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민관식의 삶

        이준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as rapidly made during the short period enough to be wantless in the rhetoric called 'miracle.' The person named Min, Kwan-sik was a pioneer who achieved modernization in korea sports in this intensively growth period. Min Kwan-sik made a great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korea sports, which had been remained at the pre-modern level, while passing through diverse job positions such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Sport Council(at present, Korea Olympic Committee) and the Minister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is traces to the development phase in korea sports by analyzing many political policies and activities in the individual dimension from the category of life history that Min Kwan-sik had driven for the progress of korea sports in diverse positions including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his traces in the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history. We experienced a gruesome failure at the Tokyo Olympics in 1964 of having been opened in Japan that had persecuted our country. Min Kwan-sik multi-laterally strives to grow korea sports with overcoming this failure. As part of his effort in this way,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were built first of all.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leads to being equipped with the comprehensive training center for national representatives, resulting in coming to play a role of the best contributor to strengthening Korea's stature in the world sports arena after this. Also, the construction of the athletic hall led to what 31 member organizations under the Korea Olympic Committee came to enter one building. Thus, the efficiency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increased enough to be unable to be compared with before. In addition, the integration of scientific element into sports by introducing the coach academy and the scientific training method led to having notified the beginning of the sports science to this land. During the days of the Education minister that he directly took office right after finishing the tenure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he enforced diverse policies including the national physical fitness test system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hat had been alienated from the educational climate of focusing on the intellectual education. Also, Min Kwan-sik strived to supply and spread sports even in the individual dimension as well as when being in public office. A scholarship program targeting the nest generation for sports by establishing the Min Kwan-sik educational foundation leads to supporting student play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activities as an athlete. Also, the Sogang's cup national student tennis tournament hosted by this foundation has been continued to be transmitted every year since the opening in 1973. This tournament is playing a role of gateway in South Korea's junior tennis players even now with producing famous players such as Lee Hyeong-taek and Yu Jin-seon. In this way, Min Kwan-sik raised the status of korea sports one-step further by carrying out monumental projects in the korea sport history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Taerung National Athletic Training Center and the athletic hall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Olympic Committee. Furthermore, he made an effort for the development in the culture of korea sports over his lifetime through the sports sponsoring activity as the Education Minister and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ere is a role of encouraging the equable development in sports by awarding through selecting administrator, player, coach, juvenile player, and journalist who have merits in korea sports after enacting the Sogang sports grand award in 2009 by honoring his intention of loving sports in this way following Min Kwan-sik's death. 한국 체육의 발전사는 ‘기적’이라는 수사가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짧은 기간 동안 비약적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러한 집약적 성장기에 민관식이란 인물은 한국 체육의 근대화를 이룩하였다. 민관식은 대한체육회장, 문교부 장관 등 다양한 직책을 거치면서 전근대적 수준에 머물러 있던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논문에서는 민관식이 대한체육회장을 위시한 다양한 위치에서 한국 체육의 발전을 위해 추진했던 여러 정책사업들과 개인적 차원의 활동들을 생애사의 범주에서 분석하여 한국 체육의 발전상에 따른 그의 행보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의 체육행보를 생애사적 관점에서 분석해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를 36년간 핍박한 일본에서 개최된 1964년 동경올림픽에서 우리는 참담한 실패를 경험해야 했다. 민관식은 이러한 실패를 딛고 한국체육을 성장시키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그의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가장먼저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이 건립되었다. 태릉선수촌의 건립으로 인해 국가대표 종합 훈련센터가 갖추어지게 되면서 이후 세계 스포츠무대에서의 한국의 위상 강화에 일등공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체육회관의 건립으로 대한체육회 산하 31개 경기 가맹단체가 한 건물에 입주하게 됨으로써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체육행정의 효율이 상승하였다. 이 외에도 코치 아카데미, 과학화된 훈련 방법의 도입 등으로 과학적 요소를 스포츠에 접목시킴으로써 이 땅에 스포츠 과학의 시작을 알렸다. 체육회장의 임기를 마치고 곧바로 취임한 문교부 장관시절에는 주지교육위주의 교육풍토에서 소외되었던 체육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체력장 제도의 입시 연계를 비롯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였다. 또한 민관식은 공직에 몸담고 있을 때 뿐만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스포츠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 육영재단을 설립해 스포츠 꿈나무들을 대상으로한 장학지원사업을 통해 학생 선수들의 학업과 선수활동을 지원해 오고 있다. 또한 이 재단에서 주관하는 소강배 전국 학생 테니스대회는 1973년 개최된 이래 매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대회는 이형택, 유진선등의 유명 선수를 배출하며 지금도 한국 주니어 테니스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민관식은 체육회장으로서 태릉선수촌과 체육회관의 건립 등 한국 체육사의 기념비적 사업들을 시행함으로써 한국 체육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또한 문교부 장관 및 개인적 차원에서의 스포츠 후원 활동을 통해 평생에 걸쳐 한국 체육문화 발전을 위해 노력하였다. 민관식이 타계한 후에는 그의 이러한 체육사랑의 뜻을 받들어 2009년 소강 체육대상을 제정하여 한국 체육에 공훈이 있는 행정가, 선수, 지도자, 유소년 선수, 언론인 등을 선정해 시상함으로써 한국 스포츠의 고른 발전을 독려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종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태권도 시범 경연 대회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 총장배 대회를 중심으로 심 종 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태권도 전공 본 연구는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 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 총장배(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가 질적으로 향상 되고,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 문제점은 어떠한가? 둘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규정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문제점은 어떠한가? 넷째, 총장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경기운영의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한국체육대학교 총장배 전국 태권도 대회, 용인대학교 총장기 전국 태권도 대회, 경희대학교 총장기 전국 남·여 고등학교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에 3회 이상 참가한 심판 및 지도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장배(기) 시범경연대회 뿐만 아니라 현재 치러지고 있는 대부분의 시범경연대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난이도에 따른 채점규정을 정비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회전기술격파의 경우 회전각도에 따른 난도를 정하고, 높이와 비행거리 등에 대한 명확한 채점규정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들은 부상의 위험, 청소년기 성장의 저해 등의 요인을 들어 특정 기술에 대한 제한에 긍정적이었으나 심판들의 경우 시범경연대회 본래의 목적인 태권도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의 제한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 지도자, 심판 등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경기규칙 강습회 등을 개최하는 등의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의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한국체육대학교, 용인대학교, 경희대학교 총장배(기) 대회와 같은 대학주최의 시범경연대회에서 변별력이 떨어지는 경기운영규정에 대해 문제가 나타났다. 특히 한국체육대학교 총장기대회의 채점, 경기운영 규정에서는 예선과 결선의 지정격파가 같고, 경희대학교 총장기 대회에서는 예선의 지정기술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대학 규정에 맞춰 예선 혹은 결선의 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격파 경기에서 보조자가 격파물을 격파자의 발에 맞추는 경우와 같은 부정행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격파의 성공여부에 따라 점수가 차이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순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이를 위한 경기규정의 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의 시범경연대회에서는 격파위주의 대회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격파를 보조하는 ‘보조자’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범경연대회의 특성상 경기에 참여하는 보조자와 관련하여 참여인원의 제한, 격파별 보조인원의 제한 등과 같은 상세한 규정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파에 필요한 보조인원을 지정하여 대회 주최측에서 필수인원을 제공하는 방안과 함께 격파종목에 맞는 격파대의 제작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태권도시범경연대회의 특성에 비하여 전체 대회를 소화하기에 경기 일정이 무리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선수들의 휴식과 재충전의 기회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선수들이 상위 단계(결선)로 진출하는 경우 자신의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회를 주최하는 대학은 추가적인 관련 예산 확보를 통해 전체 경기 일정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경기규정, 경기운영.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 with the focus of the university president cup Jong-In, SIM Graduate Schoo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that are occurring at present when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s being activated to find ways to improve and provide basic data to help improve and revitalize the qual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contest rules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Second,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contest rules for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ird,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Fourth, what are th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The even judges and leaders who participat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long-term national taekwondo contest of Yongin University, and the long-term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s of Kyung He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verhaul the scoring ru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of technology available for most demonstration contests as well as Taekwondo demonstration contest of University President C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tational technical breaking, difficulty of each angle of rotation is determined, and clear scoring regulations for height, flight distance, etc. need to be established. Second, leaders were positive about limiting certain skills, citing factors such as the risk of injury and hindering growth in adolescence, but judges were negative about restricting the technolog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emonstration contest.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activities to promot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such as holding competition rules classes where athletes, leaders and referees can participate together. Third, problems with the regulation of contest management, which is not discriminative in demonstration contests hosted by universities such a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Yongin University, and Kyung Hee University. In particular, the scoring and competition management rules of the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s President Cup contest has the same specified breaking skill for the preliminaries and finals,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pecified breaking skill in the preliminary competition at Kyung Hee University is low, so the distinction ability is necessar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preliminary or final round was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f each university. Fourth, it was found that in the breaking contest, there was cheating, such as the case where an assistant fits the breaking object to the foot of breaker. These phenomenon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cores vary depending on the success of the breaking, which greatly affects the ranking. It has been shown that this requires a change in the rules of the game. Fifth, the demonstration contest is currently focused on the breaking game, and a "assistant" to assist in breaking game is essential. Due to the nature of these demonstration contest, detailed regulations regarding assistants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such as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assistants per the breaking, appear to be insufficient. It is deemed necessary to designate the number of assistants necessary for breaking and to provide the necessary number of people for the competition organizers, as well as to produce the breaking team suitable for the breaking event. Sixth,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the game schedule is currently too short to handle the entire competition. Therefore, the chances of rest and recharging of the athletes are reduced, and as a result, when the athletes advance to the upper level (finals), it is found that they do not fully demonstrate their skill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for the universities hosting the competition to discuss extending the entire competition schedule by securing additional relevant budgets. Key words: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competition regulations, competition management.

      • 한국 장애인 사격의 현황과 발전방안

        김임연 한국체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fire through the international game, with shoo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s status, and to explore ways of shoo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disabled through a group of exerts meet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data was collected that a number of sports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to arrange historical documents and reference materials. And the fire in the history of the disabled was classified Introduction process, Transition, and Generators.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 of a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professional fire problems of the disabled and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was seeking direction. Disabled based on the research process and the fire history of a major fire disabled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 and the status, a summary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roblem is the following. First of all, South Korea is the biggest problem with shoo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s thinner layer that is to the players. To overcome this, the best rookie through the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ttribute excavated by the athlete, the team held a national athletic and student will need. In addition, the support of the national standing army and the national training proje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athletic discovery and development through a standing army of players will have to avoid the problem. Next,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training center and shoo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base of fire for the reinvestment, facilities, the opening of the opening of the expansion and national support that will also be parallel. Convention's continued participation is a very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Several major world tournament, as well as ongoing particip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of the disabled to learn to fire performance of the state and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e performance. For the fire professionals to educate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the system of national qualifications training period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and give way to the convention experience, and a map of the overseas training program will require the development and support. Finally, the fire of this researc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very incomplete historical data and literature research. South Korea for more specific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history transition process and analysis of fine-grained approach is need and more realistic and professional group of experts for proposal will be strengthened, and analysis of the interview, thought shoo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한국장애인사격의 국제경기와 국내경기를 통하여 장애인사격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집단의 면담을 통하여 장애인사격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장애인체육의 여러 역사적 문헌 및 참고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다. 국제장애인사격대회의 변천과정을 도입기(1967~1980), 과도기(1981~1988), 발전기(1988~2004)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장애인사격의 변천과정은 시대적 구분으로 도입기(1967~1980), 전개기(1981~1988), 발전기(1988~2004)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장애인사격 전문가 집단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한국장애인사격의 문제점과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토대로 장애인사격의 주요 변천과정과 한국장애인사격의 실태 및 현황, 문제점을 통해 얻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장애인사격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선수층이 얇다는 데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체육 활성화를 통한 우수 신인선수 발굴과 특수학교별 특성 있는 운동부를 창단하여 전국적인 학생 체육대회를 개최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국가대표 상비군 양성사업의 지원과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통한 상비군 발굴 및 육성을 통하여 선수 수요에 문제점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 사격전용 훈련장의 신설과, 장애인사격의 저변확대를 위한 장애인 편의 시설의 재투자와 공공체육시설의 개방 및 사설체육시설의 개방 확대 및 그에 따른 국가적지원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제대회의 지속적인 참가는 경기력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몇몇 주요대회 참가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세계 대회의 참가를 통해 급변하는 세계 장애인사격의 현황 및 경기력 습득을 하는 것도 경기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넷째, 장애인사격 전문 인력을 양성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국가차원의 자격교육기간이 하루 빨리 신설되어야 하며 국제대회의 경험과 지도방법을 갖출 수 있는 해외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장애인 사격에 대한 역사적 자료와 문헌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한국 장애인사격에 대한 역사별 변천과정의 분석기준을 좀 더 현실적이고 전문적인 제안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 및 분석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혜경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변천, 목표, 내용을 일본의 교육과정과를 비교 연구 방법을 통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개정 시 펼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한·일간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에서 개정기간은 1981년까지 한일 양국은 약 10년 주기로 개정하였다. 그 이후 한국은 5년 주기로 7차례 개정되었고, 일본은 약 10년 주기로 8차례 개정되었다. 2.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의 비교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양국은 국가 수준의 목적 아래 기본 방향이나 교과 목표를 진술하고 있으나, 한국은 총괄목표 아래 하위 목표를 진술하고 있으며, 일본은 교과 목표 아래 저·중·고학년별로 학년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저·중·고학년으로 분리하여 양국은 운동영역에서 중학년의 활동내용 영역은 통합에서 고학년은 분화로, 일본이 한국에 비해 더 분화적이다. 한국은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저학년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일 양국의 체육 영역별 내용의 동일한 기본 영역은 체조 활동, 게임 활동, 표현 활동, 체력 활동, 육상 활동, 보건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the revis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f it is revis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with respect to changes, objectives, cont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such a comparative analysis. 1) Transition characteristic of the curriculum revision Concerning changes both Korea and Japan revise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very 10 years up to 1981, and Korea revised it every 5 years thenceforth while Japan did it about every 10 years. 2) Comparison of the revised curriculum Korea and Japan. Firstly, objectives both countries of the basic aims and course objectives were described. In Korea subordinate aims were described under the general aims, while in Japan grade aims were stated for the lower, medium and the higher grades under the course objectives. Secondly, the course content was split into the lower, medium and the higher grades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s. As for the physical activity area, content was integrated for the medium grade, and the content for the higher grade was separately itemized in both countries. In Korea obligatory and optional courses were available and physic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an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 while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fundamental activities and games in Japan. Basic areas shared by the both countries included gymnastics, game, dance activity, physical fitness, track and field and health education. In Japan a ball game and swimming were included for the higher grade. and offered more diversified activities for physical education.

      • 사회사적 분석에 따른 한국레슬링 올림픽 참가사 : 1948년부터 2004년까지

        정필운 한국체육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79

        생존을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탄생한 레슬링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격투기 스포츠로 발전하여 경기화 되었고 오늘날에는 여러 올림픽 경기 종목 중 가장 박진감 넘치는 스포츠로 발전하여 전 세계인에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레슬링이 우리나라에 보급된 것은 1930년대 초 김종석을 비롯한 일본유학생들이 레슬링을 최초로 접하면서이다. 그들은 광복을 전후한 시기에 뛰어난 기량을 가지고 레슬링의 선구자로서 역할을 하며 한국에 들어와 레슬링을 보급했다. 대한민국 레슬링 대표팀은 광복 후 지속적으로 올림픽 대회에 출전하였다. 끝없는 도전에서 좌절과 실패를 거듭하면서 레슬링 강국으로 성장하였고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나 한국 레슬링은 한국체육의 발전을 이끄느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점이 특히 주목된다. 이러한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의 변천과정을 다른 사회적 요소들과 관련하여 그 의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의 올림픽 참가사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 레슬링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향후 한국 레슬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한국 레슬링 발전에 작은 역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현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은 레슬링 관련 자료와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의 선발과정, 훈련방법, 경기결과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는 데 체육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사회사적 관점에서 한국 레슬링팀의 올림픽 참가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레슬링 간략사와 광복 이전 한국레슬링사, 광복 이후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 참가사, 그리고 한국레슬링에 이정표가 된 1976년 이후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 참가사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레슬링사를 분석 및 해석하여 새로운 이해를 돕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레슬링간략사로서 레슬링의 발생과정과 변천과정을 연구하였으며 아마추어 레슬링이 현재 모습으로 발전하는데 역할을 했던 FILA의 탄생과 변천과정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광복이전 레슬링의 한국전파와 변천과정을 정리하였다. 한인 일본 유학생들이 유학시절 레슬링을 접하고 이들이 일본 내에서 활약했던 내용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들이 보여준 민족의식과 조국애를 해석하였다. 또한 광복을 전후하여 YMCA와 한국체육관 등 사설체육관을 통해 한국에 보급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제3장은 1976년 이전 한국 올림픽 레슬링사로서 레슬링의 한국 도입과정과 도입 후 레슬링이 전개과정을 올림픽 참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일제 강점기 민족의식을 가진 일본 유학생들이 처음 접한 레슬링은 1945년 광복을 전후하여 한국에 전파되었다. 그들은 뛰어난 경기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정부수립 전에 참가한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참가하기도 했다. 또한 민족에 비극인 한국전쟁 중에 참가한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참가와 이후 계속되는 올림픽 무대에 도전하게 된다. 한국 올림픽 레슬링팀의 이와 같이 피나는 노력으로 고난과 시련 극복하고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의 영광에 밑거름이 되었다. 제4장은 1976년 이후 한국 올림픽 레슬링사로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 선수의 금메달 이후 한국올림픽 레슬링사를 정리 분석하였다. 양정모의 금메달은 한국올림픽에서 최초의 금메달로 한국체육사에 큰 의미가 있으며, 한국 레슬링 발전에 기폭제가 되었다. 1976년 올림픽 이후 정부는 엘리트스포츠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하였고, 특히 우수종목 강화훈련단을 운영하고 스포츠 과학을 접목시켰으며, 태릉선수촌을 강화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레슬링협회 회장을 맡으면서 한국 레슬링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올림픽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할 수 있었다. 광복 이후 최초의 금메달을 기점으로 레슬링은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고, 한국인의 자부심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가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현 시점에서 체육의 중요성을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더 앞서 체육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레슬링의 역사를 살피는 것은 단지 한 종목사가 아니라 한국체육의 전반적인 발전사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진로방향 탐색

        박선미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진로방향을 탐색함으로써, 여성 태권도 선수들 삶의 진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 직업적 특성을 갖고 있는 실업태권도팀의 양적 확대와 여성 태권도 선수들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적 복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진로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실업태권도연맹(KITF)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는 여성 태권도 선수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태권도 선수들은 보통 중학교시기에 태권도를 처음 접하게 되는데, 이는 현재 대한태권도협회(KTA)에 등록된 태권도팀과 선수현황을 살펴보면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 우선 여성 태권도팀의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10팀, 중학교 115팀, 고등학교 108팀, 대학교 20팀, 실업팀 9팀으로 중학교 여성 태권도팀이 가장 많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여성 태권도 선수 현황과 비례하여 초등학교 64명, 중학교 724명, 고등학교 632명, 대학교 197명, 실업 91명으로 역시 중학교 여성 태권도 선수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 태권도팀과 선수는 중학교 이후 그 수가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고등학교와 대학교시기를 거쳐 실업팀에 와서는 결국 초등학교의 등록현황 수와 별반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적은 수의 여성 태권도팀과 선수들만이 활동을 하고 있다. 둘째, 여성 태권도팀과 선수의 감소현상은 요인으로는 우선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진로방향과 가장 큰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폭으로 감소현상을 나타내는 대학교 시기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에 있어 중요한 결정을 요하게 되는데, 대학을 진학할 것인지 혹은 취업을 위해 실업팀으로 소속계약을 맺을 것인지 아니면 태권도 선수생활을 은퇴하고 일반직에 종사할 것인지에 대한 진로의 갈림길에 맞닥뜨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 태권도 선수들에게 있어 대학을 진학함에 있어서도, 혹은 실업팀 입단함에 있어서도 그 결정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너무나도 좁은 것이 현실이다. 즉 고등학교까지만 해도 무수히 많은 태권도팀과 선수들이 활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특히 실업팀의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그 수가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비단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진로에 있어 어느 누구의 잘못도, 어느 단체의 미비함도 아닌 서로간의 소통과 협력 안에서 생성되어지는 연계의 장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불균형적인 상황을 거듭․초래하게 되는 상황이라 볼 수 있다. 셋째, 경기력이 우수한 여성 태권도 선수들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과정을 거쳐 대학교를 졸업 후 각 실업팀으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아 선수생활을 지속하는 반면, 그 외 태권도 선수들의 대부분은 마땅한 진로가 없어 결국 은퇴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는 오랜 시간 태권도 선수의 길을 걸으며 각고의 희로애락을 격은 선수들에게 너무나 가혹한 현실이다. 이에 대한태권도협회(KTA)에서는 실업팀의 활성화를 위한 한국실업태권도연맹(KITF)의 창설과 여성 태권도의 권익보호와 저변확대라는 목적을 가지고 한국여성태권도연맹(KWTF)을 창설하였다. 이러한 각 연맹체들의 창설과 활성화로 인해 최근 태권도실업팀은 선수들에게 폭넓은 복리후생과 더불어 학자금 지원까지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공무원으로 전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혜택을 제공하는 태권도실업팀은 불과 몇 팀밖에 되지 않으며, 그 내에서도 몇몇의 특정선수에게만 그 혜택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성 태권도실업팀 선수들의 경우에는 그 혜택이 더욱 열악한 상황이다. 이러한 실업팀의 선수대우는 비가시적으로 여성 태권도 선수들의 은퇴를 보다 더 빨리 선택할 수밖에 없도록 독촉하고 있다. 넷째, 운동선수들은 누구나 건강한 상태에서 오랜 시간 선수생활을 지속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잦은 부상과 경기력의 한계, 연령, 건강상태, 가정문제 등 여러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은퇴를 결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하곤 한다. 특히 여성 선수들의 경우 결혼으로 인한 가정․가사문제 등으로 인하여 남성 태권도선수들에 비해 보다 빠른 은퇴를 결심할 수밖에 없는 선택의 기로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남자 태권도선수의 경우 결혼을 하였더라도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고 시합에 출전하는 것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여성 태권도선수의 경우 결혼을 하여 임신 혹은 출산을 하였을 때에는 실질적으로 그 여성의 지속적인 선수활동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신체적․생리적 요인과 남성과 여성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환경은 비단 체육․스포츠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지만 체육․스포츠는 그 특성상 인간의 신체를 통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여성 태권도선수들의 지속적인 활동과 사회적 진출에 있어서 그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여성 운동선수들의 경우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 신체적․사회적․문화적․환경적 요인들로 인하여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태권도 종목의 경우 직접적인 신체적 타격을 요하는 스포츠 종목이기 때문에 여성 선수들의 지속적인 선수활동이 불가피한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여성 태권도선수들은 남성 태권도선수들에 비해 선수활동이 짧아질 수밖에 없는 위치에 놓여 있으며, 이는 곧 여성 태권도선수로써의 은퇴시기를 더욱 빠르게 조여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여성 태권도선수들이 너무 경기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비롯된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권도는 경기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무도적인 측면, 나아가 최근에는 생활체육으로써 그 영역을 확대․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권도 선수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 외골수적인 방향만을 고집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많은 수의 여성 태권도선수들이 실업팀에 입단하여 선수생활을 지속․유지하는 것이 경기를 전문적으로 행하고 있는 태권도선수들에게 있어 가장 이상적인 방향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태권도실업팀의 양적 부족으로 인해 많은 선수들을 영입할 수 없는 현시점에서 태권도선수로서의 진로만을 고집하는 것은 진로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혼란스러움만을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태권도관련기관에서는 보다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한국실업태권도연맹(KITF)에서는 보다 많은 여성 태권도선수들을 수요할 수 있도록 여성태권도실업팀의 양적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이며, 특히 한국여성태권도연맹(KWTF)에서는 현재 선수로써 활동하고 있는 여성선수만을 대상으로 교육․관리하는 것이 아닌, 은퇴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진출 프로그램 확대 및 여성 해외지도자 진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근 들어 국민생활체육회는 ‘스포츠 7330’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주일에 세 번 이상! 하루 30분 운동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여 ‘운동하자’는 스포츠참여 범국민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는데, 태권도 종목 역시 생활체육으로서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경기적·무도적 측면뿐만이 아닌 생활체육의 종목으로 확대·발전한다면 태권도인들에게 있어 보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태권도관련기관의 다각적인 노력은 여성 태권도선수들은 물론 나아가 태권도인들의 전체의 진로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선수생활의 은퇴 이후에도 삶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고 현재 여성 태권도선수들에 대한 제도적 복지를 개선하는데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제주 태권도 경기 변천과정

        송문철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요약 제주 태권도 경기 변천과정 송 문 철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이 연구는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태권도 경기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주태권도의 문화정체성 확립 및 사(史)적 체계를 정립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태권도는 각 지역이 갖는 문화적 특수성과 융화되어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기도하며, 독자적인 문화가 형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정 지역인 제주를 중심으로 태권도 경기 변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제주 태권도 경기의 변천과정에 관련된 문헌 및 신문기사 등의 문헌자료를 참고하였다. 연구의 질적 향상과 문헌의 사실적 근거를 확인하기 위해 초창기 태권도를 수련하고 보급하였던 원로, 임원 그리고 선수들의 구술 자료를 모아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지역의 태권도 도입은 1954년 6월 문대식(文大植․본명 문봉준)에 의해 사사로 이루어졌다. 초창기 태권도 보급은 1955년 6월부터 창무관, 강덕원, 청도관, 오도관, 지도관 그리고 송무관 등의 주요 6개 관(館)에 의해 보급되어 졌다. 창무관이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제주태권도 보급에 많은 영향을 가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제주도태권도협회는 1957년 7월 17일 결성되었다. 1963년 2월 10일 제주도체육회 가맹경기단체로의 승인을 시작으로 역대 3번의 전국체육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냈으며, 재일동포의 성금으로 제주도태권도회관건립, 제15회 세계선수권대회 유치, 제주평화기전국대회 유치 및 상시개최 그리고 ‘제주태권도 50년사’ 편찬 등의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셋째, 제주선수단은 1982년 첫 국가대표 장승화를 시작으로 다수의 국가대표선수를 배출하였다. 전국체육대회에서도 두 번의 종합 준우승과 한 번의 종합 우승을 기록하며 그 경기력을 입증 시켰다. 초창기 지도자들의 희생과 선배들의 귀감, 전국 창무관 수련회 및 심판강습회 제주유치, 전국체육대회를 대비한 강화훈련과 유망주 집중육성 그리고 제주대학교 태권도부와 제주도청 태권도팀 창단 등의 노력이 뒷받침된 결실이라 하겠다. 이는 결과적으로 도내 태권도 저변확대에 영향을 미쳤고 나아가 제주태권도가 제주체육의 중심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넷째, 제주선수단육성은 60년대 초반 시작되었다. 제주시지역은 오현고등학교에서 남녕고등학교와 영주고등학교로 이어졌고 서귀포지역은 남주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계육성의 시초로 1972년 제주사범대학교에 태권도부가 창단되었다. 중학교 태권도부는 2000년대를 전후로 제주에서 열린 제32회 소년체육대회대비를 목적으로 잇달아 창단하여 육성되고 있다. 다섯째, 제주태권도는 지역적 특수성을 극복하고 비약적 발전을 해왔다. 하지만 표상적인 실적에만 치중하는 경향으로 인해 제주도태권도협회의 내실 약화와 선수층 고갈 그리고 선수육성에 대한 많은 문제들이 내재되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제주도태권도협회는 경기체육과 생활체육 등의 각 분야를 세분화 및 체계화하여 그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잠재적 인재등용을 통한 조직의 전문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태권도선수 출신 중등교사들이 정년퇴임을 앞두고 있어 대체 할 수 있는 지도자 수급이 제고된다. 마지막으로 태권도 생활체육의 활성화와 초등학교 태권도부의 창단을 통한 선수자본의 확보 및 초․중․고․대학교 그리고 실업팀으로 이어지는 연계육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ABSTRACT A Transition of Jeju Taekwondo Competition Song, Moon Chul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Taekwondo competitions in Jeju Island, providing the base data by establishing the cultural identity of Jeju Taekwondo and the historical system. Taekwondo creates something new, fusing the cultural distinctiveness as well as its own culture. This study looks at the transition of Taekwondo competition in Jeju Island, and uses references such as literature and articles on the progress of Taekwondo competition's transition. In this study, interviews from the doyen, the executives and the players who trained and popularized early Taekwondo, are consulted to review the extant historical evidence of the literature.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outlined below. The introduction of Taekwondo in Jeju Island took place under Dae-shik Moon in June, 1954. Since June, 1955, Taekwondo was popularized by the six major Gwan(館), Changmugwan, Gangdeogwon, Cheongdogwan, Odogwan, Jidogwan, and Songmugwan. Changmugwan was the biggest among them and it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spread of Jeju Taekwondo. Second, Jeju Taekwondo Association(濟州跆拳道協會) was founded in July 17th, 1957. The association won the Korean National Sports Festival three times since it gained approval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Sports Council. It also has made great achievements such as establishing the Jeju Taekwondo hall funded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inviting the 15th World Championship as well as the Jeju Pyeonghwa National Athletic Meeting. It also published The Jeju Taekwondo History of 50 Years. Third, this Jeju sports team has turned out many excellent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since 1982, including Seung-hwa Jang, who is the first member of the national team. It results from the sacrifice from the early leaders, invitation the national Changmugwan retreat and the Referees' institute in Jeju, the intensified training for the Korean National Sports Festival, the intense recruitment and fostering future prospects, and from the founding of the Taekwondo team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a result, they affected the expansion of Taekwondo in Jeju. Because of this, Jeju Taekwondo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Jeju Sports. Fourth, the fostering of Jeju's Taekwondo team started from the early 1960's. There are Taekwondo clubs in Ohyun High School, Namnyeong High School, and Yeongju High School in Jeju City and a Taekwondo club is in Namju High School in Seoguipo city. Linkages began to be fostered in 1972 from the Taekwondo Team in Jeju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The middle school Taekwondo team was founded to prepare for the 32nd National Junior Sports Festival in the year 2000. Fifth, Jeju Taekwondo has developed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other areas. However, the Jeju Taekwondo Association has a fragile internal stability due to its focus on competition results, as well as a decreasing number of athlete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Jeju Taekwondo Association needs to distinguish between competition and daily practice. It also needs to professionalize the organization by hiring professionals, as well as put new leaders in place to replace older teachers that are about to enter retirement. Finally, it is time to revitalize Taekwondo sports and systemize future recruitment by founding Taekwondo clubs in elementary schools. Thereafter, athletes may be fostered throughout schools and share a link between professional teams.

      •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최병일 한국체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해소, 여가선용의 의미가 부각되면서 생활체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특히 스포츠 활동이 균형 있는 삶을 살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그 중에서도 서울에 있는 대학생으로 범위를 제한하였다.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존중감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스트레스 해소가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통한 자아존중감이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생활체육의 참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해소 및 자아실현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긍정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s the meaning of improved health, stress relief, and leisure expanded, there has been increasing attention on daily phys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a diverse debate on methods to stress relief; sports activity receives utmost attention in maintaining a balanced life. This study focuses on all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is limited on its subjects as students in Seoul. This research aims to draw conclusion through analysis of examining if stress relief through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has any effects on self-esteem and self-realization. First study results concluded that stress relief participating daily physical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Secondly, it was found that stress relief through participating in daily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