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관한 연구 :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을 중심으로

        이건희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1980년 3월 차인현 신부가 주축이 되어 62명의 가톨릭 교회음악인들이 명동 사도회관 1층, 7평의 사무실에 모여 「가톨릭 음악인 협의회」를 창립하였다. 이들은 곧바로 이듬해(1981년 1월 1일) 종교음악연구소를 설립하여 본격적으로 교회음악가 양성에 들어갔다. 이후 10여 년의 활동과정을 거쳐 1993년 11월 14일, 마침내 한국 가톨릭교회 최초로 전문연주홀을 갖춘 가톨릭음악원으로 거듭났다. 이로부터 정확히 10년 뒤 2003년 3월 교육부 인가를 받아 현재의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으로 개원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 논문은 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기 시작한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것이다. 특별히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발전을 위해서 견인차 역할을 해온 교회음악가의 여러 대내외적 학술, 교육, 연주 활동들을 토착화 관점에서 살펴본다. 또한, 이들 교회음악가의 한국전통음악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알아보고 교회음악 토착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정체성 발현의 과정인 토착화는 결국 서로 다른 두 문화의 깊이 있는 연구와 이를 통한 상호 간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서 이행되는 것이다. 때로는 한발 물러서서 양보하고 때로는 한발 앞서서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두 문화의 이상적인 융합과정은 성음악을 한층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교회음악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In march 1980, 62 Catholic musicians gathered at the small office (only 23㎡) in Myeong-dong. The following year, they established the religious music institute (January 1, 1981) to foster Catholic musicians. After more than a decade of activities, the Catholic music institute has finally become the first Catholic Music Center in Korea to have a concert hall. Ten years la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pproved the Center and it opened as the current Catholic University of Korea's School of Music. This paper is about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that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in 1965. In particular, examines the various activities, performances, education, and composing activities of church musicians who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Graduate School of Church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inculturation. We will also discuss church musicians' opinions and claim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Discuss th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church music inculturation. Church musicians have made many musical attempts to make Korean Gregorian chants, and For the inculturation of church music, it performed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composed many Korean traditional music. Five church musicians gave different opinions and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Korea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vergence methodology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culturation, the process of expressing identity, is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wo different cultures,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e ideal inculturation process of these two different cultures will not only beco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church music but also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culture.

      • 가톨릭 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에 관한 연구 : 세 가톨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진영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7

        가톨릭 대학은 그 탄생부터 교회에 그 모태를 두고 있으며, 가톨릭 대학의 종교적 정체성이란 가톨릭 특성(catholic characteristics) 혹은 가톨릭 학교 들의 설립 이념과 근본적 교육목표를 규정하는 가톨릭의 성격(catholicity)을 의미한다. 가톨릭 대학은 교회적 성격에서 나오는 ‘복음화’ 사명과 함께 학교적 성격에서 유래하는 ‘전인 교육’의 사명도 동시에 갖고 있으며, 복음화와 전인 교육은 가톨릭 대학의 두 축을 이루는 핵심사명이다. 가톨릭 대학이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수월성과 명성을 동시에 획득하는 길은 가톨릭 정체성 (identity), 이념(idea), 사명(mission)을 제도뿐만이 아니라 그리스도교 인간 관에 적합한 가톨릭 교육과정을 수행할 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 (Ex Corde Ecclesiae), 교회문헌,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의 종 교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가톨릭 대학 중 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서강대학교를 사례로 가톨릭 대 학의 가톨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톨릭 대학의 가톨릭 교육과정 현황을 통해 Tyler 교육과정 모형 기반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모델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대학은 본질적으 로 진리추구, 진리전달, 진리적용의 ‘일반적’ 성격 외에, 교육, 연구, 봉사 의 기능을 수행할 ‘교회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톨릭 정체성을 구현 할 수 있는 가톨릭 교육과정은 가톨릭 인간관을 중심으로 하여 가톨릭 대 학의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용, 교육 방법 등을 주요 요소 로 하고 있다. 둘째, 가톨릭 대학은 교육이념에 진리・사랑・봉사, 인간존중, 공동선의 실현 등 가톨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부, 대학원 학위 과정에 가톨 릭 이념 반영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교원, 직원, 학생들을 위해 복 음화 차원에서 성사활동(세례, 견진)을 통해 신자들을 배출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신앙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교직원 및 학생들의 신앙을 증진시켰다. 이와 함께,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강좌 운영, 국가, 지역, 국제 수 준의 상호협력을 통해 국제화 및 복음화 가치를 실현하고 있었다. 셋째, 세 가톨릭 대학의 인간관, 교육이념, 교육목표, 학문 과정, 교육내 용, 교육 방법 등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Tyler 모형 기반 가톨 릭 교육과정 모형에 적용하여 가톨릭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교회문헌과 선 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가톨릭 특성의 핵심 요소 외에 개개인의 전인적 양 성 도모, 참인간을 양성하려는 인성교육, 지행일치의 삶 추구 등이 가톨릭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있었다. 교육 방법으로 거룩한 체험 교육(수도원 체 험, 기도, 피정), 학생 개인에 대한 돌봄(cura personalis), 봉사 교육 방법 론, 비판적 성찰 방법론 등이 가톨릭 특성을 지닌 수업에서 사용되었으며, 학문 과정에 있어서는 전통학문 이외에 ESG경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진로와 취업 등 새로운 학문들이 철학, 심리학, 신학과 융합되어 가톨릭 특성을 지닌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 대학 의 교육과정을 통한 종교적 정체성 구현을 모델링하였다. 가톨릭 대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톨릭 인간관을 가지고 교육목표 설정 시 전인 교육을 위하여 학습자, 사회, 교과, 영성의 요구파악이 필요하며, 인 간영성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대학과 틀린 가톨릭 교육과정의 핵심적 특징 이라 할 수 있다. 잠정적 가톨릭 교육목표 설정에 있어서 가톨릭적 인재 양성, 가톨릭적 가치 추구, 인류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이념과 가톨릭적 융 합 교육, 가톨릭적 인간교육, 가톨릭적 탐구 증진을 교육목표로 하여야 하 며, 왜(why) 교육하는가, 어떻게(how) 가르치고 배울것인가를 고려해야 한 다. 또한 진리에 부합하는가를 검토할 수 있는 신학은 가톨릭 교육과정 개 발에 있어서 핵심적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내용 선정, 교육방법 선정, 교육평가 선정 등의 각 단계별로 가톨릭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톨릭 대학의 본질 회복을 위해 가톨릭 대학이 노력해 야 할 종교적 구현의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양 교 육 위주의 종교교육에서 전공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인성과 영성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수월성 추구를 위한 가톨릭 교육 방법 의 다양화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교목 활동 강화를 통한 가톨릭적 분위 기 형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가톨릭 대학 및 가톨릭 교육 기관과의 연대 및 공동교육체계 구축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국제화 강화를 통해 다문화 이해, 국제협력 증진, 복음 선교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톨릭 대학은 그 구성원들인 교수, 직원, 학생들이 가톨릭 교육 패러다임 안에서 가톨릭 인간관에 적합한 가치를 가지고 가톨릭 문 화 형성 및 정체성 구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때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본질과 사명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en rooted in the Church since their birth, and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refers to Catholic characteristics or Catholic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founding ideology and fundamental educational goals of Catholic schools. Catholic universities have a mission of ‘evangelization’ that comes from their ecclesiastical nature, as well as a mission of ‘holistic education’ that comes from their school nature. Evangeliz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re the core missions that form the two axes of Catholic universities. The way for a Catholic university to simultaneously achieve excellence and reputat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possible when it implements not only a system of Catholic identity, ideology, and mission, but also a Catholic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Papal Decree on Catholic Universities”(Ex Corde Ecclesiae),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a that reflect the Catholic characteristics of Catholic universities, u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aegu Catholic University, and Sogang University as examples. Third, we attempted to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model the Catholic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model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tholic curriculum at Catholic univers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tholic universities inherently have an ‘ecclesiastical’ character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haracter of pursuing truth, conveying truth, and applying truth.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can embody Catholic identity is centered on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and has as its main ele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of Catholic universities. Second, Catholic universities have Catholic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 love, service, respect for humanity, and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in their educational ideologies, and they operate curricula that reflect Catholic ideology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degree courses. In order to evangelize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was producing believers through sacramental activities(baptism, confirmation), and operating various faith programs to promote the faith of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the valu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evangelization were being real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foreig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mutual cooperation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rd, we looked at the curriculum status of the three Catholic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views on humanity, educational ideology, educational goals, academic courses,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ed this to the Catholic curriculum model based on the Tyler model to investigate Cathol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ore elements of Catholic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the promotion of holistic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character education to cultivate true human beings, and pursuit of a life consistent with knowledge and actions were reflected in the Catholic curriculum. As educational methods, sacred experiential education(monastery experience, prayer, retreat), care for individual students (cura personalis), service education methodology, and critical reflection methodology were used in classe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academic process, in addition to traditional studies, New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G management, media communication, career path and employment, etc. were combined with philosophy, psychology, and theology and were operated as subjects with Catholic characteristics. In modeling the implementation of religious identity through the curriculum of a Catholic university,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ler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When developing Catholic curriculum, Catholic universities ne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society, subjects, and spirituality for holistic education with a Catholic view of humanity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is a key aspect of the Catholic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It can be said to be a feature. In setting provisional Catholic education goals, the educational goals should be nurturing Catholic talent, pursuing Catholic value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contributes to human development, Catholic convergence education, Catholic human education, and promotion of Catholic inquiry, and why. We must consider whether to educate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addition, theology, which can be reviewed for conformity to the truth, can be seen as a key featur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urriculum, and the Catholic curriculum must be structured in each stage, such a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selec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following religious implementation measures that Catholic universities should strive for in order to restore their essence. First, there is a need to expand from religious education centered o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jor education.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haracter and spiritual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versification of Catholic education methods to pursue excellence.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atholic atmosphere through strengthening chaplaincy activi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solidarity and joint education systems with Catholic universities and Catho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ixth,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iz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vangelism are necessary. In this way, a Catholic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actice its essence and mission as a Catholic university when its members, professors, staff, and students, continue their efforts to form Catholic culture and realize identity with values ​​appropriate to the Catholic view of humanity within the Catholic education paradigm.

      •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조민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 문 초 록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실천신학 전공 <지도 : 이 경 상 교수> 조 민 환 제 삼천 년 기에 들어선 지금, 대한민국 공교육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입시라는 굴레와 사교육의 확대 속에 학교교육은 그 고유의 본질적 목적과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아울러 일부 사립학교의 교육 부조리나 재단 내의 경영상 횡포로 인한 사립학교법 개정은 가톨릭 학교와 같이 모범적인 사학의 건학이념을 가로막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안에서 본 소고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을 고찰하고자 했다. 그런데 학교교육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노력은 교회 내 학교 당국 및 관계자들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교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고 결국 그 지역교회를 돌보는 교구장 주교의 의무이자 책임으로 이어진다고 하겠다. 필자가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관한 고찰”로 논제(論題)를 선택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는 ‘교회법’이라는 학문의 범주 아래에서 “가톨릭 학교교육과 교구장 주교의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방식은 ‘교회법’이 지닌 3가지의 고유한 연구 방법론-연대적 분석(Chronological Analysis), 이론적 접근(Theoretical Approach), 사목적 제언(Pastoral Proposal)-을 택하였다. 본문은 Ⅰ부와 Ⅱ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부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1917년도 교회법전』의 교육과 관련된 법령들을 ‘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대학교와 학위’, ‘학교 감독에 관한 주교의 권리’라는 주제로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의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을 필자가 ‘교육의 원리와 목적’, ‘교육의 의무와 책임’, 그리고 ‘가톨릭 학교’라는 주제로 분류한 후, 공의회가 선언하는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1983년도 교회법전』을 ‘교육의 책임’과 ‘교육의 수단’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교육의 책임’에서는 <부모>와 <국가> 그리고 <교회>라는 소제목으로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단’에서는 법전이 제시하는 학교에 대한 조항들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가톨릭 교육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 「학교 내의 가톨릭 평신도 :신앙의 증인들」, 「제삼천년기의 문턱에 서 있는 가톨릭 학교」,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학교교육과 관련된 교구장 주교의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Ⅱ부의 제1장은 본격적으로 교구장 주교의 법적 책임과 권리에 대해 1983년도 법전을 근간으로 논하며, ‘학교의 설립’과 ‘감독과 시찰’ 그리고 ‘가톨릭 학교에 관한 명명권과 인재양성’이라는 주제에 따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미국과 독일의 가톨릭 학교교육 실황을 제시하면서, 외국의 선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가톨릭교회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학교교육을 개선시켜야 되는지를 모색했다. 제3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의 사명에 위배되는 한국의 공교육 현실의 배경인 여러 사회적 문제들 중 중추적이고 대표적인 문제인 ‘사학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사학의 공공성과 자주성’에 대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사립학교법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는지 ‘사립학교법의 현실’에 관한 제목으로 ‘학교 운영권에 대한 제한’과 ‘종교교과목에 대한 제한’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가톨릭 학교교육을 위한 교회의 노력과 대응들에 대해서, 먼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권리를 ‘천부적 권리’라는 제목으로 간략히 설명하고, 한국 교회의 대응책을 공시적 접근과 통시적 접근으로 강구해보았다. 이어서 한국에서 가톨릭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들을 ‘한국 가톨릭 학교 교육 헌장’과 ‘가톨릭 학교교육 포럼’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현실의 제도가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막고 있다면, 교구장 주교의 힘 있는 발언과 교회 내의 신자들이 힘을 모아, 그 제도를 가톨릭 학교교육의 영성을 실현하는 쪽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제도적 투신으로 가톨릭적 입법들을 제시하고 그러한 법률들을 발판삼아 본질적 의미에서의 가톨릭 학교교육을 구현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장학금 제도”를 통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어린이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함’이라는 가톨릭 학교의 본질적 목적을 이행하고 귀족교육의 한정성을 경계하자고 언급하였다. 그 결과, 가톨릭 학교교육이 이 사회의 학교교육에 정향(正向)을 제시하고, 공교육의 모범적 사례로 본(本)을 보여줌으로써 이 사회에서 계속 벌어지는 양극화 현상의 극복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A Study o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Cho, Min-Hwan Department of Pract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Director : Prof. Lee, Kyung-Sang> At the entrance of the third millenium, people show a high degree of concern about Korean public education. The school education seems to be losing its own essential purpose and identity, with the pressure of entrance exams and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for students. Moreover, irregularities and injustice in running of some private schools has cause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s law, which obstructs the establishment of exemplary private school with appropriate foundation including Catholic sch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thesis studies the Catholic church's efforts to realize the ultimate goals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Such efforts, however, are not a matter limited to the school authorities. These efforts should be responsibility of all members of a parish church and eventually, of the diocesan in charge of the diocese. This opinion has named this thesis as "the role of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This thesis explores the Catholic schooling and a diocesan's role in it under the discipline of Canon Law. Therefore, thre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of Canon Law are used to develop the content: chronological analysis, theoretical approach, and pastoral proposal. The body of the text consists of Part I and II. In Part I, the legal foundation of Catholic schooling is presented. Chapter one examines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code of Canon Law(BenedictⅩⅤ )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and degree' and 'a bishop's right to supervise schools.' Chapter two studies Documents of the Vatican Council Ⅱ - Declaration on Christian Education, Gravissimum Educationos under the headings of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educati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 and 'the Catholic school' and points out the basic facts of education strategy declared by the Council. Chapter three explores The code of Canon Law (John PaulⅡ) under the two subjects: one is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here the discussion develops through the headings of 'parents,' 'nation,' and 'church'; the other is the 'means of education,' which examines legal articles from the Code mention Catholic schooling. Chapter four refers to such documents as The Catholic School, Lay Catholics in Schools : Witnesses to Faith, The Catholic School on the Threshold of the Third Millennium, and Apostolic Constitution of the Supreme Pontiff John PaulⅡ on Catholic Universities, among the various instructions of church on Catholic education, to learn the role of a diocesan bishop in Catholic schooling. Based on The code of Canon Law (BenedictⅩⅤ ), c hapter one of Part II discusses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right of a diocesan in depth, under the subjects of 'foundation of a school,' 'supervision and inspection,' and 'right to name Catholic schools and nurturing of human resource.' Chapter two provides the reality of American and German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searches for the right direction for our Catholic church to improve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precedents of other countries. Chapter three shows how the fundamentals of "private schools law" is agains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ing, and how such laws generat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in i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this thesis focuses on both public and independent nature of private schools, sometimes referred to be a double-edged sword.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s restrictions on school administration and religious subjects under the subtitle of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law'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 current law reveals its weakness. Finally, chapter four discusses the church's effort and counterplan to improve Catholic school education. Chapter begins with brief explanation of the human rights to be educated as 'God-given rights' and deliberated the counterplan of Korean church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es. Subsequently, it presents ‘Charter of The Korea Catholic school Education’ and ‘Catholic School Education Forum’ as examples of the efforts made by Korean Catholic church.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i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inders spirituality of Catholic school education, the system should be redirected to fulfill the spirituality through voicing enthusiastic opinions of the diocesan bishop and all church members. This effort can be done by offering Catholic legislation as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and stepping-stone; such legislation will guide the church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sense of Catholic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that Catholic schools should enlarge scholarship to persue its essential goal of 'offering educational opportunity to poor, neglected children' and stay wary of the limitations of aristocratic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 hopes Catholic school education would become a solution to alleviate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polarization by providing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and setting an outstanding example for public education in this society.

      • 동방 정교회와의 일치 운동에 대한 고찰 : Joint Catholic-Orthodox Commission의 문헌 "Ecclesial Communion, Conciliarity and Authority"을 중심으로

        이승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1964년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는 상호파문을 철회했다. 그러나 분열 이후 양 교회 사이의 상처는 완전히 회복이 되지 못했다. 오늘날 로마가톨릭교회는 교회 쇄신과 성서와 성전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그리스도교인의 일치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 사이에는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 사이의 신학적 대화를 위한 국제 공동 위원회’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신학공동위원회는 최근 Ravenna문헌을 발표한다. 양 교회의 재일치를 위하여 신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의 교리와 입장, 그리고 함께 공유하는 성서와 전통을 연구한 결과가 발표된 것이다. 본 논문은 Ravenna 문헌이 가지는 의미를 밝혀 보았다. 일치 운동 안에서 이 문헌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3가지 작업이 필요하다. 하나는 로마가톨릭교회의 교도권에서 밝히는 일치 신학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치운동에 있어 로마가톨릭교회의 일치운동의 목적과 방향을 밝힐 수 있으며, 일치 운동에 있어 기본적인 토대를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 사이에 있었던 역사적 과정, 곧 분열의 역사와 분열 이후의 역사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분열의 원인을 확인하는 동시에, 분열 이후 양 교회의 입장을 밝힐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역사적 과정 안에서 분열의 이유와 그 후에 생긴 새로운 문제점 및 해결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Ravenna 문헌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Ravenna 문헌의 본문을 세세히 확인하는 작업이다. 문헌의 내용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문헌이 가지는 구체적 의미를 밝히고 문헌을 통해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일치 운동 안에서 방향성을 예상할 수 있다. 논문의 주요 대상인 동방정교회는 참된 성사를 보존하고 사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개별교회이다. 그러나 동방정교회는 교황과의 친교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함을 가졌다. 따라서 로마가톨릭교회는 그 교회들과 완전한 일치를 목표로 한다.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가 분열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분열의 원인은 정치적, 문화적 원인과 함께 신학적 견해 차이였다. 특히 Filioque 논쟁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가 한 원인이 되었다. 라틴어와 희랍어 사이에 가지는 의미상의 차이점과 너무 먼 거리에 따른 서로간의 언어를 사용하지 못함에 따라서 상호간의 오해가 심해지게 되었다. 이 점은 이단의 도전에 대한 양 교회의 반응을 다르게 이끌었다. 공의회 문헌의 결정문에 대한 해석의 차이도 분열의 원이이 되엇다. Filioque 문제와 관련하여, 에페소 공의회와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문에 따르면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을 가감하거나 의미를 바꾸는 것은 금지되었다. 이에 따라 보편 공의회의 결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중요시했던 동방정교회는 Filioque의 첨가를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분열에는 교계 이해의 차이도 있었다. 서로마제국의 멸망 후 가졌던 로마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주변상황의 차이는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군주제적 체계와 콘스탄티노플,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의 총대주교좌를 중심으로 집단지도체제의 특성을 가져온다. 이에 따라 고대의 5대 총대주교좌 사이의 서열에 대한 논쟁 역시 분열의 원인이 된다. Ravenna 문헌을 직접적으로 다루기 전, 마지막으로 양 교회의 분열 이후의 역사를 통해 양 교회가 가지고 있는 입장을 분명히 알아보았다. 또한 분열 이후의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등장한 문제점인 공의회의 권위에 대한 입장의 차이, 교황의 수위권 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제2차 리옹공의회와 피렌체 공의회는 재일치를 목적으로 한 공의회였다. 이때 Filioque 문제에 대하여 서로 같은 의미를 다른 형식으로 표현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서류상의 동의로 끝나고 말았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양 교회는 상호 개방성을 보여주었다. 이어서 상호파문을 철회하며 양 교회는 교회일치를 위해 신학적으로 대화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로마가톨릭교회의 일치운동의 방향이 언제나 로마가톨릭교회로 돌아와 친교를 회복하는 것임을 바뀌지 않았지만, 갈라진 교회들과 공동체들 안에서 성령의 활동을 찾으며 친교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러나 아직도 교황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상호간의 의견 차이와 교황의 무류성이 문제점으로 남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Ravenna문헌의 교의신학적 의미를 성찰하였다. 수용성의 문제에 있어서, 일치운동의 성격과 상호 개방을 통해 다양성에 대해 인정함으로써 비록 이 문헌이 신학위원회의 문헌일 뿐이지만 양 교회가 모두 수용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Filioque 논쟁에 대한 문제이다. 이에 대한 문제는 공의회 결정의 보편성에 대한 차원과 다양성에 대한 차원으로 다룰 수 있다. 우선 문헌이 밝히듯 공의회의 결정은 모든 시간과 장소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편적이다. 다만 그 결정이 각자의 전승에 따라 해석되기 때문에 다양한 차이성을 가진다. 문헌은 결국 Filioque의 문제에 In the year 1964, the Roman Catholic and the Orthodox Church lifted mutual excommunication.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hurches had not been resolved yet since the schism. Today, the Roman Catholic has got interested in unity of Christians more than ever, through renewal of the church and redefining of the Bible and sanctuary. Accordingly, the 'Joint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Theological Dialogu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has been constituted. And recently, the committee has released the Ravenna Document. In order to achieve unity and solve theological problems, the study results on the doctrines and standpoints of each church, and the Bible and traditions shared by each church was released. This paper has been designed to uncover the meaning of Ravenna Docu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is document within ecumenical movement, it is required to carry out three kinds of work. The first one is to clearly indicate the ecumenical theology clarified in the power of magisteriu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this manner,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ecumenical movement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could be identified, and the basic foundations of the ecumenical movement could be found out as well. And the next one was to identify the historical process between the Roman Catholic and the Orthodox Church, namely the schism history and the history after the schism. Through this work,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the reason of schism, and identify the standpoint of each church after the schism. And also, the reason of schism based on the historical process, and the new problems occurring after the schism and the matters that were solved were identified, resulting in clarify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avenna Document. The last thing was to check the test of Ravenna Document in detail. Based on th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document, it was possible to define the specific meanings of the document, and foresee the direction of ecumenical movement occurring between the Roman Catholic and the Orthodox Church. The Orthodox Church, which was the main target of this thesis, is a separate church because they preserve the true sacrament and maintain the apostolicity. However, the Orthodox Church still remains defectiv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upreme Pontiff has not been recovered fully yet. Consequently, the Roman Catholic church sets up the goal to fully unify with the Orthodox Church. The reason of schism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is as follows. The schism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cultural reason, including the difference in theological views. Especially in association with the Filioque debate, the difference in language used in the regions became one the reasons. The semantic difference between Latin and Greek and the impossibility of using each other's language due to the long distance resulted in a severe misunderstanding between each other. This led the response of each church to the challenge from heresy to different directions.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of the Resolution of the Ecumenical Council became one of the reason of schism.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Council of Ephesos and the Council of Chalcedon in relation to the Filioque problems, addition and subtraction to the Niceno-Constantinopolitan Creed or any change in the creed was prohibited. Accordingly, the Orthodox Church, which took serious view of maintaining the universal decision of the council as it was could not but refuse to add the Filioque. In a sense,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hierarchy was involved in the schism. The difference in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Roman Catholic and the Orthodox Church after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brought about the monarchial system centered on the Po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leadership concentrated on the Patriarch of Constantinople, Alexandria, Antiochia and Jerusalem. Accordingly, the debate on the rank among 5 patriarchs became ofe of the causes of schism. Before getting into the Ravenna Document directly, as the final stage, the positions taken by both church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history after the schism. And also, by looking into the historical process after the schism, the difference in stand against the authority of ecumenical councils, which had emerged as new problems, and the problem of papal primacy were dealt with. The 2nd Council of Lyon and the Council of Firenze were aimed at reunification. At this time, it was recognized that the same meaning concerned with a problem of Filioque controversy had been expressed in different forms. However, the decision had just remained as an agreement on the document.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both churches showed mutual openness. And then they lifted the lifted mutual excommunication to begin the theological conversation for the sake of unity. Although the direction of ecumenical movement of the Roman Catholic, in which they wanted the Orthodox Church come back to them and recover the fellowship, has never changed, both side could open up infinite possibilities of fellowship and activities of Holy Spirit in the separate churches and communities. However, the mutual difference in opinions about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Poe and the Papal infallibility remain as issues. In such situations, the dogmatic theological meaning of Ravenna Document has been contemplated. As for the issues concerned with embracement,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oth churches may accept the document by recognizing the diversit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ecumenical movement and mutual openness, though the document is nothing but a document constituted by the theology committee. The issue coming up next is about the Filioque controversy. The problems concerned with the controversy may be dealt with at t

      • 양적 발전 시기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과 이에 대한 신학적 숙고 : 합리적 선택이론에 입각한 분석과 기초신학적 고찰

        정규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main topic of this article is “Religious-sociological Analysis on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Life Change after Quantitative Development Period, and of its Theological Consideration.” The reason why this topic was chosen was to suggest a way to renovate through analyzing causes of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life changes while the necessity and request for renova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 has become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To find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in method, pastoral sociology has been applied. From Chapter 2 to 5, the main body, the ideas are separated into “Phenomenon Observation”, “Sociological Analysis”, “Theological Consideration”, “Search on Practice”.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the situation why such a strong renovation request aroused in Korean Catholic Church is explained. Pastoral sociological method is also explained. To provide the causality of a phenomenon, variables have been set - sociological chang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eligious life change as a subordinate variable. The range of catholic believers was also set within the people who have confessed themselves as catholic believers. In Chapter 2, the “Phenomenon Observation”, to limit the range of this research,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nd ‘ Statistic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rom this analysis, Quantitative Development Period indicates from 1980’s to the early 1990’s, and the period after that period till now is defined as Quantitative Stagnation Period. I have followed its trace of The Korean Believers’ religious consciousness changes after the late 1980’s comprehending tendency researches of ‘Korea Gallop Research Institute’ and ‘Catholic Times’ and from various quantitative results. From those data, Korean believers’ drastic weakening in religious perception and activities was found. However, I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qualitative weakening and causes of quantitative development synthesizing and analyzing external evaluations and recognitions after 1980’s. Korean Catholic Church has gained public trust and reputation through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with which merged with religious images such as holy, solemnity and piety, now it is highly evaluated with positive and favorable recognition.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 between such an external-internal high reputation and qualitative weakening was to be recognized, and its cause analysis was preceded. In Chapter 3, I attempt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phenomenon observed in the previous chapter. Comparing and synthesizing secularization theory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era, I optimized Rational Choice Theory model which could be adequate for current Korean catholic situation. When following Rational Choice Theory, religion in Korea had a tendency to accelerate internal secularization within individuals, and which strongly appeared in individuals’ autonomous independence. Korean catholic believers tend to have a capitalistic consumption society, cafeteria faith, individualistic faith and spiritual consumption when secularization of religion takes its steps forward. In chapter 4, the nature of Christian faith is considered. In this process, first of all, despite the premise of the rational choice theory of nature, the selfish rationality in human religious life, the universality of faith beyond rationality is expressed by the Numinose experience and transcendental nature, As well as the form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is article demonstrated how the nature of belief can be manifested in modern society where freedom of religion is secured in the aspect of overcome of insecurity and uncertainty by the experience of whole love. In chapter 5, practical search was attempted. The practical ways to make the nature of religion more matured was also looked for. In this article, pastorate and the role of pastorate as a prototype of a belief and reform of parish priest charge system are suggested. In chapter 6, the conclusion, the text from chapter 1 to chapter 5 was summarized. Furthermore, absence of multilateral analysis according to minor variables about subjects in quantitative research and absence of internal cause analysis of a church which affected many changes in Korean catholic believers’ religious perception and activities were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accumulation of analysis data and consistent tendency research was once again emphasized as more physical and realistic suggestions were not fully made in this article.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양적 발전 시기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분석과 이에 대한 신학적 숙고’이다. 이러한 주제를 결정한 이유는 그 어느 때보다 한국 가톨릭교회의 쇄신에 대한 필요성과 요청이 부각되는 작금의 현실에서,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생활의 변화의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쇄신 방향 제시에 있다. 그리고 이 작업은 사목사회학(pastoral sociology)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본론에 해당하는 2장부터 5장을 ‘현상 관찰’, ‘사회학적 분석’, ‘신학적 숙고’, ‘실천 모색’으로 구분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한편, 서론에 해당하는 1장에서는 한국 가톨릭교회 내에서 강한 쇄신 요청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며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을 밝혔다. 이어서는 연구 방법론으로 적용한 사목사회학(pastoral sociology)적 방법론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다음으로는 현상에 대한 인과 관계 규정을 위해 사회적 변화를 독립 변수로, 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신자 범주는 각종 양적조사에서 스스로 가톨릭신자라고 밝힌 사람으로 한정시켜 연구의 범위를 한정지었다. ‘현상 관찰’에 해당하는 2장에서는 먼저 조사 범위 한정을 위해 ‘인구주택총조사’와 ‘한국 천주교 교세통계’를 비교 분석하여 양적 발전 시기를 1980년대에서 90년대 초반으로, 그 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를 양적 발전 정체기로 규정하였다. 이어서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가톨릭신문사의 추세조사를 중심으로 그 밖의 다양한 양적조사들의 결과들을 종합하는 방식으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의식과 활동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1980년대 후반 이후 그들의 지속적이고 급격한 신앙의식과 활동의 약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그럼에도 확인된 양적 성장의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이에 대비된 위와 같은 질적 약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 가톨릭교회에 대한 외재적 평가와 인식 조사들을 종합,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1980년대 이후 한국 가톨릭교회는 다양한 사회 활동을 통해 신뢰와 호감을 얻어왔고, 그것이 거룩함, 엄숙함, 경건함 등의 종교적 이미지와 융합되어, 지금에 이르는 높은 공신력과 선호도, 긍정적 이미지로 한국 사회에서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대내외적 높은 평가와 지속적 질적 약화 사이의 대비되는 간극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이어갔다. ‘사회학적 분석’에 해당하는 3장에서는 2장의 관찰 결과를 설명할 원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작업에는 종교 자유가 보장된 다종교 사회 상황에서 개인의 종교 활동과 종교 조직의 변화를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종교에 대한 합리적 선택이론이 방법론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원인 분석이 독립 변수로 설정된 한국 사회의 시대적 변화와 연관된 통시적 분석을 고려해야하기에 사회 변화와 종교 위상 사이의 변화를 설명하는 세속화이론들과의 비교 종합을 통해 한국 가톨릭 상황에 적절한 합리적 선택이론 모델 변용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초 전제인 종교 활동의 근본 기저로서 비용과 보상 사이의 이기적 합리성을 추구한다는 주장을 수용하였으며, 그러한 본성이 종교에 대한 개인의 내적 세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사화의 강화를 통해 개인의 주체적 독립성 안에서 강화되어 발휘된다고 결론 내렸다. 하지만 합리적 선택이론의 논증과 2장의 관찰 사이, 불일치하는 사항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위해 한국 사회의 후기 근대적 재편이라는 통시적 변화와 한국 사회의 종교 지형과 종교 심성이라는 기본 토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1987년 제도적 민주화, 1997년 IMF 사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총체적 사회변화를 이끈 사건들을 기점으로 하여,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종교적 수요 변화가 자본주의적 소비사회로의 재편과 불확실성 및 불안의 일상화, 총체화, 압도성을 통해 카페테리아 신앙, 개인주의적 신앙(신앙 개인화), 영적 소비주의로 규정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합리적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이와 같은 변화를 일관된 인과관계로 구성하였다. ‘신학적 숙고’에 해당하는 4장에서는 그리스도교 신앙 본질을 숙고함으로써 3.에서 파악한 한국 가톨릭신자들의 신앙생활 변화 원인과 신앙의 본질 사이의 간극을 드러냈다. 이 과정은 먼저 이기적 합리성이 인간의 종교생활에 있어서도 본성이라는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초 전제의 대당으로, 합리성을 뛰어넘는 믿음의 보편성을 누미노제 체험과 초월론적 본성, 그리고 이 둘의 융합으로 드러나는 믿음 공동체로서의 종교 조직의 형성에 관한 논증을 통해 진행되었다. 다음으로는 이와 같이 밝혀진 인간의 보편적 신앙 가능성의 조건 위에 성경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신앙의 본질을 숙고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은 구약에서 드러난 신앙의 본질을 계약과 신의의 측면에서 정리하였고, 신약에서 드러난 신앙의 본질을 예수의 사랑에 대한 응답인 회개와 추종의 측면에서 정리하였으며, 이 두 양상을 하느님의 선행하는 자기계시와 이에 대한 인간의 자유로운 실존적 기투로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신앙의 본질이 종교의 자유가 보장된 후기 근대적 사회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 인격적 사랑 체험을 통한 불확실성과 불안의 극복이라는 측면에서 논증하였다. ‘실천 모색’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3장에서 파악한 신앙생활의 약화 원인에 비추어, 4장에서 결론 내린 신앙의 본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본 논문은 신앙을 본질을 살아내는 프로토타입으로서의 사목자들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방법적 차원의 심화 방안으로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의 하느님 사랑 체험, 성사와 전례를 통한 신비교육, 성경 말씀 공부와 사회적 영성의 연결을 통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유기적 연결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제도 측면에서 본당 내 더욱 많은 프로토타입의 사제들이 상주할 경우 특화되고 중첩된 사목 활동을 통해 신자들의 신앙 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본당 사목구 사제 담당제의 개편을 건의하였다. 결론에 해당하는 6장에서는 1장에서부터 5장의 내용을 요약하였고, 연구 한계로서 한국 가톨릭신자의 신앙의식과 활동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교회 내부 원인 분석의 부재 및 양적조사 내 표본에 관한 세부 변수들에 따른 다각적 분석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실천 모색 부분에서 현황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므로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안이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밝히며, 한국 가톨릭의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접근과 다양하고 지속적인 추세조사와 질적조사 실시 및 분석자료 축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한국 고등학교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가톨릭 고등학교와 비 가톨릭 고등학교 설문조사의 비교 분석

        노봉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55

        80년대를 주류했던 '입시에서의 탈출'이라는 교육 개혁의 문제는 9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수학 능력 시험 제도의 정착', '복수 지원의 확대', '반 학생 인원의 감소', '학생 자율권의 확대', 등이 그것이다 고질적인 교육 제도의 병폐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교육 여건과 입시 위주의 교육은 조금씩 개선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교육 여건이 개선되면 정상화 될 수 있을 것이라던 학교 교육은 더 큰 위기에 봉착해 있는 듯하다. 학생들의 일탈 현상은 더욱 가시화 되고, 학생들은 학교를 거부하고 자기들만의 공간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학생들의 관심사는 더 이상 공부가 아니다. 지식 위주의 틀 속에 학생들을 방치해 놓은 결과 학교는 학생들을 잃어버렸다 더욱이 본격적인 소비 자본주의 시대를 맞고 있는 지금, 학교는 또 하나의 경쟁 상대를 만나게 된 것이다. 학생들을 부추기고, 소비 욕구를 자극하는 '바깥 세상'과 경쟁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감각적인 것들에 길들여져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은 이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의 탈피, 지식 위주의 교육 환경 개선만이 아니라, 무엇인가 새로운 교육으로 말이다. 경쟁에서 이기는 학생을 기르는 교육을 통해서도, 우수한 성적으로 상급 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의 비율을 높이는 교육을 통해서도 이미 관심을 잃어버린 학생들의 발길을 학교로 되돌릴 수는 없다. 이제는 자신만이 담당해야 할 인생의 한 페이지를 책임감을 갖고 써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자포 자기하지 않고 세상에서 꿋꿋하게 살아갈 수 있는 학생을 기르는 교육을 통하여, '나를 알고', '절제할 수 있으며',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비젼을 갖고 투신할 수 있는', 그리고 '남과 더불어 살 수 있도록 하는' '인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논의는 교육의 현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아무리 완벽한 이상을 제시하더라도 그것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면 타당한 근거로 제시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인은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이 타당한 근거를 기초로 제시될 수 있도록 12개의 가톨릭 고교와 24개의 비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 36분과 학생들 17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선생님은 100% 모두, 학생들은 75% 이상이 인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나타냈다.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인은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확신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스도교적 교육에 관한 선언 3항에서는 "특별한 임무에서 교육의 임무는 교회에 속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래서 본인은 가톨릭계 고등학교가 공의회 정신에 따라 학생들의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학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면. 인성 교육에 있어 비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러나 설문 조사 결과, 인성 교육에 있어 가톨릭 고등학교와 비 가톨릭 고등학교는 별 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인성 교육의 문제는 결코 가톨릭과 비 가톨릭의 개별화된 차원에서가 아니라 교육이라는 총체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더 거시적인 문제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비 가톨릭 고교와 가톨릭 고교를 비교한 설문 조사의 결과는, 가톨릭 고교도 그 본연의 사명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나타내 주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논문은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힌 서론과 1부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現實診斷), 2부 인성 교육의 기선 방안(改善方案), 그리고 인성 교육의 현실화를 위한 5가지의 해결책을 제시한 결론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는 인간의 전인적 성숙을 목표로 해야 할 교육이 '지식의 전수'만을 의미하는 편협한 수준으로 전락함으로서 나타나게 된 역효과들을 통하여,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설정하였다 1부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에서는 전국에 있는 12개의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24개의 비 가톨릭계 고등학교에 있는 36명의 선생님과 1,7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 교육의 현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인성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생님 설문의 항목은 1) 인성 교육의 정의, 2) 인성 교육의 필요성 여부 및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 여부, 3) 인성 교육의 실시 여부, 4) 인성 교육의 방법, 5) 인성 교육의 여건. 6) 인성 교육의 만족도, 7) 인성 교육 문제와 해결책. 8) 현행 교육의 전반적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학생용 설문의 항목은 1) 인성 교육의 정의, 2) 인성 교육의 필요성 여부 및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 여부, 3) 인성 교육의 실시 이유, 4) 인성 교육의 실시 여부 5) 인성 교육의 만족도, 6) 기타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설문 결과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한국 교육 여건 상 아직도 인성 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을 '자아 정체성'과 관련지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 교육 여건 하에서 인성 교육의 실시 가능성에 대해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로 '입시 위주의 교육'을 지적하였다. 5) 인성 교육의 실시는 가톨릭 고교가 비 가톨릭 고교보다 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의 경우 인성 교육의 실시 이유에 대해 '전인적 인격 성숙을 위해 인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어, 인성 교육을 본질적인 측면으로 이해하는 성숙한 의식을 나타냈다 7) 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고교에서도 학생들의 호응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나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나, 교재의 확보나 체계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인성 교육의 우선 과제로 지적되었다. 9) 인성 교육을 위한 전담 교사가 선임되지 않아, 인성 교육의 책임성이나 효과적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0) 인성 교육의 현실에 대해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들이 비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들보다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인성 교육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제시한 '인성 교육 담당 기관의 설립'에 대해 선생님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12)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대안 교육을 잘 알지 못하고 있었고. 대안 교육이 인성 교육을 위한 해결책이 되지도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부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는 1부 설문의 결과로 얻어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성의 개념 규정'에서는 1부 설문 결과에서 인성 교육의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여러 결과들을 통해서 교육에 있어 '인성의 개념 규정'의 중요성을 확증하였고,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인성 교육의 개념 규정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본인은 인성 교육의 · 개념을 '인성 교육이란 인환의 일반적인 성격. 행동과 태도, 자세 증후들을 포함한 전 인격체를 의미하는 인성의 부분에서,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요인, 즉 아직 확고하게 정립되지 않은 '자아 정체성'의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라고 규정하였다. '인성 교육의 방향 설정'에서는 청소년기의 긍정적 자아 형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에릭슨의 성격 이론을 통해 인생에 있어 8단계의 발달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성 교육의 방향을 '긍정적 자아관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인성 교육의 목적과 방법 제시'에서는 설문 결과에 기초하여 인성 교육의 목적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인간 즉. '자아 실현'을 하도록 하는데 있음을 고찰하였고, 대안 교육의 방안들이 일방적 수업의 한계를 학생들이 함께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체험 교육의 차원으로 전환'한 것이라는데 착안하여 인성 교육의 방법으로 대안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인성 교육 시간 편제의 당위성'에서는 7차의 교육 과정을 통해서 우리 나라 교육 과정이 대체적으로 교과 교육에 너무 편중되어 왔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교과 과정 안에서 제시된 인간상이 실천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인성 교육 시판의 편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및 시간의 편제'에서는 인성 교육의 현장에서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나, 프로그램'이 제대로 제시되거나 갖추어지지 않아 인성 교육의 진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감안하여 본인이 구상하고 실제적으로 실시해 보았던 프로그램과 일선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인성 교육 프로그램 및 시간의 편재'에 대한 시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 살펴본 5가지의 전제조건 즉 '인성 교육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방향, 목적과 방법의 제시', '학교 교육에서 인성 교육의 정규 시간 편재'. '인성 교육 전담 선생님 선임'.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와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부 산하 인성 교육의 담당 기관의 설립과 각급 학교에 인성 교육 담당 부서의 설치'를 제시해 본 논문의 핵심적인 논지를 밝혔다.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인간은 결코 어떤 하나의 획일적 수단에 의해서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비록 어떤 청소년이 타인에 비해 부족한 일면을 지녔다 할지라도, 그가 소위 문제아라 할지라도, 그 어떤 이유로도 그들이 평가절하 되어서는 안 된다. 인간은 존재 그 자체로 존엄하기 때문이다. 청소년 각자가 인생의 주인공으로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야하고. 인간이 지닌 존귀한 존엄성에 의해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인성 교육을 통해 이룩해야 할 교육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The issue of reforming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the escape from the competi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the 80s, might be slowly solved in the mid-90s. There have been 'Settlement of the system of the test for learning abilities in colleges(the Suhak Neungryok Pyongga test)', 'enlargement of the allowance of dual application', 'decreased number of student per class', and 'expansion of students' autonomy' to make this situations better. Even though chronic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haven't been solved for good, they are being improved step by step. Current school education, however, which was hoped to be normalized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meets bigger crisis. Students deviation phenomena become revealed. Also students have begun to deny school systems and tried to form their own space. Formal education is not their interest any more. As a result of leaving them in the knowledge-oriented education, schools have lost contact with their students. What is more, in the consumption-capitalism society, schools meet yet another competitors. They are 'Outer world' to incite students and stimulate them with desire of consumption. Therefore, education should give new solutions to the students who feel free to choose what they want and who are used to the excitments by this. I mean somewhat new education, as well as the freedom from the competi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improvement of knowledge-oriented education. We can't attract the students' interests which are already lost by training students to win the competition or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can pass the entrance examination. Now It's time to implement the "character educ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mselves", "to control themselves",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life goals", and "to share with other people" which make students live their own life with responsibility and not to give up easily. This discussion has to start at the education-site. Even if we begin something ideal, we will not be able to achieve those if they are not grounded on reality. Therefore I did surveys on the 36 teachers and 1760 students of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as reasonable evidences of alternatives of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s, 100% of teachers and 75% of students answered character education is necessary. I did the study with a conviction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and education system. There is a statement,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the special responsibility) belongs to the church", in the declara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I was convinced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Catholic schools and non-Catholic ones in character education if Catholic schools are educating their students with the spirit based on that declaration which are aimed to give wholesome and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I found ou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haracter education as the result of surveys, and realiz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the macro-problem which we have to approach as a general educational problem, not as a separated one between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compared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was used as data to show the truth that Catholic schools don't take their responsibilities as they are supposed to. This study is made up for introduction which states motivation and goal of the study, part 1 which i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part 2 which is about the improvement plan i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a conclusion which presents five solutions for materi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introduction, I set up goal of this study through adverse results which are caused by knowledge-based education in Korea. In the first part or this study, I evalu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ult of surveys questionning ""where is character educaiotn now?" which were answerd by 36 teachers and 1,760 students at Catholic schools and non-Catholic ones. The content of surveys are as follows: The items for teachers are 1) the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2) whether we ne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and whether we can realize character education or not. 3) whether they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or not, 4) th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5) the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6) the satisfation of character education, 7) the solutions of problems in character education, and 8) general situation of current education. The items for students are 1)the di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2) whether we ne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and whether we realize character education or not. 3) the reason why we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4) whether they receiv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5) satisfac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6) othe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ut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recognizing character education in relation to 'identity formation'. 2)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alize that we need character education. 3) Both teachers and students expressed their worries about the possibility of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4)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he main reason why character education isn't carried out well is that current education is focused on passing the examination. 5) Catholic schools are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better than non-Catholic ones. 6) Students awareness about character education was that it is for making students as a whole person. 7) Even if some schools are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students' reactions were negative. 8) There are not proper textbooks or programmes which make character education available, so the first step is to make a textbook or well-organized programme. 9)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effectively because there is no teacher who will take full charge of it. 10) Teachers of Catholic schools have more positive opinions than teachers of non-Catholic one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11) All teacher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which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character education. 12) Most of the teachers don't understand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y don't think alternative education can be a sol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hich is about improvement plan of character education, I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data in part 1. It is important to have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Also, how to give a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I defined character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is to promote students to have their identity, considered as a postnatal factor, which hasn't been established yet in the part of character which means whole person including personality, attitude, behavior and orientation.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established as a perfection of positive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s through looking over how 8-developmental-stages from Erickson's character theory are accomplished.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realize their ego with their ability and also present the model of alternative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which was aimed to 'change into experience education' which students can feel and experience the limit of the way of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art of 'right of organ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lasses', it was pointed out that current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emphasized on knowledge education and as an alternative we should organize character education classes to realize the goal. In the part of 'organization of programmes and classes of character education', I suggested some models of character educ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surveys that we have a lot of difficulties because of not having proper textbooks .or programmes for character education. Finally, I present main idea of this study based on the five preconditions, 'presentation of definition, direction, goal and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organ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lasses in the schedule of schools'. 'assignment a teacher who will take full charge of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mes or textbooks for character education',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department and at each school'. There is no way to judge human who were created following the God's feature. Even if some adolescents have problems or they make a lot of troubles, we can't and must not underestimate them because they are dignified human beings. Each adolescents should be able to use their abilities and be respected as a person who has a dignity. This is the final goal of education which we have to accomplish through character education.

      • 그리스도교 일치 운동의 관점에서 본 세례성사에 관한 고찰 : 가톨릭과 개신교의 대화 가능성

        손기정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금까지 가톨릭교화와 개신교의 세례에 대한 이해를 세례의 의미, 조건, 예식, 유아세례의 네 가지 구조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 일치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6세기 루터에 의해 시작된 종교개혁으로 가톨릭교회는 분열이라는 아픔을 겪게 되었으며 그 분열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종교개혁의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의 종교적인 폐해가 그 이유 중의 하나였다. 사실 이 당시 세례에 대한 교의에 대하여 가톨릭교회와 종교개혁자들의 사이에서는 갈등이 없었다. 그러나 개신교의 끊임없는 분열은 세례이해의 방식과 해석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게 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그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교회일치운동이나 대화에 서로 적극적이지 못했던 양측 교회는 '하나의 세례'를 이해 하는데에 있어서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밖에 없었다. 세례교리는 교회의 전통 속에서 명료하게 정립된 것이었기에 교회분열 초기에는 이렇다할 논쟁이 없었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개신교교파들은 그들의 원칙을 세워 세례의 이해의 차이를 벌어지게 하였고 '오직 성서만으로'라는 그들의 이해방식에 맞춰 여러 가지 세례 이해의 전통적 요소들을 배격하기까지 이르렀다. 특히 '유아세례'에 대한 개신교의 입장은 그들 나름대로의 해석방법으로 성경의 분명한 증거와 또한 유아세례가 시행된 성경 내용 안에서의 실례가 전혀 없으므로 유아세례는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유아들이 신앙고백을 할 수 없다는 이유만으로 유아세례의 교회공동체성을 약화시킴으로써 모든 이에게 열려진 하느님의 구원약속과 교회의 전통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가톨릭교회는 초대 교회 때부터 세례를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입문성사'로써 교회공동체의 일치와 화합을 위한 성사로 인정해왔다. 세례의 의미, 조건, 예식, 유아세례 등은 역사 안에서 발전되고 교회 안에서 공적으로 선포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개신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세례이해를 발전시켰다. 또한 너무나 많은 개신교의 교파분열상황은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그리스도교 입문성사인 세례의 중요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도 초래하였다. 세례의 어떤 요소도 축소되거나 왜곡 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지금은 세례 예식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들이 오히려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사이의 일치를 방해하고 현실적으로 가장 많이 부딪히는 문제가 되었다. 세례의 일치적 의미에서 본다면 이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일치의 노력들이 이곳저곳에서 일어나고 있고 세례이해에 대한 상호이해도 넓어지고 있기에 희망을 갖게 된다. 예수님께서 서로 하나가 될 수 있도록 기도하셨듯이, 그리스도교 공동체는 세례로써 다시 하나가 될 수 있는 희망을 경험하고 있다. 일치는 획일적으로 다른 것에서 하나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다. 바로 다양성 안에서의 대화로 매일 구체적으로 다각적인 협력에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양성 안에서의 협력이야 말로 다른 것에 관해 지배하거나 간섭하려는 의지 없는 일치를 보증하는 것이다. 각각의 교회의 세례이해를 가치 있게 바라보고 인정하는 것은 충만한 교류와 화해 안에서 가능한 참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협력은 각각의 교회의 가르침의 가치를 드러내는 데 제한되지 않는다. 참으로 이를 위해서는 서로에게 다가가고, 다른 것을 배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서로 만나려는 원의를 갖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일치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양 교회가 가질 기본자세가 중요하다. 일치운동을 누가 왜 하여야 하는 것인가? 진정한 교회일치의 원리가 무엇인가? 일치를 이룩하여주는 요소가 무엇인가? 이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때 하나의 신앙고백과 전례의 공동집전과 하느님 가족의 형제적 화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사실 공의회 문헌이 교회의 일치성을 그리스도 예수 안에 성삼위의 고백과 신망애 삼덕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은 성서적이면서 동시에 세계교회협의회의 선언과도 공통성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회일치의 원리를 실생활에 구체적으로 구현시키는 것은 거룩한 전례, 즉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세례성사'가 될 것이다. 그러나 전례행위의 공동 집전을 그리스도인들의 일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분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서도 안 될 것이다. 세례는 본래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치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측 교회의 대화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일치적 관점에서 이제는 서로의 주장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세례에 관한 신학적, 성서적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고 공유해야한다. 또한 현재의 시각에서뿐 아니라 교회의 역사 안에서 세례가 차지하는 역할과 위치를 연구함으로써 세례를 일치적인 차원을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 가톨릭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염미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설립유형에 따른 가톨릭교회의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와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고 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가톨릭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가톨릭교회 유치원 200개원, 어린이집 87개원의 원장 210명과 교사 422명이다. 가톨릭교회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과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유아교육기관 운영 및 본당 부속원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설립형태에 따른 차이는 각 문항별 사례수에 대한 백분율로써 경향치를 분석하였으며,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사후검증으로 Sche´f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가장 절실하게 느끼는 문제점은 교사의 과다한 수업으로 인한 교육의 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어린이집이 더욱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상태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설립형태에 따른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여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기존의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장애아동 통합교육도 90%이상이 이미 실시하고 있거나 기회가 되면 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원장들 대다수가 유아교육을 하느님이 주신 소명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가톨릭교회가 한국의 유아교육 발전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라고 평가하였다. 미래의 유아교육 방향에 대해서는 신앙인으로서 생활 할 수 있는 태도 형성을 1순위로 보았다. 넷째, 본당 부속원에 대한 분석에서 장점은 본당과 함께 있어 유아들의 종교심 함양에 좋은 것이며, 어려운 점은 유아교육에 대한 본당 신부의 이해부족으로 나타났다. 본당 부속원의 운영 형태는 거의 대다수의 원이 본당 신부의 결재를 받거나 보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으며, 부속원 사도직에 대해 원장들의 약 절반만이 유아교육을 행할 수 있는 좋은 사도직으로 응답하였고 나머지 약1/3 가능하면 부속원 운영을 피하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 수도회 카리스마와의 일치 관계를 묻는 질문에서도 약1/3만이 아주 잘 일치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원장의 직무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에서는 직무자체, 인간관계, 행정체계, 사회적 인식은 비교적 높은 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나 근무여건과 보수 및 승진에서는 비교적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비교에서는 보수 및 승진, 사회적 인식에 있어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설립 형태별 비교에서는 수도회 설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kinds of foundation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o find out hindering elements to development of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looking at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ir directors and teachers. According to such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he foundation types in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2.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directors? 3.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ir teachers? The target groups of this study were 200 catholic kindergarten and 87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nationwide, and there were 210 directors and 422 teachers. The surveys were don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consider the general status of operating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produced in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s: The differences of the foundation types were analysed in percentag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the examples. For the job satisfaction T-Test, F-Test, Sche´ffe Test were done.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iggest concern felt in operating the institutes i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due to the overloaded work unto the teachers. It is more serious at daycare centers. However, regarding financial status both kinds of the institutes are sound and healthy, esp.,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are shown as more sound and stable. Second, regarding educational program more than 90% responded that either they have already integrated the education with mentally and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or they are planning to do it as the possibility offers. Third, most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they feel they are called to educate children by God. They evaluated that the catholic church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very much. Regarding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elping to form christian attitude took the first rank. Fourth, the biggest merit of institutes such as kindergartens, which belong to parishes is that they can promote religious disposition. However, lack of understanding of pastors is the difficulty such institutes face. Most of such institutes need either permission of the pastors or have to report to the pastors in operating the institutes. About half of the directors responded that it is good to operate such institutes at parishes. However, 1/3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ish to avoid operating such institutes. Regarding the question if their works are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ism, only 1/3 of them responded that it corresponds to their charism. Fifth, in general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directors is high.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 teachers is pretty high in the areas of the work itself, relationship, administration system and social recognition. However, it is unsatisfactory regarding work environment, wage and promotion. Comparing betwee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ir wage, promotion and social recognition, the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one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highest rate of the job satisfaction is shown in the institutes established by religious orders.

      • 儒家의 君子之道와 가톨릭 司祭 靈性 比較

        김진범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55

        儒敎의 君子之道와 가톨릭 司祭 靈性의 比較 本 논문은 儒家의 이상적이며 현실적인 인간상인 君子와 가톨릭의 司祭를 比較宗敎學的인 觀點에서 비교하여 현대의 이상적 인간상의 思想的 根據를 마련해 보고자 시도해 보았다. 이 시도의 목적은 미래의 가톨릭 司祭로서, 그리고 東洋人의 한 사람으로서 현대의 바람직한 人間像을 구현하고 재정립하는데 있고, 도한 東洋的 司祭像에 一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君子와 司祭의 신원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들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를 먼저 살펴본 후, 그들이 자신의 신원을 완성해 가는 수양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그 수양의 완성인 安人과 司牧 활동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먼저 군자와 사제의의 신원을 고찰해 보았고, 이들의 정체성의 공통된 완성인 성인을 비교하였다. 첫째, 누구나 다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면에서 서로 같다. 유교나 가톨릭이나 성인은 자신의 하느님 또는 하늘로부터 받은 기질을 최대한으로 성장시키고 완성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둘째, 孔子의 仁과 그리스도의 사랑에 대한 완성은 같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인이 사랑과 대치되는 개념이 아닌 비슷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제나 군자가 인과 사랑을 완성 시키는 것은 백성을 이끄는 지도자의 위치에 있다는 것에서 같다고 보았다. 셋째, 사제는 성인이 되기 위해서 그리스도를 닮는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구자는 유교에서 가장 중신되는 인물인 孔子를 본받아야 할 것이다. 孔子는 사실 겸손하여 자신을 성인이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공자를 그 제자들이 성인의 반열에 올려놓은 것이 사실이기에 현대의 군자는 공자를 사표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사제가 그리스도를 닮는다는 것과 군자가 공자를 사표로 삼는 다는 것은 존재론적으로 아주 큰 차이가 있다. 그리스도를 닮는 다는 것은 그야말로 그리스도와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지만, 공자를 사표로 삼는 다는 것은 공자를 본받을 뿐 자기 나름의 성인을 만들어 간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유교나 가톨릭이나 성인은 만 백성을 하느님 또는 하늘이 내려준 그대로를 성장시키고 仁과 사랑의 완성을 통해서 大同社會와 하느님 나라 건설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임은 같다. 즉 군자와 사제의 궁극 목표는 바로 이것이고 여기에서 그 신원이 완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군자와 사제의 수양에 중심이 되는 德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수양과정을 고찰하였다. 먼저 智仁勇 三達德과 信望愛 向主三德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知’와 ‘信’을 비교해 보았는데, 한마디로 信德이 知보다는 넓은 개념이라고 불 수 있다. 즉 信德은 知를 포괄하고 있는 개념이다. 다라서 알고 行하는 것을 뛰어넘어 온전한 信賴를 요구하는 德이 信德이라고 볼 수 있다. 君子의 ‘知’가 天命을 알고 人間을 알아 迷惑됨이 없는 것을 뜻한다면, 司祭가 갖는 信德은 사제의 온 삶안에서 하느님을 알려고 노력하는 것인 동시에 하느님께서 주시는 은총으로써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함을 포괄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勇’과 ‘望’을 비교해 보면, 이것은 望이 勇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기 보다는 거의 비슷하지만 望德이 보다 종교적이라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勇의 특징을 두가지로 보아 부끄러움이 없음과 强하게 끝까지 항구함이라 볼 수 있다면, 망덕 역시 ‘하느님을 바람’이라는 것에서 양심의 가책이나 부끄러움이 없는 것을 뜻하며 過望과 切望없이 항구함이라는 것에서 强한 것이며 끝까지 항구한 것이다. 이와 같이 勇과 望은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君子의 勇이 인간적 사회에서의 성공을 의미한다면, 司祭의 望德은 인간적 사회적 성공보다는 내세에 대한 바람이며,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희망이라는 데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군자와 사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덕인 仁과 사랑을 비교해 보았다. 仁과 사랑은 거의 비슷한 개념이라고 위에서 보았다. 仁이 知와 勇응 포괄하는 개념이라면, 사랑 역시 믿음과 희망을 포괄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고, 君子의 仁이 克己復禮와 忠恕라는 행동에서 體得된다면 사제의 사랑 역시 자신의 직무수행 속에서 體得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君子의 仁이 자기 사랑과 타인에 대한 사랑, 더 나아가서는 인류전체에 대한 사랑을 포괄하고 있다면, 司祭의 愛德 역시 인간 사랑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君子의 仁이 司祭의 愛德보다 자기 사랑에 대한 비중을 좀 더 크게 갖는다면 사제의 애덕은 자기 사랑보다 자기포기에 더 큰 비중을 두며 한걸음 더 나아가 하느님 사랑이라는 더 큰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즉 하느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자신의 형제자매들인 이웃들을 사랑하는 것이라는 대명제가 있는 것이다. 즉 유교의 인이 윤리적인 사랑을 나타낸다면 사제의 사랑은 더 크게 종교성을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類似點과 相異點에도 불구하고, 君子의 智仁勇 三達德의 修己와 司祭의 信望愛 向主三德의 修德이 갖는 가장 중요한 점은 이 모든 것이 행하지 않고는 體得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수양 방법 중 두 번째로 君子三戒와 福音三德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戒之在色과 貞潔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君子에게 있어서 色을 경계한다는 말은 女色을 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 즉 獨身을 권고하는 말은 아니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그러나 司祭에게 있어서 貞潔의 德은 獨身으로 대표되는 德이며 獨身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그렇다고 사제의 독신생활이 단순히 결혼하지 않은 상태, 또는 금욕 생활과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세 가지 자연적 경향, 즉 생식 기능, 부부애, 자연적인 父性을 하늘나라의 사랑을 위하여 포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군자의 戒之在色이 갖는 인간적 본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사제가 선택하는 독신은 바로 사제의 자유의지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그것은 군자가 求色보다는 道에 전력을 다하듯, 하느님 나라에 대한 갈림 없는 마음의 온전한 투신이 내재된 정결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음 戒之在鬪와 順命에 대해 비교해 보았다. 君子에게 있어서 戒之在鬪는 忠, 恭敬, 禮, 孝悌의 德들을 包括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것은 한마디로 윗사람 공경과 아랫사람 공경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司祭의 順命 역시 윗사람인 主敎와 동료 사제들, 신자들과의 화합을 내포한다. 이러한 화합의 근저에는 겸손의 덕이 밑받침되어 있고, 君子가 偏黨하지 아니하고 화합하듯이, 사제 역시 하느님의 뜻을 쫓으려는 온전한 마음으로 모든 사람들 안에서 화합한다. 이러한 司祭의 順命이 君子의 戒之在鬪와 다른 점은, 司祭의 順命은 양떼에게 언제나 자신을 내어 줄 준비가 된 순명이라는 점이다. 즉 군자의 鬪를 경계함은 자신이 다른 사람과 언제나 平等關係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제의 순명은 군자의 戒之在鬪에 비교해 兼愛의 마음을 더 갖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음 戒之在得과 淸貧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君子의 得을 경계함이나 사제의 淸貧은 모두 물질에 있어서의 超脫을 포괄한다. 또한 물질에서의 초탈 뿐 아니라 자기중심주의에서의 초탈 역시 같은 맥락을 갖는다. 즉 君子는 安貧樂道함으로써 富貴를 草芥와 같이 생각해야 하는 것이며, 사제 청빈 역시 하느님께 모든 것을 從屬시키기 위해 자기에게 자유로워지고 초탈해야 한다는 것이다. 君子에게 있어서 戒之在得은 바로 德을 本으로 삼고 財貨를 末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君子의 戒之在得은 의로운 부귀에 대해서 인정하는 편이다. 즉 君子의 得은 義로운 것이 아니면 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司祭의 淸貧은 의로운 재화까지도 포기하는 靈性을 추구하게 만든다. 이는 사제 자신이 가난하게 됨으로써 가난한 이들을 쉽게 우선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司牧的 측면에서의 청빈을 의미한다. 君子의 戒之在得과 司祭의 淸貧의 차이점은 의로운 재화를 인정하는가, 아니면 그것가지도 포기하는 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君子三畏와 하느님 말씀의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君子三畏는 畏天命으로 集約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君子의 畏天命을 중심으로 司祭의 하느님 말씀의 硏究와 比較해 보았다. 君子에게 있어서 인간에게 내재된, 득 天이 稟賦한 德을 밝히는 것이 畏天命의 길이다. 따라서 君子가 해야 할 일 중에 제일 첫 번째의 것이 天命을 아는 일일 것이다. 이와 같이 사제가 하느님의 말씀을 연구한다는 것 역시 사제에게 있어서 첫 번째 任務인 것이다. 또한 君子의 畏天命의 길이 天命을 아는 것에 있다면, 그것은 바로 依於仁으로 그 방법을 삼는 다는 것이다. 사제 역시 하나님 말씀의 연구에 있어서 말씀 선포의 열의와 함께 실생활에서의 사랑의 영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君子의 畏天命과 사제의 하느님 말씀 연구는 그 방법이 동일하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다만 儒家의 畏天命의 실현 방법이 孔子가 이야기하듯 下學而上達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면, 사제의 하느님 말씀 연구는 이미 계시되어 있는 하느님의 말씀을 익히고 실생활의 삶으로 이어진다는 면에서 다르다는 것이다. 즉 儒家의 방법이 上向的 性格을 가지고 있다면, 司祭 靈性에 있어서 하느님 말씀 연구는 下向的인 性格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는 것에서 다르다. 이것은 바로 啓示宗敎인 가톨릭과 上帝崇拜 보다는 人事를 중시 여기는 儒敎의 큰 차이점을 克明하게 드러내 주는 것이다. 다음은 君子의 安人과 司祭의 司牧이라는 면에서 어떻게 자신들의 수양을 세상에 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첫째로 君子의 德治나 司祭의 司牧에 있어서 똑같이 중용한 것은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다. 군자는 契矩之道로써 백성들에게 솔선수범하여 백성이 본받게 만드는 정치를 해야 하며, 사제는 자신이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은 목자적 권한을 양들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봉사적 권한으로 받아들여 목자적 사랑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군자의 덕치가 백성들의 修身을 돕는 정치라면 사제의 사목은 신자들의 聖化를 이끌어 가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구자의 덕치나 사제의 사목은 본질적으로 거의 같은 맥락에서 고찰된다 하겠다. 왜냐하면 군자의 덕치가 仁愛를 실행하는 것이고 사제의 사목이 사랑을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君子의 正人心과 司祭의 靈性指導 역시 거의 같은 맥락에서 통찰 되었다. 먼저 군자가 正心을 통해 正人心에로 나아가는 爲己之學을 指向하고 있다면, 사제 역시 자신이 먼저 진실의 상태와 하느님과의 사랑의 관계에 있지 않으면 영성지도를 할 수 없다는 논리는 서로 상충한다. 또한 군자의 정인심이나 사제의 영성지도는 모든 사람이 본래 하느님 또는 하늘로부터 받은 마음의 손상된 부분을 회복시켜 주는 것을 말하는 것에서 같다. 이처럼 군자나 사제의지향점이 모두 같음을 볼 수 있다 하겠다. 그런데 다른 점은 군자의 정인심이 사람들의 마음을 선하게 하는 인간적 관계에 주안점을 둔다면, 사제의 영성지도는 인간관계 보다는 하느님과 피지도자의 관계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다. 즉 사제가 피지도자와 인간적 관계를 돈독히 하기 보다는 그 일차적 관심사가 하느님과 피지도자의 관계에 있음을 분명히 함으로써 인간적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군자의 정인심은 군자가 주체가 되어 범인들의 마음을 바르게 하지만, 사제는 하느님과 사람들 사이의 협력자에 불과하고 객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영성지도의 주체는 하느님이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정인심과 영성지도의 주체가 다르다는 면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고 하겠다. 셋째로 儒家의 大同社會나 가톨릭의 하느님 나라는 하느님과 모든 인간 또는 天人이 合一된 社會이며 하느님과 一致된 사회이다. 여기서 고찰하고 비교해 본 것은 이러한 이상 사회에 도달하는 과정 중 君子와 司祭의 役割이다. 먼저 군자가 대동사회의 건설을 위해 大公을 실행하고 만민을 사랑한다면, 사제는 구원이신 예수를 선포하고 하느님의 샘솟는 사랑(Amor fountains)을 전하는 것이다. 또한 군자가 대 사회적으로 경제적인 면에서의 人間愛를 실현해 모두의 平等을 실현하고자 한다면, 사제 역시 경제 정의의 증진을 통해 구조적 모순에 대한 총체적 변형을 이루고자 한다. 즉 모두 세계의 평화와 복지사회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면에서 군자와 사제의 이상사회 건설은 같은 맥락을 띠고 있다고 본다. 그런데 군자의 대동사회 건설은 이 지상의 이상사회를 지향하고 있는 반면, 사제의 하느님 나라 구현은 천상의 하느님 나라를 이 땅에 실현시키는 것이지만 궁극적인 지향점은 천상의 하느님 나라에 있다는 것이 크게 다른 측면이다. 즉 이상사회 건설의 시점이 차이가 있는 것이다. 군자는 그 시점을 현시대를 지향하는 것이고 사제의 하느님 나라 구현은 그 시점이 세상의 완성인 종말에 두고 있는 것이다. 사제는 세상의 완성인 하느님 나라의 도래로써만 이상적인 사회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언제나 마음에 품고 살아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이것은 군자와 사제의 종교적인 시각의 차이에서 비롯된 아주 큰 차이점인 것이다. 지금까지 東洋의 理想的 人間像인 君子之道와 가톨릭의 理想的 人間像인 司祭의 靈性에 대해 비교해 본 결과 君子之道나 司祭靈性은 큰 차이점이 없었다. 차이점이 있다면 바라보는 관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結論的으로 儒家와 가톨릭의 제일 큰 차이점은 儒家는 下學以上達해 깨달아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고 그리스도교는 啓示 宗敎로써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照明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君子之道와 司祭 靈性이 참인가성 회복에 갖는 意義는 사람이 자신의 본성인 착함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고, 그것은 바로 사랑으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窮極的인 目標는 하느님 또는 天과 인간이 合一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야만 인간은 자신의 본성을 회복할 수 있고 大同社會 또는 하느님 나라가 이 세상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