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식생활 단원 내 식문화 영역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이윤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식생활 단원 내 식문화 영역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식문화 영역에 대한 예와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인간의 식생활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중학교 가정과 식생활 교육 과정 및 교과 내용 변천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식문화 영역의 필요성과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음식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의미만을 갖는 것이 아니다. 음식은 한 문화와 집단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식문화는 문화의 틀 속에서 음식을 바라보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음식의 생산과 소비에 관통하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의미를 읽음에 그 중요성을 두고 있다는 사고가 본 연구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인간의 식생활과 문화에서 식문화의 전반적인 특성 및 변화 요인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식문화의 특성 및 변화와 청소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연구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 식생활 영역의 교육과정기를 1차에서 7차까지 시대별로 내용을 비교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 6차와 7차를 집중적으로 비교ㆍ연구하며 식생활 영역에서의 식문화 내용의 부재를 보여주었다. 셋째, 기술적 행동을 넘어선 식문화 영역의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넷째, 식문화의 활용 가능성의 일반적인 예와 학습지도안의 구성으로 앞의 주장을 보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가정과의 식생활 영역 안에 '식문화' 가 고유 단원으로 추가되길 제안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xisting the "food culture" curriculum in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food is not only a requirement for life, but also is a vehicle to express the unique culture and character of a country. However, after reviewing previous curriculums and the modifications of the courses over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food culture is not covered in enough detail. Moreover, the current syllabus covers mainly the technical side of eating habits. These findings motivate the study of food culture.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the gradual changes that have occured from the 1st educational curriculum in 1954, throug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f today, especially about 'food', are examined and analyzed in terms of character, goal, and contents. In the second part, teaching models for a "cooking and media" course are suggested. This course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the media such as TV, newspaper, magazine, novel, cartoon, and internet. Furthermore, various activities relating to job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are suggested. Also, a teaching model for "looking at traditional food and food culture" course is suggested. This course is intended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food and food culture. WWW(world-wide- web) based learning theory is used to share ideas with professionals in traditional food study. Both parts will provide a balance between technique and food culture in nutrition, meals, and cooking practice. Also the new curriculum stresses creativity and promotes the current trend of using state of the art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역량강화적 접근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의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윤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역량강화적 접근은 전문적 원조 관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가 되고 역량강화를 통해 나타난 변화가 개인내적 변화에서 대인적, 사회정치적 수준으로 연계되는 것에 관심을 가지는 실천방법이다. 따라서 환경의 변화를 강조하고 지역중심의 실천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복지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역량강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지역복지실천 현장에서 역량강화적 접근의 적용 현황과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량강화적 접근과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역량강화적 실천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근거로 연구모형과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역량강화적 실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와,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소재 30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와 프로그램 이용자이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사회복지사가 응답한 30개 자료와 이용자 392명의 응답자료였다.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역량강화적 접근의 수준은 100점을 기준으로 할 때 평균 59.1로 나타나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량강화 실천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 중 조직문화와 리더쉽과 관련된 복지관 운영체계의 점수가 다른 하위차원에 비해 낮은 평균점을 보였고,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것은 사회복지사의 실천전략 차원이었다. 둘째,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한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요인분석의 결과 역량강화적 변화의 차원은 6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① 자립의식, ② 권리의식, ③ 정보력, ④ 대처기술, ⑤ 도움요청능력, ⑥ 사회의식. 이는 선행연구에서 역량강화적 변화의 차원을 ① 개인 내적 변화, ② 개인적 변화, ③ 사회정치적 변화 등의 세 가지로 구분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변화의 차원 중 자립의식과 권리의식의 경우에는 개인 내적 변화로, 정보력, 대처기술, 도움요청능력은 대인적 변화로, 사회의식은 사회정치적 변화로 묶어볼 수 있기 때문에 선행연구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셋째, 이용자의 전체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복지관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의 정도도 높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복지관의 역량강화 실천의 수준과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세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어 검증했을 때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복지관의 역량강화실천 수준에 따라 가장 큰 변화의 차이를 보이는 차원은 사회정치적 변화였다. 넷째, 이용자의 전체 역량강화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역량강화적 접근의 실천요소 중 복지관 운영체계가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역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담당 사회복지사, 프로그램 이용자의 특성을 통제했을 때도 같게 나타났다.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가 종속변인이 된 경우에는 복지관 운영체계뿐 아니라 프로그램 원칙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역량강화적 실천요소의 영향력이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의 차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이다. 다섯째,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의 하위차원을 요인분석의 결과에 따라 6가지 하위요소로 다시 세분화하여 영향요인을 검토한 결과, 각 하위요소별로 차이를 보였다. 개인 내적 변화의 하위요소인 권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전문인력비율, 사회복지사 실천전략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복지관 이용자가 서비스를 수혜라기보다는 권리로 인식하도록 하는데는 사회복지전문인력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사회정치적 변화의 하위요소인 사회의식의 경우 복지관 운영방침, 프로그램원칙과 복지관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복지관이 영구임대지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이용자의 사회의식의 변화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상대적으로 취약계층이 밀집되어 있는 영구임대지역에 역량강화적 접근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우리 나라 지역사회복지관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서 지역복지실천에서 역량강화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제안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역량강화적 접근의 확대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변화를 시도해야할 부분은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체계, 즉, 조직문화와 관리자의 리더십 부분이다. 현재 강화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평가의 내용에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복지관 관리자에 대한 보수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이용자의 사회정치적 변화, 즉 사회의식의 개선이 이용자의 역량강화적 변화에서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지역사회복지관 사례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다양한 집단활동이 사회정치적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에 이용자의 사회의식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집단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의 역량강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종단적 연구나 질적연구를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분야와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적 접근의 효과성 검증과 역량강화적 실천과 대상자의 역량강화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empowerment approach is to maximize an ability of a client in the professional helping relation. The empowerment approach is the practice method which gives thought to the idea that the changes appeared through empowerment are connected with from the level of personal changes to that of interpersonal and sociopolitical changes. Therefore em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y centered practice are emphasized.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empowerment was defin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user's empowerment change was tried to verify experimently.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an effect on the user's empowerment change, 2)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person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3)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interperson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4) the empowerment approach has an effect on the user's sociopolitical change which is a dimension of empowerment changes.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ing with social workers and self support program users of 30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final sample was consisted of social worker's 30 answers and program users' 392 answ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We have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pproach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The factor affecting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was the management system of community welfare center. Especially sociopolitical change was affected by program principl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s well as management system. This result showed that sociopolitical change has relatively stronger relation with the empowerment approach of community welfare cente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empowerment approach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creases the program users' empowerment changes. And it can be suggested that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empowerment approach should be reinforced to enlarge user's empowerment changes and user's participation which are the important purpos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윤화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 emotional labor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o explore the impact pathway of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rough their emotional labor. To achieve the goals, 24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in child care centers in Chungbuk Provinc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 and their emotional labor, and the play belief had a direct impa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mpact pathway of the type of emotional labor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child care teachers' play belief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mediated by their emotional labor. To examine this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labor, their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had significant impacts, so the more their natural acting and deep acting,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became while the surface acting did not have any impa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play belief and deep acting are important variables for the teacher to improve the level of interaction with the infant,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service.

      • 조리관련 문헌에 수록된 소고기 및 소부산물 변화에 관한 고찰 : 1800년대 말 ~ 1999년 까지

        이윤화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on the beef and by-products recipes, focusing on 20 recipe books published from the late 1800s to 1990s. A total of 831 beef and by-products recipes were recorded. The recipe books covered a total of 395 beef recipes and for the types and frequency of recipes, moist heat cooking was used the most for 179 times, followed by dry heat cooking for 122 times and other cooking methods for 94 times. For the frequency of detailed recipes, the pho was recorded 74 times(18.7%), gui 56 times(14.2%), tang(guk) 54 times(13.7%), jorim 43 times(10.9%), jjim 42 times(10.6%), jeok 35 times(8.9%), pyeonyuk 24 times(6.1%), bokkeum 19 times(4.8%), hoe 17 times(4.3%), jeon 11 times(2.8%), jjigae·jeongo 10 times(2.5%), juk·jeup 6 times(1.5%), muchim 3 times(0.8%) and twigim 1 time(0.3%) and thus, the pho recipe was the most used recipe as it’s used 74 times(18.7%). Since the refrigerator had not yet become popular in 1980s, it’s required to use pho recipe which dehydrates and dries the beef to increase its preservability. As for the beef cuts used for each recipe, the rib, shank, beef brisket, short plate, eye of round, rump, ssoeyagji and outside plat were used for moist heat cooking and especially, the rib, beef brisket and shank were cooked for a long time so that connective tissues became softened to eat. Since it took a short time to cook the hot pot, the tender sirloin and tenderloin were used, while rib, sirloin, rump, tenderloin, beef brisket were used for the dry heat cooking. More soft and tender beef parts were used, compared to moist heat cooking and also, the beef brisket had more firm texture, it was boiled to make beef slices and softened by grilling them. The beef part which was used for pho recipe which was most often used were rump, eye of round and daejeobsal which were comparatively lean. A total of 436 recipes of by-products were recorded. As for the frequency of recipe, the moist heat cooking was recorded 214 times, dry heat cooking 183 times and other cooking method 39 times. For the frequency of detailed recipes, the jeon was recorded 91 times(21%), tang(guk) 71 times(16.4%), gui 44 times(10.1%), bokkeum 37 times(8.5%), jjim 35 times(8.1%), hoe 31 times(7.1%), jokpyeon 30 times(6.9%), pyeonyuk 28 times(6.5%), jjigae·jeongol 26 times(6.0%), juk· jeup 15 times (3.5%), jorim 9 times(2.1%), jeok 9 times(2.1%), muchim 4 times(0.9%) and twigim 2 times (0.5%). For the by-products used for each recipe, a variety of beef parts including ox foot, oxtail, backbone, beef tripe, skull, knee cartilage, big intestine, ox blood, lung, liver, head meet and tongue were used for moist heat cooking. In case of soup, various beef parts were mixed and used together with the beef, rather than using only one part. The by-products used for the moist heat cooking were cooked for a long time to make them softened to eat like the beef. The tripe, omasum, heart, kidney and cow liver wer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dry heat cooking. Moreover, the recipes using ox tongue, ox-hoof, ox blood, backbone and spleen were recorded. In the other cooking methods, especially liver, omasum, kidney and tripe were used for raw dish. The beef has been an important food for Korean people for a long time and various beef parts ranging from head to feet were cooked and furthermore, the recipes on each beef part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From the late 1800’s throughout 1990’s and to the present, the beef recipe has been diversified. This study aimed to be utilized for the trend research on beef and by-products by time period.

      •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 수정 방안 : 산업 안전 단원 읽기 텍스트 상세화

        이윤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ext elaboration measure of reading chapter in "Textbook for EPS-TOPIK", "Industrial Safety I" and "Industrial Safety II", to suggest practical examples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any unneeded industrial accidents of foreign workers due to their lack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ability. Textbook for EPS-TOPIK is a textbook developed by the government to prepare foreign workers for the Korean language test and it is available freely at no cost through the internet web-site for the Industrial Human Resources Corporation. The service benefits enabled learners to learn on their own without any other resources. However, the text appeared in the textbook has written in more complicated way than its actual reading, for foreign workers to understand based on their level of comprehension in Korean. The data has been translated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its learners. Some of these words are jargon, which cannot be understood unless the person has the particular knowledge in the area.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reading text of the Textbook for EPS-TOPIK which includes Industrial Safety Chapter and also conducted research for establishing revised measure by selecting research issues. My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entire level of the grammar and lexicon in the Textbook for EPS-TOPIK, is it elementary,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Second, what is the level of lexicon of the textbook for EPS-TOPIK Industry Safety chapter, is it elementary, intermediate, or advanced? Third, what is the reading text of textbook for EPS-TOPIK Industry Safety chapter, which structured in accordance of the learner's level of Korean language ability? Textbook for EPS-TOPIK was divided into the whole-chapter and the industrial safety chapter. The grammar and lexicon contents were extracted from each chapter, and classified as the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ased on the 'Four Levels of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s a result, all chapters of Textbook for EPS-TOPIK were identified as beginner’s levels in both grammar and lexicons. Meanwhile, the industrial safety chapter does not have a lexicon. Next, the study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 data and confirmed that the actual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foreign workers is elementary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level of the whole chapters of textbook for EPS-TOPIK are not the same as that of industrial safety chapter and also figured out that industrial safety chapter is composed of higher-level lexicon compared to the actual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foreign workers. In addition, lexical elaboration, structural elaboration, and Lexical and structural elaboration that were prepared for revision texts and based on the revised tests. The study presented the actual instances of industrial safety chapter readings for foreign workers' Korean language.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how the effectiveness of revised text due to time and space limitations.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text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In addition, in the study, the revised target of lexical elaboration, structure elaboration, lexical and structural elaboration were selected as different texts respectively, but the same texts were not applied to each different elaboration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ethod among the three elaboration methods used in this study, there is a need for a follow-up study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text.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Korea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economic growth, declining fertility 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currently they are living as important members of our society. Howev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ave not been conducted in comparison with other learning groups. New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should be developed and measured to save time and money by revising in the most efficient way as well as to developed to meet its purpose and stage.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This is the first study clarifies the grammar and lexicon level of the whole chapters of the kind and the industrial safety chapter which suggests the revising measures of the reading text in the Textbook for EPS-TOPIK. By applying some of these various efforts and processes, it is my wish that the textbook improves foreign work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vents any further accidents. 국내 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외국인 고용법」제7조 시행령 제13조에 의해 ‘EPS-TOPIK 한국어능력시험(이하 한국어능력시험)’에 통과해야 하며 취업 전ㆍ후 한국어 교육 및 안전ㆍ보건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이들을 고용한 사업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신규 채용 시’, ‘사업장 변경 시’, 그리고 ‘정기적’으로 안전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위험한 장소에 안전표지를 설치하여 근로자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 의무이다. 그러나 국내 외국인 근로자 산업 재해율은 전체 근로자 재해율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니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안전 수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높은 재해 발생률은 근로자 개인과 가족뿐 아니라 한국의 재정 및 국가 이미지 제고에도 큰 손실을 가져온다. 본 연구는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 재해를 낮추기 위하여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이하 한국어표준교재)」 ‘산업 안전 Ⅰ’, ‘산업 안전 Ⅱ’ 단원의 읽기 텍스트 상세화 수정 방안을 마련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어표준교재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시험 준비를 위하여 정부에 의해 개발된 교재이며,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교재에 제시된 읽기 텍스트는 외국인 근로자의 실제 한국어 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높게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자에 대한 배려 없이 내국인에게 제공되는 자료를 그대로 옮겨 놓은 형태이기 때문에 관련 직종에 종사하지 않으면 내국인조차 모르는 어휘가 많다. 이에 연구자는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 산업 안전 단원 읽기 텍스트 수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수정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 전체 문법 및 어휘 수준은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단계인가? 둘째,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 산업 안전 단원 어휘 수준은 초급, 중급, 고급 중 어느 단계인가? 셋째,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 산업 안전 단원 읽기 텍스트가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수준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가? 설정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한국어표준교재를 전체 단원과 산업 안전 단원으로 나누어 문법 항목과 어휘 항목을 추출한 후 각각의 항목을 ‘국제통용한국어교육표준모형’ 2단계 문법 목록 및 4단계 어휘 목록을 기준으로 초급, 중급, 고급 단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표준교재 전체 단원은 문법과 어휘 모두 초급 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산업 안전 단원은 불포함 어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중급, 고급 단계 순서임이 밝혀졌다. 또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실제 한국어 능력 수준이 초급 단계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어표준교재 전체 단원과 산업 안전 단원의 한국어 단계가 동일하지 않으며, 산업 안전 단원이 외국인 근로자 실제 한국어 능력에 비해 높은 수준의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하면서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상세화 방법을 적용하여 산업 안전 단원의 읽기 텍스트를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수준에 맞게 수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실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지면의 제한으로 수정된 텍스트의 효과성을 밝히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수정 전ㆍ후 텍스트의 효과성 비교 실험을 통해 수정 작업을 거친 텍스트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어휘 상세화, 구조 상세화, 어휘ㆍ구조 상세화의 수정 대상을 각각 다른 텍스트로 선정하였으며 동일한 텍스트를 각기 다른 상세화 방법에 적용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세 가지 상세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밝히기 위하여 수정된 텍스트의 효과성을 비교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국내 외국인 근로자 유입은 경제 성장, 출산율 저하, 그리고 고령화 등으로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현재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학습자 집단과 비교하여 양적ㆍ질적으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새로운 교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미 개발된 교재를 목적과 단계에 맞게 수정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EPS-TOPIK 한국어표준교재를 대상으로 읽기 텍스트 수정 방안을 제시한 첫 번째 연구로서 교재 전체 단원과 산업 안전 단원의 문법 및 어휘 단계를 명확히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 및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 용체화 열처리에 따른 Inconel 718의 국부 부식 거동

        이윤화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에 따른 국부 부식 저항성에 대하여 검토했습니다. 용체화 열처리 후 Inconel 718 합금의 국부적인 내식성은 25 wt% NaCl + 0.5 wt% acetic acid 용액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되었습니다. 1050°C에서 2.5시간 동안 용체화 열처리를 하면 평균 결정립경이 증가했습니다. Ti 탄화물(10 μm 직경)과 Nb-Mo 탄화물(1-9 μm 직경)은 모두 시편 전체에 분포되어 있었습니다. 열처리에도 불구하고 이들 탄화물의 형상과 조성은 일정하게 유지되었습니다. ASTM G48-C 침지 시험에 의해 결정된 임계 공식 온도는 용체화 열처리된 합금과 열처리되지 않은 합금 모두에서 45°C의 동일한 값을 나타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액 열처리 후 최대 피트 깊이와 부식속도가 감소했습니다. 용액 온도의 증가는 피팅 전위 값의 감소로 이어졌지만, 용체화 열처리된 Inconel 718의 공식 전위 값은 모든 시험 온도에서 as-hot-rolled Inconel 718의 피팅 전위 값보다 일관되게 높았습니다. 국부적인 부식 개시는 as-hot-rolled 및 용체화 열처리된 Inconel 718 합금 모두에 대해 80°C의 환경 온도에서 0.4 VSSE에서 발생했습니다. X-ray 광전자 분광 분석 결과, 시편 표면에 형성된 수동 필름의 조성은 용액 열처리 후 O1s, Cr2p3/2, Fe2p3/2 및 Ni2p3/2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s-hot-rolled 합금과 용체하 열처리된 Inconel 718 합금의 국부적인 내식성의 차이는 열처리 공정으로인한 미세 구조적 변화에 기인합니다.

      • 광주지역 유아 대상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에 의한 비만도 개선효과

        이윤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Effects of Obesity Improvement through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Gwangju Yoon Hwa Lee Advisor : Prof. Jae Joon Lee, Ph.D.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Due to recent Westernized dietary patterns and a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s increasing. Changes in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along with an increase in online activities post COVID-19, have become contributing factors to the rise in obesity rates. Childhood obesity, easily transitioning into adult obesity and leading to metabolic complications,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guiding obese children toward adopting proper dietary habits for both treatment and prevention. In the Gwangju Dong-gu region, the obesity rate among 2~5 years old is 13.5%, higher than the 8.4% obesity rate reported for children aged 2-6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2017. This has emphasized the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targeting obese toddlers.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al supply and implemented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factors that stimulate growth hormone secretion in obese children. The aim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improving obesity through pre- and post-education assessmen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Both obese and normal-weight toddlers exhibited satisfactory meal duration and sleep duration, with obese toddlers having more favorable bedtime, while normal-weight toddlers demonstrated a tendency for a healthier lifestyle rhythm. Both obese and normal-weight toddlers showed lower intake frequencies of vegetables and kimchi, while the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and fast food was higher in obese toddlers. Obese toddlers had a higher frequency of three meals a day(p<0.05), and the quality of their meals tended to be lower compared to normal-weight toddlers. The chewing and swallowing abilities tended to develop more slowly in normal-weight toddlers compared to obese toddl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eating temperament and mealtime behavior habits between normal-weight and obese toddle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obese toddle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weight(p<0.001) and height(p<0.001), while BMI decreased(p<0.001). Following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bedtime adequacy ratings decreased(p<0.05), and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increased(p<0.001). Positive results in the assessment of circadian rhythm increased(p<0.05). After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obese toddlers, the frequency of protein intake increased(p<0.05), kimchi consumption increased(p<0.05), vegetable intake frequency increased(p<0.001),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p<0.001), and the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decreased(p<0.001). Balanced food intake increased(p<0.001), and healthy snack consumption also increased(p<0.01), leading to an improvement in the overall dietary quality of obese toddlers(p<0.001). The chewing and swallowing abilities of obese toddlers were generally good, and there were minimal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Changes in behavior related to mealtime difficulties, irregular eating habits, and hyperactivity were almost non-existent after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