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수용미학을 통한 시 교수-학습모형 연구 : 문제점과 보완을 중심으로

        정경진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bstance of Reception theory, which means the true comprehension of books is to be found, not given and also means the true value of books can be obtained by readers when they internalize it,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the 7th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6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which forced learners to memorize the analysis and comprehension of texts rather tha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exts autonomously. However, educational methods that coincide with the purpose of Reception theory - even though a lot of attempts for this are being tested - have not yet been perfe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Reception theory encourages individual reactions from the readers, there isn't any proper ground to explain how the overall process to attain these reactions works. In other words, only one educational method to accept all the individual poetic experiences doesn't exist because they are all different. But, the evalua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eaching skill and the method in education. Does it mean that Reception theory is meaningless as educational method in educational field? The poetic educational field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New criticism. People have criticized that New criticism has segmented poems and removed the substance that poems should possess. When Reception theory was introduced for educational Curriculum, the poetic education field thought that they could finally teach poems well; however, the poetic education field could not suggest a proper method for this. The poetic education field also tried to make classes learner-centered; however, a standard for evaluation to recognize opinions, which are various and not deeply explored, couldn't be established. It is vital that Reception theory and New criticism are both implemented into our current poetic education system. The models suggested in this paper clearly show the importance of this. The first chapter states the reasons for this paper and how the flow of literary education works. The second chapter explains an analysis of the poetic-class process model which is the most often used. There is also an analysis of how the models have changed with the past 10 years. Based on this information, a new direction that poetic education should progress towards is suggested and supplementation for poetic education is considered. In the third chapter, the discussion is finalized. Also,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to make poetic education learner-centered for the future. 본 논문은 수용미학을 중심으로 현 교육 상황에서의 수용미학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7차 교육과정이 등장한 이래 꾸준히 제시되어 온 수용미학을 바탕으로 한 교수모형들을 비교해 봄으로써 그간 강조되어 왔으나 ‘교육’에 이론 그대로를 대입시키기에는 미흡할 수 밖에 없었던 수용미학적 교수모형의 문제점을 논해 보려 한다. 또한 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신비평적 요소를 시 수업의 수단으로 삼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시 교육사에서 신비평은 시 교육이 단순히 개인적 감상과 비평 수준에 머물던 교수요목기를 제외하고 1차 교과과정에서 5차 교과과정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다. 신비평은 막연하기만 했던 시의 교육적 내용체제를 명료화하고 체계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되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를 즐기고 향유하도록 하려는 본질적인 시 교육에서 크게 벗어나 ‘폐단’이라 일컬을만한 결과가 도출된 것은 오로지 신비평 이론 자체의 결함에 따른 결과로 단정 짓고 이에 그 해결책을 수용미학에서 찾고자 하는 흐름으로 이어졌다. 시의 가치는 이론들을 얼마나 정확히 분석하느냐가 아니라 ‘시’가 독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에 달렸다는 주장이 시교육계에 나오기 시작하고 ‘작품에 대한 진정한 해석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찾아내는 것으로, 한 작품은 수용자인 독자가 읽고 내면화 시킬 때 의미를 가진다’는 수용미학의 요지는 우리나라의 제 7차 교과과정의 취지와 부합되었다. 그러나 시교육의 폐단이 신비평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교육의 공학적 접근이라는 수업의 분절화가 시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더할 나위 없이 잘 정립되어 쪼개기 쉬운 신비평과 만나면서 예상치 못한 폐단을 나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신비평이 정립한 시 이론은 시 교육적 입장에서 아직도 통용 가능한 것이라 보고, 6차까지의 교육이 너무 분석적이어서 시를 시로 보지 못하는 문제로 7차에서는 수용 능력을 좀 더 중요시 했음에도 결과적으로는 변한 게 없으며 오히려, 감상의 토대가 되는 이론적 깊이는 얕아진 현실적 문제를 신비평이론의 시 이론 개념화를 통해 해결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첫째, 현 교육과정에서의 수용미학의 적절성과 부합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둘째,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수용미학적 이론을 토대로 한 시 교수-학습 모형들에 대해 분석을 통해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았거나 실제 수업에 있어 미흡한 부분을 찾아보고 그를 통해 앞으로 시교육방향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방향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교수지도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일제 학습 현장을 고려할 때, 실현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을 것이나, 점차로 수용미학적 시 감상의 효율적인 교육 방법론에 있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位相空間에서 連續函數에 의한 不變하는 性質

        정경진 湖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study some continuous invariant properties on topo- logical spaces. The concept of a continuous function is basic to much of mathematics. The Continuous function on the real line appears in many calculus books. But continuous functions in the plane and in metric space follow not for behind. So we formulate a definition of continuity that include all these as special cases, i. e. continuity on the real line and on the metric space. We prove some continuous invariant properties. We give some historical notes to put important developments into on historical framework. The properties introduced in this paper were developed as mathematicians.

      •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판구조론에 관한 오개념

        정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인지 과학에서의 개념 정의에 근거하여 개념의 원형적 표현인 그림 그리기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판구조론에 관한 오개념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고등학교 11종 과학 교과서에서 원형적 표현들을 비교 분석하여 판의 구조와 분포 및 판의 경계 유형에 따른 주변 지형에 관한 6가지 개념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구조론에 관한 개념 그리기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질문지의 문항은 판의 구조와 분포에 관한 2문항과 판의 경계 유형에 따른 주변 지형에 관한 4문항으로 총 6문항이며, 그림 완성형과 그림 구성형 방식이 섞여 있다. 개발된 질문지를 대구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4명에게 투입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문항별로 분석하여 주된 오개념 유형으로 분류하고 지구과학교육 석사 과정 2인과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판구조론에 관한 오개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판의 구조에 관한 오개념은 지각을 제외한 맨틀 최상부만을 판으로 표현한 ‘맨틀 최상부형’ 오개념과 지각만을 판으로 표현한 ‘지각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판의 분포에 관한 오개념은 지진대를 따라 군데군데 금이 간 형태로 판의 경계를 표현한 ‘금이 간 지진대형’ 오개념과 지진의 빈도에 따라 판의 경계를 표현한 ‘지진 빈도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발산형 판 경계에서 해령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발산하는 판의 형태와 연약권의 대류 방향을 과학적 개념과 다르게 표현한 ‘발산형’ 오개념과 수렴하는 두 판이 서로 충돌하면서 해령을 형성하도록 표현한 ‘충돌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대륙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수렴하는 두 판이 충돌하는 판의 형태와 지각변동을 과학적 개념과 다르게 표현한 ‘충돌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해양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한 판이 다른 판 밑으로 섭입하는 판의 형태와 지각변동을 과학적 개념과 다르게 표현한 ‘섭입형’ 오개념과 두 판이 단층을 이루도록 표현한 ‘단층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여섯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변환 단층 경계에서 변환 단층에 관한 오개념은 변환 단층 구간을 과학적 개념과 일치하게 표현했으나 해양판의 이동 방향을 다르게 표현한 ‘방향형’ 오개념과 해양판 사이의 파쇄대 전 구간을 변환 단층으로 표현한 ‘구간형’ 오개념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이 그린 판구조론에 관한 그림들은 대부분이 비슷한 오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림 그리기가 완벽한 단일 도구는 아니지만 많은 학생들이 이와 같이 비슷한 그림을 그려냈을 때 그것은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오개념의 강력한 증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그림그리기를 개념 평가 도구로서 기존의 지필 평가와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면 학생의 개념 이해도를 파악하는 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판구조론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서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건설 현장제한조건 분석에 의한 적정 흙막이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정경진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하공사는 전체 건축공사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지하공사 단계에서 적정한 흙막이 공법을 선정하여 전체 공사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기존의 흙막이 공법 선정은 토목 분야에서 통상 사용하는 흙막이 벽 선정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공법을 선정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세스는 시공성 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현장 실무자들은 현장제한조건을 객관적인 의사결정 방법을 통하여 공법을 선정하기 힘들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공성 평가 방법을 고려한 적정 흙막이 공법 선정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프로세스는 지반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엔지지어링 측면이 강조된 공법 선정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시공 시 고려해야하는 제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객관적인 의사결정 방법에 의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전문가의 능력이나 경험에 따라 적용 공법이 달라질 수 있었으며, 선정된 공법의 신뢰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었다. 기존의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에 관한 연구와 신경망이론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선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현장 제한조건에 따른 요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적정 흙막이 공법을 위한 의사결정에는 지반상태에 관한 요소와 각 공법별 특성에 대한 요소가 고려되어야 했다. 이와 같은 기존의 흙막이 공법 선정 방법의 문제점과 기존의 흙막이 공법 선정을 위한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 적정 공법 선정 프로세스가 요구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공성 검토 방법은 현장제한조건을 체트리스트 검토하는 방법을 제안 하였다. 흙막이 공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검토 영역을 설계조건(발주자 요구 사항), 지반조건, 구조조건, 시공조건, 환경조건, 부지조건으로 구분하여 검토하도록 하였다. 또한 문헌 조사와 전문가를 통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 검토와 구조적 안정성 검토 방법에 대하여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한 공법 선정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적정 공법 선정 프로세스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현장에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검증해 보았다. 현장은 대조동 00 신축공사 현장, 양재동 00 신축공사 현장, 서초동 00 주상복합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을 적용하였다. 위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와 실제로 현장들에 적용된 공법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는 지반의 보강 및 차수 공법 선정 등에 있어서는 깊이 다루지 못하였으나 향후 지속적인 보완을 거듭하여 지하 흙막이 공법 선정을 위한 지식기반으로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Generally,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work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phase give the very important influence to the total project. because the effect is about from 20 to 40 percent i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therefore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 would be evaluated by whether or not the succes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method in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phase has been executed by decision making of some technical experts dependent on their experience and intuition. As a result, there have been frequent construction method alterat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delay of duration, addition of cost, etc. As this is the case, there is a need for an appraisal tool and verification for the selection of rational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The final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valuation-method of the environment of composited basement wall system` application in construction project. And this is a study on the Proposition of the Retaining Wall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constraint. (1) A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case-based reasoning and A study on the system of selecting retaining walls using neural network were not considering many factors that it has to check in construction fields. these studies are containing only a few factors in many construction constraint. Really, we have many constraints related to select construction method, which are a area, a depth of excavation, a underground water level, a level of bedrock, a method of construction, and so on. (2) There have been frequent construction method alterat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delay of duration, addition of cost, etc. As this is the case, there is a need for an appraisal tool and verification for the selection of rational construction method. In this research, we have studied about selection appliable methods for optimal construction-method through constraint analysis in sheathing work. (3) This paper is checked by classification with retaining supporter and retaining wall through many documents. and this paper is suggested to evaluate the followings that the factors are design condition by field constraint (owner's require factor), soil condition, structure condition, construction condition, evironment condition, ground condition. And This paper is suggested by using process for the Selection of the Retaining Wall Method through estimating soil and field constraint conditions. the output that we have was compared of the applied Retaining Wall Method in field. eventually, the Retaining Wall Method selected by this paper's suggestion was contained in real Retaining Wall Method. Therefore The method that this paper suggested is considered as an appliable one in real construction fields.

      •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이 노인 당뇨병환자의 발관리 수행도와 발상태에 미치는 효과

        정경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환자에게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발관리 수행도와 발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노인 당뇨병환자의 발관리에 대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전후 시차설계이며,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의 일 종합병원에 입원한 노인 당뇨병환자 중 실험군 23명, 대조군 22명으로 총 45명 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9월 22일부터 11월 21까지였으며, 사전과 사후조사로 발관리 수행도와 발상태(발관리 점검도, 족부병변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처치로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제공하였는데 프로그램은 당뇨병성 발질환의 진행과정, 발의 합병증 및 발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기간은 1회에 40분정도로 2주에 걸쳐 1주 간격으로 총 2회 실시하였고 3주째 전화를 통해 교육안에 대해 점검하고 재차 강조하였다. 연구도구로 발관리 수행도 측정도구는 문미영(2009)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발상태 측정도구는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의 발관리 점검리스트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χ2 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로, 사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차이검정은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 가설인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관리 수행도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간에 유의한 수행도의 차이를 나타내어 지지되었다(t=-6.27, p<.001). 2. 제2 가설인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상태가 좋을 것이다’에서 제1 부가설인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관리 점검도는 낮을 것이다’와 제2 부가설인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족부병변 위험도는 낮을 것이다’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발관리 동영상프로그램은 발관리 수행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근거로 간호실무에서 노인 당뇨병환자의 발관리 교육 시 동영상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을 추천하고자 한다.

      •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 선재의 금속 이온 용출 및 내부식성 평가

        정경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금속성 교정장치는 구강 내와 같이 전해질이 있는 곳에서 부식을 일으켜 금속 성분이 유리되며 그 결과로 장치의 기계적 성질과 형태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장치의 부식에 의하여 생성된 부식산물의 독성이 주위의 조직이나 체내로 흡수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교정용 스테인리스강 선재는 일반적으로 302, 304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러한 강 종은 염소이온의 환경에서 공식 및 틈부식과 같은 국부부식 저항성이 낮아 구강 내에 사용시 부식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 교정장치의 금속 유리가 교정치료의 결과 및 전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알려지며 보다 높은 내식성을 가지는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스테인리스강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는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SR-50A)으로 금속 브라켓 및 선재를 시험 제작하여 상용 스테인리스강 선재인 Dentarum사의 .016 x .022 스테인리스강 Remanium(RW), NiTi 선재인 Tomy사의 .016 x .022 Bioforce Sentalloy (NW), TMA 선재인 Ormco사의 .017 x .025 TMA(TW)와 비교하였으며, SR- 50A 브라켓과 Tomy사의 스테인리스강 standard edgewise 브라켓을 비교하였다. 또한 브라켓과 교정용 선재가 결찰되었을 때의 금속 이온 유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SR- 50A 브라켓과 Tomy사의 스테인리스강 브라켓의 슬롯에 준비된 4 종류의 선재를 각각 삽입한 후, O- ring(Ormco)으로 결찰하고 이를 여덟 군으로 분리하여 인공 타액내에 12주간 침적시켰다. 인공 타액내에서의 침적 시간에 따른 각 실험군의 금속 유리량을 측정하였으며 표면 관찰과 기본적인 물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1. 선재의 경우, 니켈의 유리량은 SRW와 NW는 침적 기간에 따라 유의차가 없었으며, RW는 12 주에서 유의성 있게 니켈 유리량이 증가하였다. 모든 선재에서 크롬의 유리량은 침적기간에 대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브라켓의 경우, 니켈 유리량은 침적 기간에 따라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으며, SB와 TB간 니켈 및 크롬 유리량에 유의차가 없었다. 3. 브라켓-선재의 경우, 니켈 유리량은 1 군(TB-SRW)에서 8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 2 군(TB-RW)에서는 4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 12 주에서 모든 실험군 중 가장 높은 유리량을 보였다. 3 군(TB-NW)에서는 모든 기간에서 니켈의 유리량이 아주 작았고 4 주부터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 4 군(TB-T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다. 크롬의 유리량을 보면 약 0.1 ppb 이하로 매우 작았으며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4. 니켈의 유리량은 5 군(SB-SR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었으며, 6 군(SB-RW)에서는 12주에서 니켈의 유리량이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나 Tomy 브라켓에 비해 그 유리량이 훨씬 적었다. 7 군(SB-NW)과 8 군(SB-TW)에서는 유의차 있는 증가는 없았다. 크롬의 유리량은 약 0.05 ppb 이하로 매우 작았으며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5. 표면 관찰 결과 대부분의 시편은 모든 침적 기간동안 부식의 양상을 관찰하기 힘들었으나, 2 군(TB-RW)에서 8 주 이후부터 브라켓 표면에 생성된 부식 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식 산물은 Elastic O-ring와 선재가 결찰된 브라켓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SR50-A) 선재는 기존의 스테인리스강 선재보다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며, 교정학 영역에서 선재의 제작을 비롯한 교정장치의 신소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etal orthodontic appliance is known to release metal ions in an electrolyte like oral cavity and, as a result, to lead to change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shape of appliance. It is not advisable that toxicity of corrosive products derived from corrosion of appliances is absorbed in the tissue and the body. Orthodontic stainless steel wir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302, 304 stainless steel types. However this types are known that the possibility of corrosion is increased in the oral cavity, since the resistance of local corrosion is low in the chloride ion. By release of metal ions in this stainless steel or thodontic appliance is known to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of orthodontic treatment and systemic heal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materials having higher anti-corrosive property has been accomplished. Therefore, we manufactured metal bracket and wire with super stainless steel(SR-50A) which have more excellent anti-corrosive proper ty than general stainless steel and compared it with Dentarum's .016x.022 stainless steel Remanium(RW), Tomy's .016x.022 Bioforce Sentalloy(NW), Ormco's .017x.025 TMA(TW). SR- 50A bracket was compared with Tomy's stainless steel standard edgewise bracket. Also, in order to measure the release of metal ion when wires were ligated in brackets, we ligated wires of above 4 types in SR-50A and Tomy's bracket with O- r ing (Ormco) and divided into 8 groups, and then immersed them into artificial saliva for up to 12 weeks. We measured amount of metal release of each group, according to soaking periods and observed surface change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Finally, we came to conclusions as follows : 1. Wire : SRW and NW didn't show difference of Ni release as time of immersion increased, meanwhile, 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Cr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all wires. 2. Bracket : the increase of Ni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as time of immersion increased and between SB and TB. Cr release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all periods. 3. Bracket-wire : In the increase of Ni release, 1 group(TB-S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2 group(TB-RW) showed difference from 4 weeks later and highest release among all groups in 12 weeks. 3 group (TB-NW) showed little Ni release during all periods and difference from 4 weeks later, 4 group (TB-T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In Cr release, all groups were measured within 0.1 ppb and showed no difference. 4. 5 group (SB-SRW) didn't show no difference and 6 group (SB-RW) showed difference in 12 weeks, but lower in compared with tomy bracket. 7 group(SB-NW) and 8 group (SB-TW)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Cr release, all groups were measured within 0.05 ppb and showed no difference. 5. As a result of observation of surface change, almost groups couldn't be observed corrosion products during immersion periods, but 2 group (TB-RW) could be observed corrosion product on the surface of bracket between O-ring and wire from 8 weeks later. According to this results, super stainless steel(SR-50A) wire has excellent anti-corrosion in compared with stainless steel wire, and it is possible to use as new orthodontic material for bracket and wire.

      • J.S. Bach Invention 연주를 위한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정경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vention has the enough educational value in the education of multisound music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learning a keyboard instrument. The reason is that the Invention is the excellent work for learning counterpoint easily as the textbook of multisound music and which can train students to perform independent songs and sound of the various vocals freely. The following should be understood for teaching Invention. Firstly, it is a part of fugue and must recognize the theme. The theme is expressed reversely and the whole music is related to the theme. Secondly, a counterpoint music should always grasp the horizontal stream. So it is most important to practice with only one hand and listen to music. In other words, it can bea great work with one hand. thirdly, since the theme is made with its change and evolution, a phrase should be examined throughly. Fourthly, since the Invention is mixed with horizontal stream, its architectural rationality is broken if its tempo is changed. In addition, giving an extreme nuance should be avoided. It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harpsichord. Fifthly, there is no absolute principle in the performance technique of ornament grace and trill. But it should be based on explication suggested uniquely by Bach and playing fast should be restrained. Invention has not a worthless sound. All sounds are filled with Bach's music and since it uses extremely simple sound as its material, it should be noted that a sound should not be a careless sound.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the parts that music teachers must know to play, understand and educate Bach's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performance based on understanding of multisound music and enhancing Bach's music is archived through the education of Bach's Invention.

      • 하천변 대형관로 준설방안 및Sonar 탐사 신뢰성에 관한 연구

        정경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그동안 관리의 사각지대로 방치되었던 하천변 대형 간선관로에 대하여 첨단장비인 Sonar 등 탐사장비를 활용하여 분석 정밀조사를 통하여 관로 내부상태에 대하여 퇴적․파손 등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고 세계 최초로 분리배출식 준설 이라는 신기술을 도입하여 통수단면 확보 및 체계적인 시설물 관리로 하천 월류사고 예방 및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예상 Through detailed analysis using exploration equipment such as Sonar, a state-of-the-art equipment, for large arterial pipes along the river, which have been neglected as blind spots for management, it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venting river overflow and improving water quality. The issue is a common issue for public sewage management offices across the country, and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Korea's sewage industrial technology to be upgraded further by informing the technology as a case of improvement in water and sewage work in 2022.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nar exploration can investigate the defect status of all kinds pipes and semi-finished pipes without prior preparation such as turning water, and most of the existing investigations are deteriorating without identifying the status of CCTV autonomous vehicle investigation equipment. 2) The assessment is based on 18 structural items as provided in the Sewage Pipeline and Manhole Survey and Status Rating Standard Manual (2017.6), 7 structural items (surface damage, damaged pipe, deformation, collapse, permanent obstacles, connection pipe joint, damage to joints) out of 6 operational items, and one operational item (ground). Defects were found in 39 places: three pipes (large 0, medium 3, small 0), 22 joints (large 7, medium 11, small 4), and 14 tree root infiltration (large 1, medium 7, small 6). Such defects hamper facility management. 3) In the case of separately discharged dredging, the applicable pipe diameter ranges from 700 to 2,000 mm, and the maximum length is about 300 m. The maximum size of the dredging is 70mm, and the number of people put in once is about 5-10 people. The largest core equipment is an inlet 420×400×750, a main suction/pressing device, an air jet, and an exhaust hose. There are three input vehicles, and one cargo crane including a winch and two 2.5 ton trucks will be a combination of equipment for separate discharge dredging. 4) Therefore, in case of the optimal maintenance plan for large maintenance pipes along the river is periodically checked for abnormalities through Sonar exploration, a 10-year basic dredging plan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widely

      • 신문의 유아교육 관련기사 분석 : 2001. 1.~ 2016. 12., C 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정경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주요 일간신문인 C일보에 나타난 유아교육 관련기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유아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와 경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신문에 나타난 유아교육 관련 기사의 전체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신문에 나타난 유아교육 관련 기사의 시대적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문헌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2001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주요 일간신문인 C일보에 게재 되었던 총 645건의 유아교육 관련기사였다. 기사자료는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사내용의 분류기준은 박선애(2001)가 사용했던 분류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기사내용은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 유아교육과정의 운영, 유아교사교육, 유아교육과정의 영역, 자녀양육 및 부모교육, 매스미디어 및 교재 교구, 특수아 교육, 유아복지, 조기 교육 및 영재아 교육, 유아교육에 관한 행사, 해외의 유아교육, 기타 등 모두 13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과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문에 나타난 유아교육 관련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관련기사 자료의 전체경향을 살펴본 결과, 2001년 1월 ~ 2016년 12월까지의 총 기사 수는 645건이며, 연평균 기사 수는 40.34이었다. 연도별 기사 수로 볼 때 2011년에 69건으로 가장 많은 기사 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2008년도에 63건으로 기사 수가 많았다. 전체기사의 연도별  내용별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사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복지에 대한 기사가 두 번째로 많았고 매스미디어 및 교재  교구에 대한 기사가 세 번째로 많은 기사 수였다. 그러나 해외의 유아교육, 특수아 교육, 유아교사 교육에 대한 내용은 적은 기사 수를 보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가장 많았던 반면 해외의 유아교육, 특수아 교육, 유아교사 교육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소홀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기사 수는 증감현상을 보였는데, 2001년대 초부터 점차적으로 기사 수가 증가 하다가 2011년에 가장 많은 기사 수를 보이다가 점차적으로 다시 감소를 하였으며, 다시 2016년대에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사회적 관심을 많이 보였던 유아교육 분야에 대해서는 증감 현상은 있었으나 유지 및 지속되는 경향도 보였으며, 반면에 적은 관심을 보였던 분야에 대해서도 그 현상이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유아교육 정책과 주요 쟁점에 따라 유아교육법 제정기, 저 출산 대응 및 공공성 기반형성기, 누리과정 시행 및 공교육 확립기로 유아교육에 대한 정책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기사 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리해 볼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 관련기사의 시대적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01년~2010년대 유아교육 관련기사의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총 기사 수는 387건이고, 연평균 기사 수는 38.70건이었다. 이중 유아복지에 대한 기사가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는 매스미디어 및 교재  교구에 대한 기사였다. 그리고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사가 세 번째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2001년대는 유아복지에 대해서 사회적 관심이 높게 보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아교육법 제정과 영유아보육법 개정이라는 법적 사안들이 이루어졌고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취업모의 증가와 가정 구조의 변화 등 사회 구조적인 변화에 따라 영유아에 대한 보육 법규 및 정책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계속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011년대 이후 유아교육 관련기사의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총 기사 수는 258건이고, 연평균 기사 수는 43.00건이었다. 이중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사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복지에 대한 기사가 두 번째로 많이 보였다. 세 번째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운영관리에 대한 기사였다. 따라서 2011년대 이후의 유아교육에서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사회적 관심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저 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치적 움직임을 통해 영유아에 대한 교육투자가 시작되었고, 유아 무상교육을 확대한데서 찾을 수 있다. 2011년에 만 5세 공통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점차 만 3~4세까지 확대하였다. 2013년부터 만 3~5세 아동에게 유치원비 또는 보육비를 확대 지원하였고 만 5세에 지원되던 보육예산을 만 4세 이하 영유아에게도 확대 지원하는 형태의 보육 서비스 개선, 보육교사 처우개선과 어린이집 현대화 등에 대한 지원을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와 유아복지에 대한 기사 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기사 수로 2001년 ~ 2010년대와 2011년대 이후의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관심 분야를 비교 분석 해 본 결과,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 유아복지, 매스미디어 및 교재  교구에 대하여 계속적인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특수아 교육과 유아교사 교육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낮은 사회적 관심을 나타냈다. 2001년 ~ 2010년대와 2011년대 이후의 사회적 관심도가 많은 차이로 나타났던 분야로는, 사회적 관심이 많이 증가한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와 유아복지 분야이다. 반면에, 사회적 관심이 많이 감소한 분야는 유아교육과정 영역과 특수아 교육 분야이다. 유아교육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기사 수가 증가한 것은 유아교육에 대한 누리과정 확대 및 교육비보육비 지원 확대와 같은 국가의 다양한 정책들이 펼쳐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유아복지에 대한 기사 수가 증가한 이유는 취업여성을 위한 복지차원의 영유아 정책과 저소득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증가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사건들이 일어남에 따라 아동복지 및 아동안전 조치에 대한 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매스미디어 및 교재  교구에 대한 기사 수가 증가한 이유는 스마트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유아교육용 매체들이 개발되어 가정에 보급된 점과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 보급되고 확산되면서 관심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interest and tendency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time by analy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C Daily News, a major daily newspap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6. In this regard, subjects for inquiry were set as follows. 1. How is the overal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in the newspaper? 2. How is the periodic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in the newspaper? This study is a document research. The subject of study was total 645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C Daily News, a major daily newspaper, from January 1st 2001 to December 31st 2016. Articl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he classification standard that Sun-Ae Park(2001) use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study.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13 categor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operations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early childhood curriculum managemen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ange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child care and parent education, mass mediateaching materials and aidsspecial child education, child welfare, early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gifted, ev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ther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as frequency analysis, average and percentag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in the news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tendency of artic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645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6, and the average annual number of articles was 40.34. In terms of the number of articles by year, the number of articles was the largest in 2011 by 69 articles, followed by 63 articles in 2008. In terms of the tendency of the articles by year and content, artic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were the most, followed by articles about child welfare being the second most and articles about mass mediateaching materials and aids being the third mos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few articles about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 chil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refore, in overall, it can be inferred that social interest was neglected in overs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 chil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hile social interest was the mo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Increase and decrease phenomenon were generally shown in the number of articles. The number of articles gradually increased since early 2001, reaching its peak in 2011.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d again afterwards, and then increased again in 2016. Although there were increase and decrease phenomenon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hich showed much social interest, there was a tendency to maintain and continue while there was the tendency to continue even in the fields which brought low atten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general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may be due to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 the period of ena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the period of responding to low fertility and forming public infrastructure and the period of implementing the Nuri process and establishing public education – depend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and major issues. Secondly, the results of periodical tendency of the articl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as follows. To examine first about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in 2001~2010,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387, and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articles was 38.70. Articles about child welfare were found to be the most, followed by articles about mass media and teaching materials  aids as the second most. Artic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took the third place.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social interest in child welfare was high in 2001. The reason is considered to be because social interest in Infant Care Act and early childhood policies and education contnued to grow as legal issues such as enac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vision of Infant Care Act were realized and social structure changed such as the increase of working moms due to the entry of women in society and change of a family structure. To examine about the tend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ticles since 2011,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258 and the annual average number of articles was 43.00. Artic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were found to be the most, followed by articles about child welfare as the second best. Articles about operations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the third most.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social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was the high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ince 2011. The reason can be found in expanding f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inve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gan through political movement to solve the problem of low birthrate. The Nuri process, a common curriculum for 5-year-olds, was introduced in 2011, and gradually expanded to 3~4-year-olds. Support for kindergarten fees or childcare fees for a 3~5-year-old child was expanded since 2013. Childcare budget previously supported to a 5-year-old was used to expand its support to infants under 4 by improving childcare services, giving better treatment to childcare teachers, modernizing a daycare center and so 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and child welfare increased due to such reas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terest rate and interested fields regar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2001 to 2010 and since 2011, social interest was shown to be constantly high in early childhood policy and system, child welfare, and mass media and teaching materials  aids. On the other hand, social interest was shown to be continuously low in special chil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With highly increased social interes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and child welfare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social interest between 2001 ~ 2010 and years since 2011. On the other hand, social interest was largely decrease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special child education.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system increase was increased because of various national policies such as expansion of Nuri proc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childcare fees support. The reas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child welfare i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re were various systems for child welfare and safety measures as infant policy for employed women and various policies for a low-income group increased and child abuse affairs occurred. And the reason of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mass media and teaching materials  aids is because various medi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home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and also because the interest increased as education is spread through the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