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世界的인 치열한 競爭 속에서 韓國自動車 産業의 發展戰略에 관한 硏究

        김형하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 자동차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내에 세계에서 10개 정도의 자동차 업체만이 살아남고(한국에서는 1개) 나머지는 도태되거나 큰 업체에 통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한 사유로 세계 자동차 시장의 변화 물결은 그동안 정체되었던 자동차산업 구조의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자동차 업체간의 인수 및 합병이 활발해지고 전략적 제휴 또한 급속히 늘어났다. 그리고 IT 기술을 자동차 산업에 접목시켜 생산의 효율성 증대를 꾀하고 있으며, 이질적인 산업과 자동차 산업간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선진업체들은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면서도 자신만의 핵심역량을 기르는데 보다 많은 힘을 쏟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신만의 특화된 분야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이제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성장해 왔던 한국자동차산업의 발전에 대한 전략을 강구하였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 전략은 첫째, 한국자동차 산업의 국제화 강화이다. 국제화 강화를 위해서는 자동차 기업자체로서의 핵심역량을 길러야 하며, 타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여 국제적인 네트워크 힘을 길러야 한다. 둘째, 이질성을 가진 산업과의 융합추진이다. 한국자동차업체는 기존에 자동차의 생산과 판매에만 주력해 왔지만, 이제는 첨단 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고 차량 구매 고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금융업과의 융합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수출지역의 다변화이다. 기업의 글로벌화와 연계되는 개념으로 기존의 수출지역의 유지 및 확대를 전제로 하며 새로운 수출 시장의 확보를 통해 수출지역의 편중 도를 낮추어야한다 넷째, 품질개선과 생산성 향상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사적인 품질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근로자의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공정개선 그리고 원만한 노사관계를 유지하여 품질 경쟁력을 향상시켜야한다. 다섯째, 부품조달 전략 개선을 통한 부품산업 혁신이다. 국내 부품 생산업체들의 영세성으로 인하여 기술력과 수출력이 크게 떨어져 국제적 경쟁력에서 뒤쳐지고 있기 때문에 부품업체의 대형화를 유도하고 내수의존도 및 전속적 거래관계를 탈피하여 세계적인 공급가치화를 실현해야한다. 세계 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생존을 위한 전략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미래 한국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할 자동차 산업의 긍정적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대응책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experts of World Car Industry expect that about 10 Automobile manufacturers would be survived and the others would be weeded out or merged to the large manufacturer in next 10 years(One might be survived in Korea). By that reason, the changing wave of the World Car Market brought about the great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Automobile Industry which remained stagnant during that time. Mergers and Acquisitions between Automobile manufacturers has been activated and strategic alliances were also rapidly expanded. They are trying to increase the productivities by applying IT technologies to Automobile Industry, and to graft different industries onto automobile industry. Especially, advanced manufacturers are doing their best to develop their core abilities by following the current of the times and as a result, they had specialized field for themselves only. In such changes of the times, I studi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Automobile Industries which has been grown up as a National Key Industry.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Korea Automobile Industries is : First, the international strengthenness of Korea Automobile Industry.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ization, we should develop our Core abilities for automobile industries themselves and also acquire the power of international network by the strengthened alliances with other companies.. Second, fusing the variety of different Industries.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has just concentrated their efforts on the production & sales of the car in the past. but, now it is needed to apply IT technology, which is high sophisticated technology of now and also to ally with the Financing to be a help for the client of the car.. Third, diversification of the export regions. we should lower our dependence on the current export regions by developing new export markets. on the assumption that the existed export region is maintained & expanded by connected concept of company's globalization. Fourth, strategy for Quality Improvement and Productivity Increase.. To this end, we should strengthen the training of the employees through overall quality control system (TQM) and als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Quality through the maintenance of amicable management-union relation. Fifth, revolution of Component Industry through strategic improvement of Component supplies. As the small scale of domestic components and resulting low technology level and exporting capability make them backwar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e have to achieve world-wide by introducing the Component manufacturers bigger in size and also by getting away from the heavy dependance on the local demand and designated business relationship. In such a kind of rapid change in World Automobile Industry, I think that the strategy of Korea Automobile Industries for survival would be counter measure which will act as a core role of Korea Industry in the future as was in the past.

      • 江原道 住居團地 土地利用 特性에 關한 硏究 : 宅地開發 事業地區를 中心으로

        金炯河 삼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주거단지 개발은 주택정책과 아울러 이와 관련된 각종 주택 관련법의 영향을 받아왔다. 이에 따른 보다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법적 근거로 도시설계제도가 선 보였고, 2000년 7월을 기하여 지구단위계획이 수립 보완되어 시행되었다. 이러한 제도적인 변화에 따라 수려한 자연경관을 갖은 강원도에서도 쾌적한 주거단지 조성을 위해 질적, 양적으로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없어서는 안 될 시기에 당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갖고 본 연구에서는 1) 새로운 지구단위계획의 제도적 특성파악 외국의 제도와 우리나라의 법제적인 제도를 상호 비교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제공하는 완화/규제 내용을 개발되어진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전국 택지개발사업지구의 토지이용 분석 지구단위계획 지정이 의무화 되어있는 한국토지공사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제도가 적용된 1990年代 이후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한 택지개발사례를 통하여 토지이용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3) 강원도 토지이용 특성 비교 분석 상기 항목을 중심으로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공동주거와 단독주거가 함께 조성되어진 택지개발사업지구의 주거단지를 비롯한 가로망 패턴과 공원·녹지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계협력방식( Collaboration Design System )의 응용 도입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인접단지간의 연계성을 도모하고 획일적인 단지환경의 조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협력방식의 기법이 보다 구체적으로 응용 도입되어야 하겠다. 2) 전국 택지개발사업지구의 토지이용 특성 우리나라 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특성을 보면 전체적으로 단독주택,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학교용지와 같은 기본시설요인과 도로, 공원녹지와 같은 오픈스페이스요인 그리고 공공의 청사와 주차장과 같은 서비스 요인으로 구분되어지며, 주로 토지이용의 구성요소는 12개 요소임이 요인분석에서 나타났다. 3) 강원도 주거단지 토지이용 특성 분석 첫째, 대상지 선정 연도별 분석 주거단지의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해 보면 전국에 비하여 단독주택지가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나 연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공동주거단지 및 도로율 그리고 공공의 청사 등은 비교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상지 선정 규모별 분석 단독주택지의 비율은 강원도가 전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비해 공동주택지는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국의 주택지가 고밀도로 계획되어지기 때문에 거주환경의 영향과 함께 공원녹지 및 학교, 도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상지 선정 지역별 비교분석 강원도를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토지이용의 면적의 구성비를 산출하였다. 이를 보면 영동지방의 단독주거비가 높게 나타났고, 공동주거비를 비롯한 기본시설요인과 공원녹지를 포함한 서비스요인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소규모 개발에서부터 대규모 주거단지에 이르기까지 친환경적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택지개발 사업 시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MA (Master Architecture)가 주관하는 설계협력방식을 도입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며 강원도에 알맞은 주거단지를 계획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In Korea, the development of the residential district has been influenced by the various house-related regulations as well as the house-related government's policy. To make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land development area, the 'District Unit Plan' has been introduced as a urban designing system in July, 2000. According to such an institutiona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pleasant and beautiful landscaped residential district in Kangwon-do, it became necessary to maintenance a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With such an awareness, a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1)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of 'District Unit Plan' - To compare with several legal system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 To understand how the district unit plan has influenced in Korea, by comparing it with other examples. How the effect reflected through the alleviation and restriction of regulation. 2) Analyzing the land use of the national residential district development - By focusing on land development executed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Such development has been done by an obligation of district unit plan.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and use, with examples on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since 1990 when the urban designing system was firstly applied. 3)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 in Kangwon-do -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focusing on the factors mentioned above,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residential district of the land development area, both housing and common residential area. Also,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pattern of street network and the proportions of parks and gre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pplication and introduction of "Collaborated Design System" - In order to plan a connection between large land development district and other neighboring regions, and to prevent a formation of a uniform district environment, cooperative methods of designing should be introduced and practiced in a more definite way. 2) Characteristic of the national land use of land development district - By clos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district unit plan in Korea, there are three major factors in land use. - Those factors include: a) Basic institutional factor ; housing, common residences,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school sites, b) Open space factor ; roads, parks and green, c) Service factor ; public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nd parking spaces. -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actors of land use are divided into 12 sub-factors. 3)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 for the residential district in Kangwon-do a)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year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land use for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housing area are showing a relatively high ratio compared to the rest of the nation. However, the figure is decreasing annually. It seems to be no relative difference ; the ratios of common residential areas, roads and public government office buildings, compare to the rest of the nation. b)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scale The ratio of housing area is relatively high in Kangwon-do, compared to the rest of the nation. However, the ratio of common residential areas is relatively low. The figur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ational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 plan. The ratio of green, schools and roads are also high. c) Comparison and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the regions By dividing Kangwon-do into two parts ; Yeongdong(middle-eastern part) and Yeongseo(middle-western part). The forming ratio of the regional land use has been calculated. As a result, the ratio of housing area in Yeongseo region is higher than the other. However, the basic institutional factors including the ratio of the common residential areas, and the services factors including parks and green are almost same. From now on, it will be necessary to focus on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from small-scaled development to large-scaled residential district. In order to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lan a suitable residential region for Kangwon-do, it will be required to introduce the cooperative methods of design run by MA(Master Architect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plan for the land development plan.

      • 정서장애의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에 기반한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김형하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9년 말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현재까지 지속되면서 20대의 분노조절 문제는 심각한 수준에 다다랐다. 이에 따라, 20대의 분노조절곤란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서장애를 위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에 기반한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분노조절곤란을 나타내는 대학생들의 분노조절곤란 관련 변인(특성분노, 분노반응, 분노지각,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대처행동, 분노회피행동)과 정서장애 증상(우울증상,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정신적 웰빙 및 정서조절곤란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비교하기 위해 무처치 집단이 통제조건으로 사용되었다. 강원도 소재 4년제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184명을 대상으로 특성분노 척도, 분노표출 척도, 분노억제 척도, 분노반응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중 한 가지 이상의 척도에서 그 점수 수준이 연구 참가 신청자들의 점수 분포의 상위 25%에 해당하며, 연구 참가에 동의한 대학생 38명을 각각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 집단(n = 18)과 무처치 집단(n = 20)에 할당하였다.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총 5회기(주 2회, 1회기 당 60~90분)로 진행되었다. 두 집단의 참가자들은 모두 사전, 종결 직후 및 종결 후 2주 시점에 분노조절곤란 관련 변인들, 정서장애 증상들, 정신적 웰빙 및 정서조절곤란을 각각 측정하는 척도를 작성하였다. 최종분석에는 중도탈락자(3명)를 제외한 총 35명(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 16명, 무처치 19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 집단은 무처치 집단에 비해 분노조절곤란 관련 변인(특성분노, 분노반응, 분노지각,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대처행동, 분노회피행동)과 정서장애 증상(우울증상,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정신적 웰빙 및 정서조절곤란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에 기반한 단기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분노조절곤란을 개선하고 정서장애 증상과 정서조절곤란을 완화하며 정신적 웰빙을 증진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개입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t the end of 2019, Coronavirus disease-19(COVID-19) hit the world, and it last until now, the anger regulation problems of the 20s has reached a serious level. Accordingly the need for an intervention for a dysregulated anger of the 20s is emerging. In this study, it proved that a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based on the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is effective to improve dysregulated anger (trait anger, anger reaction, anger perception, anger-out, anger-in, anger coping behavior, and anger avoiding behavior), symptoms of emotional disorders (depression symptoms, social anxiety symptoms, and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mental well-being and emotional dysregulation. To compare to effects of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the non-intervention group was used as a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thir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met the criteria among the top 25% of applicants’ score distribution on one or more of the four self-report scales, including trait anger scale, anger-out scale, anger-in scale, and anger reaction scale.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consisted of five sessions (two times per week, 60-9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non-intervention condition consisted of only three times surveys on time.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was 16, and who completed the non-intervention condition was 19. They completed the self-rating scales of trait anger, anger reaction, anger perception, anger-out, anger-in, anger coping behavior, anger avoiding behavior, depression symptoms, social anxiety symptoms,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mental well-being, and emotional dysregulation before the intervention period (pre-test) and after the intervention period (post-test), and 2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follow-up test).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non-intervention condition, those in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condition showed improvements in the dysregulated anger related variables – trait anger, anger reaction, anger perception, anger-out, anger-in, anger coping behavior, and anger avoiding behavior –, the emotional disorders symptoms related variables – depression symptoms, social anxiety symptoms, and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 mental well-being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ly participants in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condition showed continued improvements from post-test to 2-week follow-up.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rief anger regulation program based on the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Barlow et al., 2011/2017) is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promoting dysregulated anger, symptoms of emotional disorders, mental well-being,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ysregulated anger.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their limit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