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체 외에서 정보전사수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김정훈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Introduction: Ideas that information can be stored or transcribed in water were proposed recently by many researchers. The water retaining a specific information can be called as information transcribed water(IT water). IT water with antimicrobial information could show antimicrobial effect in the living organism.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anti-microbial effect of IT water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and Escherichia coli(E. coli) which are detected most frequently in the hospital were used. Information regarding antimicrobial effect were transcribed into 0.9% NaCl solution by the instrument(Quantum Bio-energy Screening Tracing System) For the test group, the microorganisms were exposed to IT water for 30 minutes, one hour and two hours, respectively. The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s(CFU) on the plate was counted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at least twice. Results: The average CFU of the test groups(277.1 for S. aureus, 276.5 for E. col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552.6 for, 454.8 for E. coli).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exposure to information transcribed saline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the CFU of S. aureus (329.75, 303.60, 197.80) and E. coli (320.80, 296.70, 212.05) showed decreasing tendency. However, in the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FU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exposure to saline in S. aureus and E.coli (590.60, 476.95, 296.80*), except that(296.80*) of E. coli with 2 hours exposure. Conclusions: IT water with anti-microbial information showed antimicrobial effect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ater may show antimicrobial effects in vivo. Further studies are needed. Key words : Information transcribed water, anti-microbial effec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Quantum Bio-energy Screening Tracing System 서론 : 물은 어떤 정보를 저장하여 전달할 수 있고 생체에 정보가 전달되는 데에서 전자기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여 전달할 수 있는 물을 정보전사수(情報轉寫水, information transcribed water : IT water)로 칭하였다. 만약 물에 항균효과(antimicrobial effect)와 관련된 정보를 전사한다면 이러한 정보전사수는 항균효과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항균효과와 관련된 정보가 전사된 물이 항균효과가 있는가를 병원에서 가장 자주 검출되는 균인 S. aureus와 E. coli를 대상으로 생체 외(in vitro)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 병원에서 가장 자주 검출되는 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와 Escherichia coli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균정보를 전사기기(Quantum Bio-energy Screening Tracing System)를 사용하여 0.9% 생리식염수에 전사한 다음 이를 균과 혼합액을 만들어, 30분, 1시간, 2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다음 각각 20개씩 혈액한천 배지에 접종,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olony 형성수(colony forming unit, CFU)를 최소한 2 번 이상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항균정보를 전사하지 않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S. aureus와 E. coli 모두에서 colony 형성수는 실험군(277.1:S. aureus, 276.5: E. coli)에서 대조군(552.6 : S. aureus, 454.8: E. coli)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항균정보에 노출된 시간(30분, 1시간, 2시간)에 따라 colony 형성수는 S. aureus (329.75, 303.60, 197.80)와 E. coli (320.80, 296.70, 212.05)에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대조군에서는 S. aureus (559.95, 535.25, 562.70) and E.coli (590.60, 476.95, 296.80*)에서, 2시간 노출된 E. coli (296.80*)를 제외하고는, 생리식염수에 노출된 시간에 따른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항균정보가 전사된 정보전사수는 생체 외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정보전사수가 생체 내에서도 항균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Biological activities and mechanisms of a fibrinolytic enzyme and a disintegrin from the venom of Korean snake

        조길상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생명과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Many snake venoms act on the blood coagulation system. Since there is growing medical interest in thrombolysis, snake venoms which affect the hemostatic system have been well investigated. A fibrinolytic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venom of Korean Salmosa snake Agkistrodon halys by a combination of benzamidine-Sepharose affinity chromatography and FPLC Unosphere Q ion exchange fractionation. The purified enzyme is a glycoprotein and migrates as a single band with molecular mass of 33KDa on SDS-PAGE. The fibrinolytic enzyme is characterized by its isoelectric point of 4.3. The enzyme was not able to hydrolyze human serum albumin, plasminogen, thrombin, immunoglobulin and tPA. To examine the toxicological effect of saxatilin, a disintegrin isolated from the venom of a Korean snake (Gloydius saxatilis), recombinant saxatilin was highly expressed as a biologically active form in Pichia pastoris, and was successfully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culture broth supernatant. The molecular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ombinant protein were the same as those of its natural form. RGD-peptides can inhibit the binding of ligands to certain β3 integrins, α II bβ3 and a v β3, both of which are involved in neointimal hyperplasia that contributes to atherosclerosis and restenosis of arterial walls. Saxatilin, a disintegrin from a Korean snake (Gloydius saxatilis), interacts with integrins α II bβ3 and a v β3. It suppressed the adhesion of human coronary artery smooth muscle cells (HCASMCs) to vitronectin with an IC 50 of 2.5uM, and growth factor (PDGF-BB or bFGF)-induced proliferation was inhibited at an IC 50 of 25uM. 다양한 종류의 뱀독에는 혈액 응고계에 작용하는 많은 인자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의학적 치료제로써의 개발목적으로 뱀독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살모사(Agkistrodon halys)와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ilis)의 뱀독으로부터 이와 같은 항혈전 단백질을 탐색하고 분리동정한 후 생체내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이를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하였다. 우선 살모사의 뱀독을 확보한 후, benzamidine-Sepharose column과 Unosphere Q column을 이용해 혈전용해효소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약 33KDa의 분자량을 가지며 등전점은 4.3인 당단백질이었다. 이 효소는 혈액내에 존재하는 serum albumin, plasminogen, thrombin, IgG, tPA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특이적으로 fibrinogen 과 fibrin 만 분해하였다. 이에 salmonase의 cDNA library를 확보한 뒤 yeast system에서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디스인테그린인 saxatilin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조합 단백질로 대량발현을 시킨 후 순수분리, 정제하였으며, 재조합 saxatilin은 천연형의 saxatilin과 그 활성이 동일하였다. RGD-peptide를 지닌 이 saxatilin은 β3 integrins의 binding을 막음으로써 α II bβ3와 a v β3 등의 반응을 억제하였고, 특히 인간 평활근세포의 adhesion과 proliferation을 강하게 저해하였다.

      • 董氏奇穴의 臨床的 特徵 및 活用에 對한 提案

        김기영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Background : Dongssi's acupucnture therapy is made use of by a lot of therapists because of an excellent treatment. But it is real that this therapy has been used as a simple allopathy that some disease has its own particula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Dongssi's Gihyul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principle of Dongssi's acupunture therapy, and suggest the practical ways regarding clinical treatment. Methods : Documentary records on Dongssi's acupuncture therapy was performed and as about 740 Dongssi's Gihyul were classifed via its own sector, line, rule, etc., and common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Results : ost of Dongssi's Gihyul follows a very peculiar regulation like the meaning of Gihyul - particular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but it has its own common and coherent rule. Conclusion : Dongssi's acupuncture therapy, which follows the principle of Dongssi's Gihyul, can be used objectively as well as scientifically depending on a variety of patients' symptoms, not just a simple allopathy. Key words : Dongssi's acupuncture therapy, Dongssi's Gihyul 배경 : 동씨침법은 치료효과의 우수성으로 인해 최근 임상가에서 많이 이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동씨기혈을 단순히 경외기혈로서 어떤 병증에 어떤 혈을 사용한다는 대증요법의 방식으로만 활용되어 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동씨기혈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동씨침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보다 실질적인 임상적 활용에 대한 방법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동씨침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대략 740여개에 해당하는 동씨기혈을 주치. 효능. 명명법. 혈위 등 다양한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특성 및 이치를 알아보았다. 결과 : 동씨기혈은 경락체계를 따르지 않는 독특한 혈위가 대부분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일정한 맥락이 있고 공통된 규율이 있다. 또한 동씨장진도. 배부오장분포도. 하지분구. 수족대응 등의 진단과 선혈의 기준이 되는 이치가 있었다. 결론 : 동씨침법은 동씨기혈의 원리에 따른 정확한 이해를 통해 단순히 경험방에 따른 대증방식으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임상상황에 따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활용되어 질 수 있다.

      • HIP1R interacts with a member of Bcl-2 family, BCL2L10, and induces BAK-dependent cell death

        김재홍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생명과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Bcl-2 family members are evolutionally conserved and crucial regulators of apoptosis. BCL2L10 (human Diva or BCL-B) is a member of the Bcl-2 family that has contradictory functions in apoptosis.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Huntington-interacting protein 1-related (HIP1R) protein following a search for Diva-interacting proteins using the yeast two-hybrid system. HIP1R is a multi-domain protein that regulates the clathrin-mediated endocytic machinery and actin assembly in cells. Interaction of endogenous proteins of BCL2L10 and HIP1R in 293T cells was determined by immunoprecipitation, and their direct association was confirmed by the Far-Western analysis. The deletion of both the AP180-homology (ANTH) and F-actin-binding the talin-HIP1/R/Sla2p actin-tethering C-terminal homology (THATCH) domains of HIP1R greatly compromised its binding ability to BCL2L10. Ectopic expression of HIP1R resulted in moderate cell death of 293T cells in conjunction with the dissipa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caspase 9 activation. A member of proapoptotic Bcl-2 family, BAK, was required for HIP1R to induce cell death, while BAX was dispensable. In addition, BCL2L10 was associated with endogenous caspase 9, and their binding was augmented by HIP1R overexpression. Thus, this study provided the previously unknown function of HIP1R involved in the intrinsic cell death pathway and further explored possible mechanisms by which HIP1R induces cell death. Bcl-2 패밀리는 진화적으로 세포사멸에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조절자이다. BCL2L10 (Human Diva, BCL-B)는 이러한 세포사멸에서 친 세포사멸 유도기능 또는 항 세포사멸 유도기능의 상반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진은 Diva 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스크리닝 하게 되었고 이중 Huntington-interacting protein 1 related (HIP1R) 단백질을 발견하였다. HIP1R단백질은 clathrin연관된 endocytosis의 기능과 actin의 세포구성에 관여를 한다. 이러한 HIP1R와 BCL2L10의 단백질의 결합을 면역침강방법을 통해서 endogenous한 수준에서의 결합을 확인하였으며 Direct한 결합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Far-western blot 방법을 수행하여 이러한 결합을 다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합에서의 HIP1R가 BCL2L10과 결합하는 도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AP-180-homology (ANTH)와 F-actin-binding에 관련된 C-말단의 homology (THATCH)가 결여된 돌연변이 단백질을 클로닝 하였고 ANTH와 THATCH 도메인이 결합에 중요한 도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IP1R의 세포사멸에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MMP실험과 Caspase9의 활성유무를 측정한 결과 MMP가 확인 되었고 caspase9이 활성화되었다. 세포생존율 실험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세포사멸의 유도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BH3도메인만을 가지고 있는 BAX, BAK 단백질이 knock-out 된 세포에서 HIP1R의 세포생존율 검사 결과 BAK이 HIP1R에 의한 세포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미 알려져 있는 BCL2L10과 caspase9의 결합에 HIP1R의 과발현이 두 단백질의 association을 강화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endocytosis와 actin assembly에 관련된 HIP1R단백질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이는 HIP1R의 intrinsic pathway와 endosytosis 메커니즘과의 상호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다.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코르티솔 분비 증가와 만성 대사 합병증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

        홍기연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ossible link of increased glucocorticoid secretion with chronic metabolic complication and insulin resistance has been suggested in diabetic patient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chronic metabolic complications, increased hypothalamic- pituitary-adrenal axis activity has been reported. Meanwhile, other studies about association of subclinical Cushing's syndrome with hypercortisolis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have been also continued. Recently, enhanced hypothalamic- pituitary-adrenal axis activ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diabetes complications was reported, but in that study, the prevalence of diabetic nephropathy was not increased significantly in diabetic patients with hypercortisolism differently from diabetic retinopathy and neuropathy. In this study, therefore,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hypercortisolism with chronic metabolic complications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especially with diabetic nephropathy. This was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on 42 diabetic patients at the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Bundang CHA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September 2008.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via medical records and compared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out microalbuminuria(group 1) with those who with microalbuminruia(group 2). We also examined the odd ratio for detecting chronic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for potential risk factors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median serum cortisol level at midnight(F24) in group 2 was higher than in group 1(5.4μg/dL vs. 3.3μg/dL, p=0.05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diabetic nephropath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24(OR=1.30, 95% CI 1.03-1.64, p=0.025). In conclusion, our data showed that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diabetic nephropathy, a serum cortisol level at midnight was more increased than those who without diabetic nephropathy, and whenever F24 increased by 1μg/dL, the prevalence of diabetic nephropathy would increase by 1.3 times. Further larg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predictive value of hypercortiosolism in development of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Keywords : Increased cortisol secretion, Diabetic nephropathy, Serum cortisol at midnight,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분비 증가와 인슐린 저항성 및 만성 대사 합병증과의 연관성에 관한 많은 보고가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다. 만성 대사 합병증을 갖고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의 기능이 항진되어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이들에서 나타난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과 불현성 쿠싱 증후군(Subclinical Cushing‘s syndrome)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도 진행된 바 있다. 최근 보고에서 밤 12시(Midnight) 혈중 코르티솔(Cortisol)농도 증가와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신경병증이 통계학적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나, 당뇨병성 신증과의 연관성은 증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코르티솔 분비 증가와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의 만성 대사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연구해보고자 하며, 특히 만성 합병증 중에서도 당뇨병성 신증과 코르티솔 분비 증가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제 2형 당뇨병으로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에 입원한 환자 144명 중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는 12명, 여자는 30명이었다. 연령은 29~80세 범위로 평균 57.9 ± 13.6세이었고, 전체 환자들의 당뇨 이환 기간의 중간값은 10.5년이었다.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었던 환자는 17명이었으며, 16명의 환자에게서 HOMA-IR(Insulin Resistance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값을 구할 수 있었다. 미세알부민뇨 양성으로 당뇨병성 신증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환자는 전체 42명 중 21명(50%)이었으며,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신경병증은 각각 19명(45.2%), 25명(59.5%)이었다. 인슐린 저항성은 당뇨병성 신증이 있는 환자 군에서 신증이 없는 군보다 증가하는 양상이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3.20 vs. 1.80, p=0.604). 또한 당뇨병성 신증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군에서 아침 8시 혈중 코르티솔 농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15.6 ± 6.0 μg/dL vs. 16.3 ± 7.6μg/dL, p=0.786), 밤 12시 혈중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성 신증이 있는 환자 군에서 당뇨병성 신증이 없는 환자 군보다 증가되었다(5.4μg/dL vs. 3.3μg/dL, p=0.050).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서는 밤 12시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증가할수록 당뇨병성 신증 발병의 승산비(Odds ratio)가 증가하여 둘 사이의 통계학적 연관성이 관찰되었다(OR=1.30, 95% CI 1.03-1.64, P=0.025). 또한, 24시간 뇨중 코르티솔(Urine total cortisol) 농도가 증가되어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 8명에 대하여 1일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1mg Overnight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를 시행했을 때, 이들의 혈중 코르티솔 농도는 모두 잘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신증이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밤 12시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당뇨병성 신증이 없는 환자의 혈중 농도보다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밤 12시 혈중 코르티솔 농도가 1μg/dL 증가할수록 당뇨병성 신증 발병률이 1.3배 증가되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의 기능이 항진되어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병성 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혈중 코르티솔 농도의 당뇨병성 신증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예측인자로서의 역할과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서 불현성 쿠싱 증후군의 발생 유무 및 연관성을 알아 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실업계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채혜신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Art therapy has gone through progressive development since it was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90s. Art therapy is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developing one's problems and personality from discovering the suppressed, lost, distorted parts by oneself using a visual medium of art, and combining them through the symbolism and totality of art. (Sun-hyun Kim, 2006) Several art therapy mediums and techniques are being applied. It is thought to be the time for art therapy programs using computers which are being the center of modern life. As personal PCs were distributed due to the society's demands on practical use of computer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and we became to use them naturally. According to the '2008 Adolescents Statistical Data,’the average use time in a week of adolescents in 2007 was 13.8 hours for the 15~19 years old, while that of 20~24 years old was 19.1 years. (Statistics Research Institute, 2008) This ranked within 10th among countries worldwide, representing a very high utilization rate.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allows editing images freely, has a lower risk of failing, and can grant various effects such as sounds or movements. This may induce the adolescents' interest on art therapy using computers. More favorable work results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This research started based on a hypothesis that art therapy programs using computers bring the same treatment effects as general art therapy programs. Effects on the str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can use and deal with computers and graphic images the most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chosen by giving out and measuring questionnaires on responding to stress to 26 high school students in 2nd grade at S Technical High School in Seoul downtown. 13 were each arranged i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by wireless sampling.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was enforced from April 7 to July 10, 2008. The following are experiment results. The school issues stress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before (3.46 points) to after (2.79 points) the therapy (=3.540, <.01). As for family issues stress level, it also showed a meaningful decrease from before (2.69 points) to after (2.38 points) (=3.649, <.01). Meanwhile,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level after therapy (2.39 points) had an insignificant result compared to before therapy (2.42 points) (=0.171, <.01). Personal issues stress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tatistics after therapy (2.51 points) than before therapy (3.06 points) (=3.691, <.01).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issues stress level showed an insignificant result of post-therapy (2.97 points) compared to pre-therapy conditions (3.18 points) (=1.037, <.01). The general stres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statistics after therapy (13.04 points) than before therapy (14.82 points) (=3.823, <.01). We were able to draw a conclusion that art therapy programs using computer graphics could derive the treatment effects of general art therapy through these results, an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computer graphics was effective in emotion regulating abilities of adolescents. 1990년대 미술치료가 국내에 도입된 이래로 미술치료는 점진적인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미술치료는 미술이라는 시각매체를 통해 스스로 억제, 상실, 왜곡된 부분을 발견하고 미술의 상징성과 전체성을 통해 통합시킴으로써 자신의 문제와 인격을 인지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는 과정이다(김선현, 2006). 이에 따른 여러 미술치료 매체와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는 바, 현대인들의 생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컴퓨터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컴퓨터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개인 PC가 보급되어 사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컴퓨터를 이용하게 되었다. ‘2008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청소년의 컴퓨터 주당 평균이용시간은 15세~19세는 평균 13.8시간과 20~24세는 평균 19.1시간으로 나타났다(통계개발원, 2008). 이는 세계 10위권 안팎의 순위로 매우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미술치료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하거나 실패의 위험이 적으며, 음향이나 움직임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청소년들이 컴퓨터를 활용한 미술치료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개인이 원하는 작품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를 이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일반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같은 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출발하였으며, 컴퓨터를 가장 잘 활용하고 그래픽이미지를 다룰 수 있는 대상인 실업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S공업고등학교 2학년 2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응 질문지를 배포하여 측정하여 연구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26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통제 집단에 각각 13명씩 배치하고 2008년 4월7일~7월10일 동안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문제 스트레스 수준을 보면, 학교생활 스트레스가 사전(3.46점)에 비해 사후(2.79점)에 유의미하게 낮아졌다(=3.540, <.01). 가정문제 스트레스 수준을 보면, 가정생활 스트레스는 사전(2.69점)에 비해 사후(2.38점)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다(=3.649, <.01).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보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사전(2.42점)에 비해 사후(2.39점)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0.171, <.01). 자신문제 스트레스 수준을 보면, 자신문제 스트레스가 사전(3.06점)에 비해 사후(2.51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다(=3.691, <.01). 환경문제 스트레스 수준을 보면, 환경문제 스트레스가 사전(3.18점)에 비해 사후(2.97점)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1.037, <.01). 전체 스트레스도 사전(14.82점)에 비해 사후(13.04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다(=3.823, <.01). 이 결과를 통해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어도 일반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치료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컴퓨터그래픽 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사립체 DNA hypervariable region 1과 2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성의 관찰

        강석호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0639

        다낭성난소증후군(PCOS)은 전체 가임기 여성인구의 5-10%를 차지하는 흔한 내분비질환이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병태생리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립체 DNA(mtDNA)의 hypervariable region 1(HV1)과 hypervariable region 2(HV2)에서의 단일 염기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사립체DNA와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병태생리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2007년 10월부터 2008년 7월까지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차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군(81명)과 대조군(8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림프구에서 염색체 DNA를 simple salting out procedure에 따라 추출하였고, 추출된 사립체 DNA의 mitochondrial genome HV1(16024~16383)과 HV2(57~372)의 2개의 부위를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증폭시켜 염기서열 분석을 하고 revised Cambridge Reference Sequence와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를 사용한 χ2-검정법과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p-value가 5% 미만인 경우를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p<0.05).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의 돌연변이는 단일염기치환(single base substitution)으로 이들 대부분은 전이(transition, 71.5%)이었고, 삽입(insertion, 18.2%), 결손(deletion, 1.9%) 순이었다.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군에서는 31개의 부위에서, 대조군에서는 6개의 부위에서 새로운 유전자 다형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HV1에서 3개의 부위와 HV2에서 7개의 부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유전자 다형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이미 알려진 돌연변이와 새로운 돌연변이가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고(31개와 6개), 또한 HV1에서 3개의 부위와 HV2에서 7개의 부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유전자 다형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돌연변이인 G366A가 환자군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HV1과 HV2에서 확인된 유전자 다형성이 특발성 다낭성난소증후군의 발생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is a common and complex endocrine disorder. It affects 5%–10% of women of reproductive age. Central obesity, insulin resistance, hyperinsulinemia, anovulation and hyperandrogenism are typical features in PCOS. Moreover, significant number of PCOS patients shows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are in potential risk of developing type2 diabetes. However, the etiology of PCOS is still a subject of debat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itochondria supporting the cell energy and pathogenesis of PCOS, we analyzed mutations in hypervariable region 1 and 2(HV1 & HV2) of the mitochondrial DNA(mtDNA). Peripher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81 patients with PCOS(mean age, 32.5±3.1) who were under the inclusion criteria for PCOS and from 80 healthy controls(mean age, 29.4±4.8). Genomic DNA is used to amplify the HV1(16024-16383) and HV2(57-372), sequenced and aligned. Th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in the revised Cambridge Reference Sequence. Statistical analysis was assessed by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p < 0.05).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represent in tables. Most of all mutations were single base substitutions. These were transitions(71.5%), insertions(18.2%), transversions(8.4%) and deletions(1.9%). We also found 31 novel mutations in PCOS patients and 6 in controls. PCOS may be associated with the mutations of mtDNA which is a role in supporting the cell energy. Moreover, PCOS has a disturbance in their follicle development. Apoptosis regulated by the mitochondria is recognized as the mechanism of germ cell death and follicle atresia at all stages of ovary development and in the each cycle of folliculogenesis. The imbalance between apoptosis and proliferation affects the stages of follicle development. mtDNA codes for 13 essential subunit of the respiratory chain complexes that provide the main ATP supply of the cell. Its mutations may affect oxidative energy metabolism. Our analysis shows that novel and known mutations a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PCOS samples than in control group. It suggests that the variation of mtDNA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PCOS. Furthermore,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3 polymorphisms in HV1 and 7 in HV2, Especially, G366A, a new mutation, is detected significantly in PCOS(Chi-square test, p=0.01, Fisher's exact test, p=0.00920). These polymorphisms have high frequency in H-strand origin, which is associated with replication of the mtDNA. It also demonstrates that these mutations of H-strand origin may be relevant to pathophysiology of PCOS. Based on this study, we show that polymorphisms identified in the HV1 and HV2 affect the development of PCOS caused by abnormalities in the mitochondrial mechanism, such as impaired apoptosis, insulin-stimulated pathways, insulin resistance and anovulation. Our results support that polymorphisms of mtDNA may play a role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COS. Keywords : Polycystic ovary syndrome. Mitochondrial DN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hypervariable region

      • 인후통으로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에서 진단적 RSS (Rapid Streptococcal Screening) 검사의 유용성

        박영태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Purpose : This paper evaluates the value of a RSS(Rapid Streptococcal Screening) detection test through the use of a RSS detection kit and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 RSS detection test with a throat culture. The RSS detection kit is a easier and faster way to identify the infection of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GABHS), the most common causal agent of acute bacterial pharyngitis.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kinds of clinical symptoms which are associated with bacterial pharyngitis. Methods : A throat culture and a RSS detection test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to all 239 patients who were suspected of having acute pharyngitis. Then the values of the RSS detection test were analyzed comparatively on a chi square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Centor criteria clinical features and bacterial pharyngitis was examined through a logic regression test. Results :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a throat culture and a RSS detection test, test sensitivity was 83.6%, specificity was 97.2% and kappa coefficient was 0.83(95% C.I: 0.75~0.91). This suggests a RSS detection test is very valuable statistically. Conclusions: RSS detection test is considered to be more accurate than the diagnosis of bacterial pharyngitis based on clinical features. Assuming that all patients with acute pharyngitis take antibiotics, it is considered that using a RSS detection test would yield considerable percentages reduction of unnecessity antibiotics use. Key Words: GABHS, RSS, throat culture, Centor criteria 서론 : 본 연구는 급성 세균성 인후-후두염의 대표적 원인균인 A군 beta-용혈성 연쇄구균(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 GABHS)의 감염여부를 쉽고, 빠른 시간 내에 알아 낼 수 있는 Rapid Streptococcal Antigen(RSS) kit를 이용한 RSS 검사법을 인후 배양검사(throat culture)와 비교 분석하여 RSS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으며, 또한 어떠한 임상적 증상이 세균성 인후-후두염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 인후-후두염이 의심되는 총 239명의 모든 연령의 환자에서 인후 배양 검사와 RSS 검사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그 결과를 2x2 table 및 chi square test로 비교 분석하여 RSS 검사법의 유용성을 분석하였고, 임상 소견과 세균성 인후-후두염과의 상관관계는 regressio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인후 배양검사 결과와 RSS 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RSS 검사법의 민감도는 83.6%, 특이도는 97.2%, 양성 및 음성 예측율은 각각 91.1%와 94.5%, 정확도는 93.7%였다. 세균성 인후-후두염을 의심할 수 있는 인후 삼출물(pharyngeal exudate) 및 경부 임파선증(cervical adenopathy)이 있는 경우 세균배양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는 GABHS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변수로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적 소견중 세균성 감염을 시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던 exudate 또는 cervical adenopathy의 유무는 임상적으로 세균성과 바이러스성을 감별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임상소견에 의존한 세균성 인후-후두염의 진단보다는 RSS검사법을 이용한 진단법이 더 정확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모든 급성 인후-후두염 추정환자에서 항생제를 사용했다고 가정할 때 RSS 검사법(양성: 23.4%)을 이용하면 최대 75%까지 불필요한 항생제의 사용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Vascular Angiogenic Progenitor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안진섭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생명과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which are derived from the inner cell mass of a human blastocyst, have the ability of self-renewal and are pluripotent. Due to their pluripotency, hESCs can differentiate into three germ layers. Furthermore, differentiated cells from hESCs express a set of genes that are only observed in these specialized cells. Therefore, when hESCs differentiate into endothelial cells, we can expect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genes only found in endothelial cell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specific genes present in endothelial cells derived from hESC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both vascular angiogenic progenitor cells derived from hESCs (hESC-VAPCs) and cord blood deriv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CB-EPC) compared with hESCs by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SSH). Using this technique, we obtained 207clones containing expressed sequences that are more abundant in hESC-VAPCs and CB-EPCs compared to hESCs, and characterized them using the NCBI GeneBank database. Among them, 105 clones were known genes, 23 clones matched with nucleotide, 13 clones showed homology only to genomic DNA sequence, and 66 clone showed no significant homology. Next, we randomly selec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verified the results using RT-PCR. The genes identified are involved in: cell cycle and growth, the cytoskeleton and cell adhesion, development, metabolism, heat shock protein, signal transduction, transcription/nuclear specific genes, and other functions. Here, we successfully identified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VAPCs and CB-EPCs compared to hESCs. We anticipate that further study of the genes we have identified will provide insights into their specific roles in the development of endothelial cells from hESCs. 인간배아줄기세포는 다분화능력과 무한분열증식능력을 가진 세포로써 다양한 유전자들과 인자들의 작용과 조절에 의해서 분화 및 증식능력은 조절되게 된다. 인간배아줄기세포는 외배엽, 내배엽, 중배엽, 등과 같은 다양한 조직 및 기관으로의 분화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분화와 관련된 연구가 현재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중배엽의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로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를 발굴 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직까지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직접적으로 분화시킨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와 이를 이용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와 비교하여 DEG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시도 되었다. 우리는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특이적인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서 DEG발굴 기법 인 SSH법을 사용하였으며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이를 이용해서 분화시킨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 그리고 제대혈 혈관형성내피전구세로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207개의 클론 (배아줄기세포유래 혈관형성내피세포전구 127종, 제대혈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 80종)들을 발굴하게 되었으며 그 중 배아줄기세포유래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의 특이적인 알려진 유전자 70개와 제대혈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의 특이적인 알려진 유전자 35개를 각각 정리 하였다. 또한 인간배아줄기세포와 비교하여 배아줄기세포유래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와 제대혈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 2종류도 발굴 하였다. 이외에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C1orf31 유전자도 발굴하였으며, C1orf31 유전자는 세포주기 관련성 실험결과 S/G2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발굴 된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의 특이적인 유전자들은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를 통해서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여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완성시켰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는 혈관형성내피전구세포의 분화 및 발달과 관련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가 된다.

      • 근치적 위절제술 후 위암 재발 평가에 있어 18F-FDG PET/CT의 유용성

        이지은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39

        위암 재발 평가에서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and computed tomography(18F-FDG PET/CT)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문헌 보고가 충분하지 않다. 현재까지 PET은 computed tomography(CT) scan에 비해 민감도는 낮지만 특이도는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T scan의 민감도와 18F-FDG PET의 특이도를 병합한 18F-FDG PET/CT가 근치적 위절제술 후 위암의 재발의 발견에 얼마나 유용한 검사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1997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위절제술을 받은 후 재발의심 소견이 보여 18F-FDG PET/CT와 CT scan을 시행하고 12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총 78명을 분석하였다. 재발이 의심되는 병변에 대한 조직검사와 종양 표지자 검사, 내시경 검사, CT scan, 18F-FDG PET/CT결과를 종합하고 임상 경과를 관찰하여 재발을 진단하여 PET/CT와 CT scan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전체 78명 중 15명(19.2%)에서 21개의 장기에 재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별로는 장관 3건, 복막 4건, 간 2건, 국소림프절 3건, 원격림프절 4건이었으며, 췌장, 담관, 난소, 요관, 뇌에서도 각각 1건씩 나타났다. FDG 섭취가 증가된 35개의 병변 중 재발로 진단된 경우는 9건이며 3건에서는 갑상선암과 폐암이 발견되었다. FDG 섭취가 증가되지 않았으나 실제 재발로 진단된 경우는 12건으로 민감도 42.9%, 특이도 61.0%, 양성예측도 37.1%, 음성예측도 75.0%를 나타냈다. 장기별로는 위장관에서 18개 중 18개가 위양성으로 나타나 높은 위양성률을 보였다. 반면 CT scan에서는 21개의 재발장기 중 18건이 발견되었고, 18F-FDG PET/CT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 장기는 7건으로, 민감도는 85.8%, 특이도는 85.0%를 보여 민감도와 특이도 모두 CT scan이 18F-FDG PET/CT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18F-FDG PET/CT와 CT scan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민감도는 95.2%로 상승되었고 특이도는 54.5%로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근치적 위절제술 후 위암의 재발의 발견에서 18F-FDG PET/CT는 CT scan에 비하여 낮은 민감도와 낮은 특이도를 보이므로 단독으로 시행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CT scan과 함께 시행하였을 때 민감도가 상승되는 결과를 보였다. The role of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and computed tomography(18F-FDG PET/CT) scan for detecting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gastrectomy has remained unclear. PET scan is known to have higher specificity and lower sensitivity than conventional computed tomography(CT) scan. Therefore, 18F-FDG PET/CT scan is expected to be a more useful diagnostic method due to combination of high sensitivity of CT scan with high specificity of PET scan.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18F-FDG PET/CT scan in the evaluation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gastrectomy due to gastric cancer. From January 1997 to September 2007, 78 patients, who had curative gastrectomy due to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gastric cancer and underwent both 18F-FDG PET/CT scan and abdomino-pelvic CT scan during post-operative follow-u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They had clinical follow-up at least 12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diagnosed by combination of histopathologic confirmation at the suspicious lesion, endoscopy, abdomino-pelvic CT scan and 18F-FDG PET/CT scan. Fifteen of 78 patients (19.2%) were diagnosed recurred gastric cancer at 21 organs. On the 18F-FDG PET/CT scan, 35 organs showed increased-FDG uptake and only 9 organs were diagnosed with recurred gastric cancer by the 18F-FDG PET/CT scan. The other 3 organs were diagnosed with primary thyroid cancer and lung cancer. The resting 23 organs with increased-FDG uptake, including 18 gastrointestinal organs, were revealed to be false-positiv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18F-FDG PET/CT scan for detecting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after curative gastrectomy were 42.9%, 61.0%, 37.1%, and 75.0%, respectively. On the abdomino-pelvic CT scan, 18 of 21 recurred gastric cancers were detected, and 7 cases were in concord with 18F-FDG PET/CT scan.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bdomino-pelvic CT scan were 85.8% and 85.0%, each other. These are superior to those of 18F-FDG PET/CT scan. When we diagnosed recurrence based on both 18F-FDG PET/CT scan and CT scan, the sensitivity increased to 95.2% and the specificity decreased to 54.5% compared with CT scan. 18F-FDG PET/CT scan alone was insufficient diagnostic method in the evaluation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gastrectomy due to lo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However, when we combined CT scan with 18F-FDG PET/CT scan, detection sensitivity for tumor recurrence was improved. Keywords : Gastric cancer, Recurrence, 18F-FDG PET/CT scan, CT sc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