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안 : 울란바타르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푸레브오치르 아디야수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of developing a new textbook by analyzing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at home in Mongolia and by solving problems. There has been almost no textbook that was developed in Mongolia so far, thus the textbook,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s being mainly used. The majority of these textbooks are those that were developed mainly by having a proposition as what diverse foreigners learnt in Korea. As for the textbook, which is being used, what the grammar description and the text content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or Japanese is difficult to be said to be the textbook that was developed targeting the specific language region. A cas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outside Korea is different from inside Korea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learner-group formation o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centering on Ulaanbaatar University in Mongolia) Korean textbook, which is now being used, by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actual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ill examine about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textbook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Mongolia, and will present a plan for development. Chapter 1 presen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this is aimed to suggest a plan for examining and developing the constituent contents of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domestically in Mongolia. Also, a method of this study was brought forth. Namely, as for Korean textbook, there were many arguments that divers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a learner's typ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ctually targeting learners in the Mongolian language zone. Consequently, regarding development in this textbook, there is necessity of examination based on what was researched in diverse directions. Chapter 2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present statu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assignments. What Korean-language lecture was opened at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March 1990 did open a new chapter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Since then, many special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as Korean language is taught as a minor in local region,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me to increase considerably. In addition, it is tendency that even the middle-and-high schools, which teach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and that the additionally small-and-mid institutes, which are the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growing. Given examining the Korean curriculum in Mongolia, the Korean major subject is being operated in the form that was mixed function and knowledge education from the basic Korean to the advanced Korean. Chapter 3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textbook, which is used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analyzed some Korean textbooks. In other words, this university is using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in Korea. Also,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at Ulaanbaatar University, the survey of a response to the actually used textbook was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ptember of 2007, and was surveyed targeting totally 69 students in sophomore and junior at the Korean-language department.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learner's goal and motive, satisfaction at the currently-used textbook, whether or not possibility of utilizing textbook when learning this textbook alone, the field that needs to be focused in the textbook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economic problem about textbook, contents of textbook, or whether or not definitude, whether or not causing a learner's interest in textbook, and which textbook do learners want. Chapter 4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bout the textbook that is being used now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whether or not being appropriate for using each textbook.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the existing textbook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the problems were solved, and a plan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 was suggested. 이 논문은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몽골에서 개발된 교재가 거의 없어서 주로 한국에서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들의 대부분은 주로 다양한 외국인이 한국에서 학습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다.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문법 설명이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국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과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로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하고 (몽골에서의 울란바타르대학교를 중심으로)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교재에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 개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울란바타르대학교는 다른 대학교보다 한국어 교육을 시킨 지 가장 오래된 대학교들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몽골의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를 시작되었고 따라서 한국어 교육 경험이 있다. 저도 전에는 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에 다니었던 자로서 울란바타르대학교에 대하여 알고, 경험이 있다고 해서 본 연구를 울란바타르대학교 중심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고 이는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교재의 구성 내용을 검토 및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는데 실제로 몽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이 교재 개발에 관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된 것을 바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 기존 교재 분석 연구로서 권미정(1991), 김정숙(1992)의 논의된 제안을 반영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방법, 선행 연구를 제시하였다. 기존 교재의 분석 다음에 효과적인 교재 개발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백봉자(1988, 1991), 구장희(1991), 김영기(1991), 이정노(1991)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몽골 국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실태를 살펴보며 쟁점을 사항을 논의한 논문들이 200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2장에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현황 및 과제를 알아 보았다. 1990년 3월 한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외무부 산하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것이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그 후 몽골국립대학교 (1991), 몽골국립외국어대학 (1992), 울란바타르대학 (1995), 어르흥대학교에서도 외국어학부에 한국어학과가 98년도에 개설되어 2000년대 이후 국립사범대 (2000년), 세루르크대학 (2001년), 몽한기술대학 (2002년), 몽골국립공과대학교 (2003), 지방에서는 부전공으로 가르침으로써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학습자가 상당수 늘어나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그밖에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정규 교육기관인 크고 작은 학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전공과목은 기초 한국어부터 고급한국어까지 기능 및 지식 교육 혼합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3장에서는 울란바타르대학에서 사용되는 교재에 대하여 현황을 알아 보았으며, 일부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하였다. 즉, 본 대학교는 한국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나온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 본 교재들은 한국에서 다양한 외국학생들을 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몽골어권 학습자들한테 안 맞는 문제점들이 많이 나온다. 또한 교재 중 일부 교재에는 문법 설명에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도 있지만 이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육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본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는 1993년 울란바타르(UB)대학교에서 한글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태동되었고, 1995년 대학설립인가를 얻음으로써 몽골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육을 시작했다. 200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한국어학과 내에 한국학과를 새로 개설하게 되었다. 2004년 통계로 한국어통역사 및 한국학 전공 이수자 수는 171명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한 교재에 대한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2007년 9월달에 실시하였으며 한국어학과 2학년, 3학년 총 6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학습자의 목적, 동기, 현재 사용되는 교재에 대한 만족, 본 교재를 혼자서 학습할 때 교재 활용 가능 여부, 앞으로 개발할 교재에 중점을 두어야 되는 분야, 교재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 교재의 내용이나 명확성 여부, 그리고 교재의 학습자 흥미 유발 여부, 학습자들이 어떤 교재를 바라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문제점과 각 교재를 사용하는데 적합 하는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였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재에 대하여 실시한 반응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국 대학교의 관리 시스템 개혁에 대한 연구

        최유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hinese universities, the management system has been on the way to reform and improvement, and so far,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still has vast room for reform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wo Chinese universities,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and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nd their stag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and expects to shed light on the future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adopts the case study method of "two cases" and the comparative study method and conduct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characteristics, feasibility of reform, and expectations of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two universitie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two universities, focused on interviewing three categories of people in both universities: administrators, faculty, and students interviewing more than forty people and observing classes, faculty meetings, regular university management meetings, university management and services, and the daily lives of students and faculty. Before conducting the study, developed a framework containing three models of university management systems, namely, government-regulated, site-based, and co-regulated, based on Western and Asian literature and based on the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s and checks and balances. We determined which stage of development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two universities were at by investigating which model they preferred.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a new type of university founded in 2010, led by the concept of the advanced management system. As a pilot university in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Nanshan University's(南山大学) council system, no administrative rank, faculty hiring system, unique enrollment model, and student training model are all useful explorations in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Thus, we have reason to believe that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the fastest and farthest university on the road of exploring the reform of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from a government-regulated management system to a co-regulated management system.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 local university founded in 1905,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nd retains the most traditional management style of Chinese universities in terms of its management system.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dopting the system of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t retains the most traditional and typical management style of Chinese universities in terms of faculty hiring, administrative rank, enrollment, and student training. We have seen very few signs of reform in the management system of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in all aspec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is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typical of the government-controlled management system. Modern Chinese universities have hardly ever been free from administrative intervention since their inception. This is determined by historical reasons and Chinese unique national conditions. In this environment, one of the keywords that cannot be bypassed in reforming Chinese universities' management system is "de-administrativeiz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is to "de-administrate." that is, to move from a government-regulated management model to a co-regulated management model. The reform of the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difficult due to unique national conditions. The third president of the Nanshan University, the representative of the reform, was appoin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marks the pioneer of the reform of the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is still not entirely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and cannot be considered a fully co-regulated system.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however, the reform exploration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still gives inspir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reform of Chinese universities. The exist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a hybrid structure. This hybrid structure is reflect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eadership model, administrative level, faculty employment, enrollment and admission, talent cultivation, and diploma awarding. From this unique and innovative management system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Chinese universities should learn from its international development direction, innovative discipline setting mode, unique talent cultivation mode, and research mode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mbination. The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has a long way to go, which needs the change of management mindset of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input of more ambitious people and professional scholars before it is expected to be realized slowly. 현대의 중국 대학교가 설립되면서부터 대학의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선이나 보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관리시스템의 현황과 발전과정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미래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의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현황, 특성, 개혁 가능성, 기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을 알아보기 위해서 행정직원, 교수/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총 40명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업, 교사회의, 행정직원회의를 참관하였다. 그리고 학교가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과 교사, 학생의 일상생활도 동시에 관찰하였다. 사례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서양과 아시아의 문헌에 따라 분권제형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관리형, 학교관리형, 거버넌스형 (협치) 등 세 가지 대학교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관리모델을 만들었다. 조사를 통해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가 어떤 관리시스템에 해당하는지를 고려하면서 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남산대학교는 선진적 관리시스템에 의해 2010년에 건립되었다. 중국 대학교 관리시스템의 모범학교로서 남산대학교의 이사회제도, 무행정급별제도, 교사고용제도, 신입생모집제도, 학생양성제도 등을 검토하면 다른 학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남산대학교는 정부관리형에서부터 거버넌스형으로 변형된 대학교라고 할 수 있다. 한성대학교는 1905년에 건립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대학이다. 그래서 관리시스템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한성대학교는 중국공산당 지도하의 학교교장 책임제로 교사고용제도, 행정급별, 신입생모집 및 학생양성제도 등에서 중국 대학교의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성대학교는 개혁할 계획이 없어 보인다. 따라서 한성대학교는 중국 전통적인 관리시스템을 가진, 전형적인 정부관리형 시스템의 학교로 볼 수 있다. 중국 근대사에서 대학교의 건립은 행정기관의 간섭을 벗어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는 중국의 특별한 국정으로 연유하였다.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개혁이 관료화를 피하는 것이 어렵다. 심지어 중국 대학교에서 개혁의 최종목적이 탈행정화라고 말할 수 있는 정도이다. 관리시스템이 정부관리형부터 거버넌스형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개혁의 과정이다. 특수한 중국의 국정으로 인해 대학교의 개혁이 쉽지 않는 일이지만 개혁된 대표적인 사례인 남산대학교 조차 총장이 중국정부에 의해 임명된 것은 남산대학교가 여전히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비록 남산대학교를 완전한 거버넌스형이라고 부를 수 없다하더라도 그 사례는 중국의 대학들에게 몇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남산대학교의 현재 조직구조는 복합적 조직구조이고, 이러한 조직구조는 리더의 모델, 행정급별제도, 교사고용제도, 신입생모집제도, 학생양성제도, 학위수여 등의 측면에서도 반영된다. 그래서 중국의 대학교들은 남산대학교의 독특한 관리시스템에서 부터 국제화된 발전 과정, 창의적인 학과 설치, 독특한 인재양성제도, 산학융합형 연구 모델 까지를 참고해야 한다.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 개혁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전문가들이 같이 노력해야 한다.

      •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6차ㆍ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알고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제6차와 7차의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을 사항을 알아보고, 초등음악교육을 담당하는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의 음악관련 교과목을 다각도로 집중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중 음악관련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의 교과교육, 교과교육실기, 특별 및 재량활동, 심화과정의 교과목 개설현황과 강의내용을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 비교하고, 각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의 강의내용을 통하여 국악 관련 교과목과 양악 관련 교과목의 비율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창곡과 감상곡의 비율을 국악과 양악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위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교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6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시 몇몇 교대의 교과목 축소 및 명칭 변화가 있었고, 그 외 교대는 기존 교과목 그대로 개설하고 있었다. 개설 교과목 중에서는 국악 관련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부족 하였다. 둘째, 교과목 강의내용 분석결과, 강의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국악은 한 교과목 안에서 통합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반면, 양악은 세분화하여 가르치고 있어 상대적으로 양악 교과목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음악관련 교과목의 국악과 양악의 비율을 알아본 결과 제6차에서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국악교과목이 전공과정10%, 심화과정 4%로 확대되었지만 양악 교과목과 비교 했을 때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과 양악 비율을 알아본 결과 6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중은 국악 32.4 % 양악 67.6%, 7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율은 40.7%, 양악 59.3 % 이다. 6차 교육과정 과 7차 교육과정을 비교 했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정도 확대 되었다. 제6차ㆍ제7차 교육과정에서 개정 중점 사항으로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초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관련 내용은 확대하고 있으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은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개정되었지만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강의내용에 큰 변화가 없었다. 즉,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과 연계성이 부족하여 초등교사가 현장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정상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 있는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hanges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sulting from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cognized. This study has examined fpllowings;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related to the 6th and 7th reform has been discussed and subjects related to music of 11 Edcatiomal colleges which are in charge of music class across the n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the variety of views.. To analyze them, the curriculum and realities of general and majoring courses, subject teaching practice, special and free activities, advanced class which are related to music have been aompared with each other between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domgs for singing and songs fir appreciation. The results of yj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alities of subjects learned in colleges, some subjects of some colleges are minimized or their names are changed in the process of reform of 6th in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other colleges remain the same. The subjec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sufficient relatively. Second, in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significant changes have not been fiun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nerally taught in one subject but western music is taught in detail in many different subjects, so it has been found that music education lays heavy importance for western music. Third,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up by 10% in majoring courses and 4% in advabced courses, but the ra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us small relatively. Fourth,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unted for 32,4%, western music for 67.6%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40.7% and western music 59.3%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by 10%.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is the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has increased but the subjects of education colleges have not been enlarged. In other words, teach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changed but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college are not. The curriculum of 11 education colleges across the nation has the insu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ich means that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teaching music. Therefore,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of education college should be inoruved and changed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심리 자본, 목표 지향, 혁신 행동의 구조적 관계

        왕염방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psychological capital,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in different universities of Jiangsu Province, China. To collect the sampl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wjx.cn (an online survey platform) and widgets. 757 colleg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data was us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search used SPSS V.26.0 and AMOS V.24.0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data analysis, aiming to assess the general tendencies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Psychological Capital,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by calculating and providing mean values(M) and standard deviations(SD).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ased on various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conducted either a t-test or One-way ANOVA. Additionally, the team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looking at the overall levels of various elements,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exhibited moderate to above-average levels. Among the sub-factors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interpersonal support was the highest, while instrumental support was the lowest. Withi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the highest,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hope was the highest, and resilience was the lowest. Withi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cademic learning was the highest, and academic exploration was the lowest. Secon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grade, major, hometown, frequency of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ass cadre or not,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gender. (2)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grade. (3) There are no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major. (4)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hometown. (5)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6)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class cadre or not. (7)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8)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on support based 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grade, major, hometown, frequency of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ass cadre or not,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1)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gender. (2)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grade. (3)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major. (4)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hometown. (5)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6)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class cadre or not. (7)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entrepreneurial intention or not. (8)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support and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parallel mediation effects and serial mediation effects involving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have been identified. This means that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has an indirect impact on college students by affecting their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eral leve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on behavior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society.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abilities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society, and individual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iversities, innovative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in this study to improv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resources they need for innovation, to assist them in establishing clear, specific, and measurable goals, to cultivate an optimistic and confident mindset, and to increase self-efficacy.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ever-changing real world, Chinese universities ought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Thereby enhancing their prospec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심리자본, 목표지향및 혁신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 강소성(江苏省) 여러 지역의 대학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위한설문지는 설문조사 시스템(www.wjx.cn, 问卷星), 모바일 위챗(WeChat, 微信)을 통해 배포하였으며, 757 명의 대학생이 설문에자발적으로참여하여 수집된 자료를 모두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SPSS v.26.0 및 AMOS v.24.0 을 사용하여자료분석을 진행하였다. 대학교의 혁신 지지, 대학생의 목표지향, 심리자본 및 혁신 행동에서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평균및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대학생의혁신 행동과 대학교의 혁신 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확인하기위해 t-검증 또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진행하였다. 대학교의 혁신 지지, 대학생의 목표 지향, 심리 자본및혁신지지의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 분석을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요소의 전반적인 수준을 볼 때 대학교의혁신지지, 대학생의 목표 지향, 대학생의 심리 자본 및 대학생의 혁신행동은중간이상 수준이다. 대학교 혁신 지지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지지가가장 높았고, 도구화 지지가 가장 낮았다. 대학생 목표지향의하위요인중 학습목표성향이 가장 높았고, 평가목표성향이 가장낮았다. 대학생심리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이 가장 높았고, 근성이가장낮았다. 대학생 혁신 행동의 하위요인 중 학습학업이 가장 높았고, 학술탐구가 가장 낮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 가정 거주지, 동아리활동 참여 여부, 학생 간부 여부, 창업의도 여부, 학업성적)에따른중국 대학생의 혁신 행동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따른혁신행동 차이는 없다. (2) 학년에 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있다. (3) 전공에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없다. (4) 가정 거주지에 따른혁신행동차이가 있다. (5) 동아리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혁신 행동차이가있다. (6) 학생 간부 여부에 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있다. (7) 창업의도에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있다. (8) 학업 성적에 따른 혁신행동차이가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 가정 거주지, 동아리활동 참여 여부, 학생 간부 여부, 창업의도 여부, 학업성적)에 따른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따른대학교혁신 지지 차이가 있다. (2) 학년에 따른 대학교 혁신지지차이가없다. (3) 전공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4) 가정거주지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5) 동아리 활동참여여부에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있다. (6) 학생 간부 여부에따른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7) 창업 의도에 따른 대학교혁신지지차이가 없다. (8) 학업 성적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차이가있다. 넷째,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가 대학생의 혁신 행동에영향을미치는 관계에서 목표 지향과 심리 자본의 병렬 매개효과(Parallel mediation effect)와 직렬 매개효과(Serial mediation effect)가나타났다. 즉 대학교의 혁신 지지는 대학생의 목표 지향과심리자본에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대학생의 혁신 행동에영향을미친다.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목표지향, 심리자본 및 혁신 행동의 전반적인 수준과 구조적 관계를살펴봄으로써현재 점점 더 경쟁사회로 되어 가는 중국 사회에서 중국대학생의혁신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대학생의 혁신 행동과 능력은 국가, 사회, 개인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학교 수준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혁신행동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중국 대학교는 학생들에게 혁신 행동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도록노력을기울이고, 학생들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데적극도움을주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생들로 하여금 낙관적이고자신감이있는긍정적 마음을 가지도록 배양하기, 대학생의 자기 효능을높이도록하는 등도 요구된다. 또한 계속 변화해 가고 있는 현실세계에적응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대학생의미래사회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국 대학교는 대학생의 혁신행동을배양하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 티베트족 대학 축구 지도자의 리더십이 선수만족, 몰입, 열정, 정신력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유신평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the leadership style, knowledge stimulation, condition compensation, and so on Taking the exception management factor as the main variable, this paper specifically grasps the leadership ability of football Instructors recognized by Tibetan University football players, furth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eadership abilities and satisfaction, sports investment, sports enthusiasm, sports spirit and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and analyzes the football of Tibetan Univers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for Instructor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discussion will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football were selected players from 10 universities in Gansu Province, Qinghai Province, Tibet Province, China. After obtaining the prior permission of the football Instructors of each university, the researchers visited each school in person from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0. Using the convenient sample extraction method, 3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nally, 312 samples are analyzed. Data processing methods: SPSS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ly,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he football Instructors in Tibet Universit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and knowledge pers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lfillment of practic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rder of condition compensation, gas field and excep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has leadership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rder of exception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guiding satisfaction. Secondl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knowledge stimulation and condition compens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while the order of knowledge stimulation and gas fiel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ced enthusiasm. Thirdl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knowledge stimulation and conditional compens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investment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ibetan University football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investment. Fourth,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ibet University football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Instruction style, knowledge stimulation and exception management, the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truggl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excep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management of exception and the order of Instructor tempera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Fifthly,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he football Instructors in Tibet University, the competition strength of knowledge stimulation and gas field sequence has been significantly affected.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layers' satisfaction, sports engagement, sports enthusiasm, sports spirit and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and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project execution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investment According to the order of task execu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engagement. Secondly,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subject implement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According to the order of leader's directiv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mpulsive enthusiasm. Thirdly,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ing satisfaction and task execu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According to the order of leader's guiding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project execu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Instructors' directiv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nyielding fighting spirit. Fourth,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ability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order cognition. Fifthly, the cognitive involvement and behavioral involvement sequence of sports involv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Among the factors of sports involvement, the order of behavioral engagement and cognitive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bsessive-compulsive enthusiasm. Sixthly, the behavioral involvement and cognitive input sequenc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nyielding fighting spirit, and the behavioral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effort. In addition, cognitive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ccording to the order of behavioral engagement and cognitive engagement,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Seventh, the behavioral involvement in sports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Eighth, among the factors of sports enthusiasm,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and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In addition, harmonious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Ninth, in sports enthusiasm, compulsive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Tenth,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strength of the struggle effort and the order of the desire to win or lose. 본 연구의 목적은 티베트족 대학 축구지도자의 리더십을 구성하는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건적 보상, 예외적 관리 요인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여 티베트족 대학 축구 선수들이 인식 하는 축구지도자의 리더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리더십과 만족, 운동 몰입, 운동 열정, 스포츠 정신력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 지도자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간쑤성 칭하성 티베트에 위치한 10개 대학의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선 각 대학 축구지도자에게 사전 허가를 받은 후 연구자가 2019년 12월에서 2020년 2월까지 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대학별 33부씩 총 33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최종 312부를 대상으로 실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 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순으로 수행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건보상, 카리스마, 예외적 관리 순으로 상호작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카리스마, 예외적 관리 순으로 지도성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조건보상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자극, 카리스마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조건보상 순으로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요인 중 지적자극, 카리스마, 조건보상 순으로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조건보상, 지적자극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건보상, 카리스마, 지적자극, 예외적 관리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외적 관리는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외적 관리, 카리스마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지적자극, 카리스마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수만족, 운동 몰입, 운동 열정, 스포츠 정신력,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과제수행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수행 만족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은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 몰입 요인 중 인지몰입, 행위몰입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몰입 요인 중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 몰입 중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은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몰입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운동 몰입 중 행위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운동 열정 요인 중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화열정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운동열정 중 강박열정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스포츠 정신력 중 분투노력, 승부욕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에 관한 연구

        팽위성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Guided by the Constructivist Theory,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is defined as a teaching method that integrates smartphones into multimedia teaching system and aims to better realiz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students' meaning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thesis.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mechanism of university professors' adoption behavior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and then give some responding suggestions to promote the innovation and reform of the support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teaching in university.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Behavior Planning Theory(TPB), it is presented for the model of university professors' adoption behavior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the model is composed of six variables, i.e., perceived ease of use(PEOU),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behavior intention(BI) and actual behavior(AB). Combined with the need of research and previous measurement scales, six sub questionnaires about six variables are designed to form a questionnaire about University professors' actual use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The quality of survey data, questionnair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nalyzed and discussed. Data analysis shows that: (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ix scale designed in this study reached above 0.8.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measurement items of each variable can be well distinguished. (2)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shows that the internal quality of the model is good, the Factor Loading of each variable exceeds 0.5, the Construct Reliability is greater than 0.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of each variable is more than 0.5. (3) There is a good fitness betwe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data, and all fitness indicators basically meet the standard. Through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analysis for the path of model,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10 hypotheses were accepted and 2 hypotheses were rejected for the 12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2) Perceived ease of use(PEOU) has direc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OU)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BI). The total effect of perceived ease of use(PEOU) on behavior intention(BI) and actual behavior(AB) was not significant. (3)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have direct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BI). (4)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and behavior intention(BI) have direct positive effect on actual behavior(AB); (5)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have indirect positive effect on actual behavior(AB) through Behavior Intention(BI). (6) Among all variabl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is the one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actual behavior(AB).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e innovation and reform of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ing instruction in university. (1)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ese suggestions on "providing technical environment support", "providing technical use support" and "changing management concept" was offered. (2)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ovided that “professors should adhere to the belief of taking teaching tasks and students as the center” and the lifelong learning was advocated for professors.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보조수업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스마트폰 보조수업은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스마트폰의 보급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을 전제로 스마트폰에 멀티미디어 강의 시스템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사제 간 상호 작용과 학생 의미 구성을 보다 잘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 수단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목적은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의 영향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것이다. 나아가 대학교의 정보기술을 통한 교과 혁신 지원 방안과 개혁 촉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기술 수용 모델) 과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 계획된 행위 이론)를 통합하여 지각된 용이성(PEOU), 지각된 유용성(PU), 주관적 규범(SN), 지각된 행위 통제(PBC), 행위 의도(BI), 실제 행위(AB) 등 여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 구조 방정식 모델을 구축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척도를 수정하여 6개 요인 간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고,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조사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1) 본 연구에서 6개 요인과 관련된 조사항목의 신뢰도는 0.8 이상이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6개 요인의 측정 문항들이 각각의 요인을 잘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변인의 요인 적재값(factor loading)의 표준화 추정값이 모두 0.5를 초과하며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모델의 수렴타당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신뢰도(reliability)가 모두 0.7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설문 문항 척도의 내적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인당 평균 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를 초과하며 이를 통해서도 본 연구의 설문 문항 척도가 신뢰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 구축하여 제시한 구조 방정식 모델과 설문조사 데이터의 적합도에 관한 모든 평가 지수가 기준에 도달하며 이를 통해 제시한 구조방정식 모델이 잘 적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기된 12개의 가설 중 10개의 가설이 성립되었으며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2) 가설모형에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각된 용이성은 행위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효과가 있다. 지각된 용이성이 행위 의도와 실제 행위에 대한 총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3)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는 행위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4)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는 행위 의도를 통해 실제 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5) 행위 의도, 지각된 행위 통제는 실제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를 미친다. (6) 모든 변수 중 지각된 행위 통제가 실제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학교 조직의 관리 관점에서 "기술 환경 지원 제공", "기술 사용 지원 제공", "관리 이념 변경"을 제안한다. 또한, 교원의 전공 발전 차원에서 "교원은 교과 업무와 학생 중심의 신념 견지"와 "평생 학습"을 제안한다.

      •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후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mong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ography, finding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rom various factors, confirming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life quality, and verifying the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the football players from Shandong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Beijing Sport University, Shanghai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and Guangzhou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we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non 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star was used to send online questionnaires to 600 people, and 54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0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missed questions or judged to be dishonest, a total of 485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ult analysis. Data proces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26.0 and Amos 21.0. In order to realize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ine optimal path hypotheses are set, such as the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elf-management,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ports self-confidence,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self-management and life quality,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 values of all factors show satisfactory suitability. The detailed hypothesis valid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o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 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 grade and sports gra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2.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i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will be. 3.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confidence.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confidence will be. 4.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5.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is,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self-confidence will be. 6.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elf-management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7. The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ports self-confidence is ,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8.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9.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As mentioned above,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go hand in hand, which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ife quality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refore, in certain coach and his or her teams, if we can improve athletes'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level and sports self-confidence, as athletes, we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life in getting along with coaches and teammates, and we can highly evaluate our own life quality.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s not only as athletes themselves, but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college students in our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며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산둥체육대학교, 베이징체육대학교, 상하이체육대학교, 광저우체육대학교 등 4개 중국 대학교의 축구 전공 대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하고 2021년 6월에 연구설계를 진행하였고, 2022년 2~3월에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에 따른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채택하고 중국 리서치 전문 업체인 원쬔씽(問卷星)을 통하여 총 600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해 545건 수거하였다. 문항이 누락 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60건을 제외한 총 485건의 유효 질문지가 결과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모델의 가설 검증을 위해 일반적인 특성의 차이, 성취목표성향과 자기 관리,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자신감,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 자기 관리와 삶의 질,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운동 자신감의 매개 효과 등 9개의 최우선 경로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모델의 검증결과는 관련 관계 분석과 확인요인 분석결과에서 모든 요인의 결과 값이 만족스러운 적합도를 나타냈고 상세한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대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운동등급에 차이가 존재한다. 2.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자기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자기 관리의 수준이 높아진다. 3.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4.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5.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들의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6.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자기 관리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7.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8.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관리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9.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이처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을 병행하는 것은 삶의 질과 인과관계가 있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감독과 소속팀에서 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수준, 스포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면 선수로서 팀과 감독, 동료들과 어울려 삶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고, 자신 삶의 질을 높이 평가할 수 있으며, 삶의 질 향상은 선수 자신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에 맞는 대학생의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 중국대학생의 심리적 건강 향상 방안 연구

        주우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인식하고, 좋은 태도와 건강한 생활방식을 인식하며, 올바른 인성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에서 적극적인 심리건강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맥락에서 중국 대학생의 정신적, 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하여 알아보고, 그 향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된 여러 학술 논문을 분류하고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중국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관한 기본특성 및 현재 상태를 연구하고, 정신건강 연구의 전망을 요약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생의 정신건강 문제는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 대인관계 문제, 두 번째, 감정 문제, 세 번째, 학업과 관련된 문제, 네 번째, 대학교 환경 적응 문제, 그리고 마지막, 고용문제이다. 본격적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2020년 3월 22일부터 4월 27일까지 중국 대학교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통계처리를 거쳐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환경과 개별 심리적 요인 때문에 중국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끼고,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며, 학습하는데 불안감을 느끼고, 이성교제와 교우관계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선택과 고용의 불안정, 그리고 다양한 선택적 혼란이 중국 대학생의 우울감과 심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대학교는 양질의 인재를 육성하는 것에 못지않게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중요성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교육은 복잡한 과정이며, 중국 대학생 자신의 삶의 실천을 통해 다른 학문이론과 결합된 심리이론적인 기술이다. 중국 내의 새로운 사회 그리고 시기적인 변화에 발맞춰 중국 대학교는 좋은 심리적 특성을 가진 포괄적인 인재를 양성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앞으로 중국 대학교는 대학생 심리 문제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심리적 문제를 지닌 대학생을 위하여 심리문제를 교육하고 지도하기 위한 관련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해야 된다. 또한 중국 대학교는 시대를 앞서가는 심리교육을 진행하여야 하고, 그 효과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전문성과 인성을 동시에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mbs and analyzes the form of questionnaire and several academic papers on the mental 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in recent year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 this paper summarizes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and summarizes the prospect of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research. The author thinks that solving mental health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1, interpersonal problems; 2, emotional problems; 3, academic problems; 4, environmental adaptation problems; 5, employment problem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can be manifested as the lonely psychology of uncoordin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anxiety psychology of learning maladaptation, the confusion psychology of love and sex problems, the escape and worry psychology of job selection and employment pressure, the depressed psychology of various choice contradictions and confusion, and the inertia psychology of weak willpower. ability, and constantly improve the psychological and overall quality of college students. In a word, the mental health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s a more complex process, and its main knowledge is psychological theory and technology, and combined with other subject theories, through the life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themselves, improve the corresponding psychological adjustment function, Make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more and more perfect. The main object of competition in the new period is the comprehensive quality of comprehensive talent, but the comprehensive quality of comprehensive talent must have a good psychological quality. Colleges and universities bear the heavy responsibility of cultivating high-quality talents, and must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 ups and downs of college students' psychology. If we find that students have some psychological problems, we should aim at the problems in time, formulate relevant plans, and educate and guide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 psychology of college students change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s an institution of higher learning, we must look at problems with innovation and keeping pace with the times, not form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ffect and carry out relevant mental health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scientific and multi-channel way.

      •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 직무 부담, 역할 갈등이 정서적 소진을 매개로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유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mphasis on quality education has brought new challenges to Chines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faculty. Work engage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university faculty's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quality.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work autonom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orkload, role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on the work engagement of university faculty in Chin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This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with a sample of 521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China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were obtained. Firstly, work autonom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workload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iversity faculty's work engagement. Role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Secondly,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reveals tha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autonom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work engagemen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negative impacts of role conflict on work engagement. While Chinese university faculty's workload positively impacts their work engagement, emotional exhaustion negatively mediates this relationship.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ntext of university faculty in China.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nuanced classification of job demands within the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varying nature of specific job demands and contexts. The study also enriched the model by identifying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work engagement of Chinese university faculty. Universities in China should take steps to guarantee work autonomy among university faculty and enhance organizational support. Meanwhile, universities should assign proper workload to faculty members, and alleviate role conflict among them. Beside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faculty should actively prevent and address the issue of emotional exhaustion. Interventions should be leveraged holistically to mitigate emotional exhaustion and promote the work engagement of university faculty. 전 세계적인 교육의 질 강조는 중국 대학과 대학교원들에게 새로운 도전의식을 불러일으켰다. 그 중 직무 열의는 대학 교원의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고 대학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적용하여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 직무 부담, 역할 갈등 및 정서적 소진이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히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연구 설계를 채택하고 중국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2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과 직무 부담이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갈등과 정서적 소진은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소진은 직무 자율성과 인식된 조직적 지원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정적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 소진은 역할 갈등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서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대학교원들의 직무 부담은 직무 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적 소진의 증가함에 따라 이런 영향을 약화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의 관점에서 중국 대학교원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직무요구 사항과 직무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직무요구 사항을 더 자세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소진의 완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대학들은 교원의 직무 자율성을 보장하고 조직적 지원을 강화하는 조치를 통해 교원의 직무 부담을 합리적으로 배분해 역할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 또한, 대학과 대학교원은 정서적 소진 문제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함으로써 대학 교원의 직무 열의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 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및 교수역량의 구조관계

        양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현재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구조적관계를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편의 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산시성 등 총 20개 성(省), 시(市) 그리고 자치구 지역의 대학교수를 선정했다. 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시스템인(www.wjx.cn 问卷星)과위챗(we chat)을이용하여QR코드를통해 대학교수들에게온라인설문지를배포하였다. 그결과로대학교수707명이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회수율 98%), 그중 군사학 전공인 11명의 참여자를 삭제하고 나머지 696명의자료를분석대상으로삼았다. 이 연구의 도구는 교수역량 측정도구,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측정도구,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측정도구이다. 이 연구의 절차는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로서, 선행연구 분석 및 가설설정, 측정도구 제작 및 검증, 예비조사, 표본 추출 및 설문지 배포, 설문조사 결과 수합 및 자료분석의단계로이루어졌다. 이연구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SPSS v.26.0 및 AMOS v.24.0을 사용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구하고,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별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에차이가 있는지알아보기 위해 변인 특성에 따라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각변인과 전공계열 간의상호작용효과는이원배치분산분석을실행하였다.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모형 수정 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에서 대학 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위해AMOS 다중집단분석을실행하였다. 이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중국대학교수의교육역량중에는소통협력능력이가장높고교육혁신능력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의 변량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연령별 차이가 있다. (3)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최종학력에따라차이가있다. (5)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온라인 수업 관련 연수경력에따라차이가있다. (7)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전공계열에따라차이가 없다. 둘째,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 중에 교수효능감이 가장 높고 상황적응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수행능력의 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은성별차이가 없다. (2)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연령별 차이가 없다. (3)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은 직위별 차이가 없다. (6)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온라인수업 관련 연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7)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다. 셋째,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량에 따른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의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령별차이가있다. (3)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에서교육경력에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4)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최종학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직위별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수경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7)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전공계열에 따라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넷째, 중국 대학교수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으로분리하였을 때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확인되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교수의전공계열별조절효과는유의하지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들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 구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변화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학교수들의 정보기술및 교수역량을 어떻게 높이고육성할 수 있는지에대한기초적인자료로활용될것으로기대된다.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을높이는것이교수현장에테크놀로지실제 능력으로 전환하여 교수의 기술통합을 성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조건이다. 정보화 시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플랫폼을 지원하고 개선하며, 교원의 교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는것이필요하다. 이를위해교육정보화하드웨어시설에대한투자를 늘리고 기존 정보기술 설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며 교내 자원배분을 최적화하는 등 과학화된교수관리를실시해야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rrent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competenc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y. The author collected data by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to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nd who were invited for this study from the following regions of Shaanxi, Hebei, Gansu, Shandong, Shanghai, Anhui,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Beijing, Inner Mongolia, Henan, Shanxi, Guangdong, Guangxi, Jiangxi, Jiangsu, Jilin,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Chongqing municipality, and Heilongjiang, etc.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wjx.cn (online questionnaire platform) and WeChat. As a result, a total of 707 university professors from 20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autonomous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98% effective rate), among which 11 participants majoring in military science were deleted, and the remaining 696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tools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ing competency measuring tool,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measuring tool, and technology selfefficacy measuring tool.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was a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measurement tool production and verific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sample extraction, questionnaire distribution, survey result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For the data analyzing part, SPSS v.26.0 and AMOS v.24.0 were applied in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by the variabl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the author, and at the same time, aims to find ou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f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and major serie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by the author to find out whether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competenc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has an effect on educational capacity by mediating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through a model modification process. In the final model, AMOS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jor of university profess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is the highest, while the ability to innovate educ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Gender differences are confirmed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age. (3)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s found. (4)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5)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6)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majors. Secon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Differences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prov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Thir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confirm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Fourth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has an effect on teaching capacity, and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technology self-efficacy is separat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fficac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ability,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and technology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 major fields was not significant.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technology in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condition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technology integration of professors by transforming technology into practical skills in the teaching field. In the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improve the school learning platform to improve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build an infrastructure to cultivate the teaching capacity of teach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educ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hardware facilities, rationally plan existing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optimize resource allocation in schools, and conduct scientific teaching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ies’ ability to perform online classes, self-efficacy in technology, and teaching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