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실용음악교육기관의 현황과 중등전문교사 육성을 위한 제언 : 중등교사 자격증 취득을 중심으로

        조지훈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1980년대 밀리언셀러 가수들이 등장하면서 국내 음악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으로 국내 대중음악 시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고, 지금의 1세대 아이돌이라 불리는 아이돌 그룹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아이돌 가수들의 활동은 국내에 국한되지 않고 일본, 중국, 태국 등의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여 큰 성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바탕으로 2~3세대 아이돌이라 불리는 그룹들이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세계에 K-POP이라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은 K-POP 문화가 유행되자 자신들의 꿈과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고 진학을 희망하는 학과 역시 실용음악과로 정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학교 관련학과의 경쟁률은 치솟게 되며, 많은 대학교에서 학과를 개설하게 된다. 음악학과의 입시는 주로 관련 실기와 이론으로 치러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원 또는 개인레슨으로 입시 준비를 하게 된다. 하지만 같은 방법으로 입시 준비를 하는 학생들이 많아지자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차별화된 방법을 고민하게된다. 이때 실용음악 고등학교가 이들의 눈에 띄기 시작한다. 이 고등학교는 필수 수업을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수업을 해당 전공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을 하면서 많 은 시간을 관련 전공의 공부에 투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등학교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바로 실용음악을 전공한 정교사를 찾기 어려운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해당 분야의 전공자들이 고등학교 정교사 임용 자격인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이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위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네 가지로 나누어 조사를 해보았다. 첫 번째 실용음악을 교육하는 고등학교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류를 학교 구분에 따라 나누어 자세하게 조사해 보았다. 두 번째로 실용음악대학교에 대하여 조사를 해보았다. 학교 구분에 따라 현황을 조사하였고 최근 3년간 경쟁률을 조사해 보았다. 세 번째 관련 음악 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격증은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정교사 임용 자격에 꼭 필요한 정교사 자격증에 대해 알아보았다. 네 번째 실질적으로 중등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음악교육대학원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교육대학원의 배경과 음악교육전공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위 전공의 지원자격과 전형방법,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과목개요를 조사함으로써 어떠한 방법으로 음악교육자가 양성되는지 조사하였다. 위 문제들을 조사한 결과 실용음악 고등학교와 관련 대학교 학과의 수, 그리고 경쟁률은 늘어났다. 하지만 현재 관련 음악 전공자들이 현실적으로 취득 가능한 자격증으로는 고등학교 정교사에 임용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정교사에 임용되기 위해서는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지만, 해당 음악 전공자들이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이 녹록지 않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진학하여 졸업하는 방법이다. 이마저도 진학요건이나 필기고사, 실기고사 그리고 진학하여 수강하는 교과목까지 대부분 클래식과 국악 위주로 구성이 되어있어 어려운 실정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K-POP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레 대중음악으로 진로를 정하는 학생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실용음악 고등학교가 많이 생겨났고, 지원율도 상승하고 있지만, 전문 교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 전문 교육기관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실용음악 교육기관의 미래가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을 마친다. When million-seller singers appeared in the 1980s, the domestic music market exploded. After that, with the appearance of Seo Taiji and Boys in 1992, the domestic popular music market entered a new phase, and first-generation idol groups emerged. The activities of these idol singers were not limited to Korea. Instead, they have achieved great results by targeting markets in Asia such as Japan, China, and Thailand. Based on these activities, idol groups called second- and third-generation idols accomplished great success in the European and American markets, creating a culture called K-Pop across the world. As K-pop culture became popular, the youth who were most affected by the culture decided their dream and career path on music, and the area they wished to study in university was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Due to this fevor, the competition to enter one of these university departments has increased, and many universities which had hitherto no practical music department started newly offering the area of specialization. Sinc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for the Department of Music was mainly conducted with tests of related practical skills and the knowledge of theories, most students prepared for the entrance exam through private music conservatories or private tutoring. However, as more and more students prepared for the entrance exam in this way, students and their parents came up with a different strategy. Practical music high schools began to emerge. Most of the classes at these high schools, except for the required classes, consisted of classes related to their major, allowing a lot of time to be invested in the study related to their music specialti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that these high schools could not address: It was difficult to find teachers who specialized in practical music. This problem occurred because it had been very difficult for the graduates in the practical music field to acquire secondary school teacher qualifications, which are the requirements for applying for high school teaching positions. Accordingly,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o investigate the above problems in detail. First,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s that teach practical music is examined. Categorization is carried out in detai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chools. Second, a survey is conducted on practical music colleges. The current status is investigated based on school classification and the degree of competi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Third, qualifications that related music graduates can obtain are examined. The qualifications are divided into national qualifications and private qualifications while at the same time examining teachers' certifications required to apply for full-time teaching positions in school. Fourth, graduate schools of music education that can actually help students acquire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ion is examined. The background and music education major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how music educators are trained has been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qualifications, screening methods,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subject outline of the specialties mentioned abov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number of practical music high schools and related university departments and the competition has intensified.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current music study graduates cannot be hired as high school teachers with the qualifications that they can obtain. In order to be hired as a full-time teacher, it is necessary to obtain a full-time teachers' certification, but it is not easy for music students to obtain. A more realistic way is to enter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pend four years until graduation. Since most of the subjects, such as entrance requirements, written exams, practical exams, and courses taken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are mainly composed of classic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cal music study graduates to enter graduate school. As the status of K-Pop rises rapidly as time goes by, the number of students who choose to pursue a career in popular music is also on the rise. Many practical music high schools have been created, and the application is increasing, but it is widely considered that they are not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s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professionally trained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hope that in the future practical music education schools in Korea can go one step further through this study.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까의『피의 결혼』공연연출 무대화연구

        서현우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was done to analyze various theatricality, signification, and experimental nature that 『Blood Wedding』 by Federico Garcia Lorca has and study a way to have new form and staging. This thesis consists of the process that producer understands the work with author, looking back that the writer of this thesis had o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fter the writer directed and dramatize『Blood Wedding 』that was performed at Chungwoon University in 2006 and 『Blood Wedding』 that was performed for a subscription performance of the troupe, Nottle, and review to figure out which part of the original work was translated new and how directing intention and imagination went into the stage. To kill a poet, to kill in order to really kill twice. On one occasion a physical death, and once the perfect death of oblivion. It is easy to kill Lorca and bury in the ground. But bury him in our forgetfulness is not easy to do so. Lorca was a representative poet of Spain, and even Rafael Alberti wrote about it. Andalusia Spain where he received a lot of influence is a native born and grew up and shamanistic mysterious and mystical city of many cultures coexist created by the invasion of other countries. Lorca made a work and wrote what he saw and felt about the beautiful nature of Andalusia. And his sexual alienation and suffering as a homosexual helped him to understand about social minorities such as Jewish people, gypsy, and African-American. Foremost, he made works of countrywomen's sexual alienation, and they are well-known as three tragedies of Lorca; 『Blood Wedding 』, 『Yerma』, and 『The House of Bernarda Alba』. Lorca's three tragedies show generosity to men's sexual desire but suppression and a poor treatment to women's especially young women, and old women or older generation are those who suppress their desire. The characteristic of Lorca's three tragedies is that his works deal with irony of conflicts between young women and old women. One of these tragedies that will be a subject of this research, 『 Blood Wedding 』, is the tragedy that shows that human is destroyed by its desire towards the opposite sex before enormous fate. This work deals with sexual minority's desire and old women's suppressed desire. Lorca tried to overcome Andalusia's regionality and gain universality through 『 Blood Wedding 』. All is from Lorca's experience being a homosexual going through sexual alienation and suffering and worshipping month of death. I have studied of the original and author. Also as director and writer directly clamped performances Chungwoon University's 2006 Young Theatre Festival and 『Blood Wedding』, the Entries of 2014 Troupe Nottle regular performances < Blood Wedding> have had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process of staging. First, I would like to describe about reproduction, dramatiz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Mise-en-scene and objet when the stage was being embodied. The concept of 『Blood Wedding 』 in 2006 was to find the beauty of Korea and the combination of the beauty and 『Blood Wedding 』. It states about how it was reproduced as Korean performance. Second,『Blood Wedding 』in 2014 shows the combination of objet of desire at the empty stage, well-trained bodies of actors and actresses, and natural view around the theatre. It states that what kind of process was taken to select the implicative objet and moves of actors and actresses and how these things created a synergy in a natural environment. Third, it states that how 『 Blood Wedding 』 can be staged in many different ways with various directions and forms. There should be a reason why the play still exists since Ancient Greek. Among those reasons, the writer of this thesis believes that it has been possible because of discovery of new forms, challenges, and collaboration of different cultures. I hope to see more interesting plays through a new and creative way of staging. 본 연구는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까의 『피의결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연극성과 함축성 및 실험성 등을 파악하고 새롭게 무대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출자가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부터 필자가 연출 및 각색을 해서 공연 올린 2006년 청운대학교 젊은연극제 참가작 『피의 결혼』과 2014년 극단 노뜰의 정기공연 작품으로 『피의 결혼』을 공연화 하는 과정을 되짚어보고 어떠한 부분이 원작을 새롭게 해석하고 무대화 했는지 연출적 의도 및 상상력이 들어갔다면 그 배경은 무엇이고 어떻게 무대화 되었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한 시인을 죽이기 위해서는, 정말로 죽이기 위해서는 두 번을 죽여야 한다. 한번은 육체적 죽음으로, 다른 한 번은 완벽한 죽음인 망각으로다. 로르까를 죽여 땅에 묻기는 쉽다. 하지만 우리의 망각에다 그를 묻기는 그리 싶지 않다. 안영옥『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까 그의 비극적 삶과 죽음, 그리고 작품』 예니 1999 p.22 라파엘 알베르티(Rafael Alberti) 라파엘 알베르티(1902~1999)에스파냐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일상적인 세계를 전위적인 시법(詩法)으로 표현하는 데 뛰어났으며 초현실주의의 영향도 받았다. 처녀시집 『뭍의 뱃사람』으로 국민문학상을 받았으며 희곡으로는 『거주하지 않는 사람들』 등이 있다. 가 그를 기리며 쓴 이 글을 봐서도 알겠지만 로르까 라는 시인은 그 누구보다 스페인을 대표하는 스페인다운 작가다. 그가 태어나고 자라면서 많은 영향을 받은 스페인의 안달루시아의 토속적이고 샤머니즘적인 신비함과 여러 나라의 침략으로 생성된 여러 문화가 공존하는 신비로운 지역이다. 로르까는 어린 시절부터 그가 보고 느낀 것들과 안달루시아의 특유의 아름다운 자연을 그의 작품과 시에 고스란히 담아 냈다. 또한 그가 동성연애자로서 느꼈던 성적소외감과 괴로움이 그 당시 사회적 소수자 였던 유대인, 집시, 흑인 등에 공감의식을 가지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성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었던 시골 여성들의 성적억압을 작품에 반영하였는데, 이러한 대표작품이 로르까의 3대 비극으로 잘 알려진 『피의결혼』『예르마』『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1933년 『피의결혼』, 1934년『 예르마』, 1936년『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을 집필하였다. 이다. 로르까의 3대 비극은 남성의 성적 욕망에 대해서는 관대함을 나타내면서, 여성의 욕망 특히 젊은 여성의 성적욕망에 대해서는 무차별적인 억압과 냉대를 다루고 있는데, 이러한 젊은 여성의 욕망을 억압하는 대상이 같은 여성인 늙은 여성 혹, 기성세대 여성들이다. 이런 신,구 여성간의 갈등에 아이러니를 담고 있는 것이 로르까 3대비극의 작품들의 특징이다. 이 3대 비극 중 이번 연구에 사용될 『피의 결혼』은 여성인권이 도외시된 사회에서 나약한 인간이 이성으로 억제할 수 없는 욕망에 의해 파멸되는 비극이다. 주제적으로 이 작품은 성적소수자인 젊은 여성의 욕망과 보수적인 기성여성의 억압된 욕망에 대해 다루고 있다. 로르까는『피의 결혼』을 통해서 안달루시아의 한정된 지역성을 극복하고 보편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의 방향은 그가 태어나고 자란 안달루시아에서의 삶의 경험과 동성애자로서 느껴왔던 소외감과 좌절감, 그리고 죽음의 달을 숭배했던 로르까의 삶과 사상이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 논문은 원작과 작가에 대한 연구와 함께 필자가 직접연출하고 공연을 올렸던 2006년 청운대학교 젊은연극제 참가작 『피의 결혼』 2006년 6월 14회 젊은연극제 <우리소리, 우리몸짓, 우리이야기>에 청운대학교는 『피의 결혼』으로 참가 하였다. 구) 아롱구지 소극장 지도교수: 이송, 김승덕 학생연출: 서현우 , 2014년 극단 노뜰 정기공연 『피의 결혼』 2014년 10월 정기공연 『피의 결혼』 은 후용예술센터에서 공연하였다. 의 무대화 과정을 통해 가졌던 생각과 느낌들을 정리해서 창조적인『피의 결혼』연출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로, 무대를 형상화 할 때 재창작 및 각색과 미장센 및 오브제의 선택과정에 대해 서술해보고자 한다. 2006년 『피의 결혼』공연 당시의 작품 컨셉은 한국적인 미의 발견과 그러한 한국적 미와 로르까의 『피의결혼』의 만남이었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각색과 재창작이 되고 한국적인 옷을 입은 공연으로 변모했는지에 대해 서술 한다. 둘째로, 2014년 『피의 결혼』공연은 빈 무대에 욕망을 나타내는 오브제와 훈련된 배우의 신체 그리고 극장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경관과의 만남이었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함축적인 오브제와 배우의 움직임이 선택되었으며, 그러한 것들이 자연환경 속에서 어떠한 시너지를 발생시켰는지를 서술한다. 셋째로, 앞으로도 여러 방향성과 여러 형식을 가지고 시도 할 수 있는 다양한 『피의 결혼』무대화에 대해 서술 한다. 고대 그리스부터 오늘날까지 연극이 사라지지 않고 아직까지도 건재함을 드러내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이유들 중에 필자의 확고한 믿음은 매일 같은 것의 반복이 아닌 새로운 형식의 발견, 새로움에

      • 간호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일개지역 중소병원 신규간호사 중심으로

        한현주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is a cross sectional study to grasp the effects of nursing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new nurse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164 nurses of less than 24 months of service in smaller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sickbeds in Choongnam region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16. Differences i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influences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the total 164 nurses, female was 147(89.6%) in a great majority. For age, the group of 120 persons (73.2%) 25years old and under was the largest. For last academic background,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was 121(73.8%), followed by 38(23.2%) college graduates and 5 graduates(3%) from graduate school in the order. For the current department of service, surgical field was 42(25.6%) and internal medicine 34(20.7%), followed by mixed ward 23(14%), emergency room 15(9.1%) and intensive care unit 14(8.5%) in the order. 120 persons had clinical experience period of 11.27 months on th average with less than one year. The average age of nurse manager at current workplace was 44.5, and 102(62.2%) persons aged 40 to 50 were the largest proportion. 2. In this study, the score for recognizing authentic leadership by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veragely 58.78±8.67 for female and 63.61±11.1 for male (t=3.49, p=0.06) with higher score for male. For scores of authentic leadership by age, group for 25 and under was 59.33±9.03 and group for 26 and over 58.91±9.09, showing no difference(t=1.08, p=0.38) For authentic leadership score by academic background, associate degree was 59.97±11.1, bachelor’s degree 59.03±18.43 and master’s degree and over 58.00±5.91, showing higher scores with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t=-0.20, p=0.82). As to authentic leadership score by clinical experience, 12 months and under was 59.07±9.21 and 13 month and over 59.64±8.57, showing no difference(t=0.64, p=0.87). For the current nurse manager’s period of service, 1 to 6 months was 62.63 ±8.71, 7 to 12 months 58.03±9.09, 13 to 18 months 59.91±9.29, and 19 months and over 57.33 ±7.86, showing no difference(t=1.32, p= 0.17). 3. Job satisfaction score by gender, age and education and department of servic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nurses working at emergency room showed a highe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 departments(t= 1.30, p=0.25). 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gender and age, female was 47.45±7.56 on the average and male 46.82±10.66, showing no difference in their mean (t=1.13, p=0.34). As for age, 25 and under was 46.75±8.08 and 26 and over 49.11±7.19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t=1.13, p=0.3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academic background, associate degree was 59.97±11.10, bachelor’s degree 59.03±18.43 and master’s degree 58.0±5.91, showing a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college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compared to master’s graduates but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t= 0.52, p=0.59). 5. As to turnover intention, female was 12.60±3.7 on the average and male 12.82±4.0 with no difference(t=0.08, p=0.78) and for age, 25 and under was 12.90±3.5 and 26 and over 12.9±3.5 showing no statistical difference (t=1.62, p=0.07). 6. Between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recognized by new nurs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nurs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0.32, p=0.00). Between subcategorie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were mostly positive correlations while relationship transparency, a subcategory of authentic leadership, showed no correlation(r=-0.17, p=0.03) with job satisfaction(r=0.12, p=0.17), organizational commitment(r=0.09, p=0.24), and turnover intention(r=-0.02, p=0.79). 7. To grasp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self-awareness(β=0.24, t=2.19, p=0.03) and internalized morality(β=0.24, t=2.34, p=0.02), among the subcategories of authentic leadership, demonstrating 16% of the model of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β=0.25, t=-2.06, p=0.04) and turnover intention(β=-0.26, t=-2.37, p=0.02)were also found to be influenced by internalized morality of authentic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i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especially more affected by internalized morality of authentic leadership. 연구는 간호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신규간호사들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 조사 연구이다. 2016년 9월부터 10월까지 충남지역에 400병상 이하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24개월 이하의 164명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성리더십, 조직유효성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성별은 164명 중 여성이 147명(89.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령은 25세 이하가 120명(73.2%)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 학력은 대학졸업이 121명(73.8%)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전문대 38명(23.2%), 대학원 졸업 5명(3%)으로 나타났다. 현 근무부서로는 외과계가 42명(25.6%), 내과계 34명(20.7%)으로 나타내었으며, 혼합병동 23명(14%), 응급실 15명(9.1%), 중환자실 14명(8.5%)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임상경력은 평균 11.27개월로 1년 이하가 120명이었다. 현재 근무지 간호 관리자의 나이는 평균 44.5세로 41세부터 50세 사이가 102명(62.2%)으로 가장 많았다. 2. 이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성리더십을 인지하고 있는 정도의 점수 차이는 여자 가 58.78±8.67, 남자가 63.6.1±11.1(t=3.49, p=0.06)로 남자가 비교적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진성리더십 점수 차이는 25세 이하 그룹 59.33±9.03과 26세 이상 그룹이 58.91±9.09로 차이가 없었다(t=1.08, p=0.38). 학력에 따른 진성리더십 점수는 전문학사가 59.97±11.1, 학사는 59.03±18.43, 석사이상이 58.00±5.91로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t=-0.20, p=0.82). 임상경력에 따른 진성리더십 점수는 12개월 이하가 59.07±9.21, 13개월 이상이 59.64±8.57로 차이가 없었다(t=0.64, p=0.87). 현 간호 관리자와 근무 개월은 1-6개월이 62.63±8.71, 7-12개월이 58.03±9.09, 13-18개월이 59.91±9.29, 19개월 이상이 57.33±7.86로 차이가 없었다(t=1.32, p=0.17). 3. 성별, 연령, 학력, 근무부서에 따른 직무만족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만족도는 타부서에 비해 높았다(t=1.30, p=0.25). 4. 성별, 연령에 따른 조직몰입은 여자가 평균 47.45±7.56, 남자가 46.82±10.66로 평균에 차이가 없었다(t=0.10, p=0.76). 연령은 25세 이하가 46.75±8.08, 26세 이상이 49.11±7.19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t=1.13, p=0.34). 학력에 따른 조직몰입은 전문학사가 평균 59.97±11.10, 학사가 59.03±18.43, 석사가 58.0±5.91로 전문학사와 학사 졸업생이 석사 졸업자보다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t=0.52, p=0.59). 5. 이직의도를 보면 여자가 평균 12.60±3.7, 남자가 12.82±4.0으로 차이가 없었고(t=0.08, p=0.78), 연령은 25세 이하가 12.90±3.5, 26세 이상이 12.9±3.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62, p=0.07). 6. 신규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 관리자의 진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유효성간에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r=0.32, p=0.00). 진성리더십 하부영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간에는 대부분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 진성리더십의 하부영역인 관계투명성은 직무만족(r=0.12, p=0.17), 조직몰입(r=0.09, p=0.24), 이직의도(r=-0.02, p=0.79)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진성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성리더십의 하부 영역 중 자아인식(β=0.24, t=2.19, p=0.03)과, 내면화된 도덕성(β=0.24, t=2.34, p=0.02)이었고, 진성리더십의 모형을 16%설명 하였다. 조직몰입(β=0.25, t=2.06, p=0.04)과 이직의도(β=-0.26, t=-2.37, p=0.02)도 진성리더십의 내면화된 도덕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진성리더십의 내면화된 도덕성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신중현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사이키델릭 록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함춘호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중음악은 천한 것으로 여겨져 학술적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였고 이와 관련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의 음악교육은 전통음악을 제외하고 나면, 역사, 이론, 실연에 관한 모든 분야가 외국의 사례를 통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동안 연주 생활을 하면서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음악의 뿌리는 어떻게 형성 되었는가에 관한 궁금증을 늘 가지고 있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비로소 이 분야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우선 비교적 가까운 역사인 미 8군으로 부터 시작된 밴드 음악에 초점을 맞추고, 그 중심에서 가장 큰 활약을 했던 신중현의 사이키델릭 음악을 시작점으로 하였다. 비록 일부분에 한정되어 있지만 본 연구는 우리 대중음악 역사의 한 장면을 되짚어보고 이에 관한 자료들을 남겨서 후배들에게 조금이나마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론의 제 1 장 히피, 사이키델릭, LSD에 관해서는 미국의 문화사, 사회사에 관한 자료들과 록 음악에 관해 다룬 자료 및 단국대학교 대학원 신수남의 석사논문‘록의 한국 수용과 신중현의 재창조 과정’을 참고하였다. 제 2 장의 신중현에 관해서는 그의 저서 두 권 및 인터뷰 자료를 참고하였다. 제 3 장의 곡 분석은 신중현의 음악 활동 기간 중 사이키델릭 록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에 만들어진 열 두 곡을 선택하여 가사, 편곡, 사운드에 중점을 두고 분석했다. 악보는 복각되어 나온 음반 자료를 토대로 직접 채보하여 수록했다. 신중현은 1955년 미8군 쇼에서 기타리스트로 데뷔했다. 신중현의 기타 연주는 지금의 관점에서 본다면 평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상당히 앞서가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는 뛰어난 음악적 감각을 가진 프로듀서였다. 신중현의 편곡 기법이나 화성을 사용하는 방식은 미국의 것을 가져왔으나 선율 자체는 우리의 색깔을 지니고 있다. 그의 음악은 그 당시 뿐만 아니라 시대를 뛰어넘어 후배 음악가들에 의해 계속 연주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아야 마땅하다. 신중현이 지금의 후배들로부터 다시 재조명 받는 이유는 그가 기타 연주의 선구자이기도 하지만 작곡 및 프로듀서로서 자신의 철학을 오롯이 담은 음악을 통해 대중음악에 커다란 흐름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서구의 음악을 한국 사회에 토착화 시켰다.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당시 영향 받았던 음악을 한국적인 색채로 표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신중현의 음악은 지금 이 시대의 우리 음악을 만들게 한 원동력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미래가 불투명한 지금이야말로 신중현의 음악을 비롯하여 우리의 선배 음악인이 지나온 과거를 되돌아보는 작업을 통해 그동안 잊고 지냈던 소중한 가치들을 다시금 찾아보아야 할 때이다. Popular music study in Korea has been considered to be rather indelicate in its academic value which has lead to a demise of research and growth. Unlike classical music, all areas of pop music study(history, theory, and performance) in Korea inevitably rely on curriculums and courses from foreign countries. Since I have been active in the industry for quite some time, it came to my mind to share about how the root of band music has formed in Korea. Most importantly, I focused on the era of Eighth U.S. Army when the modern band music in Korea first arose to discuss the important role Shin Joong Hyun’s Psychedelic music style played. Although it only covers a limited portion of our pop music history, my purpose here is to provide musicians of next generations with knowledge on the root of our pop music culture. Chapter one covers topics on Hippie, Psychedelic, and LSD which I referenced from ‘The Formation of Korea Rock Music and its Resurrection by Shin, Joong-Hyun’, Master’s Theses by Shin, Soo-Nam, Rock music, and cultural and social history of America. Chapter two is about Shin Joong Hyun which I referenced from two of Shin Joong Hyun’s autobiographies and interviews. For chapter three ‘The Song Analysis’, I analyzed lyrics, arrangements, and sounds from 12 of Shin Joong Hyun’s tracks with the most Psychedelic characteristics during his prime. It contains scores based on actual copies. Shin Joong Hyun first made his debut as a guitarist at ‘The Eighth U.S. Army Show’ in 1955. His playing style was exceptionally unique and by far ahead of his time. In addition to being a phenomenal guitarist, he was a talented producer. Shin Joong Hyun’s new approach to arranging and harmonizing carried qualities of Western music but kept the melody lines of our own traditional style. Shin Joong Hyun’s music is still being played by today’s musicians after decades later and it definitely deserves to be praised for generations to come. Shin Joong Hyun showed philosophical qualities through his music making it possible for him to be called “the legend” even by today’s musicians. He genuinely brought the Western music to Korea in such an original form. Despite his huge success, Shin Joong Hyun never ceased to express his influence from the Western music in the most Korean way. No one can doubt the fact that his music serves as the backbone of Korea’s pop music today. Our music industry is heading towards a vague future. Now is the time to look back on the history our great musicians such as Shin Joong Hyun and deeply remind us on true values of good music.

      • 무대셋트의 복수 공간 적용 : 쇼팔로비치 유랑극단

        박상호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7

        Stage work for a performance <Putuju e Pozori te opalovic> required a pretty challenge, because the play had been presented at theaters within both Chungwoon University and Daehack-ro in comparison with stage work for only one theater. To apply same set to two stages was very complex and difficult because there were discrepancies in conditions between Chungwoon University and Daehack-ro. However, in spite of such poor circumstances, students majoring in stage design should overcome all difficulties, work efficiently, and bring the best res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be a case study based on such an idea as the above. And, the final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review problems found from stage design and setting work for only one set required at two stages for <Putuju e Pozori te opalovic>,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verify how to bring the best result in stage design. This study would be a great help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stage design to decrease mistakes incurred from stage work for two stages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and to work stage design efficiently. Several problems related with stage setting for Broadcasting and Performance Department of Chungwoon University and improvements in the problems would be guidelines for the future studies. The main works of the project with the above purposes were stage design and setup for performances presented at Chungwoon Art Hall located on the third floor of Susin Building within Chungwoon University and at Nemo Theater within Sadari Art Center, Daehack-ro. In principle, therefore, various figures including sketch, drawing, and work process and lots of photos related to the performances were used as visual data. At need, supplementary data included in the main text were systematically attached to appendix. Actor/actress may find frequently to play at two places composed of same stage set But, it is not found frequently at all to do stage setting suitable exactly for two places. Through the project, it was found that a place of ‘theater’ was always changed, stage set was made in the place, and a shape of ‘theater’ was not found until set was made in the theater. That is, if theater is a body, stage set is an organ of the body and actor/actress is a heartbeat going together with stage set. As a designer who made the organs of the body and a human being who connected theater and actor/actress, I realized so many things through this project.

      • 대학 미디어교육센터를 통한 영상제작교육에 관한 연구

        김종욱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07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미디어센터는 이미 오래 전부터 지역적 또는 설립목적, 추진 단체 등에 의해 설립되어 운영이 되어 왔다. 미디어센터 운용의 목적 중에서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으며, 대상 역시 다양하다. 이상과 같이 대학 외에서 운영되는 센터의 주요 특징은 일반인 또는 특수목적의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바로보기와 시설 및 장비를 통한 제작지원으로 볼 수 있다. 대학의 미디어교육센터는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대한 대학의 교육적 대응 또는 대처로 볼 수 있다. 과거 일방적이고 전달 중심의 영상미디어 환경에서의 교육으로부터 문화적, 기술적, 사회적 변화와 융합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재육성을 하기 위한, 영상미디어 관련 대학의 계열전공이 제시한 대안으로서 영상미디어 교육센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미 시행착오를 격고 있는 센터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성격의 미디어센터의 현황과 센터를 이용하는 관련 학과를 전국대상으로 파악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연구·분석하여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전개는 전국 4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영상미디어 관련 학과(전공)와 교육센터로 한정 하였다. 영상미디어 교육센터에 대한 시설 및 공간, 장비, 운영의 범위, 센터의 기능 등 요건에 대한 기준이 없는 가운데 관련대학 내에 여러 형태로 있는 시설을 상대로 연구 대상범위를 설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조사의 진행을 위해 센터에 대한 기준으로 산·학협력 또는 학교기업, 관·학협력 등 학교와 외부기관과의 연계 가능성이라는 점과 창의적 전문인재의 육성이라는 교육적 기능, 지역 또는 사회적 활용여부 등을 요건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진행은 조건을 충족하는 센터와 4년제 대학교 간에 연관성과 필요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이 되는 영상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하여 사전 연구가 진행이 되었다. 2장에서 영상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대한 Keyword로 새로운 기술인 '디지털'을 제시 하였고, 그로 인한 제작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의 요구로 인한 신개념의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여 연구문제 수립을 위한 전제를 마련하였다. 3장은 새로운 미디어교육을 위하여 4년제 대학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 대학의 영상미디어교육센터의 현황과 운영사례에 대한 연구문제와 방법을 수립하여 논문의 방향을 잡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영상미디어와 관련된 대학의 교육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00년과 2008년 두 시점에 대한 대학 및 학과의 분류작업을 관련 참고서적과 인터넷 포털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동시에 교육센터에 관한 조사도 병행하였는데, 메일을 통하여 설문 및 기초자료를 협조하고 부족한 부분은 전화면담으로 보완하여 연구자료의 축적이 되었다. 이를 토대로 센터의 설립 배경이 되는 대학 및 학과, 그리고 센터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진행을 통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2000년과 비교하여 대학 및 학과의 증가가 전반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 영상미디어에 대한 사회적관심이 교육에 빠르게 반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적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고르게 진행이 되었으며, 그 격차 또한 차이가 있다. 둘째, 학제 간에 융합이 다양하게 나타나 영상미디어의 전공특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새로 신설된 대학 또는 관련 계열이 생겨났으며, 세부 전공 또한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영상미디어 교육센터가 지역적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하고 있으나 내용에 있어서 전문화와 다양성이 부족하게 나타났으며, 관련 단체와의 연계성 또한 지역적 또는 산업적, 교육적 제약을 가지고 있어 성과는 부족하다. 그러나 교육적 성과는 대학 마다 센터의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학내 교육에 있어 전문성 함양에 역할이 크다. 대학의 영상미디어교육센터는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생산적 기능을 가진 종합목적 시설이다. 미래의 창의성 있는 국제적 인재육성을 위해 관․산․학이 협력하여야 하며, 정부는 국가의 신성장 동력의 핵심에 영상미디어 관련 산업이 항상 존재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키는데 지원을 하여야 한다. 이에 학교는 관련 전통학문과 제작실무 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전문제작교육이 어우러져 진정한 의미의 센터가 되는데 노력을 아껴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학 영상미디어교육센터의 발전과 위상 수립에 본 논문이 조금이라도 일조가 되었으면 한다. Generally designated media center has already been operated by local, foundation goal, or promoting organization, etc since a long time ago. Among goals of operating media center, relative importance of education is high, and its subjects are also various. Main features of such a center operated apart from university are seeing media that target the public or organizations with special goals rightly and supporting production through facilities and equipments. University’s media educational center can be seen as university’s educational response or measure for new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 reality where cultural,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and fusion phenomenon are occurring from unilateral, communication-centered video media environment of the past, video media education center is being introduced in various ways as an alternative proposed by video media-related universitys’ affiliated majors for cultivating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 However, due to lack of researches on this issue, there already have been centers experiencing trials and errors. Thus, this study intends to grasp status of media center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nd related departments using the center in national level, and based on that, advance to the higher level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expansion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video media related departments(majors) and educational centers of 4-year university throughout the nation. With no standard on requisites of video media educational center such as facilities, space, equipments, the scope of operation, center’s functions, etc, the study’s scope of subject cannot be instituted for facilities in various forms within related universitys. Therefore, in order to progress with this study’s researches, possibilities of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external organization such as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or school corporation, government-academic cooperation, etc as a standard for the center and educational function as cultivation of creative professional talent, local or social use, etc were chosen as requisites. For progression of researches, preliminary research was first conducted on the change of environment of video media, which i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analyze association and necessity between centers that fulfill the conditions and 4-year universities. On Chapter 2, a new technology, ‘digital’ was suggested as a keyword for the change of video media environment, and prepared a premise to establish research questions by proposing necessity of a new conceptual media education by the change of production environment by digital and demands for new digital contents. Chapter 3 set up the direction of the thesis by establishing research questions and methods on status of universities’ video media education centers and operation cases of how 4-year universities have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r new media education, On Chapter 4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classification on year 2000 and 2008 using related references and Internet portal website to confirm education changes of universities related to video media. A research on education centers was made at the same time, and the research data was accumulated by asking for cooperation of questionnaire and basic data through E-mail and complementing what were lacked with phone interviews. Based on the data, status universities, departments, and center’s status which are founding background of center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earches are as follow: , meaning that social interests on video media has been reflected rapidly in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some degrees of difference among regions, the progress has been made evenly, and its gap also has distinction. Second, as fusion among educational systems has been made in various ways, reflecting some extent of video media’s major characteristics. Third, newly established universities or related departments have come to existence, and their details majors have also become departmentalized and professionalized. Fourth, although video media educational centers are evenly distributed in regions, they lacked in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in their contents, and even in connectivity with related organization, their achievements lacked due to local, industrial, and educational limitations. However, for educational achievements, each university is progressing programs suitable for their own center’s characters, and above all, they play a big part in cultivating expertise in their intramural educations. University’s video media education center is a synthetic purposed facility with educational functions, social functions, and productive functions. To cultivate creative global talents of the future,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c institutions have to cooperate, and the government should always be aware of existence of video media related industries in the center of the nation’s new growth driving power, thus have constant interest on the field and support to promote its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ly, schools should spare no effort to make centers with true meanings by providing professional production education to stir up related traditional studies and practical production skills. I hope this study could be a small help to development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university’s video media educational center.

      • 조리교육환경이 전공교육몰입과 교육만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4년제 조리 관련 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용진 청운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high rate of youths’ unemployment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not only in Korea but in the whole world. The government in different counties is making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multilaterally. Also, youths are struggling to improve their ability to get a job. However, the problem still remains unsolved. With a number of national policies, the rate of students entering universities is reducing these days in Korea. Also, a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universities’ competitiveness is not from the school’s status or name value but from what can enhance students’ own competencies, for example, teaching staff or the curriculum. Along with that, universities are planning and operating employment programs related to job getting or career seeking reflecting students’ keen interest in it. In order for students having cooking-related majors to feel confident about getting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education environment like teaching ability or the curriculum, major commitment, or satisfaction. This is why this researcher decided to study on it.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author examined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major commi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here has four categories: teaching faculty,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curriculum. Major commitment has two categories: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re here adopted as an individual variable. Along with that, positive analysis is done with a surve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efficacy and also the effects of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on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preliminary survey was done for 4 days from August 28th to 31st, 2017. To enhance the survey’s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author distributed preliminary questionnaire sheets to 50 undergraduates with cooking-related majors and collected them all and then conducted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advance. The main survey was done for 22 days from September 5th to 26th, 2017. To undergraduates having cooking-related majors in 2 or 4-year universities, total 300 questionnaire sheets containing items about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major commi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distributed, and then 290 sheets were collected. Excluding 10 sheets unreliably answered or with blanks, this author used 280 sheets for final analysis. For analysis, the survey results went through positive analysis by using SPSS 18.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hypothesis 1> that cooking-related majors’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will influence major commitment positively, <H1-2>, <H1-3>, <H1-4>, <H1-5>, <H1-6>, and <H1-8> were adopted, and <H1-1> and <H1-7> were dismissed and partially adopted. In <hypothesis 2> that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will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ositively, <H2-2>, <H2-3>, and <H2-4> were adopted. But <H2-1> that teaching ability will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ositively was dismissed, so <hypothesis 2> was partially adopted. In <hypothesis 3> that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will influence satisfaction positively, as education facilities do not influence satisfaction, <H3-3> was dismissed, and <H3-1>, <H3-2>, and <H3-4> were adopted with positive effects shown; therefore, <hypothesis 3> was partly adopted. In <hypothesis 4>, both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are found to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ositively, so <H4-1> and <H4-2> were both adopted. <Hypothesis 5> was adopted since the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influenc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will prese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and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re found to influence major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ll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alize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better the curriculum properly for the major by opening more courses needed. As students have keen interest in job getting, it is needed to provide constant counseling about getting a job or seeking a career related to their major and also operate various programs including special lectures. Second, since teaching ability influences cognitiv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ofessors should never stay where they are but try to develop their ability further. Evaluating themselves accurately and collecting students’ opinions, they should develop their skills constantly. When screening professors, it is also needed to examine their teaching ability thoroughly. Third, education facilities are found to influence behavioral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in a lecture room for teaching theories constantly, for example, equipment for heating and cooling and ventil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be equipped with and manage teaching tools such as the computer, screen, and white board. It is needed to creat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by thoroughly preparing and managing tools and equipment including specialized facilities right for the practical course, adequate machinery, fixtures, and consumables. Fourth,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both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Also, previously, it was mentioned that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influences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It means that if we improve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major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hich will eventually elevat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fth, this study targets 2- and 4-year college students with cooking-related majors, but the rate of 4-year college students was relatively higher. Also, the rate of freshmen was also high, so the samples were not sufficient to generalize the results. In future research, the rates may need to be adjusted. 2-year and 4-year colleges should be different in terms of culinary education environment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curriculum.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eded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2-year and 4-year colleges. Also, this study adop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s a single factor, but originally, the variables range very widely and diversely, so follow-up research will have to be carried out more profoundly. 최근 청년들의 높은 실업률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각 나라의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청년들은 취업을 위해 자신의 능력 향상을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이다. 여러 국가정책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대학교 진학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졸업 후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대학의 경쟁력은 학교의 위치나 브랜드 가치가 아닌 교수, 교과과정 등 학생 본인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선택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학들은 학생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여 진로 및 취업과 관련한 취업연계 프로그 램을 계획․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리 관련 학과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한 진로와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교수능력, 교과과정 등의 교육환경과 전공교육몰입, 그리고 교육만족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조리교육환경, 전공교육몰입, 교육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파악하여 조리교육환경은 교수능력, 진로 및 취업지 원, 교육시설, 교과과정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전공교육몰입은 행동적 몰입, 인지적 몰입 두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교육만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각각 하나의 변수로 설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설문조사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조리교 육환경과 전공교육몰입, 교육만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조리교 육환경이 전공교육몰입과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예비설문조사는 2017년 8월 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실시하였고,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조리 관련 학과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지를 배포하고 전량을 회수하여 사전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7년 9월 5일부터 9월 26 일까지 22일 동안 2․4년제 대학교 조리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조리교육환경, 전공교육몰입, 교육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항목을 첨부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290부를 회수하여 내용기재가 누락되거나 부실한 10부를 제외한 280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분석은 설문을 토대로 SPSS 18.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조리 관련 학과의 조리교육환경은 전공교육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에서 <H1-2>, <H1-3>, <H1-4>, <H1-5>, <H1-6>, <H1-8>은 채택되었고 <H1-1>, <H1-7>은 기각되어 부분채택 되었다. 조리교육환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에서 <H2-2>, <H2-3>, <H2-4>는 채택 되었고, <H2-1>교수능력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어 <가설 2>는 부분채택 되었다.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에서 교육시설이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H3-3>은 기각되었고, <H3-1>, <H3-2>, <H3-4>는 정(+)의 영향을 미쳐 채택되어 <가설 3>은 부분채택 되었다. <가설 4>는 행동적 몰입, 인지적 몰입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H4-1>, <H4-2> 모두 채택 되었다. <가설 5>는 분석결과 교육만족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앞으로의 연구방향 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과정과 진로 및 취업지원은 전공교육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교육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과 실습의 조화, 개설 교과목의 필요성등 전공에 알맞은 교과과정의 개선이 중요하며, 학생들이 취업에 관심이 높기에 전공과 관련된 진로 및 취업에 대한 꾸준한 상담, 특강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교수능력은 인지적 몰입과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교수들은 현재의 자신의 능력에 안주하지 않고, 정확한 자기평가와 학생들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꾸준히 자신의 능력을 개선하고 발전시켜야 하며, 교수의 선발 시 교수능력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시설은 행동적 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 강의실 내의 냉난방, 환기 등의 강의실 환경시설에 대한 꾸준한 관리와 강의 시 필요한 컴퓨터, 스크린, 칠판 등의 강의 도구들의 구비 및 관리가 중요하며, 실습 교과목에 따른 전문 시설과 적절한 기계기구, 비품, 소모품 등의 기자재를 충분히 구비 하고 관리하여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전공교육몰입과 교육만족은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서 조리교육환경이 전공교육몰입과 교육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통해 조리교육환경을 개선함으로서 전공교육몰입과 교육만족을 통해 궁극적 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2․4년제 조리 관련 학과 학생들 중 4년제 학생들의 비율이 높고 1학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 표본의 일반화에는 무리가 있어 향후 비율을 조절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고 2년제와 4년제의 교육시설, 교과과정 등의 조리교육환경이 다른 차이를 보 일 것이라 생각되므로 향후에는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교의 비교분석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을 단일요인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나 본래 각 변수의 범위가 넓고 다양하여 향후 연구는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관광학 전공 학생들의 진로장벽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경일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conducted to figure out how career barriers and job seeking stresses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junior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ourism. Results are below. First, the research made a comparative stud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areer barriers, job seeking stress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junior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characters of study targets like gender, year, and the position they’re assigned. In terms of differences of gender, female students have lower self-concept clarity, difficulties about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physical inferiority than male students. In case of year, as a result of posteriori tests, the group of junior college freshmen have lower self-concept clarity than seniors. When it comes to job seeking stress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personality stresses than male students. In contrast, male students have job seeking anxiety stresses than female students. In years, according to posteriori tests, university juniors have higher personality stresses than high school sophomores. Likewise, high school seniors have higher values than junior college seniors. Also, compared to high school juniors freshmen and seniors in junior college and freshmen and juniors in university have higher school environment stresses. In view of the position they’er assigned,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personality stresses than junior college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school environment stresses than high school students. Lastly, in cas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mpared to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reshmen of junior college do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niors in junior college and freshmen of university do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an seniors of high school. Also, according to posteriori tests, juni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do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do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an junior college students. Next, the research conducted to figure out how career barriers and job seeking stresses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irst, after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subordinated factors of job seeking stresses, among the factors consist of job barriers, ages and the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meaningful positive effects on personality stresses. Ages, lack of job information and physical inferiority have positive effects on school environment. Also, to family environment stresses, ages and lack of job information have positive effects and to job seeking anxiety stresses ages have positive effects. Secondly, after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the factors consist of job barriers, the lack of self-concept clarity and job inform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personality stresses while ages and physical inferiority have positive effects. Lastly, after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job seeking stress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the job seeking stresses, only personality stresses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positively so that as they more perceive personality stresses they more show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본 연구는 관광학 전공 고등학생, 2년제 및 4년제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 즉 성별, 학년, 소속별로 고등학생과 2년제 대학생, 그리고 4년제 대학생 간의 진로장벽과 취업스트레스,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차이를 살펴보았다.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기명확성 부족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신체적 열등감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에는 사후검증 결과 전문대학 1학년 집단이 전문대학 2학년 집단에 비해 자기명확성 부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성격스트레스가 높은 반면에 취업불안스트레스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사후검증 결과, 대학교 3학년이 고등학교 2학년보다, 그리고 고등학교 3학년이 전문대학 2학년에 비해 성격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 2학년에 비해 전문대학 1학년과 2학년, 그리고 대학교 1학년과 3학년이 모두 학교환경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학교 소속이 전문대학 소속에 비해 성격스트레스가 높고, 전문대학과 대학교 소속이 고등학교보다 학교환경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준비행동 차이를 살펴보면, 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보다는 전문대학 1학년이 진로준비행동이 높았고, 고등학교 3학년보다는 전문대학 2학년과 대학교 1학년이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별로는 사후검증 결과를 토대로 보면, 전문대학과 대학교 소속이 고등학교보다 진로준비행동이 높았고, 대학교가 전문대학보다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장벽과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우선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장벽을 구성하는 요인들 중 나이문제와 직업정보부족이 성격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환경스트레스에는 나이문제와 직업정보부족, 신체적 열등감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환경스트레스에는 나이문제와 직업정보부족이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불안스트레스에는 나이문제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로장벽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 중 자기명확성 부족과 직업정보부족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문제와 신체적 열등감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취업스트레스 중 성격스트레스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쳐 성격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실습몰입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리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전미진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21세기는 직업의 전문화와 다양화가 촉진될 전망으로, 학교 교육에서 교육과 훈련으로 지식 정보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고,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 훈련 제도를 개혁하는 것이 21세기를 대비하는 핵심 전략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의 이러한 변화로 인해 식생활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리실습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조리 관련 직종은 외식 산업의 발달과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변화 주기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현장과 유기적인 관계가 조리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많이 하게 되는 고민 중의 하나가 ‘무엇을 어떻게 잘 가르칠까’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 교육 과정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 조리실습교육이 조리교육의 중심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조리실습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의 변화와 함께 조리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고등학교와 대학이 많이 생겨나고 그 질적 수준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바람직한 조리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조리 교육의 실체는 기능적인 조리 기술이 효율적으로 교수에 의해 전달되는 교수과정과 전달된 정보를 학생의 입장에서 학습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교수와 학생 사이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효율성을 멘토링 관계에서 증대시킴으로서 조리교육의 실효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효성은 교수와 학생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신념, 지식과 기술을 긴밀하고 원활하게 상호 교류함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전공 대학생(2년제, 4년제)들을 대상으로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실습몰입 및 만족에 관해 서로간의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한다.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실습몰입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파악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 및 일부 충청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조리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를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감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15.454 (p〈0.05)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11.1%로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주의집중에 부분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3.210 (p〈0.05)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0.2%로 나타내었다. 셋째,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자아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77.542 (p〈0.05)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39.0%로 나타나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넷째,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통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으며,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70.573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97.0%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리실습의 실습몰입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32.249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26.4%로 나타나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만족에 부분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회귀모형을 나타내는 F값은 10.706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들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설명력은 7.7%로 분석 되었다.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를 보면,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은 실습몰입과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리실습 교육에 있어서 집단지도 방법보다는 개인 실습지도가 필요함을 밝히는데 큰 의의가 있다. 조리실습 교육에서 멘토링 기능으로 인해 실습몰입 및 만족이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조리실습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twenty first century is a ago in which vocational professionalization is going to prevail and which will promotes raising of talents fitted for IT society. Besides, it is one of strategy for twenty first century that we have to reform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in school education. By such change in present society, the dietary lives has been going through lots of change and thereby, cooking practice education has been going through change as well. The occupations related to cooking has been underway according to change of vocational world globally and development of dining industries. Furthermore,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scene is interpreted to be much more important for cooking education. The most worrisome question related to teaching students in educational scene is 'What should I do to teach them in optimal way.' For such, we have to promote study on more systematic and rational cooking practice education concerning the fact that cooking practice education takes up more than 70-80% of overall educational process and is focal importance. In regard of educational changes, as lots of high-schools and universities for cooking faculty have been happening conspicuously and their qualitative level has been developing still,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look for worthwhile way to educate students. The real aspect of cooking education is process in which students learn informations, like functional cooking skills conveyed from professor. In other word, it is possible to gain some efficiency of cooking education by increasing educational efficiency in mentoring relationship that happe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 Such efficiency is to achieve the purpose of education by interchanging value, belief, knowledge and skill of students and professor in closeness. We have investigated how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for students(Sophomore, senior) who major in cooking affects the immersion in practice and satisfaction. To analyze and find out how mentoring affects immersion and satisfaction, we performed public survey aimed at three hundred fifty students who major in cooking in four-years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with SPSS 12.0,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e used the analysis of rate of trust, factor, frequency, correlation and of multiple regression. Moreover, to cert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 have analyze multiple regression, to deduce following results. First,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has been found out to positively affect sensitivity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15.454(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11.1%. Second,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be positive in attention/concentration.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3.2010(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0.2%. Third,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be positive in self-consciousness.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77.542(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39.0%, whose result turned out to be highest. Forth,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be positive in self-consciousness.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70.573(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97.0%. Fifth,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be positive in self-consciousness.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32.249(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26.4%, whose result turned out to be highest. Sixth, Third,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be partly positive in self-consciousness. And F value that means overall models of regression was 10.706(p < 0.05) and turned out to be positive statistically and expoundability whereby we explain dependent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urned out to be 7.7%. As far as we see those results above, mentoring in cooking practice turned out to affect immersion and satisfaction and prove that personal teaching is necessary than teaching in group when it is cooking practice education. In cooking practice education, it is assumed that what is needed is to highlight importance of cooking education so that immersion in practice and satisfaction can be utilized by mentoring.

      •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의 직무착근도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추교진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고속도로휴게소 운영업체는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인적 관리는 종사자의 사기를 증가, 구성원들 간의 소통, 자기 계발 및 운영업체의 목표 달성에 공헌함으로써 불필요한 이직으로 인해 남아있는 종사원들의 업무 과중 및 부 정적영향을 줄이게 될 것이다. 고속도로 휴게소종사자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업무와 관련된 요인들만이 아니라 업무 외적인 요인들까지를 포함한 직무착근도가 직무태도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휴게소 운영업체의 인적 관리 운영에 있어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은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직무태도, 이직의도에 관한 선행 연구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휴게소의 상황에 맞춰, 변형 및 추가, 제거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에 대한 11개 문항 직무태도에 대한 6문항 이직의도에 대한 5문항 및 인구통계학적 12문항 등 총 3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 근무부서, 지역, 직책, 연봉, 근무경력, 교육 수준은 등을 명목척도로 측정하였고, 인구통계학적 문항 제외한 설문 문항은 각 문항리커트 5점 척도로(1. 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그렇다) 내용을 사용했다. 설문지는 전국 고속도로에 있는 고속도로휴게소에 재직 중인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간 초기설문지조사 후 불성실 답변 및 분석 결과 불필요 문항 삭제 후 2021년 8월 1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 총 2개월 동안 진행하였으며. 330부를 모바일 설문지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312부 중 불성실 답변 12부를 제외한 300부 설문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코딩(data Cording)을 거쳐 실증분석을 위해서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성별, 연령, 결혼 여부, 근무 기간, 근무지역, 급여 수준, 학력, 이직 경험, 이전 직장 이직 사유, 고용 형태, 일 근무시간, 복지시스템 만족도에 대해 분석에 관한 결과이다. 첫째, 성별에서는 여성 280명(93.3%), 남성 20명(6.7%)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0대 51명(17%), 30대 39명(13%), 40대 104명(34.7%), 50대 이상 106명(35.3%)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고졸 이하 227명(75.7%), 전문대학 졸업 53명(17.7%), 대학교 졸업 18명(6%), 대학원 이상 2명(0.7%)으로 나타났다. 이직 경험에서는 없다 42명(14%), 1~2회 230명(76.7%), 3~4회 20명(6.7%), 5회 이상 8명(2.7%)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을 위한 예비분석으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변수는 요인적재치가 가장 높은 요인에 속하게 된다. 요인추출 방법으로는 기준 고유 값 1.0 이상, 요인 적채치는 0.4 이상이면 유의한 변수로 간주하였다. 각 요인의 신뢰도는 측정 항목의 타당성 검증을 통한 하나의 개념에 관하여 그 결과에 관한 일관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가를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변수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 값이 0.6 이상으로 하였다. 셋째, 직무착근도에 관한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들의 문항이 적합하게 묶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MO와 Bartlett's Test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적절성을 측정하는 KMO 측정값이. 781로 1에 비교적 가깝게 나타나 본 도구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Bartlett의 구형 성 검정의 값으로는 2671.713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태도에 관한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들의 문항이 적합하게 묶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MO와 Bartlett's Test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적절성을 측정하는 KMO 측정값이. 797로 1에 비교적 가깝게 나타나 본 도구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이직의도에 관한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들의 문항이 적합하게 묶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MO와 Bartlett's Test를 실시하였다. 표본의 적절성을 측정하는 KMO 측정값이. 876으로 1에 비교적 가깝게 나타나 본 도구가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다음은 가설 “직무착근도가 직무태도에 유의한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이다. 먼저, 직무착근도의 적합과 직무만족 간 유의 수준이 0.05보다 낮게 나타났으므로 서로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t=-4.137, p<0.05)를 미치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의 적합과 조직몰입 간 유의 수준이 0.05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서로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t=-1.875, p> 0.05)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가설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유의한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이다. 직무착근도의 적합과 이직의도 간 유의 수준이 0.05보다 높게 나타났으므로 서로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t=-0.052, p> 0.05)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가설 “직무태도가 이직의도에 유의한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직무 태도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간 유의 수준이 0.05보다 낮게 나타났으므로 서로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t=-13.840, p> 0.05)을 미치며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대부분의 가설은 유의한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주제에 합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의 한계점 및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선정과 설문의 대상이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고속도로 휴게소 종사자들이 느끼는 직무착근도, 직무태도의 변수인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고속도로 휴게소 약 400개 중 25개로 한다는 것에 있어 무리가 있을 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많은 설문 대상을 통해 집중적인 연구 및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업체의 획기적인 인사 운영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업체마다 인사 운영시스템 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고, 표본 선정에 각별한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이번 연구에 대한 조사 방법에 있어 설문지 법, 모바일 설문지를 의존한 자기기입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따라서 설문지의 내용과, 응하는 태도에 따라 조사 결과가 좌우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연구를 위해 방문한 휴게소를 제외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를 방문 및 설문, 면접 등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조사 방법이 횡단적 연구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변수 간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으며, 연구 방법은 특정 시점의 태도만 측정하여 종사자들의 성격, 특성 주관성과 시간차가 존재했으며, 경과에 따른 시점에서는 정보를 받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 방법이 행해질 필요성이 보인다. 위와 같이 논문의 몇 가지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다각적이면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연구 결과의 차이점을 분석함으로, 적극적이고 치밀한 이직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직 관리에 관여하고 있는 휴게소 운영업체 인사관리 팀과 관찰과 같은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더 정확한 정보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하고 신뢰도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설명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므로 휴게소 종사자의 이직율 및 조직이탈에 최소한의 척도가 되기를 바란다. Expressway rest area operators are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 management will increase employee morale, increas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contribute to self-development and achieve the goals of the operating company, thereby reducing the workload and negative impact of the remaining employees due to unnecessary turnover. To measure whether job commitment, including not only work-related factors but also non-work factors, affect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are job attitudes did This study intends to draw effectiv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uman management operation of service area operator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by modifying, adding, and remov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rest area, based on the questionnaire items of previous studies on the degree of commitment, job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of highway rest area employe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34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n the degree of commitment of highway rest area employees, 6 questions on job attitudes, 5 questions on turnover intention, and 12 questions on demographics.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measured on nominal scale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work department, region, position, annual salary, work experience, and education level. The content was used as a scale (1. Not at all, 2. Not at all, 3. Neutral, 4. Agree, 5. Strongly agre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working at highway rest areas on highways across the country.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two months from August 1, 2021 to August 31, 2021, after the initia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 2021 to July 15, and after insincere answers and unnecessary questions were dele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330 copies were conducted as a mobile questionnaire. Of the 312 recovered copies, 300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excluding 12 insincere answers. Through data coding,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analysis of gender, age, marital status, working period, working region, salary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job turnover, reason for previous job turnover, employment type, working hours, and welfare system satisfaction were analyzed. is a result about First,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280 females (93.3%) and 20 males (6.7%). In terms of age, 51 people in their 20s (17%), 39 people in their 30s (13%), 104 people in their 40s (34.7%), and 106 people in their 50s (35.3%) were over 50.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227 people (75.7%)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less, 53 people (17.7%)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18 people (6%)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and 2 people (0.7%) who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There were 42 (14%) no job turnover, 230 people (76.7%) 1-2 times, 20 people (6.7%) 3-4 times, and 8 people (2.7%) more than 5 times. Secon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s preliminary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Each variable belongs to the factor with the highest factor loading. As for the factor extraction method, if the standard eigenvalue was 1.0 or more and the factor adequacy value was 0.4 or more, it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measures how much consistency is maintained with respect to a single concept through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item,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value of the measurement variable was set to 0.6 or higher. Thir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related to job commitment. KMO and Bartlett's Test were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items of the factors were properly grouped. There is a KMO measure that measures the adequacy of the sample. 781,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1, suggesting that this tool is suitable data for factor analysis. The value of Bartlett's sphericity test was 2671.713, and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0.000,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related to job attitude. KMO and Bartlett's Test were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items of the factors were properly grouped. There is a KMO measure that measures the adequacy of the sample. 797,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1, indicating that this tool is suitable data for factor analysis. Fift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KMO and Bartlett's Test were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items of the factors were properly grouped. There is a KMO measure that measures the adequacy of the sample. 876,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1, indicating that this tool is suitable data for factor analysis.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e degree of job commitmen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ttitude.” First, since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fit and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an 0.05, it had a significant effect (t=-4.137, p<0.05) on the relationship and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Since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fit of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than 0.05,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t=-1.875, p>0.05) in the relationship. The following is an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e degree of job commitmen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ince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fit for job placement and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than 0.05,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t=-0.052, p>0.05) on the relationship. The following i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hypothesis “job attitude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ince the significance level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job attitude was lower than 0.05, it had a significant effect (t=-13.840, p>0.05) on the relationship and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most of the hypothes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so it can be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topic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the sample selection and survey targeting the workers at the highway rest area. However, it may be unreasonable to set 25 out of about 400 highway rest areas as the variables of job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are variables of job commitment and job attitudes felt by highway rest area workers. In future research, intensive research and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more questionnaire subjects. Implications of new research can be derived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HR management system for highway rest area operator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HR management systems for each operator. and special care should be taken in selecting the sample. Second, in the survey metho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self-filling method that relied on the mobile questionnaire.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results of the survey depend 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attitude to respond.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rough visits, questionnaires, interviews, etc. to highway rest areas across the country, excluding service areas visited for the existing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survey method relied on a cross-sectional study metho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not clearly revealed. No information was recei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longitudinal study method in future studies. As mentioned above, the paper has several limitations, and a multifaceted and in-depth study that can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should be conducted. Therefo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research result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ctive and precise turnover management plan. In addition, by combining methods such as observation with the personnel management team of the service area operator involved in turnover management, more accurate information will be derived, and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ill be explained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earch will be improved based on reliability. Since it can be strengthene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the minimum measure for the turnover rate and organizational churn of rest area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