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과 글로벌교육 내용 비교 분석

        양성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rresponding result of information explosion, exchange of goods and human capital among nations has increased, deepening interdependency in the world. Korean society is not alienated from this phenomenon; increased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immigration,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etc, are pushing Korea toward more diversified society, making the ethnocentric slogan of 'pure sole blood' obsolet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to adjust students of different racial, ethnic, and social-class groups in the mainstream society. The recent multicultural paradigm shift which is based on democratic principle has allowed all members to have a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in Korea. Global education has been on the spotlight under the stream of globalization, an idea believing in international integration transcending national boundaries. Under this transition, global educ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any problem a country has cannot be solved without the help of other countries, and thus a collective solution is needed to settle the problem. Multination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both of them respect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They promote democratic ideal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human dignity. However, the two fields came from different backgrounds each in terms of their formation and developed with different aspects;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s predominantly on detailed national issues, while global education has an exhaustive point of view dealing with rather international issues. In this sense, this study make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these two educational fields clear by analyzing curriculum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first,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two educational fields with educational contents from the third to th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e standard used in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is set based on the two educational theories, and applied to the elementary social curriculum content to extract the corresponding factors. In addition, by comparing these analysed factors, this thesis reveals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nd global education. I analyzed 26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education process from the third to sixth grades. I found that 12 of the subjects were multicultural and 17 pertained to global education. Common emphasis on cultural interaction, cultural diversity, and traditional respect, etc, helps persuade a citizens' multilateral responsibility, social action, social justice, and common interest. However,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volved with minority cultures and their rights in detail, compared to global education which does not. These offer in educational curriculum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socially destitute such as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reign workers, and the disabled. Global education is an innovative way to resolve problems such as population, traffic, national resourc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Global education emphasizes raising the abilities as world citizens.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clarify the point of emphasis in multinational and global education, by comparing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two educational fields with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in Korea. However, more research in this field will be needed to seek a method of mutual cooperation of the two educational philosophies, along with more structured and clarified agreement of their relationship. keyword: multicultural education, global education,globalization, diversificat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기술의 발전과 정보의 급증으로 인해 국가 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세계의 상호의존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국제결혼의 확산, 외국인 노동자 이주, 새터민의 정착 등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 역시 점차 다원화 되고 있으며, 단일 민족을 표방하던 국가의 슬로건은 이미 옛말이 되었다. 다문화교육은 인종, 종족 등으로 인해 차별받는 사회의 소수자들을 주류사회에 적응시키기 위해 시작된 교육 흐름이다. 최근의 다문화교육 패러다임은 민주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는 정의로운 사회 구축의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글로벌교육은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세계가 하나의 공동 운명체가 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더욱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각 국가가 안고 있는 문제는 결국 전 세계의 공동의 문제이며 함께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는 관점에서 글로벌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두 교육 분야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정의를 추구하는 공통점이 있다. 민주주의를 중시하며 문화 간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추구하고, 인간에 대한 존엄성 역시 강조한다. 하지만 두 교육 영역은 발생 배경이 다르고, 전개 과정에서도 서로 다른 양상을 가진 채 발전해왔다. 또한 다문화교육이 국내의 세부적인 문제에 초점을 두는 데 비해 글로벌교육은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세계의 문제에 접근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두 교육 분야의 모호한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지어 보고자 하였다.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교육과정 초등학교 3~6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과 글로벌교육 내용을 파악하여 두 교육 분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두 교육 분야의 내용요소를 이론적 차원에서 도출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초등 사회과 내용체계표에 나타난 두 교육 분야 내용 요소를 각각 추출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다문화교육과 글로벌교육의 공통점, 차이점을 도출하였으며 두 교육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교육과정 3~6학년 총 26개의 단원 중 다문화교육은 12단원, 글로벌교육은 17단원에 각각의 교육 분야 내용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문화의 상호작용과 문화의 다양성, 전통문화 존중 등 문화 간 이해를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었으며 시민으로서의 책임감과 사회 참여, 사회 정의를 추구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공통적인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다문화교육은 글로벌교육에 비해 소수 문화, 소수자 인권에 세부적으로 관여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상에도 새터민, 외국인 노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배려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글로벌교육은 인구, 환경, 교통, 발전 문제 등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다문화교육과 글로벌교육의 비교를 통해 각 교육 분야의 특징이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두 교육 분야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상호 협력 방안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앞으로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다문화교육, 글로벌교육, 세계화, 다원화, 사회과교육과정 * 본 논문은 2013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사회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박호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실행연구이다.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실험군으로 하고, 그와 동질적인 특징을 갖는 다른 학급을 대조군으로 하여 처치도구를 적용하였다. 처치도구는 2009개정 사회과 교과서 5학년 수업 주제와 SCEP(2016)를 연계하여 교과 통합적으로 구안하였다. 사회과의 핵심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진로교육의 내용 및 방법과 결합시킴으로써 사회과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진로교육적 효과도 거둘 수 있도록 하였다. 총 8번에 걸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 학생들의 사회과 학습동기 및 진로장벽 인식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초등 사회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동질성이 입증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에서 사회과 학습동기와 하위 요인인 관련성, 자신감, 주의력, 만족감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p<0.05). 또한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단,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진로장벽 인식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동질성이 입증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결과에서 진로장벽 인식과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 부족, 자신감 부족, 경제적 어려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또한 실험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도 역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나 통제집단 내의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과 참여자 관찰 내용 등 질적 연구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사회과 학습동기 측면에서 사회에 대한 흥미도 증가, 사회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 사회과와 자기 자신과의 관련성 획득과 같은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로장벽 인식 측면에서도 긍정적 자아 이해, 진로선택에 대한 자신감 상승, 다양한 진로정보 획득 등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사회과와 진로교육이 연계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사회과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진로장벽 인식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사회과와 연계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와 연계된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이외에 3, 4, 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의 적극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주요어: 사회과, 진로교육, 연계 프로그램, 사회과 학습동기, 진로장벽 * 본 논문은 2016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놀이 개념으로 분석한 어린이 뮤지엄 전시물의 몰입 요인 분석 : 서울상상나라를 중심으로

        최원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서울상상나라를 중심으로, 어린이 뮤지엄이 반영하는 놀이 개념을 공교육의 현행 교육 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어린이 교육을 담당하는 두 기관 사이의 연계성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이다. 또한, 높은 학습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증명된 몰입이 뮤지엄에서 어떤 유형으로, 어떤 요인으로 인해 일어나고 있는지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알아보고, 이를 놀이와 연관하여 어린이 뮤지엄의 놀이 중심 전시물이 가진 놀이 몰입 요인을 추출해내고자 한다. 많은 어린이 중심의 체험 시설과 교육 프로그램이 생겨나는 오늘날, 어린이 뮤지엄 전시물의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는 것에 본 연구는 의의를 둔다. 그간 보조적 교육 수단, 혹은 부수적 활동으로 평가 절하되던 놀이를 교육의 목적이자 발달 과정 그 자체로 보고, 어린이 뮤지엄의 놀이 중심 구성에 관해 뮤지엄 교육의 관점에서 의논해보고자 한다. 어린이 뮤지엄과 현행 교육 과정의 연계성을 찾기 위해, 놀이 중심으로 구성된 2015 개정 즐거운 생활 교과를 분석의 기초로 활용하였다. 초등학교 1, 2학년군 학생들의 발달적 수준과 특징에 맞추어 구성된 즐거운 생활 교과서가 놀이를 어떻게 교육 지침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여 세 가지 기준을 찾아내었고, 이를 어린이 뮤지엄에서 나타나는 놀이 중심 전시물들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첫째 기준은 놀이에 대한 본질 혹은 태도의 관점이다.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정의된 즐거움을 위한 놀이인 파이디아, 놀이를 통한 과제 해결 및 발달을 강조하는 루두스의 두 가지 태도가 즐거운 생활 교과의 교육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상상나라와 즐거운 생활 교과의 놀이는 본질과 태도적 면에서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서울상상나라와 현행 교육 과정이 모두 놀이를 통한 어린이들의 전인적 성장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준은 놀이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관점이다. 신체 능력 및 신체적 성장, 풍부한 정서, 도덕성, 사회성, 창의성, 언어 능력, 인지 능력, 문화적 가치관이라는 8가지 관점으로 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분류하여 서울상상나라의 놀이 중심 전시물에 반영된 가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가지 관점이 모두 반영되어 있었으며, 그중에서도 신체적 가치와 창의적 가치, 그리고 인지적 가치가 주로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행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는 놀이와 표현을 교과의 성격이자 배워야 할 주요 기능으로 삼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신체 활동 중심의 신체적 가치와 표현 중심의 창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서울상상나라의 관점은 현행 교육 과정의 시선과 상당히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정보와 개념을 어린이들이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모습에서 서울상상나라가 추구하는 루두스 태도의 놀이 관점을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기준은 즐거운 생활 교과와의 직접적인 연계를 찾기 위해 즐거운 생활 교과 성취기준을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가 서울상상나라의 전시물들을 학교 현장 체험 학습 등 공교육과 연계했을 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의도하였으며,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앞으로 기획될 가치가 있는 전시에 대해서도 제언할 수 있었다. 또한, 어린이들을 몰입하게 만드는 어린이 뮤지엄의 놀이적 특성을 어린이들의 관람 행태 관점으로 연구하여, 이를 놀이 몰입 요인으로 추출해내었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1차 요인과 2차 요인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서울상상나라는 구조적인 놀이들을 주로 제공하면서 어린이들이 루두스적 태도로 놀이 전시물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소근육 운동인 구성적 조작을 위주로 대근육 운동인 역동적 운동과 병행하고, 다양한 감각적 체험과 터치를 통해 상호작용 및 즉각적 피드백이 나타나는 첨단 매체를 활용하여 어린이들이 몰입하도록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해당 연령 어린이들의 발달적 특징에 맞게 상상력과 호기심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야기가 있는, 혹은 현실적 맥락을 반영하여 변형한 공간 구성, 탐구하고 도전할 수 있는 과제 제시, 때론 경쟁적 환경 조성을 통해 몰입도를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족 뮤지엄으로 정의되는 어린이 뮤지엄답게, 협력과 소통이 곳곳에서 일어나게 해 몰입 및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있음 또한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어린이 뮤지엄과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협력하여 양질의 전시를 만들어내고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학교 교육의 관점에서 어린이 뮤지엄을 조명하고,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뮤지엄의 다양한 몰입 요인에 관한 본 연구는가 그 기초가 됨을 목적으로 한다.

      • 시 교육에서 신비평과 독자 반응 이론의 통합적 적용

        오순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시 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신비평과 독자 반응 이론의 통합적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시에 대한 깊이 있는 감상과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성숙한 독자가 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 통합적 모형을 학생들에게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시 감상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신비평과 독자 반응 이론의 본질과 성격, 우리의 시 교육에 수용된 양상, 시 교육에 미친 영향 등 이론적인 배경을 찾아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존의 시 감상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신비평과 독자 반응 이론의 통합적 적용의 시 감상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모형 단계는 맥락이해 단계-분석이해 단계-심미적 해석의 단계-내면화 단계의 4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에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통합적 모형을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학습 지도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시 감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낯선 시에 대해 서술형으로 해석과 감상을 적는 시 비평글 쓰기를 실시하였고 시 흥미도 검사, 설문 조사 등 다양한 인지적, 정의적 검사를 실시하여 이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적용 모형은 학생들의 시 감상에 있어서 감상의 깊이와 폭을 넓혀 주었고 기초적이나마 시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자기만의 해석을 하려는 눈을 가지고 시를 대하도록 해 주었으며, 반응 진술의 수를 많게 해 주었다. 둘째, 통합적 적용 모형이 학생들의 시에 대한 흥미도를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연구는 첫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8차시, 실제 수업에는 6차시로 진행되어 일반화하기에는 그 표본이 적다는 점, 둘째, 개발한 모형이나 제시된 활동에 대한 효과를 다른 모형이나 활동에 의한 방법과 비교해 그 효과나 타당성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보완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신비평, 독자 반응 이론, 시 수업 모형 * 본 논문은 2014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이 유아의 음운 인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를 위한 행복증진 활동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강가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오늘날 문식성은 읽고 쓰는 능력을 뛰어 넘어 총체적인 언어 능력으로 간주된다. 특히 유치원생부터 초등학생에 이르는 초기 학습자들에게 문식성은 언어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유아 문식성의 발달을 위해 교육할 수 있는 요소 중 중요한 요소는 음운 인식이다. 음운 인식은 단어의 속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단어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음운 인식이 잘 습득되면 읽기 능력, 나아가 쓰기 능력까지 총체적인 문식성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음운 인식의 향상을 위하여 동화 읽기 활동을 선정하였고 동화를 읽고 관련된 연계활동을 함으로 새로운 언어를 경험하게 하고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영어동화의 의미 있는 내용을 제공함으로 유아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주며 동화 속 쉬운 단어, 반복되는 표현 및 문장들을 자연스럽게 접하게 하여 음소 인식, 음절 인식, 단어 인식, 각운 인식이 되도록 돕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연계 활동으로는 유아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노래, 구호(chant), 게임 등을 사용하여 흥미롭고 친숙하게 음운 인식을 하게 하여 총체적으로 언어를 습득하게 하였다. 정리하면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활동이 유아의 음운 인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활동이 유아의 초성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활동이 유아의 음소 분할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활동이 유아의 의미 없는 단어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총 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인 2개 학급 중에서 1개 학급 24명은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한 학급은 영어동화를 읽은 후 연계활동을 적용한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2019년 9월 16일부터 11월 8일까지 총 8주 동안 주 3회씩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음운 인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 University of Oregon에서 유치원부터 8학년 아동의 문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만든 검사도구인 Dyd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DIBELS) 6th Edition 중유아용(Kindergarten)을 사용하였다. DIBELS 유아용에는 초성 유창성, 음소 분할 유창성, 의미 없는 유창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성 유창성은 총 16개의 문항으로, 음소 분할 유창성은 총 20개의 문항으로, 그리고 의미 없는 단어 유창성은 총 5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가지 평가항목 모두 1분의 시간 동안 유아가 몇 개의 소리, 음소, 또는 단어를 말할 수 있는가로 측정한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이 유아의 초성 유창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이 유아의 음소 분할 유창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이 유아의 의미 없는 단어 유창성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활동을 적용한 후 실시한 검사에 대한 평균 점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이 유아의 음운 인식 능력 중 초성 유창성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음소 분할 유창성, 의미 없는 단어 유창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은 유아의 음운 인식 능력 증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는 영어동화를 활용한 음운 인식 연계 활동을 이용하여 기초 음운 인식 능력 증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다. 주요어 : 영어동화, 문식성, 음운 인식, 음운 인식 연계 활동, 초성 유창성, 음소 분할 유창성, 의미 없는 단어 유창성 *본 논문은 2020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 B S T R A C T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o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by Kang, Ga 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Today, literacy is considered to be an overall language ability beyond reading and writing skills. Especially for early learners,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literac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languag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an be taugh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cy is developing phonological awareness. Sound recognition means the ability to hear a word and is an ability to decipher a word. In other words, if phonetic recognition is well acquired, complete literacy development is achieved,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English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selected to improve children’s sound recognition, along with related fun and interesting activities were provided so as to broaden their literacy experience based on English picture books and to have them learn easy words and repetitive expressions and sentences from th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These activities included songs, chant, games, etc. to incite children’s interests and familiarity, and accordingly their holictic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o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How does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y using English picture books affect the children’s initial fluency? 2. How does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y using English picture books affect the children’s phoneme segmentation fluency? 3. How does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y using English picture books affect the children’s nonsense word fluency?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8 children aged 5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Of the two classes studied, 24 students in one class are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while the other class is the comparative group that received regular activities after reading English picture books. The research experiment was conducted 24 times,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eight weeks from September 16th to November 8th, 2019. In this study, 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6th ed) for kindergarten was used as a test tool created by the University of Oregon in the United States made to evaluate the literacy skills of children from kindergarten to eighth grade. DIBELS for kindergarten consists of initial fluency, phoneme segmentation fluency, nonsense word fluency, etc. Initial fluency consists of a total of 16 questions, phoneme segmentation fluency consists of a total of 20 questions, and nonsense word fluency consists of a total of 50 ques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with ANCOVA using SPS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test conducted after apply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n children’s initial fluency was not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test conducted after apply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n the children’s phoneme segmentation fluency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verage score of the test conducted after applying the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ctivities on the children’s nonsense word fluency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such, it can be seen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phonemic segmentation fluency and nonsense word fluency, but not effective in improving initial fluency. Therefore, phonological awareness activities using English picture books can be a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improve their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Therefore, efforts can be mad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nhancing basic phonological skills by using English picture books along with related fun, engaging activities. Keywords : English picture books, initial sound fluency, phoneme segmentation fluency, nonsense word fluency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 신장연구 :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홍성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오늘날 우리 사회는 가치관의 혼란과 사회의 비도덕화 현상이 점차 심화되어 장차 도덕적 위기 상황을 맞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함께 기성세대는 물론이고 우리의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실태는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라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맹목적이고 무비판적인 도덕교육으로는 위의 도덕적 가치 혼란의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없음을 인지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가치 혼란의 현대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사고력을 높일 수 있고 합리적인 가치판단을 기를 수 있는 도덕교육이 중요함을 본인은 제기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IAPC의 번역 교재인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IAPC의 탐구공동체 수업모형은 학생들의 성향에 알맞은 수업형태라는 것이다. 어린이는 취학 전부터 표현의 기회를 기다리는 사회적 충동을 갖추었기에 이 사회적 충동을 표현할 장을 요구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현재 그런 표현의 기회를 제대로 가져보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공교육에서 앞장서서 그들의 성향에 맞는 수업형태를 찾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야만 할 것이고, IAPC의 탐구공동체 수업모형은 그 실마리가 될 것이다. 둘째, IAPC의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재라는 것이다. 일선 현장에 있는 교사들은 누구나 학생들의 도덕성이 전보다 좋지 않음을 느끼고 항상 학생들의 도덕성을 신장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노력하고 있다.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도덕적으로 의미 있는 질문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도덕성, 특히 도덕적 판단능력 을 신장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일선 교사들은 위의 교재를 활용하면서 도덕 수업 및 생활지도를 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IAPC의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은 철학적인 접근 방법의 도덕 교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성공적인 도덕 교육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철학의 기본정신은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다. 이렇게 삶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고민하는 심사숙고의 시간은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에 첫걸음이고 도덕성 완성의 필수요소이다. 그 시간의 소재를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에서 다양하고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IAPC의 탐구공동체 수업모형과 나의 친구 보임이 프로그램을 통한 철학적 방법의 도덕 교육은 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성공적인 도덕 교육에 대한 해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본 논문은 2002년 11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Along with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moral crisis in the near future caused by the confused value system and immorality, there have been research reports that the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not to mention of adults, in Korea are not satisfactory as a whole. It is well recognized that it is impossible to overcome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chaotic moral value with existing blind and uncritical mo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that can enhance children's thinking power and develop their rational judgment of value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confused society of today. This study concentrated on examining 'Nous Program', which was a teaching material of IAPC(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translated into Korean, as a method of developing the moral judgment of ol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of inquiry' model of IAPC is a class form suitable for the nature of students. Because children are equipped with social impulse of waiting for chances to express themselves even before entering school, they require a place for expressing the social impuls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eek actively for a class form suitable for such a nature of students who have not had opportunities of expressing,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model of IAPC will provide a lead. Second, 'Nous Program' of IAPC is a material that develops the moral judgment of old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Most field teachers are sensing that students' morality are worse than before, and are looking for a way to enhance their morality. 'Nous Program' can play the role of enhancing students' morality, particularly their moral judgment, by asking them morally significant questions. Thus, by utilizing the materi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can get help in giving moral education and guiding children's life. Third, 'Nous Program' of IAPC provides a key to successful moral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by making it possible for them to approach moral education in a philosophical way. The fundamental spirit of philosophy is to think and deliberate. To think seriously about life is the first step toward the growth of morality and an essential element of moral maturity. 'Nous Program' supplies various themes to think over.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moral education in a philosophical way using 'the community of inquiry model' and 'Nous Program' of IAPC would provide answers to successful moral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eld.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장연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이 일고 있고,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현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자,동시에 다양한 분야에서 가장 많은 수요를 가진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생활 속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제품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으며, 기업은 빠르게 기술 혁신을 이루어내지 못하면 도태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기술의 발전이 국가의 당락을 좌우하는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9년부터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에 대해 관해서는 센서의 동작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로봇의 움직임을 간단히 제어하는 정도에 그치게 되어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공지능을 상상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초등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언플러그드 컴퓨팅 기법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인공지능 수업을 위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조사 단계, 분석 단계, 설계 단계, 개발 단계, 개선 단계로 총 5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본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데 의견을 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관련 요구조사도 실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조사 단계에서 학생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 이와 함께 본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2015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내용과 교수․학습 환경을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방안을 설계한 뒤 차시별 프로그램의 개요를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고려하여 총 6차시로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자료로는 학생용 활동지 및 교사용 교수․학습 과정안, PPT, 동영상 등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자료 개발 후에는 평가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문가 평가와 소집단 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개선할 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하였다. 개선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일주일에 2차시씩 3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을 마친 후에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설문 조사와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가집단으로부터 효과성 및 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예시로 하여,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면 학생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춘 인재로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인공지능, 인공지능 수업, 언플러그드 컴퓨팅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