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를 중심으로

        한진영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re were a number of casualties and damage because of fire in the Daebong Green apartment on January 10, 2015. The apartment was an urban living home, which was set up for contributing owner’s and resident’s convenience by relaxing various regulations for the sake of promoting housing provision within the multi-unit dwellings of Housing Act in 2009. The major deregulation matters of urban living homes were an easing of access road and parking lot installation, exemption of management office, landscaping facilities, emergency water supply facilities, and exclus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co-housing arrangement criteria and the distance between buildings, etc. In the Uijeongbu Daebong Green apartment’s fire,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the failure of early fire suppression, the problem of the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ation, the risk of parking lot installation in piloti, refugee problems, installation of combustible exterior wall, narrow spacing between buildings, etc. This research proposes to strengthen fire safety improvement of urban living homes in the three parts such as fire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through the deregulation of urban living homes, the problems from the Daebong Green apartment’s fire and similar case studies. In the fire prevention part, we should set up for strengthening piloti criteria so as to build more safe fire standards, banning to use combustible exterior wall in buildings, establishing some distances between combustible walls and upgrading the scope of multi-unit dwelling of specific fire objects to public housing law. In the fire preparedness aspect, the research proposes to establish a tentative "Assistant Fire training system Fire Training Assistant system : fire officials are sent to help owner and residents when a fire object drill is occurred " to enhance the effect of fire drills, to enhance traffic enforcement to illegal parking in side streets, to revise the system of housing refuge and to expand the hydrant of side reads and the allocation of pump truck in each fire station. In the fire response sphere, it is needed to reinforce the response activities of first responding team and to revise the f the standard operational procedures for urban living house fire. Although urban living homes are conducted by an ambitious government’s will for the sake of easing the regulations for increas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residential part of city to meet people's housing in quantitative terms, the safety sector have faced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large fires like the Uijeongbu fire, therefore some rapid countermeasures have to be set up to solve the related problems. 2015.1.10.일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다수의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대봉그린아파트는 도시형 생활주택으로서 도시형 생활주택 제도는 2009년에 건축법의 공동주택중 소규모 가구의 주택공급을 위하여 각종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건축주 및 거주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만든 제도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요 규제완화 사항은 주차장 설치 및 진입도로 기준 완화, 관리사무소․조경시설․비상급수시설 등 면제, 공동주택의 배치 기준 및 건물간 이격거리 적용 배제 등이다.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에서는 초기 화재진압 실패, 설치된 소방시설의 문제, 필로티내 주차장 설치의 위험성, 피난상의 문제, 가연성 외벽 단열재, 좁은 건물간 이격거리 등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주요 규제완화 사항, 의정부 화재시 도출된 문제점, 유사 화재사례 분석, 실태조사 등을 통해 예방, 대비 및 대응분야로 나누어 도시형 생활주택의 화재안전 강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화재 예방 제안에서는, 필로티 화재안전강화 기준을 마련해야 하고, 주차장 설치기준 및 진입도로 기준을 강화해야 하며, 건축물의 가연성 외벽 단열재 사용 금지 및 연소할 우려가 있는 외벽간의 이격거리 법안을 신설하고, 소방 관련법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공동주택 범주를 건축법상 공동주택으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 화재 대비 제안에서는, 관계자에 의한 소방훈련 강화를 위해 가칭 『소방훈련 도우미 제도』 운영을 제안하며, 이면도로의 불법주차 단속을 강화하고, 주택의 피난 시스템 체계 개선이 필요하며, 소방서별로 1대 이상 소형 펌프차량 배치 및 이면도로 소화전을 확충해야 할 것이다. 화재 대응 제안으로는, 선착대 대응활동을 강화하고, 도시형 생활주택 화재에 적용할 표준작전절차의 개정이 필요하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도시 서민들의 주거의 양 및 질을 높이기 위해 정부에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면서까지 야심차게 실시하여 주거의 양적인 면에서는 일부 충족하였으나, 안전 분야는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의정부 화재와 같이 대형 화재가 발생하였으므로 신속한 대책수립이 요구된다. 주제어 : 도시형 생활주택, 화재, 의정부, 필로티, 외벽, 이격거리

      • 가로시장의 특성을 삽입한 상설모란시장 리노베이션

        한진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국시대부터 형성되어온 우리나라의 재래시장은 "시장거래"를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시장거리는 먼 객지의 상인, 수공업자, 농민들이 함께 모여 물건을 사고 팔며 즐기는 축제의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수요의 편리성에 대한 요구의 증가로 인해 시장은 건물로 밀집되어 내부화 되고 이러한 건물시장은 외부와 차단된 내부, 채광, 통풍, 커뮤니티적 기능상실 등의 문제점이 생겨났다. 또한 1976년 '시장 근대화 계획 ' 이라는 재래시장의 개량 방침 이 후 많은 재래시장들이 철거 재개발에 의한 주상복합 형태나 종합상가 계발로 유도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재래시장의 현대화 개발 과정에서 시설 및 환경, 그리고 도시계획 시설로서의 기능과 같은 기존의 재래시장이 갖고 있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시흐름과의 단절, 수직적 기능연계 저하로 인한 상층부의 비활성화, 인간성 결여, 자연적 요소부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시장의 환경은 더욱더 악화되고 있다. 본 설계 계획안은 모란시장의 성장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재구조화를 거듭하고 있는 모란시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모란시장에서 경계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설모란시장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모란시장에서 나타나는 주요 영역들의 연계와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적용 방법으로는 ■ 가로시장의 특성을 상설모란시장 안에 삽입 ■ 주변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한 상설모란시장 영역의 재설정 즉, 개념적인 설계안을 통해 경계요소를 허물고, 모란시장 에서 나타나는 주요 영역들의 연계와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철거 재개발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존 상가건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상설모란시장을 재활성화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확산 모델을 이용한 누출 감지 센서의 위치 최적화

        한진영 부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제조업의 특성상 위험물을 대량 저장하거나 취급하므로 사고가 발생하면 이는 곧 엄청난 피해를 야기하는 중대산업사고 즉 대형사고로 발전하게 된다. 구미 불산 누출 사고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학물질의 누출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나 인화성 액체의 경우, 누출이 화재,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현재 위험성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방향에 맞춰 2023년5월22일 위험성평가가 개정이 되기도 하였다. 위험성 감소대책 중 위험물 저장시설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사고의 피해를 최소로 하는 간단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센서의 설치 위치의 경우, 대부분 과거의 경험을 통하여 위치를 결정하거나, 센서 제작 업체가 제시하는 가이드나 조언을 통하여 결정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누출이 일어났을 때부터 확산모델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물질의 확산 농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저장탱크의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에 센서를 배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최적의 위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누출 사고 발생시 빠른 감지와 사고 대응이 가능하는데 도 움을 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안전한 위험물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he example of the Gumi hydrofluoric acid leak age accident in 2012, chemical leakage accidents are steadily occur ring, and secondary damage is also very seriou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stalling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of material in the workplace is the simplest way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accident. The reality is that most of the installation locations of sensors are determined through past experiences or thro ugh guides or advice presented by sensor manufactures. This study calculates the diffusion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over time through a diffusion model when a chemical leak occurs, and uses the results to find the optimal location of how far the sensor should be placed from the storage tank location. Through this, it can help to quickly detect and respond to accidents in the event of a leakage accident, and finally manage dangerous substances safely.

      • 아츠프로펠을 적용한 모둠별 음악창작 수업지도안 연구

        한진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교육이 추구하는 전인적 인간형성과 창의성 계발을 위해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모둠별 창작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고 그에 따른 교육학습 효과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아츠 프로펠의 도메인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 기법을 현실적인 교수 현장 역량과 교수학습 현실에 적합하게 수정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가 만족할 수 있는 창작학습의 수행을 위해 음악교과의 제한적인 시수를 고려하였고, 다수의 학습자에 의한 최대의 성취도를 위해 모둠형태의 협동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창작수업을 이해하고 음악형식을 갖춘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수업 목표를 설정하였다. 실제‘화음에 어울리는 가락짓기’라는 목표로 3주간 6차시의 수업을 계획하여 단계별로 진행했던 창작수업을 4주간 8차시의 수업으로 수정하여 지도안을 구안하였으며, 아츠 프로펠의 도메인 프로젝트를 적용하여 음악의 구성요소 이해, 리듬 창작, 가락 창작, 화음진행에 맞게 창작, 작품연주의 순서로 구성하여 체계적인 수업방법으로 지도안을 보완하였다. 단계별 모둠창작 수업지도안을 구안하여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진행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둠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 스스로 모둠 안에서의 역할을 정해 자신이 선택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역할의 중요함을 깨닫도록 하였고, 모둠별 이끔이를 선정하고 역할명을 부여하여 모둠원들이 자기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협동 교육을 적용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참여가 수업의 학습효과를 상승시켰으며 그로 인해 예상보다 빨리 창작 작품이 완성되었다. 셋째, 수업이 끝난 후 진행된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에서 85.2%의 학생이 긍정적인 응답을 선택함으로써 음악 창작수업에 대한 흥미와 지속적인 학습의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단계별 모둠창작수업이 순차적점진적 학습방향 결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순기능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단계별 모둠창작수업에 체계적인 아츠 프로펠의 도메인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 기법을 적용한 본 연구가 현실적인 음악교육의 목표 달성과 현장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보다 실질적인 수업지도 방안 연구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 컨벤션산업의 산업연관구조 및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한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진영 세종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컨벤션산업의 산업연관구조 및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한국 컨벤션산업에 대한 예측 및 발전전망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또한 컨벤션산업이 각 산업분야에서 처해져 있는 위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한․일 양국의 컨벤션산업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컨벤션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계량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컨벤션산업의 구조적 측면에서 타산업과의 상호연관관계를 파악하고 국민경제 전반에 걸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분석기법인 산업연관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으로서의 컨벤션에 대한 범위를 산업연관표 체계의 틀 내에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컨벤션 주최자지출 분석, 전문가의견을 토대로 컨벤션관련 산업을 컨벤션관련 농업(화훼장식업), 컨벤션관련 제조업(유니폼제작업, 행사가방 제작업, 종이문구업, 출판인쇄업, 행사장치업), 컨벤션관련 서비스업(음식점업, 숙박업, 교통업, 통신업, 컨벤션관련 금융․보험업, 시설임차업, 법무 및 회계서비스업, 컴퓨터관련서비스업, 물품임대업, 광고업, 청소서비스업, 기타지원서비스업, 문화오락서비스업), 컨벤션관련 기타(기타 컨벤션관련업) 등 4개 부문으로 통합분류 하였다. 이러한 컨벤션 관련산업과 기본산업을 포괄하여 본 연구에서는 15개 부문, 31개 산업으로 최종적으로 분류하여 이용하였다. 둘째, 컨벤션 관련산업 및 컨벤션산업이 현재 산업으로서의 경제적 위상을 파악하였다. 기존연구에서 컨벤션산업의 경제적 위치와 파급효과를 분석 시 행하였던 컨벤션 관련산업을 모두 포함한 경우와 컨벤션산업을 산업연관표상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산업으로 분리한 경우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리 이전의 한국 컨벤션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율은 2000년 47.31%, 2003년 47.11%로 나타났고, 분리 이후는 2000년 71.80%, 2003년 78.78%로 나타났다. 분리 이전의 일본 컨벤션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율은 2000년 54.29%로, 분리 이후는 2000년 68.26%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독립된 산업으로서 컨벤션산업의 경제적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셋째, 한․일간 산업연관표를 통해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간투입률과 중간수요율, 부가가치율, 취업계수, 그리고 고용계수 등의 투입구조 변화추이를 시계열분석 하였다. 컨벤션 관련산업의 중간투입률은 1990년 51.83%에서 2003년 52.89%로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도 1990년 43.68%에서 2000년 45.71%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 컨벤션 관련산업의 중간수요율은 1990년 68.59%에서 2003년 58.92%로 낮아지고 있으며, 일본 컨벤션 관련산업의 중간수요율은 1990년 59.88%에서 2000년 59.06%로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 컨벤션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율은 1990년 48.17%에서 2003년 47.11%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일본 컨벤션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율도 1990년 56.32%에서 2000년 54.29%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넷째, 컨벤션 중심 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산출 및 부가가치, 중간투입 및 중간수요, 최종수요, 수출과 수입, 취업자 및 고용자를 통해 컨벤션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시장규모를 살펴보고 국민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한국 컨벤션산업의 2000년 산출액은 3,923억 원(0.03%), 2003년은 5,182억 원(0.03%), 일본 컨벤션산업의 2000년 산출액은 1,174억 엔(0.01%)으로 한국의 2000년 산출액 비중보다 약 0.0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컨벤션산업의 부가가치액은 2000년 2,816억 원(0.05%), 2003년 4,082억 원(0.05%), 일본 컨벤션산업의 부가가치액은 2000년 802억 엔(0.02%)으로 한국보다 2000년 부가가치의 비중이 0.03%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컨벤션산업의 산업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컨벤션 관련산업 및 컨벤션산업의 산업간 중간투입율과 중간수요율, 부가가치율과 수입계수, 유발효과(생산, 부가가치, 수입, 취업, 고용), 그리고 전․후방 연계효과 등 관련 산업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한국 컨벤션산업의 중간투입율은 2000년 28.20%에서 2003년 21.22%로 낮아졌으며, 일본 컨벤션산업의 중간투입율은 2000년 31.74%로 한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 컨벤션산업의 중간수요율은 2000년 84.97%에서 2003년 67.34%로 낮아졌으며, 일본 컨벤션산업의 중간수요율은 2000년 71.79%로 나타났다. 한국 컨벤션산업의 부가가치율은 2000년 71.80%, 2003년 78.78%로 나타났고, 일본 컨벤션산업의 부가가치율은 2000년 68.26%로 나타나 한국보다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외국인 컨벤션 참가자지출에 의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수입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등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가자 지출에 의한 효과는 주최측지출 효과의 1/3 정도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였는데, 이것은 외국인 참가자의 지출액만을 대상으로 추정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컨벤션 참가자 지출에 의한 컨벤션산업의 산출효과는 2000년 1,253억 원(68.53%), 2003년에는 1,481억 원(73.82%)으로 약 5% 정도 증가하였다.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00년 899억

      • Interfacial engineering of the ZnO electron transporting layer by self-assembled monolayers for high performance perovskite solar cells

        한진영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무기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최근 25% 이상의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달성하여 차세대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페 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이산화 타이타늄 (Titanium dioxide, TiO2) 전자전달층은 500 ̊C 이상의 고온 공정으로 인해 대면적화와 유 연 소자로의 응용에 한계가 있다. 산화아연 (Zinc oxide, ZnO)은 전자전달층으로 써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며, 200 °C 미만의 저온에서도 용액 공정이 가 능하기 때문에 이산화 타이타늄 전자전달층의 대체제로써 주목 받고 있다. 그 러나 MAPbI3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산화아연 전자전달층 사이의 게면에 서 유도된 양성자 전달 반응은 페로브스카이트를 PbI2로 분해되는 결과를 초 래한다. 이는 태양전지 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저하시키며, 산화아연과 페로브스카이트의 계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립단분자막을 적용한 산 화아연의 표면 개질을 통해 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였다. 자기조립단분자막 물질로는 4-메톡시벤조산, 3, 4-디메 톡시벤조산, 3, 4, 5-트리메톡시벤조산의 3가지 벤조산 유도체를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물질로 산화아연 전자전달층의 표면을 개질하여 광전자 성질에 미치는 계면 제어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자기조립단분자막의 메톡시 그룹은 페로브스 카이트의 메틸암모늄 양이온과 수소 결합을 형성하여 게면에서 쌍극자 모멘트 를 유도하였다. 특히 3, 4, 5-트리메톡시벤조산은 강한 쌍극자 모멘트 및 메톡시 작용기와 메틸암모늄 사이의 효율적인 수소 결합으로 인해 4-메톡시시벤조산 과 3, 4-디메톡시벤조산에 비해 소자의 내부 확산 전위 (built-in potential) 값이 증가하였다. 더욱이, 자기조립단분자막의 메톡시 작용기는 산화아연 표면의 소 수성을 증가시켜 페로브스카이트의 결정성과 그레인 (grain)의 크기를 향상시 키고, 결과적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에서의 전하 재결합을 감소시켰다. 그 결과, 광전변환효율이 1.44%인 산화아연 기반의 비교 대상 소자에 비해, 3, 4, 5-트리메톡시벤조산을 통해 표면을 개질한 산화아연 기반의 소자는 13.75% 의 향상된 광전변환효율을 보였다. 또한, 계면에서의 양성자 전달 반응 억제로 인해 수분 안정성과 대기 환경(28 ◦C, 상대습도 45%)에서의 장기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안정성이 향상된 소자 제작 프로토 콜은 태양전지 분야뿐만 아니라 광 검출기, 레이저, LED 등 다양한 광전자 소 자 영역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demonstrated modification of the ZnO ETL by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 to suppress the decomposition of perovskite for low-temperature processed and high performance PSC. It was found that utilization of SAMs, especially 4-methoxybenzoic acid (MBA), 3, 4-dimethoxybenzoic acid (DMBA) and 3, 4, 5-trimethoxybenzoic acid (TMBA) on ZnO ETL prevents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perovskite and ZnO ETLs, avoiding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between perovskite and ZnO ETL. Also, strong dipole effect induced by a methoxy functional group of SAM interlayer can control the work function of ZnO ETL, resulting in an enhancement of built-in potential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We verified the enhancement in work function of ZnO by ultraviolet photoemission spectroscopy (UPS) analysis. After employing TMBA interlayer, the work function of ZnO was significantly enhanced from 4.62 to 4.40 eV, inducing higher built-in potential inside the devices. Moreover, the SAM layer can also control the wetting property of ETLs to promote the perovskite grain with high crystallinity which can be demonstrated by the SEM and XRD measurement. Furthermore, the O-H hydrogen-bonding between methoxy functional group of SAMs and methylammonium cation of the perovskite can effectively suppressed the deprotonation of perovskite by passivation. As a result,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the device was substantially enhanced from 1.44 to 13.75% after employing optimized SAM interlayer, which was mainly ascribed for the highly increased open circuit voltage (VOC). Also, the thermal and long-term stability of the device were enhanced after SAM treatment, because SAM interlayer suppressed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between perovskite and ZnO by preventing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se two layers.

      • 교육에서 자유와 권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진영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의 가장 전통적인 이상은 '자유인'을 기르는 것으로 이러한 교육 이념은 현대 교육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자유의 이념을 교육의 실제에 적용시키는 것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무엇보다 자유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자유와 교육의 실제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권위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육에 있어서 자유와 권위의 의미를 논의함으로써 아동의 자유와 교사의 권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율성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자유'라는 개념은 어떤 행위를 할 때 그 행위자에게 구속이나 장애가 없는 상태를 뜻하는데, 외적 통제나 간섭이 없는 소극적 자유와 무엇인가를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적극적 자유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권위'의 개념은 특정한 사람이 명령, 결정, 선언을 통하여 공적 가치 체계에 호소함으로써 타인의 행동을 규제하는 힘을 의미한다. 교육에서 논의된 자유는 소극적 의미로 보면 아동이 처한 교육적 상황에서 억압과 구속이 없을 것을 요구하는 아동 중심 교육의 주장으로 대변된다. 그러나 교육의 목적을 자유인의 육성으로 보면 이는 소극적인 자유로는 불가능하고 합리적인 마음 즉 이성의 개발을 통해 자유를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교육에서는 아동이 하고자 하는 대로 내버려두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적극적 자유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육에서는 권위라는 개념은 교과의 권위와 교사의 권위로 대응시켜 볼 수 있다. 이성을 개발시키기 위해 지식의 보고로서 교과는 전수되어야 할 것이지만 특정 교과에 얽매이기보다는 자유 교과에서 추구되었던 그 정신을 중시 여겨야 한다. 교사는 전문지식과 교수 방법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도덕적으로 탁월하여야 그 권위가 정당화된다. 또한 학생들이 성장하여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면 학생 내부의 규제와 권위에 따를 수 있도록 교사는 자신의 권위를 학생들의 자율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필요할 때까지만 행사하여야 한다. 실제적인 자유는 다른 사람의 간섭에 대항해서 방어될 수 있는 일반적인 규칙 체제를 가질 때에만 가능하므로 구속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무제한의 자유를 허용하는 것은 또 다른 힘에 의해 구속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서 자유를 제한하는 권위가 필요하다는 '자유의 패러독스'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적 이상인 '자유인'은 자기지배로서의 자율성을 갖춘 사람이며 이것은 합리성과 도덕성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 자율성은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것은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이 자율적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선택과 도덕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전통과 문화, 지식, 규범 등을 정당한 권위에 의해 획득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자율의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권위의 단계를 거쳐야 하며 이것은 적극적 자유의 개념인 자율을 이루기 위해서는 권위에 의한 소극적 자유의 제한이 정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육에서는 자기 지배 능력인 자율성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정당한 권위를 인정해주어야 하며 교사는 권위주의자로서가 아니라 권위자로서 아동을 인격체로 인정해주고 그들을 지식의 형식에 입문시킴으로써, 아동들이 합리성과 도덕성을 바탕으로 이성적 자기 입법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The most important ideal in education is typically to foster a liberal citizen with autonomic characteristics, which had considerably influences on modern educational thought. But what freedom thought is applied to actual education has the much problems on the account of variable factors. In other words, there need to see eye to eye the problems in the relation between freedom and education, and also needs to still investigate the relation with authority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utilization of freedom thought.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diagnosing the relation between learner's freedom and teacher's authorit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freedom and authority in education, and also this researcher will take a look a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reedom(autonomy). Anyway, How to solve this problem is still a matter of debate. The concept of 'freedom' means a behavior's liberal state without other's constrainment or intervention, which is classified into passive freedom without other's hindrance or external barrier and positive freedom with spontaneous inclination. In the other hands, the concept of 'Authority' means the compulsory ability which regulates other's behaviorism by a specular man's imperation, judgement, clarification. The freedom in education means to emphasize children-centered education without other's constrainment or intervention under children's educational circumstances with the respective to passive meanings. However, if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foster liberal citizen, there need to enhance the abilities which are able to pursue their freedom through passive freedom as well as the positive ability such as their rationality development. Accordingly, the education would have to make an efforts to enhance its educational thought not by children's random needs but by children's positive, proper freedom. The concept of authority in education could be corresponded to curriculum's authority and teacher's authority. The curriculum as a repository of knowledge has to be transferred to develope children's rationality, but there would has to signify its spirit which was pursued by freedom curriculum rather than depending on a peculiar curriculum. In the case that teacher is superior to any others with the respective to their knowledge and learning-teaching method and morality, their authority is inclined to be justified. Teachers would make an effort to have students confirm to their own internal regulation in the process that learners enhance their autonomy, and also teachers have to realize their authority according to the necessity considering students’ spontaneous development. Substantial freedom is able to be realized by only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regulation to cope to others' intervention, accordingly what permits unrestricted freedom to escape other restriction conditions brings about another constrainment. In other words, there cannot help acknowledging the paradox of freedom that "there need to restrict one's freedom for one's freedom guarantee". The liberal citizen as a educational ideal means a natural person with autonomy under self-government, which is the conception including rationality and morality. Authority means to choose something by their own intention, but the authority has to be exercised to the extent not giving damage to others. Children have to complete the ability to select rationally and morally to grow as a autonomic person, which would be able to acquired by justifiable authority such as traditionality, culture, knowledge, regulation. Accordingly, there has to undergo the process of authority to access autonomic level. This efforts mean to justify passive freedom restriction by the authority to accomplish their autonomy as a positive freedom. In the other hands, education has to admit teacher's justifiable authority to realize the autonomy as a self-government ability,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recognize children as a individuality from majestic light. And after, teachers have to help them become a rational self-lawgiver with proper rationality and morality in the process making them initiate into the form of knowledge.

      •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페트루슈카』 감상 지도 방안

        한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레는 서양 공연 예술 장르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무용 뿐 아니라 음악, 미술, 문학, 회화적 요소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종합예술로 각각 독립된 형태가 아닌 여러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또 다른 차원의 종합예술을 빚어냈다는 점에서 예술교육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발레의 감상에는 발레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예술 장르들의 연관성과 그것들이 결합되어 빚어내는 총체적 의미의 파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고전발레와 모던발레는 표현 방식이 다르고 표현 기술과 형식적 측면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발레의 종류에 따라 지도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고전발레의 구조적 측면에만 주목하거나, 발레의 주요곡만 발췌하여 무대장치나 의상, 동작과는 분리된 감상을 제시하기도 하고, 음악적 기법이나 줄거리와 연계하여 분위기를 느끼는 것을 유도하는 등 발레의 특성에 바탕을 두지 않은 획일적이며 피상적인 감상 방안만이 제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전발레와는 다른 모던발레를 학생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페트루슈카』를 선정하였다. 『페트루슈카』는 현대인의 소외된 현실과 상실의 공허함을 개성적인 원시주의 음악어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초점은 이러한 표현을 위해 『페트루슈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파악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러시아 발레의 발생 및 전개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스트라빈스키의 발레 음악과 『페트루슈카』의 작곡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발레 『페트루슈카』는 20세기에 접어들며 날로 다원화되는 사회와 전쟁이 임박했음을 예감하는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탄생하였음을 감안하여 특히 작품이 만들어지게 된 시대적 배경과 주인공 ‘페트루슈카’가 표상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또한 발레는 각각의 예술이 독립된 형태가 아닌 여러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탄생한 종합예술이므로 발레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예술의 연관성과 그것들이 결합되어 빚어지는 총체적 의미의 파악에 주력하였다. 『페트루슈카』는 고전발레에서 모던발레로의 전환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받는 만큼, 고전발레의 형식적인 가치가 아닌 모던발레의 사실적이고 직접적인 감정의 표현이 새로운 움직임의 언어로 어떻게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는지도 탐색하였다. 감상 지도를 위한 도입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기존의 고전발레와 다름을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차이코프스키 『백조의 호수』중 “그랑 파 드 되”와 스트라빈스키 『페트루슈카』 중 “Waltz”를 비교하여 감상을 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감상 후 줄거리를 이해하고 작곡가와 작곡 배경, 스토리와 캐릭터에 담긴 의미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 배경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복조와 복화음, 리듬 유니즌과 폴리 리듬, 변박자와 복박자 등 원시주의 음악적 요소가 어떻게 등장인물의 감정을 몸짓으로 드러내는 지 살펴보도록 지도하였다. 음악을 들으며 캐릭터를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표현해봄으로 발레라는 종합예술의 필수구성 요소인 음악과 발레를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경험해보는 활동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선 음악적 반응을 내면화하기 위한 편지나 일기 쓰기 같은 정리 활동을 구안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발레 『페트루슈카』가 작곡가에 의해 만들어진 스토리와 독특한 음악 어법, 신체적 표현으로 긴밀하게 엮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레 감상을 지도하기 위해 교사는 발레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예술의 연관성과 그것들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총체적 의미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발레라는 종합예술의 필수구성 요소로서 음악의 참여 방식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 또한 감상 수업 준비에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생들의 발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그 속에 담긴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고 즐기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조기집중행동중재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부모의 인식 및 요구

        한진영 백석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조기집중행동중재에 대한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부모의 인식 및 요구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조기집중행동중재의 전반적인 부분 즉 진단 후 중재 전까지와 중재 및 중재 후에 나타나는 인식 및 부모님의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진단 후 중재가 들어가기 전까지의 경험과 어려움, 중재하는 동안 부모님이 느끼는 만족과 부족함에 대한 인식 그리고 중재 후에 나타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요구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6개월에서 3년 동안의 기간에 걸쳐 조기집중행동중재기관에서 조기집중행동중재를 받은 아동의 부모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을 하는 등 부모의 요구를 면밀히 알아보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결과 첫째, 진단 후 조기집중중재기관으로 가기 전 1년 이상 장기 대기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이 컸으며 대기시간 동안 다른 개별 치료들도 해 보았지만, 자녀에게 제공되는 교육적 효과가 조기집중행동중재보다 불충분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진단 후 진단기관에서 곧바로 중재집중중재기관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둘째, 중재를 받으면서 자녀의 개별적 특성에 맞춘 중재내용에 대해서는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중재종료 후 학령기에서도 중재교육의 효과가 이어져 나타날 것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일반화 교육이나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재내용에는 만족하지만, 중재기관과의 거리적 접근에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며 이러한 고충의 해소 차원에서 전문가 양성을 통한 중재기관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현재 제공되는 치료비용에 대한 지원정보를 알기가 쉽지 않고 실질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에 비해 지원액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의료보험 적용범위의 확대 및 바우쳐 제공, 기관 수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셋째, 중재 후 통합어린이집, 통합유치원으로 진학 시 조기집중중재기관에서 받았던 교육에 기간적 공백이 생기고 응용 행동분석 전문가 수의 부족으로 인해 조기집중중재기관과 이후 교육기관과의 교육 연계성의 부족을 인식하고 이의 보완책으로 중재 후 아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계 시스템을 통한 공백 없는 교육을 요구했다. 넷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부모로서 일반아동에 비해 양육스트레스가 기본적으로 높으며 진단 후부터 지속적인 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이런 부모들에 대한 심리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지만 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기존의 제도가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했다. 따라서 부모들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심리적 지원의 제공과 이를 위한 정보를 요구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조기집중행동중재를 받고 있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부모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조기집중행동중재 부모의 효능감이나 기관의 실태조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부모의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조사는 거의 미비하다. 따라서 조기집중중재를 받고 있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부모들이 자녀에 대한 조기집중행동중재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지만, 제도적, 경제적, 심리적지원의 미비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고 하는 인식과 제도적, 경제적, 심리적 지원에 대한 그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음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질적 연구의 특성으로 인해 소수의 연구 참여자 만에 대한 심층면접을 이용한 연구이므로 추후에 양적 연구로 다수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위의 연구결과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좀 더 다양한 연구 참여자에 대한 후속 연구나 조기집중행동중재 후에 대한 연구, 특히 조기집중행동중재의 교육 후 학령기의 인식연구를 통해 추후 중재의 교육적 효과와 요구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 ABA, 조기중재, 조기집중행동중재, EIBI, 부모인식, 부모요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