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RP 커스터마이징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 서비스 산업의 ERP 구축을 중심으로

        이상훈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서비스 산업이 국가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한국 서비스 산업은 생산구조 측면에서 GDP 대비 54%, 고용비중 63%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또 비중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시장의 개방이 현실화되고 있으나 서비스 산업 전반의 낮은 생산성과 취약한 대외 경쟁력으로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 제고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제조업에서 확산되어 있는 ERP 시스템을 경영혁신의 도구로 서비스 산업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ERP를 패키지 방식으로 도입하려고 할 때, 기존의 업무 프로세스와 ERP 프로세스와의 차이(gap)가 발생하여 ERP 프로그램들은 수정, 보완하고 추가 기능들을 포함시키는 작업, 즉 커스터마이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실제로 ERP를 도입하는 기업들의 대부분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과 ERP 패키지에서 제공되는 기능과의 차이가 적어도 20% 정도가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ERP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ERP 패키지 기능과 도입 기업의 요구사항간의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커스터마이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ERP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ERP 패키지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약간의 연구가 제시되었지만, 서비스 산업의 경우에는 빈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인 대학교에서 ERP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ERP 패키지와 도입하고자 하는 대학교의 요구사항의 차이를 해결하는 방안인 ERP 커스터마이징의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ERP 시스템이 업종별로 특이하므로, ERP를 도입하였거나 혹은 도입하는 과정에 있는 대표적인 4개의 대학교를 선택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4개 대학이 ERP 도입 시 대학 업무 프로세스와 ERP 프로세스와의 차이를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4개 대학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을 종합해 보면 ERP의 기본기능을 수정하는 일은 없었고 포탈, 학사관리, 그룹웨어, 입시 등 ERP와 다른 기능 및 특성을 가진 소프트웨어는 기존시스템 연동으로 해야 하고, 원래 ERP에 없는 모듈 및 프로세스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는 추가개발로, 대학에 있어야 할 업무인데 예를 들면 학사 관리, 입시, 수강신청 등이 에러가 많거나 시스템 속도가 느리거나 할 경우에는 신규개발로 처리하는 것이, 나머지 업무마다의 약간의 갭은 주로 파라미터 조정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사립대학과 국립대학의 갭을 비교해 보면 사립대학(A대학, C대학)이 국립대학(B대학, D대학)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립대학에서는 연구행정, 병사관리, 시설관리, 인적자원관리, 보건소, 생활관, 기숙사 관리에서는 추가개발이라는 커스터마이징 방법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표준화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학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를 수행할 때 ERP 특정모듈과 핵심모듈과의 커스터마이징 방법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다시 말해서 대학에서의 표준화, 모듈화가 아직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특정모듈인 연구행정, 병사관리, 보건소관리, 생활관관리, 기숙사관리 등의 갭이 커서 커스터마이징의 대부분을 추가개발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핵심모듈인 재무회계, 관리회계, 구매자재, 설비관리 등은 5% 내외의 재설계를 통해 주로 커스터마이징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 대학에서만 존재하는 특정업무는 대학 특성에 맞도록 추가개발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ERP 표준 프로세스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갭의 크기가 크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대학 프로세스 표준화, 모듈화가 진전된다면 커스터마이징 비용이 상당히 감축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프로세스의 표준화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The role of service industry in Korea has been enlarging more and more. It has accounted for 54% of GDP and 63% of employment. However, with the ongoing market opening, the competitive power in service industry needs to be imminently enhance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enhancement of its competitive power, it is necessary for Korean service industry to implement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system,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a means of management innovation. However, a gap between the existing work process and the ERP process is generated in the course of ERP implementation. In order to avoid this kind of gap, it is necessary to customize the ERP package. ERP customizing is defined the course of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ERP program and adding more functions in the program. It is said that at least about 20% of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functions needed and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ERP package when the majority of businesses actually implement ERP. Thus, businesses with the intention of implementing ERP need a solution for the gap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ERP package and the functions required in the businesses. To look for a solution of customizing issu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consider for successful ERP system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on the ERP package customizing methods, but among them studies related to service industry seem ra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looked into the customizing methods as a solution of the gap between the ERP package and the requirement of a university assuming that the university, a representative of service industry, implements ERP system. As ERP system is specialized by industry, the present study selected four representative universities which had implemented ERP or wer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by conducting case studies, examined specifically the customizing methods that the four universities employed to avoid the gap between the university's work process and the ERP process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ERP.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By synthesizing the customizing methods of the four universities, no case of modification of the basic functions of ERP was found. Also, it was found desirable that the existing system should be linked to the software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and features from ERP such as portal service,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groupware management and entrance exam administration, that supplementary development should be done when the required module is not included in the ERP or the required process is largely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ERP, that new development should be done when there are a number of errors in requisite processes for the university such as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entrance exam administration and course registration or when the system works slowly, and that moderate gaps between the rest work processes and their counterparts should be resolved by adjusting parameters. And, in the comparison of the gaps between in private universities and in national universities, the gaps in private universities (A university and C university) were larger than the ones in national universities (B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e result was due to the fact that private universities employed the customizing method of supplementary development for research administration, military affairs administration, facility management,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health service center management, etiquette training house management, and dormitory management. Besides, from the aspect of standardiz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stomizing methods between the particular ERP modules and the key module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standardization of university's work process. That is, there was so large gap in the particular modules such as research administration, military affairs administration, health service center management, etiquette training house management and dormitory management, of which standardization and modularity has not achieved properly yet, that most parts of the customizing were resolved through supplementary development. However, for the key modules such as financial accounting, managerial accounting, purchase and inventory management and equipment management, the customizing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5% or so of redesigning. Lastly,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gap, the representation of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ard ERP processes, is large for the particular processes that exist only in universities because supplementary develop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reflect the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dvancement of standardization and modularity may considerably reduce the costs of customizing.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has limitations of not conducting research from the aspects of standardization of university's work process.

      • 철강업종 협력업체의 안전 활동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일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Steel industry refers to an industry that processes steels and produce steel materials through working them. Steel industry in Korea is a key national industry that has led economic growth for a long time, and an industry resorting to the economy of scale as a large-scale capital-intensive process industry. For recent 5 years, steel industry has enjoyed a boom thanks to globalization of world economy. Steel supplies in the world market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s not only steel production by China, India and Europe as well as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but also that by Russia and Eastern Europe has begun stretching. Although accidents originating from a variety of causes has endlessly occurred along with remarkable achievements of steel industry, accompanied by numerous disasters caused by them, it is a fact that research achievements of disater prevention in steel industry are quite insignificant as compared with production technique achievements for steels and the level of interest on safety management in the steel industry is conspicuously low. According to a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industrial disasters in 2010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Industrial Disaster Analysis, 2010), a total number of industrial disaster victims is 98,645, of which the number of victims per industry is 34,069(34.54%) for manufacturing industry, and 22,504(22.8%) for manufacturing industry excluding other industries, thus showing the highest rate of occurrence for manufacturing industry. In terms of occurrence rate, the portion occupied by victims in manufacturing industry, steel industry, in particular, is highest. At present, domestic parent firms thend to depend highly on research of core areas and production rate, neglecting safety areas. Particularly, due to characteristics of steel industry, subcontract workers are situated on sites per process with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or them, badly necessitating more aggressive measures with subcontract firms as an object. Although various safety management activity supports are provided to the best of business places to prevent disasters occurring with subcontractors, cases where a method capable of quantitative evaluation is applied to subcontractors in most business places are relatively rare besides leading parent firms.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nabl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o be pushed ahead in conjunction with a parent firm through development of a more systematic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disaster prevention with steel industry subcontractors, and to contribute to disaster prevention in domestic steel industry through activation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drive in conjunction with a parent firm by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or steel industry subcontractors. 철강 산업은 철강의 제조와 이를 가공하여 각종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한국의 철강 산업은 오랫동안 경제성장을 주도해온 국가 기간산업이며, 대규모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서 규모의 경제가 큰 산업이다. 철강 산업은 최근 5년간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에 힘입어 호황을 누려왔다.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인도 및 유럽 등의 철강생산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동유럽의 철강생산도 기지개를 펴고 있음에 따라 세계시장에서의 철강공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철강 산업의 괄목할만한 성과 못지않게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았고 그로 인한 재해도 많이 일어났으나 철강 생산기술 성과에 비해 철강 산업 재해예방을 위한 연구 성과는 극히 미미하며 이를 필두로 철강 산업의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현저히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고용노동부의 2010년 산업재해 통계분석(산업재해분석. 2010) 보고서에서는 전체 산업재해자는 98,645명이며, 산업별로는 기타 산업을 제외하고 제조업 재해자수가 34,069(34.54%)명, 건설업 22,504(22.8%)명으로 제조업이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철강업종에 관련된 재해자 발생이 제조업 중에서도 높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철강업의 모기업은 핵심 분야 및 생산량 등에 연구의존도가 높으며 안전 분야는 소외 시 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철강업의 특성상 공종별로 협력업체의 근로자들이 현장에 존재하며 이들에 대한 안전 활동이 미비하여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현재 협력업체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각종 안전 활동 지원을 사업장 나름대로 적용하고 있지만 이는 선두 모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업장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협력업체까지 적용하는 사례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철강업 협력업체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모델 개발을 통하여 모기업과 연계된 안전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철강업종 협력업체들에 대한 안전 활동 평가모델을 적용함으로써 모기업과 연계된 안전 활동 추진을 활성화하여 국내 철강업종 재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 애니메이션 후반작업의 구조적 활성화 방안 연구

        전대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우리나라 사회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여 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의해 문화적 가치가 높아지고 문화활동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문화의 상품화·산업화가 추구되는 문화산업의 경제화 현상이 크게 대두되면서 애니메이션도 하나의 문화산업으로서 정착되어 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문화산업 발전과 더불어 애니메이션은 21세기 문화산업 중에 한 축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정부 몇 지자체에서도 애니메이션을 문화산업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갖가지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즉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 문화 컨텐트진흥원,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부천만화정보센터, 춘천애니타운 등의 기관을 설립 만화· 애니메이션산업의 지원 및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지원과 국민의 인식을 전환시키고자 개관하였으며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 페스티벌(SICAF), 동아·LG 국제만화 페스티벌, 부천 국제대한애니메이션페스티벌 등 다양한 국제 페스티벌을 열어 창작력, 한국애니메이션산업의 진흥 및 기반 조성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렇듯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규모 및 지원 면에서는 많은 진보를 보이고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아직도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말하자면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하청 산업으로서는 발달하였으나 부가가치를 지닌 완성도 높은 창작산업으로 발전되지 못하였다는 의미이다. 이에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Post-Production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한다. 2장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애니메이션의 개념, 발생, 분류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이해하고자 했으며, 3장 애니메이션 산업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였고, 4장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구조 연구를 통해 제작, 인력구조 및 문제점 등을 알아 보았고, 5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현황을 중심으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은 물론 애니메이션 Post-Production 표준 작업 시스템 제시를 통해 Post-Production의 인식이 올바르고 곧게 자리 잡아 애니메이션 제작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져 보다 질 높은 창작 애니메이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의 요지는 기존의 Post-Production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발전에 대한 연구가 없었으며 제작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제지에 중점을 두었다. 인력양성에 관한 교육적 개선방향은 차후 논문에서 연구하길 바라며 조금이라도 애니메이션계에 Post-Production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주었으면 한다. It is not more at 10 years only that concept that is the animation in our country society begins to recognize. However, animation is becoming settled as one of the cultural industry as the cultural value rises and the demand for the cultural activity increases by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 along the economical phenomenon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demands the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is greatly risen. Also, animation regard as one of the 21th century culture industry along with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Therefor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evaluate animation as culture industry , and present various ways actively. So they established Seoul Animation Center, Paunches Cartoon Information Center, Ch'unch'on Ani town etc. for culture industry upbringing and changing people's cognition about cartoon animation industry. And They hold various international festival such as Seoul international cartoon animation Festival (SICAF), Dongah LG International Cartoon Festival, Pucheon International Students Animation Festival for Promotion of Korean Animation Industry and foundation. Korean animation industry have developed as scale and support but Contents have not. it means that Korean animation industry was developed as for subcontract industry but was not developed by consummativeness high production industry that have added value. I Wish to present problem of animation Post-production work and improvement and find Post-Production development direction.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imation, we recognized the concept, the occurrence, and the classification of animation, and in chapter 3, we diagnosed the structural problem by the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bout the animation industry, and in chapter 4, we studied the production, labor system, and the problems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animation Post-Production structure, and in chapter 5, we present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that are presented in chapter 3 for sure, and we contribute the activation of creative animation with high quality follow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production system as the recognition of Post-Production is settled rightly and straightly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work standard system for the post-production work of animation. The site of this treatise also emphasized in system presentation as was no research about development inappreciatively about existent Post-Production I wish to study Educational improvement more in other treatise and implant consciousness about the importance about Post-Production.

      • 金型 關聯 職業能力開發事業의 役割 및 改選方案 硏究

        김성남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금형기술 관련 직업능력개발훈련시스템과 금형 관련 산업적 요구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직업훈련시스템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국내 산업구조는 급격히 탈산업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금형 분야를 포함한 제조업의 종사자수와 관련 교육훈련분야 지원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금형 분야의 구인 수요는 주로 중간이하 수준인 기능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금형 분야 직업능력개발시스템은 중간이상 수준의 양성기능에 치중해 있으며, 대부분의 금형업체가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는 전문적으로 금형을 교육시키는 기관이 부족한 상태이며, 금형교육과정을 충분히 교육하지 않는 유관분야인 기계가공직종에서 금형업계의 구인수요에 대한 공급을 대체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를 위해 금형 관련 주요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운영현황 등을 분석·검토하였고, 노동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고용전산망인 워크넷의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직업분류가 비교적 세분화되어 분석이 가능한 시기인 2001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분석·검토하였으며, 주요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범위는 한국산업인력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 양성과정 및 대한상공회의소 양성과정을 기준으로 하였고, 대학 및 고등학교의 교육과정도 일부 포함하였으며, 국내 금형 관련 교육훈련 현황을 관계기관을 통해 입수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금형기술 관련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역할 및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금형 분야의 직업교육훈련은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관장 하에 정예화, 집중화되어야 한다. 즉, 시장원리에 의한 직업교육훈련제도의 방임적 정책에서 과감히 탈피하여야 한다. 둘째, 수도권에도 금형 전문 훈련과정을 설치하고, 이미 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금형 관련 직종인 전산응용기계, 프로메카디자인, 생산기계 분야 등에서도 체계적인 금형 기술·기능교육훈련을 위하여 금형 관련 교과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이것을 통해 업체는 On The Job Training을 비롯한 자체 교육부담을 경감하여, 산업경쟁력을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셋째, 다양한 수준과 관련 직무의 운영이 필요하다. 실제로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하위 단순 직무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서 해당 부분의 인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넷째, 모든 직업교육훈련대상자가 상위 고급기술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훈련생 개인 능력별 수준을 고려한 교육훈련을 위해서는 획일적인 학사운영에서 탈피하여, 수준별 교육에 의한 수시 수료, 틈새직종 개설 등 보다 다양하고 현장 지향적인 운영이 요구된다. 다섯째, 금형 분야 박사, 기술사, 기능장에 대한 산업계 차원의 우대방안 확립이다. 그래서 기술 및 기능분야의 상층부분에 해당하는 역할과 그에 따른 보상을 강화하여, 보다 우수한 자원의 유입과 안정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여야 한다. 여섯째, 금형 관련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학계 차원의 관심과 연구적 접근이다. 기술과 기능의 발전은 우선 정책과 제도라는 토양아래에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In industrial world, percentage of manufacturing is decreasing as the national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As the result, in the related fiel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applicants are decreasing. So the need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re decreasing, and the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are lowering. However, in die & mold industrial field, they have still difficulties in employing. And the number and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don't meet the need of die & mold industries, even though most af the die & mold industries are in capital area.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e of the facts above, and from the experience of model die & mold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we've got some ideas about the role and remedy for the vocational training service related with the die & mold, and about improvement. First, the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n die & mold related field, should be managed more strongly and intensively, mainly in public education & training institutes. die & mold industry plays the main role in the national industry and economy, so the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in die & mold related field should be managed with support and lead of government. And so-called popular job-education & training should be left to private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with market economy. Second, die & mold related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in capital area, and proper die & mold related subjects should be included in machinery related curriculum of training institutes in capital area. Third, it is rational to teach designing of die & mold, and to offer CAM-centered curriculum to the advanced students. And we should prepare to meet the hiring needs of machining, assembling, and grinding by offering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to intermediate and lower students by teaching them intermediate and lower subjects with their practical individual capability. Fourth, to train skilled workers of die & mold, we should give better treatment to doctors, "Ki-sool-sa"(top of engineer's qualifications), and "Ki-neung-jang"(master of die & mold) in the whole industrial world with the intensive practical national support. Fifth, We should pay more academic attention to and study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ervice business in die & mold.

      • 산업용 기름으로 오염된 지반의 거동에 관한 특성 연구

        조호영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반이 산업용 기름으로 오염될 때 지반의 강도변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래와 점토 및 표준사를 대상으로 함수비와 함유비를 변화시키며 다짐시험, 투수시험, 비배수상태에서의 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함수비와 함유비 변화에 따른 최대건조밀도를 비교한 결과 함유토의 밀도가 1.31~3.33%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그리고 산업용 기름과 흙 혼합 및 물과 흙 혼합의 투수계수(k)를 최대건조밀도에서 측정하였다. 산업용 기름과 흙 혼합의 경우 점토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용 기름의 혐수성으로 흙 입자 사이의 유로형성을 방해하여 응집성(부착성)을 증가시키므로 물과 흙 혼합토의 경우보다 투수계수가 5.7~14.8% 감소하였다. 또한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산업용 기름오염 점성토의 강도 변화를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밀도가 같은 모래에서는 산업용 기름을 혼합하였을 경우가 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비해 내부마찰각은 4°정도 감소하였고, 점토질 모래는 산업용 기름을 혼합하였을 경우가 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비해 점토입자와 기름의 화학적, 물리학적인 상호작용으로 6~7°정도 내부마찰각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름 유출에 따라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으로 동․식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나 토질 역학적 거동은 초기상태 및 모래에서는 전단강도가 감소하였으나 점성토의 경우는 기름유출 또는 유입에 따라 응집성, 부착성이 발생하여 강도 증가 현상을 가져와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산업안전기술기준과 KS의 부합화에 관한 연구 : 안전모를 중심으로

        민영초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국산업규격(KS)은 국민의 이익이나 편리를 위하여 통일, 단순화된 가장 기본적인 규격으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생활용품에서부터 자동차, 비행기 등 모든 제품 및 부품에 적용되며, 그 내용도 치수, 성능, 재질, 시험방법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국가표준의 제정·보급은 생산자의 품질향상, 생산효율성향상, 생산기술혁신을 촉진시키며,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KS이외에도 각 정부부처마다 개별 법령을 제정하여 그에 따른 성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정부부처간의 용어, 단위, 종류, 등급, 품질, 시험방법, 표시 사항 등이 일치되지 않거나 부처간에 중복사항이 생기고 있으며,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들도 혼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3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연구조사에 정부 규격은 95개 법령에 근거하여 16,657종이 제정, 운용되고 있으며, KS와 통일화 가능한 것은 약 182개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노동부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내 75개의 기술기준이 KS와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근로자 안전확보에 1차적으로 적용되는 방호장치 및 보호구에 집중적으로 중복적용 되고 있다. 보호구 방호장치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검정시험을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서만 제조, 수입, 판매, 유통될 수 있어, KS와의 2중 규격에 따른 혼란성은 다른 부처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S와 산업안전보건법의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으로 고찰하고, 부합화 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선진외국의 보호구 규격을 검토하여 부합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보호구인 안전모에 대하여 부합화 작업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호구는 KS와 산업안전보건법을 등시에 적용받는 기계기구로서, 개정이 안 된 KS의 경우 시장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조사결과 역시 KS규정을 알면서도 대부분의 소기업들은 산업안전기술 기준에 맞추어서 제품을 만들고 있고, ISO기준으로 제작하고 있는 업체도 몇몇 있었기에 국내 실정에 맞는 규정을 제정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점차 그 규정의 질을 높여 산업안전보건법을 기초로 KS가 상향조정되어 보다 통일되고 해외 규정에 뒤떨어지지 않는 그런 법(안) 개정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통합된 (안)은 성능검정제도를 통해 최소의 제조기준을 제시하여, 불량품이 유통되지 못하게 산업안전기술기준을 통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확립하고 또한 고품질의 제품에 대한 지원책을 따로 마련하도록 한다. 셋째, 고품질에 대한 지원책으로 현재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시행하는 검정제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능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고, 등급을 부여한 후, 등급에 따라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줄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한다. 또한 차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해외 기준과 부합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선진외국과 같이 작업환경 변화에 따라 방진장갑, 전기용 고무장갑, 용접용 가죽보호장갑등 작업 특성에 맞는 보호구가 표준화 되어야 할 것이다. 차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이 연구되어 제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orean industry standard (KS) is applied to car, airplane light all products and parts from necessities of life that we use routinely to the most fundamental specific activity for the sake of people's profit or convenience and simplifies, and the contents are used over several fields such as size, performance, quality of the material, examination method. This country Standing enactment suppliance promotes producer's quality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elevation, production technical innovation, and is acted by resources that can improve country competitive power. But, they establish individual statute in each government agency in addition to KS and are presenting performance accordingly. But presently, terminology unit, kind, grade, quality, method of test, indication of the item etc.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re inconsistent or repetition item. And producer as well as consumers is real condition of confusion. In 2003, government standard establishes 16,657 species on 95 statute and is applied in Ministry of Commerce technology standard circle research and investigation, and things which can be unified with KS are examined about 182. In the Ministry of Labor's occasion involved directly with safety, 75 technology standards are involved KS i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nd is repetitive applied concentrically to protective devices and protective bracer that is applied chiefly on worker safety. In the case of protection bracer equipments, because they can make, import sell and circulate about product that pass calibration test according t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confusion by duplex standard with KS is higher than other ministries. Hereup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troversial points by duality of KS an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nd grasped possibility of coincidence and examined protection bracer's standards of advanced abroad and presented plan of coincidence. As a result of excuting of the coincidence works about safety helmet that is most representative protective bracer, We drew following synthetic conclusion. First, protective bracer is a machinery that is applied KS an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t the same time, and revision is real condition that is not used in the market in occasion of KS and most of the small companies knowing about KS's Law make product according to the industry safety technical standards, and there are some small enterprises manufactured by ISO standard, it is needed to revise such law that is fit in domestic real condition as there was some improve quality of the regulation gradually going forward of course better and KS is looked up based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as findings knows KS regulation. Second, united law presents minimum manufacture standard through performance test system, We do establishes minimum guide line through industry safety technical standard to prohibit from circulating defective goods and readies to support policy for product of high quality. Third, as supporting policy about high quality, it is necessary to enforce the supplement testing system on presentl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secure the system that can give authenticity about stability according to grade. Also, plans that coincide with foreign countries standard should be readied, and correct protective bracer may have to be normalized according to working environment change in work specific such as protective gloves, rubber-insulated gloves, leather protection gloves for welding. Subsequently, improvement plan is studied in reply and plan that can satisfy manufacturer and consumer at the same time may have to be readied.

      • 보호구 제조 산업의 육성과 검ㆍ인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세철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보호구 산업은 이익보다는 근로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고차원적인 산업이며, 공공성을 위하여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제조의 단순성과 적은 수익성 등의 이유로 그 중요도보다는 저평가 되어 제조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부진하였다. 국내의 보호구 제조 산업은 초기 일본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는 기술로부터 시작되어 현재 꾸준히 기술 향상을 피하고 있으나, 영세 소규모 사업장이 대부분이어서 기술, 자금, 인력 둥이 부족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신제품에 따른 홍보부족, 제한된 유통구조 및 품질관리, 전문 인력 및 시설의 부족, 제한된 실험장비 등의 문제로 보호구 제조 산업에 대한 지원은 안전을 위한 최저 기준 제시에만 머물고 있어서 이를 국제적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 및 선진외국의 보호구 산업 관련법 및 검사, 인증, 검정 제도 적용실태를 파악, 비교 분석하고, 현재 보호구를 제조, 판매자 및 안전전문가 등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1) 정부의 검인증기관 확대·개편 - 현재 검정수준을 국제기준에 맞도록 기준, 장비, 인원확보를 위한 관련 규정 개정 및 기준을 제정한다. - 가칭 안전검인증본부로 확대하여 국제규격 인증을 기관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시스템을 현실화시킨다. - 가칭 안전검인증본부는 기술지원, 자금지원, 인력지원등의 전략 목표를 수립하고, 보호구 제조 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수행한다. - 선진국의 관련기관(TU¨V등)을 모델로 하여 예산, 장비, 인적구성을 마련하고, 세계적 수준 이상으로 육성시킨다. (2) 보호구 제조업체 지원을 위한 법률 기반 조성(시행규칙 제정) - 새로운 위험에 대한 보호구를 파악하고, 정정 및 검사제도 대상 범위를 확대 조정한다. - 법 제 62호에 제정된 바와 같이 보호구 업체들이 산재예방사업에 따라 자금 지윈을 받을 수 있도록 세부 시행규칙을 제정하고, 최대 2,000만원 한도의 무상지원을 실시하도록 한다. - 성능검정규정의 산업안전기술기준과 KS를 통일화시켜 생산 시부터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일원화 된 기준을 제시하며, JIS 와 ISO와 같은 국제규격으로 변화시킨다. (3) 산·학·연 공동 연구를 위한 기반을 조성 - 현재처럼 경험적 지식에 의하여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산·학 공동 연구를 통하여 제품을 개발하고, 새로운 장치를 개발한다. (4) 위탁 시험소(설비가 갖추어진 대학중심)를 개설하여 품질향상을 유도 - 대학 등 비영리단체와 연계하여 위탁시험소를 설치하며 그 기준은 한국 시험기관인정기구(KOLAS)로부터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을 만한 수준의 시험소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 위탁 시험소 운영시 첫해에는 1개 기관 또는 대학을 선정하여 운영하고, 2년차 에 성과를 측정하여 지역본부 3개소로 확대한다. 5년 후 지역별, 기능별 탄력적 운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위학시험소의 운영에 대한 지침과 사후 관리는 안전검인증센터에서 실시하며, 매년 운영 상태를 평가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관리한다. The protector manufacturing industry is the highest industry that focuses on rather protecting employees than gathering profit and must need to ge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order to be fair.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it is valued lower by reasons such as producing simply and low profit, it is supported rarely in order to being an effective industry. When the industry in Korea started, it copied the first system Japan used have. Even though it has tried to improve their own technology since then, it has such bad circumstance that it could not produce high quality products because of small businesses for lack of skills, manpower, and funds. Moreover, because of several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information, limited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products' quality, and being sort of experts, facilities and equipment, although it has such good technology that it could produce high quality products, that it is supported remain in below standard by published code. Therefore, it must need to make measures in order to be the same level as international standard. This thesis is shown by the survey including improvement measures of th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found below problems, and has solution to fix up those problems. 1. To enlarge and revis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agency of the Government - Revise and change code, equipment, and manpower to fit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 Realize protector system by spreading institutions named a head quarter of protector - An agency named a head quarter of protector makes goals such as supporting to be better skills, funds, and manpower and does support the protector manufacture industry - Be ready to able to be the same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prepare resources such as funds, equipment, and manpower to catch up a better system advanced countries have 2. Establish the laws in order to support protector businesses - Try to make sense about protectors which are in dangerous and enlarge and modify the range of the inspection and certified system - According to the law numbered 62, make detailed rules for protector companies in order to get support and fund and enforce to support funds(maximum ₩2,000) without the interest rate - Make clearly the standard including both of KS and Industrial Safety technical code that high quality products could be made at first and try to develop it to be the same standard as JIS and ISO 3. Make the base of study to work all of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ld together - Because of, by recent knowledge, the limit to produce and develop new products, industry and the academic work on together and develop products to be better 4. Establish a contract laboratory for the lead of improving quality

      • 복잡한 자유곡면 형상의 제품개발과정에서의 3차원 측정기의 활용방안 연구

        박재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컴퓨터산업의 제반 기술과 분야별 전문성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제품개발 환경 또한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은 기존의 제품개발 방법에 새로운 페러다임(Paradigm)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과 혁신적인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도입을 위하여 각 분야에서 동시공학(CE/ Concurrent Engineering)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산업디자인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컴퓨터를 응용한 산업 디자인(CAID/Computer Aided Industrial Design) 프로세스가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CAID 프로세스상에서 제품의 형상을 3차원 CAD데이터로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의 단계는,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정확한 형상의 구현, 기구설계와 금형설계, 생산으로 이어지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중요한 시발점이 되고 있다. 특히 현대산업사회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자동차, 가전제품등의 공업제품들은 제품경쟁력에 있어서 외형적인 디자인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면서 제품의 설계과정에서 형상이 복잡한 자유곡면(free-formed surfaces)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제품개발 초기에 디자이너가 생성하는 3차원 형상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기술적인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형상이 복잡한 자유곡면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해 직접 모델링을 할 경우 디자이너가 원하는 정확한 면을 생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기간과 개발비용의 증가로 제품경쟁력에서 떨어져 CE와 CAID의 본래의 취지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자유곡면의 형상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1.산업디자인과 관련된 컴퓨터 기술의 환경과 동시공학적 측면에서의 CAID 프로세스에 관한 문헌조사. 2. 3차원 측정기에 대한 개요, 활용동향과 특성에 대한 문헌조사와 제품 디자인을 위한 역설계(REDP : Reverse Engineering for Product Design) 프로세스의 실체화 3,사례연구를 통한 비교 분석,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상의 조사와 실험을 통하여 복잡한 형상의 자유곡면을 가진 제품 특히, 인체와 관련되어 정확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제품의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는 기존의 컴퓨터를 이용해 직접 모델링을 하는 방식보다 3차원 스케너를 이용한 역설계방식(REPD)을 활용할 경우 제품개발 초기의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정확한 면(surface)의 형상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시간 또한 기존의 방식보다 혁신적인 절감을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디자인, 기구설계, 금형설계, 생산등의 제품개발 전 과정에 있어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Along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ll things of technology and speciality by field in computer industry, the environment of the development of products is being changed a lot, and this change calls for a new paradigm to the existing ways of developing products. To make an effort to deal effectively with the change and to introduce an innovativ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products, studies of CE(Concurrent Engineering) in each area are under way actively. It is the real condition that CAID(Computer Aided Industrial Design) process is growing to be generalized as a result of these effects even on the environment of industrial design. Also, a 3D modeling stage where product forms come into being in 3D CAD data in the CAID process is growing to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in a manufacturing process as the embodiment of a definite form that a designer intent to make, followed by designs of instruments and metallic patterns, and production. Particularly, as the importance of external designs of industrial products such as automobiles, home electronics, etc. which play the trigger rol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terms of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technological difficulti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ree-dimensional forms which a designer makes in early stage of the product development are getting to increase, revealing the use of free-formed surfaces where forms are complex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s remarkably. In case of free-formed surfaces whose forms are complex, it is impossible to make an exact surface that a designer wants in fact, if a modeling is conducted by using a computer directly. Above and beyond, it runs counter to the original aims of the CE and the CAID owing to the failure of price competitiveness as the period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cost become higher. Thus, for a process to make complex free-formed surfaces effectively, the study performed: 1. documentary survey of the CAID proces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concurrent engineering relating to industrial design 2. documentary survey of the introduction, the trend of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a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and substantiation of REDP(Reverse Engineering for Product Design) process 3. comparative analysis using case study From these investigation and tests as above, if a product having free-formed surfaces, especially three-dimensional data of a product that requires definite data connected with the human body, was produced, to use the REP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rather than to perform a modeling using the existing computer directly leaded to make a form of definite surfaces to a designer's intention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in the beginning of the product development and also to produce innovative reduction of working hours to create data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ways. Consequently, it was most likely that the competitiveness of all the process of the product development such as designs, instrument designs, designs of metallic patterns, production, etc. could be secured.

      • 주얼리 산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의 비전에 관한 연구

        김윤원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Today, jewelry industry has developed by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processes and workmanship. Moreover, Jewelry industry has been more important part to output added value and show cultural ident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Korean jewelry history, the current status, and the future of Korean Jewelry market. Korea's jewelry culture had already been prosperous since A.D.4C. However, in A.D.14C,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ffected the jewelry artisan to decline. Although jewelry market is in good shape in the 80s, THE development of jewelry industry was hampered due to the domestic structural defects due to tax luxury goods in the 90s. Moreover, other serious problems follow because of the recession, competitive disadvantages against international brands, and a distrust of those in jewelry market. Specially, structural problems cause depression of jewelry industry due to irregular appraisal system, lack of technique investment on jewelry market, and dullness of design of jewelry. Furthermore, recent FTA between Korea and U.S. and between Korea and EU would convert jewelry industry to an infinite competition system. Therefore a few conditions must be required for one leap of domestic jewelry market to revive project a positive image based on trust to customer, various design and material creation, marketing system development of companies, and financial and political aid from the government. The jewelry industry in the world has been developing every year, the future of Korea's jewelry industry depends on the effort to improve. Keyword: Korean jewelry history, current jewelry industry of Korea, the problem of jewelry market, the policy of government, FTA and future of Korean jewelry industry. 요약 주얼리 산업은 가공기술과 세공기술의 발달로 오늘날 화려한 시기를 맞이했고 전통적인 개념과 함께 한 국가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표현하며 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 산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과거 우리나라의 주얼리 장신구문화를 살펴보고 이것이 오늘날 주얼리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오늘날 한국 주얼리 산업의 현주소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 해보았다. 우리의 주얼리 문화는 과거 청동기 문화를 거처 삼국시대에 이르러 아름답게 꽃피웠다. 그러나 근대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의 영향과 장인(匠人)들의 천시풍조로 정체기를 맞았다. 산업화가 진행된 현대의 국내 주얼리 산업은 80년대 까지 호황기를 누렸으나 90년대 이후에는 어려움을 격고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 경기 침체와 개발도상국들의 시장참여, 해외 선진 유명 브랜드에 의한 시장 잠식, 증가된 임금의 상승, 업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하락을 들 수 있다. 특히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일관성이 결여된 주얼리 감정 체계의 지속과 업체의 영세성으로 인한 기술투자 미흡, 경쟁국에 뒤져있는 첨단 디자인 개발력의 부족 등이 고부가가치 제품화의 실패로 이어져 현재 주얼리 산업의 부진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의 한미 FTA체결과 지금 진행되고 있는 EU와의 FTA체결 예상은 향후 주얼리 산업이 여타 산업과 같이 무한 경쟁 체제 하에 놓이게 될 것이다. 산적한 현안 문제를 해결하여 주얼리 산업이 살아남고 주요산업의 한 부분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먼저, 주얼리 관련 기업은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주얼리 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의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하고 급변하는 시장에 대응하여 새로운 소재 개발과 디자인 구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관련 협회는 점점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는 해외 거대 기업의 명품브랜드의 시장 진입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마케팅의 개발과 업체의 법인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중소 업체의 공통마케팅을 구현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의 세금 제도 보안을 포함한 정책적 지원, 기술적인 지원이 뒷받침 된다면 FTA를 기회로 삼아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産業社會의 象徵的 이미지를 主題로 한 陶磁造形 硏究

        오성규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20세기 산업 사회의 발달은 과학기술의 진보를 통해 물질적 풍요와 생활의 안정을 가져 왔으나, 인간 삶에 있어서는 고독과 소외,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었고, 급기야 발전과 성장의 20세기를 부정적으로 폄하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세기가 시작되고 있는 지금 지나온 20세기 현대문명에 대한 긍정적인 재해석을 통해서 현시대의 균형감을 회복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산업사회의 형성과 배경을 고찰하여, 그 속에 내재된 상징적 요소들(공장, 굴뚝, 철판, 나사, 볼트등)의 집약체인 도시를 부정적인 모습이 아닌 긍정적인 제안의 도자조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현대 미술에 나타난 산업사회의 표현 양상들을 회화 및 조각 그리고 현대도예로 세분화해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해 보았다. 작품의 제작은 철재나 공장의 차갑고 반(反)친화적인 이미지로 표현되어 지던 성향에서 인간 삶에 밀접하며 친근감있는 새로운 사물로의 인식전환을 하고자 하였으며,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여, 판성형과 가압성형 기법으로 총 7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외면할 수 없는 역사의 진보 속에서 산업사회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생성된 소산물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미적 가치를 부여하고, 나아가 현대도예에 있어서 표현영역의 확대와 도자조형의 다양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sudden urbanization and the growth of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progress of scientific technology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society mad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possible and brought abundance in material and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However, in the dark side of modern society, urban industrialization according to growth-oriented external development fundamentally changed a way of life and caused the problem about loss of humanity. Today the bad effect of such modern civilization had an influence upon forms of expression through the change of consciousness even in modern art and ultimately some tried to solve some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rough destruction and denial of things which enabled material civilization. Nevertheless, from integrated point of view, above effort is partial toward the negative cross section of modern civilization and falls into the error of underestimating the 20th century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path of life through industrial growth. Consequently, the investigator tries to recover through balance in modern times and make a positive proposal, not negative reality which is showed to the outside, through recomposition by using big and small factors with symbolic images of industrial society through the positive reconstruction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20th century, and expressed the image of factory with symbolic image of industrial society and steel plate, reinforcing rod, screw and bolt produced by industrialization of modem civiliz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shape with transform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pretation and formative order by recomposition. This approach is performed to express symbolic elements in industrial society intimately and joyously by using plasticity and physical property of earth,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for ceramic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