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에서의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지원방식에 대한 연구 : 국내대학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김다희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청년실업률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문제로 인식하고 심각성을 느낀 바이며, 정부에서는 최근 5년간 청년실업의 해결책으로 10조원 이상을 투입하였지만 2018년 4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 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 수치를 보였다. 또한 높은 청년실업률에 비해서 사회는 낮은 고용률로 일자리부족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취업률 저조에 있어 많은 복합적인 문제 중 각 대학에서의 취업관련 지원방식이 사회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을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을 잘 살려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이 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취업률이 가장 낮은 예술계열학과 중 한때 붐이었던 국내 실용음악전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 때 K-POP과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용음악전공 희망자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국내 대학의 실용음악학과 개설도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용음악이 발달 된 것도 언 30년이 되어가는 지금 정작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휴학률이나 졸업 후 미취업자는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음악이나 예술산업현장에서는 전공자의 인력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각 대학의 실용음악전공 교육이 이제는 음악 산업현장과 더 나아가 문화 산업까지 필요한 교육이 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각 학교 별 취·창업지원 운영방식과 학생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대학과 각 학과의 역할, 그리고 대학 내의 취·창업지원센터의 운영방식과 필요성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째, 실용음악의 선행연구를 통해서 교육체계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학교 별 취·창업지원프로그램의 운영사례 현황을 분석하였다. 실용음악의 선행연구에서는 근 10년 동안‘실용음악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있었고, 더불어 실용음악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조사도 함께 연구되어 있었다. 그에 따른 교육문제로는 교수는 교수의 전공불일치 또는 재즈에 편중된 교수가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 채용에 대한 문제도 제기 되어있었다. 교수의 전공 불일치로 인하여 학생들은 불만과 자신의 전공에 대해 혼란이 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고학력 교수채용에 있어서는 학과의 불명확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게 되고, 다양한 인적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 것이었다. 그 외에도 학생의 실력차나 졸업에 대한 준비 부족, 학교의 교육시설이나 교육내용, 교재 등 여러 가지의 교육체계에 대해서 문제제기가 되어 왔었다. 한 때 대학에서는 실용음악전공을 개설하는 수가 양적으로 팽창되었으나 이제는 그 거품이 줄어들고 있다. 10년 전 실용음악에 대한 유행이 지나가면서 그 피해는 졸업생들한테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현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나 취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각 학교 별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졸업 후 전망과 학생들이 재학 중 희망하고 있는 직종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졸업 후 전공생들의 취업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둘 째, 우리나라와 외국 대학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사 대상 대학은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예술대학과 종합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예술대학으로는 서울예술대학교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백제예술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의 일곱 개 대학이다. 국내 종합대학은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단국대학의 여섯 개의 대학으로 국내는 총 13개의 대학을 살펴보았으며, 이화여자대학교를 제외한 총 13개의 대학교는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대학들이다. 외국대학은 미국 대학의 버클리 음악대학, 영국 대학의 리즈대학교 음악대학, 일본 대학의 도쿄음악전문학교로 이들의 취·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 째, 취·창업지원의 실제 수요자인 실용음악전공 학생들과 관련이 있는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우선 학교는 비수도권에서 취업률 1위인 백석대학교를 기준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교수진’과 학교 내에 설치되어 있는‘취·창업지원 센터’와 학교에서 실제로 교육을 받아보고 지원을 받았던 5년 이내의‘졸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취·창업 지원방식과 관련 관계자들의 실제의 요구가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상 과정을 통해 대학에서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취·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방식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은 결과로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진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적 특성에 맞는 취업·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외 인턴십 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별 특수성에 따른 통합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들이 각 학과별 지원에 있어 도움이 되고 대학에서의 여러 가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짐으로 앞으로의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직업의식을 심어주며, 이제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자신의 전공에 대한 자신감과 음악 산업현장에 나아갔을 때는 전문인이 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문화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귀한 인재양성이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Korea that youth unemployment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ntire society has to consider this issue as a social problem. Despite of 10 trillion won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for the last 5 year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of 2017 were raised to 9.9%,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search on 4th January 2018. Recently, furthermore, the society of South Korea has been suffered by low accession rate and it has been caused jobs crunches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reports that working support system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mong different factors,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effort of the entire society to solve the issue. In order to explain the topic,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the universities and checks the system works efficiently in the basis of the student’s major. Especially, this article’s research focuses on the working support system for students that who majors in practical music as art-related majors show very low accession rate. Many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opened practical music major curriculum because of popularity of K-pop audition programs for a while. However, even though practical music field has been developed for 30 years in South Korea, many students that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leave of absence or fail to have a job after graduation. It means the lack of actual specialized human resource in practical music and art-cultural field.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hat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is able to be a necessary part of musical field and even cultural field,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actual role of a university and department and actual direction of government support center’s management and requirements in the basis of demand of a student and management of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system. First of al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ent state of accession rates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from existing researches.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educational system of practical music’ for the recent decade, including insight of a demand of a student for practical educational system. The researches point the tendency that a professor’s major is not matched with his/her curriculum or a professor majored in jazz music usually lead practical music curriculum. They also point the issues caused from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Because of discordance of a professor’s major, the students report that they are confused to figure out their actual speciality, and they also claim that the curriculum’s musical speciality also has been unclear and the program is not able to use various human resources, because of a professor who has high level education. Additionally,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claimed different issues including lack of preparedness for capacity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graduation, and low quality of facilities,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Even though many universities have opened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but now the trend was passed and the students take the burden. In order to research the issue in detail,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deas about employment and job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checks the reports on the universities regarding prospect of employment. The researcher also surveyed the types of jobs which the students want to have after graduation and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practical music. Secondly, the researcher compares working support systems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ith overseas countries’ one. For the research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on 7 colleges and 6 universities. The colleges includes Seoul Institute of the Arts, Dong-Ah Institute of Media and Art, Paekche Art College, Busan Arts College, Yewon Arts University, Daegu Arts University, and Baekseok Arts Univeristy. The universities include Hanyang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Except Ehwa Women’s University, all of these researched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eir own curriculum for practical music. For the research of overseas colleg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working support system of U.C. Berklee College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niversity of Leeds in United kingdom, and Tokyo College of Music in Japan. Thir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major in practical music and staffs who are in charge of working support program including the professors and the staffs of working support department of Baekseok University, and alumnae graduated in last 5 years from the university as the university’s employment rate is most highest among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in non-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 fou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surve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working support program’s support system for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best environment for employment. Second,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consider the special factors of the field of art. Third, a working support program has to be able to establish different network channels. Fourth, internship program has to be encouraged. Fifth, integrated information is required in the ba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helps each university’s working support progra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and establish organic network to give different and wide professionalism to students majored in practical music. The researcher also hopes that the universities can encourage each student to have confidence and educate them as a professional musician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n cultural field of South Korea.

      • 예술지원 매칭펀드 현황 및 개선방안 : 한국메세나협회 사업을 중심으로

        배소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기업에서는 문화예술을 직원의 창조적 능력 향상 및 수입 창출의 방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정부에서는 각종 제도 도입을 통해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기업과 예술이 만나는 접점에 ‘메세나(Mecenat)’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메세나협회'에서 메세나 활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을 통해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메세나협회의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사업에 참여한 예술단체 및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는 문화예술 분야 지원정책 관련 연구자료, 관련 법률, 단행본, 온라인상의 검색 등을 통해 수집할 것이며, 사업과 관련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 신청서, 심사 결과 자료, 교부 자료, 사업 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성과보고서 등 관련 자료를 모두 취합하여 정리하고 분석할 것이다. 1994년에 설립된 한국메세나협회는 기업 결연 및 국가기금 사업과 대기업의 문화사회공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가기금으로 운영되는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은 2007년에 도입됐으며, 예술단체에 중소·중견기업이 지원하는 금액에 비례해 국고를 추가로 지원한다. 총예산은 사업 도입 당시 10억 원에서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6년에 20억 원이 되었으며 이 중 15%는 사업 운영비로 쓰인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결연 기업과 예술단체의 수는 2007년에 27개에서 2016년에 124개가 되었다. 최근 5년 간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에 참여했던 예술단체를 장르별로 분석해보면 음악과 연극 장르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014년 이후 점차 하락하고 있으나 2016년까지 전체 장르에서 60% 이상의 비율을 유지했다. 공연과 비공연으로 나누면 2016년에는 공연이 83.71%, 비공연이 16.29%로 매년 80% 수준을 유지했다. 지역별로는 2016년에 서울의 예술단체 비율이 66.7%였으며, 기업은 48.8%였다. 또한, 예술단체의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비율은 83.54%였으며 시 단위는 85.48%였다. 기업의 경우 수도권이 74.4%, 시 단위가 6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총 288곳으로 1회 참여한 기업이 177곳이며 60% 수준의 비율이었다. 한편, 현재 사업 참여 기업의 분류 기준은 업종이 47가지나 됨에 따라 분석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은 교류협력 프로그램이 수반되는데 2016년에는 ‘임직원/가족 공연 초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메세나협회에서는 이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어 다양한 기업의 욕구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비 중 한국메세나협회의 운영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메세나협회는 운영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덕분에 더 많은 예술단체를 지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운영비를 계속 감소시키는 것은 사업 운영에 부실을 초래할 수 있어 운영비에 대한 적정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예술단체 심사 시 중점적으로 추진할 장르를 선정해야 한다. 장르 편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매해 예술단체 선정 시 적정 비율을 목표로 한 후 예산 배분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이슈(예를 들어 다문화, 학교폭력, 새터민 등)나 융·복합, 예술교육 등의 키워드를 제시하여 이에 부합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일정 퍼센트를 할당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셋째, 선정 기업과 예술단체의 지역 편중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 각 지역을 관할하는 메세나협회가 생기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나 정책적으로 설립을 유도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지역과 연계한 홍보사업을 통해 기업 및 예술단체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청 단체에 대한 심의를 진행할 때 비수도권 등에 할당제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사업 참여 기업의 업종 분류 체계를 재정립해야 한다.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적절한 업종 분류 기준이 없어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 중에서 대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체계를 도입하면 분류 기준이 명확해지고 타 통계 자료와 예술지원 매칭펀드 참여 기업을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교류협력 프로그램의 분류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 현재의 4가지 분류 기준은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류협력 프로그램들을 분류하기 어렵다.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면 다음 <표 1>과 같이 10가지로 분류 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한 체계를 기업의 사업 신청서 및 담당자가 관리하는 자료에 동일하게 적용하면 보다 정확한 통계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장기참여 기업에 대한 우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최근 5년 간 기업의 1회 참여 비율이 높다는 것은 신규 유입이 증가한 것도 있지만 장기결연의 부제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정책적으로 우대 방안 마련을 통해 기업들의 장기적인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이 외에도 본 논문은 해당연도 별로 단절되어 있던 예술지원 매칭펀드 자료를 장르별·지역별·참여횟수·교류협력 프로그램 등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사업초창기 일부 자료에 일관된 체계가 없어 10년 동안의 트렌드를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2007년부터 10년 동안의 전체 자료를 살펴보지 못한 것은 다소 아쉬운 점이다. 또한, 기업과 예술단체의 신청대비 탈락 비율, 참여 기업의 업종 분석 등도 살펴보고 싶었던 부분이나 현 자료 상태로는 통계를 낼 수 없어 후속 연구로 미룬다. 한국메세나협회는 지난 10년 간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을 운영하며 사업비의 변화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나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업을 이끌어 왔다.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중요한 축인 중소·중견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을 이끌어낸다는 정책적 의미를 담고 있어 향후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개별 지역에도 운영 주체가 생겨 사업이 확산되어야 하며 한국메세나협회의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을 벤치마킹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예술지원 매칭펀드 사업이 더욱 체계적이고 활발히 운영되어 우리나라 문화예술 진흥에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Recently, companies are focusing on culture and art as the means of improvement in employees’ creative ability and income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such trend,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companies’ support for cultural and ar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ystems, and at the point where companies meet art, there is ‘Mecenat’. In Korea, mecenat activities are led by ‘Korea Mecenat Association’, and the government is leading companies’ participation through the ‘matching fund for art’ busines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Korea Mecenat Association’s matching fund program for art, and focuses on arts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rom 2007 to 2016. Basic data for the study will be gathered through research material related to culture and art support policies, relevant laws, publications, and online searches, and relevant data from 2007 to 2016 relevant to the business such as matching fund business applications, evaluation result data, issued reference business report and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performance report will be gathered and analyzed. Korea Mecenat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94 and works on company alliance, national fund business and corporations’ cultural and social contribution businesses. Matching fund business for art, operated by the national fund, was first implemented in 2007, and provides additional national fund to art organizations in proportion to the amount supported by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From the initial budget of 1 billion won in 2007, the total budget increased to 2 billion in 2016 after repeated fluctuation, which 15% of it is used as an operation expense. With such development, the number of partnered companies and arts organizations increased from 27 in 2007 to 124 in 2016. In terms of the genre of arts organizations that participated in the matching fund business for the last 5 years, music and theater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although on a decreasing trend since 2014, they maintain over 60% of the entire genre until 2016. In terms of performance, performance accounted for 83.71% and non-performance accounted for16.29% in 2016, accounting for around 80% each year. In terms of region, organizations in Seoul accounted for 66.7% in 2016, and companies in Seoul accounted for 48.8%. Organizat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Incheon) were 83.54%, and 85.48% in cities. In case of companies, 74.4% wer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64.5% were in cities. Total number of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business in the last 5 years was 288, which 177 of them participated once,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60%. Meanwhile, classification of participating companies is rather complicated, as the type of business reach 47 kinds. Matching fund support business for art is accompanied by exchange program, in which ‘employee/family invitation to performance’ accounted for the highest in 2016, but Korea Mecenat Association classifies them into 4 types that there are limits in analyzing companies’ various desires.Improvements suggested in this study, based on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peration criteria for Korea Mecenat Association, which operates the matching fund, should be established. Korea Mecenat Association was able to support more arts organizations due to efficient use of operation expense, but continued reduction of operation expense may result in poor business operation, so an appropriate criteria in operation expense are required. Second, a genre to put emphasis on during arts organization screening should be selected. In order to alleviate genre bias, appropriate proportion of genres should be assigned and budget should be allocated when selecting arts organizations, and suggesting social issues (such as multicultural, school violence, North Korean defectors, etc.) or keyword such as convergence or arts education and allocating a certain percentage towards business that suits this may be a good way. Third, the regional bias of selected companies and arts organizations should be improved. The most ideal way is to have regional mecenat associations, but it is politically difficult to induce establishment, so participations of companies and arts organization as a promotional business in relation to the region should be induced. In addition, when deliberating about the applicant organization, applying a quota system on non-metropolitan region may be appropriate. Fourth, the business classification system of participating companies should be reestablished. In stead of the current system that has no proper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matching fund business for art, this study suggests using the category in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troducing such classification system not only clarifies the criteria, but also enables the analysis of other statistical data in relation to matching fund participant companies. Fifth, classification system of exchange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he current 4 classification criteria make it difficult to categorize the exchange programs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e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reconstructed into the following 10 categories based on analyzed data; Exposing company name, Marketing use, Providing invitation, Social contribution, Workshop cooperation, Company welfare, Providing promotional space, Employee preference, Cooperating to company events, Others. Applying such classification system to the business application and data managed by staff will result in more accurate statistical data. Sixth, preferential plans for long-term participant companies should be established. High proportion of 1 participation by companies within the last 5 years not just implies an increase in new companies, but also may imply a risk in absence of long-term alliance. Long-term participations of companies need to be induced by establishing preferential plan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ategorizing and organizing the matching fund data in art, which was disconnected by year, by genre, region, participation count, exchange programs, etc.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coherent system in some data from the beginning of business, there were limits in analyzing the trend of 10 yea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ata from 2012 to 2016, and could not review the entire data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07. In addition, the elimination ratio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nd business type analysis of participant companies could not be compiled for statistics with the current data status, and will be hold off to the follow-up study. Korea Mecenat Association has faced difficulties during the last 10 years while operating matching fund business for art due to changes in operation expense, but has led the business relatively steadily. Matching fund business for art embraces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drawing support in culture and art from small and mid-sized companies, which are an important axis in Korean economy, and therefore, its significance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more. In the future, regional operating subjects should be established to expand the business, which will benchmark Korea Mecenat Association’s matching fund business for art. This study hopes that the based on this study, art matching fund business will be operated more systematically and actively to become the foundation in the promotion of Korea’s arts and culture.

      • 서울 강남구 가구별 특성과 문화재단 프로그램 연계에 관한 연구

        성여운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2018년 현재 너무나도 많은,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는 어렵지 않게 그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관람하거나 체험할 수 있다.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관람해야겠다는 마음가짐만으로도 쉽사리 동참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나날이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문화예술 또한 나날이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문화예술을 단지 관람하거나 체험하는 것에 멈추지 않고 새로운 문화예술을 만드는 예술가의 역할까지 하는 등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예술가들만의 영역이었던 생산자 역할을 지역 주민들도 생산자 역할을 수행함으로 새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활발해지는 이 시기에 관람자의 역할조차 하지 못하는 계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고민과 노력, 다양한 시도를 여러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유아에서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너무나도 다양한 성격과 성향을 가진 지역 주민들이며, 다양한 특성을 지닌 계층의 지역 주민들이기에 이들의 문화적 욕구를 모두 충족시켜 주어야 하며, 문화예술이 지역 주민의 계층과 연령에 있어 차별적으로 다가가지 않아야 함을 우리는 기억해야 하지만 아직도 무의식적으로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대한 차별적 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의식적인 차별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나가야 할 필요성을 깨달아야 하며, 깨닫는 것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바꾸고자 노력하고, 이를 실천해서 문화예술에 대해서만큼은 차별 없이 어느 누구나가 즐기며, 체험하고, 문화예술을 통해서 삶의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일부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참여도는 상승되지만 보편적인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주민이 나날이 감소하는 상황에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 상승 방안을 모색하고 마련하여 참여 인원의 상승을 유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에 참여하지 못하는 지역 주민을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 이 방안을 실제 추진하여 지역주민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임을 꼭 기억해야 할 것이다. As of 2018, there are so many diverse institutions that plan and operate diverse cultural and arts programs, and we can experience and experience the cultural and arts programs without difficulty. It is easy to participate with th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or viewing the cultural arts program and enjoying the culture and arts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have been developed day by day in the developing society, and now they have developed into culture and arts programs such as playing the role of an artist who does not stop just watching or experiencing culture and arts and creating new culture and arts. Since local residents also play a role of producers who were the realm of artists only, there are those who can not even play the role of spectators in this period when new culture and art programs become active.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troubles, efforts, . It is a local reside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ranging from infants to old age. It is a local resident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atisfy all the cultural needs of them, and the culture and arts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he class and age of local residents. We have to remember that we should not approach it, but we are still making a discriminatory offer to cultural arts programs unconsciously. We need to realize the need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problem of this unconscious discrimination, and not to end it with realization, but to try to change it practically and to practice it, There is an obligation to make life satisfaction through art.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e program is elevated, but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universal arts and culture program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isting program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ways to enable local residents who can not participate in cultural arts programs and to promote these measures so that local residents can enjoy cultural arts

      • 문화예술회관의 내부요소가 운영핵심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장의 리더십과 조직성향을 중심으로

        정영진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blic arts center is a public cultural and arts institution which is maintain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 Since the 1990s, the establishment of these public arts center has increased rapidly and has currently reached a number of about 220 in the year 2014. The public arts center which is founded and run for the purpose of local culture promotion is facing the problem of having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s based on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Research on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arts centers had been consistently conducted. Recently, researches are mainly being conducted on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operational performanc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search in internal factors of the organization that can affect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ublic arts center. Firstly, standards for oper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arts centers were not considered as a detailed index or quantitative result and performance of public arts centers were dealt by implementing the concept of core operational valu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core valu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of public arts centers were determined to be publicity, artistry and management efficiency. Also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med internally by staff of the public arts center which can be considered the internal factor of an organization was chosen as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core operational value of public arts center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type of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Sub-variabl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chose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ent researches. Leadership of the director was classified into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clan culture, hierarchy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using organizational culture approach using the competing value model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mediation effect whe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ffects core operational values. As the dependent variable, core operational valu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as the mediation variable, organizational culture were each selected to build a research model and select a hypothesis. It wa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ly, leadership of the director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ly, leadership of the director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Thirdly, organizational culture will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Fourthly, organizational culture will mediate the effect that leadership has on core operational values. A survey was compos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abov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irectors and staff of public arts centers nationwide. Also,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and to deduct realistic implications, an in-depth interview was given to directors and staff of public arts centers. Although there were rejections per sub-variables in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generally, there were results with meaningful effects amo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and core operational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e operational values.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most showed partial mediation but there were three complete mediation effects relating to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hypotheses verification,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hypothesis, adhocracy culture had a meaningful effect on all leadership type so we were able to predict that when the advantages of each type of leadership of directors are demonstrated, there is a high chance that a adhocracy culture may form withi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arts center.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cond hypothesis, transformational, servant, and emotional leadership each affect the core operational value whereas transactional leadership only affects management efficiency. So it had a relatively low influence in terms of realizing a core operational value that the public arts center aims for.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third hypothesis, whereas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had a meaningful effect on all core operational values, hierarchy culture and market culture had a partial effect. So for the organization of public arts centers, we can see that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which emphasizes flexibility and change is more effective compared to hierarchy culture and market culture which emphasizes control and order.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ourth hypothesis, it was shown that most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and sub-variables of the core operational values. It is a result in which we can say that although there is not a complete mediation effect, there is a relevance. A complete mediation effect was displayed as a result in three cases and they all had to do with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relativel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e operational values but had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adhocracy culture and clan culture. Through hypotheses verification and interview investigation, we were able to find implications on the leadership of the director and organizational culture as an internal factor to realize the core operational value of public arts 문화예술회관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원을 지원받아 운영되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이다. 1990년대 이후 급속하게 건립되어 2014년 현재 220여개에 달하고 있다. 지역문화진흥을 목적으로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회관은 신공공관리론에 근거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욕구를 충족시켜야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데, 최근에는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문예회관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조직의 내부요소에 대한 연구에 주목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다루었던 운영성과 에 대한 지표와 영향 요소와는 차별화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예회관의 운영성과에 대한 기준을 세부적인 지표나 정량적인 결과로만 보지 않고, 운영핵심가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문예회관의 성과를 다루었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문예회관의 운영 목적에 부합하는 핵심가치를 공공성, 예술성, 경영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문예회관의 운영핵심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조직의 내부요소라고 할 수 있는 관장의 리더십과 문예회관 종사자들이 내부적으로 형성한 조직성향을 선정하였다. 리더십과 조직성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예회관 관장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향 유형을 각각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목적에 맞는 하위 변수들을 선정하였는데, 관장의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감성적 리더십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조직성향은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적용한 조직성향 접근법을 활용하여 관계지향, 위계지향, 혁신지향, 과업지향으로 분류하여 관장의 리더십이 운영핵심가치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종속변수로 운영핵심가치를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 관장의 리더십을, 매개변수로는 조직성향을 각각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관장의 리더십은 조직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두 번째, 관장의 리더십은 운영핵심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 번째, 조직성향은 운영핵심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네 번째, 조직성향은 관장의 리더십이 운영핵심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관장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문예회관 관장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결과는 하위 변수별로는 기각이 있었지만 대체로 리더십과 조직성향, 리더십과 운영핵심가치, 조직성향과 운영핵심가치 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들이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에서는 대부분 부분매개를 나타냈지만 거래적 리더십과 관련해서 세 가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가설검정 결과를 하위변수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가설 분석결과, 혁신지향 조직성향은 모든 리더십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관장의 리더십 유형별 장점이 잘 발휘되면 문예회관 조직 내에 혁신지향의 조직성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두 번째 가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변혁적, 서번트, 감성적 리더십은 각각 운영핵심가치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거래적 리더십은 경영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예회관이 추구하는 운영핵심가치를 구현하기에는 다른 유형의 리더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가설 분석결과, 관계지향과 혁신지향 조직성향은 운영핵심가치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위계지향과 과업지향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예회관 조직에는 통제와 질서를 강조하는 위계지향, 과업지향 조직성향보다는 신축성와 변화를 중요시하는 관계지향, 혁신지향 조직성향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네 번째 가설인 조직성향의 매개효과 분석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조직성향 하위변수들이 리더십 유형과 운영핵심가치 하위변수들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개효과를 완벽하게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결과이다. 완전매개효과는 세 가지 경우가 결과로 나타났는데 모두 거래적 리더십과 관련이 있었다. 거래적 리더십은 상대적으로 운영핵심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혁신지향과 관계지향 조직성향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는 운영핵심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정과 인터뷰 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문예회관 운영핵심가치를 구현하기 위

      • 문화예술단체 ESG경영의 필요성 & 구성요소 연구

        진윤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examines how ESG management, a new paradigm for corporate growth, can be applied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reviewed how to apply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ESG management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how to construct evaluation indexes components applicable to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se ESG evaluation indexes secures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self-sufficiency, and stability, and preemptively predicts crises and risk factors in the organization's operation. Firs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the definition and core elements of ESG management were reviewed, and the case of SK holdings, a domestic company, was stud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mpanies for each core element. Second, based on the previously researched definition of ESG management and case analysis for each core element, the necessity of ESG management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raised and the details of each core element were studied. Third, case studies of ESG manage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in practice, the environment-based theater operation case of the Pigfoot theater company in England was investigated. As another example, Samsung Cultural Foundation's ESG management cases and current statu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ird example is Academy Passion & Sha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S), a performance group with 25 members, was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of ESG management.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ESG management is an important management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stainable organizations and that it can help other companies realize ESG management. Fourth, the need for ESG evalu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the functions and compon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were studied. The necessity and functions of ESG evaluation indicators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construct the ESG evaluation index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he cases of ESG evaluation index of general companies were first studied and analyzed. The corporate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analyzed in detail. The company evaluation index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KCGS) and basic diagnosis item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K-ESG guidelines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as models. The specificity of ESG manag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was studied, and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and presented. It is suggested that each cultural and organization itself select the weight and application par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each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 when evaluating each part.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evaluation index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a fair judgment criterion by using the constructed evaluation factors when deliberation of investment and support by companies and public support organizations. I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execute and evaluate ESG management using the index system and diagnosis items studied in the future, they can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and self-sufficiency based on sustainable management in the market. In addition, culture and art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in leading a sustainable society. 이 연구는 기업성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ESG경영을 어떤 방식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인지를 고찰하였다. 특히 기업의 ESG경영의 핵심요소를 문화예술 단체에 적용하고 국내기업의 ESG경영지표와 K-ESG평가지표 모델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어떻게 구성할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단체의 경쟁력, 자생력, 안정성을 확보하고 단체 운영의 위기와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이 일반기업과 기관들의 ESG경영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의 대안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 이론적 배경으로 ESG경영의 정의 및 핵심요소를 살펴보고 각 핵심요소별 기업의 ESG경영 사례분석으로 국내기업 SK주식회사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된 ESG경영의 정의 및 각 핵심요소별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각 핵심요소별 세부내용을 연구하였다. 셋째, 국내외 문화예술단체 ESG경영 사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국외 사례로 영국 피그풋 시어터(Pigfoot theatre company)의 환경에 기반 한 극장운영사례를 조사하였고 국내사례로 삼성문화재단의 ESG경영사례 및 현황을 연구 분석 하였다. 25인 규모의 연주단체인 아카데미 열정과 나눔(이하APS)의 운영상황을 ESG경영의 핵심요소 별로 분석하였다. 시사점으로 ESG경영이 지속가능한 단체의 운영을 현실화 시키는데 중요한 경영방식 이며 특히 문화예술단체의 특성상 레퍼토리의 구성, 지역기업과의 파트너 쉽 형성 등이 다른 기업의 ESG경영 실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넷째,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의 필요성과 평가지표 기능 및 지표 구성요소를 연구 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필요성 및 기능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문화예술단체 ESG평가지표의 구성을 위하여 먼저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배구조원(KCGS)의 기업 평가지표와 산업통산자원부에서 배포한 K-ESG가이드라인 중견중소기업 기본 진단항목을 모델로 삼았다. 문화예술단체 ESG경영관련 특수성을 연구하고,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대표적 기업이나 단체에서 활용되고 있는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을 감안한 ESG경영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단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ESG경영 평가지표 체계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된 기업과 문화예술단체의 ESG경영요소, 필요성, 평가구성 요소를 비교할 수 있도록 표를 구성해 그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문화예술단체의 특수성에 맞게 구성된 ESG평가지표는 각 부분 평가 시 모든 문화예술단체의 단체별 특수성을 고려해 가중치 및 적용부분은 단체 스스로 선택할 것을 제안 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구성된 된 평가지표는 사회공헌에 관심 있는 기업 및 공공지원 단체에서 투자 및 지원 심의 시 구성된 평가요소를 활용 하여 공정한 판단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된 지표체계와 진단항목을 이용하여 문화예술단체가 ESG경영을 실행하고 평가한다면 시장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바탕으로 경쟁력과 자생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역할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임동현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aradigm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been shifting based on changes in macro-environments such as international affairs, cultural policy,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hift is moving from a one-way flow object between subjects to multi-level and multi-party exchanges. Further, the nature of the exchange is also expanding from public sector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exchange activities and to present ways of utilizing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using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s a medium. This study started with a recognition that the way to utilize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for culture and arts as a medium is emphasiz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using both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case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ories based on numerous books and papers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opics: the concept of cultural exchange; the meaning, and type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the role and utilization of NGO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urthermore, the selection of cases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based on the opinions from experts who have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exchange activities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trend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the influence, and role of mediating agencies i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demands made at reasonable levels; and the utilization and limitations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as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ased on the finding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to multi-level and multi-party cultural exchan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encourage the transition of subjects for exchange,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specialized institutions, toward the private sector. These positive influences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an be expanded and revitalized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private sector bodies. Therefore, institutional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courage them. Seco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projects should actively engage and utilize mediating agencies, accep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gencies to further expand and revitalize multi-level and multi-party cultural exchanges. In addition, exchange activities should emphasize process and content rather than purpose and resul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nd projects should be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s and respect. Third, the use of NGO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especially the use of NGOs for culture and arts, needs to be actively encouraged through policies to promote and reactivat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Therefore, government-affiliated agencies and public agencies need to refrain from directly engaging i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s much as possible, and support the promotion and reactiv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their original purpose. Appropriate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simplistic selection methods and systems. There were some l imitations in this research process that future research can address. First, more cases should be collected from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who overcame their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In particular, the cases should be generalized as much as possibl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cases. Second, research methods and content requi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o complement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rive more accurate and meaningful results by completing the following: establishing research hypothes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research, seek diversification of research content, securing as many research participants and statistics as possibl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variety of ways to utilize NGOs for culture and arts as a mediu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rough more in-depth studies.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s are needed for generalization through data collection, specific classification of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nd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국제문화교류는 국제정세의 변화와 문화정책적인 측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기술의 발달적 측면과 같은 거시환경들이 변화함에 따라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방식은 교류주체와 대상간의 단선적 교류방식에서 다층·다자간 교류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류의 실질적 주체의 성격 또한 정부기관 및 전문기관과 같은 공공영역에서 민간 활동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 국제문화교류의 흐름과 방향성은 다층·다자간 문화교류로 흘러가며 교류주체의 영역에서도 국가·정부기관에서 민간영역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문화교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를 매개기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강조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비정부기구가 교류활동에 매개기관으로 참여했을 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를 국제문화교류의 매개기관으로서의 인식공유와 활용방안을 제시하데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연구의 효율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을 따라 연구방법에 있어 문헌적 연구와 실증적인 체험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화교류의 개념과 국제문화교류가 갖는 의미와 유형,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특징과 국제문화교류의 방향성 변화, 그리고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역할 및 활용에 관하여 많은 서적과 논문들을 근거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한 사례선정과 비교분석은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의 교류활동에 대한 체험적 사례와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에 다년간 경험을 갖춘 전문가들의 경험을 통한 의견들을 토대로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교류활동의 방향성 변화와 동향,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매개기관 참여 영향과 역할, 그리고 합리적 요구와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 활용과 한계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문화교류 활동은 다층·다자간 문화교류 방식으로 지금보다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류주체의 중심은 정부기관 및 전문기관에서 민간 활동 영역으로의 이동과 전환이 더욱 확산되고 장려될 필요가 있다. 국제문화교류 활동은 다양한 민간 활동 주체들의 참여로 확대 및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들은 궁극적으로 국제문화교류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장려 및 제도와 정책적 방안 마련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들은 매개기관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와 함께 다층·다자간 문화교류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 매개기관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활용해야 해야 한다. 그리고 목적과 결과보다 과정과 내용이 중심이 되는 교류활동을 지향해야 한다. 국제문화교류 활동과 사업들은 상호이해와 존중이 바탕이 되고, 다층·다자간 문화교류로 활성화되기 위해, 촉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매개기관의 참여 방안을 다각도로 고민하고 도입하여야 한다. 셋째,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활용, 특히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의 활용은 국제문화교류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에서도 정책적으로 적극 장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부 산하기관과 공공영역의 전문기관들은 국제문화교류 활동에 실질적 주체로 나서는 것을 최대한 지양하고 본연의 설립목적인 국제문화교류의 진흥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보다 충실한 태도가 요구되며, 획일화된 형태의 선정 방식과 시스템들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례와 의미 분석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연구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들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문화교류 활동의 사례분석 한계성에 대해서는 어려움과 한계 극복을 위해 국제문화교류 수행 단체들과 기관들에 대한 보다 많은 사례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면밀한 비교분석과 사례들의 의미를 통해 최대한 일반화하여야 한다. 둘째, 연구방법 및 내용은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과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설 설정과 연구내용의 다각화를 모색하고, 많은 연구 참여자 확보와 통계 등의 방법을 통해 보다 적절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문화예술 국제비정부기구 활용방안은 보다 면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련된 단체와 기관들의 구체적인 분류작업과 자료수집, 그리고 비교분석으로 다양한 사례와 의미 분석을 통해 일반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 서울시교육청의 문화예술 기반 평생교육 체계와 운영개선 방향

        박정해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의 평생교육 체계와 운영 개선의 방향을 학 교 교육이 학교안에서 만의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마을과 지역으로 까지 함께 소통하는 교육의 장이 되는 평생교육과 문화예술이 융합되어 문 화예술 관련 평생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참여 실태와 요구가 어떠 한 지를 조사하고 연구한 것이다. 문화예술활동 지원 사업과 평생교육에 대하여 좀 더 심도 있는 개념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평생교육에서의 문화예술활동을 통하여 평생학습관 및 도서관 등 주민들이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평생학습시설을 폭 넓게 활용하여 취미 활 동뿐만 아니라 새로운 직업을 얻고자하는 사람들이나 경력단절자의 새로운 전문 기술이나 자격증 취득을 위한 과정과 어르신들의 인생 2모작 같은 새 로운 직업을 갖기 위한 기술이나 특기 찾기에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생학습을 주변에서 쉽게 접하여 평생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하 고 보급하여 지역예술문화융성의 거점 역할이 될 수 있음이 분석되었다. 두 번째, 문화예술활동 지원을 통하여 학교와 연계하여 학교평생교육이 실 현되는 것이다. 공부도 재미있게 하고 모두가 자기만의 꿈을 꿀 수 있는 다 양하고 새로운 평생학습이 학교 안으로 들어와 학생과 지역주민들의 삶이 학습이고 학습이 지겨운 것이 아닌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되도록 하는 것을 학교와 연계되어 문화예술활동이 평생교육으로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학교 교육의 시작부터 평생학습이 자연스럽게 교육되어 즐거운 학교 재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역할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음이 분석되었다. 세 번째, 문화예술활동 지원을 통하여 교육소외계층에 더 많은 지원이 이루 어져 자연스러운 학습을 하고 문화예술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이기에 할 수 있는 것 농촌이기에 할 수 없는 것이 없는 내가 학습하고 싶으면 할 수 있도록 소외되는 경우가 없도록 문화예술활동 지원 이 더욱 폭 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져 평생학습의 장이 넓게 차지하고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모두 문화예술활동 지원의 범위에서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속에 문화예술활동 지원이 폭 넓게 다양하게 지원되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다양한 지역에 더 새로운 학습으로 배움이 문화예 술의 안에서 더욱 재미있는 또는 삶에 유용한 기술이 되도록 하여 평생교 육과 자연스러운 문화융합이 이루어지도록 운영되어 교육에서 스스로 하는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ducate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the direction of business improvement not only that school education ends with education only in the school but also education to communicate together to the village and area I have studied and studied how the lifelong education and cultural art fuse together to recognize about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cultural arts and what participation situation and needs are like. A more detailed concept of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project and lifelo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display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lifelong education, we will utilize lifelong learning facilities that the residents can conveniently use, such as lifelong learning houses and libraries, not only activities of hobbies, but also those who intend to get new jobs , Biographical discontinue The subjects were most interested in new expertise and courses for acquiring qualifications and techniques and special skill searches to have new jobs such as two crochets in elderly living. It was analyzed that it might be a role of the base of the prosperity of the arts and culture of the region, supporting and promoting lifelong education by being able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easily by contacting lifelong learning around. Secondly, through support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chool lifelong education is realized in collaboration with schools. Studying is also fun, everyone can see their own dreams. Entering various new lifelong learning schools is a study of the lives of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learning is not boring, what I want to do In cooperation with the school in cooperation with the school,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re naturally integrated with lifelong education, the lifelong learning is educated naturally from the start of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enjoyable school fun learning is nature It was analyzed that it may be done on. Third, through support for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re is no case that there is a case where more support of education alienation hierarchy is carried out, natural learning is carried out and alienation by cultural art is avoided. What I can do because it is a city, there is nothing I can not do because I am a rural village, so that I can not be alienated to do what I want to learn, an example of culture Wine activity support will be conducted more widely and diversely, and place of lifelong learning Widely occupied Children and adults, regardless of adults, will not fall out within the scope of all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upport. In this research, support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a lifelong education has been widely supported by a wide variety of people, learning with more new learning of more diverse regions, cultural arts, even more interesting or living It is suggested that it is managed to be a useful technique in life, to be managed so that lifelong education and natural cultural integration are carried out and learn by himself in education.

      •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철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63

        21세기 들어 문화의 산업화를 통한 국가발전의 새로운 핵심동력을 육성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여가생활 중시와 다면화되어 가는 사회심리가 문화예술산업에 대한 수요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으로 새로운 문화정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따르게 되고 이에 부응하는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의 필요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문화예술축제는 그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주민에게 자부심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축제 지역은 단발적인 집객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이미지 함양 및 지역브랜드 형성을 획득하였고, 따라서 지역 문화예술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핵심동력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역의 문화예술축제가 보인 긍정적 시너지가 제시하듯이, 지방자치시대의 문화예술산업 인프라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기본정책의 일환이 되었다. 지방자치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공연장운영보조금 지원액은 각 지자체별로 다르게 책정되고 있다. 또한 문화적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문화예술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에 대한 성과도 미약하다. 지자체별 공공문화시설 규모에 따른 운영자금은 각각의 실정에 따라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공연장 운영 방침도 서로 다른 개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영성과에 별반 차이가 없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우선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 영향요인에 관하여 문제를 수립하고 성공요인과 저해요인을 살펴보았다.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념, 방법 등을 토대로 공공문화시설 경영혁신성공 통합모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예술의전당(대관형), 대전예술의전당(기획형), 재)명동·정동극장(제작형) 한국소리문화의전당(기획/제작형) 등 공연장운영형태별 공공문화시설을 중심으로 경영혁신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의 진의성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아울러 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 (재)명동·정동극장,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등 공연장운영형태별 공연실무자와 공연관람객을 대상으로 공공공연장의 효율적 운영에 필요한 인간존중요인, 프로그램운영요인, 시스템요인, 재정요인, 임금제도라는 5가지 경영혁신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소비자만족, 공공문화시설경쟁우위확보, 공공문화시설의 종사자만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과 분석을 진행하고 결론과 시사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제시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 결과를 토대로 각 중요 요인에 대한 각각의 항목들 중 먼저 경영혁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인간존중(15문항), 운영프로그램(15문항), 시설경쟁우위(6문항), 시스템(6문항), 재정보조금(6문항), 임금제도·후생복지(4문항)와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종사자가 느끼는 만족도(6문항), 마지막으로 소비자인 관객이 느끼는 만족도(6문항)에 관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분석 그리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문화시설의 경영혁신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들의 모든 항목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인간존중요인의 문항에서, CEO가 구성원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소통수단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했으며(2.79), 반면 CEO와 조직구성원 간 인간존중을 위한 운영환경 조성이 지역문화예술에 기여한다고 응답한 점수가 4.1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CEO와 조직구성원 간의 인간존중에 대한 문항의 답변들이 평균 이상으로 경영혁신 성공에 필요한 요인이라고 분석되었다. 둘째, 운영프로그램 요인 항목에 대한 응답에서는 모두 평균 이상으로 답했으며, 경영혁신 성공요인으로 각종 운영프로그램이 소비자 만족도 향상 및 시설경쟁우위확보에 상당히 기여한다고 응답했다. 셋째, 편의시설과 관련된 시스템요인 항목에 대한 응답에서는 모두 평균 이상으로 답했으며, 여러 문항 중 고객서비스(편의시설, 종사자의 인적서비스, 온라인 네트워크 서비스 등)가 소비자만족도 및 경쟁우위 확보에 기여한다는 것에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넷째, 경영혁신 성공경영의 운영요소 중 재정지원금에 관한 응답에서는 재정보조금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 평균 이하로 답하였고, 다른 요인들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게 답해 재정보조금에 그리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후생복지요인에 대한 응답에서 본인의 임금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종사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임금과 후생복지에는 상당히 못 미쳐 앞으로 성공적인 경영혁신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소비자인 관객이 느끼는 만족도는 공연관람객만족도, 서비스인식도, 운영의사결정의 문항만이 평균을 넘었고, 기타 다른 문항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만족도에 관해서는 모든 문항이 평 In the twenty-first century, attempts are being made to build up a new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izing cultural resources. Also, people’s stress on leisure life and diversifying social psychology causes a growing demand for cultural arts industry. Therefore, it gives rise to expectations of new cultural policies and a business innovat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y is needed. The diversity of local cultural arts festivals which are utilized as each local government’s means of public relations since the mid 1990s ha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region’s cultural identity and making residents have pride. The local government with successful festival has improved the region’s image and developed the local brand. Accordingly, it built a new driving force to create the local cultural arts industry’s added value. As such local cultural arts festival creates a positive synergy effect, the infrastructure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industry in the local autonomy era can be no longer delayed as fundamental policy direction. In the local autonomy era, a theater operation subsidy has been paid with different amount by each local government. There is no effect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center providing the public cultural service, and no big achievement in the business innovation of public cultural facility. Each local government has a clear difference in operating funds by public cultural facility’s scale according to representative circumstances, and has also the different theater operation policy. Nevertheless, ironicall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operating performance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designed to establish questions regarding management innovation influence factors on the public cultural facility in which the cultural arts are performed and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and barrier factors. The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tegration model of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concept and method on the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and to improve the research’s intention through case study of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factors focused on public cultural facilities per theatre operation type; Seoul Arts Center(theatre rental type), Daejeon Culture & Arts Center(project type), Myeongdong·Jeongdong Theater(production type), Sori Arts Center of Jeollabuk-do(project/production type). In addition, five management innovation factors of human respect factor, program operation factor, system factor, financial factor, and wage system require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theater were extracted from performance staff and audience by theater operation type from Seoul Arts Center, Daejeon Culture & Arts Center, Myeongdong·Jeongdong Theater, and Sori Arts Center of Jeollabuk-do. Also, a consumer satisfaction, public cultural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 and public cultural facility workers’ satisfact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research hypotheses were verified and analyzed. Then, the conclusions,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indicated. In this study, based on reliability test results, the human respect(15 questions), operating program(15 questions),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6 questions), system(6 questions), financial aid(6 questions), wage system·welfare(4 questions), workers’ satisfaction(6 questions), and consumers(audience) satisfaction(6 questions) which affect the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among questions of each important factor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alysis and T-Test.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questions under each factor which affect the public cultural facility’s management innova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produced. First, in the question for human respect factor, respondents answered that CEO did make the use of diverse ways to communicate with workers(2.79),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responded that the development of operating environment for human respect between CEO and workers contributed to the local cultural arts(4.15). To the question for human respect, more than hal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human respect between CEO and workers will be necessary for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Second, all respondents answered with the score above average to questions for operating program, and responded that diverse operating programs as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factor considerab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the facility’s competitive advantage. Third, to questions for amenities-relevant system factors, respondents answered with the score above average,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stomer service (amenities, worker’s human service, online network service, etc) among many questions attributed to secur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petitive advantages. Fourth, with respect to financial aid among operating factors of management innovation success, respondents answered below average to the question ‘is the financial aid enough?’ compared to other factors,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 financial aid was not satisfactor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welfare which has a close relation with this factor,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wage and welfare were not satisfactory to the question ‘Are you satisfied with your wage?“. It is deemed that the wage and welfare factor will be obstacles to successful management innovation. Fifth, for the consumer satisfaction, respondents gave scores above average only to the audience satisfaction, service recognition, and operation-relevant decision-making, but gave scores below average to other questions. There were average scores to all questions regarding the facility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평가와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김민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is study,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to help learners in Yeoncheon area realize the importance of self-exploration, creativity,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and valu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was selected for research and the operation case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the program on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based o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hich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Gyeonggi school of dream program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plann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s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Yeoncheon area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method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promo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of Yeoncheon. This study approached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by evaluating the program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and participating learners, and analyzing the effect. In this study, effectiveness, relevance, responsiveness, and suitability were set as analysi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for case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e effect of direct outcomes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through the factors including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self-direction through self-inquiry, creativity and imagination, sens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relationship investigation, sugges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perated in 2020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Yeoncheon area, and the evaluated program was presented as an analysis subjec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of the Yeoncheon-gun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increased the fidelity by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ies and foster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of learner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ng learners and professional artists, centered on the self-examination of local learners. Second,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shown to have high suitability in a situation where the planning conditions were relatively poor. In this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e PM, who operated <Gyeonggi School of Dreams>, was found to be actively operating various art media by discussing ways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found to operate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ird,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was focusing on achieving both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program expected by the participants through understand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of various artistic media and programs such as physical activity and art par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indirectly help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ourth,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as one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had been playing important role with plann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by sharing self-directed ability process, sense of commun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self-exploration of participating learners and i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by greatly helping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new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hidden in the Yeoncheon region. Fifth, considering that the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still lacks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re are possibilities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Yeoncheon area to develop through the further participation of local learners in this program and by teaching the knowled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regional cultural heritage to those who have alread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is found that the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Yeoncheon was forme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s a reg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elping participating learners to engage in and experience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togeth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of participating learner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xpand and operate programs that can recognize the fus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Secon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as a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troduce it as a sustainable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the opin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ir fields of interest should be actively accepte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by inducing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or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can find the interests and aptitudes of participating learners, preparing a plan to reflect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much as possible. Third,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be providing high satisfaction to the program by well understanding the needs, preferences and values ​​of participating learners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A strategy should be prepared to accommodate and improve the complaints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with immediate feedback,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instructors and the participating learners to obtain more valuable results through the meeting. Four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classes were conducted appropriately through a meeting of participating learners, operating instructors, and exper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 syst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perts and professional arts organizations for more subdivided and diverse programs for appropriate class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and operating instructors. Fif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had improved their self-direction ability while recognizing,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through the progra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positive thinking and healthy mentality of participatory learners. Six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improve imagination and creativity by inducing various expressions of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art media.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learners to generate their own ideas so that they can develop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ideas, as well as rich imagination and creativity. Seventh, in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ng learners improved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skill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compromise. Considering that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ies affect the social interactions of participating learn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ighth, the Dreaming designer in our neighborhood program of <a school of dream created by students> was found to make the participants recogniz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Yeoncheon area,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gion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a system for diversifying regional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it into experiential activities and regional cultural experiences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연천지역 학습자들에게 자아탐구, 창의력과 상상력, 공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와 가치의 소중함을 깨닫 게 하는 경기도 교육청 꿈의 학교 프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을 연구 선정하여 운영사례를 질적 연구 방 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교육청에서 기획한 경기 꿈의 학교 프 로그램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프로그램을 연천지역에서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기획과 실행과정을 근거로 지역문화예 술교육과 지역문화 발전에 대한 성과를 분석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천군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 필요한 운영 방법을 이해하여, 문화예술교육 과 연천군의 지역문화유산 진흥 강화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 술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평가하 고 효과를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위해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 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의 과정 분석은 효과성, 적절성, 대응성, 적합성을 분석기 준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문화예술교육프로 그램의 인식, 자아탐구를 통한 자기주도능력과 자기표현, 창의력과 상상력, 공 동체 의식, 지역문화유산의 이해를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 확장 에 대한 직접적 결과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 규명을 통해 문화 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의 중 요성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2020년 운영 한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실적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프로그램을 분석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은 연천 군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참여자 9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인터 뷰 내용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이 프로그램은 지역 참여 학습자의 자아탐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참여 학습자와 전문 예술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의 문 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육성과 활동 범위를 확대하고, 충실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추진하고 있는 기획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경기 꿈의 학교>를 운영하던 PM이 지역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확산 및 진흥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상황 대처 방안을 논의하여 다양한 예술 매체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목적에 적합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유산의 이해, 다양한 예술 매체 활용, 신체활동과 아트파티로 참여자 참 여한 인원들의 프로그램 목표와 취지에 모두 달성하도록 노력하였으며, 문화 예술교육프로그램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더 많이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발전에는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하나로 참여 학습자들의 자아탐구를 통해 자기 주도 적 능력 과정과 공동체 의식, 상상력과 창의성을 공유함으로 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 기획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연천지역의 숨어 있는 새로운 물적‧ 인 적자원을 통해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크게 도움이 되어 전문성 향상에 기 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아직은 학습자들의 참여가 부족하고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를 앞 으로 지역학습자들이 참여하여 연천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발전할 수 갈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참여하여 기존에 참여하 고 있던 인원들에게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유산에 이해에 대한 지식을 알고 연천지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서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 참여 학습자들이 지역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 육을 함께 활동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지역문화예술교육이 참여 학습자들의 성장 향상을 위해서 지역의 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을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확대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 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지역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으로서 참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구성되었다. 앞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예술교육프 로그램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 용하고 참여 학습자들의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설문 또는 체험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하여 참여 학습자들의 관심 분야를 최대한 반영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의 요구와 선호 그리고 가치를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의 높은 만족감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 학습자들 의 불만 사항들을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수용하여 개선하고 운영 강사들과 참 여 학습자들이 회의를 통하여 더 가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 은 참여 학습자들과 운영 강사 그리고 전문가들의 회의를 통하여 적절하게 수 업이 진행되었지만, 참여 학습자와 운영 강사들의 적합한 수업을 위해서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전문가와 전문예술단체와 협업을 통한 수업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참여 학습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의 자아를 인지하고 탐구 하고 표현하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자기 주도 능력이 향상되었다. 앞으 로 더 나아가 참여 학습자들의 참여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사고하고 건강한 정 신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램은 다양한 예술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표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성을 향상시 킬 수 있었다. 참여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관점과 생각의 발상 그리고 풍부한 상 상력과 창의력 함양을 위해서 참여 학습자가 직접 아이디어를 낼 기회를 확대하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일곱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을 통해 참여 학습자들이 소통과 이해 그리고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활동이 참여 학습자들의 사회적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 여러 기관과 단체와 협력하여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학생이 만들어가는 꿈의 학교>의 꿈꾸는 우리 동네 디자이너프로그 램은 연천지역의 문화유산을 인지하고 지식기반 확충과 지역문화유산의 중요 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문화유산을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체험활 동과 지역문화 체험으로 전개할 수 있는 다양화하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