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개발과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 삼척지역 신광산 개발사업 중심으로

        고광명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우선주의 정책으로 절대빈곤의 탈피와 물질적 풍요를 이루었으나 지역간 개발 불균형과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1995년 지방자치시대 시작으로 각 자치단체들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무분별한 지역개발이 추진될 우려가 높다. 개발과 환경보전은 서로 상반되어 있는 관계로 지역정책은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사이에서 갈등을 야기한다. 현재 삼척지역은 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가 낮고 과거 석탄광산의 폐광에 따른 환경피해와 석회석광산의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서 동양시멘트의 신광산 개발은 지역주민이나 관련단체들 간에 갈등이 심화되고 서로의 주장을 반영하기 위한 힘겨루기 양상으로 전개되었고 삼척지역의 최대의 관심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척시 자치단체의 결정아래 동양시멘트가 추진하는 신광산 개발은 불가결정이 내려졌고, 초당관광지 조성사업만이 일부 완공과 나머지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일수록 개발에 대한 지역정책은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환경오염에 대한 피해를 겪은 지역일수록 환경보전에 대한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어 개발과 보전을 둘러싼 지역갈등은 더욱 심화되게 된다. 본 논문은 삼척시 신광산 개발사례를 들어 개발과 보전 사이의 갈등관계들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개발과 보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지역개발과 환경보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광산 개발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제1절에서 삼척지역 특성과 경제적 여건을 살펴보고 제2절에서 동양시멘트의 신광산 개발 추진과정을 기업체의 입장, 주민 및 지역 단체의 입장, 삼척시의 대응전략 순으로 살펴본 다음 제4장 결론에서는 앞장에서 기술한 이론과 논리들을 가지고 삼척시의 상황을 기술하였고, 과거 삼척시의 석탄 및 석회석광산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던 만큼 지금의 환경오염문제가 국지적인 요소가 아니라 광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삼척시의 경제적 상황이 열악하여 자치단체의 혼자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경제적인 부분을 정부차원의 지원으로 대체산업을 육성하여야 한다는 결론으로 끝을 맺었다. Our country succeeded in material richness and got out of absolute poverty as economic policy, but it brought abou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disproportion of local development. In 1995 as the beginning of local self government, each local government was worried about thoughtless local development to active local economics. Because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 contrary to each other, local policy will cause to the complications between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Now the financial independence degree of Samcheok is low among other local self governments. In the past the environmental damage which the abandoned coal mine brought and nature destruction of calcium mine and environment pollution are very serious. The new mine development of Dong-yang cement co. made the conflicts of the local citizens and related communities be more serious. They made every effort to express their opinions. It is the one of Samcheok's greatest interests. In this situations the development of new mine which Dong-yang cement co. has promoted are not right under the decision of Samcheok city self government. The make up business of Cho-dang tour were finished a little and the left of the business is proceeding. The lower financial self independence, the stronger the local policy of development. The bigger the damage of the environment pollution, the stronger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 conservation. So the local conflict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s more serious. In my thesis I wrote the conflicts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arranging in a row the cases of new mine development in Samcheok. In the first chapter, I wrote the target, the area and the way of the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I studied the theory of loc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to look into the relation of self governments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n the third chapter I look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Samcheok local and economic condition, and then I looked around the position, the position of citizens and self governments, the correspondent strategy of Samcheok city in order. In the fourth chapter I wrote the situation of Samcheok city with the theory and logics which I told in the former chapters. In the past the coal and calcium mine of Samcheok city was the motive power of government development. The problem of today's environmental pollution is not the local elements but the wide characteristics. Because the economic situation of Samcheok city is bad, Samcheok city can't solve the bad economics for itself. So I made conclusion that Samcheok city has to raise substitution business as the support of governmental position.

      • 世界的인 치열한 競爭 속에서 韓國自動車 産業의 發展戰略에 관한 硏究

        김형하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세계 자동차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내에 세계에서 10개 정도의 자동차 업체만이 살아남고(한국에서는 1개) 나머지는 도태되거나 큰 업체에 통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한 사유로 세계 자동차 시장의 변화 물결은 그동안 정체되었던 자동차산업 구조의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자동차 업체간의 인수 및 합병이 활발해지고 전략적 제휴 또한 급속히 늘어났다. 그리고 IT 기술을 자동차 산업에 접목시켜 생산의 효율성 증대를 꾀하고 있으며, 이질적인 산업과 자동차 산업간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선진업체들은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면서도 자신만의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보다 많은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신만의 특화된 분야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이제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성장해 왔던 한국자동차산업의 발전에 대한 전략을 강구하였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 전략은 첫째, 한국자동차 산업의 국제화 강화이다. 국제화 강화를 위해서는 자동차 기업자체로서의 핵심역량을 길러야 하며, 타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여 국제적인 네트워크 힘을 길러야 한다. 둘째, 이질성을 가진 산업과의 융합추진이다. 한국자동차업체는 기존에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에만 주력해 왔지만, 이제는 첨단 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고 차량 구매 고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금융업과의 융합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수출지역의 다변화이다. 기업의 글로벌화와 연계되는 개념으로 기존의 수출지역의 유지 및 확대를 전제로 하며 새로운 수출 시장의 확보를 통해 수출지역의 편중 도를 낮추어야한다 넷째, 품질개선과 생산성 향상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사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근로자의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공정개선 그리고 원만한 노사관계를 유지하여 품질 경쟁력을 향상시켜야한다. 다섯째, 부품조달 전략 개선을 통한 부품산업 혁신이다. 국내 부품 생산업체들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기술력과 수출력이 크게 떨어져 국제적 경쟁력에서 뒤쳐지고 있기 때문에 부품업체의 대형화를 유도하고 내수의존도 및 전속적 거래관계를 탈피하여 세계적인 공급가치화를 실현해야한다. 세계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생존을 위한 전략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미래 한국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할 자동차 산업의 긍정적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대응책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experts of World Car Industry expect that about 10 Automobile manufacturers would be survived and the others would be weeded out or merged to the large manufacturer in next 10 years(One might be survived in Korea). By that reason, the changing wave of the World Car Market brought about the great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Automobile Industry which remained stagnant during that time.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Automobile manufacturers has been activated and strategic alliances were also rapidly expanded. They are trying to increase the productivities by applying IT technologies to Automobile Industry, and to graft different industries onto automobile industry. Especially, advanced manufacturers are doing their best to develop their core abilities by following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as a result, they had specialized field for themselves only. In such changes of the times, I studi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Automobile Industries which has been grown up as a National Key Industry.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Korea Automobile Industries is : First, the international strengthenness of Korea Automobile Industry.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ization, we should develop our Core abilities for automobile industries themselves and also acquire the power of international network by the strengthened alliances with other companies.. Second, fusing the variety of different Industries.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has just concentrated their efforts on the production & sales of the car in the past. but, now it is needed to apply IT technology, which is high sophisticated technology of now and also to ally with the Financing to be a help for the client of the car.. Third, diversification of the export regions. we should lower our dependence on the current export regions by developing new export markets. on the assumption that the existed export region is maintained & expanded by connected concept of company's globalization. Fourth, strategy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oductivity Increase.. To this end, we should strengthen the training of the employees through overall quality control system (TQM) and als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Quality through the maintenance of amicable management-union relation. Fifth, revolution of Component Industry through strategic improvement of Component supplies. As the small scale of domestic components and resulting low technology level and exporting capability make them backwar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e have to achieve world-wide by introducing the Component manufacturers bigger in size and also by getting away from the heavy dependance on the local demand and designated business relationship. In such a kind of rapid change in World Automobile Industry, I think that the strategy of Korea Automobile Industries for survival would be counter measure which will act as a core role of Korea Industry in the future as was in the past.

      •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 동해·삼척시를 중심으로

        윤명기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전국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친행 중에 있고, 동일권역 내에서 인접한 지방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도시 간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시 구성 요소의 효율적인 통합을 통해 지자체 운영의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나름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는 있으나, 각종 정책적·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에 도시 운영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위임해 놓게 되면서 기존의 행정구역을 고수하는 현 자치체제로는 지역경제 개발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선진국에서도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역 행정협의회, 지방자치단체 조합 결성 등 도시 간 협력체제 구축 방안을 여러모로 모색해 왔으며, 그에 따른 실효성을 거두어 온 것을 볼 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경제 분석과 정책이 뒤따라야 할 상황인 것이다. 지역경제가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하다면 도시체제의 재정비와 통합 방안이 고려되어 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동안 조심스럽게 논의되어 오던 동해·삼척시의 통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두 도시가 통합을 위해 그동안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을 통해 경제권역 통합을 위한 노력을 해 오고는 있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과연 지방정부가 스스로 경제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인구나 산업기반 등 기초적인 경쟁력 부족으로 발전이 저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립적 지역 발전을 위한 적정 공간 단위란 존재하는 것인지 등을 심층 깊게 살펴보고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경제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동해시와 삼척시를 중심으로 통합방안이 과연 어떤 효과를 가져 올 것인지 또 그것의 구체적 경제적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지역의 산업 구조와 동해시와 삼척시의 지역경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두 도시의 경제활동 인구, 산업별 구조, 지방재정 능력, 지역경제 생산액 등을 통한 문제점과 한계 등 경제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이 되었을 때의 효과를 행정적·경제적 편익 두 가지로 나누고 이에 대한 사례 제시를 위하여 최근에 지역 구분을 개편하였거나 논의 중에 있는 도시를 함께 병행 분석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분석을 위하여 자료 포락 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통한 시의 효율적 분석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효율성을 결정짓는 여러 요인을 도출하여 동해 삼척시의 특성과 효율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DEA 분석을 통하여 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와 이를 위해 필요한 조건을 도출하여 동해·삼척시의 통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개발을 통한 외자 유치 지역개발, 경쟁력 강화, 행정낭비방지, 주민의 생활편익 도모, 지역 이미지 게선 등의 효과가 상당 수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데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고 있어 생산비용 측면을 고려해 정부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면, 일정 정도 규모의 경제 확보와 달성을 위한 행정구역 개편논의는 바람직하다고 보여지며, 이는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단, 두 개의 시가 통합된 이후 통합 체제가 완전 정착되어 효율성이 높아지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는 다소 지연되거나 연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다양한 실질적인 정책과 방향으로 통합을 추진해 나아간다면, 이는 대표적이고 성공적인 도시 통합 및 개편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cently the government proceeds on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steadily carrys out various projects to integrate among near cities. This moving is getting the competitiveness by effective integration and driving the independent steady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 past, advanced nations tried to slve the problem by city integration like many different types of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And it is true that the plan caused many effectiveness. So we should analyze the overall plan and policy. To achieve the global local competitiveness, the reorganization and integration of c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ituation, the Dong-hae · Samcheok city integration could be look around. Two cites tried to economic range integration by RIS(Region Innovation System), but the other side this system holds many problems. We should consider the what cause this trouble whether fundamental incompetence like population, SOC or insufficient area for independent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get the solution to achieve local competitiveness which could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difference between cities, I show the effects of the integration of Dong-hae, Samcheok, and what specific economic influence is. So I analyze the local economic situation of Dong-hae, Samcheok city and industry structure like population infrastructure, capability of public finance and amount of products. And I divede the effects of integration in to economic one and administrative one and that are supported specific examples. To get the economic effects, I use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bring the elements that deter mine the effectiveness of city. And I find out the synergic effects of Dong-hae · Samcheok city and the conditions to get these effects. The results the integration could cause the invitation foreign capital, the strength of competitiveness and the improvement local brand image. Specially I find out there is a scale economies in government public service which could maximiz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 cost efficiency. Even though we could think that the visible result take a time to settle down, in the long respect various real policy to the integration could lead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 地域開發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삼척시를 중심으로

        강길석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1960년대 이후 가속화된 우리나라의 지역개발정책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집권적 통제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사업운영능력을 저하시켰으며, 수도권 집중의 심화와 지역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또한 중앙정부의 조직구조와 행정능력으로는 효과적인 지역개발을 할 수 없다는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개발을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하여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지역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기초자치단체인 삼척시의 지역개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지역개발사례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지역개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산업기반을 정비하고, 농림수산업과 공업의 진흥 및 인재의 육성을 위해 장단기적인 계획과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삼척시는 지구촌시대 및 환동해시대에 있어 경관이 수려한 동해안 지역을 접하고 있으므로 국가의 국토개발정책 수립시 중앙정부에 대한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식량농업과 특수농업의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농축산업을 진흥시켜야 하며, 고부가가치의 특산임산물의 산지 및 가공·유통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개발전략 수립이 필요하고, 중국·러시아·일본등과 교류증대를 염두에 둘 때 목재가공업, 석재가공업, 석회석가공업 등을 단지화해서 육성하여야 한다. 넷째, 교통정비의 개선을 위해서 동해안 고속도로의 조기건설, 삼척-안중 고속화도로 건설계획의 조기확정, 동해안 고속철도건설 등 광역교통시설 확충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다섯째, 도계 고원지대와 해양지대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광연계지대망을 형성하고, 삼척시를 세계적인 동굴휴양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마스터플랜의 작성과 개발체계를 갖추어 동굴도시로서의 특성화에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 여섯째, 지역인재의 육성은 지역발전의 핵심이므로 지역에 위치한 삼척대학교를 특성화하여 발전시켜야 할 것이며, 각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시민에 대한 재교육 및 훈련기능 확충을 위한 산·관·학 협동체계를 강화하여 지역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 韓國傳統文樣의 再照明과 컴퓨터를 利用한 産業木工藝品 開發에 관한 硏究 : 박쥐문양을 중심으로

        김남엽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 전통문양(傳統文樣, 傳統紋樣)은 대체적으로 인간의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하는 의미의 문양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십장생(十長生), 박쥐등의 길상(吉祥)문양과 악귀를 물리치기 위한 의미의 문양들이 우리 일상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으며, 궁궐의 기둥이나 기와 각종생활용품에서 번영(繁榮), 권세(權勢), 높은 기상, 장생불로(長生不老), 수호(守護), 고결한 인품 등의 의미를 담은 문양들이 새겨져 있음을 여러 문헌(文獻)과 남아 있는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유산(文化遺産)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전통문양들이 현대에서도 각종 악세사리나 기념품, 공예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양들은 과거(過擧)의 시대적(時代的) 상황이나 관습(慣習)을 기초로 도안된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 문양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조명해 볼 필요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 길상문양 중에서도 박쥐는 한자표기로 편복이라고 쓰는데 이때 사용된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이 소리 난다고 해서 일찍부터 다산(多産), 다복(多福), 행복(幸福)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혼부부의 베개, 궁궐의 상량정이나 굴뚝, 조선시대(朝鮮時代) 청화백자, 연적, 노리개, 박쥐문양 투각상, 마루의 난간등에 박쥐문양을 그리거나 투각을 해서 사용한 유물들이 전해진다. 따라서 본 연구(硏究)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중 박쥐문양을 중심으로 연구함은 물론 아름다운 전통문양의 계승(繼承), 발전(發展)을 위하여 보다 현대적이고 미적 아름다움을 살린 문양을 개발(Photoshop 과 Illustrator Program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널리 보급된 컴퓨터의 3D기법(技法)을 이용하여 가상의 목공예품을 디자인해 봄으로써 실제로 만들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問題點)과 장점을 미리 예측(豫測)하여 제시해보고, 얇게 재단된 목재에 레이저조각기(Laser engraver)를 이용하여 문양을 투각(透刻) 교체함으로써 정교하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현대적 감각(感覺)에 맞는 목공예품의 개발 가능성(可能性)을 모색(摸索)하였다.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re mostly made to wish human a healthy and long life. In our daily lives the patterns on Ten Objects for Long Life, bat pattern and patterns of repelling a ghost and demon are frequently used. As the diverse old documents illustrate that especially the patterns wishing a healthy and long life, prosperity, and good luck were engraved on columns in a palace and tiles as well as articles of daily necessities, and are still observed in many of our beautiful traditional cultural assets. In present days these traditional patterns, and are used for various accessories, souvenirs and crafts. As these pattern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custom of those days, however, we need to modify these traditional patterns according to modern sense. The patterns, which can show the meaning of the pattern in the past and take over our traditional culture and good public morals, and express aesthetic sense as they are more familiar and close to modern people with modern sense, are badly needed. As computers and peripherals have been developed dramatically due to the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today, we craftsmen are sincerely asked to think that they need to create works for ourselves, but most of us only stick to the old methods or just copied the traditional patterns and used as they are. So, I, as one of craftsmen who study wooden crafts, would like to argue that we have to reflect on our conduct and make strong efforts to create works. In addition, we will do our best to make contribution to develop our wooden craft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se the traditional patterns into more modern and emotional ones to take over beauty of our traditional patterns and develop them. And furthermore this study introduces a computer utilized 3D method to predict the problems and good points about a work when it is actually made. It also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to develop crafts of modern sense, as I design patterns again by using PHOTOSHOP and ILLUSTRATOR program, and project the patterns to the thin wooden panel with laser generator, so that patterns can be expressed with various colors rather than simple ones and can be made of materials other than wood.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crafts such as souvenirs and home accessories by applying various patterns, which are our beautiful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o our everyday life and developing them.

      • 장애인복지에 대한 연구 : 장애인 정상화 방안을 중심으로

        손요한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근대적 산업화 정책이 시작된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적 부는 급속히 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인 부는 수많은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 후천성 장애요인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천성 장애요인이 전체 장애인구중에서 차지하는 비중(89.4%)은 급속히 증가하였고, 다양한 사회 · 경제적 여건에 의해 사회적 취약계층이 증가하면서 사회복지의 이념적 배경을 동반한 복지정책의 정립이 필요해졌다. 장애인복지법 제1조에서는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를 보장하고 예방과 의료, 교육, 직업재활, 생활환경개선 등 사업을 정함으로써 장애인 복지대책의 종합적 추진을 도모하고, 장애인의 자립, 보호 및 수당의 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상황을 정함으로써 생활안정에 기여 및 장애인의 복지증진 및 사회활동의 참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되어있다. 장애인의 사회활동의 참여의 증진을 위하여 1990년 1월 13일에는 장애인 고용촉진 등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었고 이후 1990년 9월에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도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등장한 장애인고용촉진정책은 장애인들의 기대감에 비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누구에게나 직업은 사회적 위치와 자기실현에 필수적인 것이다. 장애인에게 직업을 통한 사회참여는 자기실현의 근거 및 비장애인과의 사회통합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사회통합에 있어서 '사회적 위치와역할'과 '사회적 권리와 의무'가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직업에 의해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통합적 복지를 통하여 장애인이 일반적인 환경과 생활방식에 가장 가깝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 전반적인 장애인 정상화 요소를 검토,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전기용접의 효율적인 실기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맞대기이음의 결함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박재순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5차에 걸친 경제개발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공업입국으로 중화학공업이 육성되었고 금속 및 기계공업은 최근에 와서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특히, 용접접합은 공업의 발전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경제적인 기계 가공법이다. 용접기술은 기계 제품의 생산과 수리의 주된 수단중의 하나로서 크고 작은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적용범위도 매우 넓어 선박, 항공기, 차량, 공작기계, 압력용기, 탱크,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등의 공업 전 분야에 중요한 가공법이며 현대 과학의 첨단을 걷고 있는 원자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우주개발 공업도 새로운 용접기술의 개발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 바와 같이 현재의 산업계 각 분야에서의 기술혁신과 제품 개발의 진행과 더불어 용접기술도 각 방면에 많은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맞대기 용접의 기술도 다양하고 심도가 깊어 졌으며 많은 기술적인 문제 또한 안고 있다.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실습시간에 용접에 관하여 효율적으로 실기지도를 하여 실제적인 용접문제를 해결하고 국가기술 자격증 시험에 많이 합격할 수 있도록 하며 용접기술의 향상을 도모하여 현장에서의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 연구를 하게된 목적이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효율적인 실기 지도에서 ① 년 간 실습요소 분석표를 만들어 실습계획을 하였더니 실기지도 과정을 정립하였음. ② 과제별 기초기능단계, 전문기능단계, 평가기능단계, 현장응용 단계로 구분하여 지도하였더니 흥미유발과 기초기능을 심화시킬 수 있었으며 실기평가에서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③ 용접의 기본이 맞대기 용접으로부터 응용된다는 핵심을 알고 평가코스에서 60점이상 합격권이 30명으로 국가기술 자격증 실기시험에서 100% 합격을 하였음. (2) 평가 기준의 다양화에서 ① 평가 기준의 다양화로 용접기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동시에 실기점수가 높아졌고, 기술자격검정 시험에서 100% 합격률을 나타냈음. ② 요소별 평가로 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합리적인 개인 실기평가표 배점으로 기능인으로서의 자질이 향상되어 자기 도약에 큰 영향을 주었다. ③ 위와 같은 다양하고 객관성 있는 평가에 학생들이 실습에 임하는 의욕이 진작되었고 지도교사의 지도방법이 현저하게 이루어짐으로 교수-학습에 능률적이고 기능의 신장을 높힐 수 있었다. Now 5―year plans of economic development 5times in succession have successfully been accomplished for welfare society through industry oriented policy, specially the heavy chemical industry, and metal machinery industry has rapidly grown and, welding industry may well be called an efficient & economical method for development of basic industry. Welding technology, as one of the main ways for production & repairment of machinery, is widely used in factories, large or small, and as the range of its use is very wide, it is used for ship, airplane, vehicle, factory machinery, industrial equipment, press, tank, bridge, construction structure as well as for atomic reactor, space business. Weld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with industrial technology innovation & development of products in various fields. Rod-welding, one of the welding technologies, is widely & deeply applied and keeps a lot of problems, too. I wrote this report for the following purposes ; 1.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happened in Engineering high school. 2. To help for youngsters to take welding licence of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3. To develop better skills through on the job training course. I suggest to you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my experiments. (1) The leading in efficient practice a) I made a year-plan for practice(table 17) with analysis plan of practicing factors.(table 16) b) As I thought them with a plan of a few steps like basic function, professional function, evaluation function & practical application, I found that interest inducement & basic function were deepened, and the evaluation for practicing technology was found very good as table 19. c) Most of students understood that the basic of welding, starts from rod-welding, which helped them to pass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otion for welder without any failure.(table 20) (2) Diversification in evaluation standard. a) The diversification of evaluation standard of welding has increased the welding technology as well as students grade point, and the appliciants passed the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otion 100 percent. b) The students func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evaluation of factors, and thanks to rational evaluation of practicing test,(table 21) the quality of technician has increased, which helped greatly the student's self-training. c) The above simple & rational system of evaluation stimulated the students to practicipate positively in practice, and the method of leading teachers has greatly been bettered with efficient way of lesson & study, which expanded the function of welding.

      • 강릉의 근대 건축물에 관한 연구

        박문호 三陟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31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의 개화 시기부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새마을 사업이 시작되는 1970년대 전의 한국 근대기의 건축물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과 인천, 부산등 주요 개항장에 한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서울과 같은 대도시와 주요 개항장에 세워진 근대 건축물을 근대 건축사 서술의 주된 대상임을 부인하기는 어려우나 보다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그리고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상기도시 외의 도시에서도 근대 건축물에 대한 건축적 전개 상황이 동시에 규명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이 더 소멸되기 전에 발굴 · 조사함으로써 한 시대의 건축 활동을 역사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자료를 정리하고, 아울러 과거의 문화적 유산으로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강릉의 근대는 일제에 의해 영동지방의 거점 확보를 위해 현 남문동을 중심으로 계획적으로 시가지 조성이 이루어졌고 시장에 의한 즉 상업적인 발달로 도시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건립된 근대 건축물은 조사결과 37건이 강릉에 현존하고 있었다. 조사된 근대 건축물은 공공시설 1건, 교육시설 1건, 종교시설 3건, 복지시설 1건, 상업시설 15건, 상업+주거시설 7건, 주거시설 3건, 문화시설 2건, 의료시설 2건, 교통시설 1건, 산업시설 1건으로 나타났으며 동별로는 성남동 14건, 임당동 5건, 용강동 5건, 성내동 3건, 홍제동 2건, 금학동 2건, 남문동 2건, 입암동 1건, 명주동 1건, 죽헌동 1건,. 교동 1건으로 성남동에 14건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설별 분포는 강릉시의 변천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상업관련시설이 성남동에 가장 많이 분포 되어 있다. 목조의 건축물이 60%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1950년 이후에 조적조와 철근콘크리트조가 나타나며, 또한 층수도 1950년 이후에 3층 이상의 건축물이 나타난다. 1940년의 건축에 비하면 전체적인 유형에 큰 변화는 없으나, 1950년대에 창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전면부에서 지붕을 가리기 위해서 입면을 높여 실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지붕끝선 부분에 돌림띠를 사용하여 장식하였다. 또한 1940년대 까지는 계단실을 따로 두지 않고, 1층과 2층의 공간 이동이 내부계단을 통해 이동하였으나, 1950년대부터는 건물 내에 따로 계단실을 두어 건물의 수직적 확장과 이동의 원활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경제적인 점을 고려하여 외부마감을 간소화한 시멘트몰탈 마감이 대부분이며, 장식은 문양을 넣은 줄눈 장식을 사용하였고, 상업관련시설외에는 대부분 좌우대칭의 평면 유형을 찾아 볼 수 있다. 년대와 시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관련시설은 비대칭의 평면 유형이고 그 외의 시설은 좌우대칭형 평면유형이다. 둘째,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시설물은 계단실을 따로 사용하였다. 셋째, 단조로운 입면에서 탈피코자 창문이란 요소를 반복 사용하였고,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붕끝선에 돌림띠, 지붕처마의 노출이 없는 점과 건물의 입면에 수직요소는 교육시설, 종교시설, 복지시설, 의료시설, 산업시설에, 수평적요소는 상업시설, 상업+주거시설, 문화시설에, 수직 · 수평적요소는 주거시설에 나타나고 있다. 넷째, 경제적인 점을 고려 외부마감은 시멘트몰탈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강릉지역의 근대 건축물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One can state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of Korea shortly after the 1986 Kangwhado Treaty, Korea's first open-door policy to the period of Saemaul Movement, a national new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e 70's, are limited around Seoul and major port cities like Incheon and Pusan. It has to be made sure that architectural development of circumstances at a small or middle-scale city should be simultaneously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materials, which could historically propect architectural activities of the times, should be sorted out by examining and discovering modern buildings before they are destroyed and tries to establish an opportunity to view those as a cultural heritage. Gangneung began structuring itself more as an commercial city, mainly led by Japan, in its strategic attempt to gain a stronghold in Yeongdong area, through setting up a town centered in Nam moon Dong area.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as examined a list of 37 cases on modern architecture during the period. The examined modern architecture is as follows; There are 1 public facility, 1 educational facility, 3 religious facilities, 1 welfare facility, 15 commercial facilities, 7 commercial and residential facilities, 3 residential facilities, 2 cultural facilites, 2 medical facilities, 1 transportation facility and 1 industrial facility. The examined rate of distribution of modern architecture classified by Dong (an administrative village) is as follows; There are 14 cases found in Seongnam Dong, 5 cases in Imdang Dong, 5 cases in Yonggang Dong, 3 cases in Seongnae Dong, 2 cases in Hongje Dong, 2 cases in Keumhak Dong, 2 cases in Nammoon Dong, 1 case in Ibam Dong, 1 case in Myungjoo Dong, 1 case in Jookhun Dong and finally 1 case in Kyo Bong. As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number of modern architecture is mostly found (14 cases) in Seongnam Dong, most of the commerce-related facilities are found in Seongnam Dong. More than 60% of wooden structure is found in both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It seems that stone-built architecture, steel concrete and more buildings with over 3 floors have been on the rise and since 1950's. Compared with the architecture in the 1940's, there is no particular difference found in the overall structure, however in the 1950's, the use of more windows and the cover-up of rooftops in the fade was on the upward swing and they started to decoreate the ends of the rooftops with decorative stripes. Up until the 1940's, staircases were located inner sides of building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floor, however, in the 1950's, they were separately located in one side of the building to ensure perpendicularly more space and easier mobility. In addition, during the final stage of construction, cement mortar was widely used to enhance the economic efficiency, striped decorations were put to use to decorate the building and, except commerce-related facilities, those flat types of both symetrical sides could be easily found. Therefore, the following summarizes facilities based on different periods. The first, the commercial facilities are mostly flat types of non-symmetry and other facilities except commerical facilities are mostly flat types of symmetry. The second, the facilties that used steel concrete had separate locations for staircases. The third, it is found that windows were widely used in order to avoid monotonous flat walls. It is also found that they used round decorative stripes to the ends of rooftops and tried to hide the eaves from those rooftops. Perpendicular factors on walls were mostly found in educational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horizontal factors were shown in commerical facilities, residential/commericial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finally both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factors were shown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forth, they used cement mortar on the outer sides of buildings during the final stage.

      • 지역금융과 지역경제 성장간의 관계에 관한 계량적 분석

        김우영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지방화 시대를 맞아 지방분권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형성되어 정치, 행정적인 측면 외에도 경제, 문화, 사회에 이르기 까지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외환위기 이후 우리경제의 세계화가 빠르게 진전됨에 따라 지역경제와 지역금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우리정부는 정책의 초점을 경제의 총량적 성장에 맞추었기 때문에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인한 산업 및 금융부문에 있어서 지방과의 격차가 심화되어왔다. 또한 지역에 공급된 금융이 지역경제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관해서는 그동안 여러 경제학자들에 의해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기존의 연구결과 에서도 증명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역경제성장과 지역금융의 이론적 배경 및 실태를 파악한 뒤 계량적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요약 정리하는 순으로 구성 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역발전에 기여 하고자 했다. 자료는 1993년부터 2000년간 8개년도의 시계열 자료와 각 년도의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역금융과 지역경제 성장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 금융변수를 총대출 변수와 농협대출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강원도의 경우 전체적으로 지역금융이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앞으로 지역금융이 지역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가 나타나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지역경제와 지역금융 성장 분석에 있어서 수집된 통계자료가 충분하지 못해 금융기관별 지역 기여도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했다. 그리고 분석시계열이 짧은 관계로 광역시와 기타 시, 군별로 분리하여 추정하지 못함으로써 양자간 구조적 차이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였다. 더욱이 지역경제 성장을 대표하는 변수로 시현된 지역총생산이 1993년 이후부터 집계되고 있는데, 이 또한 지역의 성장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낙후된 지역 내의 실물경제 성장이 필요하며, 자금의 효율적 중개 및 배분을 통한 지역금융 활성화가 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의 소득제고와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역금융 활성화 방안이 요구되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특성에 부합하는 지역금융의 기반 구축과 구조조정이다. 둘째, 전략산업 및 지연산업의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이다. 셋째, 지방화시대에 부합하는 마케팅전략 등 영업력 강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이다. 또한 강원지역경제는 타 시,도에 비해서 재정자립도가 매우 취약하여 경제력이 열세에 있으므로, 핵심산업인 관광 및 수출산업을 중점 육성하여 지역성장기반을 내실 있게 다져야 한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역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지역금융을 활성화시켜 지역자금의 역외유출을 방지해야 함은 물론, 이것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 있는 산업을 보호육성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 끝으로 행정기관과 경제단체가 주축이 되어 지역민과 함께 지역발전을 위한 핵심역량을 결집해 나가면, 강원지역경제의 균형적인 발전과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social consensus on the decentralization of the governmental authority, bringing about great changes in economy, culture and society as well as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globalization of the nation's economy has been accelerated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regional economy and local finance. However, our previous governments focused their policies on quantitative growth of the economy, and, as the result, the population has been heavily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by deepening a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regional areas in industry and finance. In addition, what roles finances provided to regional areas play in them has been a subject of discussion by many economists so far, and it has been proven by existing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has been constructed in the way that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local finance was first identified and then how to activate a regional economy was summarized through an econometric analysis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areas. For the study, time series data for 8 years from 1993 to 2000 and cross-section data for each year have been used, an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inance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variables of local finance have been divided into total credit variable and Nonghyup credit variable for use. As the result of an analysis based on an actual proof, Gangwon-do showed its local finance having a relatively high impact on its gross production, leading to the prediction that local finance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regional economy in the future. However, the research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efforts to improve it. First of all, since there was not enough statistical data col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growths of regional economy and local finance, an appropriate analysis of contribution to region by financial institution has not be made. Because of short times series of data for analysis, separation of megalopolis and city or county could not be made for estimation, thus leading to an insufficient analysis of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Moreover, regional gross production since 1993 was collected as a variable that represents reg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it is expected that errors could have occurred in the process of measuring regional growth.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regional economies and thus promote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the growth of real economy of less developed regions needs to be made, and in parallel the activation of local finance needs to be made through an effective intermediation and distribution of funds. In order to raise incomes of regional resident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asures for activating local finance are really needed as follows. First, what is required is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local finance and restructuring that fit into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should be financial support for strategic industries and delayed industries. Third,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finance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sales capacity includ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suit the era of decentralization. In addition, Gangwon-do region has a very low level of independence in its finance, thus making its economy become inferior in strength. Therefore, tourism and export industries, its core industries, need to be nurtured with a priority so that a stable foundation of regional economic growth can be built. A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its corporations will be also needed in order to activate local finance and prevent an outflow of regional funds out of the region, and based on this industrie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will have to be protected and developed further. Finally, i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economic bodies should have a leading role in rallying the region's core competencies for the purpose of its development, a balanced development and growth of Gangwon-do region can be expected.

      • 농업용수관리 자동화 사업의 필요성 및 경제성 연구

        오영호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 세계 물 공급량을 돈으로 따지면 연간 5백조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으며, 미국 경제잡지 포브스는 지난해 말 석유에 비견할 만큼 물이 귀중해 지면서 정수와 수자원개발에 세계적으로 3천5백억의 자금이 흘러들고 있다고 보도하고, 21세기는 물 산업이 석유산업을 추월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으며, 미국의 포춘지는 "2O세기에 석유가 우리에게 주었던 것을 21세기에는 물이 대신할 것" 이라면서 "물이 국가의 부를 결정하는 귀중한 생필품이 될 가능성이 크다" 고 보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 유엔이 분류한 물 부족국가에 속하여 있지만 버려지는 물이 약74%로 상당히 많은 편인데 이는 여태까지 공급위주의 개발정책에서 발생된 문제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다. 더구나 농업용수로 이용중인 물량이 전체의 48%로 이에 따른 손실량도 제일 많을 것이다. 농업용수를 저장, 운용하는 실태를 보면 노후 된 농업기반시설들로 인하여 저수량 감소가 발생하며, 확보된 용수를 재래식으로 운용함으로 인한 관리 손실발생으로 농업용수 부족사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새만금 간척사업이나 한탄강 댐, 동강 댐 등 새로운 자연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신규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발생되고 또한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적, 사회적으로 땅 지키기와 엄청난 보상 요구 등 새로이 농업용수 시설개발은 시기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업용수 관리를 통하여 낭비되는 용수를 줄여야 되는 방범을 모색해야 할 방법으로 농업용수 관리자동화 시스템의 조기 정착이 필요하다. 농업기반공사 원주지구의 물 관리 자동화사업을 통하여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합리적으로 배분하여 토지이용률 증대 및 농업생산성향상을 통한 농가 소득증대로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용수의 절약으로 환경용수 공급 등 다 목적 이용이 가능하며, 가뭄 홍수 등에 대한 자연재해 경감 및 예방과 자연관개 구역을 확대하여 관리비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는 물 관리 자동화사업의 필요성 및 경제성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The volume of the worldwide water supply is estimated to the 500 trillion Won. The American economic journal Forbes reported at the end of last year that the water gets as precious as oil, and approx. 350 billion Won per a year is invested to develop the fresh water and the other water resources in the world. It is also forecast that the water-related industry will surpass the oil industry sooner or later. The American journal Fortune also commented the possibility for the water to be a necessity of the life, which determines the national wealth, citing what was given by the oil in the 20th Century would be replaced by the water in the 21st Century". Korea was classified into the water-short countries in 1990 by the UN, however the discarded water is considerably rated to 74% of the entire water supply. This is sure to be caused by the supply-oriented development strategies. Further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re proportionate to 48% of the water supply, and the losses from thi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water shortage. From the inspection on the reservoirs and the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it is found that the reservoirs decline due to the aged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its conventional management accelerates the losses and the agricultural water shortage. The recent issuance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 regards to the projects of Saemangeum land reclamation, Hantangang River Dam, Dongang River Darn also inhibits the development of new water resources. In addition, Korean unique cultural and social cling to the land and the demands on huge compensation make it difficult to develop new facilities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duce the water waste through a scientific and systematic water management. For this, the management automation of the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needs to be introduced as soon as possible.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he water management automation and its economic efficiency, showing the efficient use and the reasonable distribution of the water resource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automation at Wonju Branch of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In addition, the advantages of this management automation are to be presented including the increase in the land using rate,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rural income, the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the possibility of the bio-compatible water supply based on the saved water, the decreasing potential in the natural disaster like flood and drought, and the savings in operating expenses by the expansion of the natural irrigating areas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