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671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 로봇 롤러 헤밍 가공의 유한요소해석

        강민준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프레스 헤밍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로봇 롤러 헤밍에 대하여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 직선 Curl 헤밍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헤밍 조건에 따른 공정변수를 바탕으로 평면부위는 직접 그리고, 곡면부위는 3D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렸다. 강판의 기계적 특성은 재료시험기 INSTRON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통해 구하였다. 인장시험을 통해 얻은 Stress-Strain 선도를 바탕으로 True Stress - Plastic Strain 선도를 구하여 MSC.MARC에 입력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은 MSC.MARC(Pre-processor 와 Post-process는 MSC.MENTAT)를 통해 실시하였다. 먼저 회사에서 제공하는 실험 데이터 값의 가압력에 맞추어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해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높이와 길이 값에 차이를 보였다. 롤러위치를 조금씩 조정하여 Pre 헤밍, Main 헤밍 가압력을 맞추는 방법으로는 해석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가압력 맞춤이 아닌 롤러높이를 실험값에 맞추어 그때의 가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값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아래 3가지 방법으로 해석을 실시하였다. 접힘 부분의 Mesh를 분할하여 보고, 길이방향과 넓이방향, 두께 방향으로 Mesh를 분할하여 보았다. Stress-Strain 선도를 0 < ε < 0.18 범위 데이터를 Curve Fitting하여 연장하거나 마지막 구간을 단순히 연장하여 사용하였다. Mesh 분할을 많이 할수록 해석 시간이 증가하고 너무 많은 요소수로 인하여 해석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외판 길이를 조정하였다. 직선 Curl 헤밍은 직선 Flat 헤밍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의 길이와 두께는 평균적으로 가장 가까운 경우와 같게 하였다. 모든 해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회사에서 제공한 실험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가장 실험값에 근접한 해석 조건을 찾았다. Hemming, especially curl hemming, along the wheel housing is required for safety. Robot roller hemming is suitable for it. In this thesis, the flat hemming and the curl hemming along the straight profile i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MSC.Marc to verify the hemming test results. Flanging is done prior to roller hemming. Roller hemming is done in three or four steps. The flange angle is initially 120 deg and becomes 0 deg finally. Finite element model is created in MSC.Mentat.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is modeled using 3-D solid elements and the roler is modeled using rigid surface. The finite element model yields less deformation than the real test.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changed until the hemming force is equal to the test results in steps except the final step. In the final step,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set to be quite close to the test results and the hemming force is determined. More elements are used to provide more sufficient degrees of freedom to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also the stress-strain curve is modified to be extraploated out of the tensile test range. In the final step, the plastic strain at the severely bent part goes over 0.50, but the tensile test ends at plastic strain 0.18. The modified finite element model yields more deformation than the previous model but the computing time increases. The final hemming force increases as the remaining hemming height decreases. It is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In the curl hemming, there is a case that the curl is not formed if the pre-hemming force is not sufficient. It is also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모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4287

        주택은 입지의 고정성과 재화의 부동성에 의하여 공간적 제한을 가지며, 서울시 주택시장 혹은 울산시 주택시장과 같은 지역시장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일반재화시장은 수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하여 시장가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택시장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시장이기 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수가 매우 제한적인 것이 그 특징이다. 즉, 일반재화와는 다른 독특한 시장을 형성하는 주택시장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개별화하고 지역시장 단위로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지역주택시장은 전국 단위의 총량적 층면에서 이루어져 오고 있어, 각 지역의 여건을 면밀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지역 시장에서는 수급의 불일치에 의한 시장의 불안정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울산의 주택시장권 범위 및 특성을 규명하고, 주택시장분석을 통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울산의 주택시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주택시장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울산과 행정경계를 접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양산시, 밀양시, 경주시, 청도군의 통근 ․ 통학자의 비율을 2000년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자료를 토대로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근거로 시장권 획정의 기준을 마련하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권역을 획정하였다. 그 후, 획정되어진 범위의 주택시장 일반현황, 주택공급추이, 가격변화 추이 등을 분석하여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설문조사 자료와 남구를 범위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거주자의 선호를 조사하고, 마지막으로 시장 내의 가격거품유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수요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하여 현재 주택시장의 현황 및 성격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광역시의 주택시장권은 울산시의 횡정경계와 일치하는 범위로 획정된다. 둘째, 울산의 주택시장은 꾸준한 인구증가와 농업지역의 개발 등으로 시장의 확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토지가격 등의 안정세로 개발지 확보가 유리하다 판단되지만, 2001년과 2002년 사이의 착공물량들이 2005년 전반기부터 시장에 대량 공급됨으로써, 미분양율은 증가하면서도, 가격이 상승하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울산광역시 남구가 학교 및 교육환경, 거주지역의 생활 편리성 등의 이유로 꾸준히 높은 선호를 보이고, 투자가치 또한 높다는 판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안방보다 거실을 더 큰 평면에 선호도가 높았으며, 내부구조 설계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실은 거실, 안방, 식당 및 부엌, 화장실 ․ 욕실, 발코니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설계 시 전면에 배치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공간은 ‘방, 거실, 방’으로 조사되었고, ‘방, 거실, 주방’의 선호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남향주방을 선호하는 주부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거주면적이 줄어들더라도 편리성을 위하여 화장실은 최소2개소 이상 설치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주차장과 단지내 조경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내부공간에서는 수납공간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현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전체에서는 투기성 성향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투기성 성향으로 전향되질 가능성을 보였으며, 남구를 중심으로 한 아파트 시장에서 주택 가격 거품이 확인되어졌다. 울산시는 주택공급계획 수립에 있어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장기적 안목으로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주택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택 선호를 통한 공급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울산광역시 공급정책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지역간의 주거환경, 교육여건 같은 주거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에 의해 남구와 여타지역의 가격차별화 진행상황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분양권 전매와 투기적 가수요로 촉발되는 일련의 부동산투기와 관련해서는 규제와 처벌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기에 남구에 집중되고 있는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가수요 억제와 지역분산 정책 등 투기예방 정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pply and demand of housing market in the region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ainst the national capital region. So it must be analyzed separately. Ulsan became a metropolitan city in 1997. As a result we haven't had sufficient and organized information on housing market for metro-city Ulsan. In recent 5 years, however, the many apartment houses have been built in Ulsa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housing market in Ulsan. And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using market in Ulsa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in Ulsan. Through it, this paper brings guides of housing policy for Ulsa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First of all, Housing market-range is demarcated by the findings on inquiry of transit commuter to work and study from adjacent cities (Busan, Yangsan, Gyungju, Milyang, Chugdo) to Ulsan. 2) The investigation of the dynamic statistics of population, housing supply, and apartment price. 3) The research on the housing preferences in Nam-Gu, Ulsan by an opinion survey. 4)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throughout Ulsan. And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in Namgu, Ulsan and Uljugun, Ulsan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V10.0. Analyzed Data are housing price index in Ulsan on the Kook-Min Bank, housing price in Namgu and Uljugun, Ulsan on the Budongsan Bank. Through these analyses, effect-range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was confirmed in Ulsan. As the results, it brings forth the housing service guides, and guides on housing policy, investment by verifying imaginary demand in Ulsa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Housing market-range demarcates on metropolitan city, Ulsan 2) The population have grew since 1997. As farming regions are changing into urban use, housing market value will steadily grow. Because the price of land is low, the insurance of the sites for development is lucrative. However, unsold apartments augment in an alarming way, and the apartment price, too. These mean an unstable housing market in Ulsan. 3) The bigger dining-room than main living-room had a high rate of preference. The dis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saw the highest rate on lack of the parking place and green area.

      •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 사회성 발달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원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미디어 중독 포함), 사회성 발달(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 및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중등 영재아동 322명과 울산광역시 강남·강북 교육청 소속의 초·중등 일반아동 344명으로 총 666명이었다. 연구목적에 근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중독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제행동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사회성 발달은 어떠한가? 3-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미디어 중독은 어떠한가? 3-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가정에서의 TV 평균 보유수가 높았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비디오와 핸드폰 보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와 신문의 평균 보유수는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문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미디어 중독, 문제행동 간에는 각각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은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성 발달이 높았으며, 미디어 중독은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아동의 경우, 핸드폰 게임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성 발달이 낮고, 미디어 중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 시청시간과 컴퓨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TV 시청시간과 게임을 제외한 컴퓨터 사용, 컴퓨터 게임, 핸드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서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including the media addiction), social development(relationships with peer group and teacher),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ose in ordinary children. Three hundred and twenty two gifted children who attend either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or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t UOU and 344 ordinary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ge, and gender in the media use of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at of ordinary children?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1. How is the social development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2. How is the media addiction i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2-3. How is the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Descriptive and inferential analyse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dia us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Average number of TV at home was higher in ordinary children than that in gifted children. The opposite trend was revealed in the number of computers and newspapers at home and reading time.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Girls have more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than boys. With age children use more newspapers. Second, there were similar patterns of correlation among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both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As expected, social development and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both group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social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media addiction. In case of the ordinary childr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use, computer game use, cellular phone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time and media addiction.

      •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

        황은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간식시간 및 이야기 시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자발발화를 촬영하였다. 이러한 발화 자료를 전사한 후 총발화수를 산출하고, UTagger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 어휘다양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 및 지능, 어머니 언어입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언어발달,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언어입력이 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언어발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과 관련하여 다른낱말수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분석에서 평균발화길이는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표 및 전체 IQ 수행에서 유동추론지표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과 지표 및 전체 IQ수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 언어입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에서 여아의 어머니 보다 남아의 어머니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 언어입력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지표 및 전체 IQ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디섯째,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지능 소검사, 지표 및 전체 IQ 수행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어머니 언어입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60%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전체낱말수에 의해 16%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17%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컨대 유아의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유아 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처리속도지표만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처리속도지표가 가장 밀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의 언어입력은 유아의 언어발달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지능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아 지능보다 유아 언어발달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표집, 전사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이 크다고 알려진 자발화 분석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화자료 분석을 통해 언어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본 다수의 연구들과 달리 유아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조선후기 울산지역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 연구 : -과부의 재혼 사례를 중심으로-

        황진섭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87

        Neo-Confucianism that had influences on the Joseon society placed importance on widows' remaining chaste. King Seongjong enacted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which prevented descendents of remarried widows from holding a government office. The act was discussed agai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who refused to revise the act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the late king's decisions must be kept intact despite appeals to allow remarriage. Negative perceptions of widows' remarriage started to emerge in the upper class in the society and spread to the lower class over time. As commoners copied the ideas and acts of noblemen, the custom of tabooing the remarriage of a widow settled down across the society. Commoner widows, however, got remarried for various reasons as they needed a new husband that was capable of economic activities and would protect them from external risks in order to survive. Early studies on the remarriage of widows during Joseon focused on examining the reality of remarriage among noble widows by interpreting the enactment process of "Act on the Restriction of Remarriage"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and the provisions of "Gyeonggukdaejeon." Studies on commoner widows began in the early 2000s as researchers obtained access to data about commoners following the computerization of family registers. There are "Sorins" and "Sorinnyeos" related to widows i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currently under the process of computerization.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relative, and common law marriage. Female Sorins had the nature of subordination & employment, divorce, and common law marriage. Male Sorins were found in 1672~1708, but their records were missing between 1708 and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began to rise in numbers in 1729 and increasingly focused o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hen the data of "Sorins"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was put together, it seems that Sorins had the strong nature of a dependent other than a member of one's own family. In cases where "Sorins" remained in a household for a long term,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servants and farmhands and became definite members of the household. In other cases where relatives of the head of household or wife were converted into "Sorins," they referred themselves to the household or would soon become independent from the household. In the last cases where "Sorins" included Yugaes with female Sorins converted into Guhwalbis later, they were not acquainted with the head of family or wife. These findings raise a high possibility that "Sorins" were not fit to be members of a household. The term, male Sorins, was used to indicate relatives and common law marriage since the middle 18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e to the number of male Sorins us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from the period before the middle 18th century. Female Sorins made a rapid increase in the middle 18th century, and most of them were used to indicate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Male Sorins disappeared from the census register in 1792, and their female counterparts did in 1789. The extinction of male Sorins was an outcome of the government's efforts as it preferred the head of household being recorded as male. The extinction of female Sorins happened as their role was transferred to "Sorinnyeos." The term "Sorinnyeos" was first found in 1753. Its records surged along with the number of female Sorins, who had the same nature as "Sorinnyeos." Unlike female Sorins that disappeared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Sorinnyeos" maintained a certain number since then, which suggests that the principle of using only "Sorinnyeos" in records settled down after the mixed use of female Sorins and "Sorinnyeos." "Sorinnyeos" recorded in common law marriage relations were remarried widows. There wer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Uijanyeos" lived in the same household as mothers and their daughters. In other cases, "widow heads of household and male Sorins" were converted into "widower heads of household and Sorinnyeos." These findings show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Sorinnyeos" rather than wives after remarriage. There were, however,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The fact that widows were recorded as wives means that their remarriage was recognized as official marriage. The study examined cases in which "Sorinnyeos" were converted into wives and found that remarried widows remained as "Sorinnyeos" for different durations. The reason can be estimated from the cases in which "Sorinnyeos" and concubines were converted into each other. Concubines were not recognized as formal wives. When remarried widows belonged to the same category as concubines, they must have received lower treatments than formal wives despite their same position,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facts that a "Sorinnyeo" promoted her position as a wife by recording the maternal grandfather of the former wife's child as her father and that the tendency was high when "Sorinnyeos" were alive. The terms "Sorins and Sorinnyeos" were used overwhelmingly among the common people especially under the Jungin class. The main recorders of family registers wrote down remarried commoner widows as "Sorinnyeos." Given the fact that the term "Sorinnyeos" was used among the common people, the remarriage cases were the most in commoner men in their sixties and commoner women in their early forties. Men needed remarriage even in old age as they remained as heads of household for tax collection and labor requisition. Women were able to live as mothers in the households of their grown-up sons. "Sorins and Sorinnyeos" also show changes to the members of remarried families. The records of Uijanyeos and relatives of Sorinnyeos disappeared in remarried families over time, which shows the changing practice oriented toward a male-dominant society.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of a paternal line-centered society also penetrated into the common people of Ulsan.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also brought changes to the noblemen of Ulsan. The main recorders of "Sorins and Sorinnyeos" in family registers were noblemen, who tried to reflect the immoral idea of remarriage on the census register by extinguishing "second wives" recognized as formal wives and recordings "Sorinnyeos." They used Sorinnyeos as a tool to enlighten common people to have the chastity consciousness and propagate their own chastity consciousness. Despite these actions of noblemen, the common people continued to practice remarriage actively, which suggests that the chastity consciousness had not penetrated into the entire society yet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short, "Sorins and Sorinnyeos" offer clues to figure out how much influence the Neo-Confucian ethical beliefs had on the society of Ulsan along with the timing and methods of their influence. The census register reflects the lifestyles of people those days and the ideas of main recorders, which raises a need to employ a high-dimensional perspective to examine the contexts of changes beyond the one-dimensional perspective based on statistical numb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of the past and sympathize with it.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친 성리학은 과부들의 수절을 중요시했다. 성종은 과부들이 재혼하면 자손들이 관직을 받지 못하는 ‘재혼제한법’을 제정했다. ‘재혼제한법’은 연산군 때 다시 한 번 논의가 되었다. 연산군은 재혼 허가를 요청하는 상소에도 선왕이 결정한 일은 고칠 수 없다는 의견에 따라 법을 개정하지 않았다. 사회의 상위 신분 계층이 가지기 시작한 과부의 재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시기가 지날수록 하위 신분 계층으로 확대되었다. 평민들이 양반들의 사상과 행동을 모방하면서 과부의 재혼을 금기시하는 풍속이 사회 전반에 정착해나갔다. 하지만 평민 과부는 다양한 이유로 재혼을 했었다. 자신이 먹고살기 위해서 경제적 활동이 가능하고,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 줄 새로운 남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과부의 재혼에 대한 초기 연구는 조선전기에 있었던 ‘재혼제한법’의 입법화 과정과 『경국대전』 법조문의 해석을 통한 양반 과부의 재혼 실상을 파악하는 것에 주력했다. 평민 과부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부터 진행되었다. 호적 전산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평민에 대한 자료가 확보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전산화 사업이 진행 중인 『울산부호적대장(蔚山府戶籍大帳)』에는 과부와 관련 있는 ‘솔인(率人)ㆍ솔인녀(率人女)’의 존재가 확인된다. 18세기 중반 이전의 남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친족,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은 예속ㆍ고용, 이혼, 사실혼의 성격을 가졌다. 남성 솔인은 1672~1708년 사이에 확인되지만 그 이후부터 18세기 중반까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여성 솔인은 1729년부터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점차 사실혼 관계에 집중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18세기 중반 이전 ‘솔인’의 자료를 종합해본다면 객식구(客食口)의 성격이 강하다. ‘솔인’이었던 사람이 장기적으로 호에 존속하는 사례는 전부 노비(奴婢)ㆍ고공(雇工)으로 전환하여 명확한 호의 구성원이 되었다. 반대로 호주(戶主) 또는 처(妻)의 친족이 ‘솔인’으로 전환되는 사례는 잠시 몸을 의탁하거나 조만간 호에서 독립하는 경우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솔인’ 중에 유개(流丐)가 포함되어 있고, 후에 여성 솔인이 구활비로 전환되는 사례는 호주 또는 처와 ‘솔인’이 서로 면식이 없는 관계라는 점을 알려준다. 따라서 ‘솔인’은 호의 구성원으로 적합하지 않는 인물을 나타냈을 가능성이 높다. 18세기 중반 이후의 남성 솔인은 친족과 사실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18세기 중반 이전과 비교하면 사실혼의 관계에 사용된 남성 솔인이 증가한 특징을 보인다. 여성 솔인은 18세기 중반부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 사실혼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남성 솔인은 1792년, 여성 솔인은 1789년 이후로 호적대장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남성 솔인의 소멸은 호주가 남성으로 기재되기를 선호한 정부의 노력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되며, 여성 솔인의 소멸은 ‘솔인녀’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솔인녀’는 1753년부터 확인된다. 여성 솔인과 함께 수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 솔인과 ‘솔인녀’는 서로 동일한 성격을 가졌다. 여성 솔인이 18세기 후반 이후로 소멸되는 것과 달리 ‘솔인녀’는 그 이후에도 일정한 수를 유지했다. 이는 여성 솔인과 ‘솔인녀’가 병행되어 사용된 시기를 지나 ‘솔인녀’만 사용하도록 하는 원칙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실혼 관계로 기재된 ‘솔인녀’는 재혼한 과부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솔인녀’와 ‘의자녀’가 서로 친모의 관계로서 같은 호에 존재하며, ‘과부 호주와 남성 솔인’ 호가 ‘홀아비 호주와 솔인녀’로 전환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부는 재혼을 하면 처가 아닌 ‘솔인녀로’ 기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솔인녀’가 처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처로 기재된다는 사실은 과부의 재혼이 정식 혼인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가진다. ‘솔인녀’가 처로 전환되는 사례를 살펴보면, 재혼한 과부가 ‘솔인녀’로 존속하는 기간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솔인녀’와 첩이 서로 전환되는 사례를 통해 그 이유를 유추해볼 수 있다. 첩은 정식 아내로 인정받지 못했다. 재혼 과부가 첩과 같은 범주에 속했다는 것은 정식 아내의 위치에 있었지만 그보다 낮은 대우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솔인녀’는 전처 자식의 외조를 자신의 친부로 기재해 자신이 처의 위치에 있음을 표현했으며, ‘솔인녀’가 생존해있을 때 그러한 경향이 높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해 준다. ‘솔인ㆍ솔인녀’는 중인 이하 신분층 특히, 평민 계층에서 압도적으로 사용되었다. 호적 작성의 주도층은 평민 재혼 과부를 ‘솔인녀’로 기재한 것이다. ‘솔인녀’가 평민층에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고 살펴보면, 평민 남성은 60대에 재혼하는 인원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 초반이 가장 많았다. 이는 남성은 조세 수취와 역의 징발 대상으로 호주인 상태로 남아있어 노년에도 재혼이 필요하지만 여성은 장성한 아들의 호에서 어머니의 삶을 살아갈 수 있었던 차이점으로 보인다. ‘솔인ㆍ솔인녀’는 재혼가정의 구성원의 변화도 보여준다. 시기가 지날수록 의자녀 기재와 솔인녀의 친족들이 재혼가정에서 사라지는 현상에 주목하여 남성 중심 사회를 지향하는 관행의 변화를 확인했다. 울산지역 평민 계층에도 부계 중심 사회의 성리학적 윤리관이 침투한 것이다. 성리학적 윤리관은 울산지역 양반층에도 변화를 주었다. ‘솔인ㆍ솔인녀’라고 호적에 작성하는 주도층은 양반층이다. 그들은 정식 아내로 인정되는 ‘후처’를 소멸시키고 ‘솔인녀’를 기재하여 재혼을 부도덕하게 여기는 관념을 호적대장에 반영하고자 했다. ‘솔인녀’는 평민들이 정조의식을 가지게 만드는 계몽을 위해, 자신들은 정조의식을 가지게 보이게끔 선전하는 도구로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양반층의 행동에도 평민층은 지속적으로 활발한 재혼 관행을 유지한 것으로 보아 19세기 초에는 아직 정조의식의 침투가 사회 전반에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솔인ㆍ솔인녀’는 울산지역에서 성리학적 윤리관이 어느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사회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는 단서라고 말할 수 있다. 호적에는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작성 주도층의 관념이 담겨있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서는 통계 수치를 활용한 1차원적인 관점에서 더 나아간 변화의 맥락을 살펴보는 고차원적인 관점이 요구될 것이다.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287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보육교사와 2세 영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곽미승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287

        Physical contact with infants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ir developmen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daily physical contact on the development of two-year-old infant of child care teacher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natural daily physical contact and playfulness on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even if teachers do not plan and implement physical contact pla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achers’ perceived daily physical contact with two-year-old infant, playfulness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general trend betwee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2-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s according to infants’ general characteristics? 2-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s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and playfulness on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14 to October 6, 2023, from two-year-old classroom day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five districts and counties in U. Metropolitan City and two-year-old infants. After complet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collect them, and a total of 16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158 were used as the final data, excluding three with responses. This study employed SPSS 29.0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scal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each factor was: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during daily operation had a mean value above the median, and infant problem behavior was generally low. playfulnes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contact, infant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based on the daycar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infant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and found partial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ub-variables. Fourth,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and infant playfulness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e emotional situation a sub-variable of physical contact between teacher and infant and physical spontaneity a sub-variable of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fant problem behavior, while social spontaneity a sub-variable of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during daily operation in daycare centers an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hysical contact in daily life is needed. Therefore,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promoting physical contact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childcare institutions. 영아의 신체접촉은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세 영아의 어린이집 하루일과에서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가지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교사가 신체접촉놀이를 계획, 실행하지 않더라도 일과 내 자연스러운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일과 운영 중 2세 영아와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 간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와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 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1. 영아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 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2.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 4.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과 영아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U광역시에 5개 구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세반 보육교사 와 2세 영아를 대상으로 2023년 8월 14일부터 10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완료 후에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재방문하여 수거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는 총 167부로,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한 158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은 SPSS 29.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각 척도에 대한 탐색 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일과 운 영 중 교사-영아 간의 신체접촉은 중간값 이상의 평균값이 나타났으며, 놀이성은 다 른 변인들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영아의 문제행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은 일반적 인 특성인 어린이집 유형, 보육교사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영아반 보육경력, 자격 증 유형, 자격증 취득경로, 전공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일 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 과, 하위변인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변인, 교사-영아 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의 상대적 영향력 살 펴본 결과,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하위변인인 정서 상황과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신체 적 자발성은 유의한 정적 영향,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발성은 부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에서 일과 운영 중 보육교사와 영아의 신체접촉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일과 운영 중 신체접촉의 영향력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 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가 보육기관에서 영아의 발달, 특성에 따라 적절한 신체접촉을 증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얼리어답터 측정방법에 따른 대학생 소비자의 유형화 :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강한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는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및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세 가지를 이용하여 얼리어답터를 측정하고 유형화 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ㆍ 여 대학생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질문지는 학교와 학생 수의 규모에 비례하여 울산대학교 330부, 울산과학대학 140부, 춘해대학 80부로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2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하고 5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유행선도력은 혁신성, 의견선도력, 정보탐색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측정하였다. 혁신성과 의견선도력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정보탐색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은 전문성, 경쟁력, 참신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는데 세 차원 모두 보통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이 대학생으로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즉 혁신성과 의견선도력 보다는 얼리어답터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많이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10~20대의 소비자들은 얼리어답터들을 동경하고 그들을 모방하려는 욕구가 강하므로 합리적인 구매습관이 요구된다. 남들보다 신제품을 많이 가지고 있고 구매력이 높아야만 얼리어답터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의 얼리어답터들은 자신에게 필요 없는 제품을 잘 보관해 두었다가 중고시장에 되팔아 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을 구매할 때에도 무조건적으로 구매하기 보다는 철저한 정보탐색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제품구입시기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35.3%), 조기대다수(34.7%), 비얼리어답터(30.1%)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평균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연령이 22세 이며 한 달 용돈으로 29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리어답터는 다른 유형에 비하여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행선도력을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는 의견선도자(15.3%), 유행선도자(16.1%), 비유행선도자(30.2%), 비의견선도자(38.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에서도 유행선도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신제품을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들은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고 있으며 한 달 용돈으로 31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15.4%), 비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전통적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신세대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31.0%)의 네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제품의 구입시기가 빠르며 유행선도력과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월평균 용돈이 31만원이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369만원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다섯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두 가지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참신성추구 유행선도자(34.5%), 비얼리어답터(26.7%), 얼리어답터(15.2%), 정보탐색 리더(23.6%)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며 한 달 용돈이 30만원 정도였다. 앞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얼리어답터는 다른 사람들보다 신제품을 일찍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해 본 결과 제품구입시기보다는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각각 이용하거나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측정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소비자를 분류하는 방식은 다소 기계적이었으나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얼리어답터의 다양한 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밝혀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과거에는 의류나 악세사리 등 특정제품에 얼리어답터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제품을 넘어 다양하고 넓은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생산자에게는 갓 출시된 제품의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재빨리 지적하여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의 교량 역할을 하면서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에 진정한 얼리어답터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and typified earlyadopters based on product purchasing tim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 size,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University of Ulsan, 140 to Ulsan College and 80 to Choonhae College, so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excluding 10 inadequately replied ones, 51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nalyzing collected data, we measured the subjects’ level of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their earlyadopter lifestyl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as measured in three sub-factors, namely, innovativeness, 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on search.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ere about average, and information search was somewhat high. Earlyadopter lifestyle was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namely, professionalism, competitiveness and originality, all of which were slightly above the average. This is probably because of college students’ low economic capacity. That is, they were pursuing earlyadopter lifestyle rather tha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However, because consumers in their 10s and 20s tend to envy earlyadopters and try to imitate them, they need to develop reasonable purchasing habits. It is because earlyadopt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new products and high purchasing power. In actuality, earlyadopters in Korea were found to preserve unnecessary goods and sell them in the secondhand market to buy what they need. They were buying new products prudently based on thorough information search rather than buying blindly. Second,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by product purchasing time, they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earlyadopters (35.3%), early majority (34.7%) and non-earlyadopters (30.1%).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their mean age was 22, and their mean pocket money per month was 290,000 won. Among the three types of students, earlyadopters were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ird, based o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pinion leaders (15.3%),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16.1%), non-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0.2%), and non-opinion leaders (38.4%). Of the four types,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st,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Fourth, based on earlyadopter lifestyle,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arlyadopter lifestyle (15.4%), non-earlyadopter lifestyle (26.8%), traditional leader lifestyle (26.8%), and new-generation leader lifestyle (31.0%). Of the four lifestyles, the earlyadopter lifestyle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the other lifestyle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lifestyle. The group of this style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and their monthly family income was 3,690,000 won on the average, much higher than other lifestyle students. Fifth,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using two criteria, namely,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riginality-pursuing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4.5%), non-earlyadopters (26.7%), earlyadopters (15.2%) and information search leaders (23.6%).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around 300,000 won on the average. Like the results of previous classifications, earlyadopt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other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students based on the four criteria as above, it was found appropriate to us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separately or use them jointly. While consumer classification methods in previous researches were somewhat mechanical,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 and explain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rlyadopters more realistically. In the past, earlyadopters’ interest was concentrated on specific products like dress and accessories, but recently their interest is being extended to wider areas including digital products. They provide consumers with correct information on products, and manufacturers with opportunities to correct problems in newly launched produ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Earlyadopters’ true value will be realized when they play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lead both them to winnings.

      • 일제강점기 울산읍의 시구개정에 관한 연구

        김성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87

        In this study for Ulsan, we considered synthetically the process of urban change and development, and analyze the influences of those on formation of present urban space with the view of urban History. The main objects to analyze are road improvement, water supplies and sewerages, and infrastructures of electricity, telephone, and communication related to urban planning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ical coverage of objects of this study is from 1912 (initial period of land assessment) to 1945 (initial time of liberation from Japan), and is divided into two periods that consist of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in accordance with tim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raise of a Eup at 1931. And Spatial coverage includes total 7 Dongs which is Gyo-dong, Bukjeong-dong, Boksan-dong, Seongnam-dong, Okgyo-dong, Haksan-dong, and Hakseong-dong in Jung-gu Division, the Old Downtown of Ulsan. We also analyzed the physical transformation process of Ulsan-Eup with several data which were compiled by authorities, such as 'the streets and sewage state aid papers at 1936' which was made during Japanese Occupation, as the main analyzed Objec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there was not synthetical city planning for development of city but the city development plan accordance with several single projects including planning project in Ulsan during Japanese Occupation. In the former term of urban planning of Ulsan, widening of roads and conversion of straight line were carried out by influence of instruction about urban planning that was instructed on 1912. In the latter term of urban planning of Ulsan, the infrastructure maintenances of urban planning and sewerage constructions were carried out because of acception of demand from the Ulsan-Eup authority to the superior office in accordance with raise of a Eup and close of Ulsan Airfield. And through the southern urban-space sprawl, we could find the settlement of 'Hakseongno', 'principal roads to the direction of east and west', because of development of east part of existing urban district, have capacity of development, was promoted such as a moving of Ulsan Station to eastward in which there is a lot of available site because of blocking by Taehwa river. We could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n land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road construction. I think this mean that the object of Ulsan urban planning is only for the Japanese economy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benefit of Japanese. Then, because of construction of station at former term and latter term of urban planning, urban district and road system were expanded with formation of scope of station around the Station. As stated above, the present urban structure of the Old Downtown of Ulsan has taken shape in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the urban structure formed in this period has only expanded and increased in Siz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urban planning work was carried out by demand from closing of air field. Second, urban planning was discontinued due to budgetary problem, so early 'old-plan' was ended with plan step. The construction of Hakseongno, 'new-plan', was carried out after change of planning. Third, it took total 30,000 won at the construction of first section of Hakseongno of which total length is 720m. The construction of a sewer system was carried out with construction of road of which width is 15m. Then, a loan were made up for construction financial resources. This a loan was set up as 'a special tax', and that was planed to refund of equalize for 15years. Fo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n land compensation price in accordance with road construction. Lastly, the road system and the urban district were expanded toward eastern part of existing urban district by formation of station scope because of construction of Station. 본 연구에서는 울산을 대상으로 근대적인 도시계획이 어떻게 변화, 발전되어왔는지를 종합적으로 고찰함과 아울러, 이것이 현재의 도시 공간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하는 것을 도시역사적인 시각으로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주된 분석 대상은 일제강점기의 시구개정과 관련된 도로개수, 상 · 하수도, 전기 · 전화 · 통신 등의 도시기반시설로 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의 시간적 범위는 1912년 토지사정시점에서부터 1945년 해방시점까지로 설정하였고, 1931년 읍(邑) 승격을 전 · 후하여 전기와 후기의 두 시기로 구분하였다. 또한, 공간적 범위는 현재 울산의 구도심인 중구 지역의 교동 · 북정동 · 복산동 · 성남동 · 옥교동 · 학산동 · 학성동 등 7개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1936년 시가도로 및 하수 국고보조 서류’ 등과 같은 일제강점기동안 생산된 울산관련 각종 관찬자료를 주된 분석대상으로 하여 당시 울산읍의 물리적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일제강점기 울산은 도시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도시계획이 아닌, 시구개정사업을 중심으로 한 개별 사업별로 도시개발 계획이 입안되고 추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울산의 시구개정사업 전기에는 1912년에 시달된 시구개정에 관한 훈령의 영향을 받아 도로의 확장과 직선화가 이루어지고, 후기에는 읍 승격과 울산비행장 폐쇄로 울산읍이 상부기관에 요구한 내용이 수용되면서 시구개정 및 하수공사 등의 기반시설정비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또한, 남쪽방향 시가지 확장은 태화강으로 차단되어 가용지가 많은 기존시가지 동쪽에 역이 이전되는 등 발전 여지가 큰 동쪽지역 개발이 추진되면서 동서간선도로인 ‘학성로’개설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도로개설에 따른 토지보상에서 일본인과 한국인사이에는 현격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울산 시구개정의 목적이 근본적으로 일본의 경제적 진출과 거주 일본인의 편익을 위한 것임을 알려준다고 생각된다. 또한, 시구개정 전기와 후기에 역이 건설되면서 도로가 새로 건설되고, 이로 인해 역 주변에 역세권이 형성되면서 도로망 확산과 함께 시가지가 확장되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울산 구도심의 도시구조가 현재와 같은 틀을 갖춘 것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이 시기 형성된 도시구조는 이후에 규모만 확장되었을 뿐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장폐쇄에 따른 요구로 시구개정사업(학성로)이 실시되었다. 둘째, 시구개정사업은 예산문제로 인해, 초기의 ‘구 설계’는 계획만으로 끝나게 되고, 계획 변경 후 ‘신 설계’인 학성로의 공사가 실현되었다. 셋째, 학성로의 제1구간 공사는 총공사비 3만원으로 총연장 720m, 폭 15m의 도로 축조와 함께 하수도 공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개설 재원은 기채를 발행하여 충당하게 되는데, 이 기채는 ‘특별세’로 15년간 원리균등 상환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넷째, 도로개설에 따른 토지보상비에서 일본인과 한국인은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역 건설에 따른 역세권 형성으로 도로망이 확산되면서 시가지가 기존 시가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