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정은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an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six cas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including three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nother three overse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s and detail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tudy then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 total of 38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37(97.4%) responded that they had no writte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investigator presented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collectional development policies,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examining six cases of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analyzing the survey from 38 theological academic libraries. Such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presenting the general status and; 2) internal factor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Reflect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facto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by identifying seve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the policy: prefaces, collection selection, collection gathering, budget, collection maintenance, mutual cooperation and intellectual freedom, and revi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e seven elements were, then, further classified as required, selective, and additional,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cademic libraries at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with no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be able to apply the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presented in the study and utilize it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i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hose libraries that already establish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will also be able to make use of the model when revis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방안과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사례로 각 3개관 총 6개관을 대상으로 장서개발정책의 구성요소 및 세부사항을 비교․분석하였다.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8문항으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38개의 신학대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7개관이 성문화된 장서개발정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을 일반 현황인 외적 환경요인과 장서개발정책의 구성내용 면에서의 내적 요인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장서개발정책 수립 요인을 기초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내용은 서문, 장서의 선정, 장서의 수집, 예산, 장서의 유지 및 관리, 상호협력과 지적자유, 장서개발정책 개정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각 항목별로 중요도를 구별하여 필수․선택․추가 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은 장서개발정책의 수립 요인과 모형을 준용하여 장서개발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미 장서개발정책이 마련된 신학대학교도서관의 경우에는 보다 이상적인 방향으로 개정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기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prospect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139 dissertations were unearthed using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year 1983, when the dissertation on Korean Sign Language was first published, is Kim Se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Since then, a total of 139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22 (87.8%) have master's papers and 17 (12.2%) have doctoral dissertations. Second, looking at the studies in detail by chronological trends, ① 1st Period (1983-2001): From 1983 to 2001, a total of 2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cluding 17 master's thesi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② 2nd Period (2002-2015): A total of 88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by 2015 with 77 master's and 11 doctoral dissert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epartment in the master's courses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2002. ③ 3rd Period (2016-2019):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2016, 31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28 master's dissertation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Third, based on the research topics, “Sign Language" dissertat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46 dissertations(36 master's and 10 Ph.D.'s), followed by “Sign Language Interpretion" (38 dissertations), “Engineering Research" (36 dissertations), “Others" (15 dissertations), and "Sign Language Education" (4 dissertations). In addition, by research method, 50 literature review (36.0%), 34 engineering research (24.7%), 31 survey research (22.3%), and 24 qualitative research (17.3%). Fourthly, a total of 56 Graduate schools published their dissertations, and the one that published the most dissertations was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the first to set up graduate schools. A total of 28 dissertations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27 and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1 were published,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Welfare at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Next, 15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the Daegu University, which included 10 from the special education category (6 master's and 4 doctoral dissertations), and 5 from the social welfare category (4 master's and 1 doctoral dissertations). In addition, 9 dissertations (7 masters, 2 doctoral doctors) were published at Kangnam University,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Dankook University. 6 universities have published 3 or 4 dissertations, and a total of 46 universities have less than three dissertation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s were as follows by dividing it into “Sign Languag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ig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46 dissertations (36 master's and 10 Ph.D.) were published in the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and 10 dissertations (7 master's and 3 Ph.D.) in the 1st Period and 28 dissertations (22 masters and 6 Ph.D.) in the 2nd Period,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Ph.D.) in the 3rd Period. A total of 38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were published (34 masters and 4 Ph.D.), the 1st Period, two Master's dissertations, the 2nd Period, 26 dissertations (23 masters and 3 Ph.D.) and in the 3rd Period, 10 dissertations (9 masters and 1 Ph.D.) were published. A total of 4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the study on “Sig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se, 2 dissertations were related to the 'Textbook', 1 study on the survey and the other on the improvement plan, and 1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ost recent dissertation was published in 2017, which is the least developed among other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above trend analysis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as follows : First is the diversity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and themes.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and themes and the increasing trend will lead to more active sign language research.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in the research category as a sub-area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research area of Korean Sign Language will be more activated. Third, the research methods of Sign Language research need to be extended to a more creative and linguistic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ormed the basic data whi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Sign Language and foreca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no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detail based on a sophisticated research analysis framework.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a more in-depth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dissertations and data is needed. Second, the result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study produced by the dissert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Database'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Third, we should actively train the Deaf researchers who use th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수어 관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수어연구의 연대별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연구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수어 관련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139편의 학위논문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연도는 1983년이며, 이는 김승국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그 이후 현재까지 총 139편의 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 중 석사논문이 122편(87.8%), 박사 논문이 17편(12.2%)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대별로 연구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제1기(1983-2001): 1983년부터 2001년까지 석사논문 17편, 박사논문 3편 등 총 2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② 제2기(2002-2015): 2002년 대학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 수화통역학과가 설립된 이후부터 2015년까지 석사논문 77편, 박사논문 11편으로 총 8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③ 제3기(2016-현재):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3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중 석사논문이 28편, 박사논문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수화언어’ 관련 논문이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어통역’(38편), ‘공학적 연구’(36편), ‘기타’(15편), ‘수어교육’(4편) 순이었다. 아울러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50편(36.0%), 공학연구 34편(24.4%), 조사연구 31편(22.3%), 질적연구 24편(17.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56개 대학에서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제일 많은 논문을 산출한 대학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수어 관련 석사과정을 설치한 나사렛대학교였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국제수화통역학과를 중심으로 총 28편의 논문(국제수화통역학과 17편, 재활학과 1편)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에서 15편의 논문 중 특수교육 계열에서 10편(석사 6편, 박사 4편), 사회복지 계열에서 5편(석사 4편, 박사 1편)이었다. 그 외 강남대학교에서 9편(석사 7편, 박사 2편), 단국대학교에서 8편의 논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3∼4개의 논문을 발표한 대학은 6개이며, 3개 미만의 논문이 나온 대학은 총 46개이다. 다섯째, 한국수어 연구를 ‘수화언어’, ‘수어통역’, ‘수어교육’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화언어’와 관련한 논문은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기간 동안 10편(석사 7편, 박사 3편), 제2기 28편(석사 22편, 박사 6편), 제3기 8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통역’과 관련한 논문은 총 38편(석사 34편, 박사 4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때는 석사논문 2편, 제2기 26편(석사 23편, 박사 3편), 제3기 10편(석사 9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총 4편의 석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중 교재와 관련한 논문이 2편이며,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편,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이 1편이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논문이 2017년이며, 다른 한국수어 연구 분야 중에서는 가장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향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분야와 주제의 다양성이다. 연구 영역과 주제가 다양하고 점점 증가 추세로 향후 수어연구는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와 특수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연구범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가 점차 수어학 영역이 구축되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한국수어만의 연구영역이 보다 더 확고해질 것이다. 셋째, 수어연구를 수행하는 연구방법이 보다 더 창의적이며 언어학적인 접근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형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교한 연구 분석틀을 토대로 세밀하게 연구 동향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 연구의 동향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끝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자료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학위 논문으로 산출된 한국수어 연구의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 대학 연계형 은퇴자 커뮤니티(UBRC)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향후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 건국대학교 '더클래식500'과 명지대학교 '엘펜하임' 사례를 중심으로

        윤홍근 강남대학교 융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and lifelong education for baby boomers is emphasized, this research is 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which is conducted for UBRC employees at Konkuk University's The Classic 500 and Myongji University's Elpenheim. UBRC(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 is the university-based residential complex of Continuous protection system type for senior citizens. Two UBRC places are transformed complex which is incomple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ba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two UBRC residents in Korea were able to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of retirees through the use of university-based social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club activities. Second, relationship level between retirees and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be merely volunteering in the form of talent donation such as smartphone usage, library arrangement, and language study. In order to promote generational exchanges between UBRC residents and college students, increasing the exchange effect in the direction of mutual benefit is needed by expanding face-to-face contact opportunitie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Key informant survey of two professors of universities those are conducting domestic UBRC pilot projects, they evaluated the use of the university's brand in terms of tenant marketing means. Lastly, their responses to the university role and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that it is essential for university authorities to provide development sites and to be led by external contractors to cover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costs. For the success of UBRC business,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various an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and open their own university resources or infrastructures.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work with universities to develop lifelong learning programs and build the framework to support UBRC pro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ed key features of the UBRCs those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UBRCs development in Korea.

      •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 탐색

        이현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ㆍ외 청각장애 학생 대상의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상황을 파악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 수어 통역 지원 업무 담당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한 당사자의 인식과 요구, 당사자가 생각하는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5년 이후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어 통역을 지원받았거나 수어 통역을 지원받고 싶어 하는 청각장애 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5년 이후 대학에 입학한 청각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는 열악해 서 학생들은 수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없으며, 대학은 수어 통 역사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해 당사자들은 수어 소통 능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속기 및 강의안 제공과 함께 수 어 통역사에 의한 수어 통역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하 지만 심리적 위축으로 필요한 지원을 신청하지 않는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 전문적 수어 통역을 속기 및 강의안 등의 추가 지원과 함께 충분히 지원할 것과 수어 통역 내용의 외부 유출 금지, 청인과 농인이 함께 배우는 수어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청각장애 학생의 성공적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청각장애 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의 지원 내용 홍보, 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어 통역사 지원, 속기 지원, 이를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이 이 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청각장애 대학생 자신들도 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통역지원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 대학생이 어릴 때부터 수어를 접하고 수어를 체계적으 로 배울 수 있는 방안을 국가 차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대학의 정확한 실태 파악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수어 통역을 신청한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수어 통역과 함께 속기와 강의안 등의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 넷째, 최근 대학 생활의 변화를 수어통역 지원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 수어 통역사의 보수 체계 기준과 수어 통역 업무 체계가 정책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지원 관련 법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을 위한 예산을 100%부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지원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 요구를 대학 생활 별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어 통역지원 방안 마련에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4개 대학으로 한정하였고, 대학 생활 별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확대하여 해석함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과 조사 내용을 더욱 확장하여 좀 더 구체적인 수어 통역 지원 요구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method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supports for helping d/Deaf and hard of hearing(d/DHH) university students adjust to their campus life. This study is conducted as preliminary research accompanied by the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s. Telephone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at D University, H University, and K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d/DHH students. Besid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63 d/DHH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 University, H University, K University who are interested in receiv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d/DHH college students about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adjustment to campus life, and their thoughts on how to apply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s. Moreov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DHH students who enrolled in college since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conditions are found significantly poor in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upport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to adjust to campus life. Therefore, d/DHH students cannot learn sign language systematically, and universities are unable to secure professional sign language interpreters easily. Second, d/DHH stud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such a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yllabuses and handouts, despite the lack of sign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they usually do not apply for the support(call for or demand) due to psychological withdrawal. Third, In order to adjust to campus life,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requesting proper supports not only for helping them study but also throughout their entire academic years in universities. Also, they demand sign language educa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additional supports, including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Fourth, for the successful adjustment to campus life of d/DHH students, it is crucial to secure a sufficient budget to make collaborative effort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For example, promoting the content of diverse supports,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with educational expertise, and stenography services are significantly needed. Also,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that they should go on the extra mile to improve this curr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o adjust to their campus life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measures to access and learn sign language from childhood should be considered as nation-wide plans. Second, making excessive efforts should be prece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to deal with the d/DHH university students' requests for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pplied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ourth,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reflect recent changes in campus life. Fifth, it is vital to establish systems related to university sign language interpreters' salary system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Sixth, it is crucial to strengthe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so that d/DHH university students can easily adjust to their campus life.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ay 100%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mplies that it has prepared useful materials to prepare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plans by identifying the recent status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in Korea and analyzing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of d/DHH university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ncludes limited participants enrolled in four universities and does not specifically reflect every university life need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to expand further th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and content to investigate more specific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학 작품 활용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중심으로

        도혜민 강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 내에서의 문학 작품을 파악, 분석함으로써 교재 내에서의 문학작품 활용 방안을 찾고자 했다. 분석의 대상은 건국대학교 「한국어」, 고려대학교 「재미있는 한국어」, 동국대학교 「함께 배워요 한국어」, 서강대학교 「서강 한국어」, 서울대학교 「한국어」, 성균관대학교 「배우기 쉬운 한국어」,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 「이화 한국어](가나다 순) 등 8종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학 작품 수록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교재별로 시대, 장르, 제시형태, 의사소통 기능 등의 항목을 나누어 어떻게 수록되어있나 살펴보았다. 첫째, 전체적으로는 시대 및 장르의 비율이 맞는 듯하였으나, 교재별로는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제시형태는 발췌, 요약, 전문 수록 중에서 전문 수록이 제일 많았다. 하지만 이것은 운문 문학이 많이 소개되었기 때문이며, 산문문학에서는 전문 수록이 거의 없었다. 셋째, 의사소통 기능 중에서는 읽기와 말하기로 연계되는 활동이 많았는데 그에 비해 쓰기와 듣기는 저조한 비율을 보였다. Ⅲ장에서는 교재에 나타나는 활동 양상을 크게 ‘내용 확인 문제, 추론하기, 경험 이야기하기, 자신의 생각 표현하기, 관련 정보 습득, 문법/어휘/표현, 배경지식 떠올리기, 단순소개(감상), 개작활동’ 9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어떻게 수록되어 있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재가 ‘내용 확인 문제’라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그 다음은 추론하기, 자신의 생각 표현하기, 경험 이야기하기가 그 뒤를 잇고 있었다. 이외에 학습자들의 흥미를 끌 만한 개작활동 등의 다른 활동들은 많이 나타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학습자들의 학습 의지 및 학습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기 위해 문학 작품의 현대적 수용 양상 및 한국 사회에서 그 문학 작품의 요소가 언어적, 문화적으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제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문학작품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언어, 문화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활용 대상이라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필요성과 가치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도 학습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재를 통해 실제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나 보고자 하였다. 현황 파악이나 분석 등은 대체적으로 만족할만한 성과가 있었지만 좀 더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것이 아쉽다. 앞으로 거듭 연구하여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개발하도록 하겠다. Through analyzing the literary works in Korean studying materials for learners in studying wise, one tried to find different ways of the usage of the literary works. 8 textbooks, [Korean] by Kunkuk University, [Fun!Fun! Korean] by Korea University, [Let’s study Korean together] by Dongguk University, [Sogang Korean] by Sogang University, [Korean] by Seoul University, [Easy to learn Korean] b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Korean] by Yonsei University, and [Ewha Korean] by Ewha Women University, were analyzed. In chapter 2, it discusses about how period, genre, presentation form, communication of Korean were displayed in each textbook to look at literary work in Korean teaching textbooks. Firstly, it seems like the ratio of period to genre are fairly balanced, and there were not unbalance in ratios in all textbooks. Secondly, in presentation form, among excerpt, abstract, and professional content, the professional content occupied the most in all textbooks. However, this situation occurred because most of the literary work was poetry; thus, in a prose, there were almost none of professional contents. Thirdly, in communication skill speaking and reading activities were many in all textbooks, but writing and listening activities were only few in textbooks. In chapter3, the activity tendencies in the textbook, comprehension, inference, talking about experience, expressing own opinion, achieving related information, mechanics, thinking about the background information, introduction, and adapta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by how they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As a result, most of the textbooks contain comprehension activities, then inference, expressing own opinion, and talking about experience were the followings. Other activities that may attract learners to learn was not composed in the textbooks. To inspire learners, there should be an acceptance of modern literature, and special suggestion of how such literary works’ components are used in language wise and cultural wise. The fact that literary works are one of the media for foreign learners to know Korean and Korean culture is widely acknowledgeable. As a result, literary works’ necessity and values are on the rise. On the basis of this, this thesis discusses about how literary works are used in classes. Although there were a few analysis and comprehension of current situations, but suggestion of realistic application plans were lacking. From further research on the field, realistic application plans would be developed.

      • 민자유치방식에 의한 교육시설 사업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를 중심으로

        정승원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경제 수준이 향상될수록 국민의 교육·복지·문화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은 날로 높아진다. 이러한 분야에 양질의 시설을 확충하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일은 복지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의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관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 정부의 재정여건 상 국민요구에 부응한 시설투자가 적절한 시기에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1월에 개정된 민간투자법에서 대상사업의 범위가 학교시설·노인요양시설·문화시설 등의 교육 및 복지관련 9개 생활기반시설을 포함하는 44개시설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제도는 경제적 인프라시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 시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영국, 일본,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도 민자유치사업(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대상시설 중 학교시설이 가장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데 이는 어느 나라에나 교육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국가 인프라로서 시설노후화와 시설확충에 대한 재정적 수요가 크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생 수와 규모의 증가 등 외형적 팽창에 비해 21세기의 변화하는 상황에 적합한 교육 및 연구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의 주된 원인은 대학이 자체적으로 시설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방식이라 할 수 있는 민자유치사업 방식은 지식기반 사회를 창출하는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대학의 교육환경 개선 즉 시설재원확보 및 운영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교시설에 대한 민자유치사업의 경험이나 사례가 적어 실질적인 사업참여에 앞서 민자유치사업과 학교에 대한 이해와 사전검토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자유치사업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즉 대학 기숙사 사업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우선 사례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은 다른 부문도 많이 있겠지만 참여자 관점의 차이나 사업구조 상의 문제 등의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금리 및 Cash Flow 등을 포함하는 금융문제 그리고 관리비 정산, 수요부족, 감가상각 등을 포함하는 운영에 대한 문제점으로 요약하였고 민자유치방식을 활용한 대학기숙사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자유치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했지만 위 사업 방식이 갖고 있는 장점에 비교한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이므로 앞으로 제도적인 보완을 통하여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간다면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에 적합한 사업방식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cessity level fort education, welfare and cultural service of the nation is getting higher day by day throughout the world. Expanding good quality faciliti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this field is a key point in improving the growth potential of knowledge/information literacy society. However, considering the financial condition of our current government, there is not enough investment on facilities to meet our nation's expectations in an appropriate time. In the private investment law that was revised on Jan. 2005, the range of project has been expanded up to 44 facilities including 9 life infrastructure facilities related to education and welfare such as education facilities, the aged convalescence facilities, cultural facilities and etc. Among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ngland, Japan and Australia, education facility is the most actively enforced project. As the most fundamental national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in any countries, this is due to high financial demand on facility senescent and expansion. As for our country, compared to the external inflation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nd size, the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meet the changing situation of the 21st century. The main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lack of a system to secure our own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organized framework to support this system. However, the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hich can be called the new method should perform a big role in improving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at is, securing facility source of revenue and efficiency of operation. However, as the experience or precedent is less in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for education facilities, understanding and advancing investigation on education is very much needed before substantial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can begin. So in this research, to stud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college dormitory project mainly by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we sought future plan through studying precedents. The first problem that comes up by studying precedents is the difference in participants view or business structure, financial problem including cash flow and operational problem including administration costs, insufficient demand, depreciation. Although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s of private capital inducement project, these are problems that can be solved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the above project method. If we deal with these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supplement, this method will surely become a suitable project method in early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학습자 등급에 따른 교재구성을 중심으로

        이숙진 강남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최근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많아지면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등급에 따라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학 작품 감상을 통해 자연스럽게 목표 언어권의 문화를 이해하고 담화적 맥락에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적 효과는 물론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학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들이 문학을 감상하고 문화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적으로 문학 작품을 선정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세우고, 학습자 요구에 충실하면서도 교육적인 효과를 주는 작품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기준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 구사 능력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의 모습을 담은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셋째,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습 동기를 유도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선택해야 학습 효과가 높다. 또한 넷째,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주제가 담긴 작품을 선정한다. 다섯째로는 학습자가 수용가능한 적절한 분량의 작품이어야 하며 마지막 여섯째, 문학적 가치가 있는 작품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교재 구성 방안을 설계하기에 앞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발행한 기존의 교재를 통해 현재 문학 활용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학 장르, 작품 창작 시대, 학습자 등급별로 통계를 낸 결과, 현대문학이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고전문학 중에서는 ‘설화’ 장르의 활용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초급 교재에서는 문학이 거의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를 한국어 사용 능력에 따라 초ㆍ중ㆍ고급의 3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별로 읽기-듣기-쓰기-말하기의 전 기능이 고루 학습될 수 있는 통합적 교재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통해, 중급 단계에서는 고소설 <흥부전>을 활용하여, 고급 단계에서는 고소설 <춘향전>과 현대시 <추천사>를 감상하고 고전문학의 다양한 현대적 재창조 양상을 살펴보며, 외국소설 <로미오와 줄리엣>과 비교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해 보았다. 고전문학을 문학 텍스트로 활용한 이유는 고전문학은 현대문학에서 학습하기 힘든 한국의 전통 문화와 생활, 역사를 배울 수 있으며 더불어 세계의 보편적 주제는 물론 한국의 고유하고 특수한 문화와 정서를 학습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전문학은 시대를 초월하여 문학의 예술적 가치를 검증 받은 것이므로 문학을 감상하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기준에도 합당하다. 본 연구는 다소 연구가 미미한 분야인 고전문학을 대상으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학습자를 등급별로 나누어 교재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목표를 두었다. 또한 한국어 수업 현장에서 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보다 활발하고 다양하게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의의를 둔다.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문학 활용 교육을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재, 수업 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number of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have led to active research and study into educational techniques that utilize literary text.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ed herein attempts to propose a plan to develop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utilize classical literature for each level of learner proficiency.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ture allows people to learn the concerned language from a colloquial angle, through natur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s culture during appreciation of literary artworks. In addition, it offers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Korean literature appreciation. In particular, Korean education for adults needs to be taught in a manner as to allow the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s. Accordingly, establishment of clear standards for selection of literary works for use in Korean language learning must be preceded and such standards must allow for use of literary works that are capable of staying true to the demands of the learners while offering educational effects. Following is a brief introduction to such standards: The standards must take into account the learner's level of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and lead to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at encapsulate Korea's culture and the features of her peopl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at are capable of captivating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and motivating their pursuit of the Korean language will produce greater learning results. Such literary works must also deal in general subjects the learners can associate with and be of lengths that the learners can digest. Lastly, it's important to select works with literary values. Prior to designing a detailed textbook development plan, existing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group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atus and issues of today's literature-based education. Converting the analysis results into statistical figures of literature genre, creation era, and learner proficiency level revealed that a large number of modern literature was being used and that use of classical literature was emphasized on the narrative novel genre. In addition, use of literature was virtually nonexistent in novice-level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Korean learners into novi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and presents a comprehensive textbook development plan that allows for thorough learning of all linguistic functions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for each of the proficiency levels. A textbook was developed to facilitate learning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appreciation of the narrative novel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for the novice level, the classic novel Heungbujeon for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classic novel Chunhyangjeon and the contemporary poem Chucheonsa for the advanced level and comparison of the British tragedy Romeo and Juliet. Classical literature was used as study text because it allows people to learn Korea's traditional culture, livelihood, and history and along with subjects that are general throughout the world the unique culture and semantics of the Korean people, all of which contemporary literature do not do a particularly job of. What's more, classical literature has passed the test of time and has been acknowledged for their artistic value. Because of this, they meet the standard that calls for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appreciation of literature. The study presented herein kept the objective of selecting literary works from classical literature and categorizing learners into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in presenting a method of textbook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a more active and diverse application of literature at Korean learning sites. From hence forth, effective use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require continued and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subject and development of diverse teaching materials and models.

      •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행수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부와의 애착과 모와의 애착 각각들이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진로지도를 위한 상담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 셋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성별에 따른 차이 등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각각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1,2,3,4학년에 재학 중에 500을 대상으로 집단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3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이들에게 제공된 설문지는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미결정 점수와 진로준비행동의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와 모와의 관계가 세부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와 모와의 애착의 하위요인들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는 모와의 애착보다는 부와의 애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는 부와 모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의 영향을 보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는 부와의 소원함과 모와의 신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진로준비행동에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모와의 의사소통과 부와의 소원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에 아버지와의 부정적 관계, 어머니와의 긍정적 교류 정도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specially it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of a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onsidering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to prepare the definite plan of counseling for the college students’ career. The study subjects to be verified through this research are firstly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ly relative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rdly differences of the influences according to gender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perform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massivelyconducted with 500 college students among the 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from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yeonggido, K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and data of the 436 students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as composed as the measurement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self efficacy,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confirm the research subject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scores of the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ttachment of the parents and self 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mother on the specific feature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of the father and mother as in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firstly for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the attachment to the father was more important rather the mother, and the self efficacy likewise gave an important influence.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mother did no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ly, for the influences of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the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and reliance on the mo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and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ly in case of male students. As a conclusi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was important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how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a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limitation of the study and upcoming project were discussed.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10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재묵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점을 탐색하여 평생교육원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16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합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도 내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김진화 외 3인(2010)에 의해 제시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학력보완교육, 성인기초ㆍ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고르게 개설되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개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설문결과와 프로그램 개설 상황에 대한 자료의 처리는 실태조사 차원에서 빈도수와 백분율 그리고 순위를 확인하는 수준의 기술통계로만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대학부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개설 프로그램에 대해 내린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주된 목적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이라는 반응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자 10명 중 7명 정도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연계시켜 볼 때에 특정영역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평생학습자들은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경기도 내 소재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368강좌를 분류한 결과 ‘직업능력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이 151개(41.0%)로 가장 많은 반면, 가장 적게 개설되는 영역은 ‘시민참여교육’(1개-0.3%)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제역할 수행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의 편중된 개설 부문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반면, 평생학습 참여자들에게는 만족감을 주고 있어서 제기능을 다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은 전문성과 함께 더욱 개방된 열린 교육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지역 주민들과 어울려 평생학습사회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이 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the role of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from the result probe the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so that we can find out the ways to activate runni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earch method used are questionnaire and bibliography. Fir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2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llect the opinions about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Second, the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m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establishment ranges evenly in 6 educational aspects: scholarly attainments, adults' basic and literacy comprehension, job-related improvement, humane studies, culture and art, and civil participation. All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situation in the program establishment are used only for fact-finding and as technological statistics to identify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ranking. The research result can be discussed in two aspects. First, the evaluation about those established programs is relatively positive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ey respond that the main purpose of taking part in those programs is to be equipped with the qualifications for social activities. In fact, 7 out of 10 show the response of satisfaction. Second, relating to 6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are disproportionate to some specific aspects, but the participating learners are highly satisfied. Out of 368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yung-gi province, 151(41.0%) programs are related to ‘job-related improvement’ while only 1(0.3%) program is about ‘civil participa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diverse role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ough it is somewhat negative in that the programs are disproportionate to specific aspects, the conclusion is reached to be positive since the programs provide participants with satisfaction.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the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learning society, with the involvement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image of open educational institution charged with professionalism.

      •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교회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김청호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 복지공동체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실천을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며, 둘째, 지역사회 복지협력체계의 활성화 방안으로 교회의 다양한 자원을 지역사회에 활용하는 복지 유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교회와 지역사회, 사회복지관들의 복지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들을 통해 현황등을 밝히며, 현재 교회와 지역자치단체와 사회복지관들간에 복지 연계활동 실태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교회의 여러 자원이 지역사회의 복지활동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유형별로 조사하고,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적, 체계적인 활성화 방안으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 사회복지관의 현황을 조사하고자 현재 사회복지사역을 하고있는 서울지역 48개 교회와 강남구청 문화관광부 통계자료에서 강남지역 71개 교회의 목회자, 강남구 지자체(구청, 동사무소)의 사회복지공무원 28명, 강남구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직원 68명, 자원봉사자 중 기독교인 61명 등 27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강남구 71개 교회는 설문지 발송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직접전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203명은 직접 면접 방법 또는 자기 기입식 설문방법으로 기입케한 후 바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입력 및 분석은 SPSS win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의 복지공동체 현황과 실태에 대한 응답자료를 각각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한 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교회와 지역사회, 교회와 사회복지관의 현황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목회자ㆍ자원봉사자)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면 교회가 지역사회복지에 참여하는 일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참여도는 교회재정과 시설의 부족으로 소극적이었고, 교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에 재정적 지원과 함께 교회가 건물을 개방하고, 인적자원(자원봉사자)등을 지원하여 지역사회복지에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회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전문화와 체계화를 위해서 교회사회복지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지역사회의 자치단체(복지행정기관)와 사회복지관에서 보는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 체계를 살펴보면 교회가 지역사회복지(봉사)에 참여하는 일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 있으나 참여 정도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의 복지공동체인 교회와 지자체, 사회복지관, 자원봉사자의 복지협력관계를 살펴보면 교회목회자와 자원봉사자들은 지역사회복지 협력관계를 강한 협력관계로 발전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현재 지자체의 사회복지 공무원들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직원들은 약한 협력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지역사회 복지공동체 간에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 것은 모두가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의 지역사회복지가 일반사회복지와 다른 점은 그 동기가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한다. 교회는 지역사회의 어려운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Social Safety Net )이 되어야 한다. 또한,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는 자치단체와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민에게 제공하는 최저한의 생활보장과 복지증진을 보충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복지공동체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실천을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제안을 다음과 같이 들 수 있다. 1) 지역사회복지 협력체계 네트워크를 세 주체간에 상시체제로 운영해야 한다. 2) 지역사회복지 공동체의 협력적인 관계는 세 주체가 함께 공유하고 있는 관심과 가치관에서 출발해야 한다. 3) 지역사회가 더불어 사는 복지공동체의 기능과 역할 가운데 지역사회의 자원과 분배와 조정하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복지행정의 기능과 정보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문제와 해결을 위하여 지역교회에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하며, 사회복지관은 전문적인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하며 역할을 분담하고 교육, 훈련, 실습 등의 전문적 관리서비스를 지역교회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교회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복지관의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실행하는 체계로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 노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사회 주민의 문제 해결과 욕구에 개교회의 여러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4) 따라서, 지역사회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의 중복과 누락을 조절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활발하게 지역사회복지 사업들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활성화를 지원하는 교회의 복지 유형으로 강남지역 교회를 연구 조사한 결과로 볼 때 A형: 교회 건물을 개방한 지역복지활동형, B형: 교회의 자원봉사자를 통한 자원복지활동형, C형: 복지관을 설립 복지운영형, 기타형: 교회 규모에 따라 지역교회 연합하여 복지실천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넷째, 개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의 욕구에 맞는 다양하고, 창조적이고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교회내 사회복지전문가(가칭:교회복지사)를 두고 교회 담임목회자의 목회파트너로 고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 ed to find out and present basic dat a necessry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unity welfare network," a tool enabling community welfare service providers to carry out their services effectively. To seek ways to facilitate the church- community we lfare network, this study also examine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that is, how churches use their resources for the communit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welfare activities carried out by churches, commun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 looked at cooperative welfare activities among churches,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 and examine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that is, use of church resources for community welfare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 s were viewed as neces sary data for establishing the 'church - community welfare network,' a tool allowing for professional, systematic performance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o know about welfare activities carried out by churches, communiti 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 unity welfare network,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4 subjects - - pastors in 48 churches in Seoul, currently involved in social welfare services, in 71 churches in Kangnam- gu, selected from the statistical data of the Culture & Tourism Department of Kangnam - Gu District Office, 28 officials working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government offices (Kangnam- gu district office and dong offices), 68 social workers of the Kangnam- gu social welfare center and 61 Christians out of volunteer workers. For 71 churches in Kangnam- gu, the researcher telephoned them and obtained their answers for all questions over the phone. In worry of few returns of questionnaires, a telephone survey was used for the churches. For the other 203 subjects, the researcher int erviewed them, reading questions personally to subject s and writing down their answers, or the subjects read questions and wrote answers on their own. Their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oon after they finished answering questions. For data input and analyses, SPSS win 8.0 was applied. A frequency analy sis was adopted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subjects' answers about their welfare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 ed to compare church - community cooperative welfare services with church-social welfare center cooperative welfare services. These two cooperative relations were compared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unity welfare networ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church workers (pastor s and volunteers) showe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church's involvement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However, their actual participation was inactive due to lack of church funds and facilities. Examples of church's involvement in community welfare activities, though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included financial assistance, opening of church buildings and/ or supply of human resources (volunteer workers). Church workers agre ed at the need of church social workers for professional, systematic performance of welfare activities by churches. Second, local government offices (welfare author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wed a very positive view about church's particip ation in community welfare(services). As to the degree of participa tion, however, they wanted churches to be more active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ird, church workers (pasto s and volunteers) hoped a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However, officials working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ork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in weak cooperative relationship. All of these three groups agreed at the need of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community welfare network" for planning and performing welfare services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joint among the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 First, church social work differs from general welfare services in that it is motivated to follow God's words. Church must be a social safety net for the weak in the community. Additionally, church social work must be reframed to be a suppleme nt to program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or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residents, e.g.,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and welfare promotion. Seco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 community welfare net work," a tool for carrying out services effectively,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 1) The cooperative community welfare network must be operated full time by the three groups ; 2)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he groups must be based on their common concerns and values ; 3) since the distribution and adjustment of community resources are important, out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welfare service provIders, local governments must supply the functions of and information about welfare administration to church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residents ; community welfare centers must develop and publicize professional welfare programs and supply profes sional management services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to churches in the community ; and churches, supporting and carry ing out welfare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must seek ways for using their resources effe ctively to solve residents' problems and to meet residents' needs which are not reached by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4) From this perspectiv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is deemed to contribute tocarrying out community welfare programs effec tively and actively by preventing overlapping and ommis sion of programs and assigning the priority to the programs. Thir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for network facilit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conducted with churches in Kangnam- gu,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 A model type refers to welfare activities for the community, e.g., the opening of church buildings ; B model type includes resource- based welfare activities, e.g., the supply of church's volunteer workers ; C model type is the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e.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welfare center ; the final model type is the practice of welfare services in coalition with other local churches according to the church size. Fourth, churches must hire social workers (tentatively named: church social workers) as partners of pastors for developing diverse, creative and autonomous programs meeting the needs of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