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임익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그동안 이루어졌던 혁신학교의 성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북도 소재의 5, 6학년 학생 중 혁신학교 223명, 일반학교 350명 총 57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박경인(2010)의 척도와 김종배(2006)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생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에 사용한 척도를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기 전 문항들이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어 잇는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수업분위기,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영역,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생활영역 에서는 인성, 생활지도, 교과 외 활동, 학교 환경의 영역으로 영역이 구분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설문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이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해본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만족도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별로는 성적과 관련하여 하위영역인 학습동기에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거주지와 관련해서는 익산·군산, 읍면지역, 기타 시 순으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관계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 직접적으로 혁신학교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외 영역은 차이가 나지 않아 혁신학교의 효과가 직접적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통계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통계결과 평균값을 살펴보면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것과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미루어 보면 혁신학교의 효과가 드러나고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혁신학교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진행되어야 하며,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다.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송효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차이를 다룬 국내·외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연구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새로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검색어(key word)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70편의 연구를 수집하여 1478개의 사례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V2)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의 출처, 연도, 국가, 지역, 교육기관, 학교급, 학년, 영재학생의 영재판별도구, 영재영역에 따라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나타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에 관한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통해 상승과 감소의 차는 있지만 꾸준히 연구되어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져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적으로는 학술지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국가별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지역별로는 대도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재연구대상은 영재전문연구원에 있는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재와 수학·과학 영재가 주로 연구대상으로 실시 연구한 논문이 많았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 결과 전체 긍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627, 전체 부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31, 전체 중립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01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에 미치는 전체 긍정적인 평균효과크기의 값은 통제집단 분포의 73%에 해당하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부정적 63%, 중립적 61%를 보았다. 변인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능의 효과크기는 1.106, 학업성취의 효과크기는 1.235, 창의성의 효과크기는 .741의 순으로 Cohen (1988)의 효과크기의 기준에 의하면 지능, 학업성취에서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창의성의 평균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지적 특성의 비교 결과(.434)는 작은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평균 효과크기 분석 결과,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에서는 509개의 사례에서 .498의 작은 평균효과크기의 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에 따른 275개의 사례에서 -.289의 부적효과 값을 보여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긍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 더 높은 값의 결과를, 부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는 더 낮은 값의 결과를 얻었다. 넷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차이에서는 영재학생의 영재영역별에 따른 사례(37개)를 통해 1.011의 큰 효과크기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리더쉽 특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지적, 인지적, 정의적, 리더십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과 국가의 발전, 국가의 미래와 장래가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영재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영재교육을 계획할 때에는 각 영역별 영재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그 능력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적 조건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팥앙금의 HACCP 도입을 위한 관리기준 설정

        백승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식생활의 편의성, 간편성으로 인하여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는 빵의 소재로 사용되는 앙금을 선정하여 원료 및 제조공정, 작업환경에 대한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HACCP 시스템을 활용 HACCP Plan를 제시하여 농산물 조림류에 해당하는 앙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원료에 대한 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주원료인 팥에서 일반세균은 3.47 log CFU/g, 진균류는 2.84 log CFU/g 검출되었으나, 대장균군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팥의 일반세균수가 낮고 기타 부원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아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제조공정에 대한 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물앙금에 대한 미생물은 삶음공정 전까지 일반세균이 3.50∼3.56 log CFU/g, 진균류가 3.00∼3.07 log CFU/g 검출되었으나, 삶음공정 이후 일반세균이 6.40 log CFU/g 이상으로 증가되었다. 조림공정에 대한 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조림공정을 거치면서 일반세균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3. 작업장 환경의 공중낙하균은 일반구역에서 일반세균은 1.25∼1.54 log CFU/plate/15min, 진균수는 0.78∼1.60 log CFU/plate/15min 검출되었으나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청결구역인 내포장실에서 일반세균은 0.94∼1.23 log CFU/plate/15min, 진균수는 0.58∼0.95 log CFU/plate/15min 검출되었으나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권장하는 청정도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4. 작업자는 세척·소독 전에는 일반구역과 청결구역 작업자의 일반세균수가 2.00∼2.76 log CFU/㎠ 분포였으나 세척·소독 후에는 일반세균,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설비의 경우, 작업 중에는 일반세균과 진균류가 1.10∼3.47 log CFU/㎠로 분포되었으나 세척·소독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5. 앙금 공장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원료 및 제조공정에 대한 위해요소분석과 중요관리점 결정, 중요관리점 공정에 대하여 한계기준 설정, 모니터링 방법 수립, 개선조치 및 검증방법에 대한 HACCP Plan을 수립 하였다. 6. 살균공정에 대한 한계기준은 살균온도 95±1℃, 살균시간 25±2분으로 설정되었으며, 살균온도는 살균기 판넬온도를 확인하고 살균시간은 살균기 통과시간을 타이머로 측정 관리하도록 설정하였다. 7. X-RAY 검출공정에 대한 한계기준은 test piece를 100% 검출되는 Fe 1.0mmØ, Sus 1.0mmØ, Glass 3.0mmØ, Ceramic 4.0mmØ로 확인되어 한계기준으로 설정하였다.

      •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주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이 아동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있는 초등학고 3곳의 4 ~ 6학년 아동 239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장영수(2008)이 아동에게 맞게 수정·보완한 자녀용질문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해 Hal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 Fo(1995)가 개발한 정서표현 척도(Self-Expresiveness in the Family Quetionnaire)를 김호정(2001)이 수정·보완하여 내적합치도와 구인타당도 검증을 거치고, 학령기 아동에게 적합하게 재구성한 김민서(201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기본심리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Chen 등(2014)이 개발한 기본심리욕구 만족, 좌절 척도를 한국 아동의 발달, 문화적 특성에 맞게 개발하고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 변별타당도가 보고된 권미나(2018)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연화(200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검정,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긍정적 정서표현을 높게지각하고 있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을 낮게 지각하고 있었다.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별로 살펴본 결과 관계성 만족, 유능성 만족, 자율성 만족 순으로 높았으며, 자율성 좌절이 상대적으로 높고 유능성, 관계성 좌절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행복감을 살펴본결과 인지적 행복감보다 정의적 행복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ANOVA 분석 결과, 생활수준과 성적에 따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생활수준, 성적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생활수준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만족과 좌절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관계성 만족, 자율성 좌절, 유능성 좌절, 관계성 좌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 관계성 만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에 따라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적에 따라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유능성 좌절, 관계성 만족 관계성 좌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정서표현, 아동의 행복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긍정적 정서표현과 아동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가 지지적인 의사소통과 행복, 고마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면 아동의 행복감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부정적 정서표현과 아동의 행복감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화, 짜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면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만족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아동이 스스로 선택하며, 유능감을 느끼고 또래관계에서 소속감을 느낄 때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좌절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타인에 의해 선택하며, 무력감과 또래관계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면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인 유능성 좌절,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 자율성, 만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아동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동 스스로 자신의 일을 선택하며, 자신이 하는 일에 유능감을 느끼고 또래관계에서 소속감과 친밀감, 즐거움을 느끼며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만족될 때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머니가 자녀에게 기쁨, 고마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할 때 아동의 행복감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부모교육을 통해 화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표현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의 긍정적인 정서를 갖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고추냉이 페이스트 제품의 저장성 향상 연구

        이효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order to extend the shelf-life of Wasabi paste, the effects of organic acid and antioxidant were confirmed at 35℃ for 28 days.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citric acid (CA) 0.17%. Organic acid treated groups were added with CA 0.05, 0.10, 0.30, and 0.40%, respectively. Antioxidant treated groups were added with CA 0.17 and 0.30% added with ascorbic acid (AA) and tocopherol (TC) 0.1 and 0.2%, respectively.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sabi pastes were determined in pH,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 contents, color values, microbial analysis (aerobic bacteria, yeast), gas production, and contents of allyl isothiocyanate. The pH and titratable acidities of Wasabi pastes added with CA were indicated 4.03~5.19 and 4.23~4.82%, respectively. Soluble sol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CA. L Values showed the highest 50.05±0.46. a and b Value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otal aerobic bacteria and yeast counts of Wasabi pastes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Gas production from Wasabi pastes appeared 19.55~19.80 mL/tube after 28 days of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sabi pastes added with antioxidant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at of Wasabi pastes added with organic acid. Four treatments were selected for shelf-life extension of Wasabi paste (CA 0.17%, CA 0.30%, CA 0.30% + AA 0.1%, CA 0.30% + TC 0.2%). In order to select the sterilization conditions, control group was evaluated by quality characteristics. The optimum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time of Wasabi paste for shelf-life extension showed 90℃ and 15 min, respectively. Also, CA 0.17%, CA 0.30%, CA 0.30% + AA 0.1%, CA 0.30% + TC 0.2% groups treated with optimal sterilization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by quality characteristics. Total aerobic bacteria and yeast in the all treatments were not detected. The gas production showed the lowest 8.20±0.14 mL/tub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28 days of storage in CA 0.30% + TC 0.2% treatment. Contents of allyl isothiocyanate (AITC)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After 28 days of storage, contents of AITC were ranged 5.04~12.04 mg% and showed the highest 12.04±0.50 mg% in CA 0.17% treatment. AITC content of CA 0.30% + TC 0.2% treatment showed the lowest 5.04±2.04 m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asabi paste added with citric acid 0.30% and tocopherol 0.2% and treated with sterilization (90℃, 15 min) would be good treatment to extend the shelf-life of Wasabi paste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 기계층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나물콩의 생리활성 및 식품 적용

        김인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domestic sprout soybeans that can not be used as sprouts, amo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present in sprout soybeans, the conversion to aglycone, a physiologically active form of isoflavone which acts as a vegetable estrogen,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mushroom mycelium. Irpex lacteus mycelia, which showed fast activity and relatively high level of isoflavone bioactive conversion in sprout soybean liquid medium, was used as a spawn for a sprout soybean solid culture. Beans were treated with steaming(SS), germinating(GS), roasting(RS) and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10%(v/w) for 20 days to enhanc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ir sprout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flavonoids, isoflavone, and DPPH(2,2-diphenyl-1-picrylhydra 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ermented bean were examined every 5 days for 20 days(25℃, 80%). For the application to food, free amino acid, β-glucan contents, antioxidative activity by luminol method, and cytotoxicity were measured for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on the 5th da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milk were investigated using sprout soybeans powder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isoflavon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ermented bean preparation were examined every 5 days for 20 days.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SS, GS, and RS preparations was 9.61, 10.23, and 10.46 mg/g, respectively, after 15 days of fermentation. These concentrations were approximately 4-5 folds higher compared to initial level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2-4 folds higher than initial levels. Of all the treatments, the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the RS sample(6.84 mg/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as increased 2-8 folds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Antioxidant activity components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of I. lacteus mycelia irrespective of soybean treatm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DPPH) and total phenol content(TPC) was highest in all the treatments. The β-glucan contents of 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as increased 4∼5 folds after 5th day of fermentation, SS(3.16%), GS(3.11%), and RS(3.20%).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23 specie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ntents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 amino acid contents of the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 increased from 5.69 mg/g to 19.11 mg/g(SS), from 5.68 mg/g to 18.91 mg/g(GS), from 4.16 mg/g to 23.57 mg/g(RS).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Puge & trap method, SS isolated forty fractions, S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SSF) isolated forty one, GS isolated forty fractions, G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GSF) isolated forty five, RS isolated twenty-five fractions, R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RSF) isolated thirty fractions. Volatile components of sprout soybean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decreased the ratio of 2-ethyl furan to n-hexanal, 1-hexanal, propanone, propanol and benzaldehyde by fermented mushroom mycelia, 1-octen-3-ol, 3-octanol and 5-undecene, which are typical fragrance components of mushrooms, were increased. Cell viability rat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 on HT29 cell,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and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CCK-8 assay of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Cell viability rate(%) in HT29 cel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ank. Cell viability rate(%) in HepG2 cell were higher than that of blank. In general, the inhibitory effect on HT29 cell of sprout soybean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ere confirmed in all samples, and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Soymilk was manufactured adding sprout soybean powder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hich was determined to be adequate in terms of isoflavone contents and sensory testing by the 7 point scale method(P<0.05), with a 10% powder add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o use of I. lacteus mycelia as a new material of mushroom mycelium which gives fast growth, increase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change of volatile components in sprout soybean media.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media for inoculation in the sprout soybean solid medium was obtained by inoculating a mycelium 10%(v/w), which was activated in the liquid medium for the secondary time, and cultured at 25℃, 80% for 5 day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soybeans was higher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test by applying the mycelium to the different processing methods(steaming, germinating, and roasting) of the soybeans. More researches of the activity of various enzymes in I. lacteus mycelia such as how to apply the processing method to food materials are needed. In addition, the future research in the application to various foods and the toxicity test for normal cells will be also needed.

      •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서 소셜 정보를 연동하기 위한 메타 API 및 소셜 허브 시스템 개발

        정경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현대인들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산으로 언제 어디서나 지인들과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소셜 커머스, 크라우드 펀딩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SNS와 결합되어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들 서비스와 함께 대표적으로 급성장 하고 있는 서비스가 바로 SNG(Social Network Game)이다. SNG는 기존에 게임에 관심이 없던 여성 유저나 라이트 유저들이 지인들과의 협동, 경쟁에 재미를 느끼고 자연스럽게 게임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 SNS를 통한 바이럴 마케팅 또한 훌륭한 광고 수단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실제 해외 SNG 업체인 King사는 캔디크러쉬사가 라는 SNG를 통해 2013년 한 해 약 2조원에 이르는 연 매출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SNS를 개발하기 위한 상황은 오히려 많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 SNS 플랫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실제 SNG 개발은 특정 SNS에 국한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장 큰 이유는 SNS 플랫폼들 각각 오픈 API를 제공하는데 표준규격이 없어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내의 대표 SNS인 카카오톡 플랫폼의 경우 현재까지 API의 공개 범위를 계약된 업체들에게만 제공하고 있고 소수의 기능에 대해서만 베타테스트 형식으로 일반인에게 오픈하고 있다. 따라서 스타트 기업 및 SNG를 개발하려는 1인 개발자들에게는 해당 플랫폼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다양한 SNS 플랫폼들에서 제공하는 API들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타 API를 구현한다. 또 이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소셜 정보들을 가공하여 SNG에 필요한 필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소셜 허브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의 경우 수많은 오픈 API들을 각각 적용하고 통합 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 SNG를 개발할 수 있다. 소셜 허브 시스템을 사용해 개발된 SNG를 사용하는 유저들은 더욱더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시스템 구성에서 최적화를 위한 기법들에 대해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 및 평가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제안한 친구 관리 기법이 일반적인 친구 관리 방법에 비해 뛰어난 검색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또한 해당 시스템과 기존 SNG에서 인맥정보를 로딩하기 위한 시간을 측정하였고 기존 SNG 게임과 비교하여 속도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어 실제 게임 구현을 하기에 충분한 시스템임을 입증하였다. Through expansion of SNS, today’s people can communicate with friends anytime, anywhere. Various types of services like social commerce, crowd funding are growing faster in combination with SNS. SNG (Social Network Game) is the service which is growing faster together with these kinds of services. SNG has a feature that attracts women consumers and light users who were not interested in game, making them naturally absorbed in game and interested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friends. And this type of phenomenon is being accelerated because viral marketing using SNS can be a great marketing strategy. A foreign SNG enterprise, King had an annual sale about 2 trillion in 2013 through SNG called Candy crush. Despite of these positive effects, developing real SNG has many difficulties. Because most of trials to develop SNG focus on just few specific SNS though there are various types of SNS platforms. One of the biggest reasons is SNS platform companies provide open API to connect platforms in their own way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Furthermore, in case of Kakaotalk, a representative domestic SNS platform provides API only to contractors, and just few functions to public in beta test. So, it’s not easy to apply adequate platforms for new businesses and small-medium sized companies that are trying to develop SNG. This paper will introduce Meta API that makes it possible to use many different API provided by a number of SNS platforms. And, processing various social information gained through the above, this paper will introduce social hub system that is able to provide essentially needed functions to SNG. This helps developers not to apply many open API separately and combine them to develop SNG. In addition, the users who use SNG developed through social hub system can experience more diverse things with various people. This paper focuses on realizing the above system and introduces technique optimized for system configuration. Lastly, through experiment and evaluation, this paper compares friends management technique suggested in the above system to general friends management technique, and the result of that comparison is the suggested technique is superior to the general technique in search function. Moreover, measuring the time to load a list of friends from both the above system and the existing SNG, this paper demonstrates the above system is enough to realize a game because the speed in the both systems is same.

      • 중국 농촌 아동의 피학대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채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reaearch concentrates on the abusing problems of children in rural areas, sa well as examines that whether such mistreatment would affect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tha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olitical senses of supporting Chines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is presented via this the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thing purpose, the research selected totally 248 students from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PingLu County, ShanXi Province of China, as the target individuals of the survey.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s shown as below. First, the children that had the experiences on emotional abuse were the most numeral ones among the survey. Second, female and the left-behind children were exposed to sexual and physical abuse much more seriously than males and ordinary ones respectively. The children whose families had intermediate economic status showed the lowest proportion on corporal punishment, while the figure of the children in poverty was much higher than those with good economic statue. Third, the result o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chool-adjustment demonstrated that the adjustment of study and the intimacy with teachers reduced while their grades were rising. Additionally, the intimacy rate of femal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Fourth, it is result that juvenile mistreatment impacted the competence of school-adjustment passivelt. While looking into each academic aspec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udying activity rat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the relationship of companion reduced with the rise of neglect and physical punishment oint, as well as the intimacy with teachers declined with the upward of neglect point. Based on such researching resul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d ensure the educational problem involved in juvenile maltreatment for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Chinese reral regions. Furthermore, allocating the facilities being able to trend the children after school and organizations that can provide the support on education and protect th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are essential.

      •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

        유명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find out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from J city in Korea. A total of 200 participants who agreed completed a survey packet including Scale of Perception of Death through April 10 to April 21, 2014. The scale of Perception of death consisted of affirmation of death, negation of death, anxiety about death, concern about death, and will to respect life which was modified by Cha Young-Rae (2005).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rom descriptive statistics, will to respect life variable showed highest mean 3.62±.74, negation of death 3.39±.55 was followed by affirmation of death 3.35±.56 among sub-factors of the scale of Perception about death. 2)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about affirmation of death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t=-2.40, p=.017), awareness of palliative care (t=2.38, p=.018), level of death preparation for incurable disease (t=2.26, p=.025), and willingness to have CPR for own terminal situation(t=-.074, p=.039). For negation of death, only grade level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t=-2.21, p=.029). For will to respect life variable,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y religion(t=3.38, p=<.001), awareness of Hospice palliative care (t=2.10, p=.037), willingness to have Hospice palliative care for own terminal situation(F=3.88, p=.022). 3) From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ffirmation of death and concern of death (r=.280, p<.001), between negation of death and anxiety about death(r=.352, p<.001), and between anxiety about death and concern of death(r=.241, p<.001). Negation of death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will to respect life(r= -.211, p=.003). For being correctly conscious about death and respectful human dignity, it could be essential to include a course of death preparation and Perception of death in professional curriculum and practice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우수연구센터사업과 대학 연구집단의 출현 : 전북대학교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과학재단은 1977년 설립된 이래로 여러 사업을 통해 대학의 연구를 지원해왔다. 그 중 1989년에 시행한 우수연구센터사업은 전과 비교할 수 없는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규모의 대학연구지원사업이었다. 이 논문은 한국과학재단의 우수연구센터사업이 대학의 연구에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켰으며, 그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새로운 사업을 통해 대학의 연구는 성장을 경험했고 많은 연구자들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이 대학 연구의 성장에 큰 기여를 했음을 인정해왔다. 그들은 특히 대학에 새롭게 도입된 연구형태에 주목했다. 한국과학재단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을 통해 대학에 새로운 연구형태를 정착시켰다. 한국과학재단은 규모의 연구자 집단이 함께 연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고 대학 내에 우수연구센터를 설치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그곳에서 함께 기초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대학에 이공계 연구집단이 출현했다. 이 논문은 우수연구센터사업을 통해 출현한 연구집단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한국과학재단이 최초로 선정한 13개 우수연구센터 중 한 곳인 전북대학교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분석한다. 이 사례는 우수연구센터사업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점들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수연구센터에 대한 논의는 탁월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반도체물성연구센터의 사례는 우수연구센터사업이 탁월성만으로 설명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전북대에 반도체물성연구센터가 설치될 수 있었던 이유는 탁월성보다는 분야, 인력, 위치라는 현실적인 조건들이 적절히 조합되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반도체물성연구센터 사례를 통해 실제 우수연구센터의 활동과 대학에 우수한 연구집단을 형성하려는 한국과학재단의 방식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과학재단은 반도체물성연구센터에 모인 다수의 연구자 중 특정 연구집단을 집중 지원했다. 그리고 그들이 안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환경을 조성했다. 반도체물성연구센터의 중심이었던 반도체연구그룹은 한국과학재단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반도체 기초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들을 수행해 나갔고 중추적인 반도체 연구집단으로 성장해나갔다. 한국과학재단이 지역성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는 점이 여기서 드러난다. 이상을 통해 우수연구센터사업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면들이 드러났다. 우수연구센터사업은 대학의 기초연구를 진흥시키고자 하는 한국 정부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사업이었다. 따라서 우수연구센터사업에 대한 분석으로 한국에서 기초연구는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 일면을 살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