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체육수업 재미거리 분석

        심지훈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66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njoyment factor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mail questionnaire survey of 224 high school students (122 boys and 102 girls) in 10 school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set of open questions asking them to describe three main reasons why they enjoy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ata collected was process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competence control-self,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ason by male students was physical strength development. It was followed by the answers, sense of achievement and stress relief. In the area of competence control-others, compliments from teachers were found as the main reason for them to enjoy the class. In the area of movement competition,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reason was goalball, followed by acquisition of a variety of sports skills. As for non-performance context related,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swer was enjoying free time. Seco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swer in the area of competence control-self was stress relief. As for competence control-others, no remarks were made. The female students also made the most frequent response in the area of movement competition by referring participation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enjoying myself etc. As for non-performance context related, free time was the most frequently referred answer. Thir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with regard to competence control-self, mal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trength and the promotion of health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interests in activities for stress relie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no special interests in the area of competence control-others. This result means that both of them pursued inner factors rather than outward ones in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As for movement competition, mal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specific sports events while female students preferred trying more various activities. In the area of non-performance context relat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enjoyed physical education class because they could have free time during the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교 고등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느끼는 재미거리를 살펴보는데 있다.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중 10개 시각장애학교의 고등부(남학생 122명과 여학생 102명)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우편조사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개방형 설문지이며,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문지 : “체육 수업에서의 어떤 점이 가장 재미있는지 세 가지만 간 략히 적으세요” 자료분석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남학생들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는 ‘체력을 기를 수 있어서’, ‘성취감을 느낄때’, ‘스트레스가 풀려서’의 순으로, 유능성 요소(통제-타인) 영역에서는 ‘선생님이 칭찬해서’의 반응에 체육수업에서 재미거리로 느끼고 있다. 다른 영역 중 높은 반응을 보인 움직임 관련요소(경쟁) 영역에서는 ‘골볼’, ‘여러가지 운동기술, 방식 알게 되어서’의 반응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 영역에서는 ‘자유시간 때문에’의 반응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여학생들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는 ‘스트레스가 풀려서’의 반응이 체육수업에서 재미거리로 느끼고 있었으며, 유능성 요소(통제-타인)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 또한 다른 영역들보다 움직임 관련요소(경쟁) 영역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즐겁게 놀 수 있어서’의 반응이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 영역에서는 ‘자유시간 때문에’의 반응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성별간 체육수업 재미거리 비교분석에서 눈여겨 볼 점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 남학생은 체력증진과 건강에 관심을, 여학생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하며, 유능성 요소(통제-타인)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낮은 반응으로 이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체육수업에서 외적인 것보다 내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었다. 움직임 관련요소(경쟁)에서 남학생은 특정종목을, 여학생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에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에서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자유시간 때문에 체육수업이 재미있다고 반응하였다.

      •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 분석

        홍미선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acy of teachers in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SVI) through providing reference data about teacher's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how different efficacy teachers have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 in SVI. Two hundred and six teachers from twelve different?SVI in South Korea was involved in the survey, and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survey included efficacy and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ex, age, marital status, career, and job position. The study result shows that self-confidence was improved at survival stage, but decreased at promotion oriented stage, and the efficacy of blind and low vision teachers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ight teachers.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improve efficacy of those who have low vision and blind teachers and who at survival and promotion oriented stage.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사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사효능감 증진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 초?중?고 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하여,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경력, 보직과 같은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발달단계와 교사효능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생존단계에서는 자신감이 발달하는데 반해 승진지향단계에서는 자신감이 낮아졌고, 정안 교사에 비해 저시력과 맹교사의 효능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생존단계와 승진지향단계의 교사에게, 저시력과 맹교사에게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과 제도적 정책적 지원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의 관계 연구

        이신영 대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615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how to the teachers in blind school perceive the National Teachers’ Evaluation System in relation to its sub-categories such as professionalism, validity, satisfaction, and acceptance to pave the way to develop more effective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in blind schools. The survey was designed to show how to the teachers ideas concern to the National Teachers’ Evaluation System can differ based on whether the participant is he or she, with or without visual impairments, position, school level, and career experience. 224 participants from 12 blind schools nationwide were asked to join the survey. On collecting their answers, 5 out of 224 survey sheets were found to be invalid due to inappropriate checking or participant’s misreading. So, the number of valid surveys analyzed in the study were 219 sheets altogether. Data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SPSS 22.0. Also, to meet the requested validity for the study, the survey form has gon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liability of the study was proven by Cronbach's as it reached .77-.95 level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different career experience or whether he or she has visual impairments was the important factor to make statistically recognizabl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 to sub-categories of the National Teachers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professionalism, validity, satisfaction, acceptance. Moreover, what school level the participant is engaged in seemed to lead the person to different satisfaction level for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less than 5-year teaching experience or teachers without visual impairments had higher percept to the evaluation system compared with the others. Also, teachers in preschools or elementary level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Second, analysis on teachers’ answers showed that sub-categories of the National Teachers’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professionalism, validity, satisfaction, accepta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Teachers collectively picked the professionalism as the part of their highest percept and the highest importance. Also, professionalism proved to have close connection with satisfaction and acceptance level, too. Out of the listed examples under professionalism section, raising self-motivation for themselves and improving teaching skills were chosen 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s and other factors like coming up with more valid students’ evaluation system and making good use of the evaluation results gained the lowest agreement. More specifically, amongst the sub-factors under professionalism which is consist of such examples like self-motivation, reference to study materials for self-development, and improving teaching skills, the self-motivation factor seems to have correlation with some other factors such as teaching skills improvement, reference to study materials for self-development, coming up with more valid students’ evaluation system, proper use of the evaluation results, and designing appropriate evaluation process. Meanwhile, reference to self-development study materials seems to have certain connection with teachers’ intention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compel self-motivation, and make better use of students’ evaluation. In the other hand, improving teaching skills were correlated with those items as self-motivation factor, better usage of students’ evaluation, reference to study materials for self-development, and designing appropriate evaluation proce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listed above, we can recognize how seriously participan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category in the National Teachers’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and its correlation with other sub-categories. Moreover, overall review on the study shows that further studies and researches are needed to raise efficiency of the National Teachers’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for those in blind schools.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시각장애학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효율화에 이바지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에 대하여 성별, 직위별, 과정별, 교직경력별, 시각장애유무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설문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정확하지 않은 5부를 제외한 219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을 활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피어슨 적률상관관계,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의 개발과정에서 타당성 확보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는 문항의 내적 합치도에 따른 Cronbach's 를 적용하여, .77-.95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에서 공통적으로 교사의 교직경력별과 시각장애유무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이 중 만족도에서는 과정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 이는 교원능력개발평가라는 제도에 대해 5년 미만의 신임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안인교사가 시각장애인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유·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는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사전문성에 대해 인식과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전문성에 대해 만족도와 수용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교사전문성과 타당도, 만족도, 수용도의 하위요소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발전동기부여와 학생지도의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절차의 타당도와 결과활용의 노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전문성의 하위요인인 발전동기부여, 발전자료의 활용, 학생지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발전동기부여에는 학생지도의 변화, 발전자료의 활용, 평가요소의 타당도, 평가의 유용성, 결과활용의 노력, 평가절차의 타당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자료의 활용에는 학생지도의 변화, 발전동기부여, 결과활용의 노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지도의 변화에는 발전동기부여, 평가의 유용성, 발전자료의 활용, 평가절차의 타당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시각장애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도를 알 수 있으며,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학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호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시사하고 있다.

      •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이료교육 지각에 관한 연구 : 고등부 학생 및 이료과 교사를 중심으로

        김종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599

        The study on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about the oriental physiotherapy education at schools for the bli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eachers about the oriental physiotherapy education at high schools for the Blind. The purposes were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und out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bout oriental physiotherapy education. Second, it was to find out the reasons why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ttended schools for the blind. Third, it was to find out the occupations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nted in the future. Fourth, it was to find out the most difficult problems when teachers taught oriental physiotherapy. Two questionaires were passed out to 400 students and 69 teachers but 350 students and 56 teachers responded from 11 schools for the bli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wanted to be musueurs as their future occupation especially female students. They wanted the occupation related to computer at the same rate of oriental physiotherapy and they wanted various occupations such as social welfare worker, teacher, psychologist, counselor, social worker, insurance salesman, and so on. Teachers recommended a telephone operator and or civil service worker. Second, Students wanted to get vocational education continuously after they graduated fro schools and in this case male students wanted it more than female students. They also thought that practical training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theoretical training. Third, Seniors in high schools had quite different views off-campus placement than their teachers. More than 50% of students wanted longer period of time and teachers wanted less time in off-campus placement. female students wanted more to be placed at massage clinic and male students wanted more at finger-pressure clinic or acupuncture clinic. Fourth, Students wanted residential schools because they could be easily admitted. Fifth, more than half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about oriental physiotherapy education.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ere lack of reference books, misprints of letters,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not identified in braille. Many students wanted to learn more about computer and other occupations. Sixth, One of the alternatives was that one or two schools among twelve ones be specialized as vocational school for multiply impaired students. Seventh, teachers and students negative views about keeping a massage clinic continuously as vocational centers for only visually impaired persons.

      • 시각장애학교 중학생의 역사교육 수업 실태와 역사인식 수준 연구

        시진무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more effective instruction and give a direc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blind, in order to make them understand accurate history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history class and historical awarenes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by understanding the point of dispute of histor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visually impaire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is below as. First, the actual condition of general history class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histor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blind, are average. In actual condition of history class, 'necessity for history' is the highest whereas 'provide diverse instructional media' is the lowest. In historical awareness level, 'helping to improve patriotic spirit' is the highest and 'the experience of inquiry and discussing study' is the lowest. Second, in background variables of the actual condition of history class, relatively first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are more interested in history class than second year students but less understood and concentrated than students in higher grades. In background variables like gender, eyesight, the time of losing sight, the consequences are average without noticeable differences. Third, by background variables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history, in 'political interest', third year students' consequence is higher than second year and in 'helping to improve patriotic spirit', third and first year students' is higher than second year. In 'history subject's help in actual life', the consequence of first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s higher than second year students' and generally first year students are better understanding history than second year students. In background variables like gender, eyesight, the time of losing sight, the level of historical awareness is average without noticeable differences.

      •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인 가창지도의 연구

        이명신 서울市立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1599

        음악 교육은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음악적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으로서 성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는 시각장애학생들에게도 예외가 될 수 없다. 그러나 시각장애학생들은 시각의 결핍으로 인하여 그들의 음악적 잠재력 계발과 음악 활동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시각장애학교에서의 음악과 교육은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지도 방법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양적으로도 얼마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내용면에 있어서도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육의 실태 파악이나 개괄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보고 정도여서, 실질적인 교수방법에 있어서 도움을 받을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생들의 음악 교육 중에서 가장 학생들이 흥미 있어 하며, 교육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가창 교육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하고자, 시각장애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들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교사집단의 경우 빈도에 의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제시하였고, 학생집단의 경우 시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간의 음악수업에 관한 인식 차이점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는 검증을 실시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음악교사를 위한 연수 기회 제공이다. 교사들의 상당수는 가창지도에 대한 연수가 시급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학생들 역시 가창 학습지도 방법에 있어 발성법과 복식호흡법을 개별적으로 지도 받고 싶다고 했으며 또한 여러 기자재를 이용한 교사의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시각장애학생들은 시각의 결핍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기자재와 다양한 학습방법을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공통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음악 교사들의 모임을 조직하여, 음악 교육에 필요한 제반 문제들에 대한 연구와 해결점을 모색하며 전문 기술들을 훈련해 나갈 수 있는 재교육의 장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특수교사 양성 기관에서의 점자교육 강화의 필요성 제고이다. 시각장애 학생들의 경우 악곡을 익히는데 점자악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점자 읽는 수준이 낮은 것은, 교사의 음악점자 지도력이 필요한 부분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현 특수학교 음악교사들은 일반 음악 대학을 나오고 교육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얻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학원 교육과정(Curriculum)에 음악 점자를 비롯한 여러 영역의 점자지도실시가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 음악교과서 재편성이다. 현 시각장애음악학교의 음악 교과서는 대구대학교 점자 도서관에서 점역 지급되는 한 종류의 교과서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점역할 교과서를 선정함에 있어서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들의 공청회나 연구모임을 통한 검증절차가 필요하며, 점자 악보 기재방법에 있어서도 가사, 가사의 선율, 반주의 삼자가 각각 대체로 1행에 정리되도록 적는 방법을 사용하든지, 반주의 부분만을 잘라서 하나로 정리해서 적는 방법을 택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악상 기호 등의 용어를 일반 보표에서 기재하기 보다는 가사 부분에서 표기하는 것이 가창의 표현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전국의 음악 점자 도서관에서 음악점역과 관계된 점역사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가장 쉽고 적합한 기재법을 계발하여야 하며 교과서 내용에 있어서도 일반학생들의 요구와 마찬가지로 시각장애학생들도 현대적인 흐름에 맞는 대중가요가 교과서에 반영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악곡의 선정에 있어서 다양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 계발 및 활성화이다. 학생들의 경우 효과적인 음악교육과 가창 교육을 위해 현실적이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 프로그램의 계발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으며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음악 관련 방과 후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해 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 다양한 음악 관련 특별활동을 통하여 음악적 경험을 쌓게 되면 학생들의 가창력 증진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시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과의 음악프로그램 통합을 확대 실시해 보는 것이다. 일반 학생들과 시각장애학생들은 통합 활동 분야에 대해서 가창을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토대 삼아 시각장애학생과 일반학교학생간의 가창활동을 통한 통합교육을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해보는 것도 가창 교육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효과적인 통합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관한 과정 및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Musical education develops students' latent ability and creativity in music, and make them express what they feel and think through music. The purpose of musical educa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o help the students to grow as a whole man, and of course, the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re not excluded in this purpose. Even though the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re restricted in the way of develop latent ability of music and musical activity because of their disabilities, musical education in blind schools are just following general curriculums and teachers in blind schools do not apply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to classes in the educational field. Studies about musical education in blind schools are very few and also the qualities of them are below the level because they just searched a state of musical education in blind schools or reported general teaching methods so teachers cannot get enough information about actual teaching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has focused on singing which students are interested in mostly and which is expected to be the most powerful teaching method among students in blind schools to develop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 way of researching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eachers in blind schools in Korea. Surveys in this study are exhibited as percentage by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set of teachers. Three questions among the whole are applied as that the first ranking is 5 points, the second ranking is 4 points, the third ranking is 3 points, the fourth ranking is 2 points, and the fifth ranking is 1 point by importance calculation formula. Also, in the case of the set of students, -test is used to verify the recognition difference about music classes between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he first thing is to offer chances of study and training to teachers in blind schools. Most of the teachers have felt that the study and training for singing is imminent and also students want to have the chances of being taught vocalization and abdominal breathing individually and need to get detail explanations by teachers in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The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should have various materials and learning methods due to disabilities but studies about these things have not been accomplished at all. Therefore, meetings must be organized among the teachers who hold common needs so the chances for re-education that teachers can be traine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teaching skills through discussing problems and seeking solutions are definitely necessary. Next, the necessity of learning braille for future teachers should get emphasiz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ven if students in blind school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ading musics written in braille, their ability to read them are not good. It means that teachers should know how to read and teach them. Most present teachers in blind schools graduated from general university majored in music and entered graduate school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 so education of braille including musics is necessary in curriculums in gradate schools. The third thing is to compile the music textbook again. The present music textbook is only one kind of a book which is brailled by the Daegu university press, and teachers and students cannot choose what they use. However, when people in the press choose the book which they will braille, teachers in blind schools and consortium should verify their choice and give advice. In addition, the words of songs, the melodies, and accompaniment of the song should go together a line by a line or the set of the words and the melodies should go together and only accompaniment should be put separately. Also, music notes should be put in the line of the words of songs to enhance singing ability. When they write musics, they should use better ways for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to recognize easier and people responsible for changing musics to braille in nationwide music braille library should develop the most effective way to braille musics through discussions and meetings. Since Students in blind schools hope to learn popular musics which are following current trend as contents in a music textbook, various musics should be chosen in the textbook. The fourth is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various music programs. Students ask for music programs which they can be interested in and practical for effective musical education and singing, and also they hope to join after-school programs related to music. If students could have and enjoy various music activities, it would help them to improve their singing ability. Last, the unification of music programs for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Both of them prefer singing to other music activities, so the unification of singing programs for them in various ways will improve their singing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ies about the effective unification music programs should be accomplished continuously and the following studies which can prove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m should be kept up.

      • 시각장애학교 안마 창업교육 방안 연구

        함동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599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안마 창업교육의 지식 및 기술과 지원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마원장 164명과 시각장애학교 이료전공과 학생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14명의 안마원장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안마 창업교육의 지식 및 기술과 지원사항의 실행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각장애학교 이료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마 창업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지식 및 기술로 안마원장들은 마케팅 및 홍보 전략, 고객관리 및 고객응대 요령, 안마기술 동향 분석 등 매출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지식이나 기술을, 학생은 안마기술 동향 분석, 창업자금 조달, 입지분석, 창업절차 및 법규 등 창업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면담조사를 한 안마원장들은 안마 창업 성공 경험과 관련된 지식 및 기술은 인테리어, 마케팅 및 홍보, 시장조사 및 입지 선정, 고객 관리, 우수한 치료안마 실력, 고객과의 의사소통 능력, 창업가 정신, 자기 관리, 컴퓨터 활용 및 글쓰기 능력이라고 응답하였다. 안마원장과 학생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안마원장 집단은 여자가 남자보다, 맹이 저시력보다, 30∼39세가 다른 연령보다, 경력 3년 미만이 다른 경력보다 필요도가 높은 영역이 많았다. 이에 반하여 학생 집단은 여자가 남자보다, 50세 이상의 연령이 다른 연령보다, 이료재활과정이 이료전문과정보다 필요도가 높은 영역이 많았으며, 맹과 저시력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안마 창업교육의 효과 제고를 위한 지원 사항으로 안마원장과 학생 모두 창업전문가 특강, 현장견학, 창업지원프로그램, 안마원장과의 네트워크, 창업지원기관과의 네트워크 등 창업실행과 관련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면담조사 대상 안마원장은 이료교육과정의 개선, 이료교사 창업교육 역량 강화,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창업자금지원제도 정보 제공이라고 응답하였다. 안마원장과 학생의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안마원장 집단은 남자가 여자보다, 저시력이 맹보다, 40∼49세가 다른 연령보다, 경력 3년 미만이 다른 경력보다 필요도가 높은 영역이 많았다. 이에 반하여 학생 집단은 여자가 남자보다, 맹이 저시력보다, 50세 이상의 연령이 다른 연령보다, 이료전문과정이 이료재활과정보다 필요도가 높은 영역이 많았다. 셋째, 이료교사들은 시각장애학교에서 체계적인 안마 창업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료전공과의 교육연한을 1∼2년 연장하여 안마 창업과정을 편성하거나, 현재의 이료전공과 교육과정에 교양과목으로 안마 창업관련 과목을 편성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안마 창업교육의 효과 제고를 위하여 현장실습 및 인턴쉽 프로그램 운영, 안마 직종 학교기업 설립, 모의창업 프로그램 운영, 유관기관의 네트워크 구축 및 창업교육지원, 전국 단위의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실시, 창업동아리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이료교사의 창업교육 역량 강화, 창업지원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실제적인 창업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The study intends to seek the strategy of massage start-up education at visual impaired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assage shop director and student from Iryo major department at visual impaired school for the purpose of figuring out the supports for enhancing effects of knowledge, skills and start-up education to be taught in massage start-up education. In addition,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the massage shop director to look into the knowledge and skills of start-up related to experience in start-up success and with the Iryo teacher to observe the methods to implement massage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to be taught in massage start-up education at visual impaired school include interior, marketing and promotion, market research and location analysis, customer management, communication with customer, therapeutic massage skills, entrepreneurship, self-management, computer sills, writing skills, examples of start-up success and failure, problem-solving skills, financing, growth strategy, analysis on business environment, features and leadership of an entrepreneur, procedure and regulation of starting a business, profitability analysis, network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and writing a business plan for business start-up. Second, the supports for enhancing effects of massage start-up education at visual impaired school include field placement and internship program, special lectures by start-up experts, on-the-spot study, start-up support program, network with massage shop directors, network with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network with start-up experts, publication of start-up information, network within school, operation of start-up club, start-up education certificate system, mock start-up program, and start-up idea competition. Third, in terms of the plan of massage start-up education, the visual impaired school extends the term of education for Iryo major department by one to two years to organize the start-up education courses, or organizes the start-up subjects with the current liberal arts courses from Iryo major department. To this end, the supports on start-up should be provided to Iryo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system. It should also establish networks with the relevant organizations to implement field placement and internment program, massage occupational school based enterprise, massage mock start-up program, national start-up idea competition, and support the operation of start-up clubs.

      • 확대핵심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경험 분석

        권선정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5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teachers in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to which the expanded core curriculum (ECC) was applied,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ways of operating the expanded core curriculum in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level ECC development. To this end, eight teachers who have taught students according to ECC for more than 5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they were 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that classifies relevant types through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69 concepts, 21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ho operated ECC in open coding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998). Second, the central phenomenon derived from axis coding was ‘Teacher’s conflic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ECC guidance’, and causal conditions were ‘Necessity of ECC education’ and ‘Unfamiliarity of ECC educa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are ‘Various roles as teachers’ and ‘Various insufficiency’. Conditions for mediat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Development of expertise of teachers and physical supports’, ‘Efforts to improve curriculum’, and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s ECC teachers’, while action/interaction strategy is ‘Approach to the curriculum through diversification of approach and instructional revision’ The result category through this process is ‘Establishment of ECC education and teacher growth’. Third, the types of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lationship-centered’, ‘Research-centered’, and ‘Practice- centered’. The types of teach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ausal condition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exacerbate the central phenomenon, ‘Teachers conflic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ECC guidance’. To solve ‘Teachers conflicts due to lack of expertise in ECC guidance’, which is a core phenomenon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using the ECC, the changing aspects of teachers were organized into individual dimension, school and institutional dimension, and national and policy dimension in the context model deriving “Settlement of Extended Core Curriculum and Teacher Growth” as the result category. In the individual dimension,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accountability and expertise in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facilitator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 students and parents and as a connector to the ECC of the communication. At the school and institutional level, alternative human resources such as volunteers and special education instructors for the visually impaired teachers, through efforts to reconstruct the entire school timetable to secure the expertise of the ECC to secure class time for the expanded core curriculum and to allow teachers to focus on class. Addition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eachers could share their know-how through the council. In the national and policy level, ‘To secure the expertise of the ECC through various efforts’ we need to foster and secure experts in the ECC, guarantee regular training opportunities, and settle autonomy of the educational process and systemize it so that it can be used in unit schools. These results imply that comprehens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the individual level, school level, and national level to solve the problem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he ECC. 본 연구의 목적은 확대핵심교육과정(expanded core curriculum; ECC)을 적용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경험을 분석하여, 시각장애학교에서의 확대핵심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국가 수준의 ECC 개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ECC를 5년 이상 교육한 8명의 교사를 연구참여 교사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면담하였으며 이들의 경험을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거쳐 관련성 있는 유형을 분류하는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접근법에 의한 개방코딩에서 ECC를 운영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경험 범주는 총 69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코딩을 통해 도출된 중심현상은 ‘ECC지도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갈등’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ECC교육의 필요성’과 ‘ECC교육의 낯설음’이다. 맥락적 조건은 ‘교사로서의 다양한 역할’과 ‘다양한 부족’이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은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물리적 지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노력’, ‘ECC전문교사로의 경험 축적’이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접근방법의 다양화 및 교수적 수정을 통한 교육과정 접근’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결과 범주는 ‘ECC교육의 정착 및 교사성장’이다. 셋째, 특수교사의 대처방안 유형은 ‘관계중심형’, ‘연구중심형’, ‘실천중심형’이다. 중심현상인 ‘ECC지도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인과적 조건과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교사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확대핵심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경험한 중심현상인 ‘확대핵심교육과정지도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확대핵심교육과정의 정착 및 교사 성장’을 결과 범주로 도출하면서 교사의 변화되는 모습을 상황모형 안에 개인적 차원, 학교 및 기관적 차원, 국가 및 정책적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학생 개개인과 학부모 사이의 소통과 확대핵심교육과정의 연결자로서 교사의 역할에 책임감과 전문성을 증대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학교 및 기관차원에서는 확대핵심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학교전체 시간표를 재구성하는 노력을 통해 확대핵심교육과정 수업시간을 확보 및 교사가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교사를 위한 자원봉사자와 특수교육지도사 등 대체인력 충원 그리고 학습내용을 가정과의 연계학습을 통해 복습의 시간을 갖게 하였으며, 협의회를 통해 교사들간의 노하우를 공유하도록 하였다. 국가 및 정책적 차원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통한 확대핵심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확대핵심교육과정 전문가를 육성, 확보하여 전문가 연수 기회를 정기적으로 보장하고 단위학교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자율권과 시스템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확대핵심교육과정을 경험한 특수교사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 차원, 학교적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 종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