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

        김미나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parents’ participation and knowledge about infant’s play. And these are the subjects of research associated with that. First, In parents’ recognition about infants’ pla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Second, In parent’s participation in each type of infants’ play,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subject of study are 415 people parents(179 father, mother 236 people) of infants 0 to 5 years of age early childhood go to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do . The research tool,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used for the "Research on attitudes and awarenes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play" (Kim jeong sun. 2000) Johnson obligation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ater of infants, Was used as a revised and completed with in the study questionnaire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range cause theater and imaginative infant" Lee sukuje of (1984) questionnaire on the participation of play. Data analysis, utilizing SPSS WINDOWS 18.0K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play parent using Chi-square-test (Pearson's chi-square test), The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of each type of play of the parent, and then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Reliability of play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by using (Cronbach alpha test) clone Bach alpha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parents recognize importance of play very highly so they believe child can get social ability and study through a play. So we can view play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the results. Second, parents generally recognize the roll of parents positively, baby’s parents do a roll of companion but child’s parents let them play freely and give them a responsibility for trouble. Most infants’ parents don’t play with their baby because of busy work, especially father don’t participate in his baby’s play. Third, Parents let their baby just play around but want their child to learn something. Many parents recognize the value of development differently so we can view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education and choice in the case of playing. Fourth, Many parents acknowledge they don'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infants' play so we need a parental education logically and this admitting is so positive phenomenon. Fifth, The rate of parents’ participating in infants’ play are respective. Mother prefer learning game and father prefer physical play.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realize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baby’s parents and child’s parents in the case of participating and recognizing play. Wherefore we should study to develop both parents’ recognizing and participating in infants’ play.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의 놀이인식과 참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유아기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유형별 참여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0세 ∼만5세 영유아의 학부모 415명(아버지 179명, 어머니 236명)이다. 연구도구는 영유아 놀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김정선(2000)의 ‘유아 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에 사용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놀이참여도에 관한 질문지로는 이숙재(1984)의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의 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0K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부모의 놀이인식은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카이스퀘어검정(Pearson's 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고, 부모의 놀이유형별 참여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놀이참여 신뢰도는 크론바하 알파테스트 (Cronbach alpha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부와 모는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높게 인식 하였으며, 놀이를 통해 정서 및 사회성 발달을 돕고, 자연적으로 학습으로 이어진다고 인식하며 과거에 비해 높이의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졌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부모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영아기 부·모는 함께 놀아주는 동반자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유아기 부·모는 자유롭게 놀도록 하며 문제 상황에서는 자녀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이는 부모의 격려와 지지로 도와주는 역할이 점차 미흡해져가는 것으로 보였으며, 영유아기 부·모 모두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놀이에 소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부는 영유아기 모두 인식과 실제의 참여시간 간에 차이를 보이며, 부의 부재현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영아는 순수하게 놀이를 즐기게 하지만 유아는 일일학습지를 하는 등 지식교육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발달적 가치에 대한 인식과 선택에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선택은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지도에 있어서 영유아기 부·모가 느끼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자녀와의 놀이시간과 놀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어 가정과의 연계적인 지도의 필요성을 보였으며, 이는 부모의 관심이 영유아의 욕구와 발달적 가치로 전환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유형별 놀이참여는 영·유아기 상관없이 부와 모가 다른 참여정도를 보였다. 부는 신체놀이 위주로 참여하였으며, 모는 교수놀이를 위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영아기의 부·모와 유아기의 부·모의 놀이인식과 참여에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추후에는 놀이인식에 따라 참여정도의 질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 ‘고용없는 성장’시대 대학생 진로교육의 방향 탐색 : 제주대학교 학부생을 중심으로

        김미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은 국가 경제가 성장하는 데도 고용은 늘어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공장자동화와 정보기술산업의 확대와 노동집약형 산업체들의 해외 투자 확대 등을 고용 없는 성장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진로교육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학생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바탕으로 직업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설계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하여 진로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정보 제공, 진로체험, 취업지원 등을 제공하는 활동을 뜻한다.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진로교육은 개인의 적성, 소질, 신체적 조건, 가정환경, 가치관 등 개인의 잠재능력을 고려하여 진로를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런 방향을 통해 만족스러운 직업을 가지고 살 수 있도록 이끄는 실천적 교육이다. 여기에 추가로 만족스러운 생애를 설계 및 수정하도록 하는 실천적 교육으로 본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고용 없는 성장 시대의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국가와 대학이 진로교육을 잘하고 있는지 진단 하고 개인 진로교육 활동을 탐색하여 고용 없는 성장 시대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먼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고등교육기관)의 진로교육은 어떻게 변화해왔고, 대학생 시기의 진로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정부의 진로교육 정책과 대학은 어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시행되어야 할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끝으로 연구자는 고용 없는 성장 시대를 고려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추가 사항을 논의한다. "Jobless Growth" refers to a phenomenon of which the employment stagnates in spite of th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The main sources of jobless growth can be found in the expansion of factory autom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s well as the extension of overseas investment made by labor-intensive companies. Career education means activities o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providing career classes, career psychology test, career counseling, career information, career experience and employment support through school-community cooperation allow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explore and design their career, based on their talent and aptitude. Career education in the time of jobless growth contributes to choosing career in the rational and objective manner, in view of one's potential capacities such as one's aptitude, talent, physical condition, family background or environment and values. Furthermore, it refers to a practical education leading each one into the direction of life with a satisfactory profession or work. In addition to this, it is considered a practical education facilitating design and modification of a satisfactory life for each stude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ality of career education in th era of jobless growth, by making a diagnosis of the current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the State and colleges and exploring individua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s of the era of jobless growth.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intends to inquire into how the career education of colleg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riented to college students has been changed and how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during the college days. Moreover, this study plans to inquire about the program content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nd colleges. Based on this,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directionality of career education which is supposed to be conducted in the era of jobless growth. Lastly, this study discusses additional points of considerations to effectively apply this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light of the era of jobless growth.

      • HDTV문학관에 나타난 소설 영상화의 특징 연구 : 2000년대 발표작을 중심으로

        김미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학은 영상이라는 매체가 발전하면서 방송이나 영화를 통해 영상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소설의 서사와 드라마의 스토리 진행 사이에 유사한 부분이 많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TV드라마는 방영 횟수가 많을수록 다양한 이야기를 필요로 했다. 때문에 문학의 영상화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특히 단편소설이 단막극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표적으로는 <TV문학관>이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을 얻어냈다. 또한 이를 통한 성과는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문학작품이 영상화되는 과정에서 왜곡논란 등이 일어나며 문학적 가치에 관한 논의가 있었고, <TV문학관> 또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비록 다른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는 원작의 가치를 높이 사고 이를 영상에도 반영했지만, 논란이 일었다는 것만으로도 불명예였다. 하지만 TV문학관은 다른 프로그램처럼 폐지하지 않고, 발전을 위해 변화를 거듭했다. <신TV문학관>을 거쳐 2005년에 시작된 <HDTV문학관>은 HD방식을 채택하고 2000년대에 발표된 소설을 대거 채택해 영상화했으며, 이는 현재도 진행중이다. 10년 대기획이라는 큰 틀을 가지고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제작비를 문제로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하지만 HDTV라는 기술력과 2000년대 이후 문학작품을 영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시도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2000년대의 새로운 감수성을 영상을 통해 재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총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작품을 원작으로 한 아홉 편의 드라마와 원작이 된 박민규의 ?카스테라?나 은희경의 ?내가 살았던 집? 등 십여 편의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0년대 이후 문학작품은 몇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수용한 영상에서 역시 그 특징이 드러났다. 또한 기술 자체의 특징 또한 두드러졌는데 원거리 촬영을 통한 영상미 구현이나 클로즈업 등을 활용한 세밀한 묘사와 상징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전된 기술을 활용해 CG등을 도입함으로써 환상성을 도출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의 문학작품을 최신의 기술력으로 재현함으로써 HDTV문학관은 현실을 가장 근접하게 형상화했다. 이는 곧 두 매체의 미래를 그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매체간의 접목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써 각각의 매체적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통한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보다 나은 매체적 특성의 확립과 그에 따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visual media has developed, Literature has been starting to convert the video through the TV or movie. Many of them are made by novel because there are so many similar parts between epic of novel and story in progress of drama. Especially, the higher the number of broadcast times, the more TV drama needs various stories. So visualization of literature frequently occurred. Especially, short story appeared in the form of one-act play such as <TV Museum of Literature> received much attention of audience. And this achievement has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However, there was distortion controversy in progress of imaging of literary work, and discussion of literary value has been made. <TV Museum of Literature> couldn’t also be free. Although <TV Museum of Literature> valued its original novels and reflected these in image, it was a disgrace to cause controversy. However, <TV Museum of Literature> wasn’t abolished such as other programs and kept changing for the development. <HDTV Museum of Literature> which began in 2005 through <New TV Museum of Literature> adopted HD method and imaged novels published in the 2000s. It currently is underway. <HDTV Museum of Literature> started its 10 years great project in 2005, but now because of production costs, the problem is a sluggish state. However, <TV Museum of Literature> had new attempts such as HDTV technology and imaged conversion of literature since the 2000s. And new sensibility of the 2000s has been recreated through the video. So I researched nine drama works based on the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nd 「Castella」 by Park Min-gyu, 「the house I lived in」 by Eun Hee-gyoung. Literary work since the 2000s has a few characteristics, and the features also revealed in the image accepted thes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itself such as realization of beautiful image through a long shot and detail and symbolism through close-up. And I could assure it had drawn fantastic view by introducing advanced technology and advantage of the CG. <HDTV Museum of Literature> visualized reality closely by reproducing recent literature on the latest technology.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draw the future of the two media. If we study the way to maximize the benefits of each media by trying to combine between the media constantly, we could expect the establishment of a better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ing performance by promoting this development.

      • 청소년의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이 영양보충제 섭취에 미치는 영향

        김미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영양보충제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이 영양보충제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성장기 청소년들의 올바른 영양보충제 선택과 섭취를 분석하여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 조사대상자는 현재 서울·경기지역을 소재로 8개 중학교와 6개 고등학교를 편의표본 추출하고 재학생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3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8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하였다. 그 중 최종 회수되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236부이며 자료의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χ2검정(chi square test),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비율은 남학생 56.4%, 여학생 43.6%이고, 중학생은 47% 고등학생은 53%이며, 가정의 월평균 수입은 300만원 미만과 400 만 원 이상이 33.5%로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고, 아버지 학력은 고졸 이하 54.7%, 어머니 학력은 고졸 이하 64.4% 로 나타났다. 맞벌이 유무는 유 62.7%, 무 37.3%로 나타났고, 아버지 직업은 근로직, 생산직, 기능직 30.5%, 어머니 직업은 주부 31.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BMI는 정상체중 54.2%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청소년의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을 알아보고, 이것이 영양보충제 섭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며,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부모님의 맞벌이 유무, 부모님의 학력, 가정의 월평균 수입, BMI)에 따른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 지식과 영양 보충제 복용 경험을 분석하였고, 둘째로 청소년의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이 영양보충제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식습관은 규칙적인 주식생활과 균형 잡힌 식단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건강관심도는 영양관심도와 다이어트 관심도로 2가지 하위요인, 영양보충제 복용경험은 복용경험, 복용요인, 복용 고려사항으로 3가지 하위요인, 영양보충제의 종류와 횟수는 기능성 제품과 영양보급제품으로 2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되고, 영양지식은 단일항목으로 묶어 총 10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식습관은 남학생(M=3.88)이 규칙적인 주식생활이 더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수입은 300-400만원 미만(M=3.91)인 청소년의 규칙적인 주식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M=3.83)이 균형 잡힌 식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2. 선호하는 식단의 종류는 한식이 34.7%로 가장 많았고, 선호하는 식사형태의 종류는 고기류가 68.2%로 가장 많았고, 남학생은 고기류를, 여학생은 과일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이 맞벌이는 하는 청소년은 고기류를 선호 하였고, 부모님이 맞벌이는 하지 않는 청소년은 과일류를 선호하였다. 선호하는 맛의 종류는 단맛이 35.6%로 가장 많았다. 3.청소년의 건강관심도는 ‘이상형이라고 생각하는 체형이 있다’가 평균 3.4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M=2.68)이 다이어트 관심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BMI는 과체중(M=3.37)인 청소년이 다이어트 관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청소년의 영양지식은 가정의 월 평균 수입이 400 만 원 이상(M=0.61)인 청소년이 영양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청소년이 영양지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5. 청소년의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은 ‘영양보충제 섭취를 권유한 사람은 가족이다’가 평균 2.6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M=2.37)의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과 영양보충제 복용 고려사항(M=2.42)이 더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수입은 300-400만원 미만(M=2.39)인 청소년이 영양보충제 복용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청소년의 영양보충제 종류와 횟수는 ‘비타민 보충제’(M=1.67)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M=1.19)이 기능성 제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보충제 섭취 유무는 섭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49.2%로 나타났고, 섭취한 경험이 없는 청소년이 50.8%로 나타났다. 아버지 학력이 대졸 이상인 청소년이 영양보충제를 섭취한 경험(57.0%)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영양보충제를 섭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영양 관심도(M=2.71), 영양보충제 복용경험(M=2.71), 복용요인(M=2.00), 복용 고려사항(M=2.42)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8.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이 복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영양 관심도(β=.245, p<.001)가 높을수록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이 증가 하고, 복용요인(β=.274, p<.001)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복용 고려사항(β=.345, p<.001)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식습관과 건강관심도 및 영양지식,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이 영양보충제 섭취종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균형 잡힌 식단(β=.152, p<.05), 영양 관심도(β=.150, p<.05)가 높을수록 기능성제품 섭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복용경험(β=.639, p<.001), 복용요인(β=-.229, p<.01), 영양 관심도(β=.167, p<.01)가 영양보급 제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보충제 복용 경험과 영양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영양보급 제품 섭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보충제 복용요인이 증가 할수록 영양보급 제품 섭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영양보충제 섭취율이 높고, 영양보충제 섭취를 권유하는 가족 또한 비율이 높아, 맞벌이 가정이 점점 증가하는 사회적 요인으로 보아 청소년의 영양 보충제 수요는 점점 증가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양보충제 섭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영양관심도, 균형 잡힌 식단, 영양보충제의 복용경험, 복용요인, 복용 고려사항으로 분석 된 만큼 청소년들이 보다 정확하고, 필수적인 영양보충제를 선택하고 오·남용하지 않도록 영양보충제 섭취에 대한 정확한 영양 정보와 지식이 전달되어야 하며, 정부에서는 이에 맞는 올바른 정책과 사회적 제도가 정비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도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연구, 교육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며, 가정에서도 균형 잡힌 식단과 올바른 영양보충제 섭취를 권유하여, 청소년들이 올바른 건강관리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pplements intakes of adolescents and youth identify Dieatary Behaviors,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of interest to study the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s by young people growing the right choice and nutritional supple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tak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a in Seoul and Gyeonggi 6 to 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he convenience sampling and randomly selected subjects in 2013 and 336 people April 8 to April 30 poll conduct were collected. Among them is the final frequency of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236,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the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OVA analysis (One-way Anova), χ2 Black (chi square 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he statistics were analyzed. The problem of this study shares the life and health of youth interest and nutrition knowledge, learn, and this affects how nutritional supplements is to analyze in detail, The you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parents 'dual-income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household monthly income, BMI) according to stock life and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and interest were analyzed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second of youth stock interest in the life and health and nutritional knowledge, nutritional supplements,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the impact analyzed. Accordingly, the regular stock shares living a balanced life and divided into two kinds of sub-factors, and health concern to the two kinds of interest in nutrition and diet low interest factors, the experience of taking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taking the factors, taking consideration of three sub-factors, the type and 빈도 of nutritional supplements and functional products nourish the two kinds of products are classified as sub-factors, nutrition knowledge, tied to a single item, a total of 10 were classified as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those surveyed 133 people 56.4% male, 43.6% female and 103 people, 47%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53% of high school students,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less than 3,000,000 won and 4,000,000 won to 33.5% over the same was high, 129 people less than a high school education fathers 54.7%, mothers education less than a high school with 152 people was 64.4%. Have the parents 'dual-income status 148 people earner 62.7%, 37.3%, 88 people with non-appeared, his father a working professional organization, production, trades 72 people 30.5%, 31.4% mothers occupation housewife 74 people was the highest. 54.2% in the normal weight BMI was highest in 128 people. Second, Eating habits of youth male (M = 3.88) higher than the regular Dieatary Behaviors appeared, the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 to 4,000,000 won (M = 3.91) of the young people living regular dieatary were higher male (M = 3.83) was higher this well-balanced diet. Third, The kind of diet dietary preference of 34.7% The most common, the preferred form of the kind of meal to 68.2% with the most common meat, meat for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prefer fruits. Dual-income parents and youth were the preferred meats, nondual-income parents and youth are not prefered fruits. Prefer the sweet kind of taste (35.6%) was the most common. Fourth, Adolescent health concern the 'ideal body shape is to think that' an average of 3.44 points was highest, females (M = 2.68) more interest in the diet was higher, BMI overweight (M = 3.37) of youth This diet was the highest interest. Fifth, Nutritional knowledge of adolescents in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an 4 million won (M = 0.61) of adolescents was highest nutrition knowledge, mother's education is more than a college youth nutrition knowledge was higher. Sixth, Of youth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the supplements 'recommending nutritional supplements is one of the family' average was highest with 2.69 points, girls (M = 2.37)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the nutritional supplement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taking consideration (M = 2.42 ) was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less than 300 to 4,000,000 won (M = 2.39) of youth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onsideration was the highest recognition. Seventh, The type and frequency of youth supplements the 'vitamin supplements' (M = 1.67) appeared to be the highest, boys (M = 1.19) more awareness of the functional products was higher nutritional supplements ingested presence 49.2% of youth who have appeared, swallowed by inexperienced youth was 50.8 percent. Father educated youth nutrition supplements more than college experience (57.0%) was the highest. Eighth, Nutritional supplements are experienced in youth interest in nutrition (M = 2.71),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M = 2.71), taking the factor (M = 2.00), taking consideration (M = 2.42) was higher perception of . Ninth, Diet and nutrition and health knowledge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interest in the impact of nutritional interest (β = .245, p <.001), the higher the increase in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taking the factor (β = .274, p <. 001), increase awareness of taking considerations (β = .345, p <.001) showed that affect. Tenth, Interest in diet and health and nutrition knowledge,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nutritional supplements look at the kind of impact on a balanced diet (β = .152, p <.05), nutrition interest (β = .150, p <.05) The higher the intake of functional products appeared to be increasing,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β = .639, p <.001), taking the factor (β = - .229, p <.01), nutrition interest (β = .167, p <.01) with supplementation products showed that most influence. With the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al supplements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product appeared to increase intake, nutritional supplements, taking the increase factor supplementation decreased intake of the produ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high intake of adolescents nutritional supplements, nutritional supplements are recommended for families also increased the percentage, dual-income families and social factors are increasingly seen as adolescent nutritional supplements is thought to be increasing demand. Nutritional supplements also a major contributor to the nutritional interest, balanced diet, nutritional supplements, taking the experience of taking factor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many young people are more precise analysis, the essential nutritional supplements to choose misuse, abuse Nutritional supplements do not correct nutri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o be passed, and the government applies the correct policies and social institutions and practices should be maintained. Young people in 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vision of the right information to make the research and education will be realized, at home, balanced diet and proper intake of nutritional supplements to encourage youth so that they can practice proper health care to try will.

      • 4~5세기대 창녕양식토기 연구

        김미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hangnyeong area in the 5th century is a controversial area whether it is Silla or Gaya. Changnyeong style pottery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Changnyeong area. Breaking away from the interpretation centered on Geumgwan Gaya, tried to presuppose the Changnyeong area as a polities that existed in the independent interests of each Gaya. Based on the YeoCho-ri kiln site and Toecheon-ri kiln site, controversial mounted dishes with series opening would have been produced and transfered from the Changnyeong area. In addition, it can be seen as Changnyeong style in that mounted dish with series opening is accompanied by the lid with mount-shaped handle or mounted dish with cross opening, which is Changnyeong style pottery. Changnyeong style pottery culture was set up as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a small number of mounted dishes with series opening and lid with button-shaped handles are buried. In the second stage, Changnyeong style pottery begins to be excavated in Changwon, Haman, and Uiryeong Yugok-ri, and the amount and distribution range of excavated items are expanded.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was distributed across other areas including Hapcheon, Uiryeong, Gimhae, Changwon and Haman, which indicates that Bihwa Gaya engaged in transit trade between Shill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Gaya polities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i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and in the southern coast, trading materials such as iron. Third stage is similar to second stage. In the fourth stage,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Changnyeong style pottery distribution range. In this paper, Considering Bihwa Gaya is an independent polities that engaged in negotiation activities with each polities, tried to grasp the distribution range of Changnyeong style pottery by region and stage. Based on this, estimated the scope of negotiation activities for each stage of Bihwa Gaya. 5세기대 창녕지역은 보는 관점에 따라 창녕양식토기를 다르게 해석해왔다. 단일연맹체설과 고구려 남정기사에 근거한 금관가야 중심의 해석에 탈피하여 창녕지역을 가야 각국의 독자적인 이해관계 속에서 존재했던 정치체로 전제하여 보고자 하였다. 창녕양식토기의 기종인 이단일렬투창고배, 삼단각이단교호투창고배, 개를 형식분류하였다. 그 다음 단계를 총 4단계로 나누었다. 1단계는 이 단계의 토기는 이단일렬투창고배의 시원적인 형식으로 각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지만 짧은 기간에만 부장된다. 모두 창녕산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창녕지역에서도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이후 이단일렬투창고배가 창녕양식토기 기종구성 변화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창녕지역에서 이단일렬투창고배라는 형식을 채택해 제작한 체계를 지속했을 가능성이 있다. 2단계는 창녕양식토기의 출토 수량과 분포범위가 넓어진다. 대성동유적에서 1단계에 금관가야형 철정이 공반된 것과 달리 신라형철정이 공반되기 시작한다. 또한 소가야양식토기가 공반되면서 낙동강 중하류역에 비화가야와 소가야의 교섭활동이 개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단계는 이전 분포범위와 유사하나 기종구성상에서 차이가 난다. 이전 단계와 달리 이단일렬투창고배의 비중이 줄어들고 삼단각이단교호투창고배가 비중이 늘어나면서 두 형식의 고배가 공반하는 사례가 늘어난다. 여전히 신라형 철정과 소가야양식토기가 공반되는 것으로 보아 비화가야와 소가야의 교섭활동이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단계는 분포범위가 확연히 줄어든다. 이단일렬투창고배가 극소수가 되고 삼단각이단교호투창고배와 일단투창고배가 주를 이룬다. 이 시기에 창녕지역 내에서도 중심이 교동고분군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아 신라와의 관계에 있어 변화가 교섭활동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과 같이 본고에서는 창녕지역 비화가야를 가야 각국과 교섭활동을 벌였던 독자적인 정치체로 보고 창녕양식토기의 지역별, 시기별 분포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화가야의 단계별로 교섭활동 범위와 변동을 추정해보았다는 것을 본 연구의 의의로 삼고자 한다.

      • 대학직원의 직업가치 차이에 따른 비공식적 관계 비교

        김미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직 내에서의 비공식적 관계는 공식적 관계만큼이나 조직 문화와 생산성,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만족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직업과 직장, 일을 바라보는 가치관이 과거와는 조금씩 달라지고 특히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세대가 조직의 적지 않은 비율로 들어서게 되면서 조직 내에서도 인식과 태도, 행동양식에 차이가 생겨나고 있다. 구성원들의 동기부여, 만족도 향상, 나아가 갈등 방지와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도 조직 내 집단과 구성원 개개인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비공식적 관계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직업가치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원활한 조직 운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법인화를 통해 입직경로와 규모가 크게 달라진 서울대학교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와 STATA를 통해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각각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가적가치는 비공식적 관계의 직장에서의 중요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삶에서의 중요도나 실제 참여행동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내재적가치는 비공식적 관계의 부정적 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삶에서의 중요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침으로써 참여행동으로도 나타났다. 외재적가치는 비공식적 관계의 중요도 인식과 참여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그 효과성 인식에 있어서 법인화 전, 후 집단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법인화 전 집단의 경우 긍정적 효과를, 법인화 후 집단의 경우 부정적 효과를 강하게 인식하였다. 봉사적 가치의 경우 비공식적 관계 인식과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비공식적 관계가 공식조직의 공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면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둘째, 근무시간 내 비공식적 관계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끔 하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직업가치와 비공식적 관계가 발전된 조직문화의 토양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 되기를 바란다. Informal relationships within an organization have as much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ulture, productivity, and members'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as a formal relationship. Moreover, the generation that pursues work-life balance is entering to the organization and their standard ​​of determining good job and work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ast. That is why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nowadays.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lues of the employees ​​in order to motivate and satisfy them and, moreover, prevent conflicts and enhance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 value as a factor that affects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informal relationship in the organiz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employees, whose recruitment method and the size were greatly changed through the incorpo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and STATA. Regression analysis and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ed that leisure valu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ortance of informal relationships at work, which did not lead to importance in life or actual participation behavior. Intrinsic value was found to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negative effects of informal relationships, but by influencing the importance in life, it lead to participation. External valu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informal relations, but it influenced the groups before and after incorpor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he pre-incorporation group, the positive effect, and for the post-incorporation group, the negative effect was strongly recognized. In the case of service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n informal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olic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irst, close control is needed to ensure that informal relationships do not negatively affect the fairness of formal organizations. Second, a more active attitude is needed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informal relationships during working hours. Third, attention is needed to the value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se, we hope that work value and informal relations will be an important point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an advanced organizational culture.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미나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1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assessed with Egma Minnen Betraffande Uppfostran(EMBU), The Short form of the KIIP Circumplex scales(KIIP-SC) and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statistic program. To examin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ron and Kenny's(1986) model was used. Furthermore,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While rejection,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Also emotional clar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emotional clar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armth, rejection,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부모양육태도 척도(EMBU),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 정서인식명확성 척도(TMM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애정, 거부, 과보호),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애정적 부모양육태도는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상관을, 정서인식명확성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거부적 부모양육태도와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는 대인관계문제와 정적 상관을, 정서인식명확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로써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애정, 거부, 과보호)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거부적 부모양육태도,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 모두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매개 하였다. 즉, 대학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대인관계문제를 더 적게 경험하고 높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거부적, 과보호적으로 지각할수록 더 많은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고 낮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이 대인관계문제를 설명하는 주요한 요인임을 강조함과 동시에, 대인관계문제를 설명하는데 있어 정서인식명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이 아니라, 필요한 치료적 개입을 위해 정서인식명확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rogram Annotation : D. Scarlatti Sonata K.380, K.427, W. A. Mozart Sonata in D Major, K.576, M.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S. Prokofiev Toccata Op.11

        김미나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석사 과정 졸업연주의 프로그램인 D. Scarlatti Sonata K. 380 in E Manor, K.427 in G Major, W. A. Mozart Sonata K.576 in D Major, M. Mussogrsky ‘Pictures at an Exhibition’, S. Prokofiev Toccata Op.11을 중심으로 각 작곡가의 생애와 특징을 살펴보고 각 작품의 배경과 특징 및 구조를 연구하여 연주자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D. Scarlatti Sonata K.380, K.427은 피아노 건반 소나타이며, 스카를라티는 하프시코드의 선두주자인 동시에 바로크시대의 건반악기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스카를라티의 소나타는 단악장 형식이며 대부분은 2부분 형식으로 대부분의 곡들이 스페인에서 작곡되어 스페인 춤과 민요의 영향을 받아 작품 안에서 다양한 스페인의 향토적인 정서를 구현하였다. W. A. Mozart Sonata K.576 in D Major는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가 작곡되었던 3개의 시기 중 마지막 빈(Wien)시기에 작곡된 3악장 형태의 작품이다. 이 시기 모차르트는 C.P.E.바흐와 헨델 등 북독일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아 다성음악적 성격을 띠는 작품들을 작곡하였으며, 반음계적 진행이나 대위법의 사용 그리고 모차르트만의 독창적인 어법을 구사한 원숙미가 잘 나타나는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M. Mussorgsky Pictures at an Exhibition은 무소르그스키의 대표적인 피아노 작품으로 그의 친구였던 화가이자 건축가 빅토르 하르트만의 죽음과 그를 위한 유작 전람회의 계기로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작곡가 자신의 걸음걸이를 다양하게 표현한 6개의 Promenade와 그림을 보고 묘사한 10개의 소품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작품은 그 당시 난해하고 어려웠기 때문에 연주되던 일이 없었지만 후에 관현악곡으로 편곡이 되면서부터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S. Prokofiev Toccata Op.11은 프로코피에프가 슈만의 Toccata Op.7 C Major를 듣고 강한 인상을 받아 작곡된 작품이다. 이 작품이 작곡된 시기는 제1차 세계대전 중인 불안한 분위기의 시기였기 때문에 작품 일부에서 불안감이 잘 표현되어있으며, 이전의 토카타에서 보여지던 서정적인 선율성은 거의 배제되고 무궁동적인 리듬과 풍부한 음량 그리고 격렬한 다이나믹이 잘 나타난다. 이렇듯 이 시기의 프로코피에프는 당시 급변하고 불안하던 러시아의 과도기적 불안과 소요의 현실을 작품 안에서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12개월 이하 한 자녀 어머니를 대상으로

        김미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3개월 이상 재원 중인 12개월 이하 한 자녀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적·구조적 지원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인지적 측면인 양육효능감과 개인적 배경에 따라 후속출산의도에 나타나는 차이와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또한 이들의 상호 관련성을 바탕으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 후속출산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에 따라 후속출산의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3.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 후속출산의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자는 G도에 있는 K시를 포함한 16개시의 0세아전용 어린이집에 3개월 이상 재원하고 있는 12개월 이하 한 자녀 어머니 120명으로 하였으며, 최종 112부의 설문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6개 하위요인의 총 30개 문항과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4개 하위요인의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후속출산의도를 묻는 한 문항을 포함하여 모든 문항은 5점 평점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 프로그램의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 Duncan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 및 후속출산의도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에 따른 후속출산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총점과 하위요인 중 보육프로그램 만족도, 어린이집 환경 및 운영관리 만족도, 급식 및 위생과 안전 만족도, 보육서비스 만족도의 5개 하위요인에 따라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프로그램 만족도, 어린이집 환경 및 운영관리 만족도,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총점과 양육효능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 및 후속출산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 총점과 후속출산의도간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 중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하위요인 중 보육서비스 만족도로 후속출산의도의 약 1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적·구조적 요인인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인지적 특성인 양육효능감보다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양육효능감이 높거나 낮은 집단의 경우 자녀에게 제공되는 물리적 환경과 보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따라 후속출산의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출산 정책의 핵심 대상인 12개월 이하 한 자녀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제까지 연구가 미비하였던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출산과 관련된 보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0세아전용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에 따른 어머니의 후속출산의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구조적 지원의 측면인 보육서비스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을 포착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mothers'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socially and structurally aided day care center that takes care of infants under 12 months, to observe mothers' maternal efficacy, and to find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backgroun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mothers who have an infant under 12 months old, and the infants have been attending the child care facility for more than 3months.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factors in order to raise the birthrat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maternal efficacy, and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and maternal efficacy?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maternal efficacy, and additional birth plan? 4.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background,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maternal efficacy on the additional birth pla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0 mothers of infants under 12 months old who have be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only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for more than 3 months. The day care centers were located in total of 16 cities including the K city in G province. 112 survey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 survey included 30 questions under 6 sub-factors for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37 questions under 4 sub-factors for measuring maternal efficacy, and 1 question for inquiring participant's additional birth plan. 5-point rating was implemented for each question.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pecifically, one-way ANOVA, two-way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a post-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s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maternal efficacy, and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mothers' general background. Second,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s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and maternal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 of satisfaction level of child care service of the day care center and 5 sub-factors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category of: child care program,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the day care center, food and sanitary, safety, and child care service) showed that these factors influenced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s. In addition, the total scores of level of satisfaction in child care program,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the day care center, and child care service and the total score of maternal efficacy display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maternal efficacy, and additional birth plan reveal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hild care service and maternal efficacy and additional birth plan. Fourth, among the factors of mother's general background,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and maternal efficacy, it showed that the sub-factor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influenced 12 % of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In conclusion, the social and structural factor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influenced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more than mothers' general background and the cognitive factor of maternal efficacy. Moreover,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low or high maternal efficacy,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was vari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hild care program that was provided to the children. Focused on the mothers of infants under 12 months old who are the main subjects of birth polic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ld care service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and maternal efficacy on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Studies on these factors have been insufficient, and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for the birth-related child care polic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of mother's additional birth plan according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day care center for infants under 12 months old and maternal efficacy signified that in order to raise birthrate, increasing mothers' level of satisfaction child care service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