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흥미 분석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othy Heathcote 's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attitude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educational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Seco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dram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3 students of 5th grader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 gu, Seoul. It studied ‘Temperature and Heat’ in the part of ‘Materials and Energy’ and ‘Solar Systems and Stars’ and ‘Structure of Plants and its Features’ in the part of ‘Life and Earth’ from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It performed 11 times for the plays in total. After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the Mantle of the Expert, it analyzed the students’scientific attitude using daily records of the classes, consulting materials, movies and pictures taken for the classes and activity journal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nected the play activity to the role play and helped students to concentrate into various jobs related science so that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uld be meaningful. The classes were formed so that the students actually live as a professional person. The classes are composed of the courses of ‘opening mind’, ‘suggesting the context’, ‘selecting a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 and making it mine’, ‘perform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and ‘discussion’. Second,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positive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such as curiosity, cooperation, and positiveness. They could be a responsible scientist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do the job with the sense of purpose by wearing the gown of a professional person. Third, the educational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fter the classes it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ents. It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cience has increased after the classes and they had positive idea about the educational paly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specific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educational pl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build and activate various subjects of scientific educational play classes,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Dorothy Heathcote의 '전문가의 외투'(Mantle of the Expert)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흥미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 개정 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영역 1개 단원(온도와 열), 생명과 지구 영역 2개 단원(태양계와 별, 식물의 구조와 기능) 1~3차시씩 5회기, 총 10차시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이 이루어진 후 교사․학생의 수업일지, 면담 자료, 비디오 촬영 및 전사 자료, 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학생이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과 역할 입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련한 다양한 직업들을 인식하고 역할에 몰입하여 활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살아보기’를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음 열기’, ‘맥락 제시’, ‘전문가 역할 선정 및 내면화’, ‘전문가의 역할 수행’, ‘정리’의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중 호기심, 협동성,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할을 입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과학자로, 과학과 관련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과학과 관련한 사회를 이해하고, 목표 의식을 갖고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수업 후 인터뷰 및 설문지 결과 수업 후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이 늘었고, 교육연극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외투'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교육연극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의 태도 부분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과학과 교육연극 수업,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수업, 과학적 태도 부분을 함양하고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운영 실태 분석

        임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03

        A B S T R A C T An Analysis on the Current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Choirs in Seoul by Lim, Hyun Jeong Major in Elementary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Bang. Keum Ju It has been suggested by many studies that chorus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personalities and emotions, as well as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musical capabilities. Nonetheless, schools tend to emphasize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The resulting workload prevents schools from being able to properly run chorus programs.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an actual status survey regarding the chorus teachers,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horus, and the operational condition of choru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opose ways to activate successful chorus program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successfully initiating chorus activity in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based survey and an interview component.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in April through July of 2013 by 21 choru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34th Merry and Pure Singing Contest and also by the 40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chorus teaching method seminar from 11 loc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e interview component,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given in July to August of 2013 to 5 chorus teachers and to 2 school principal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wo research method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most chorus teachers were burdened with an excessive workload, which did not allow them to teach chorus consistently and they had inadequate experience such as music interpretation. Second,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start and recruit members to fully participate in chorus. Third, chorus contests are declining and managers and parents who care only on the outcome of these contests was another problem. Fourth, chorus programs lacked assistance from an outside lecturer with chorus expertise. Fifth, a fundamental facility and equipment or instruments for chorus is currently insufficient. Sixth, it is difficult to choose the appropriate chorus music for the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present study makes the following proposal to activate the choi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rea. First, to secure professional chorus teachers,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provides chorus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earn additional points (to career) and to develop further professional knowledge in chorus. Second, schools need a system to organize, and to operate and their chorus. Third,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where children can gain experience and opportunity of performing in a chorus. Fourth, ways to get more consulting scholarships, and in gaining talent donors with professional backgrounds should be expanded on. Fifth, a basic educational facility should be prepared for chorus activities. Sixth, there should be more chorus music that children could relate to and have more fun singing. Seventh,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have more of a positive perception of chorus. Keywords : chorus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논 문 요 약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운영 실태 분석 임 현 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 지도교수 방 금 주 ) 합창활동이 어린이들에게 음악적으로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동시에 인성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현장에서는 주지교과를 중시하는 분위기, 교사의 과중한 업무 등 여러 요인으로 합창활동을 제대로 운영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지도교사 관련사항, 합창부 조직과 활동, 합창부 운영 및 제반여건 등 합창부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앞으로 합창부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4월부터 7월까지 제 34 회 밝고맑은노래부르기 대회에 참가한 합창부 지도교사 21명과 합창지도법 세미나에 참석한 지도교사 40명으로 총61명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11개 지역교육청이 모두 조사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면담은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 지도교사 5명과 교장 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이렇게 조사한 내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합창지도의 업무가 과중하여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며 발성, 곡 해석 등 전문적인 부분의 개선을 위한 연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합창부 구성 및 합창부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어렵다. 셋째, 합창대회가 점차 폐지되는 현실과 대회 결과만 중요시 하는 관리자 및 학부모의 인식이 문제이다. 넷째, 합창지도의 전문성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강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현실이다. 다섯째, 합창활동을 하기 위한 교실 및 기자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여섯째, 학교 합창부 아이들에게 맞는 곡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서울지역 초등학교 합창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적인 합창지도교사를 확보를 위해 가산점과 같은 보상책과 전문적인 연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많은 학교에서 합창부를 조직,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도가 필요하다. 셋째, 아이들에게 합창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넷째, 컨설팅 장학, 지역사회 재능기부자와 같은 전문적인 외부강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을 더 확대 운영해야 한다. 다섯째, 합창활동을 하기 위한 기초 교육시설이 정비되어야 한다. 여섯째, 아이들이 재미있고 즐겁게 부를 수 있는 어린이 합창곡이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부모들의 합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주요어 : 합창교육 * 본 논문은 2014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1수업 2교사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 협력을 중심으로

        김용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는 양상과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수업 2교사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1수업 2교사제와 교사 협력,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즉,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또는 정책의 변용을 통하여 불응하는지 혹은 형식적으로 순응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해 학교 조직 문화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교육청에서 1수업 2교사제 정책을 시범․운영 중인 2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였다. 두 학교는 인근 지역에 위치했지만 서로 다른 학교 조직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이한 학교 조직 특성으로 인해 1수업 2교사제의 운영 양상을 대비하여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목적에 비추어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주요 면담 대상자들은 2개 초등학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참여 중인 더불어 교사와 담임교사들로 총 15명이었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써 주요 면담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총 42회 실시하였으며, 수업 나눔 페스티벌을 활용하여 총 8회의 수업 참관을 하며 동영상으로 수업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 교육학 연구자,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석사과정 대학원생, 현직 교원, 그리고 현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들로부터 여섯 차례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1차 연도와 2차 연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두 학교 모두 초기에는 한 교실에서 두 명의 교사가 함께 가르친다는 데에 부담감을 갖고 시작했다. 이후 사오 관계가 깊어짐에 따라 긴장과 갈등을 극복하면서 사전 수업 협의회가 활성화 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을 활용하였다. 다만, 수업시수 균등 분배 규범의 영향으로 인해 바다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교과 전담제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후 2년차에는 교수-지원 중심의 협력 수업 유형을 통해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추구하면서 1수업 2교사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기존 동 학년 구성원을 유지하며 래포를 형성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며 동 학년 교사 협력이 보다 전문적인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2년 차에는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며 스테이션 수업 유형이 주로 활용되었고, 한 차시의 수업에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이 복합적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하늘별초등학교에서는 1수업 2교사제의 성공 경험이 다른 학년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에 대해 수업의 변화, 교사의 변화, 교사 관계의 변화,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별초등학교의 경우 1수업 2교사제를 통해 교사들의 초기 부담감은 점차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책임감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 있어서 기존의 친밀감을 중시하는 동호회 성격의 관계를 넘어서 전문적 협력 관계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기존 학교 조직 문화의 영향이 워낙 강력하다보니 오히려 1수업 2교사제가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가 교사 간 경력 차이로 인해 멘토링 형태로 운영되거나 수업 시수 균등 배분 규범으로 인해 교과 전담제와 같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경우 스테이션 수업을 통해 교사들은 새로운 수업 방법 시도에 대한 성공을 경험하며 협력적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서는 개별 교사들의 전문성에 기반을 둔 상호 멘토링과 코칭의 관계로 성장하였다. 특히,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존 교원 학습 공동체와 1수업 2교사제를 연동하여 운영하며 교실 속 교사 협력이 심화되었고, 그 결과 다른 학년으로 협력 교수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사 개인 차원, 교사 관계 차원, 학교 조직 차원,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 구분하고 두 학교의 사례를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교사 개인 차원의 요인으로는 변화에 대한 부담감, 참여의 자발성 등이 있었고, 교사 관계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육 경력 차이, 교육 철학 차이, 부장교사와 학교장의 리더쉽 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원 학습 공동체 참여 여부, 혁신학교 여부, 학교 규모, 참여 교사의 연계성 확보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는 상호 불간섭 원칙, 동 학년 통일 규범, 변화에 대한 불만 속 순응, 연공서열 중시 등이 있었다. 이처럼 1수업 2교사제 운영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1수업 2교사제는 한 교실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 교수함으로써 기존의 1인 교수 학교 조직 문화와 상호 교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책의 변형적 적용과 선택적 수용, 그리고 형식적 순응 현상을 보였다. 특히,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단순히 두 명의 교사가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만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교사들로 하여금 겉으로는 협력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즉흥 연주하듯 서로 눈치를 보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가장된 협력’의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또한, 연공서열을 중시하며 보이지 않는 수직적 위계가 암묵적 질서로 자리 잡은 전통적인 한국 학교 조직 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위계적 협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의 교사 협력이 멘토링, 교과전담제의 변형된 형태로 적용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에 미친 영향보다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변형적으로 적용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계란 판’과 같이 교사들을 격리시키는 학교 교실의 물리적 구조를 극복하여 한 교실 안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하여 가르치는 시도 자체만으로도 개인주의 교직 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비록 1수업 2교사제가 비록 교육청으로부터 하향식으로 시범 운영되었지만, 교사들은 교육적인 가치를 중심에 두고 교사 간 전문적 협력의 관계를 형성하며, 기존의 학교 조직 문화에 의미 있는 변화를 느리지만 점진적으로 시도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초기에 수업 공개에 대한 부담감이 컸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교사 간 함께 수업 계획하기가 활성화되고 관계가 깊어지며 점차 부담감을 극복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은 ‘관계’였다.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교사들의 상호 신뢰적 관계를 바탕으로 협력적 전문성이 발현되지 않는다면 지속가능한 학교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셋째, 1수업 2교사제가 학교에 미치는 영향보다 오히려 기존 학교 문법으로 인해 학교가 1수업 2교사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개인주의, 현재주의, 보수주의로 점철된 교직 문화를 극복하는 데에 미약하지만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수업 2교사제와 같은 급진적 형태의 교사 협력은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을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으로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코티칭 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한국 특유의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코칭, 상호 멘토링, 수습교사제와 같이 새로운 형태로 운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1수업 2교사제를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여 운영하도록 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1수업 2교사제는 코로나 시대에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1수업 2교사제의 효과를 높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1수업 2교사제와 교원 학습 공동체 정책을 연계하여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 속 교사 협력을 위해 교사 양성 기관과 연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1수업 2교사제 수업과 교육 실습 등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사 연수를 지원하고 교사들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1수업 2교사제를 정비해야 한다. 넷째,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 격차 문제 심화 등 기초학력을 보장을 위해 1수업 2교사제도의 체계적 검토와 전략적 대처가 필요하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이 2년으로 길지 않다는 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대하여 종단적 차원에서 대규모의 질적 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를 운영 중에 있는 여러 지역의 학교를 대상으로 다양한 운영 양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고, 교사 협력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대규모의 양적 연구가 요청된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 분석 : 2, 4, 6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노미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서 개발된 초등 수학 교과서 2, 4, 6학년의 수와 연산 영역에 제시된 삽화를 내용과 역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의 교수·학습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학년별 삽화의 제시 비율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종류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내용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 수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삽화의 역할에 따른 삽화 분포 경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수와 연산 영역의 초등 수학 교과서 삽화가 적절하게 제시되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 수학 교과서 5권(수학 2-1, 수학 2-2, 수학 4-1, 수학 4-2, 수학 6-1)의 수와 연산 영역의 삽화를 분석하였다. 삽화의 종류를 4가지(그림, 도표, 그래프, 사진)으로, 삽화의 역할을 5가지(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의 역할)으로, 초등 수학 교과서의 삽화 내용을 3가지(필수적인 내용, 보조적인 내용, 장식적인 내용)으로 나누어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서의 삽화가 학습 내용과 역할에 대하여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표현상의 오류, 삽화 표현의 오류, 아동 생활상의 문제, 소재의 잘못된 선정에 따라 판단하여 적절한가 여부를 O, X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삽화의 제시 비율이 학년군이 올라감에 따라 줄어들었다. 이는 아동 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언어적인 독해력과 추상적 사고력이 발달되어 수학적인 지식과 문제 상황을 이해함에 있어서 삽화를 이용한 시각적인 방법보다는 문자 언어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삽화의 내용을 장식적인 내용의 삽화, 보조적 내용의 삽화, 필수적 내용의 삽화로 분석할 결과 보조적인 내용의 삽화, 필수적인 내용의 삽화, 장식적인 내용의 삽화 순으로 제시 비율이 많았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학년, 학기별 삽화 내용은 특징적인 변화는 없었지만 2학년이나 4학년의 수학 교과서의 필수적 내용의 삽화 비율보다 6학년 수학 교과서에서는 필수적 내용의 삽화 비율이 많이 줄어들었다. 셋째, 삽화의 역할을 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의 역할으로 분석한 결과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 자료 제시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학년별로 삽화의 역할을 분석해본 결과 확인 역할의 삽화의 비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의 비중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체적으로 높이지는 경향을 보이며, 6학년 수학 교과서 삽화에서는 활동 안내 역할의 삽화와 개념 역할의 삽화는 전혀 제시가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삽화가 적절하게 잘 제시되었나를 분석한 결과 삽화에서 표현상의 오류, 삽화 표현의 오류, 아동 생활상의 문제, 소재의 잘못된 선정 등과 같은 오류가 발견되었다. 삽화가 우리 생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사물을 사실과 달리 표현하였거나 중심이 되는 사물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학습 문제와 삽화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나 삽화의 내용이 아동의 실제 생활과 뚜렷한 관계가 없거나 아동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동하기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는 삽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삽화의 내용적 측면에서 필수적인 내용, 보조적인 내용, 장식적인 내용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삽화의 대부분이 학습 개념이나 원리와 학습 활동에 필수적이거나 언어적인 이해를 뒷받침하는 보조적인 내용의 삽화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필수적 내용의 삽화의 비율을 늘려 수학 삽화가 수학 학습에 주는 영향력을 높이고 수학 교과서가 학습 자료 및 활동 자료로서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한다. 수학 교과서의 삽화의 제작과 제시에 있어서 아동 발달 단계를 순차적으로 고려한 수학 교과 관련 전문가와 아동 발달 전문가, 삽화 전문가에 의한 삽화의 내용 구성과 제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초등 수학 교육이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실생활 중심 소재를 활용하고 구체적인 자료를 통하여 직접 조작해보는 활동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와 자료 제시 역할의 삽화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추상적 사고력과 언어 이해력 그리고 독해력이 발달하기 때문에 활동을 통한 활동적 표상이나 그림과 같은 영상적 표현보다는 언어와 같은 상징적인 표상으로 개념이나 활동 방법을 나타내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동기 유발 역할의 삽화 비중은 대체적으로 높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이 수학 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 나아가 초등 수학 교육에서 수학 교과서 삽화의 역할 즉, 동기 유발, 활동 안내, 자료 제시, 개념, 확인 역할의 삽화 중 어느 유형의 삽화가 더 학생들에게 적절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한 수학 교육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초등 수학 교과서 2, 4,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의 삽화 중 수학 교과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오류를 가지고 있는 삽화는 총 6개의 삽화가 있어 수정할 필요가 있다.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이나 실제 문제 상황과 삽화가 일치하지 않아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 생활상의 문제, 수학적 표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삽화들도 있었다. 따라서 삽화 제작 시 편집과 디자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 내용과 아동 발달을 고려하여 수학 교과 관련 전문가와 아동 발달 전문가, 삽화 전문가에 의한 삽화 제작 및 선정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과서의 삽화는 교과 내용, 학습 목적, 아동의 발달 단계 등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 내용,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삽화마다 가지는 역할과 내용이 다양하므로 학습 내용에 적합한 삽화를 다양하게 선정하여 제시해야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수학적 지식과 아동 학습 심리학 등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수학 삽화가 제시되어야한다. 삽화 전문가 이외에도 수학 교과 전문가, 아동 발달 전문가, 현장 교사 등 여러 관점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의미가 있는 초등 수학 삽화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and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illustrations in the number and operation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 matter is set as follows;    First, what frequency is the content of the illustra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Second, what kinds of illustrations are inclu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ird, what frequency is the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urth, has the illustr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number and operation field been presented correctly? To find out, the illustr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Mathematics 2-1, Mathematics 2-2, Mathematics 4-1, Mathematics 4-2, Mathematics 6-1, and Mathematics 6-2) was analyzed. There are three kinds of illustrations(pictures, diagrams, graphs, photographs), the three contents of illustrations(Essential contents, assistance contents, decorative contents) and the five role of illustrations(motivation, activity guide, inforamation presents, concepts, 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llustrations, it is described as O, X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jud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rate of illustrations decreased as the grade group increased. This is because, considering the stage of child development, language literacy and abstract thinking have been developed.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decorative contents, essential contents and assistance contents as the grade increased. The rate of illustration of essential contents in the six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and fourth graders. Third,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the role were shown as motivational role and information presents role. As grade rises,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in identification roles tends to decrease, while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in motivational roles tends to increase. And illustration of the activity guide and the concept role are not presented at all in six grade textbook. Fourth,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llustrations, errors such as expression errors, errors in illustration expressions errors, problems in children 's life and incorrect selection of materials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llustration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re essential and assistance. However,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of essential content,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should be increased. And experts in mathematics curriculum, child development specialist, and illustrator should construct the contents of illustrations. Second, since th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real-life-oriented materials and direct manipulation, the illustration of the motiv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role are shown most. In addition, since students develop abstract think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they have shown concepts and activities as symbolic representations. The proportion of illustration of motivation role tends to increase as grade rises, so the effect of this on mathematics education will need to be studi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udy mathematical education about the role of illustrations of mathematics. Third, there are 6 illustrations that have error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textbooks presented illustr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actual problematic situations and this can cause students to confuse concepts or solve problems. In addition, there were also examples of problems in children's life and mathematical expressions. Therefore, illustrations should be made by experts in mathematics subjects, child development specialists, and artworks experts. As we have seen in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illustrations of the textbooks in various kinds, content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the purpose of learning, and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child. It is necessary to select various illustrations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mathematical illustrations should be presented based on expert knowledge.

      •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 분석

        이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회환경교육 강사가 나아갈 바람직한 전문적 자질을 모색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27문항으로 직업적 프로필을 일반적 특성, 직업 전문성 인식, 직업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적극성, 참여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소명의식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방법은 객관식과 리커트형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13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환경교육 강사는 월 평균 강의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직 인식 수준과 사명감/목표의식이 높고, 재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길수록 가르치는 일 자체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직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비전공 학사그룹이 전공 학사그룹보다 사회적 인식에 대해 만족했고,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직업적 성취도는 높지만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에서 윤리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사명감과 목표의식 그리고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교육사 자격증과 월 평균 강의 횟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 자체의 적성을 고려한 강사를 선발하고, 강사가 경력을 유지하는 동안 자신의 강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교육 전공자와 경력자의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우대 조건이 필요하며,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이 현재의 강사 활동과 연계되도록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강사들의 경력과 자격에 따른 보수 기준을 마련하는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유형

        오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 연구를 한 후 이를 유형화하고,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인식 유형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의 연구 절차를 활용하여 41개의 Q 표본을 작성하였고, P 표본의 경우는 본 연구의 선정기준을 충족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표본의 분류 단계에서는 추가로 후속 면담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자료처리 단계에서는 QUANL PC Program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치 연계 지식 추구형으로 현실과 연계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평생학습 차원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활성화하려고 노력하는 유형으로 환경 영역 뿐 만 아니라 사회, 경제 영역에 대한 관심이 크고 사회환경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규범 연계 태도 추구형으로 지자체를 신뢰하고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협력과 소통을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신념 연계 행동 추구형으로 생활 속에서의 실천 즉 환경행동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위해서 전체적인 교육시스템의 검토와 변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세 유형 모두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 두 영역을 비롯한 지역사회간의 상호협력이 아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런 유형간 공통 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자체 구성원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과 교육 시스템 전반에서의 통합적인 접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하여 평생학습차원의 생애주기별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된다면 지속적인 환경행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진화하고 발전하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의 특성과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여 각 지자체별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에는 지도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관, 태도의 정립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발전행동에 관한 모형이나 이론의 수립에 관한 논의 및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erception study of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hen to typify it, and explor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To this end, 41 Q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research procedures of the Q methodology in this study, and 42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met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 sample. In the classification phase of the Q sample, additional follow-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data processing phase, we utilized the QUANL PC Program, and our findings derived from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three perceptions types as follows; First, the value-linked knowledge-seeking type tries to vit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ed to reality with the community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It is very interesting in not only environmental fields but social and economic ones, and try to actively condu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the norm-linked attitude-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implemented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focus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rusting the local government. Third, the belief-linked behavior-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practice, environmental behavior, is very important in everyday life and recognizes that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reviewed and transformed for this purpose. All three types recognized that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including schools and society,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ased on common consciousness among these ty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I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implemented based on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s of local government members, integrated access across the education system, and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should continue on the link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in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evolving and develop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discussions, and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separately on the establishment of models or theori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behavior, including the values and attitudes of leader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경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 김 경 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안 경 자) 본 연구는 교사의 교수동기와 전문성 발달 양상이 교사연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영어과 교사연수의 방향성과 영어교육 정책에의 심층적이고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영어교사들이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는 영어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높은 네 명의 고경력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과 여섯 명의 초등영어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기법을 사용하였다. 녹음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코딩 작업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구성원들의 검토, 동료검토 전략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 이들의 연수 지원 동기에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맥락 및 교육정책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한 다양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다양한 경험과 인식의 차이 간에도 몇 가지 유사한 맥락과 유의미한 경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연수동기면에서는 영어연수에 대한 교사 개개인의 내적 요인과 학교 맥락 또는 영어교육 정책이라는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이들의 연수동기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연수 경험은 교실수업에의 적용 및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통해 내재화되어 개인의 고유한 영어교육철학 및 교수법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영어교사들은 다양한 연수 경험 및 교수실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발달시켜 온 결과, 영어연수 유형에 따라 장단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관점과 안목을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과 교사연수의 유용성 정도를 인식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참여형 및 체험형 연수를 선호하였고 맞춤형 영어회화, 교수법, 지도안 작성법, 수업코칭, 일대일 컨설팅 등 심도있는 커리큘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교사들은 연수 강사진의 역량을 매우 강조하였으며 코로나 팬데믹(이하, COVID 19)의 영향으로 강사의 ICT 활용 역량 역시 연수 유용성 정도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인식하였다. 주목할만한 점은 연수에 참여한 동료 교사 요인이었으며, 이는 교사들이 동료교사의 전문성과 열정에 긍정적인 영향과 자극을 받고 정보를 교환하며 도움을 주고 받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요구사항은 크게 체계적인 연수체계 구축, 내실있는 커리큘럼, 학교 및 현행 영어교육 정책에 대한 요구로 분류되었다. 연수면에서는 연수의 양과 질 관리, 체계적인 연수체계의 설계, 영어지도 경력별 맞춤형 연수 설계, 참여형 커리큘럼 구축,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연수형태의 다양화였다. 학교와 영어교육정책면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발달 기회 부여, 영어전담교사에 대한 인식 및 처우 개선, 영어교육 활성화 정책, 연수 기회 확대 및 예산 지원, 마지막으로 우수초등영어교사에 대한 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영어과 교사연수에 대한 예산 확대, 연수 수요자 중심 맞춤형 영어연수 프로그램 구안, 단계별· 수준별 영어연수 프로그램 체계 구축, 학교의 상황을 고려한 연수 시기 계획 수립, 전문성이 높은 영어교사에게 영어지도 기회 보장, 우수한 영어교사들에 대한 투자와 지원, 마지막으로, 성과상여급 및 승진에서의 불이익에 대한 제도적인 접근과 실질적인 해결책 마련이다. 본 연구는 영어연수 경험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설문 분석 통계에 기반한 양적 연구와는 달리 교사들의 진정성 있는 목소리와 이들의 어려움 및 요구사항에 귀를 기울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과 교사연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맥락과 영어교육 정책 부문에서의 책무와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고경력 영어교사, 심층 면담, 영어과 교사연수, 영어과 교사교육, 질적 연구, 초등영어교사 * 본 논문은 2021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 B S T R A C 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Kim, Kyoung Hy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Ahn, Kyoung Ja This study sought to gain in-depth and significant recommendations for Korean public school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what factors do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ird, what are the recommendation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elementary English teachers(here after teachers) who had more than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more than five years experience teaching English and six teachers with high expertise in English education. All recorded material was transcribed, and the transcribed material was divided into thought groups and analyzed through coding. Among the six strategies proposed by Merriam(1998) to sec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review strategies were utili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in English training showed that their motivation for applying for training was diverse due to many factors such as personal factors, school contexts and educational policies. On the other hand, several similar contexts and significant trends could be found between different experiences and perceptions. In terms of training motivation, individual teachers' internal factors for applying English training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chool context or English education policy combined to form their motivation for training. Their training experience has been internalized through application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and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affecting individuals' unique philosophy of English education and teaching. In addition, teachers have continued to develop their expertise through various training experiences and carrying out instruction, and have a perspective and eye to analyze pros and cons and suggest variable idea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recognize the degree of usefulness of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eachers preferred participatory and hands-on training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in-depth curricula such as English conversation, explanation of teaching methods, instruction writing methods, class coaching, and one-on-one consulting.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raining programs’ instructors was highly emphasized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utilize ICT was also an important emphasis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Other positive factors fo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as they were influenced and stimulated by the professionalism and passion of their fellow teachers, and developed relationships where they exchanged information and ideas on English education to help each other. Finally, the recommendations of teacher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s follows. The requirements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largely classified as the requirement for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a substantial curriculum, schools and current English education policies. Specifically,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training system, secondly, customized training design for each career, fourthly, diversification of training forms in preparation for the post COVID-19 era, fifthly,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budget support for elementary English school teachers. Suggestions are as follows. Expanding the budget for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establishing a customized English training programs for students, establishment of an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system for various skill levels, ensuring English teaching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English teachers, investing and supporting excellent English teachers, and finally, institutional approaches and solutions to disadvantages in performance-based pay and promo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based on interviews with 10 former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who have worked or are working in Seoul, and a mixed qualitative stud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refore, there may be some lack of objective tendency to presen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of English language training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raining,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examples of other regional education offices. Throug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about their English training experience, unlike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survey statistics, the researcher was able to listen to teachers' sincere voi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in which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proceed and suggested responsibilities and implications in the school context and English education policy sector. Key Words: a highly experienced English teacher, an expert in English educatio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 English teacher ​training, in-depth interview, qualitative research, teacher education * This paper is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une 2021.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과정에 관한 연구

        서인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어떤 이유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결심하고 준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직과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 준비를 시작하게 된 주요 원인을 알아보고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여 교사로서의 직무 및 생활에 갖는 의미를 알아보며 나아가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제도 개선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에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및 생 활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20년도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전문직 임용후보자 공개채용시험을 준비하는 서울 관내 초등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빠른 승진의 방법, 학급‧학교조직에서 지방‧중앙교육행정 조직으로 이어지는 영향력 행사 범위의 확장, 관리자의 갑질과 학부모 민원으로 인한 교사 소진과 감정노동에서의 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 참여자 대부분 한 가지 이유가 아니라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교육전문직 전직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 중 연구 참여자 전원이 밝힌 동기 요인은 승진이었으며, 기존의 승진서열 경쟁과는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교육전문직 전직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을 알아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교사와 자료공유를 하고 사회적 지지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업무 외 시간을 활용하여 개인학습을 병행하며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위취득, 연구교사제, 보직교사 경력, 파견근무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관리자와 동료교사로부터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위해 학교 및 학년업무에 충실하였다. 교사들은 준비과정에서 교육학 지식을 쌓으며 최신의 교육정책의 흐름을 파악하고 보직교사로서 사업기획안을 구상하게 된다. 또한 시범수업과 수업분석을 병행하며 장학능력을 키우고 집단토의 준비를 통하여 타인과의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서의 성장을 도왔지만 교사 소진과 반복된 불합격으로 인한 자존감의 하락, 무기력을 학습하게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전문성 신장을 이루었고, 교육이론과 정책을 학교 및 교실수업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었으며, 장학능력 및 교육행정 지식을 탑재하여 교과지도 능력 발전을 이루었다. 교사 자신의 교육력을 제고하는 대내외의 다양한 교육경험을 하는 동시에 학교 및 학급 경영에도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교사의 일상생활은 이어지는 수험생활로 소진회복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근무평가 및 동료평가점수를 지나치게 의식하여 관리자 및 동료교사와의 갈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자존감 하락을 경험하게 하였다. 또한 반복된 불합격은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비교적 폐쇄적인 교직사회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얻고 자기 발전을 이루기 위하여 재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승진에 대한 교육정책 현황 및 선행연구에서의 교원의 인식을 다루며 변화하는 교육정책을 통해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동기가 더 이상 승진에만 있지 않을 것임을 보였다. 또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이 지나치게 지필평가에 의존하여 장학행정의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견해들을 다루었으며 이는 평가 영역 및 방법의 다양화, 외부 평가자를 포함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전형절차의 투명성 확보를 통하여 극복할 수 있고, 수업결손을 위하여 교사의 현재 업무 수행능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교사이자 수험생의 역할갈등으로 비롯된 교사소진이 학생의 학습권 침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다루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용시험 전형에서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교육전문직 전직제도가 승진의 방법으로서의 역할과 교육행정직의 현장성을 강화하는 역할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전형의 영역과 내용을 직전교육과 현직 교육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에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전문직원 선발임용 시험에 응시한 초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전직시험 지원동기 및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서울을 제외한 지역 및 교육부의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과정의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전문직을 준비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준비전략 및 여러 고충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제도를 다루었으므로, 관리자 및 동료교원의 관점에서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로 인하여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새로 시행되는 임기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 to change their career as a educational supervisors. So in this research, I will see the process of the preparation for the changing careers and the effects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at is the main goal of their changing careers and also examine the strategies of their preparation for the exams, and also will see the meaning and lives of their career as a teacher. And also. will se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get the improvement poi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ir main purpose to wish career move as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what is their strategies to prepare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ird, what meanings are in their elementary teachers’ career lives as they prepare this exa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ha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are preparing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o move their career is to find the fast way to promotion, to expand influence in provincial, state administration, not only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there is a motivation to escape from big powder trip of elementary school supervisors and emotional labors, and also they feel the lack of energy from parents’ complaints. But many interviewees said that there is not only one reason to move careers but also many combinations of reasons. And the motivation from all interviewees were promotion, and they gave important meaning that there is a different way from preexistence promotion method. Second, as we research the strategies for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interviewees had social supporting relation with other teachers as they share the materials for the exam. And they spent spare time to study their personal research and they had many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getting degrees, getting career as a research teacher, chief teacher. And they had enthusiastically did their class and school business for their positive images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in the school. In the process, they accumulate pedagogy intelligence, figure out the newest educational policies flow and map out business plans as chief teachers. And they do many open classes and analysis their classes and raise their educational ability. They prepare to have many group discussions to improve thei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ther people. Thir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xam helpe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teacher in many ways. but they lack of energy and as they keep failing to pass the exam, they suffer from a lack of self-regard, and became lethargic. They had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ha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many chances to apply the pedagogy policies on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had educational skills and intelligence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ey had many educational experiences to develop not only their personal educational skills but also being faithful to their duties. On the other hand, their everyday life has been suffered and did not recover from undertaking the exam, and they were too conscious of the assessment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So they handle the conflicts too passively, and it leads to lack of self-regard. But interviewees keep challenging to certification exams to get self development and the new experiences in closed school society. In this research, there is a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promotion of teachers and also a awareness of teachers from the precedent research. So there will be discussion that the motivation of teachers to moving careers to supervisors is not only in the promotion itself. And there is a discussion that the educational supervisors certification test itself is mostly depend on the written paper-based exams, and that leads too chimerical exam. So i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way that the diversity of the methods and the fields are needed, and also can be improved by ensure transparency including external examiners. System is needed to examine teachers’ work performance in diverse ways. Finally. in the discussion, as both teacher and the test-taker, as they get conflict between the parts, there can be invasion for the students’ right to learn. So there is a opinion that the examination should include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he class management. In the research,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balance in the certification exam is necessary between the way of promotion and the field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the examination methods and contents should include both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e present education. Third, in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ing skill should be included. By these conclusions, I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as below: First. in this research, I had a interview about the motivation of changing the career, and the preparation process with Seoul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est-takers. So the research about the other region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about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s needed except Seoul. Second, there is only a discussion with teachers’ about position of preparation strategies and many difficulties of them om this research. So from the school superivisors’ and the other teachers’ in the school perspectives are needed. Third, there is a new policy about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which has electoral terms, so the research that covers this issue is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