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청주 도시형 중층 생활한옥 시안 연구

        김찬구 청주대학교 융합신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regeneration of hanok can be divided into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existing hanok,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shape, road, and yard as it is, adaptive regeneration that improves or changes the purpose suitable for the times, and active development of new buildings by removing existing hanoks. Among them, the active development tha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is to incorporate hanok into urban living houses that have recently been built around the city center. In addition to the spatial concept shown in the arrangement and plan form of hanok,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adopt hybrid structures of furniture-style steel frames and wood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C structure,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f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conditions of an aging hanok facing a historical city center, and presents a model of a multi-layered urban hanok that adapts to the changing living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new mid-rise urban living hanok plan divided into one lot unit, two lots unit, and block unit for the creation of a new hanok, especially a mid-rise hybrid hanok. ∙ In the draft of a parcel-based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hanok located in the upper part (3rd to 4th floors)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house with 3rd and 4th floors of the main house. There is a parking lot and shops on the first floor, and business facilities (Day Care Center) on the second floor, and an open space for hanging out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third and fourth floors. In addition,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mass surrounding the courtyard and the heterogeneous material, an open space is placed, and Daecheong, Numaru, Terrace, Balcony, and rooftop yard are placed to facilitate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structure and shape field, one or two floors (some three floors) are tailored to RC group, and the upper floor is intended to reflect the modules, size, and shape of the existing hanok as much as possible. It is based on each module of 5.4m in RC, 5.4×6.6m in RC, and 2.7m in wood structure, which is a half module in RC, and extends to a three-story concrete detached house so that RC and wood structure are interpenetrated, and different formative vocabulary is used.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ies form vertical upward airflow from the low-rise quiet space to both spaces in the upper-floor middle, mak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uilding smoother. This is more effective as cold air generated in narrow alleys,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adjacent spaces rises vertically. Horizontal natural ventilation is also generated through the annex and school windows in addition to the Daecheong, Numaru, rooftop yard, terrace and balcony installed on each floor. ∙ In the city-style hanok between parcels,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overall layout concept is based on the previous parcel unit draft, but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rrangement method seen in other parcels, it takes individual parcel characteristics as they are and focuses on processing between parcels. In the space between parcels where the parcels meet, there are facilities that can be shared by residents, as well as rooftop yards and semi-open wooden halls on each parcel, centering on the two centers on the third floor where hanok was built. This space can secure a deep and thick field of view in both centers, and smoothly controls the airflow in the building. ∙ In the block-level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buildings, the overall layout concept maintains the existing alleyway movement system in the east-west direction, while setting directions for joint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external spaces. In the form of market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various types of spaces for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block, the segmented middle of the upper hanok, and open spaces are created in various places.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entire block is adjusted through airflow circulation between the negative space generated in the parking lot on the first floor and the narrow alley below. 오랫동안 도시의 거주 기능을 담아왔던 한옥은 과거부터 생활환경, 주변여건에 의해 지속적으로 적응하며 변화해 왔다. 근대 시기에 전통한옥 건축양식에 근대적 건축자재를 첨가하여 새로운 건축 양식을 창출했듯이 한옥은 현재 건축양식을 접목시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근대기 도시형 한옥은 보존 및 용도변경, 신축을 통하여 주생활환경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보여 왔으며, 증개축과 대수선 등을 통하여 기능 및 공간 구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왔었다. 오늘 날의 한옥은 필요한 실 구성보다는 기존의 부속 공간을 철거하여 공유 마당을 확보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신한옥이라든가, 한옥관련 공모전을 중심으로 하여 한옥이 지향하고자, 혹은 한옥에 적용하고자 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면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기 위해 중층형의 한옥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한옥의 신축사례에서 보이고 있는 새로운 한옥의 창안, 특히 중층 규모의 하이브리드 구조의 한옥에 착안하여, 청주 도심에 현존하는 한옥밀집주거지인 서운동 일대를 대상으로 1개의 필지단위, 2개의 필지 간 단위, 그리고 블록단위로 구분하여 새로운 중층 규모의 도시형 생활한옥 시안을 제시한 것이다. 각 시안별로 배치와 기능, 구조와 형태의장, 환경조절 및 설비 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필지 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길에 대응한 기존 한옥의 배치에 따르면서, 2개 층은 RC조, 상부 층은 기존 한옥의 모듈, 규모 및 형태를 가능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외관은 RC조와 목구조 형태의 상호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환경조절 및 설비에서 저층부와 골목길의 음(陰)한 공간에서 상층부 중정의 양(陽)한 공간으로 수직 상승하면서 통기성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층마다 설치된 대청과 누마루, 옥상마당 등을 통하여 수평적인 자연환기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2개의 필지 간 시안에 있어서, 배치와 기능은 앞서의 필지단위 시안에 준하되, 다른 필지에서 보이는 향 중시의 배치방식에 따라 전체적인 배치 개념은 개개의 필지 성격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필지 단위가 만나는 필지 간(사이)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두었다. 필지가 만나는 필지 간 공간에는 거주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시설과 함께, 한옥이 세워진 3층의 2개 중정을 중심으로 각각의 필지에 개방된 옥상마당과 반개방의 대청을 두어 건축물 내의 기류를 원활하게 조절하였다. 블록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 및 기능면에서는 앞서의 시안에 준하되, 전체적인 배치 개념에 있어서는 동서방향의 기존 골목길의 동선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기반시설과 외부공간을 고려하였다. 형태의장 및 환경조절에서는 블록 내 일조와 통풍을 위한 다양한 형태구성, 상층부 한옥의 분절된 중정, 트인 공간을 통하여 여러 곳에서 양(陽)의 공간을 조성하고, 1층 주차장과 좁은 골목길에서 발생하는 음(陰)의 공간과의 기류 순환을 통하여 블록 전체의 열환경을 조절하였다.

      • 정조(正祖)의 상실 극복 과정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

        이세중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정조(正祖)의 상실 극복과정에 관한 상담학적 연구 이세중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인간은 필연적으로 삶 속에서 상실과 그에 따른 슬픔을 경험하며 살아간다. 그러나 상실 경험을 마주하는 태도는 사람마다 상이하다. 누군가는 상실을 의연하게 극복하고 성장하지만, 누군가는 상실에 좌절하고 상처가 심화된다. 우리 역사의 두 임금인 연산군과 정조는 부 혹은 모의 비극적 상실을 경험한다. 연산군은 상실과 슬픔을 극복하지 못하고 폭군으로 남았으나 정조는 성군의 평가를 받는 훌륭한 왕으로 역사에 남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正祖)의 삶을 시대순으로 살펴보고 그 삶 속에서 상실경험과 그 극복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정조의 상실 경험은 Sofka(1997)가 제시한 4가지 상실 분류체계인 죽음으로 인한 상실, 관계 상실, 기타상실(심리, 물리), 역사적 사건으로 인한 상실을 기초로 하였으며 정조가 남긴 기록과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심리적 상실을 보다 세분화하여 각각 정체성 상실, 정당성 상실, 안전감 상실, 신뢰감 상실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상실들을 어떠한 태도와 방법으로 극복하였는지, 극복 장면에서 스스로 기록한 마음의 상태는 어떠하였는지를 중심으로 해당 장을 정조의 생애 흐름에 따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정조의 상실경험 극복과정에서 발견된 (외상 후)성장의 원리와 전략을 상담학적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상실 극복과 성장의 원리는 각각 건강하게 잊고 앞으로 나아가기: 삼매(三昧)의 원리, 신뢰와 지지의 토대 마련하기: 동덕(同德)의 원리, 지금 여기에서 삶의 목적 선택하기: 원도(遠圖)의 원리, 깊은 공감으로 공동체적 삶 지향하기: 애민(愛民)의 원리로 구조화하였다. 삼매의 원리는 정조가 평생 가까이해온 독서와 활쏘기 행위를 행하는 독특한 태도에서 찾은 원리로써 해당 행위에 고도로 집중하여 상념과 고통을 잊고 한 차원 높은 경지로 나아감을 뜻한다. 삼매경(三昧境)의 도달을 돕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가 삼매(三昧)할 수 있는 대상을 함께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내담자는 이를 통해 건강한 방식으로 상실로 인한 슬픔을 잊고 더 나은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동덕의 원리이다. 정조가 평생 사귄 벗들의 모임인 동덕회와의 관계를 통해서 추출한 원리로써 ‘나’를 지지해주고 격려해주는 의미 있는 타인(들)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사회적 지지는 일생동안 내담자의 정신 건강증진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아울러 의미 있는 타인(들)은 내담자의 지지체계로서 작용하게 되고 신뢰, 안전, 정체성과 같은 심리적 상실 회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원도의 원리는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에서 찾은 ‘목적론’적 삶과 ‘가상론적 최종목적론’과 궤를 함께한다. 정조는 그의 저서 일득록에 처사(處事) 즉 과업의 수행에 대한 글을 많이 남겼다. 그중 필회원도(必懷遠圖)라는 구절에서 추출한 원리로써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고 장기적인 그림을 그려야 하며 그 후에야 세부적인 계획이 의미가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정조는 실제로 부친 사도세자의 신원사업, 백성의 풍요로운 삶 등, 중요한 생애 과업들을 이러한 원도의 원리를 통해 수행했다.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이렇게 큰 목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치 그림을 그리듯 내담자의 최종적인 목표를 함께 논의하여 형상화하고 이를 위한 단기적 실천방안들을 하나하나 수행하는 방식으로 상담 목표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끝으로 애민의 원리이다. 애민은 정조의 삶에 두드러지는 태도이다. 특히 위기 아동, 억울한 옥사에 처한 백성, 역병에 신음하는 사람들에 대한 각별한 태도를 실록에서도 수십 개의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세 그룹은 정조와 비슷한 상실유형을 겪었다고도 볼 수 있다. 정조는 이러한 백성들에게 깊은 공감을 할 수 있는 군주였으며 이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구휼과 구제책을 펼친 애민군주였다. 상담자는 1에서 3의 원리 작동 속에서 내담자의 상실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고 애민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내담자가 겪은 상실 경험과 유사한 사례와 그룹을 찾아보고 그들을 위해 무엇을 해 줄 수 있을지 논의함으로써 내담자를 공감의 영역,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깊은 관심의 영역으로 이끌 수 있다. 이 연구는 정조의 상실 극복과정과 이를 통한 성장의 원리 그리고 전략을 추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정조의 삶 자체가 현대 상담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담학적 원리인 목적론, 격려, 사회적 지지, 애도, 외상 후 성장, 몰입 등과 닿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담학적 원리에 유교와 불교 등 동양 철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다층적으로 상실 경험 내담자를 치유하고 성장에 이르게 할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다만 발견된 원리와 구체적인 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정조의 삶의 원리가 적용된 상담방법이 고찰되고 정착되어 일평생을 다층적 상실로 인한 외상과 그 극복에 힘쓰면서도 사회적 공동체에 온 마음을 쏟던 성현(聖賢)의 ‘뜻’에 한 걸음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정조, 상실, 극복, 외상 후 성장 ※ 본 논문은 2021년 8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복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 복 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이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이다. 통합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 그 과 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 통합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초등교사, 중등교사, 관리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형 소규모 통합학교 교사들은 서로 다른 생활지도 기준과 내용, 학년 별 생활지도 특성 등 통합운영학교 생활지도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초등교사는 활동마다 세세한 기준을 정해서 생활지도를 하는 점과 중등교사는 울타리만 쳐 주면 그 속에서 자율성이 생기면서 학생들이 관리되는 점을 통합학교 생활지도에서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한다. 초·중학 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풍성한 교육 행사 결과를 보고 부정적이었던 통합운 영학교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은 학생 정보공유로 수월한 생활지도,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를 통해 배우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프로그램 운 영으로 학생성장을 지원하고 충분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교사간 갈등을 줄여야 하는 점이 통합운영학교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동 생활지도의 중요성은 함께 풀어야 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 은 학생들 생활지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초·중 통합학교 생활지 도를 연계하여 공동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람직한 초·중 통합학교 학생생활지도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맞는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학교 교사들 다양 한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과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생 생활지도 경험, 질적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청주시 자원봉사센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섭 청주대학교 사회복지ㆍ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행정자치부 산하에 설치된 청주시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일반적 현황, 자원봉사자의 관리, 지역사회와의 관계, 프로그램 개발 등 전반적인 센터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청주시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제, 청주시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첫째 자원봉사센터의 민간위탁이다. 민간운동인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주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는 것은 분명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성격 상 민·관 파트너쉽의 중요성은 인정하더라도 자원봉사센터의 운영을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관장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둘째 운영위원회의 활성화이다. 지역사회문제 중 지역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분야가 많으므로 여러 기관·단체 지도자와 사회복지 기관장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활용, 센터 예산안 수립 및 의결·감사활동, 자원봉사 정책 수립 및 연구, 자원봉사자의 개발과 교육 훈련 및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청주시자원봉사센터 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코디네이터제도 강화이다. 현재 각 봉사분야 간 및 기관·단체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소지를 해소 내지 완화하고 자원봉사활동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자원봉사 코디네이터 배치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의 낮은 참여율과 중도탈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활성화 하여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자원봉사자의 개발은 결국 건전한 자원봉사프로그램과 의미 있는 업무가 있으므로 가능한 것이다. 즉 자원봉사자들은 그들의 귀한 시간을 투자하여 실질적인 보람과 만족감을 얻으려한다. 즉 자원봉사자를 곧바로 현장에 투입하지 말고 어느 정도의 기간을 두고 교육, 훈련, 시설견학, 홍보를 통해 자원봉사자의 할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다섯째 홍보활동의 강화이다. TV, 라디오, 신문, 잡지 등 대중매체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매스컴을 통한 홍보는 비단 자원봉사자 모집이라는 일차적인 목적 이외에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홍보, 국민들의 인식의 변화라는 부수적 목적도 잘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여섯째 적절한 사회적 보상(인센티브)체계 강화 이다. 자원봉사 활동은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어떤 보상을 바란다는 것은 자원봉사의 본래 이념에 어긋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원봉사자체가 일정한 영역에서는 공익증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생각하면 사회적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적 보상은 자원봉사자 개인에게도 자신이 국가와 사회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할 것이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청주시자원봉사센터가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증진하는데 일익을 담당해왔다. 앞으로 청주시자원봉사센터는 좀 더 전문화되고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사업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센터에서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행정기관, 수요자, 자원봉사자, 단체 등이 상호 협력하고 우호적으로 지원하는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이야 말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만들기 위한 절대적인 조건일 것이다. Modern society has been confronted with problems of inhumanity, normlessness, and crisis of dissolution in communities and familie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is situation, it is volunteer work appearing as a new alternative to be able to transform our society into a desirable one. In 2005, the fundamental law for volunteer activities, which was a long-cherished desire of volunteers, was legislated. This study has examined general condition of volunteer work centering its attention on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Affairs and Home Affairs, managementof volunteers, relations with local communities, and development of program and others, and tried to find out methods to revitalize the volunteer center as grasping the situation. To revitalize the cent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urriculumwhich can train the managers of volunteer work to be professionals. For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we should inquire to know whether the center is managed focusing on showing its quantitative results. And we should value qualitative aspects of its results more than quantitative aspects, and develop programs suitable for the local communities promoting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the managers should secure the foundation for it. For the Cheong Ju Volunteer Center, although the groups of volunteers have increased recently, it must be said that the real condition of it is at an immature stage. Competent employees and excellent management skills are essential, but it needs a lot of money for them. It is inconvenient for the center not to be independent regarding its budget in this sense. Despite of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the center has been working hard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Hereafter the center should be professionalized and become efficient to be capable of managing the work systematically. For it, not only employees but also the communities, administrative organs, users, volunteers, and their group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help each other at the center. This endeavor is an imperative condition for making a community in which people live together peacefully. Lastly, quoting William Beveridge who rendered great services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he said that a good community is made not only by excellent systems of the government but also by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s and thus emphasized citizens' volunteer activities a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a good community. Therefore, only when the managers of volunteer work make every endeavor to promote volunteer activities and make volunteer work take root within our society, the society could develop into an advanced democratic country. And the benefits of it would return to all of us.

      • 한국 대학 영화 연기 교육 시스템 연구

        정민영 청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연기의 기원은 연극의 기원과 같다. 그리스 시대 고대 희랍극에서부터 연기가 시작되었다. 이처럼 역사가 오래된 연극 중심의 연기에서 다양하고 많은 연기술이 생겨나왔으며, 그 연기가 근간이 되어 영화 연기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영화는 만들어진지 불과 100년 밖에 지나지 않지만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영화의 메커니즘이 무한한 발전과 성장을 거듭해가는 과정에도 영화 연기는 그 기술이나 기계의 발전을 따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영화 연기는 연극 연기와 다른 특성으로 인해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영화는 감독에 의한 영상 중심의 편집 예술이며, 카메라를 통해 배우가 연기를 행하고, 카메라의 움직임, 쇼트 사이즈에 따른 발성법, 편집의 예술이라는 요소로 나누어지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에서 영화 산업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헐리우드의 영화 연기 발전사와 국내의 영화 연기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대학 중 영화 연기를 교육하고 있는 대학들을 중심으로 일본의 니혼대학교 영화학과의 연기 관련 교과목과 상세히 비교 분석해보았다. 니혼대학교에서는 감독, 촬영 음향, 영상 이론, 연기로 파트가 나뉘어 교육을 하고 있으며, 세심하게 연기 전공자들의 교과과정에 맞추어 연기 교육이 따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 반면 국내에서는 연기 과정보다는 제작 중심 또는 스텝 중심의 영화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영화 연기 전공자는 영화적 메커니즘과 연기의 기초인 호흡, 발성, 움직임 등 연기 전공에 맞는 교과과정으로 4년간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국내에서는 영화 연기 전공 커리큘럼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대학교에서는 일본 무용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국내 대학은 전통 가면극을 민속 연희라는 수업으로 교육하고 있는 학교도 있었지만 1학기로 국한되어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음악, 무용, 언어, 연기가 합해져 있는 전통가면극은 종합 예술이며, 카메라의 메커니즘적 교육과 함께 병행되어지면 연기의 다양한 기초적 지식들을 체득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국내의 영화 관련 학과에서는 한시라도 빨리 전공에 맞는 세부적 교과과정이 만들어져야하고, 전통 가면극 같은 신체 표현 교육을 통한 연기 기초 지식 체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영화 연기 전공자들이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올바른 연기 교육 교과과정을 마련하여 연기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서 영화 연기 교육의 입지 마련 및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미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 미 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은 향)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내담자의 부모와 학급 학생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다면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내담자 대상의 개인 상담과 부모교육 및 상담, 학급 차원의 교육적 개입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은 ADHD로 인한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면적 상 담은 ADHD 아동의 학교 적응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ADHD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 을 겪고 있으며, 학교 활동에 원만히 참여하지 못하는 등 부적응 행동을 보였다. 연구자는 내담자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부모와 학급 학생들 과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다면적 상담을 설계하였으며, 약물치료와 함께 5개월에 걸쳐 주 1회 20∼40분씩 14회기의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였다. 다면적 상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Conners와 K-ARS, ACTeRs, CAT 종합 주의력 검사, KPRC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 변화에 대한 교사의 관찰기록을 기반으로 아동의 변 화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 후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등 의 ADHD 증상 개선이 이루어졌다. 둘째, 다면적 상담 후 아동의 학교활동 참여, 또 래관계, 정서적 태도 등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부 모의 협력체계, 또래 협력체계를 활용한 다면적 상담이 ADHD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교사와 부모, 학급 학생들의 다면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상담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초등학교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상담적 방식으로 그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 이 크다. 그간 ADHD 아동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상담적 접근 및 연구가 이루어졌으 나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담적 개입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을 위한 다면적 상담 방안이 확충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더욱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주요어: ADHD, 학교 부적응, 문제행동, 다면적 상담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교실 재배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건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교실 재배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 건 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종 범) 이 연구의 목적은 교실 내에서 행해지는 재배활동이 초등학생 아동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더불어 실험이 행해지는 동안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또래와의 많은 상호작용이 아동들의 또래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실 재배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다. 둘재, 교실 재배활동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1개 반씩으로 구성하였다. 학기 초에 이미 구성된 학급의 학생들을 무선적으로 재배치하여 연구를 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6학년 각 담임선생님들의 협조 아래 비교하여 실험집단과 가장 비슷한 학업성취도와 가정환경 및 학급 실태를 나타낸 반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2011년 4월 1주부터 6월 4주까지 약 12주간에 걸쳐 12시간의 교실 재배활동이 실행되었으며 먼저 두 집단에 감성지능과 또래관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약 12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교과시간 및 특별활동, 재량활동 시간에 모종 파종, 재배방법 조사, 채소의 종류 알아보기, 채소 정물화 그리기, 채소를 이용한 요리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교실 재배활동을 적용한 반면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학교 교육과정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실험처치가 다 끝난 뒤에는 다시 감성지능과 또래관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감성지능 검사도구는 Wong & Law(2002)가 개발한 검사도구로써, 이를 사용한 이정민(2010)의 검사도구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변형하여 재사용하였다. 또래관계 검사도구는 한국청소년상담원(1998)에서 개발한 또래관계척도를 참고로 하여 김지혜(2010)가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실 재배활동이 아동의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통제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실 재배활동 대신 일반적인 학교교육과정이 적용된 통제집단에서는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실험 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충분하지 못한 시수의 확보와 다양하지 못한 재배활동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검증된 재배활동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사전 준비가 중요하다. 관련 교과목과 학교교육과정의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창의적 체험활동)을 학교 및 학급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시간을 확보해야함과 더불어 아동의 흥미를 고려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의 내용을 최대한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틀에서 벗어나 자연과 더 친숙한 체험위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본 연구의 결과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실 재배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감성지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고학년이 아닌 1~2학년과 같은 저학년, 3~4학년과 같은 중학년, 5~6학년의 고학년으로 나누어 각 학년의 특성에 맞는 교실 재배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넷째, 교실 재배활동을 적용하기 이전에 일반적인 학교교육과정 내용의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아동들의 감성지능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3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유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 유 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해결중심 단기상담 을 적용한 개인 상담 사례연구이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으로 내담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해결중심 개인 상담을 실시하고, 자기 자신, 학교, 가정, 대인관계 등 4가지 하위 영역에서 자존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담자의 자아존중 감의 4가지 하위 영역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는가?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 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 교 1학년 아동 3명이다. 이들은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로 학교에서 불안하 거나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상대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상태였으며 자아존중 감을 높이고자 희망하여 동의서를 받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해 결중심 단기상담의 진행은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회기별 30∼40분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수집한 자 료들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참여자의 답변의 의미를 파악하고 구조화하여 자아존중 감의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였다. 상담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어려 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을 위해 효과적인 상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결 중심 단기상담의 기본 원리와 주요 기법을 바탕으로 상담을 구성하였고,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긍정적 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의 해결과 척도 질문을 통해 자아존 중감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학교, 가정, 대인관계와 같이 넓은 영역에서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 상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초등학생, 1학년, 자아존중감,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 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