔곡 및 수상경력이 있는 앨범 수록 곡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네오 소울이 지니는 위상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작업이다. 흑인 음악 또는 블랙 뮤직(Black Music)은 미국의 흑인 발상 음악의 총칭이다. 강한 비트 감, 그루브 감을 특징으로 한다. 블루스, 가스펠, 소울, 알앤비, 힙합, 재즈 등 현재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 장르를 낳고, 또한 팝과 록, 전자 음악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20세기에 태어난 거의 모든 대중음악의 원천이 되었다. 본 연구는 소울의 하위 장르인 네오 소울의 아티스트인 디안젤로라는 음악인의 음악활동과 작품을 분석함으로서, 현재에도 대중적, 음악적으로 영향을 알아보려고 한다. 디안젤로를 시작으로 네오 소울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지고 1990년대 후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후발주자들이 네오 소울을 대표하고 대중음악을 이끌며 영향을 주고 있으며, 디안젤로가 보여주는 음악의 작곡, 편곡 법은 현대에도 사용되고 발전되고 있다. 또한 단순한 리듬과 작곡법을 나아가 음악이 주는 메시지는 연인과의 사랑이야기에 국한되지 않고 사상적인 메시지와 새로운 발상의 메시지가 담겨 있어 음악이라는 매개체로 지속적으로 문화와 사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 insights, and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D’angelo as a Black artist. This study looks at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neo soul music by analyzing the pieces in his first album and albums that was awarded. The Black music is a term that refers to all Black originated music genres. It is characterized by strong beats and groves. It inspired many music genr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blues, gospel, soul, R&B, hip-hop and jazz. It also influenced pop, rock and electronic music which became the roots for almost all music genres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nalyzes the music careers and artworks of D’angelo who is an artist of neo soul which is the sub group of soul to study influence of his music in popular culture and music field. The name neo soul has began from D’angelo. Many followed his path from the end of 1990s to present representing neo soul and leading the pop music.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s of D’angelo is still used and developed now. Moreover, simple rhythms and messages from the music is not only limited to love but conveys ideological messages and innovation. The messages of D’angelo has continuously influenced culture and ideas of today in the form of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