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 : 대전시 대덕구 한밭대로를 중심으로 =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of Architectural Form and Exterior Space for Streetscape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37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도시가로는 대부분 60, 70년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경제적 가치추구를 목표로 획일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 도시 가로환경의 질적 저하가 나타...

      우리나라의 도시가로는 대부분 60, 70년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경제적 가치추구를 목표로 획일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결과 오늘날 도시 가로환경의 질적 저하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가로망이 입지한 지역특성에 대한 파악이 미비하여 가로환경의 구성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지 못하였으며, 각 필지의 변화양상에 대한 고려 없이 당시의 법제에 맞추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자체가 기성도시이거나 기존의 계획도시일지라도 개별 사유지인 대지마다 제각기 다른 시기에 이루어지는 개발양상 속에서는 건축물이나 가로공간 상호간의 연결성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지도 건물위주의 설계로 인하여 주변가로와의 관계가 적극적으로 배려되지 못한 채 이용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도 예외는 아니어서 1990년대 초에 대전엑스포를 준비하기 위해 건설된 대표적 간선도로인 한밭대로의 경우 그동안 개별건축물의 입지로 전체적인 가로환경이 무질서하게 변모되었으며, 대로의 규모로 인하여 자동차 교통만을 위한 통과도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한밭대로를 대상으로 하여 가로변 건축물들의 형태 및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가로경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정비방향을 제시하고, 가로경관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도입, 이론연구, 사례연구, 연구종결 등 4개 부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가로경관 개선을 위한 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정비방향을 제시하였는바,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밭대로변의 필지는 소규모로 개발이 이루어져 집약적 토지이용이 매우 미비하고 2~3층의 저층 규모로 시각적 인지성을 저하시키므로 합필을 통한 개발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1층 주 용도가 상호관련성이 없이 혼재되어 가로경관을 저해하므로 가로변 건축물이 상호 연관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건축주의 자율적인 용도규제 협약이 마련될 수 있도록 행정관청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적 건축행위로 인한 건축물간의 외형 및 색채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의 형태, 마감재료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계획을 포함하는 경관기본계획 수립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한밭대로변의 건축물 후퇴부에는 인도의 재질 및 경사를 동일하게 처리하여 확장인도의 기능이 회복 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옥외광고물은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수량, 종류, 규격, 디자인에 대한 규제가 미흡한 바, 행정관청에서 건축물의 규모 및 특성에 따른 광고물 가이드라인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쾌적한 가로경관개선을 위해서는 향후 대전시내 가로환경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세부적인 개선방안과 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 등을 위한 보완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street layout in Koreawas uniformly formed for the economic value seeking through the drastic modernism and urbanism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As a result,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street layout is recently appeared in Korea, whi...

      Most of the street layout in Koreawas uniformly formed for the economic value seeking through the drastic modernism and urbanism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As a result, the qualitative degradation of street layout is recently appeared in Korea, which was formed to the law then regardless of the change of respective lot, as no goal of organizing the street guideline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street network.
      Also, the mutual connectivity of building or street furniture in the development that is realized in the respective period in the individual private property though the city was the old one or existing planned city is not only expected, but also the site of which the 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street is not actively considered to use due to the property-oriented design.
      Also the hanbat road in Daejeon,the main road built for Daejeon EXPO in the early stage of 1990, with the whole street guideline chaotically transfigured due to the location of individual building so far, which is displaying the role of pass road only for the automobile traffic due to the road scale.
      Therefore, this research was made by analyzing the architectural form of roadsid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space component targeting to Hanbat road in Daejeon to present the maintenance orientation for functional recovery of urban streetscap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treetscape understanding.
      Also, this research was organized by 4 parts of research introduction, theoretical research, case study, end point, which presented the street building form and external space maintenance orientation lastly for the streetscape improvement, with the result as following.
      First, the lot of Hanbat road should be developed by integration as it was developed in small scale that is poor at the intensive land use, and that lowers the visual recognition with 2~3 floors of bottom level.
      Second, the active effort of government office should be made to prepare the building owner’s free agreement of zoning ordinance for the mutual use of roadside building as the main use of 1floor was consolidated without mutual relationship to impede the streetscape.
      Third, the basic landscape form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with the urban design plan that makes the integratedmanagement of building form and finishing material by horizontal section to prevent the appearance and color disharmony of buildings due to the individual construction.
      Fourth, the institutional plan should be prepared for the footpath extension to be recovered by disposing equally the footpath material and slant in the back of building in Hanbat road to form the comfortable pedestrian environment.
      Fifth, the ads guideline should be prepared by government office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as the control is poor in the quantity, type, scale and design according to the build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Sixth, the complementary research should be made for the specific improvement and design guideline setting by classifying the future street guideline in Daejeon for the comfortable streetsca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ⅲ
      • 그림목차 ⅳ
      • 국문요약 ⅴ
      • Ⅰ. 서 론
      • 표 목 차 ⅲ
      • 그림목차 ⅳ
      • 국문요약 ⅴ
      • Ⅰ. 서 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순서 및 방법 2
      • 3. 선행연구 검토 3
      • Ⅱ. 이론적 고찰
      • 1. 가로경관의 개념 및 특성 8
      • 2. 가로경관의 구성요소 16
      • 3. 가로변 건축물의 형태구성 22
      • Ⅲ. 대상가로 건축물 형태 및 외부공간 분석
      • 1. 대상가로의 현황 26
      • 2. 분석의 틀 27
      • 3. 가로특성 및 문제점 도출 29
      • 4. 의식조사 37
      • 5. 대상가로 정비방향 43
      • Ⅳ. 결론 및 향후연구과제
      • 1. 연구의 결과 49
      • 2. 연구의 한계 50
      • 참고문헌 51
      • Abstract 54
      • 부 록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