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 인성교육을 통한 수련생의 생활태도 변화분석

        김종국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인성교육이 생활태도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이 변화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일선 지도자가 태권도 수련생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지도와 태권도장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태권도 수련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성교육과 생활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ANOVA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인성교육이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권도 수련생의 개인적 특성에 생활태도의 차이를 보면, 첫째, 학년별 생활태도의 차이는 학교생활태도,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수련기간별 생활태도의 차이는 일상생활태도,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학년별 인성의 차이는 기본생활습관과 공동체 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태권도 수련생의 인성교육에 따른 생활태도의 관계를 보면, 첫째, 태권도 수련생의 생활태도와 기본생활습관의 차이는 일상생활태도,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태권도 수련생의 생활태도와 공동체 의식의 차이는 학교생활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생의 생활태도와 공동체 의식의 차이는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aekwondo Human nature training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rainees. By drawing general conclusion of changing of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his study need to be offered for the leaders or schools that need to utilize teaching method and to raise the efficiency of teaching. The subject of study is the elementary trainees joining Taekwondo school in Gwang-ju city. As the subpopulation , the 5 Taekwondo schools are chosen and 200trainees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s suitable questionnaires ;Kim sang-kyu(2005)'s questionnaire is used as Human nature survey questionnaire and Jung you-jin(2005)'s questionnaireis used as Changes of Attitude questionnaire. Among the whole samples of population, SPSS 13.0 is used as the final validity samples except for the not suitable sample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attitude of everyday's life and human nature training according to trainee's personal charact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NOVA is used to analyze tha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sults that the human nature training affect to trainee are followed: In observation the difference of changing attitude by trainee's personal character, First, the differences of graded attitude has similarity in attitudes of school and relations of friends. Second, the periodical difference of training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of daily behaviors and relation of friends. Third, the difference of human nature by grading is related with basic daily habit and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 If we observe the relation trainee's daily life attitude according to Taekwondo human nature training ,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daily attitude and basic daily habit is differ from relationship and daily life style. Second, The difference of Taekwondo trainee and consciousness of community sprit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of school life. Third, he difference of Taekwondo trainee and consciousness of community sprit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of school life and daily life.

      •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정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가설1.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전에 비하여 높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2.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교우관계는 프로그램 경험 전에 비하여 높게 향상될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경험하기 위해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대전광역시 대덕구에 위치한 B초등학교 4학년 4반 어린이 30명(남자:15, 여자:15)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박애선(1993)이 Coopersmith(1975)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번역하여 사용했던 검사지를 5점 척도로 바꿔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의 4개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총 25문항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교우관계 검사지는 홍옥숙이 개발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 도구는 2개의 하위요인인 신뢰감과 존중감으로 구성되어있다. 실험도구로는 경상남도 교육청(1996)이 발간한 ‘초등학생용 인성교육을 위한 집단상담’과 국내 논문 김기수(2000), 강홍자(2003), 문정녀(2002) 등의 논문을 참고로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를 사전 검사를 하였고, 집단상담은 회기 당 50분, 3개월에 걸쳐 12회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마친 후 자아존중감 및 교우관계를 사후 검사 하였다. 결과처리는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검사를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 경험 전과 경험실시 후에 각각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은 경험 전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은 경험 전에 비하여 교우관계가 향상 되었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교우관계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tried to explore any of group counseling centered on personality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steem and relationships among peer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group counseling would be positively changed. 2. The style of relationships among peers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also positively changed. The subjects were thirty students at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duk, Daejeon; fifteen male and fifteen female students. They were selected from the fourth grade students who wanted and were advised to join the group counseling. The self-esteem test, translated by Aesun Park(1993) from Coopersmith's original version, were modified as five-level test in the study. The test categorized children's self esteem into four subgroups such as general ego, family ego, social ego, and school ego and consist of total twenty-five questions. The peer relationship test, originally developed by Oksoon Hong, included two subcategories of trust and respect. The test method, based on Group Counseling for Elementary Personality Education by Kyunsangnamdo Education Ministry(1996) and studies of Kisu Kim, Hongja Kang, Jungnyeo Mun, was reconstructed with the help of the authorities' advice.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pre-test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twelve times of three-month group counseling (forty minutes for each session), and post-test of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ANOVA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선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이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가설은 첫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다. 이러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N초등학교 2학년 학생 2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이승헌(2002)이 계발한 뇌호흡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사)한국뇌교육원에서 개발한 ‘뇌교육 인성’을 연구 대상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검사도구로 첫째, 자아존중감 검사는 Coopersmith(1981)의 SEI (Self-Esteem Inventory)를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번안한 것을 연구 대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둘째, 또래관계 검사는 홍옥순(1984)이 개발한 자료를 지도 교수의 도움을 받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이해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실험 처치 후 가설 1과 가설2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및 지속효과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결과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WIN(Ver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첫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4)= -4.590, p<.001),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도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t(24)= -.832, p>.05).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하위 변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t(24)= -4.025, p< .001), 사회적 자아존중감(t(24)= -2.870, p<.01), 가정적 자아존중감(t(24)= -3.179, p<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또래관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4)= -3.047, p<.01), 프로그램이 종료 된 후에도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t(24)= -1.302, p>.05). 또래관계의 하위 영역별 결과 또한 신뢰감(t(24)= -2.291, p<.05), 존중감(t(24)= -2.531, p<.05) 모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자면,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격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가정생활에서 사회생활로 확대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의 학생들에게 나를 사랑하고 친구와 사이좋게 지낼 수 있게 하는데 뇌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measure the effects of such program on their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To meet the above purposes, this study pos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ich effects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ay have on self-esteem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ly, which effects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ay have on peer relationship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solve these two questions,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hypotheses based on relevant literatures and prior studies: First(h1),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econdly(h2),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s on peer relationship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two hypotheses, this study took total 25 children (2nd grade) attending at N Elementary School in Seo-gu district,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y were asked to join the proposed program hereof for experiment. The brain-based personality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principles of brain respiration method (Seung -heun Lee, 2002), and was also designed as an adapted version of ‘Brain Education and Personality' (Korea Brain Education Society) to reflect the subjects hereof, focusing on the asp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testing tools: First, self-esteem test was redesigned from an adapted version (Bo-ga Choi & Gwee-yeon Jeon, 1993) of SEI (Self-Esteem Inventory; original designed by Coopersmith, 1981) to reflect our subjects hereof. Secondly, peer relationship test was adopted as a modified and complemented version of a reference tool (Ok-sun Hong, 1984) under the advice of tutorial professor to reflect comprehension level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verify the effects in above h1 and h2 after preparing for experiment, this study used SPSS WIN (Ver 12.0), a statistic program, so as to process and analyze measurement data in statistical way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upon better self-esteem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24)= -4.590, p< .001), and such positive effects sustained even after the end of program (t(24)= -.832, p>.05). And with regard to subfactors of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self-esteem (t(24)= -4.025, p< .001), social self-esteem (t(24)= -2.870, p<.01) and domestic self-esteem (t(24)= -3.179, p< .01) after program on a statistical basis.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er relationships of ou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24)= -3.047, p<.01) and such effects sustained even after the end of program (t(24)= -1.302, p>.05). In terms of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said education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nse of reliability (t(24)= -2.291, p<.05) and sense of respect (t(24)= -2.531, p<.05) as well.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the brain-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ence, it is expected that brain- base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ill be very useful fo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extend their life from home to society in the beginning of school life, so that they can love themselves rightly and get along with classmates and friends.

      •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

        이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 3~4학년군 ①~④권과 5~6학년군 ①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5~6학년군 ②권과 ③권은 역사 영역으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④권은 연구 시점에 아직 현장 적용되지 않은 관계로 제외하였다. 교과서의 분석 준거는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덕목과 인성역량을 선정한 양정실 외의 연구와 사회과 교육에서 주도해야 할 인성교육의 핵심요소를 선정한 은지용의 연구 내용을 종합하여 설정하였다. 또한 인성 내용의 목표 유형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용 지도서 단원의 목표 서술어 유형을 정리하여 분석 준거로 삼았다.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 대상 교과서의 전체 수업 분량 230차시 가운데 인성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은 74차시로 전체 학습 내용의 32.2%를 차지하고 있었다. 요소별 비율을 살펴보면, ‘참여’가 인성 관련 내용 가운데 3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문제해결력’이 27.1%, ‘관용’이 15.6%, ‘인권’이 8.3%, ‘정의’가 7.3%, ‘갈등해결력’이 5.2%, ‘공감’이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목할 점은 첫째, ‘참여’와 ‘문제해결력’ 요소가 모든 교과서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며 분석 빈도가 높았던 반면 ‘갈등해결력’과 ‘공감’ 요소의 분석 빈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둘째, ‘관용’과 ‘인권’ 요소는 각각 15.6%, 8.3%의 빈도로 분석되었지만 특정 단원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인권’과 ‘정의’ 요소는 적은 비중으로 나타났지만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 6학년 2학기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단원에서 더 많이 다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목표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인성교육 내용 가운데 지식 영역이 46%, 기능 영역이 31%, 가치·태도 영역이 2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요소는 다른 인성 요소들에 비해 기능과 가치·태도 영역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참여’ 요소가 주로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관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참여’를 제외한 다른 요소들은 지식 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성교육에서 말하는 인성이 지·덕·체(智德體), 지·정·의(知情意)가 고루 발달한 ‘전인(全人)성’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기능 및 가치·태도 영역의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셋째, ‘공감’ 요소는 2차시에 걸쳐 지식 영역에만 분포하고 있어 사회 수업을 통해 공감 능력을 함양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과서의 인성교육 내용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 구성 시 인성 요소의 고른 배분이 필요하며 특정 단원에서 일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요소들에 대해 지속적이고 연계성 있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심각한 학교폭력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수 있는 ‘공감’ 요소에 대한 내용 보완이 필요하며 ‘공감’ 능력의 함양을 위해서는 인지적 차원의 학습을 넘어 체험에 기반을 둔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지식, 기능, 가치·태도 목표 유형 간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토의, 조사, 프로젝트 학습 등 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한다. 넷째, 수업을 안내하는 교사가 사회과를 통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지도하는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 연수의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study subjects were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Volumes ① to ④ for third and fourth grade groups and Volume ⑤ for fifth and sixth grade groups. Volumes ② and ③ were excluded from the target because they belonged to history section, and Volume ④ was also excluded because it was not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Jeong-sil Yang et al. study on selecting virtues and character competence required to be pursued i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Ji-yong Eun study on selecting cor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should be led by social studie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target distribution type of characters, this study summarized the target predicate type of teacher's guide unit and then used it as an analytical referenc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74 out of a total of 230 classes of the target textbooks included character education, and accounted for 32.2% of the total learning content. With regard to the elemental ratio, 'participa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character-related content, 34.4%. 'Ability to solve problems', 'tolerance', 'human rights', 'justice',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empathy' accounted for 27.1%, 15.6%, 8.3%, 7.3%, 5.2%, and 2.1%, respectively. The notabl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s such as 'participation'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were continuously treated in all the textbooks with high analytical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analytical frequency of elements such as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empathy' was extremely low. Second, elements such as 'tolerance’ and 'human rights' were analyzed with 15.6% and 8.3% frequency, respectively. However, they tended to be treated intensively in specific units. Third, although elements such as 'human rights' and 'justice' had a low proportion, they seem to be treated more frequently in the unit named 'Democratic Politics in Korea' that is the unit in the second semester of sixth graders and excluded from the target.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target type. As a result,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domains accounted for 46%, 31%, and 23%, respectively. The notabl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 'participation'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skill and value and attitude domains than other character ele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Element 'participation' was observed main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joint projects. Second, knowledge domai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other elements excluding 'participation'.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e content of skill and value and attitude domains in that the 'character' in character education means 'wholeness' with uniformly developed knowledge virtue and health (智德體) and knowledge emotion and intention (知情意). Third, Element 'empathy' seems to be limited in developing empathic ability through social studies class because it is distributed only to knowledge domain in two class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content in character education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evenly distribute character elements when establishing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persuade to learn elements temporarily treated in specific units with continuity and connec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e content of Element 'empathy', which is capable of playing a key role in solving serious school violence, and to construct classes based on experience beyond learning at the cognitive level to develop 'empathic' abi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learn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investigation, and project learning so that target types such as knowledge skill and value and attitude can achieve a bala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teacher training so that teachers can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s, and accurately perceive which character elements they should emphasize in social studies classes.

      • 2009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서의 인성요소 분석

        이시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인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인성교육의 개념과 일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표현 영역의 기악 학습과 감상영역의 이해 학습, 생활화 영역에서 내재된 인성요소를 추출하여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의 개념과 정의를 여러 관점에서 탐색하고 인성교육과 음악교육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인정 음악 교과서 5종을 선정해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영역 중 기악영역에서는 모든 교과서가 개인 연주와 합주 활동이 제시 되었으며, 개인 연주보다는 합주 활동에서 많은 인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인성요소 중에는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 자기표현을 나타내는 ‘존중’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고,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음악의 미적 자극을 느끼고 수용하는 ‘음악적 감수성‘ 이였다. 둘째, 감상영역 중 이해영역에서는 5종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국악사와 서양음악사에서 여러 나라 음악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배려’와 ‘존중’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생활화영역에서는 모든 인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음악 활동을 통해 습득한 예술적 능력을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5종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음악회 열기, 음악 만들기 등의 창작활동을 통해 ‘존중’, ‘배려’, ‘음악적 감수성’, ‘자율과 책임’, ‘참여 와 활동’, ‘문제해결 능력과 판단력’, ‘소통능력’, ‘정의’등의 인성요소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 모든 영역이 인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영역별로 인성교육의 요소가 분리 되어 있거나 편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의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음악적 요소와 인성요소 간 균형 있는 통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음악교육, 인성교육, 인성요소, 2009 개정 중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the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through extracting inherent character factors from the areas of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of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of music’, and ‘usage of life’, in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concept and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eview on the litera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and the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Moreover,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five different versions of textbooks, which were approv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ave been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evaluate the musical and character factors in the textbooks.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n all versions of the textbooks, the parts in ‘expression of instrumental music’ are presented with solo performances and ensembles, and more character factors are included in the group performance than solo performance. Among the character factors, ‘respect’ (which corresponds with self-expression), optimistic attitude, and confidence of an individual are the most largely included factors. Moreover, ‘musical sensitivity’, which corresponds with the appreciation and acceptance of aesthetic stimulus, has the second largest percentage of the character factors. Second, in the part of understanding’ from the appreciation domain, it includes ‘consideration’ and ‘respect’ which are the character factors that help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sic from different countries. This was commonly observed in the domain of Korean music history and Western music history in all five versions of the textbook. Third, all the character factors are included in the ‘usage of life’domain, and the artistic ability acquired through music activities is applied to everyday life to help students practice the acquired ability. Musical creative activities such as opening a concert or creating music are what commonly covered in all five versions of the textbook, and character factors including ‘respect’, ‘consideration’, ‘musical sensibility’,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participation and activ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judgment’, ‘communication skills’ and ‘sense of justices’ are observed in the crea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all three domains include character factors, yet the factors of character education are concentrated in different degree in each area. It is hoped to seeing the achievement of balanced integration between music factors and character factors through various studies of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textbooks. keywords: character education, Music education

      • 피부미용사의 인성교육이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민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피부미용사의 인성교육이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피부미용실에 근무하는 피부미용사 302명 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사의 인성교육이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피부미용사의 인성교육과 직무 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인성교육의 하위영역을 도덕성, 사회성, 감성으로 설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령은 30대가 많았고 직급은 20대와 30대의 경우 관리사가 많았으며 피부미용 시작 시기는 20세부터가 높았다(p<0.001). 인성교육 내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더불어 사는 태도, 인성교육의 성격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도덕적 인간이라고 나타났다(p<0.05). 피부미용사의 인성요인(자기조절, 책임, 소통)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1). 자기조절과 소통은 인성교육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보였다(p<0.05). 인성인식 중 자기조절은 이직의도의 본인문제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p<0.05). 인성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01).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사의 인성요인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 역시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이직을 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p<0.001).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사의 인성교육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의 관계성을 서로 상호 보완 할 수 있는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함을 본 연구에서 시사하였다. 주제어 : 피부미용, 인성교육,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The Effect of Estheticians' Personal Education on Job Turnover Intension and Job Stres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stheticians' personal education affect on job turnover intension and job stress, and the survey were taken by 302 people who work for esthetic shop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stheticians' personal education affect job turnover intension and job stress, sub-areas of personal education as follow; morality, sociality and sensibility in the survey.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ir 30s. and job position of 20s and 30s were manager generally, initially starting their job in their 20s (p<0.001).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personal education is attitude along with other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personal education is moral man (p<0.05). The higher estheticians' personal factors(self-regulation,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lower intension of job turnover (p<0.05), (p<0.01). Both self-regulation and communication shows positive affect to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factors(p<0.05). Self-regulation in personality awareness negative affect to the job turnover by their issues(p<0.05). Higher satisfaction of personal education, less on job stress(p<0.001). Estheticians' personal factors were high, job turnover was hardly found(p<0.001). More job stress affect to frequent job turnover(p<0.001). This study implies the needs of continuous research in order to found out correlation closely between job turnover and stress with estheticians' personal education. Keyword: Esthetician, Personal Education, Job Stress, Job Turnover Intension.

      • 버트런드 러셀 교육론 연구

        조미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Russell 교육론을 고찰하고 그의 교육론이 갖는 인성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Russell 교육론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의 교육론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인성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의 교육론은 교육에 대한 자신만의 뚜렷한 견해 및 통찰력을 담고 있다는 평가와 과학적인 입증이 부족해 가설로만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상반된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의 관점을 온건하게 취하고 있으며, 그의 교육론을 분석함에 있어 이론의 학문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과 교육적 당위와 가치를 담은 그의 주장을 해석하고 새롭게 제안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Russell 교육론의 사상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그의 교육론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Russell의 자유주의 사상과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자유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유 개념을 분석하기 위하여 특히 아동중심교육과 자유교육에서 의미하는 자유 개념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세계대전의 시대를 관통했던 Russell은 교육을 인류의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았다. 그의 교육론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교육목적의 설정에 평화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그가 주장했던 평화주의 사상과 평화교육의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Russell의 교육론을 교육목적 및 원리, 인성교육의 측면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학생들이 행복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이 되기 위해 필요한 이상적인 성격요소인 덕목을 함양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네 가지 덕목인 활력, 용기, 감수성, 지성은 학생들이 자유로운 지성을 가진 행복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이어서 교육목적을 분석함으로써 그가 의미하는 교육일반이 인성교육을 전제하고 있음을 밝혔다. Russell의 교육론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세 가지 원리인 자유 존중의 원리, 무조건적 애정의 원리, 본능 개발의 원리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논하였다. 한편,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그가 논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영역으로는 평화교육, 성교육, 지식교육이 있다. 위의 교육영역들 안에서 자유 존중의 원리가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애정의 원리와 본능 개발의 원리도 함께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Russell 교육론의 인성교육적 함의는 목표 설정 차원, 내용 구성 차원, 방법 설정 차원으로 제시되었다. 우선 목표 설정 차원으로는 덕교육적 접근과 활력 덕목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가 제시한 요소 중 활력은 앞으로 중요성이 더 강조되어야 할 덕목임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내용 구성 차원으로는 인성교육에서 성교육 비중의 확대를 주장하였다. 다시 말해, Russell 교육론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담론에서 성교육의 필요성과 의의가 점차 증대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방법 설정 차원으로는 첫째, 인성교육 방법에서 자유와 훈육간의 바람직한 관계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의 교육론은 자유와 훈육을 대립이 아닌 조화로운 교육방법으로 설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둘째, 교사의 애정과 교육적 기술의 역할을 강화하였다. 특히 그가 제시하는 여러 가지 교육적 기술의 습득은 강조되어야 할 교사의 자질임을 밝혔다. 셋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연결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의 교육론은 인성교육의 체계적․지속적인 실현을 위해 필요한 교과교육의 원리를 제공하고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Russell 교육론이 갖는 인성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여 인성교육의 실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노력을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관점이 제시되고, 그 중요성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내용 및 철학들이 앞으로 더욱 강조되고 연구될 수 있기를 바란다. 그 결과 Russell의 주장처럼 학생들이 사랑으로 격려되고 지식으로 인도되는 교육으로서 인성교육이 실현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theory of Bertrand Russell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his educational theory. To this e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his educational theory was examined, and his theory of education was analyzed. It is tried to propose implic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His theory of education is receiving contradictory evaluations at the same time: it contains a clear perspective and insight into education, or it should be accepted only as a hypothesis because it lacks scientific proof. In analyzing his theory of education, this paper proceeded both processes of establishing the academic basis of theory and proposing his argument for educational merit. First,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Russell's theory. In order to analyze his theory of education, which emphasized freedom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his liberalism and the concept of freedom in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concept of freedom in education, the concepts of freedom i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at in liberal education were compared. Russell, who passed through the era of world wars, saw education as an essential condition to achieve the peace. Since pea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ackground of his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is paper the notion of pacifism and peace education that he had advocated were investigated. In the body, Russell's theory of education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purpose and principle, and the character education. He observed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to cultivate virtues that would be the ideal character elements which would be necessary for students to become citizens constituting a happy and free society. Four virtues-vitality, courage, sensitiveness, and intelligence - are the basis to grow up to be a happy citizen with free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by analyzing the purpose of education, this paper showed that his general education presupposed character education. Three core principles of Russell's theory of education such as respect of freedom, unconditional affection, and instinct development were reviewed. The specific education areas for identifying his character education are peace education, sex education, and intellectual education. It was fond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freedom was applied to all the areas of education in common, and the principles of affection and instinct development were included. The implications of Russell 's educational theory derived from this paper were presented from the dimension of goal setting, content composition and method setting. First of all, as from the dimension of goal setting, we can emphasize the approach of virtue education, especially the vitality virtue. In particular, it was discussed that the vitality that he had proposed would be the more emphasized as an important virtue. Next, from the dimension of content composition, it can be the ground for expanding the proportion of sex education in character education. It confirm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whi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racter education discourses. Finally, from the dimension of method setting, first it can provide desirable method of freedom and discipline in character education. His education theory is meaningful in that he set freedom and discipline as harmonious concepts rather than confrontational ones. Second, we can strengthen the role of teachers' affection and educational skills. In particular, the paper has addressed that the acquisition of various educational skills that he had proposed would be the qualification of teachers that should be emphasized. Third, it can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which aims to cultivate human nature. The paper addressed that his educational theory provided the principle of curriculum necessary for systematic and continuous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deriving the implic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that Russell’s educational theory had. It is hoped that the philosophical soil of character education becomes more fertile and the contents and philosophies c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studied in the future, which had not drawn as much attention as their importance. It is expected that character education will be realized as an education in which students are encouraged and guided to knowledge with love.

      •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2005-2007)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 인성교육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이강하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5, 2006, 2007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 연구발표 대회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에 적용된 학년, 관련 교과목은 무엇인가?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의 실천 주제는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가?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의 실천요소에 대한 지도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여 각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한 평생교육 실천사례연구 발표에서 전국단위에서 입상한 2005, 2006, 2007 인성교육실천사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에서 알아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사례에서의 인성교육의 대상은 학년별 차이가 없었다.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는 구체적인 체험과 실천, 반복적, 지속적인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저학년의 발달특징에 감안하여 보면 고학년 보다는 저학년에서의 기본생활습관, 가치관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인성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인성교육 관련 교과목은 ‘도덕’이라는 교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교과가 아닌 교과 통합중심 지도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증가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교사는 교과 전담이 아니라 담임 제에 의하여 통합하여 다른 교과를 가르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의 인성지도는 특정교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교과의 지도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인성지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교과는 어느 특정한 교과가 아니라 전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실천 사례의 주제에 대한 실천은 제 7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도 생활영역 중심이 아닌 가치관계의 확장의 측면에서 나 - 친구 - 가족 중심으로 지도 되어 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생명존중, 환경사랑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증가하고 있다. 즉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의 주제는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기 보다는 나를 중심으로 한 가치관계 확대을 통한 지도를 하고 있다. 또 생명존중, 환경사랑 영역이 2007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자연 초원적인 존재와의 영역에 처음 등장한다는 사실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이전부터 현장에서는 인성교육의 영역으로 지도 되어 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주제의 범위를 확장하여 지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실천 요소에 대한 지도 유형은 초등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을 지닌 지도를 통해 행동의 변화를 요구하고 나를 이해하고 친구 관계를 원만히 하며 나와 가족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원만한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자아 존중감, 자기이해와 함께 대인관계를 원만히 유지하게 하기 위해 정의적, 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요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실천요소들의 평가는 교사의 주관적인 평가로서 매우 긍정적이고 호의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평가 결과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의미 있게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나 교사들의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초등학교 국악관현악 활동과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차옥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들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국악관현악 활동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성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으로 국악관현악 활동을 하고 있는 농촌 초등학교의 3학년∼6학년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과 2013년에 걸쳐 이뤄진 교육활동을 토대로 한국종합심리 검사소에서 제작한 다중종합 심리검사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인성변화를 측정한 후, 2012년과 2013년의 측정치를 사전․사후검사로 하여 t검증을 통해 변화의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다중지능의 8가지 영역의 변화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인성적 지능에 해당하는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이해지능 영역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적 지능인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이해지능의 두 영역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 분석 결과, 대인관계지능의 하위 영역인 다중지능과 다중적성, 다중흥미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이해지능에서는 다중흥미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3학년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적성에서, 5학년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지능에서, 6학년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흥미와 자기이해 지능의 다중적성과 다중흥미 세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4학년은 어떤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이는 초등학교 국악관현악 활동이 중학년보다 고학년에서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말해 준다. 넷째, 성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이해 지능에서 다중적성 점수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여학생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지능과 다중흥미, 자기이해 지능의 다중흥미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국악관현악 활동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한 결과로 해석된다. 다섯째, 악기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관악기를 연주한 학생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적성과 다중흥미, 자기이해 지능의 다중적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현악기를 연주한 학생은 자기이해 지능의 다중흥미에서, 그리고 타악기를 연주한 학생은 대인관계 지능의 다중지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관악기를 연주한 학생들이 다른 악기를 연주한 학생에 비해 인성교육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초등학생들의 국악관현악 활동이 학생들의 인성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도시지역의 다인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악관현악 활동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또 다른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검사 도구를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방향 모색에 국악관현악 활동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겠다. 넷째, 국악관현악 활동이 대인관계지능 및 자기이해지능 뿐만 아니라 다른 지능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잠재적 교육적효과를 염두에 둔 다양한 학생활동을 계획해 볼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