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대학원의 성공적 착근을 위한포지셔닝 연구 : 창업교육과 기술경영교육간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이광호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지원으로 출발한 4개 창업대학원과 4개 기술경영(Management of Technology: MOT)대학원의 비교를 통해 창업대학원의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과 문헌을 통해 비교분석을 통한 비교 모델 수립과 각 주제별 비교와 두 대학원 교육과정의 차별적 특성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창업대학원의 포지셔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개 창업대학원은 중소기업청에서 5년간, MOT대학원은 산업자원부에서4년간 지원을 하고 있다. 두 대학원 교육과정이 공히 국가적인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최근의 청년실업문제, 미래 성장 동력 돌파구, 수출부진,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인력난등 많은 문제의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창업대학월과 MOT대학원이 중복투자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두 대학원 교육 과정의 차별성과 독립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비교 프레임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국내 대학원 창업교육의 패러다임, 설립배경, 설립목표, 기대효과를 고찰하였다. 둘째, 두 대학원 교육과정의 비교모델을 수립하여 범주별 구분을 하였다. 셋째, 범주별로는 교육의 패러다임과 정책, 입학대상자와 수여학위, 교수진 구성, 외부협력, 교과, 학과 운영 방식, 교과목, 경제적 기여와 추가 정책 지원 등의 비교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릿째, 각 범주별 비칠를 통한 분석 후, 창업대학원의 차별화된 성공직인 포지셔닝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창업대학원 사업과 MOT대학원 사업은 초기·시작단계로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데 공통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나,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비교하는 일과 이를 통한 곽내 대학원 창업 교육의 성공적인 착근을 위한 포지셔닝은 중요한 연구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ing differentiated positioning of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through 4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and 4 MOT postgraduate comparison which start by government support. Wished to present special quality distinction enemy of through the oryand literature for this comparison model establish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each subject comparison and two graduate school course of studies and present positioning of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through this. 4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from th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during 5 years support and MOT graduate school from the Ministry of Commerce quadrennuim support do. Two graduate school course of instructions are sure true that take charge of national important role together. Because I can act as breakthroughs of a lot of problem such as medium and small enterprises' manpower problems than the recent young man unemployment problem, future growth power breakthrough/ inactivity of the export trade, large enterprise. But/ the latest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and MOT graduate school was brought problem that is overlapped investment. Therefore, I understand difference and independence of two graduate school course of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ecuted verification on greatly four comparison frame. First, this study is Lord paradigm of domestic graduate school establishment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investigated establishment target, expectaticm effect. Second, establishes comparison model of two graduate school course of studies and did division by category. Third, category was consisted of paradigm of education and policy, matriculation subject person and awarding degree, staff of a college composition, outside solidarity, subject matter, study and operational mode/ comparison contents of subject, economical contributionaddition policy support etc. Fourth, after analysis through comparison by each category, presented registration point of differentiated successful positioning of establishment graduate school.

      •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

        정종서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고 창업대학원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와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검토하였다.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 모델은 창업교육의 범위를 정의하고 교육체계 및 실천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적용범위는 창업가가 창업을 결심한 순간부터 초기성장단계까지이며, 기업성장에 따라 발생 가능한 문제에 대처하고 기업을 성장시키는데 필요한 지식을 학습시켜야 하며, 창업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교과과정을 편성하여야 한다. 먼저 기초적인 이론학습 뿐만 아니라 창업가 개인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라 기업가에게 요구되는 행동특성 및 경영지식이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단계에 따라서 교과목을 세분화 하거나 심화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창업교육프로그램은 다양한 전문가과정 및 분야별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개설교과목을 다양화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욕구를 충족하고 수요자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수준차를 인식하고 선이수 교과목을 수강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준차를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창업교육에서는 사례교육 및 체험교육을 강조하여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편적이고 일회성이 강한 현장실습 및 체험학습의 교육시간을 지속화․장기화하여 학생들이 기업을 이해하고 컨설팅까지 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넷째, 그 외에도 창업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대학에서 글로벌학습, 경진대회, 포럼 및 네트워크강화에도 많은 노력을 구해야 할 것이다. 창업대학원도 창업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창업대학원의 사례를 통해 조사해 본 결과 사례대학의 교육과정은 개발된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에 유사하게 교과과정이 구성되어 있으며, 강조되는 학습부분도 많은 부분 실천되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의 단계에 따른 교과목 구성이나 전문가 양성과정, 체험학습의 강화 등 보완되어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and to enhance the program by applying new program. First, this paper examined domestic studies for preceding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did foreign studies as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examination. And this paper drew new model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 from American and Japanes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was drawn by theoretical range, educational system and practical model, and presented reform measures by applying that on th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The rang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is defined from the moment when an entrepreneur decided to his entrepreneurship to initial growth stage, and should educate specific knowledge required to the development of companies and measures against potential problems on the way to growth it. An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 should be organized curriculum by the growth stages of company. First, as well as basic theory should bd conducted, the training program is supposed to be conducted entrepreneurs' abilities. Seco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has to be the demand-oriented. Third, cas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at entrepreneurship training. And then, the trainees can have enhances to understand companies. Moreover, to redoubl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universities should make efforts to have global training courses and networks.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also strive to increas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program. As a result of review the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most of curriculums were similar each other.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 a few general guidelin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ut it supposed to be changed by the educational objects, or the trainees.

      • 신산학협력 패러다임 관점에서 본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조사 연구

        김정호 한밭대학교 창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신(新)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출발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자생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개 창업대학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창업대학원은 창업교육프로그램 결정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활성화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창업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개발과 과정에서 수요자(학습자, 지역사회, 기관)의 요구를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창업대학원에게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을 적용토록 유도하여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관기관에 대한 역할 모형을 제시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상생의 협력이 가능한 유관기관을 선정할 수 있도록 기준과 역할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들이 신산학협력의 패러다임과 부합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들을 도출하고 창업교육에 효과적인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5개 창업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요 원칙이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entrepreneurial school which was drawn from the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and to suggest a role model for educational program for entrepreneurial school, in order to increase its self-generating ability. According to survey of 5 entrepreneurial schools, most of curriculums did not show a user-based. This indicates that series of processes, such as analyzing user's(learner, local community, institution) request and setting up the goal are not being conducted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liver the importance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of entrepreneurial schools and incite them to apply major principles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to their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continuous survival and development. This study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entrepreneurial school to examine whether the role model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coincides with the paradigm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Thus, this study has conducted two verifications as whole. First,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this study has drawn out the major principles of new industry-academy cooperation paradigm and considered effective applying method for it. Second, this study has analyzed overseas' cases for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 and proved the propriety of major principles. Through theory and case studies, the study presented a role models for each subjects and provided necessity for applying major principles to entrepreneurial school's research on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

      •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 : 대전시 대덕구 한밭대로를 중심으로

        서병규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나라의 도시가로는 대부분 60, 70년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경제적 가치추구를 목표로 획일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 도시 가로환경의 질적 저하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가로망이 입지한 지역특성에 대한 파악이 미비하여 가로환경의 구성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지 못하였으며, 각 필지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려 없이 당시의 법제에 맞추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자체가 기성도시이거나 기존의 계획도시일지라도 개별 사유지인 대지마다 제각기 다른 시기에 이루어지는 개발양상 속에서는 건축물이나 가로공간 상호간의 연결성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지도 건물위주의 설계로 인하여 주변가로와의 관계가 적극적으로 배려되지 못한 채 이용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도 예외는 아니어서 1990년대 초에 대전엑스포를 준비하기 위해 건설된 대표적 간선도로인 한밭대로의 경우 그동안 개별건축물의 입지로 전체적인 가로환경이 무질서하게 변모되었으며, 대로의 규모로 인하여 자동차 교통만을 위한 통과도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한밭대로를 대상으로 하여 가로변 건축물들의 형태 및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가로경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정비방향을 제시하고, 가로경관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도입, 이론연구, 사례연구, 연구종결 등 4개 부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밭대로변의 필지는 소규모로 개발이 이루어져 집약적 토지이용이 매우 미비하고 2~3층의 저층 규모로 시각적 인지성을 저하시키므로 합필을 통한 개발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1층 주 용도가 상호관련성이 없이 혼재되어 가로경관을 저해하므로 가로변 건축물이 상호 연관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건축주의 자율적인 용도규제 협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행정관청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적 건축행위로 인한 건축물간의 외형 및 색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의 형태, 마감재료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계획을 포함하는 경관기본계획 수립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한밭대로변의 건축물 후퇴부에는 인도의 재질 및 경사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확장인도의 기능이 회복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옥외광고물은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수량, 종류, 규격, 디자인에 대한 규제가 미흡한 바, 행정관청에서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광고물 가이드라인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쾌적한 가로경관개선을 위해서는 향후 대전시내 가로환경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개선방안과 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 등을 위한 보완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Most of the street layout in Koreawas uniformly formed for the economic value seeking through the drastic modernism and urbanism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As a result,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street layout is recently appeared in Korea, which was formed to the law then regardless of the change of respective lot, as no goal of organizing the street guideline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street network. Also, the mutual connectivity of building or street furniture in the development that is realized in the respective period in the individual private property though the city was the old one or existing planned city is not only expected, but also the site of which the 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street is not actively considered to use due to the property-oriented design. Also the hanbat road in Daejeon,the main road built for Daejeon EXPO in the early stage of 1990, with the whole street guideline chaotically transfigured due to the location of individual building so far, which is displaying the role of pass road only for the automobile traffic due to the road scal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made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form of roadsi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pace component targeting to Hanbat road in Daejeon to present the maintenance orient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of urban streetscap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treetscape understanding. Also, this research was organized by 4 parts of research introduction, theoretical research, case study, end point, which presented the street building form and external space maintenance orientation lastly for the streetscape improvement, with the result as following. First, the lot of Hanbat road should be developed by integration as it was developed in small scale that is poor at the intensive land use, and that lowers the visual recognition with 2~3 floors of bottom level. Second, the active effort of government office should be made to prepare the building owner’s free agreement of zoning ordinance for the mutual use of roadside building as the main use of 1floor was consolidated without mutual relationship to impede the streetscape. Third, the basic landscape form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with the urban design plan that makes the integratedmanagement of building form and finishing material by horizontal section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color disharmony of buildings due to the individual construction. Fourth, the institutional plan should be prepared for the footpath extension to be recovered by disposing equally the footpath material and slant in the back of building in Hanbat road to form the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Fifth, the ads guideline should be prepared by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as the control is poor in the quantity, type, scale and design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Sixth, the complementary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specific improvement and design guideline setting by classifying the future street guideline in Daejeon for the comfortable streetscape.

      • 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평가AHP : 한밭대학교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조재현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AHP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평가 - 한밭대학교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 논문제출자 조 재 현 지 도 교 수 이 상 호 본 연구의 목적은 AHP기법을 활용한 조경설계(안)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밭대학교 중앙광장(혜윰광장) 환경개선에서 제시된 설계안 마스터플랜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각 평가항목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합리적인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계획적평가, 조경적평가, 사업적평가의 계층구조를 가진 9개의 평가기준으로 4가지 계획(안)을 평가하였다.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차이는 평가 기준별 가중치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선호하는 최종 계획안도 분석되었다.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는 6명씩 동수로 총12명이 전문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전문가는 4가지 계획(안) 비교 검토, 평가기준별 검토를 통하였으며, 일관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최종안과 2순위 결정의 시각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3, 4순위의 경우 차이를 보였다. 도시계획가는 경제성, 명소화, 지속가능성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고 조경계획가는 경제성, 지속가능성, 환경적가치를 중요시 여겼다. 전체점수를 살펴보면 도시계획가는 2(안) - 3(안) - 1(안) - 4(안) 순으로 나타났고, 조경계획가의 경우 2(안) - 3(안) - 4(안) - 1(안) 순으로 나타나 3등 4등의 순위가 바뀌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한밭대학교 중앙광장(혜윰광장) 계획(안)에 대한 도시계획가와 조경계획가의 견해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AHP기법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두 전문가 집단에서 당선작 선정에는 이견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중요시 여기는 주안점이 각기 전문분야의 배경지식에 의해 결정되어 짐을 유추할 수 있었다.

      • 한밭수목원 식물해설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연구

        최혜림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현대 사회에서의 정보 습득은 스마트 기술의 향상에 따라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간단하게 인터넷 서핑만으로도 더 다양한 정보를 한 번에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정보가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전달되고 있지는 않다. 정보 과부하가 된 현대 사회에서 정확한 정보 습득을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아야 할 때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문점을 통해 대전 시민에게 가장 접근성이 용이한 대전문화예술단지에 위치해있는 한밭수목원의 정보 현황에 대해 식물 해설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접근해보았다. 다양한 연령층의 대전 시민들이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도록 개방된 장소일수록 더욱더 정확한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식물 해설 안내와 정보 전달을 위한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목원의 이용객의 관심과 방문의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를 배려한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파악하여, 이를 통해 디자인 QR코드를 사용, 식물해설 안내를 하여 한밭수목원의 정보제공과 시민들의 수목원에 대한 정보 습득과 함께 상호작용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한밭수목원 식재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여 디자인 QR코드 도입을 연구하였다. 다음은 각 장마다 연구내용이다. 제1장은 본 논문의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다루었다. 제2장은 2차원 바코드, 디자인 QR코드, 한밭수목원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식재분류를 통해 디자인 QR코드 특징 도출을 다루었다. 제3장은 대전 한밭수목원의 식물해설 안내도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내용이다. 제4장은 식재분류를 통한 디자인 QR코드 디자인 개발과 한밭수목원 내의 식물 해설 안내도에 적용한 예시와 도입 시 사용 예시에 대해 다루었다. 제5장은 결론으로 식물해설을 위한 디자인 QR코드 도입에 대한 장점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와 한계점을 다루었다. 디자인 QR코드 도입을 통하여 현재 비어있는 식재 위치에 증강현실로 곧 피어날 식물들을 미리 만나볼 수 있게 하며, 위치 서비스를 통해 이용객의 위치와 식물의 위치를 안내하여 더욱더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성서비스를 통해 장애인을 배려하고, 다양한 언어 서비스 제공으로 외국인의 편의를 돕는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디자인 QR코드를 통해 현재 식물해설 안내도의 부족한 정보를 충당하고, 다양한 식물해설 안내 프로그램의 도출과 수목원의 관리자와 시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즉각적이며 정확한 정보 전달이 될 수 있는 좋은 매개체가 되길 바란다. In the modern society,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o longer difficult thanks to the improvement of smart technologies. It is now possible to obtain a range of information with a simple Internet surfing. All information, however, is not delivered accurately and easily.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it is now necessary to concern about how to acquire accurate information. For this question,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with Daejeon citizens who were the most easily accessible to information on Hanbat Arboretum located in Daejeon Culture and Art District on if accurate information on plants was being delivered. As more open places that various ages of Daejeon citizens can freely visit should be more updated for accurat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on plants and deliver the informa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in and visits to the arboretum and the necessity for careful plans considering us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citizens with information on Hanbat Arboretum by using a design QR code and through explanation on plants and facilitate interactions along with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n the arboretum.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studied introduction of a design QR code by develop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in Hanbat Arboretum through the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The following shows the research content of each chapter: Chapter 1 show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Chapter 2 is about the theoretical details of 2-dimensional codes, design QR codes, and Hanbat Arboretum and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QR cod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planting. Chapter 3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planation guide of plants in Daejeon Hanbat Arboretum. Chapter 4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QR code design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planting and cases applied with the explanation guide of plants in Daejeon Hanbat Arboretum and cases of the implementation. Chapter 5 shows the advantages, utilization methods, expected effects, and limitations of the implement of a design QR code for explanation of plants as the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design QR codes enables to see plants expected to grow soon in currently empty places in advance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shows users’ and plants’ locations though the location service for more comfortable use. Furthermore, it improves convenience of the disabled through voice service and provision of various language service. The design QR code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f the current explanation guide of plants and become the useful medium to deliver prompt and accurate information by developing programs guiding explanation of various plants and promoting interactions between the managers of the arboretum and citizens.

      • 초등 소프트웨어 교율을 위한 프로그래밍언어의 학습효과 비교분석

        김순덕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은 프로그래밍의 입문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 지식뿐만 아니라, 알고리즘 구상과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학습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에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와 스몰베이직의 특성을 학습효과 관점에서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6학년 30명을 실험집단(15명)과 통제집단(15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주2회씩 4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스크래치와 스몰베이직 프로그램 수업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스크래치와 스몰베이직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하여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래밍 완성도와 사전/사후 흥미도 변화추이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이 집단 간 비교결과에서 좀 더 나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언어가 스몰베이직에 비해 문법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지원을 통해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블록의 조합과 연결로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학습자들에게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연장을 위한 확장 QC-LDPC 코드 복호기 개발

        강태근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NAND 플래시 기반의 저장장치는 빠른 입/출력, 대용량, 저전력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수요가 계속하여 증가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공정의 세밀화, 하나의 셀에 다수의 비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 등은 NAND 플래시 메모리의 대용량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오류 발생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오류정정코드이며 특히, Low-Density Parity-Check(LDPC) 코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연장을 위한 LDPC 코드를 제안하며 오류정정과 회로 구현에 유리한 Quasi-Cyclic(QC) LDPC 코드를 바탕으로 한다. NAND 플래시의 특성 중 하나는 쓰기/지우기 횟수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쓰기/지우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구성하는 셀의 노화가 진행되며 제 기능을 못하여 오류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특성을 바탕으로 LDPC 코드의 오류정정율이 한계에 도달하였을 때 그 오류정정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메모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확장 LDPC 코드를 제안한다. LDPC 코드에서 codewords는 실제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message와 복호에 사용되는 redundancy로 구성되는 데 일반적으로 redundancy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오류정정율이 높아진다. 이를 이용하여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오류율에 따라 다른 redundancy의 길이를 적용하여 오류정정율을 변경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이 때 redundancy의 길이에 따라 복호기와 부호기의 구조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데, 이는 LDPC 코드의 복호 과정을 나타내는 복호 행렬의 구성을 통하여 해결한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확장 QC-LDPC 코드 복호기 개발과 함께 FPGA 구현을 통하여 그 성능을 실험한다. 제안하는 확장 QC-LDPC 코드는 오류정정율을 점차 높일 수 있는 구조이며, 복호 단계를 높일수록 부분적인 복호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오류정정율을 분석하여 적절한 오류정정율을 적용한다면 메모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복호가 가능하다.

      • 다중 Oracle Instance의 통합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기법에 대한 연구

        문영진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정보화시대에 데이터는 기업 및 조직 내에서 가치 창출의 기초가 되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정보의 규모와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 즉 정보화 자산을 관리하기 위해 지금 이 시간에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통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에 무수한 데이터들의 입출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규모가 큰 시스템과 데이터의 양이 늘면서 수십 대의 DB서버를 보유한 조직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수십여 개 이상의 DB Instance를 다루는 DBMS는 이제 한두 명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운용하기 버거울 정도로 DB의 관리 요소가 증대되었다. 이제는 그 모니터링 대상이 단일 DB에 대한 모니터링이 아니라 다중의 DB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런 중요도가 높은 대형시스템에서 운영 중에 발생하는 모든 시스템 장애와 문제, DBMS 운영 상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심각한 피해를 예방하고,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24시간 365일 모니터링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시스템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Oracle DBMS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통상의 DB관리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다중 DB Instance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통합관리용 모니터링 DB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비용 없이 DBMS의 기능과 Linux의 기능만으로 유연하고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였다. In the information age, data is a hugely important asset that serves as a platform of creating corporate and organizational values. For the management of information-based asset or data continuously increasing in its significance and size, tremendous amount of data is being, even at this moment, inputted and outputted into database (DB) through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As large-scale system and data amount increase, so does the number of organizations with DB servers, which means DB management scope widens so much that DBMS handling dozens of DB Instance is too much for one or two administrators to operate. Now tha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is needed for not single but multiple DB, measures for real-time management (for 24/7/365 service) are needed to prevent serious damage to the system and maintain its availability by effectively monitoring all systematic glitches, errors, and operational conditions on DBMS that might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highly important large-scale system. This paper looks into Oracle DBMS that has been most widely used in a large-scale system. And it establishes the DB dedicated to integratedly managing multiple DB Instance, not conventional application program. By utilizing DB for integrated management presented in this paper, an adaptable and effective management would be achieved with only DBMS and Linux functions without additional cost incurred.

      • 복합 잡음 제거를 위한 필터 개선에 관한 연구

        임재원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현대 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멀티미디어 관련 정보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 되어왔다.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은 영상의 압축, 인식 및 복원 등 많은 부분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영상의 변환 및 전송과정에서 열화가 발생 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 되는 잡음을 줄이는 것이 이미지 필터의 사용목적이다. 디지털 필터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잡음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메디안 필터는 임펄스 잡음에 대해 좋은 특성을 갖고 있고 평균 필터는 가우시안 잡음에 대해 좋은 특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들 필터들은 영상이 가지고 있는 윤곽·경계선을 흐리게 하며, 각각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에 대해서도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 및 두 잡음이 혼재된 영상에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평균 근사 값 필터를 제안 하였다.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잡음을 검출하기 위한 단계로서 적용 마스크 내의 최소·최대값을 제거한 평균을 구한 후, 화소 값과 평균값의 차이가 임계 값 이상인지 알아낸다. 화소 값이 임계 값 이상이면 잡음으로 처리하고, 임계 값 이하이면 비 잡음으로 처리한다. 다음은 잡음 제거 단계로서 잡음을 제거하기위해 최소·최대값을 제외한 평균값과 마스크 내에 가장 근사한 값을 화소 값으로 출력한다. 본 논문에서는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 및 임펄스·가우시안 잡음이 혼재된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영상이 갖고 있는 윤곽·경계선을 보존 할 수 있는 잡음 제거 필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By means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dern society has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related information technology.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such as image compression, it's recognition, and it's restoration has been studied in a large portion of it. Degrad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transform and transmission of images, so image filters are used to reduce the noises that is occurred at that time, which is the purpose of the use of image filters. Usually a digital filter is used selectively for a specific noise. Median filter has good characteristics for impulse noises and averaging filter has good characteristics for Gaussian filter. But these filters blurred those contours and boundaries which images have and are also ineffective for impulse noises and Gaussian nois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verage approximation filter which can effectively remove the noises of the images including Gaussian noises and impulse noises and two mixed noises by supplementing this defect. The algorithm is as follows. First, as the step of noise reduction, we find the average value that removed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in ​​apply mask and the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pixel values ​​and the average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or equal to or not. If the pixel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pixel value is processed as noise. If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is processed as non-noise. Next, as the noise reduction step, we output the nearest value in mask to the pixel values and the average value except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to reduce the noises. In this paper, by removing the noises of the images including impulse noises, Gaussian noises, and the mixed impulse and Gaussian noise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noise reduction filter can preserve images with contour and bound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