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안 : 울란바타르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푸레브오치르 아디야수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of developing a new textbook by analyzing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at home in Mongolia and by solving problems. There has been almost no textbook that was developed in Mongolia so far, thus the textbook,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s being mainly used. The majority of these textbooks are those that were developed mainly by having a proposition as what diverse foreigners learnt in Korea. As for the textbook, which is being used, what the grammar description and the text content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or Japanese is difficult to be said to be the textbook that was developed targeting the specific language region. A cas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outside Korea is different from inside Korea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learner-group formation o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centering on Ulaanbaatar University in Mongolia) Korean textbook, which is now being used, by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actual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ill examine about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textbook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Mongolia, and will present a plan for development. Chapter 1 presen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this is aimed to suggest a plan for examining and developing the constituent contents of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domestically in Mongolia. Also, a method of this study was brought forth. Namely, as for Korean textbook, there were many arguments that divers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a learner's typ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ctually targeting learners in the Mongolian language zone. Consequently, regarding development in this textbook, there is necessity of examination based on what was researched in diverse directions. Chapter 2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present statu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assignments. What Korean-language lecture was opened at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March 1990 did open a new chapter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Since then, many special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as Korean language is taught as a minor in local region,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me to increase considerably. In addition, it is tendency that even the middle-and-high schools, which teach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and that the additionally small-and-mid institutes, which are the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growing. Given examining the Korean curriculum in Mongolia, the Korean major subject is being operated in the form that was mixed function and knowledge education from the basic Korean to the advanced Korean. Chapter 3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textbook, which is used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analyzed some Korean textbooks. In other words, this university is using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in Korea. Also,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at Ulaanbaatar University, the survey of a response to the actually used textbook was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ptember of 2007, and was surveyed targeting totally 69 students in sophomore and junior at the Korean-language department.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learner's goal and motive, satisfaction at the currently-used textbook, whether or not possibility of utilizing textbook when learning this textbook alone, the field that needs to be focused in the textbook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economic problem about textbook, contents of textbook, or whether or not definitude, whether or not causing a learner's interest in textbook, and which textbook do learners want. Chapter 4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bout the textbook that is being used now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whether or not being appropriate for using each textbook.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the existing textbook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the problems were solved, and a plan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 was suggested. 이 논문은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몽골에서 개발된 교재가 거의 없어서 주로 한국에서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들의 대부분은 주로 다양한 외국인이 한국에서 학습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다.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문법 설명이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국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과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로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하고 (몽골에서의 울란바타르대학교를 중심으로)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교재에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 개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울란바타르대학교는 다른 대학교보다 한국어 교육을 시킨 지 가장 오래된 대학교들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몽골의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를 시작되었고 따라서 한국어 교육 경험이 있다. 저도 전에는 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에 다니었던 자로서 울란바타르대학교에 대하여 알고, 경험이 있다고 해서 본 연구를 울란바타르대학교 중심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고 이는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교재의 구성 내용을 검토 및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는데 실제로 몽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이 교재 개발에 관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된 것을 바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 기존 교재 분석 연구로서 권미정(1991), 김정숙(1992)의 논의된 제안을 반영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방법, 선행 연구를 제시하였다. 기존 교재의 분석 다음에 효과적인 교재 개발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백봉자(1988, 1991), 구장희(1991), 김영기(1991), 이정노(1991)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몽골 국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실태를 살펴보며 쟁점을 사항을 논의한 논문들이 200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2장에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현황 및 과제를 알아 보았다. 1990년 3월 한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외무부 산하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것이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그 후 몽골국립대학교 (1991), 몽골국립외국어대학 (1992), 울란바타르대학 (1995), 어르흥대학교에서도 외국어학부에 한국어학과가 98년도에 개설되어 2000년대 이후 국립사범대 (2000년), 세루르크대학 (2001년), 몽한기술대학 (2002년), 몽골국립공과대학교 (2003), 지방에서는 부전공으로 가르침으로써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학습자가 상당수 늘어나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그밖에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정규 교육기관인 크고 작은 학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전공과목은 기초 한국어부터 고급한국어까지 기능 및 지식 교육 혼합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3장에서는 울란바타르대학에서 사용되는 교재에 대하여 현황을 알아 보았으며, 일부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하였다. 즉, 본 대학교는 한국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나온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 본 교재들은 한국에서 다양한 외국학생들을 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몽골어권 학습자들한테 안 맞는 문제점들이 많이 나온다. 또한 교재 중 일부 교재에는 문법 설명에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도 있지만 이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육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본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는 1993년 울란바타르(UB)대학교에서 한글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태동되었고, 1995년 대학설립인가를 얻음으로써 몽골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육을 시작했다. 200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한국어학과 내에 한국학과를 새로 개설하게 되었다. 2004년 통계로 한국어통역사 및 한국학 전공 이수자 수는 171명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한 교재에 대한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2007년 9월달에 실시하였으며 한국어학과 2학년, 3학년 총 6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학습자의 목적, 동기, 현재 사용되는 교재에 대한 만족, 본 교재를 혼자서 학습할 때 교재 활용 가능 여부, 앞으로 개발할 교재에 중점을 두어야 되는 분야, 교재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 교재의 내용이나 명확성 여부, 그리고 교재의 학습자 흥미 유발 여부, 학습자들이 어떤 교재를 바라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문제점과 각 교재를 사용하는데 적합 하는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였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재에 대하여 실시한 반응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