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3년~2018년간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학위논문의 '생명윤리법' 준수 현황

        정정헌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생명과학기술에서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질병치료 및 예방 등에 필요한 생명과학기술을 개발·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자2004년「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이라 한다)」이 제정되었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법제처 제정·개정이유 2004년 법이 제정되었을 때는 생명윤리와 안전의 확보가 필요한 과학의 범위를 ‘생명과학기술’로 규정하였다. 생명과학기술을 ‘인간의 배아(胚芽)·세포·유전자 등을 대상으로 생명현상을 규명·활용하는 과학과 기술’로 정의하고, 해당 기술에서 생명윤리와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법률 제7150호, 2004.1.29 제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05.1.1.] 제1조 및 제2조; 백수진, 김현철, 「기관생명윤리위원회를 통한 자율 규제의 현황과 전망」, 『생명, 윤리와 정책』 제1권 제2호, 19-33쪽, (재)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7년 10월, 20쪽. 그러나 과학의 발전에서 확보되어야 할 생명윤리와 안전의 가치는 ‘배아나 유전자’ 외에도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특별한 윤리적 함의와 안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모든 분야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2012년 전면개정 된 ‘생명윤리법’은 생명윤리정책의 적용 범위를 ‘인간 및 인체유래물’에 관한 연구로 확대하였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조~6조; 백수진, 김현철, 앞의 논문, 20쪽. 이에 따라 2013년 ‘생명윤리법’ 부터는 인간대상연구를 하는 기관의 경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이하 ‘IRB’라 한다)]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고, 인간대상연구를 하려는 자는 연구 시작 전에 연구계획서를 작성하여 IRB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인간대상연구를 하기 전에 연구대상자로부터 서면동의(전자문서 포함)를 받아야 하며, 연구대상자에게 미칠 신체적·정신적 영향을 평가하여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인간대상연구와 관련한 사항을 기록·보관하여야 한다. [법률 제11250호, 2012.2.1. 전부개정]「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시행 2013.2.2.] 제10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및 제19조 이상과 같은 ‘생명윤리법’에 근거하여 전북대학교는 2006년 4월「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규정」을 제정하였고, 2008년에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2014. 6. 1부터 2019년 10월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IRB 행정간사로 근무하면서 생명윤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당시에는 생소하였던 생명윤리 업무를 맡아 평가·인증에 맞게 규정 및 지침의 제·개정을 총괄했으며,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지원과 교내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명윤리 교육을 지원해 왔다. 그리고 전북대학교 IRB는 보건복지부 위탁 수행기관인 (재)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대상으로 선정되어 평가를 받았다. 2018년 3월부터 시작된 평가·인증은 1차 서류평가, 2차 현장평가로 진행됐으며, 2019년 5월 국내 거점 국립대 중 최초로 평가·인증에 통과하였다. 현재 전북대학교는 간호대학, 공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사범대학, 의과대학,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치과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포함한 모든 연구 중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IRB 심의를 신청하고 있다. 특히 다른 분야보다 일찍이 IRB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었던 간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심리학과, 사회복지학과)의 심의 신청 건수가 가장 많다. 최근에는 사범대학(교육학과), 생활과학대학(아동학과 및 식품영양학과)에서도 IRB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꾸준히 심의 신청을 하고 있는 추세다. 의과대학의 경우 임상실험 등 IRB와 밀접한 부분이 많지만 전북대학병원에 별도 설치된 IRB에서 심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타 기관(단과 대학 등)에 비해 신청 건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전체적인 생명윤리 심의 신청 건수도 2017년 100건에 비하여 2018년은 152건으로 더 늘었다. 전북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e-irb.com) 통계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심의 신청 건수는 해마다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생명윤리법’에 따르면 인간대상연구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IRB 심의를 받아 승인을 받도록 규정되어있다. ‘생명윤리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 대책, 연구에 대한 충분한 설명 및 자발적인 연구 참여 등이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요즘은 각 분야의 학회에서 생명윤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IRB 승인을 논문 게재의 필수 조건으로 두는 경우도 많다. 이미 한국연구재단에서도 연구과제 선정 후 협약 시 인간대상연구는 IRB 심의와 승인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기술 및 사회과학과 관련된 일부 전공을 제외하고는 아직도 많은 분야의 연구자들이 ‘생명윤리법’이나 IRB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전북대학교에 IRB가 설치된 이래 단 한 건의 심의도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타 대학도 비슷할 것 이라고 생각된다. 교육대학원의 경우 교사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데, 이는 인간대상 연구로서 IRB심의 대상이다. 특히 학생은 미성년자이고 교사로부터 통제를 받는 집단이기 때문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 ‘취약한 환경의 연구대상자’(Vulnerable Subjects)란 임상시험 참여와 관련한 이익에 대한 기대 또는 참여를 거부하는 경우 조직 위계상 상극자로부터 받게 될 불이익에 대한 우려가 자발적인 참여 결정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의과대학·한의과대학·약학대학·치과대학·간호대학의 학생, 의료기관·연구소의 근무자, 제약회사의 직원, 군인 등을 말한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 집단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 실업자, 빈곤자,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 소수 인종, 부랑인, 노숙자, 난민, 미성년자 및 자유의사에 따른 동의를 할 수 없는 대상자를 말한다,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시행 2019.6.12.][총리령 제1544호, 2019.6.12., 일부개정] 별표 4 제2호더목 로 분류된다. 이러한 경우 법정대리인(부모) 동의 절차, 안전 대책, 강압적이지 않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 환경 마련, 개인정보 보호 대책 등 연구대상자 보호차원에서 더욱 더 면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본 보고서에서 필자는 ‘생명윤리법’에 의거 인간대상연구에 대해서도 생명윤리 및 안전기준이 적용된 2013년부터 2018년 5월까지 최근 6년간 전국의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의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IRB 심의 대상 여부, IRB 심의 및 승인 여부 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의 생명윤리 인식의 정도와 연구 과정에서 생명윤리적 측면이 얼마나 고려되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앞으로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연구자들이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생명윤리적인 측면에서 생각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생명윤리법’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서 Ⅲ장에서는 연구방법, Ⅳ장에서는 분석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1984년-2018년 2월)

        김은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음악교육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 현상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음악교육학 이론도 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교육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당연히 해야 할 우리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처음 발행된 1984년도부터 2018년도 2월까지 발행된 논문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언함으로써 음악교육연구의 질적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연도별, 연구대상별, 음악교육학 연구영역별, 음악과 교육과정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4년도부터 2018년도 2월까지 연구된 논문의 수(편)는 318편으로, 이는 1984년도 3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되어 온 결과이다. 둘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1.7%(69편)로 가장 높았다. 이어 특정인물(19.8%), 기타(15.1%), 초등학생(13.2%), 고등학생(8.8%), 청소년(4.1%), 유아(3.8%), 전반적인 집단(3.5%), 특수아(1.6%), 성인(1.3%), 그리고 대학생과(0.6%) 교사 및 강사(0.6%)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육학 연구영역별 분석결과 음악과 교수법영역 연구가 31.1%(99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음악문헌 및 악곡분석(24.8%), 음악교육심리(10.1%),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9.1%), 기타연구(6.9%), 음악교육공학(5.7%), 학교급별 음악교육(3.8%), 음악교육 사회학(0.6%)과 음악강사 및 교사(0.6%), 그리고 단 1편씩만 연구된 음악교육평가(0.3%), 음악교육역사(0.3%), 음악교육철학(0.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 분석결과 기타영역이 40.3%(128편)로 가장 높았다. 이는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과는 관계가 없는 연구로 악곡분석 관련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어 전체영역(17.0%), 기악영역(15.7%), 가창 및 통합영역(4.1%), 창작영역(3.8%), 생활화 영역(3.1%), 이해영역(2.2%), 표현영역(1.3%) 순으로 연구되었다. 다섯째, 연구방법별 분석결과 문헌연구방법이 49.7%(158편)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양적연구(23.6%), 질적연구(22.3%), 기타 제언한 연구(4.4%)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318편의 논문 연구 분석 결과 비슷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음악교육과 관계없는 연구 등이 반복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더욱 질 높은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음악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슷한 연구주제 선택을 지양하고 개성있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가 저조했던 영역들의 연구가 증가하여 균형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그 시대의 교육과정을 반영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분야의 연구를 토대로 향후 연구동향 분석연구가 보다 확증된 연구대상 및 면밀한 분석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학위논문의 질 높은 후속연구가 이루어지는데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더 나아가서는 활발하고 다양한 음악교육 연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적용되어 더욱 질 높은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 교직과정을 이수한 교육대학원생의 내러티브 탐색 : 지구과학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연유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심리적, 환경적, 재정적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이들이 가진 교직에 대한 희망 사이의 갈등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육대학원생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해 내러티브 탐구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① 연구 참여자들의 학부 교육과정과 지구과학 임용시험의 내용 차이 ② 학부 교육과정과 교육대학원의 커리큘럼의 연계성 부족 ③ 부족한 지구과학 관련 내용지식을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 채워주지 못함 ④ 학과 구성원들과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소외감 ⑤ 일반대학원생과 비교해 차별적인 장학제도와 학사제도와 같은 이유로 인해 어려움과 불안을 겪고 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가진 희망 요소에 의해 현 상황을 감내하고 있지만 어려움으로부터 파생된 불안과 교직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희망 사이에서 심리적 갈등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교육대학원생의 수요를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및 분석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불안을 극복하지 못하는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향후 현 시점의 교육대학원이 현직 교사의 재양성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구성원 모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더 나은 교육대학원의 환경이 마련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xiety derived from budgetary, mental problems and surroundings that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hree graduate students majoring Earth Science examined conflict situations that the students have by using a narrative inquiry technique. The main finding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①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curriculum and materials suggested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ion test of Earth Science ② Lack of relatedness betwee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the on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③ Relatively poor contents i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not enough for the students to achieve appropriate level of Earth science-related major competency ④ The graduate students’ alienation resulted from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ir major ⑤ Unsatisfactory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pecially in scholarship compared to the general graduate schools. Second, with their hope, the study participants bear the inferior situation mentioned above. However, they are in the state of mental conflict of whether they should be a secondary school teacher, or they should try looking into redirecting their career path and that resulted from inferior circumstanc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nagement, on the basis of collecting and scrutinizing demands of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fulfill their needs. Second,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overcoming their anxieties by themselves. This study expec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ot only put emphasis on training incumbent teachers but suggests ways that can also satisfy the students, making better surroundings for all members.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Recentlytheimportanceofeducationautonomyincreasesmoreand more.Futhermoremanypeoplebelievethatthedevelopmentoflocal district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localeducation as well.Of course,economy isthemostimportantfactortopreventpopulation exodus in the district.Buteducation as wellas economy is very important factor. So many efforts to improve th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arebeingdone. Thepurposeofthisstudyistofindthewaytoactivate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 To attain this purpose,first,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presentsituation of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governments.Second,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recognition levelofofficials abouteducation cooperation job in two institutes.Third,this study suggests the morebetterway to improveeducation cooperation on thebasisof theresultexaminedbeforehand. Present analysis of education cooperation includes general investigation ofthe way education cooperation is practically being done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s now.This study divides localgovernmentinto wide area (Do)and smallarea (Si; Kun),investigating into present cooperation situation,analyzing the outcome and the controversial point in education cooperation,and finally tried to suggest the desirablemodelineducationcooperation. To analyzetheofficials'recogni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680 officials in localgovernments andlocal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 In light of research process summarize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areasfollows. First,mutualunderstanding aboutauthority and duty to improve education cooper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andlocalgovernmentsmustbeenlarged,establishingright purposeofeducationsupport. Second,reform and fractionation abouteducation cooperation must bedonetocarryouteffectivecooperationjob. Third,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department of education cooperationmustbeexpandedmorethannow. Fourth, the more effective and concrete method to activate educationadministrationcounciltopracticallydiscusslocaleducation problemsmustbedevised. Fifth,theenactmentand reform ofeducation supportordinancefor local administration institutes to aid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eslegallymustbemadeinadministrationinstitute. Sixth,theofficialstohelpeducationcooperationmustbedispatched each otherto do more effective education cooperation to different administrationinstitute. Seventh,the system to increase education investmentsteadily in administrationinstitutemustbeestablished. Eighth,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localadministration councils andlocalcivilsocietiesmustbesetup. Ninth,the concrete plan to activate education cooperation in local educationadministrationinstitutesmustbemade. Finally,the program to strengthen the relation oftwo institutes mustbe performed,forexample,regularmeeting fordealing with currenteducation problems,co-workshop to discuss a variety of education problemsand to form new partnership in two institutes, cafe to communicate good opinions abouteducation cooperation in cyberspaceetc. 이 연구는 본격적인 교육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시·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협력 업무에 대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 구성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시·도교육청과 시·도청 집행기관 상호간 ‘운영측면’에서의 교육협력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 현황 파악은 교육협력 방식에 대한 개황조사 및 광역차원과 시·군차원으로 구분하여 상호간 협력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그동안의 성과와 문제점을 정리해 보았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장학숙 운영 등 교육사업을 직접 시행하는 사례나 교육청에 대한 법적전출금 사용협의 등 상호간 보다 진전된 논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한편, 교육협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전북지역 교육청(도 및 지역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도 및 시·군)에 근무하는 공무원 680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내용은 ㉠지방교육 경쟁력에 대한 인식과 ㉡상호간 교육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과 ㉢교육협력에 대한 요구사항 등이다. 조사결과, 공무원들은 ㉠거주지역 지방교육에 대한 소외감이 상당히 크며, 지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기반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래서 구성원들은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 교육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며, 아직 교육협력관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특히, 교육예산지원과 장학·행정사무분야의 정보교환 및 협력이 더욱 필요함을 지적하였고, 시·군청 교육지원부서 근무자들의 경우 시군의회의 예산승인 및 정보취득상의 어려움, 지역교육청의 협조부족 등이 교육지원사업 추진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 사회·경제적 기반을 연계·강화하여야 하는데, 그 방안으로는 실질적 협의강화를 통해서 지방자치단체 교육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고, 지역의 기업·학계·사회단체, 지방정부(교육청, 일반자치단체)간의 상시협력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일반자치단체 공무원들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서 지역주민이 원하는 사업이라면 교육청의 참여·협조가 없어도 일반자치단체가 독자적인 교육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입장도 10% 이상을 차지했다. 두 단체간 서로의 입장과 요구사항 등을 정기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교육행정협의회 등 의사소통 채널가동에 대해서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구성원 상호간 협력마인드 향상 등을 위해 합동워크숍, 교육전문가·시민사회단체·공무원패널 합동토론회, 숙박형 합동워크숍 개최, 관련공무원 사기진작책 강구 등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교육협력 활성화계획을 수립·시행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조례 제정에 대해서는 전체의 3/4이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으나, 대통령령인 교육경비보조규정에서 인건비미해결단체에 대해 교육경비 지원을 제한하고 있는 점이 조례제정의 제약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협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 일정한 권한과 의무에 대한 공유를 확대하고 교육지원에 대한 목적을 올바로 정립해야 한다. 둘째, 교육·학예관련 사무에 대한 개편 및 세분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에 교육협력 전담부서를 확대설치 해야 한다. 넷째, 법제화된 지방교육행정협의회를 실제적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자치단체 교육지원조례의 제·개정 확산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관 상호간 교육협력(지원)관의 교차파견이 필요하다. 일곱째, 일반자치단체 예산의 교육투자 안정적 확대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여덟째, 기초지방의회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아홉째, 지역의 시민사회단체와 연계하는 등 사회적 기반구축이 필요하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협력활성화계획 시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관계공무원간 연계 강화방안이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전북지역 한국무용전공 대학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양미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Jeonbuk area college Korea dance major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Yang, Mi-Na Major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rof. Kim, Dal-woo(Advisor) Known as the home of arts, Jeonbuk has rich and extensive resources for the traditional culture. Wh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dance education in Jeonbuk is figured out, it demonstrates that there are extensive traditional dance resources with Gwonbeon of large cities of Jeonbuk like Jeonju, Gunsan and Jeongeup. One of the typical examples is the dance tradition of Jeonju Gwonbeon that succeeds the legacy of traditional arts of Gyobangcheon in Joseon and Jeonju Daesaseupnori. The artistic legacy of Jeong Ja Seon, who was famous as the Gwonbeon dance instructor of Jeonju, Iri and Jeongeup at the later period of Joseon, continued through his son Jeong Hyeong In up to Choi Seon, who is the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like No. 15 Honam Salpuri and No. 17 Hanryangmu Dance in the Jeonbuk province. This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such private danc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ppearance and initiation of universities. Overall, different to the title, the common practice in year 1 and year 2 was incorporated to education process by part while taking the classes by respective major. And, practical subjects take more percentages than theoretical classes and teaching sessions.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Wonkwang University founded the department of dance at the school of art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for the first in Jeonbuk in 1979. 10%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could achieve the teacher’s certificate. However, since the abolition of the department of dance in 2012, no new students have been recruited. The department of dance at the school of art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was established by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ctober 1987 as the only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department of dance. As the theory subjects, sessions and courses take majority, it focuses on theory and dance education. Department of Practical Dancing Instruction at College of Sports Science in Woosuk University was founded in October 1989 by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activation of village dance of Jeonbuk, and which provides performance and study with theory and practical courses and also sports subjects. Ch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no department of dance and dance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each dance subjects as major optional courses. Jeonju is a city of loving arts with tradition. Without root and depth of tradition, it is just like a tree without root. Therefore, it needs to make every effort to preserve and develop the spirit and legacy of local cultural arts. Globalization must start from establishing an identity. In this sense, th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oes not teach local dances but Gyeonggi regional dance shows the lack of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of local arts. Woosuk University has also become not much active compared with the past in the performance and study of local village dances. The main reason for the abolition of the department of dance at Wonkwang University was the poor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erefore, it needs to provide in-depth and specified subjects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on and to produce specialized personnel by specifying the subjects.

      • 플립드 러닝 기반 전통회화 감상지도 방안 연구 - 중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최정윤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 및 전통회화 감상교육의 문제점들을 분석해보고 플립드 러닝의 적용으로 어떠한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고찰해보았다. 그리고 실제 교육현장의 적용 타당성과 앞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해보고자 하였다. 플립드 러닝을 통한 전통회화 감상교육의 기대효과는 첫째, 학습자의 교육기회가 확대된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선행학습에 대한 충분한 사고의 시간으로 확산적 사고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학생중심의 다양한 심화활동으로 개별화·맞춤화된 학습과 창의적이고 고등정신기능의 학습이 가능하다. 즉, 전통회화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자아개념 및 공동체의식을 길러주어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과 정체성,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워준다. 셋째,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해질 수 있다. 넷째, 학생간의 실력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립드 러닝 기반 전통회화 감상교육이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미술교사로서의 사명감과 자부심을 바로잡아 적극적인 자세로 보다 더 나은 교육환경, 즉 플립드 러닝의 적용가능성을 증명해야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플립드 러닝의 효과를 입증하려는 분석단계에 있고, 교사들은 플립드 러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과특성에 따라 적절히 적용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병행시킨다면 학습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교육현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보았다. 전통회화는 오늘날 학생들이 놓치고 있는 교육의 본질과 근본적 가치를 인식시켜 줄 수 있다. 이렇듯 전통회화 감상교육도 플립드 러닝의 다양한 사례들처럼 학생들의 이해를 요하고 있고, 이러한 수업방식의 적용은 친숙하게 다가설 수 있는 다양한 전통회화 감상활동을 제공하므로 교육적으로도 매우 효과적이고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선행학습에 대한 충분한 사고의 시간으로 감상교육의 본질인 비판활동과 주관적 판단의 반성을 실현시킬 수 있고, 이러한 교육환경을 조성해주므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플립드 러닝 기반 전통회화 감상교육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앞으로의 과제를 제언하면, 첫째, 플립드 러닝에 대한 교사들의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플립드 러닝의 이상적 교실환경 구축에 있다. 셋째, 한국형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에 있다. 단순한 교육방법 변화에 따른 일반적 검증이 아닌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흐름과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수업시간 축소, 창의인재 육성 등의 국정과제를 연계시켜 앞으로의 미래교육을 선도할 수 있도록 단계적이고 정확하게 교육적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 목적사업비가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미치는 영향

        전소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충분한 교육재정의 확보와 교육재정의 공평한 배분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전북지역 교육계에는 목적사업비가 높다는 여론이 있다. 전년도 대비 목적사업비의 비율이 커지고 있는데 목적사업비가 과연 각 학교와 학생들에게 공평하게 배분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학교현장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단위학교 책임경영, 수업활동과 관련 없는 과중한 업무 부담 등을 이유로 목적사업비 비율은 낮추고 학교운영비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목적사업비를 포함/제외한 2012년 전북지역 공립초등학교 학생 1인당 교육비 측정을 통하여 목적사업비가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적사업비가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 전북지역 411개 공립초등학교의 결산현황에서 세입 결산액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된 학교별 세입 결산액을 학교별 학생 수로 나누어 학생 1인당 교육비와 학생 1인당 목적사업비 제외 교육비를 측정하여 Berne & Stiefel(1984)이 제시한 수평적 공평성 측정도구들-편차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 역맥룬지수(Inverse McLoone’s Index)를 활용하여 학교 간 수평적 공평성을 살펴보았다. 이 지수들은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더 공평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적사업비가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편차계수, 역맥룬지수는 목적사업비 투입이 수평적 공평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니계수는 소폭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적사업비의 투입이 학교 재정배분의 수평적 공평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였다. 지수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인 이유는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시 지역은 목적사업비가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부정적 영향을 보였으며, 군 지역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교 규모별로 살펴보면 소규모 학교의 목적사업비는 수평적 공평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중규모 이상의 학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지역의 학교 규모별 수평적 공평성을 분석한 결과는 학교 소재지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학교 규모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규모 학교에서는 목적사업비가 수평적 공평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대규모 학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목적사업비는 전체학교와 시 지역, 중규모, 대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공평성 분석을 했을 때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군 지역 학교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소규모 학교에서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정하긴 어렵겠지만 이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로부터 목적사업비는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목적사업비가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목적사업비에 대하여 사업별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 목적사업비는 학교 재정배분의 공평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적사업비는 모든 학교에 균등하게 배분되지 못하고 공모사업 및 특정사업과 관련된 학교에 더 많이 배분되어 학교 간, 지역 간 차이를 유발한다. 수시로 교부되는 목적사업비는 학교 행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집행 잔액을 증가시키므로 목적사업비에 대한 후속 연구와 함께 불필요한 목적사업비는 줄이고 학교기본운영비의 비율을 높여가야 할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2012년 한 해의 목적사업비를 대상으로 지역별, 학교 규모별로 횡단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재정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목적사업비가 공평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년간에 걸친 종단연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다년간에 걸친 재정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연구에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이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내 단위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추후 전국의 단위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시/군 지역으로 구분하여 목적사업비의 수평적 공평성을 비교한 반면에 전국의 단위학교를 대상으로 연구하면 도 단위의 수평적 공평성 비교도 가능하다. 덧붙여 이 연구와 같이 단위학교 수준의 자료를 활용하 시․도 교육청이나 지역교육청을 분석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단위학교 수준의 재정자료를 확보하여 연구에 활용하여야 한다.

      • 영상 매체를 활용한 고등학교 음악 감상 교육방법 연구 :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중심으로-

        조은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는 디지털 매체에 의해 영상으로 매개되는 사회로서 영상세대라 일컫는 청소년들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매체 속의 영상물에 관심도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 흐름에 맞게 전통적인 교수 방법에서 벗어난 새롭고 흥미로운 교수법에 관한 많은 연구 중 생활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음악 수업을 구성하기 위하여 영상 매체를 활용한 음악 감상 수업 지도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음악 감상의 본질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클래식 음악의 영향을 알아보고,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수업의 중점사항을 고려하여 영상매체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화를 감상 교육에 활용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고 교훈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영화《죽은 시인의 사회》를 선택하였다. 영화의 제작 배경과 줄거리, 그리고 영화에 삽입된 클래식 음악을 감상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차시별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감상 수업을 시도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월등히 높았고, 또한 학생들도 음악 수업에 매우 흥미 있어 하였으며 이 수업을 통해 클래식 음악을 더 배우고자 하였다. 이처럼 학습 효과를 높이고 더 나아가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촉구하는 교수·학습 방법이 활성화되고 장려 되어야 한다. The adolescents who are called as the generation of images positively accept the popular culture that they have a great interest in videos since today the society is intervened by images from digital media. This study is about teaching method for music appreciation class applying film media in order to comprise music clas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life. A new and appealing teaching method that is away from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with the trends of the era would be introduced through this study. A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earches about the essence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influence of classical music on adolescent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film media has been also observed after reflecting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considering the priority matters of class. The movie, "Dead Poets Society" containing instructive messages and agreeable to adolescent students was selected for the class in order to study about the effect when the film is applied in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First,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the story of the movie was looked into for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film. And then, two classical music inserted in the movie have been introduced, which are the overture from G. F. Handel's Water Music suite No. 2 in D major, HWV 349 and the fourth movement, "Ode to Joy" from L. v. Beethoven Symphony No. 9 in d minor ‘Choral’, Op.125. These two musical examples were applied for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and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two hours of class were presented for the study. The result of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applying film media turned out to be very successful since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more actively that they had a great interest in the music class showing their attention to learn more about classical music through this music appreciation class. As the class was quite effective enhancing musical growth for students, this kind of teaching methods need to be encouraged and revitalized.

      • <홍길동전>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김미나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문화 교육은 문학 교육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문학 교육에서 지향하는 점과 문화 교육에서 필요한 영역이 같은 선상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문학 교육의 목적은 문학 작품을 읽는 방법을 지도하여 문학 작품 속에 내재된 문화를 간접 체험하게 함으로써 직접 체험으로 얻을 수 없는 가치 있는 체험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문학 작품 속에 그 사회의 문화가 다수 담겨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문학 작품이 필요하며 문학 교육의 목표는 결국 문화 교육의 내용으로 귀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문학 작품 가운데 문화적 가치가 높고 현재까지 작품의 기본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작품이 끊이지 않는 <홍길동전>을 한국어 문화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홍길동전>은 현재까지 기본 서사의 텍스트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는 작품으로 과거의 문화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문화를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홍길동전> 텍스트 속에 담긴 문화 교육의 내용이 외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쉽고 재미있게 교육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 분석

        김현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what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are so as to decide their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see whether their determinant factors are related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age, mothers’ occupational condition, and tim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subjects as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s? Second, whether are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s changed by their academic background, age, and mothers’ occupational condition? Third, whether are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changed by the timing? For these purposes, master’s and doctor’s theses and literature materials from the registration scientific journals, focusing on the factors to decide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s, are analyzed. Research results analysing this study’s subject were searched by keyword: ‘kindergarten choice’, ‘nursery choice’, or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 choice,’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famous national journal search sites; KISS, KERISS, DBPIA. The result was written as the second thesis list after mater’s and doctor’s theses and learned journals, having the same titles or the same author, were excluded from the 121 subject theses of analysi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first search. During making the second thesis list, the theses, related with religion or the child special educational institute and not allowed to see the original, were excluded. From this process, 63 master and doctor’s theses and 5 learned journals, in total 63 thes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heses. To analys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for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data collection, standards establishment of the data collection, preliminary analysis, main analysis, and dat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incontrovertible analytic frame, the theses of the this study’s objects were analysed. Also the relevant frequency was analysed with the analytic methods by criteria and its percentag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mother’s job condition, moreover, what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for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are like is investigated to get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χ2 test by using the SPSS/PC 15.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are sorted into curriculum factor and managemental factor, human-environmental facto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d support systematic factor. Second, whether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of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es are changed by their academic background, age, and mothers’ occupational condition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considering the frequency, parents graduating from high school, operated the curriculum factor, in order to determin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e parents graduating from community college operated the human-environmental factor, and the parents graduating from university operated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lso, the parent who were less than 30 years old operated the curriculum facto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d support systematic factor, the parents between 31 and 35 years old operated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the parents between 36 and 40 years old operated the curriculum factor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parents over 40 years old operated the human-environmental factor. In the case of the mothers’ occupational condition factor, working mothers operated the managemental factors, but non-working mothers operated the curriculum so as to choose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Third, the parents’ determinant factors for the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were focused on the curriculum factor from 1996 to 2010, but recently in 2011 those are moved to the managemental factor. The above results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and can be expected to suggest the follow-up studies. And by analysing which factor can be effective in order to choose the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this study helps set up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as well as evaluation policy of the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Finally,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provide several information to the early child education and parents’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factor of the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있어 학부모가 고려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학부모의 학력, 연령, 어머니의 취업유무,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에 대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학부모의 학력, 연령,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달라지는가? 셋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을 주제로 한 석·박사 학위 논문 및 등재·등재 후보 학술지에 수록된 연구들의 문헌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물들을 ‘유치원 선택’, ‘어린이집 선택’, ‘유아교육기관 선택’의 주요어로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 유명한 저널 검색 사이트 KISS, KERISS, DBPIA를 중심으로 검색하였다. 1차 검색을 통해 추출되어진 121편의 분석대상 논문들을 석·박사 학위 논문과 동일한 제목 혹은 저자로 기술된 학술지 논문을 제외하여 2차 논문 목록을 작성하였다. 2차 논문 목록작성에서는 종교와 관련된 논문, 유아 특수 교육기관과 관련된 논문, 원문보기가 가능하지 않은 논문이 제외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석·박사 학위 논문 63편, 학술지 논문 5편으로 총 68편의 논문이 최종분석논문으로 선정되었다.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자료수집, 선행연구 고찰, 자료 분석 기준 수립, 예비 분석, 본 분석, 자료처리의 절차를 거쳤다. 그리고 확정된 분석틀에 따라 연구 대상 논문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기준별 분석방법에 따라 해당 빈도를 분석하였고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학력, 연령,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선택 요인이 어떠한지는 SPSS/PC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교육과정 요인과 운영관리 요인, 인적환경 요인, 물리적 환경 요인, 지원체계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학부모의 학력, 연령,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빈도별로 보았을 때 고졸 이하 졸업 학력을 가진 학부모에게는 ‘교육과정’이, 전문대 졸업 학력 학부모에게는 ‘인적환경’이, 4년대 졸업 이상 학력을 가진 학부모에게는 ‘물리적 환경’이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0세 이하 연령 학부모에게는 ‘교육과정’·‘물리적 환경’·‘지원체계’가, 31-35세 연령 학부모에게는 ‘물리적 환경’이, 36-40세 연령 학부모에게는 ‘교육과정’·‘물리적 환경’이, 40세 이상 연령 학부모에게는 ‘인적환경’이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서는 취업모에게는 ‘운영관리’가, 비취업모에게는 ‘교육과정’이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요인은 1996년에서 2010년에는 교육과정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선택했으나 최근 2011년에서 2012년에는 운영관리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선택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국내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어떤 요인이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 평가정책 수립 및 유아교육기관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적인 자료 역할을 하리라 본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서비스 품질 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과 유아교육 및 학부모 교육에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