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진로동기, 진로장벽에 관한 질적연구

        이선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focused on counseling majors that reported that they advanced to a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ose the career path of a counselor.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they were counseling major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at reported they chose the counseling course themselves and attended the graduate school at least for four semesters or graduates that graduated less than a year ago. The study had total ten subjects, each of whom participated in an interview in September and October.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career barriers experienced by them in the process of career progres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each interview lasting for 50~60 minutes on average. The detailed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had various motivations to advance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most popular one was to work at a school as a professional counselor. Many of the subjects had interest in counseling work and advanced to a graduate school to study and work simultaneously. Some advanced to a graduate school by the recommendation of their acquaintances or famili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ubjects, however, faced several difficulties while specializing in counseling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ir personal difficulties first include negative experiences in the training process such as their lack of capabilities as counselors, difficulties with the training system, difficulties due to counseling different from their undergraduate majors, and shortage of exchanges with peers. Second, they suffered economic difficulties, saying that they felt a burden with the training costs and reported difficulties due to the absence of stable jobs. Third,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qualifications as a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including the process of recruiting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60 hours of educational volunteer service, two training sessions for first aid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two personality and aptitude tests for teachers. Finally, they reported difficulties with entry as a counselor and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dvancing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also reported difficulties with joining a center or organization to work as a counselor. In short, the study examined motivations for advancing to a graduate school an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areer pursuit among counseling majors that advanced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a counselor and faced career barriers currently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Hill, Maryland, Thompson, & Williams, 1997). CQR is a research method in which several raters analyze cases from a semi-structured interview in an inductive manner while trying to minimize the investigator's bias in data interpretations(Hill, 2012). It is a proper method to make an in-depth inquiry into the difficulties faced by counseling majors in various aspects and secure objectivity. By examining difficulties faced by counseling major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CQR, the present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counselors that hope to follow the counselor's path by advancing to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본 연구는 상담전공으로 교육대학원 진학 후 현재 상담자로서의 진로를 선택했다고 보고한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구체적인 조건은 다음과 같다. 상담자 진로과정을 진행하는 중으로 보고한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 중 최소한 4학기 이상을 재학했거나, 그리고 졸업생의 경우 졸업 후 1년 이내인 자로 제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참여자는 총 10명이었다. 면담기간은 각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참여자가 경험한 개인적인 진로과정의 어려움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에 의한 질적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을 이용하였다. 면담질문은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질문형식을 이용하였고, 면담횟수는 연구참여자 별 평균 2∼3회, 면담 시간은 평균 50분∼70분 정도 실시하였다. 자세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육대학원 진로동기를 보고 하였다. 가장 많은 진로동기는 전문상담교사로서 학교에 진입하기 위한 경우가 많았다. 또 상담일에 관심을 갖고 직장과 병행하기 위해 진학하기도 하였고,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지인이나 가족의 권유로 진학하게 된 동기가 있었다. 하지만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이 되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었는데 개인적인 어려움을 탐색해본 결과 첫째, 훈련 과정의 부정적 경험들이었다. 이는 상담자로서의 자신감부족이 전형적이었다. 또 훈련제도의 상황 및 조건 맞추기의 어려움이 있었고, 1차 학부전공 차이로 인한 이론습득 과정의 어려움을 보고 하였다. 드물지만 동료와 학업, 취업 등에 관한 정보 교류 부족을 어려움으로 보고하기도 하였다. 둘째, 경제적 어려움을 보고 하였는데 훈련비용의 부담감과 안정적인 일자리의 부재가 보고 되었다. 이는 워크샵 참가비, 수퍼비전, 수련비 등의 비용 부담과 기간제, 계약직 등 불안정한 근로조건이 보고 되었다. 셋째, 전문상담교사 교원자격증 취득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을 보고 하였다. 이는 학교현장실습을 위한 학교 섭외과정과 교육봉사 60시간 이수,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2회 실습 이수,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2회 적격판정이 전형적으로 보고 되었다. 넷째, 상담자 진입에 관한 어려움을 보고하였는데 교육대학원 진학목적에 맞게 교원임용준비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보고 하였다. 또 상담자로 취업하기 위해 센터나 기관의 진입이 어렵다고 보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상담공부의 영향을 보고 하였다. 상담공부를 하면서 자신의 이해 및 타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또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학교에 대한 관심과 학생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면서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진로선택 동기가 더 강화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상담전공으로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였으나, 현재 진로과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대학원 진로동기 및 진로과정의 어려운 경험을 합의에 의한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Hill, Maryland, Thompson, & Williams, 1997)방법을 통해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CQR은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면담을 통해 얻은 사례를 3∼5명의 평정자가 모여 연구자의 자료 해석에 대한 편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분석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귀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방법으로(Hill, 2012),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진로과정 중 직면한 다양한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적절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의에 의한 질적연구방법(CQR)을 통해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마주한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써 앞으로 상담자진로를 위해 교육대학원에 진학하는 예비 상담전공 교육대학원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이길 기대해 본다.

      •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에 대한 연구

        이상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의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이 그들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실용음악전공생 6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질문지를 제작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고, 네 가지 주제로 정리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학에 대한 정보 부족,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편견, 교육대학원의 지원서 거절 등으로 인한 것이었다. 이에 실용음악전공생들이 교육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자격에 대해 명확한 기준과 방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참여자들은 음악교육 분야에서 실용음악전공자에 대한 일부 편견이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들은 교육대학원 진학 과정, 교생 실습 등에서 실용음악전공자로서 차별을 느낀 경험이 있었으며, 이에 실용음악전공자가 음악교육전공으로 동등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시각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적이고, 유연한 음악적 가치관은 그들의 교육대학원 경험과 진로탐색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육의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음악 수업을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자신의 전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 음악교육에서는 실용음악 및 대중음악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채우고, 관련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용음악전공 음악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대학원 내 음악교육전공생들의 진로와 전공에 대한 관련 자료들이 확충되기를 바란다. 또한, 시대에 맞추어 변화하는 음악교육 현장의 수요에 따라, 실용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역할과 필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관련 음악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six practical music majo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organizing them into four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several difficulties in preparing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clear standards and measures for the qualifications of practical music students to apply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ere some prejudices toward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y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s practical music maj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hat practical music majors can be equally accepted as music education majors should be impro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e and flexible musical values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is experience led to a positive recognition of one's major. Fourth, since the demand for practical music and popular music is suffici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eet these demands and discuss the role of music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lated classes. Through these results, the author hope that related data on the career and major of music education major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ll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and needs of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will be discuss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changing according to the times,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active music classes.

      •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 의식

        윤형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체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체육학 연구자들에게 연구윤리 교육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체육학 연구에서 연구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6개 대학교의 체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2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7부를 제외한 203부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빈도, 백분율)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윤리 인식은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윤리 인식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이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수강경험은 거의 없는 반면,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이 연구윤리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계열 대학원 및 대학 내에서 연구윤리 교육과정을 개설해야하며, 체육학 연구 실정에 맞는 연구윤리 교재 개발 및 표절검색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연구윤리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야 한다. 체육학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연구부정행위가 얼마나 큰 범죄인지에 대해 인식시키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연구부정행위를 근절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 연계 미술수업 사례 연구

        박혜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 연계 미술수업 사례 연구 박혜원 미술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최근 몇 년 사이에 진로교육은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교과로 여겨지고 있다. 초등 진로교육에서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일과 직업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의 교육 또한 학생들의 창의력이나 인성을 중요시하는 교육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표현하는 데에 적합한 교과인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미술 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미술 교과의 특징을 활용하여 진로 탐색에서 더 나아가 표현 활동을 하는 과정 안에서 차별화된 진로교육을 진행하였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교육의 중심이 되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주도하여 학습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증진에 목적을 두었다. ‘나’에 대한 주제로 자신에 대해 탐색하고 이해하면서 미술교육 안에서의 진로교육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수업 후 활동지와 작품을 분석하고 인터뷰를 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주제로 한 수업에서 흥미를 가지고 주도하여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새로운 재료나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차시별 작품을 완성한 후 자신의 결과물에 만족감을 느끼고 미래의 꿈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질 수 있었다. 학생들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는 데 있어 개인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과정 속에서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미술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능동적으로 참여함과 함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직업을 탐색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신을 탐색하고 그 정보들을 미술교육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도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 교과의 특성을 살려 진로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는 다양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진로 탐색과 함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에 대해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로교육, 진로 탐색, 초등 미술교육 ABSTRACT and Keywords A Case Study on Art Classes Connected with Career Education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ark, Hye won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recent years, career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whole school curriculum. Elementary career education emphasizes an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work. It i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yourself an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work and jobs and to ensure that you have a desirable value. Modern education is also becoming an education that values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ccordingly, the social need for self-directed learning is growing in preparation for the information age.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is study is designed for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corporated to art subjects, focusing on an art which is a subject suitable for exploring and expressing their career path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classes, the differentiated career education was carried out withen the process of further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search for career path. In the process,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enhanc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 which learners become a center of the classes, actively participate and learn on their own initiative. While exploring and understanding about myself under the theme of "I", I believed that care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can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fter analyzing and interviewing activities and works after clas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an interest in leading the class. They also showed an active and open attitude with curiosity about learning in new materials or methods. After completing their work by the hour, students were able to feel satisfied with their results and have specific goals for their future dreams. In the course of learning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trait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own careers, students were able to identify active participation and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explore themselves further from exploring their careers and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rough art education. From now on, it can be said that schools need to develop diverse teaching models to learn about the career path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classes in art education and seek classe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long with career exploration. Keyword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areer education, job exploration,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2종 교과서 비교분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윤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제7차 교육과정에서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음악과목은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인 1학년(초등학교 1학년)부터 10학년(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년간 『음악』교과를 필수적으로 학습하게 되며, 11∼12학년(고등학교 2∼3학년)에서는 일반선택 과목으로 『음악과 생활』을 학습하게 된다.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과 생활』교과의 성격은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인 『음악』교과와 그 방향이 다르나, 선택 과목으로서 『음악과 생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음악』교과와 뚜렷한 차이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초로 『음악과 생활』2종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선택교과로서 효과적인 교과서 구성 및 방향을 탐색하고, 향후 교과서 개편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 구성체제의 분석결과로 전통음악 구성 비율은 전체적으로 <법문사>교과서가 더 높지만 각 영역별로 그 분포가 고르지 않고, 두 교과서 모두가 가창 영역을 제외한 그 외 영역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체계의 일부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두 교과서의 공통 수록곡 4곡과 <교학사>교과서에서 27곡이, <법문사>교과서에서 17곡이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수록곡과 중복되어 있어 연계성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각 영역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창 영역에서 가곡·민요·대중음악의 장르가 <교학사>교과서의 경우 외국 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법문사>교과서는 외국 곡과 우리 곡의 비율이 비슷하게 균형을 이루며 가창곡의 연주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학사>교과서의 전통음악은 장르의 분포가 고르고 그 시대가 다양했으나, 장르 중 민요는 <법문사>교과서가 더 다양한 지역의 곡으로 구성되었다. <교학사>교과서가 외국 민요와 대중음악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악곡을 다룬 반면, 대중음악의 장르는 <법문사>교과서가 더 다양했다. 둘째, 기악 영역에서 살펴본 결과로 <법문사>교과서는 전통음악에서, <교학사>교과서는 외국 기악곡에서 다양한 연주 형태를 보였다. 또한 <법문사>교과서는 전통음악 기악 합주곡에 창의적으로 연주하는 방법이 더 자세하게 제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국 기악 합주곡에서도 이전 10년의 음악 수업을 바탕으로 하여 악곡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서양음악 작품의 시대의 다양성은 두 교과서 모두 미약했다. 셋째, 창작 영역은 두 교과서 모두 전통음악의 활용 비중이 높고, 개인별 활동뿐만 아니라 모둠별 수업 형태가 제시되어 있으나 공학이 활용된 학습은 <교학사>교과서가 20(%), <법문사>교과서가 16.67(%)로 그 비율이 낮다. 넷째, 감상 영역에서 감상곡의 장르는 <교학사>교과서가 더 다양하고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인다. 그러나 전통음악의 감상곡은 두 교과서 모두 시대가 다양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시대에 집중되어 있다. 감상 영역에 제시된 서양음악 감상곡은 <교학사>교과서가 더 다양한 시대의 곡을 다루었으나, <법문사>교과서의 감상 자료에 제시된 곡을 감상 영역에 포함시켜 살펴보면 <교학사>교과서보다 더 다양한 시대로의 구성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감상 자료의 전통음악 연주 형태는 가·악·무 형태(75%)에 집중되어 있어 그 분포가 고르지 않다. 서양음악 감상곡의 연주 형태의 다양성은 <교학사>교과서가 미약하고 특히 독주곡에서는 피아노 작품에 편중되어 있으며, <법문사>교과서에서만 새로운 연주 매체에 의한 창작 국악이 2곡 수록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 구성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과 선택교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우선<교학사>교과서는 전체 영역에서 전통음악의 구성 비율을 높여야 하고, 가창곡에서는 연주 형태·지역별 민요음악·대중음악의 장르를 다양하게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기악곡에서는 특히 다양한 연주 형태의 전통음악과 직접 참여에 의한 기악 합주곡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양음악 기악곡과 전통음악 감상곡은 폭넓은 시대의 곡으로 구성하고, 고른 분포의 연주 형태 및 새로운 연주매체에 의한 감상곡이 수록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법문사>교과서는 각 영역에 걸쳐 전통음악의 장르·시대·연주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가창곡에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곡을 수록하여야 할 것이다. 민속음악·대중 및 예술음악 등을 포함한 외국 기악곡은 다양한 연주 형태로 보완하고, 그 중 예술음악으로서의 서양음악 기악곡은 폭넓은 시대로 구성되어야 하며, 감상곡은 장르를 고르게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두 교과서 모두 공학을 활용한 학습 내용의 비중을 높이고, 학생의 흥미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음악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음악』교과와 수록곡이 중복되지 않게 하여 선택 교과로서 차별성이 부각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음악과 생활』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목표와 21세기의 시대 흐름에 맞는 학습 내용이 될 것이고, 우리 음악문화의 긍정적 가치관 및 주체성 확립과 제7차 교육과정의 강조점인 '음악의 가치'를 인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troduced a elective-centered curricular, music became a compulsory subject for 1st graders(elementary 1st grade) through 10th graders(highschool 1st grade), where students should learn 『Music』 for 10 years, then it became an elective subject for 11th and 12th graders(highschool 2nd and 3rd grade), where students learn 『Music and Life』 op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usic and Life』 presented by the curriculum are different from the subject 『Music』 in its direction, but the former certainly lacks of basic understanding toward 『Music and Life』 as an elective subject and also does not reflect the difference from the subject 『Musi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ffective organization and direction of the textbook as an elective course by analyzing two kinds of 『Music and Life』 textbooks under the 7th highschool Music curriculum, an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textbook revision. The result of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the textbook shows that textbook of <Bubmonsa> has more traditional music than that of <Kyohaksa>, but its distribution among domains is uneven. Also, those two textbooks present only part of contents system from the curriculum except the singing domain. In addition, four songs in two textbooks, twenty seven in <Kyohaksa> textbook and seventeen in <Bubmonsa> textbook are overlapped with highschool 『Music』 textbook, which means an insufficient supply of liais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each domain are as follows: First, while <Kyohaksa> textbook puts special stress on the foreign songs among folk songs and a popular music regarding the singing domain, <Bubmonsa> textbook maintains the proper balance between foreign songs and Korean songs, and the latter presents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for a song. Traditional music genre is well distributed on <Kyohaksa> textbook and its period is also diverse, but for the folk song genre, <Bubmonsa> textbook consists of more regional songs. <Kyohaksa> textbook presents with mor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bout foreign and popular music, whereas <Bubmonsa> textbook has more genres of popular music. Second, regarding the instrumental music domain, <Bubmonsa> textbook shows diverse forms of performance for the traditional music, while <Kyohaksa> textbook for the foreign instrumental music. Furthermore, <Bubmonsa> textbook not only provides an instrumental ensemble for traditional music with more creative performance method, but also presents an instrumental ensemble for foreign music based on the previous 10 years of musical lesson. The diversity of the times, however, is insignificant in both textbooks. Third, two textbooks give consequence to the traditional music regarding the creative domain, and suggest both individual and group activity. Practical application of technology, however, is low by 20% in <Kyohaksa> textbook and 16.67% in <Bubmonsa> textbook respectively. Forth, regarding the appreciation domain, <Kyohaksa> textbook has more various genres and is better distributed. Songs of traditional music, however, are not divers in times, but just focused on a certain period. <Kyohaksa> textbook shows songs with more various times for the appreciative music in western music. If we include songs presented at the appreciative materials in <Bubmonsa> textbook, then <Bubmonsa> textbook might be organized with more various times. The forms of performance for traditional music are mostly focused on the forms of vocal music, instrumental music and dance (75%), which menas an uneven distribution. <Kyohaksa> textbook is weak in presenting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for western music. Especially in a solo, it just presents pieces to play on the piano. <Bubmonsa> textbook has two creative, national classical musics with new medium of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our research, present study suggests supplements in terms of textbook organization and directions as an elective course as follows: First of all, <Kyohaksa> textbook should raise the ratio of traditional music in all domains, and should present with more diverse genres of songs including performance form, regional folk music and popular music. For the instrumental music, it is necessary to provide with more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for traditional music and with more participatory ensemble. In addition, the instrumental music for western music and the appreciative music for traditional music should consist of a wide variety of times, have diverse forms of performance and provide pieces with new medium of performance. Next, <Bubmonsa> textbook should consist of divers forms of performance, genre of traditional music and times in each domain. And it should provide song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For the foreign instrumental music, it should supplement with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including folk music, popular music and artistic music. Especially for the western instrumental music as an artistic music, it is necessary to consist of a wide variety of times. For the appreciative music, it should present with evenly distributed genres. Finally, both textbooks should increase the ratio of lesson using the technology, consist of various mu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students interest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discriminate against 『Music』, avoiding overlapping with songs. As a result, the course of 『Music and Life』 might comply with its academic goals and contents, which are necessary in the 21st century. Also, it might expect more effective learning, including with its organization to provide with positive values, to establish subjectivity and to be recognized as 'the value of music', which is highligh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실기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고려대학교박물관 제7기 어린이 체험학습을 중심으로

        강민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박물관은 예술작품과 유물 등을 수집·보존·연구하고 전시연출 하는 문화적 체험과 여가생활의 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어린이를 비롯한 대중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서도 그 의미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복합 체험공간인 박물관은 전시물과 관람자의 직접적인 만남이 가능하며 다양한 미술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이므로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실기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교육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술 실기연계 활동은 특히 어린이의 흥미를 유도하고 수업의 분위기와 질을 결정하므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수업요소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기연계 활동의 효과성을 전제로, 박물관교육 영역에서 미술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환기시키며, 박물관교육과 미술교육의 연관성을 찾아 두 영역의 통합을 이끌어냄으로써 어린이 미술교육이 지향할 새로운 학습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구성은 먼저 박물관교육의 개념과 미술교육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에서 진행되었던 어린이 대상 실기연계 지도방안을 활용한 박물관 현장적용 교육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활이야기'를 주제로 박물관교육프로그램 개발단계에 따라 실기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설계 및 준비, 진행, 평가 단계로 나누어 현장교육에 적용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과 설문분석, 실기결과물 자료 등을 기초로 하여 실기연계수업의 성과와 전계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평가결과, 체험학습과정의 실기활동이 어린이의 이해력, 집중력, 창의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며, 전통미술부문과 역사부문을 아우르는 학습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박물관교육영역에서 미술 실기연계 교육의 의의를 명확하게 조명하고, 본 논문에서 제시된 실기연계 교육프로그램이 장래의 바람직한 어린이 미술교육의 하나의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 Museum exists not only to collect, preserve, help people study, exhibit relics or art works as a cultural place but appears as an educational place for the public, including children. Since a museum enables visitors to meet the exhibitions and so there are a lot of art-related activities, this museum offers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hard to be practiced in ordinary schools. Art related-programs motivates children's interest and decides the atmosphere and quality of a class. Therefore the progra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element among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function and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effect of art practical experience.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present a new study model that educators need to head toward, which comes from the relevance of combination of the two fields of museum and art education. The organiz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 am going to suggest the actual concept of museum education and the relevance between museum education and art education. Second, I researched and analyzed the education cases of museum practice, using art practice-related instruction which took place at Korea university museum. More specifically, I made steps to apply the art practice-related education program into the actual education. The steps are planning, organizing, preparing, proceeding and checking. What I have brought forward is to evaluate the whole program and its results, stemming from other sources, such as analysis of questionnaires, or practical works. As a result, the art practical experience education actually helps encourage children's comprehension skills,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Moreover, it will lead the traditional art and history, which is going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tudy clearly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art practice-related education in the field of museum education, and becomes a meaningful standard for children's art education in the future.

      •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연구

        정희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하이 테크놀로지와 폭주하는 지식과 정보의 홍수로 급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우리의 교육은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발 빠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불가피한 교육이 바로 창의성 교육이며 이러한 창의성 교육은 디자인교육에서 그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 디자인은 흔히 목적 조형, 즉 기능을 충족시키며 아름다움을 추구한다고 한다. 디자인은 좀 더 풍요로운 삶을 추구한다는 의미이다. 과학, 예술, 경제, 의학, 철학 등도 모두 풍요로운 인간의 삶을 추구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은 같다. 그러나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이고 포괄적이며 실천적인 것은 디자인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점들이 우리를 매혹시키며 탐구할 가치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디자인교육은 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디자인학과를 개설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교육적 성과에 대한 기대치는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그러나 국·영·수 중심의 교과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도 디자인교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지능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다양한 잠재력을 찾아서 길러주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당수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교사중심의 수동적인 수업방식에서 벗어난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수업 방식이 필요하고, 창작 결과물 위주의 평가 방식보다 창작 과정을 중시하고 학생들 사이에서나 교사와 학생들 간에 피드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보다 능동적인 수업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대해 최근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자기주도 학습의 연결선에서 보다 확장된 개념의 이론인 아트 프로펠 학습이론은 1967년 하버드 교육 대학원에서 굿맨에 의해 개설된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 연구팀이 예술 교육에서는 예술적 지식이라 할 수 있는 예술적 창작능력, 예술적 지각능력, 반성능력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고 예술 분야를 주 연구 영역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아트 프로펠 학습이론은 학생 스스로 학습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창의력을 도모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조형적 구성 요소와 시각화 과정에 대한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있어서 아트 프로펠을 활용하여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과 표현 및 디자인 문제해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새로운 학습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을 위한 아트 프로펠의 활용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방향으로 삼았다. 둘째, 국내외 도서와 학술지 및 선행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유형 및 특성, 기능, 그리고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목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아트 프로펠의 이론적 개념과 교육 내용을 고찰하고, 아트 프로펠을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에 활용하고자 아트 프로펠에서 제시한 지각, 창작, 반성의 요소를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에 적합하게 재조직하여 그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아트 프로펠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고, 교육과정의 검증을 위해 학생들의 작품과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적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 방안은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각디자인 실습 시간에 편성하여 주 1회 3시간 5주차 과정의 수업 안으로 계획되었다.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은 지각적 주제 탐색,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창의적 표현, 반성적 평가의 4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의 지각적 주제 탐색 단계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 및 동기 유발을 목적으로 하며 검증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사례를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과 제작 방향을 제시한다. 2단계의 창작을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아이디어 발상 기법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선택하여 아이디어 발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접근 방법을 안내하고,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며, 표현의도에 대한 반성을 유도한다. 이 때 관찰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이상적인 해결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3단계의 창작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 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생성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단계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작품에 적합한 표현 기법을 선택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현기법을 제시한다. 이 때 학생들이 기본적인 디자인의 원리에 입각하여 효과적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학생들이 독창성을 살려 계획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완성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4단계의 반성을 활용한 반성적 평가 단계는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의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대한 평가로 아이디어 창안 능력, 표현 능력, 문제 해결 능력, 표현의 숙련 정도를 평가한다. 또한 작품의 창작 과정과 결과물 발표에 대한 질문과 비평을 통하여 구성원들과의 의견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동화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이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에 도움이 되었고, 표현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선택하고 계획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여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증진시켰음을 확인하였다.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개정 전, 후에 나타난 듣기 기술 비교 분석

        박미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교육의 질을 관리하기위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교육 계획안으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방법, 평가 및 운영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교육과학기술부는 교과서 검증 절차를 마련하여 각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교육 목표가 각 교과서에 반영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통영어 교과서 역시 교육부의 검인증을 거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매체를 영어 학습에 활용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있어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빈번한 교육과정의 개정은 입시의 변화를 초래하고 곧 전면전인 영어 교과서의 개편으로 이어지게 된다. 2002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 적용되어온 제7차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에서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고등학교에 적용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의 지식,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관심과 흥미를 유지시키며,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무엇보다도 외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따르면 ‘학생들이 현대 일상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름으로써 국제 사회와 외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 문화를 발전시켜 국력신장에 기여 할 수 있는 언어적 바탕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둔다.’고 명시하고 있다 (교육부, 2001). 이는 제6차 교육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습득을 강조 하고 있는 것이다. 허나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에 핵심적인 요소는 말을 하기 이전에 상대방의 말을 듣고 그 의도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듣기 능력이 선행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앞선 1960~1970년대에도 외국어 학습에서 듣기 기능을 강조한 청각 구두 교수법(Audio Lingual Method)이 유행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의 연구가 있어 왔는데, Lundsteen (1971)은 언어의 다른 영역에 비해 듣기 영역의 기능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력이 가장 우수하다고 했으며, Asher(1969)는 실험을 통해서 듣기 이해가 말하기보다 먼저 숙달될 경우 언어 학습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마찬가지로 Gary&Gary(1981) 역시 듣기 우선 학습법의 장점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많은 학자들의 주장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듣기 능력의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 수학 능력시험에서도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4년의 16%에서 현재 50문항 중 듣기가 17문항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2010년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2011년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2014학년도부터는 듣기의 비중을 25문항으로 확대 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효과적인 듣기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과서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실제로도 많은 선행 연구가 있어왔다. 효과적 듣기 습득을 위해 Richards & Rogers(1986)는 과업중심의 교제를 제시하였는데, 이후 교육과정에서 과업중심으로 교재를 제작하도록 명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실제로 현재 고등학교 1학년 공통영어의 교과서 듣기 부분 역시 과업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듣기의 과업분석에 초점을 두었으며, 교육과정과 연계를 한 연구들 역시 6차, 7차 교육 과정과 관련된 것이었고, 아직까지 제7차 개정교육과정에 맞추어 개정된 교과서의 듣기와 수능 외국어 영역 듣기와의 연관 관계를 연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과 이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듣기 이해기능 목표를 비교해보고, 이를 적절히 습득하기 위해서 개정 교과서들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있는가를 개정이전의 교과서와 비교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 수능 외국어 영역의 5개년 듣기 평가 유형을 비교 분석을 한 후,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통영어 교과서가 이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듣기 과업이 목표로 한 세부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과학’의 화학영역 내용 비교ㆍ분석

        신혜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cheduled to be applied after 2009 and analyzed, especially, added and eliminated contents in the chemical field of 'science', a common basic curriculum accounting for 3rd grade students and 10th grade students and moved content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rationalization of revised contents and suggested appropriate follow-up measures followed by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ndard direction, the content system, and the details of the chemical field of 'science. First, examining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he basic characters of the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hey had a same direction, unlike the 7th curriculum that described comprehensively, the revised curriculum concretely described the links among the contents, the functions of study objects,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conditions. Second, while the 7th curriculum divided the content system into energy, substance, life, and the earth, the 7th revised curriculum divided the content system into motion and energy, substance, life, and the earth and the universe. Chemical fields were included into substance. The depth and complement courses from 6th grades to 10th grades in the 7th curriculum were eliminated, free research courses were newly added in the revised curriculum. Third, examining the details, lots of contents such as 'melting powder substance' were eliminated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fundamental research activities in the chapter of 'objects and substances' for the 3rd grad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iquids' and 'separating mixtures' were integrated in the 4th grade, and 'volume changes by heat' was eliminated. 'Creating crystal' in the 5th grade was eliminated and 'creating solution'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 were integrated into 'dissolution and solution.' 'Changes of solution' in the 6th grade was expanded and moved to the unit of 'acid and base' and the rest of contents in the 6th grade remained. The contents in the 7th grade remained, the contents in the 8th grade was moved to the 9th grade with a part of ' electrolyte and ion' in the 10th grade, 'construction of substance' in the 9th grade was moved to the 8th grade, and 'the regularity in the changes in substance' was moved to the 10th grade. 'reaction of acid and base' in the 10th grade was expanded and modified to 'various chemical reactions', and 'the speed of reaction' was eliminated. Fourth, as a result of revising the 7th curriculum,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was analyzed. As the low levels of contents in the 3rd grade were eliminated and the contents in the 4th grade were added by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the connectability increased. As the low levels of contents in the 4th and 5th grades were eliminated, the contents that had the connectability were integrated, and duplicated contents were excluded, the connectability of detailed and repeated contents. Considering the knowledge of the 6th grade, contents were expanded and the proportion of practical contents related to daily lives increased. Al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tents for the 7th grade, the connectability increased by arranging the order of units sequently. The contents moved forward in the 8th, 9th, and 10th grades were easily constructed to understand based on the level of comprehension and they were integrated and moved by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the concepts to be suited for academic ranks. The 7th revised curriculum constructed educational courses by trying to sublate the duplication of the contents and aim to integrate the contents and from the aspects, it rationalized the volume and levels of the contents by reducing units for eac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and integrating or eliminating duplicate contents from the 7th to 10th grades.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was only a starting point of the serial processes for science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effectiveness increases and the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goals can be achieved when follow-up measures are prepared. First,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the curriculum. Second, training for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to assimilate the changes in revised curriculum and practice in real situations. Third, evaluation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correspond to the curriculum. Fourth, th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부터 적용될 2007 개정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3학년부터 10학년에 해당하는 공통기본교육과정인 ‘과학’의 화학영역에서 추가된 내용과 삭제된 내용, 이동된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개정된 내용의 적정화에 대해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정에 이어서 적절한 후속조치를 제시하였다. ‘과학’의 화학영역의 기본방향과 내용체계, 세부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과학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의 기본 성격을 비교하면 기본방향은 같았지만, 포괄적으로 기술하던 7차 교육과정과는 달리 개정교육과정은 내용간의 연계, 탐구 대상과 기능, 학습 방법, 학습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둘째, 7차 교육과정은 내용체계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7차 개정교육과정은 내용체계를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중 화학영역은 물질부분에 해당한다. 7차 교육과정의 6-10학년의 심화‧보충과정은 삭제되었고, 자유탐구과정이 개정교육과정에 신설되었다. 셋째, 세부내용을 비교해 보면, 3학년의 ‘물체와 물질’ 단원에서는 기초 탐구 활동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하여 ‘가루 물질 녹이기’ 등 많은 내용을 삭제하였고 4학년의 ‘여러 가지 액체의 성질 알아보기’와 ‘혼합물의 분리하기’를 이동해서 통합하였으며 ‘열에 의한 부피변화’는 삭제되었다. 5학년의 ‘결정 만들기’를 삭제하고, ‘용액 만들기’, ‘용액의 성질 알아보기’는 ‘용해와 용액’ 한 단원으로 통합하였다. ‘용액의 변화’는 6학년의 ‘산과 염기’단원으로 확대되어 이동하였고, 나머지 6학년의 내용은 유지 되었다. 7학년 내용은 현행 유지 되었으며, 8학년의 내용은 10학년의 ‘전해질과 이온’을 일부 포함해서 9학년으로 이동하였으며 기존의 9학년에 있던 내용은 ‘물질의 구성’은 8학년으로,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은 10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0학년의 ‘산과 염기의 반응’은 ‘여러 지 화학 반응’으로 확대 수정 되었고, ‘반응 속도’는 삭제되었다. 넷째, 7차 교육과정을 개정한 결과 과학교육과정의 내용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3학년에서는 수준이 낮은 내용을 삭제하고 내용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4학년 내용을 이동해옴으로써 연관성을 높였고, 4,5학년에서는 수준 낮은 내용은 삭제하고 연계성 있는 내용을 통합하여 이동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포괄하여 구성함으로써 세분화되고 반복되던 내용의 통합성을 높였다. 6학년은 지식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확대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을 늘렸고, 7학년은 내용은 변화 없었으나 흩어져 있던 단원의 순서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연계성을 높였다. 8,9,10학년은 개념 도입시기가 필요에 의해 앞 당겨진 내용은 인지 수준 고려해 쉽게 구성하였고, 개념 연계를 고려하여 통합, 이동함으로써 학문적 위계에 맞게 구성되었다.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내용의 중복을 지양하고 통합을 지향하여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였고, 이러한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정의 학년별 단원 수를 줄이고 7-10학년 과정에서 중복되는 내용을 통합하거나 삭제하여 내용량과 수준을 적정화 하였다. 한편 교육과정의 개정은 과학 교육을 위한 일련의 과정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교육과정 개정에 이어서 적절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때 효과가 증대되며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교육과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개정된 교육과정의 변화를 충분히 소화하고, 실제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의도에 부응하는 평가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개정을 개발하는 과정에도 체제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한 감상 워크북 활용에 관한 연구

        이윤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 modern people live daily life exposed to many visual media with various social phenomena. Everything we face in our everyday lives has a unique meaning, but even if we look at the same visual medium, we interpret the mean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er. Because of the numerous visual mediums and works of art that we can not internalize, we often make mistakes when receiving visual media. Various visual mediums are growing exponentially, but it is difficult for modern people to accept visual media as a subjective view. Because today, modern people live a life unfamiliar with expressing their opinion because of social structure and knowledge - based education. Art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education centered on learners who see how individuals make and feel objects. Especial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an education in which the learner 's point of view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is possible to learn how to view visual media correctly through appreciation education. However,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been trained to explain the concept of biased knowledge works. But today there is something more important than modern knowledge that modern people need.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reinterpre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ir knowledge in their own meanings through visual media and works of art. In other words, the learner must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through the visual medium. Modern people need the right thinking to not be confused with the rapidly changing modern civilization and culture. When viewers have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read their works in a subjective way, they can understand the cultural meanings and core of the visual medium. Furthermore, such abi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enables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 are receptive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s a way to receive artworks as subjective thought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The starting poin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different. However, when accepting transmission mediums such as artworks, visual media, and text, the structure of the audience,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learner is the center, is common to both theorie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emphasizes communication among individuals. Attempts to communicate between objects through an interactive way of communicating the meaning of works by attempting to communicate among artworks, viewers, and teachers. Thus, it becomes possible to motivate the appreciation activities by finding various meanings in the works of ar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roduced an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presented a questio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Three people who majored in aesthetics and art at th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as participants in the art appreciation workboo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 Chapter Ⅱ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Chapter Ⅲ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ised and produced an art appreciation workbook composed of experimental questio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we analyze participants' workbook execution results. A study on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 through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can lead to the active impression effect by becoming the subject of the impression activity itself, not by the observer approaching the work vaguely. Second, it is important for the audience to be able to motivate the audience to complete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the teacher should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both the work of art and the learner in order to construct a questioning that allows viewers to have an empirical approach with open thinking. Third, through the use of art appreciation workbook based on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viewers were able to deepen their capacity for visual media by deeply interpreting their works from their own viewpoints. Through these activities, there was a chance for the audience to self - reflection on their own lives. Therefore, aesthetic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s appreciation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audience can accept the appreciation of art was able to accept the results. And aesthetics of reception and communic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that viewers can complete their own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the work. Finally, it is important that these activities allow observers to find their way of life in artworks through personal subjective thinking. 오늘날 현대인들은 다양한 사회현상과 더불어 많은 시각매체에 노출된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모든 것들은 고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동일한 시각매체를 보더라도 감상자로 하여금 다르게 해석되어 진다. 체내화 시킬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이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지만 우리는 시각 매체를 받아드리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를 초래한다. 그 이유는 다양한 시각매체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현대인들이 주관적인 시선으로 시각매체를 받아드리기에는 획일화된 사회구조와 지식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미술교육은 인간 개인이 대상을 제작하고 느끼고 보는 학습자 중심의 대표적인 교육이다. 특히 미술 감상교육은 학습자의 관점이 가장 중요시 되는 교육이며, 감상교육을 통해 시각매체를 올바르게 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 감상교육은 지식위주의 편향된 작품의 개념을 설명하는 수업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지식에서 습득한 결과물들을 자신의 주관으로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을 재해석하고 시각매체를 통해 작품 안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주인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급변하는 현대문명과 문화 속에서 혼동되지 않는 올바른 사고가 현대인들에게 필요하며, 예술작품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받아 드릴 수 있을 때 시각매체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타자와의 소통까지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각매체와 예술작품을 주체적으로 받아드릴 수 있는 방법으로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이 있다.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의 시작점은 다르지만 예술작품, 시각매체, 텍스트와 같은 전달매체를 받아드릴 때 수용자 즉,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구조는 두 개의 이론의 공통점이다. 또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교육은 개체들 간의 소통을 중시하며 예술작품, 감상자, 교사간의 대화를 시도하여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상호소통방식으로 대상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며 예술작품 안에서 주체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찾으며 감상활동에 대해 동기유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한 미술 감상 워크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실험적 발문을 제시하였다. 미술 감상 워크북의 감상자로 서울특별시 소재 대학교와 대학원에서 미학과 미술 전공자 3명이 참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문헌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사전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험적 발문을 구성하여 미술 감상 워크북을 고안하고 제작하였다. 그 다음으로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감상자의 워크북 실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에 근거하여 제작한 미술 감상 워크북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을 통한 미술 감상 교육 방법은 감상자들이 작품에 막연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닌, 감상자 자신이 감상활동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인 감상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 감상자들이 작품의 의미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감상자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며, 교사는 열린 사고를 가지고 감상자들이 경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발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예술작품과 학습자 모두에 관한 깊은 이해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을 근거한 미술 감상 워크북 활용을 통해 감상자들이 작품을 자신의 관점에서 심화하여 해석하여 시각매체에 대한 수용력을 신장 시킬 수 있었으며, 감상자 스스로 자신의 삶에 대해 발견하는 자기성찰을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수용미학과 커뮤니케이션 미술 감상 교육 이론에 근거하여 미술 감상 교육을 시도하였을 때, 감상자가 예술작품에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감상자 자신의 관점으로 작품의 의미를 완성 시킬 수 있고, 감상자 개인의 주체적인 사고를 통해 미술 작품 속에서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