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강민준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프레스 헤밍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로봇 롤러 헤밍에 대하여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 직선 Curl 헤밍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헤밍 조건에 따른 공정변수를 바탕으로 평면부위는 직접 그리고, 곡면부위는 3D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렸다. 강판의 기계적 특성은 재료시험기 INSTRON을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통해 구하였다. 인장시험을 통해 얻은 Stress-Strain 선도를 바탕으로 True Stress - Plastic Strain 선도를 구하여 MSC.MARC에 입력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은 MSC.MARC(Pre-processor 와 Post-process는 MSC.MENTAT)를 통해 실시하였다. 먼저 회사에서 제공하는 실험 데이터 값의 가압력에 맞추어 직선 Flat 헤밍(3 Step, 4 Step)해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높이와 길이 값에 차이를 보였다. 롤러위치를 조금씩 조정하여 Pre 헤밍, Main 헤밍 가압력을 맞추는 방법으로는 해석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가압력 맞춤이 아닌 롤러높이를 실험값에 맞추어 그때의 가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값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아래 3가지 방법으로 해석을 실시하였다. 접힘 부분의 Mesh를 분할하여 보고, 길이방향과 넓이방향, 두께 방향으로 Mesh를 분할하여 보았다. Stress-Strain 선도를 0 < ε < 0.18 범위 데이터를 Curve Fitting하여 연장하거나 마지막 구간을 단순히 연장하여 사용하였다. Mesh 분할을 많이 할수록 해석 시간이 증가하고 너무 많은 요소수로 인하여 해석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외판 길이를 조정하였다. 직선 Curl 헤밍은 직선 Flat 헤밍의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의 길이와 두께는 평균적으로 가장 가까운 경우와 같게 하였다. 모든 해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회사에서 제공한 실험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가장 실험값에 근접한 해석 조건을 찾았다. Hemming, especially curl hemming, along the wheel housing is required for safety. Robot roller hemming is suitable for it. In this thesis, the flat hemming and the curl hemming along the straight profile i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program MSC.Marc to verify the hemming test results. Flanging is done prior to roller hemming. Roller hemming is done in three or four steps. The flange angle is initially 120 deg and becomes 0 deg finally. Finite element model is created in MSC.Mentat. The inner panel and the outer panel is modeled using 3-D solid elements and the roler is modeled using rigid surface. The finite element model yields less deformation than the real test.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changed until the hemming force is equal to the test results in steps except the final step. In the final step,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set to be quite close to the test results and the hemming force is determined. More elements are used to provide more sufficient degrees of freedom to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also the stress-strain curve is modified to be extraploated out of the tensile test range. In the final step, the plastic strain at the severely bent part goes over 0.50, but the tensile test ends at plastic strain 0.18. The modified finite element model yields more deformation than the previous model but the computing time increases. The final hemming force increases as the remaining hemming height decreases. It is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In the curl hemming, there is a case that the curl is not formed if the pre-hemming force is not sufficient. It is also the same as in the real test.
1970~1980년대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과 노동자의 생활
이경서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In this study, I summarized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major chemical fiber industry factories in the Ulsan region, such as Taekwang Industry, Tongyang Nylon, and Sunkyong Synthetic, and examines the specific labor conditions and everyday life of chemical fiber factory worker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experiences of chemical fiber industry workers that have not been well-documented in the history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fiber production labor. Since the liber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uth Korea in synthetic fibers due to their durability and versatility compared to natural fibers. However, at that time, South Korea did not have the infrastructure to produce chemical fibers domestically, so it relied on imports. Given the capital-intensive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nature of the chemical fiber industry,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was necessary to promote import substitution. Ulsan, which was designated as a industrial center in 1962, ha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chemical fiber factories. With the presence of large-scale petrochemical complexes and Ulsan oil refineries, various social overhead capital could be utilized, and it was suitable for diversifying future business ventures. The government played a role not only i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ompanies, factory construction approvals, and foreign capital import approvals but also in influencing the composition of corporate management and mediating conflicts between companie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factories that aligned with its plans. Private companies, while accepting the government's position, also sought ways to maximize their profits through share acquisition and new business proposals. The production process of chemical fibers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process, which involves chemical reactions to create fibers, 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involves processing and sorting fibers for specific purposes before packaging. The primary process required a certain level of engineering knowledge and was primarily staffed with a male worker who has graduated from colleg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process, which required less specialized knowledge or skills, employed workers who has not graduated from college and does not possess specialized technical skills. Among secondary processes, more labor-intensive and straightforward tasks were assigned to female workers with lower wages. Workers in the secondary process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switch to higher-paying jobs that required learning technical skills and faced challenges in promotions. The standard working condition for workers in each process was a 3-shift, 3-rotation schedule. Efficiency in production was paramount, so workers had to labor continuously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holidays. The ongoing factory work exacerbated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mong the worker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even to participate in scheduled training or lectures. Additionally, workers had to endure high temperatures, noise, and chemical odors in the production process field. Until the late 1980s,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received wages lower than the national manufacturing industry average, with a significant wag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Complaints and anger regarding these poor working conditions accumulated over time and were eventually expressed through labor disputes in 1987. Unmarried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residing in dormitories, faced difficulties in getting proper rest and maintaining a stable life. This was due to the varying commuting times of residents sharing the same room and the health and safety threats posed by smoke, dust from nearby factories, and industrial accident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Particularly in female dormitories, strict rules were enforced to control labor, and privacy invasion issues arose from incidents of male workers entering female dormitories and peeping into rooms.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workers, evening high schools and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s for worker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from the mid-1970s. However, in Ulsan, these options were limited. Evening high schools with company support had limited spots, and the broadcasting correspondence high school required workers to study on their own. Moreover, workers on a 3-shift rotation schedule found it challenging to attend classes or listen to scheduled lectures. In the chemical fiber factory, tasks were assign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gender. Female workers were mainly given physically demanding and less complex tasks within the same process as male workers. This division of tasks also created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 female workers having to tolerate condescending language and behavior from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workplace.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or self-perception of labor based on gender. For male workers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earing work uniforms was not considered embarrassing. In the southern district of Nam-gu, where the factories were located, showing work uniforms and identification cards could be used to receive credit, reflecting som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female workers' labor in chemical fiber factories was often seen as supplementary and was stigmatized by traditional gender roles. Many female workers themselves considered their factory work as something to be ashamed of and tried to hide it as part of their past. In a region where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was transitioning from primary industries to a male-dominated heavy chemical industry, chemical fiber factories in Ulsan provided ampl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women. However, their work was often perceived as secondary labor. Furthermore, the societal perception of being temporary, auxiliary labor, and the self-perception that factory labor itself was demeaning, made it challenging for female workers to develop their own class consciousness. Additionally,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ity further reduced the presence and status of female workers in Ulsan's chemical fiber factories. As a result, the organized actions of female workers, which were seen in other urban industrial sites, did not occur in Ulsan, and the existence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and 1980s was forgotten in the history of Ulsan's industrialization. 이 논문에서는 울산지역 화학섬유산업을 대표하는 태광산업, 동양나이론, 선경합섬 공장의 건설 과정을 정리하고 화학섬유공장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노동 조건 및 생활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 산업화 역사에서 정리되지 않았던 화학섬유산업 노동자들의 경험을 복원하고 화학섬유 생산 노동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했다. 해방 이후부터 천연섬유에 비해 내구성과 활용도가 좋은 화학섬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 우리나라에는 화학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화학섬유 수요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야만 했다. 화학섬유산업은 산업 특성상 고도의 기술과 대자본이 필요했기 때문에 수입대체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울산은 1962년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어 화학섬유공장이 건설되기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대규모 석유화학공단과 정유공장이 조성되어 있어 여러 가지 간접 자본을 활용할 수 있었고 향후 사업의 다각화를 모색하기에도 적합했다. 정부는 민간 기업의 법인 설립, 공장 건설 승인, 외자 도입 승인 과정뿐만 아니라 회사의 운영진 구성, 기업 간 갈등 중재 과정에도 개입하여 정부의 계획에 부합하는 공장 건설을 유도했다. 민간 기업은 정부의 입장을 수용하여 울산공장 건설 허가를 얻는 한편 지분 인수와 새로운 사업 구상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나갔다. 화학섬유의 생산 공정은 화학반응을 일으켜 섬유형태로 만드는 선공정과 용도에 맞게 섬유를 가공하고 선별한 후 포장을 하는 후공정으로 나뉜다. 선공정에서는 공학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에 주로 공채를 통해 대졸 남성이 채용되었다. 반면 후공정일수록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졸 미만의 노동자들이 배치되었다. 후공정 중에서도 보다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는 임금이 저렴한 여성노동자에게 배정되었다. 후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은 기술을 배워 고임금을 받는 직종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고 승급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각 공정에 배치된 노동자들의 근무 조건은 3조 3교대가 기본이었다. 생산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공장을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노동 역시 휴일의 구분 없이 계속되었다. 계속되는 공장 노동은 노동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가중시켰고 정해진 시간에 실시되는 교육이나 강의에 참여하는 것조차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들은 생산 현장에서 매우 뜨거운 열기와 소음, 화학 약품 냄새를 견뎌야 했다. 임금 측면에서도 1980년대 후반까지 전국 제조업 평균 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았으며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의 임금에는 큰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열악한 노동 조건에 대한 불만은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1987년 노동쟁의를 통해 표출되었다. 울산지역 화학섬유공장 미혼 노동자들이 거주하는 기숙사에서는 숙면을 취하거나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웠다. 같은 방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출퇴근 시간이 제각각 달랐고 인근 공장의 매연과 분진, 공단 내 안전사고로 인해 건강과 생존까지 위협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 기숙사에서는 엄격한 생활 규율을 통해 노동 통제가 이루어졌고 남성노동자의 기숙사 침입과 방 엿보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 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노동자들의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70년대 중반부터 전국적으로 노동자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만들어졌지만 울산에는 타도시보다 늦게 야간 고등학교와 방송통신고등학교가 마련되었다. 그런데 화학섬유공장의 노동자들은 그것조차 제대로 다니기 힘들었다. 회사의 지원을 받아 다닐 수 있는 야간 고등학교는 인원이 한정되어 있었고 방송통신고등학교는 개인의 힘만으로 공부를 해나가야 했다. 또한 잔업이 잦은 3교대 근무 노동자가 출석 수업에 나가거나 일정한 시간에 방송되는 강의를 청취하는 것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남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가 배치되는 업무에는 위계가 존재했다. 여성노동자들은 같은 공정 내에서 남성노동자들보다 훨씬 더 노동집약적이고 단순한 업무에 배정되었다. 업무의 차이는 관계의 위계로도 이어졌고 작업 현장에서 여성노동자들은 남성노동자들의 무시하는 말투와 행동을 참아가며 일해야 했다. 젠더에 따라 노동 경험에 대한 사회적 또는 자기 인식에도 차이가 있다. 화학섬유공장에 다니는 남성노동자들에게 공장 작업복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었다. 또한 공장이 위치한 남구 일대에서는 작업복과 신분증을 보여주면 외상 취식이 가능했을 만큼 지역사회 내에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의 공장 노동 경험은 전통적 성별 분업 논리에 의해 보조적인 노동력으로 인식되었고 여성 스스로도 공장 노동을 수치스럽고 숨기고 싶은 과거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화학섬유공장은 도시의 산업 구조가 남성 중심의 중화학공업으로 바뀌어가는 지역에서 여성이 대거 취업할 수 있는 공장이었다. 하지만 화학섬유산업의 특성상 여성노동자의 노동은 중심 공정에서 소외되었다. 또한 일시적, 보조적 노동력이라는 사회 인식과 공장 노동 자체가 수치스러운 것이라는 자기 인식은 여성노동자들이 스스로의 계급의식을 각성해나가기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노동자로서의 의식을 자각하기 어려웠던 회사 내 분위기, 퇴근 후 다시 본가로 돌아가 농사일을 돕거나 돌봄 노동을 이어나가야 했던 개인 형편, 도시산업선교회나 학생운동가가 부재했던 지역적 상황도 여성노동자들의 비판의식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시의 산업 구조는 완전히 중화학공업 중심으로 바뀌었고 여성노동자의 존재와 위치는 더욱 축소되었다. 그 결과 울산지역의 화학섬유공장에서는 타 도시의 경공업 사업장에서 보이는 여성노동자들의 조직적 실천이 이루어지지 못했고, 1970~80년대 여성노동자의 존재 자체마저도 울산지역 산업화의 역사에서 잊혀졌다.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울산광역시 중구 일원 홍수저감 대책들의 효과 분석 : 울산광역시 중구 일원 홍수저감 대책들의 효과 분석
이대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과거 태풍“차바”피해를 입었던 태화지구일원에 대해 관망해석 모형인 PCSWMM(Personal Computer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적 용하여 침수 현상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홍수저감 대책들(펌프장, 고지배수터널, 저 류지, LID(Low Impact Development)시설)에 대해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 경우 에 대해 침수면적, 수위 및 첨두유량 등을 모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태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현장조사 및 하수관망도, DEM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PCSWMM 모형을 구축하였 다. 펌프용량 1700 ㎥/min, 고지배수터널 D4,000, L=260 m, 무지공원(저류지: V=96,000㎥), LID시설은 식물재배화분(293개소), 식생체류지(74,784㎡), 투수블 록(84,274㎡), 식생수로(2,624m), 침투측구(253m), 침투빗물받이(194개소) 등으 로 시나리오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나리오는 크게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종 13개 시나리오로 나누어 과거 “차바”사상에서 발생했던 침수면적, 수위, 유입량의 결과와 비교하고 각 대책들의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PCSWMM을 통한 각각의 시설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 소유역별로 LID시설을 설 치한 경우 초기침투는 0.6mm/hr가 발생하여 지하수로 유입되었으며, 고지배수터널 및 무지공원(저류지)과 혼용하여 계획한 경우 다른 홍수 저감 대책들보다 50% 저 감 효과를 보였다. 주요어 : LID, PCSWMM,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대책
고용·산업별 청년인구 유출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지역 취·창업 및 제조업 종사 여부를 중심으로
박순철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청년인구 유출의 실태와 원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현상을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청년인구 유출 문제를 자연스럽고 막을 수 없는 현상으로 간주하기보다는 지역 청년들의 타 지역으로의 유출 현상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고용 여부(취·창업자와 구직자로 구분)와 제조업 종사 여부(제조업과 비제조업 종사자로 구분)에 따른 청년들의 이주 의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울산연구원이 2020년과 2023년에 실시한 청년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직장(직업) 요인, 정주여건, 교육환경 등이 울산지역 청년인구의 타 지역 이주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지역 청년들의 취·창업 여부와 청년들이 인식하는 일자리 분야 만족도는 울산지역 청년인구 유출을 완화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이러한 일자리에 지역의 청년들이 취업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량을 길러주고, 취업정보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년들의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울산지역을 떠나 무조건 타 지역으로 이주하겠다고 응답한 청년들의 비율이 낮아지고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지역 청년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노력이 있다면 그러한 노력은 청년들의 타 지역으로의 유출 문제를 일정 부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울산지역에서 취·창업한 청년들의 경우에는 이직 의도를 낮출 수 있어야 울산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의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부모로부터 독립된 삶을 살아가거나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무조건 또는 기회가 되면 울산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할 예정이라고 응답할 비율이 낮기 때문에 취·창업한 청년들이 독립된 가정을 꾸리고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릴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울산지역에서 학생 신분이거나 취·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들이 취업 시 기대하는 연봉이 높을수록 또는 대기업 취업을 희망할수록 무조건 또는 기회가 되면 울산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할 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좀 더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제조업 종사자 여부에 따른 타 지역 이주 의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에 종사하는 청년일수록 무조건 또는 기회가 되면 울산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할 예정이라고 응답할 확률이 낮은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제조업 종사 여부는 울산지역 청년들의 타 지역 이주 의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고 연관산업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확장성이 큰 지식정보산업이나 첨단기술기반 산업을 육성하여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여성 청년들의 이주 의지가 높고 울산지역 청년의 성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여성친화적 일자리(서비스업, 물류 및 유통업, 문화관광 산업 등)에 대한 특별한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울산은 제조업 종사자 비중이 높고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도시인 만큼제조업 종사자의 근로여건과 근무환경 개선에 주력하여 이직 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넷째,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타 지역 이주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육아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 마련과 시와 구·군의 역할 분담에 따른 체계적 시행이 시급한 과제이다. 다섯째, 청년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2023년 청년 응답자의 경우, 무조건 울산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주하겠다고 응답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청년의 요구와 참여에 기반한 청년정책의 일관성 있는 추진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에도 지역 청년들의 거주지 선택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인과관계 추론과 증거기반 정책(evidence-based policy) 수립을 위해 패널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적 특성이 청년들의 이주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축적과 분석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본 연구에서는 강조하고자 한다. 주제어: 청년인구, 청년유출, 고용, 제조업, 울산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김남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새로운 문화권에 적응을 하며 자녀양육을 하게 되어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심리적 위축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과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을 살펴보고,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양육 특성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불안) 후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의 검사 시기에 맞춰 사전-사후검사만을 실시하였다. 부모지원프로그램은 회기 당 1시간이 소요되는 8회기의 교육이며, 매주 2시간씩 총 8시간 교육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거주기간과 출신국가에 따라서 양육지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합친 전체에서는 양육지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출신국가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동북아시아(중국, 일본, 몽골) 출신 어머니가 동남아시아(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출신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다. 불안은 통제집단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연령과 주 사용언어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불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향상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강의와 시청각자료, 반복학습이 가능한 본 프로그램의 방법이 양육지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넷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본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발달 특성과 기질을 이해하며 자신감을 회복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하여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양육지식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비교적 단기에 걸친 양육지식 등에 관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주요어: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 특성, 심리적 특성, 부모지원프로그램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적 지역거버넌스의 구현 : 울산의 지역거버넌스 사례를 중심으로
권필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노무현정부 들어 지방분권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분권이 지역의 민주화와 함께 진행되지 못한다면 지방의 성장연합에 의해 왜곡된 지역 개발의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 이는 지난 10여년간의 지방자치의 과정에서 충분하게 학습하였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민주적 지역거버넌스가 제기된다. 민주적 지역거버넌스는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의 주민들이 소외되지 않고 참여하여 지역의 문제를 함께 결정하고 실행해 나가는 통치 양식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울산 지역거버넌스의 사례를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통해 ‘민주적 지역거버넌스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례분석을 위해 울산 지역거버넌스를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와 시민사회가 요구한 지역거버넌스, 갈등현안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지역거버넌스에 대해 이해당사자의 참여, 내부 파트너쉽과 네트워크 활성화, 제도적 문제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는 울산지역혁신협의회와 푸른울산21 환경위원회를, 시민사회가 요구한 지역거버넌스는 동구 주민참여예산제를, 갈등현안 해결을 위한 거버넌스는 북구 음식물 자원화시설 시민배심원단과 울산 건설플랜트 사태의 사회적 합의를 사례로 하여 조사하였다. 시민사회 요구는 대체로 지역사회의 민주화에 대한 문제 제기가 많다. 시민사회 요구 지역거버넌스는 시민참여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사회를 민주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비해 중앙정부 주도 지역거버넌스는 중앙정부의 풍부한 제도적 역량을 동원해 지역 발전의 비전을 제시하는 능력은 있으나 지역의 현실을 고려하거나 지역 주민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부족하다. 그리고 지역의 민주화가 병행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개발주의의 도구로 전락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지역거버넌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중앙정부 주도의 지역거버넌스를 지역에 정착 시키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이런 두가지의 지역거버넌스 유형을 잘 결합시켜 나가는것이 중요하다. 갈등현안 거버넌스는 갈등을 사회변화의 원동력으로 만들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제대로 살리지 못해서 안타깝다. 갈등의 발생원인 중 가장 큰 것은 지방자치단체가 제대로 자신의 역할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충분하게 자신의 역할을 했음에도 이런 갈등이 발생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했다면, 합의 이후 다시 갈등이 발생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회적 합의의 핵심은 신뢰인데 출발부터 신뢰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사회적 합의가 제대로 유지되기는 어렵다. 당위론적 이야기일 수 있지만, 참여의 전제조건은 ‘자기결정권한이 얼마나 보장되는가’에 있다. 그런 점에서 지방정부가 시민에게 자기결정권한을 양보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지역거버넌스의 구현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는 지방정부가 자기결정권한을 시민들과 공유하도록 요구하여야 한다. 시민사회단체가 새로운 권력을 만들 능력은 없지만 행정을 견제하면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역할을 할 수는 있다. 결론적으로,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적 지역거버넌스의 실현은 직접 민주주의에 가까운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참여민주주의는 권위적인 일방적 통치를 대체함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의 부패, 환경파괴, 개발이익 독점 등을 완화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할 것이다. Decentralization of the cental government is emphasized recently. However, local community is distorted by local growth coalition while democratization cannot be implemented. Local governance is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look up a implement plan a democratic local governance by people's participation through investigations of a Ulsan local governance. Ulsan local governance is classified to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a civil society demand local governance', 'a local governance for trouble solution'. It is analyzed an each local governance about participation of a stakeholder, an inner partnership and network activation, institutional issue.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investigated the Ulsan regional innovation council and the Green Ulsan 21. And 'a civil society required local governance' investigated the Ulsan Dong-gu's inhabita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And 'local governance for trouble solution' investigated the Ulsan Buk-gu's civil jury and the social agreement of the Ulsan plant labor union. It is a important at local sustainable development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demand local governance'. However it is formal. 'A civil society demand local governance' participation is activated. It is necessary for these local governances connect through people participation. A prerequisite of participation is this whether there is own decision authority. The government shall concede own decision authority to people. And a civil society organization shall be active so as to be responsible in order to realize various local governances. Realization of a democratic local governance i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democracy that approached in a direct democracy. A participation democracy substitutes for the rule one-sided an authoritarian, and relieve local corruption, the environmental disruption, development profit monopoly etc., and will make a local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이나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울산옹기축제가 외고산 옹기마을에 조성된 배경 중 가장 큰 요인은 옹기 장인들이 모여 있는 마을이자 옹기로 특화된 공간이라는 점이다. 외고산 옹기마을이라는 장소의 공간적 실체에서 느끼는 정서적 느낌과 옹기마을이라는 특정 장소에서 개최되는 독특한 장소성이 결합된 울산옹기축제는 울산의 대표 문화관광자원이라 할 수 있다. 울산광역시와 울주군은 산업사적 의미와 문화유산적 가치를 동시에 지닌 외고산 옹기마을에 주목하고 옹기마을을 문화관광자원화하기 위한 사업을 시작했다. 이로써 울산옹기축제는 마을단위 축제 필요성에 의해 탄생하게 됐다. 하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외고산 옹기마을은 옹기사양화로 인한 옹기 산업 침체와 고령화로 인한 경제적 낙후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울산옹기축제 역시 킬러콘텐츠 확보에 대한 문제가 매해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의 조성배경과 현황,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이는 외고산 옹기마을에서 울산옹기축제가 조성된 배경 요인, 그리고 외고산 옹기마을의 침체 요인, 문화관광체육부 및 울산옹기축제 자체 총평을 통해 세 가지를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소마케팅을 통한 킬러콘텐츠 강화 방안으로 외고산 옹기마을 내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옹기마을 산업 유산인 영남요업 보존에 주목해 보았다. 둘째, 무형의 유산을 전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전통 옹기기술과 옹기 장인, 그리고 옹기마을 시설 및 장인공방을 활용한 후계양성 및 창업으로 연계할 수 있는 옹기문화 인프라 프로그램 구축이 그 하나이다. 셋째, 지역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주민참여형 발전방안으로 옹기의 사장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젊은 세대 유입책과 축제 내 주민기획단 활용 등 지역 주민 참여 기회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 가지 방안이 상호보완을 이루었을 때,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의 궁극적인 목표인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득 창출, 지역 브랜드 가치 상승, 옹기문화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나, 현실에 적용 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법제시에는 한계가 있었다. 앞서 제시한 발전 방안에 대한 함의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외고산 옹기마을과 울산옹기축제에 활력을 되찾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축제, 외고산 옹기마을, 울산옹기축제, 문화관광축제, 축제 활성화 전략 The main factor behind the establishment of the Ulsan Onggi Festival in the Oegosan Onggi Village is that it is a village where Onggi artisans gather and a space specialized in Onggi Village. The Ulsan Onggi Festival, which combines the emotional sensation felt in the spatial entity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nique locationality held in the specific location of Onggi Village,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cultural tourism resource of Ulsa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Ulju County began to take notice of Oegosan Onggi Village, which has both industri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cultural heritage value, and began a project to turn Onggi Village into a cultural tourism resource. As a result, the Ulsan Onggi Festival was born out of the need for a village-wide festival. However, more than 20 years later, the Oegosan Onggi village is still faces the problem of stagnation and economic decline due to aging of the Onggi industry due to the decline of the Onggi industry, and the issue of securing killer content is also pointed out every year at the Ulsan Onggi festival.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reation of Oeosan Onggi Village and Ulsan Onggi Festival, and present ways to activating them through this. Then, what is needed to activating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Three development strateg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background factors behind the creation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the factors behind the decline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a general review by the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nd Sports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itself. First, in the plan to strengthen killer content through location marketing, we focused on preserving the Yeongnam ceramics industry, an industrial heritage of Onggi Village, which can create new added value within Oegosan Onggi Village. Second, one of the ways to inherit and utilize intangible heritage is to establish an Onggi Culture Infrastructure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succession training and start-ups using traditional Onggi technology, Onggi craftsmen, Onggi Village facilities and craftsmen's workshops. Third, the residents' participation-type development plan to strengthen the regional base proposed ways to participate in local residents, such as the inflow of young generations to prevent the neglect of Onggi stored away and the use of resident planning groups in festival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ultimate goal of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activating, will be achieved when the above three methods complement each other. The aim was to use this to generate income, increase the value of the local brand, and build an infrastructure for Onggi culture,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presenting specific methods that could be applied in reality. It is hope that the implications and research into the development plans presented above will continue and bring vitality back to Oegosan Onggi Village and the Ulsan Onggi Festival. [Key words] : Festival, Oegosan Onggi Village, Ulsan Onggi Festival,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Festival Activating Plan
얼리어답터 측정방법에 따른 대학생 소비자의 유형화 :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강한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제품구입시기, 유행선도력 및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세 가지를 이용하여 얼리어답터를 측정하고 유형화 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ㆍ 여 대학생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질문지는 학교와 학생 수의 규모에 비례하여 울산대학교 330부, 울산과학대학 140부, 춘해대학 80부로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2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하고 5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유행선도력은 혁신성, 의견선도력, 정보탐색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측정하였다. 혁신성과 의견선도력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정보탐색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은 전문성, 경쟁력, 참신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측정하였는데 세 차원 모두 보통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이 대학생으로 경제적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즉 혁신성과 의견선도력 보다는 얼리어답터의 라이프스타일을 더 많이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10~20대의 소비자들은 얼리어답터들을 동경하고 그들을 모방하려는 욕구가 강하므로 합리적인 구매습관이 요구된다. 남들보다 신제품을 많이 가지고 있고 구매력이 높아야만 얼리어답터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의 얼리어답터들은 자신에게 필요 없는 제품을 잘 보관해 두었다가 중고시장에 되팔아 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을 구매할 때에도 무조건적으로 구매하기 보다는 철저한 정보탐색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하고 있었다. 둘째, 제품구입시기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35.3%), 조기대다수(34.7%), 비얼리어답터(30.1%)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평균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연령이 22세 이며 한 달 용돈으로 29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리어답터는 다른 유형에 비하여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행선도력을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는 의견선도자(15.3%), 유행선도자(16.1%), 비유행선도자(30.2%), 비의견선도자(38.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에서도 유행선도자는 다른 사람들보다 일찍 신제품을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들은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고 있으며 한 달 용돈으로 31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15.4%), 비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전통적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26.8%), 신세대리더 라이프스타일 유형(31.0%)의 네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네 가지 유형 중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제품의 구입시기가 빠르며 유행선도력과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유형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월평균 용돈이 31만원이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369만원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었다. 다섯째,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의 두 가지를 기준으로 대학생 소비자를 분류한 결과 참신성추구 유행선도자(34.5%), 비얼리어답터(26.7%), 얼리어답터(15.2%), 정보탐색 리더(23.6%)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얼리어답터에 속하는 대학생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아버지가 전문직 ㆍ 경영관리직 ㆍ 전문기술직에 많이 종사하며 한 달 용돈이 30만원 정도였다. 앞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얼리어답터는 다른 사람들보다 신제품을 일찍 구입하며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해 본 결과 제품구입시기보다는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각각 이용하거나 유행선도력과 얼리어답터 라이프스타일을 함께 측정하는 것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소비자를 분류하는 방식은 다소 기계적이었으나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얼리어답터의 다양한 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밝혀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과거에는 의류나 악세사리 등 특정제품에 얼리어답터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제품을 넘어 다양하고 넓은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생산자에게는 갓 출시된 제품의 문제점이나 개선방안을 재빨리 지적하여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의 교량 역할을 하면서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때에 진정한 얼리어답터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d and typified earlyadopters based on product purchasing tim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 size,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University of Ulsan, 140 to Ulsan College and 80 to Choonhae College, so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excluding 10 inadequately replied ones, 51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nalyzing collected data, we measured the subjects’ level of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their earlyadopter lifestyl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as measured in three sub-factors, namely, innovativeness, 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on search.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were about average, and information search was somewhat high. Earlyadopter lifestyle was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namely, professionalism, competitiveness and originality, all of which were slightly above the average. This is probably because of college students’ low economic capacity. That is, they were pursuing earlyadopter lifestyle rather tha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However, because consumers in their 10s and 20s tend to envy earlyadopters and try to imitate them, they need to develop reasonable purchasing habits. It is because earlyadopt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new products and high purchasing power. In actuality, earlyadopters in Korea were found to preserve unnecessary goods and sell them in the secondhand market to buy what they need. They were buying new products prudently based on thorough information search rather than buying blindly. Second,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by product purchasing time, they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earlyadopters (35.3%), early majority (34.7%) and non-earlyadopters (30.1%).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their mean age was 22, and their mean pocket money per month was 290,000 won. Among the three types of students, earlyadopters were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ird, based o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pinion leaders (15.3%),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16.1%), non-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0.2%), and non-opinion leaders (38.4%). Of the four types,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st,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Fourth, based on earlyadopter lifestyle,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arlyadopter lifestyle (15.4%), non-earlyadopter lifestyle (26.8%), traditional leader lifestyle (26.8%), and new-generation leader lifestyle (31.0%). Of the four lifestyles, the earlyadopter lifestyle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the other lifestyle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lifestyle. The group of this style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310,000 won on the average, and their monthly family income was 3,690,000 won on the average, much higher than other lifestyle students. Fifth, when college student consumers were classified using two criteria, namely,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riginality-pursuing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 (34.5%), non-earlyadopters (26.7%), earlyadopters (15.2%) and information search leaders (23.6%). The earlyadopter group had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and many of their fathers were specialists, business managers or technical expert, and their monthly pocket money was around 300,000 won on the average. Like the results of previous classifications, earlyadopters purchased new products earlier than others, and highest in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easuring students based on the four criteria as above, it was found appropriate to use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and earlyadopter lifestyle separately or use them jointly. While consumer classification methods in previous researches were somewhat mechanical,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 and explain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rlyadopters more realistically. In the past, earlyadopters’ interest was concentrated on specific products like dress and accessories, but recently their interest is being extended to wider areas including digital products. They provide consumers with correct information on products, and manufacturers with opportunities to correct problems in newly launched produc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s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Earlyadopters’ true value will be realized when they play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lead both them to win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