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류와 한국학 관련 강좌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해외 한국학 발전 방안 연구 : 동남아시아 4개국을 중심으로

        김춘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 국가의 문화가 타 국가의 국민들에게 호감을 준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문화의 전이를 통해 그 나라 문화의 우수성이 전파되기 마련이다. 한류가 바로 그 분야에 속한다. 한류의 영향으로 해외에서의 한국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학 강좌도 늘어나는 추세다. 과거 한국에 대한 관심은 주로 학자들의 학문적 연구에 국한되었으나 해외 일반인들의 한국에 대한 호감이 높아지면서 일반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관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문화적 자산과 역량을 바탕으로 꽃을 피운 한류가 세계인들이 함께 즐기는 문화 콘텐츠가 되었고, 이는 한국어 학습 수요의 폭발적 증가 및 더 나아가 한국학의 양적·질적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한국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해외 대학의 학문적 기반 확대나 한국학 연구 및 교육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것은 한국어와 한국학이 아직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한류의 확산과 한국학 진흥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하여 교섭하고 있는 연관성에 주목하여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동남아시아 4개국을 중심으로 한류 현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류와 한국학 관련 강좌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해외대학 한국학 관련 학과의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 연구

        도티녹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와 주변 나라의 한국어/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베트남 내 한국어/학 교육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문헌 및 교수, 재학생, 졸업생의 인터뷰를 분석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 교육의 실제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어/학과와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연도, 학과 특징, 지역 3가지의 요소를 감안하여 5개의 대학교를 선정하고 한국어/학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HN USSH),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대학 (ULIS),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 (HCM USSH), 호찌민 외국어 정보대학교 (HUFLIT), 하노이 대학교 (HANU)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선 5개의 대학 교육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의 한국학 교육과정은 기업의 요구에 충족하는 다양한 전공 선택을 제공하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교육과정이다.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 한국학과는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목표에 충실하고 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학과가 동방학부에 속하고 있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이 제한적이지만 학생과 기업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한국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육과정은 한국어학 및 한국문화를 기초로 통번역, 한국학, 관광, 한국어 교육 전공의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어학 중심의 학문적 특징이 보인다. 하노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통번역 지향 한국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있고 실제학습활동을 중요시한다. 둘째, 베트남 한국어/학 교육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대학은 30여년 간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의 양적 및 질적 확정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학으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취업 등과 같은 학생의 실질적인 필요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학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기 보다는, 한국학과 동등한 지위로 함께 발전하는 특징이 보인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한국 기업에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필요성이 약하고 논문의 필요성이 적다. 교원들의 낮은 급여 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한국학 교육으로 확장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교육과 동등한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모순되어 보이지만 베트남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학과는 이러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현황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주는 개념어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kehold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in Vietnam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examin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and interviewing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w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concer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curriculum. In this study, five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the year of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the region. It includ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noi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e five university curricula were identified.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a Korean language-centered curriculum that offers a variety of major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compan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anoi Univers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perates an academic curriculum that is faithful to the goal of nurturing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o Chi Min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nformation is part of the Faculty of Eastern Studies, so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limited, but it is operating a flexible and practical Korean studies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and Korean companies.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majors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studies, touris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University is faithful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riented toward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values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confirm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30 year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Korean studie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into an equal status wi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simply being composed of a subcategory of Korean studies due to the social needs and practical needs of students such as employment.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focused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Korean companies, the necessity of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weak and the need for dissertations is small. Due to the low salaries of teachers, it is not easy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equivalent to Korean studies education without expanding into Korean studies education. Although contradictory,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ies/Korean Studies department is a conceptual word that symbolic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 해외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현황과 교육과정 연구 : 미국, 중국, 일본 대학을 중심으로

        김예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해외 한국학의 특성을 밝히고 이와 같은 특성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배경을 분석하여 장래 한국학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현시점에 한국학이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미국, 중국, 일본의 19개의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학의 정체성을 규명한 연구와 한국학의 흐름을 유형화하거나 해외 한국학의 현황을 분석한 연구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의 선정과 자료의 수집 방법과 분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미·중·일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운영 현황을 국가별로 나누어 각 대학 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때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한국학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학과명과 전공을 확인하고, 한국학의 교육 목표를 검토하였다. 또한 교육 목표를 수행하는 교원의 구성과 교과목도 살펴보았다. 교과목은 교육 내용에 따라 동아시아, 언어(교육), 한국문학, 한국문화예술, 한국사회경제, 한국어, 한국역사, 한국정치외교, 한국철학종교, 한국학일반론(실습), 기타 등의 11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대학 기관의 한국학과(전공) 교육과정을 국가별로 분석하여 권역별 관심 분야와 특성을 찾고자 하였다. 우선 미·중·일 주요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소속을 통해 한국학의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고, 각 대학별 교육 목표 주제어를 선별하여 한국학이 지향하는 방향에 국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교원의 구성을 교원 수, 최종학위, 출신대학, 관심 연구 분야로 세분화하여 한국학 교원의 규모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몇 개의 대학에서 얼마나 많은 유형의 한국학 관련 강좌가 열렸는지 비교, 분석하여 해외 대학 한국학과(전공)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ies as taught in different institutions abroad and to then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auses for these differences as a basis for future study. Specifically, this paper looks at Korean Studies as taught in 19 different universitie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where the subject Korean Studies is wide available. Firstly,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utility of this study are examined. The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Korean studies in relation 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broad is explored. In Chapter 2, the methodology involved in selecting the 19 universities and an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Korean Studies curricula of each university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are examined individually. Firstly, the differences in departments and schools to which Korean Studies belongs in various universities,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goals across these programs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staff responsible for the teaching of Korean Studies in each faculty, including their educational as well as professional backgrounds, and their subjects of interest are looked at. Then the Korean related subjects offered are reviewe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11 groups: East Asian Studies, Language(teaching), Korean Literature, Korean Culture and Arts, Korean Society and Economy, Korean History, Korean Politics and Diplomacy, Korean Philosophy and Religion, General Korean Studies, and Other. In Chapter 4, based on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chapter 3, the areas of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Korean Studies programs are grouped and differentiated by country of practice. Lastly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중국의 한국학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김일권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最近,关于韩国学的研究讨论日渐兴盛,无论是韩国国内还是国外都加强了对这一课题的关注。基于这点, 对于韩国学概念的整理、韩国学的整体性、又将如何定义,以及至今为止经历了怎样的发展过程、现在的状况如何等问题均需要正确的认识和把握。 根据以上提到的脉络,本论文首先以韩国学的概念以及整体性为基础,对在世界化进程中的韩国学未来进行客观展望。其次,抱着以振兴海外韩国学的目的,在充分了解中国国内韩国语及韩国学教育․研究现况的基础上,指出现今存在的问题,从而为了促进和推动中国的韩国语及韩国学教育․研究,揭示有效的改善方案而努力。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studies both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s, prompting academic discussions on the subject. In order to promote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first define what Korean studies means. This task must deal with several important questions: what kind of discipline Korean studies can and should become; what kind of process it has gone through; and what kind of situation it is currently faced with. The prime aim of this thesis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looking at general conceptions and identities of Korean studies and to provide some prospects for its future in the globalized world. This thesis also aims to promote Korean studies abroad. For this purpose, it attempt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and research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China. After revealing their most serious problems, the thesis strives to provide several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 태국 대학에서의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한국문화 교육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Areeyathanawal, Chutima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ollowing thesis is not about the argument o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mainly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ut rather about the question "How will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affect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Due to the rise in admission requirements for universities in Thailand as well as more and more students demanding professional education related to Korean studie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both Thailand and Korea's culture and economy. Thus, how should Korea's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be composed? For this to be answered, we have deduced two research questions: "How are the present conditions of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of Korean culture in Thailand?" and "What are the internal demands?" In addition, we have observ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role in the present state of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nd education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part I, we will be discussing the main objective and importance of this paper, as well as how to eliminate the problem. Afterwards, we will examine researches related to and preceding this paper. Although the preceding research papers we will be discussing are about Korean studies in Korea, Korean studies in Thailand, and the education of Korean studies for Thai students, we have especially argued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studies for Thai students is based on a mutuality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argument for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in an expertise way has been removed or has been purposely excluded from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paper. In part II, we have based the foundations of professional Korea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on a theoretical background composing of geographic studies that help classify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In the midst of all this, we have selected the works of Tomalin, Stempleski (1993), Hammery (1986), Moran (2001) and Kim Joong-Soon (2008) and have organized their arguments into three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in our study: product culture, cultural stereotypes, and behavioral culture. Also, in this study, we have used survey questions to further investigate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the theoretical methods of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 for teaching culture, as well as the analysis of demand used in the demanded research, all in terms of foreign culture. Part III, of our thesis will be looking into different approaches to research, namely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demand. Also, in order for the analysis of demand to happen, we will discuss the importance of reciprocal 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Part IV, we will be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 between Korean studies in Thailand and the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this, we have looked into certain aspects of Korean studies in Thailand that have shown how each Thai student majoring in Korean studies has been able to improve cultural content. Through all this we have been able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es. By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se classes, we have found that the courses are currently independently established. Yet the critical problem with this was that they lacked organized education program, professional faculty,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Part V, we will be analyz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the claims we have investigated. Basing the results as author's background, we deduced that to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programs, and study material are the foundation to a program. Through the comparison by group and by level, it is shown that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 majors and the way the class is taught is not so different in these areas overall. Especially, as Korean studies majors become juniors and seniors, their human relations ability to sympathize and understand Korean values helps them blend in with native Koreans. Finally, in Part VI, we will be summarizing our research and this study's significance. We will be providing a solution to the cultural conflict that arises between Korea and Thailand when it comes to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nd Korea's educational system. The respect and tolerance for the target country is highly important yet it sometimes excluded. Thus, we will be expanding and reaffirming on the tendency to argue that cultural education for languag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ose who are majoring in Korean studies and the demands of those who teach and learn are crucial. In particular, during the time when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just starting to bloom, we can see that the minority of research subjects are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nd that there is a boundary to over generalizing their educational curriculum. On some level, the demands of Korean cul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be analyzed yet cannot be limited. Nevertheless, we deduce through this research paper concerning Korea's educational system for Thai students that we must raise awareness and help develop better conditions for Korean educational systems in Thailand. 본 논문은 지금까지 한국문화 교육이 주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것으로 논의되었던 것과 관점을 달리하여,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전문 한국문화 교육과정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본 연구가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태국과 한국, 두 나라의 사회 · 문화 · 경제적 교류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태국 대학교에서의 한국학관련 전공과정 교육에 있어서 한국학 전공과정 입학요구의 증가 및 한국어 전공과정 학습자의 전문 한국문화 교육요구가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과연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전문 한국문화 교과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이를 위해 ‘태국에서의 한국학 교육 내 한국문화 교육 현황은 어떠한가?’와 ‘내적 요구는 어떠한가?’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현지 한국학 교육과정 내 한국문화 교육 현황 및 교육의 주체인 교육자와 학습자의 요구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문제제기에 대해 서술한 후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학 교육, 태국에서의 한국학 교육,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문화 교육 등 세 가지의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특히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는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이 상호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 대해만 논의하였으나, 전문성은 목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연구방향에서 배제되었거나 고찰 대상에 넣지 않았다. II 장에서는 전문 한국문화 교육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지역학으로서의 한국학 내 한국문화의 정의 및 분류를 정리하였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Tomalin과 Stempleski(1993), Hammery(1986), Moran(2001)과 김중순(2008)의 논의를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바라본 한국문화 분류, 즉 산물문화, 관념문화, 행위문화 등 세 가지 문화 분류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문항을 기준으로 외국문화로서의 한국문화 교육, 문화 교육 방법 및 문화 교재의 이론에 대해 살펴봤고 요구조사에 적용한 요구분석 개념도 짚어보았다. III 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방법, 즉 교과과정 분석 방법과 요구분석 기준에 대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요구분석을 하기 위하여 상호작용에 참여한 교육자용 및 학습자용의 설문 문항에 대해 정리하였다. IV 장에서는 태국에서 한국학 교육 내 한국문화 교육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태국에서 한국학 교육 양상들을 살펴본 다음,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 학습자가 각각의 전공과정을 통해서 어떤 문화 내용을 향상할 수 있는지와 현지 한국문화 수업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교과과정 파악의 결과, 현지 한국문화 수업은 독립된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지만 체계적인 교육 방안의 부족, 전문가 및 교직원의 부족, 교육 자료의 부족 등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V 장에서는 요구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전문 한국문화 교과과정 즉, 교육과정 및 내용, 교육 방안과 교육 자료 등 세 가지의 문화교육 개설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는 집단별, 단계별로 비교 ·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서 한국학관련 전공 학습자의 요구가 많이 다르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대체적으로 거의 같은 문화 수업 방식을 요구하고 있고, 특히 한국어 전공 학습자의 요구는 고학년일수록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수준에서 한국인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려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VI 장에서는 연구를 정리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자에게 한국문화 교육은 두 나라 사람이 소통할 때 생길 문화적 갈등을 해소하고 대상 나라 문화에 대한 존중과 포용성을 갖게 하는 매우 중요한 내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문화 교육이 배제되거나 언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 차원에서만 논의되었던 연구 경향 속에서, 전문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현지 한국학관련 전공과정 내 문화교육 현황 파악과 한국학관련 교육자 및 학습자의 요구조사, 특히 한국학 전공과정 교육을 막 시작하는 소수의 연구 대상자인 한국학 전공자의 요구를 통해서 태국인 한국학관련 전공자를 위한 교육과정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단계별로 한국문화 요구 및 교육 방안에 대해 분석하고 제안할 수 없다는 또 하나의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한국문화 교육 및 연구 속에서 태국 현지 전문 한국문화 교육의 요구 및 중요성 인식을 도출하여 태국에서의 전문 한국문화 교육 개발을 위한 연구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Koehn, Sarah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Along with the recent surge in German students choosing Korean Studies as their major in university,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KAP) in German universiti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s Korean Studies majors need a high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o carry out their studies and conduct Korea-related research, it is important that the language curriculum is tailored to meet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However, while German universities provide a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of Korean, they do not fully meet the needs of more advanced KAP learners. As on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Germ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ic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needs-based KAP curriculum.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reviews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European universities and outlin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relevant concepts of curriculum design related 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Korean Studies.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German universiti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of seven universities offering Korean Studies as a degree subject are analyzed in detail. Th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eeds assessment and gap analysis in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esig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re introduc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Chapter 3 introduces the design of the survey, incorporating a total of 24 items in three research areas related to KAP language skills,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and Korean Studies seminars provided in Korean languag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0 students at German universities with Korean Studies as their major or minor subj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presented and analyzed in Chapter 4.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dentifie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that should be primarily considered when designing a KAP curriculum. Analyzing the participants’ needs in academic Korean language skills, general academic skills such as essay writing, 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Korean media language were most required by intermediate-level learners, while advanced-level learners showed a high demand f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academic texts. Regard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ere demanded the most across all learning levels, followed by major-related texts. Research Question 2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between Korean Studies majors and minors: While Korean Studies majors required academic language skills and content specifically related to their major, minors focused more on the comprehension of Korean media language and culture-related content. Research Question 3 then examined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 seminars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including the topic areas of Korean society, history, politics, economics, literature, translation, and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Studies majors showed great interest in seminars on Korean society and Korean linguistics, while Korean Studies minors expressed a relatively low demand for such seminars in general, but were overall interested in Korean seminars on translation and Korean society. Chapter 5 concludes this study by providing a short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and by outlining its significance and its limitations.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needs of German KAP learne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needs-based KAP curriculum at German universities and contributes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ermany. 본 연구는 독일 대학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독일 대학에서 한국학을 전공이나 부전공으로 선택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학 전공자로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춰야 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위해 한국 문헌을 한국어로 이해하고 자신의 학문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독일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중급 수준 이상의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학 전공과의 내용적 연계가 부족하므로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수한 요구를 반영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이 필요하나 현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독일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기에 앞서 독일 대학 한국학과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에 대해 살피고 한국학 전공자 대상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는 독일 대학의 한국학 전공자들이 학업을 수행하는 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학습 기술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힌 후 독일을 포함한 유럽 지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주요 교수 내용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학 전공의 특징을 밝힌 뒤, 한국학 전공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내용 중심 교수법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이어 독일 대학의 외국어 교육 정책과 한국학과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피고,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인 요구 분석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과 도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독일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한국학 전공 지식 함양을 위한 한국어 학습 내용, 한국어・한국학 연계 과목, 세 영역을 살펴보았다. 총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한국학 전공자 및 부전공자 90명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문제 1에서는 독일 대학 한국학 전공자들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에 있어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교수 내용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학 전공자는 한국어 중급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작문형 글쓰기, 발표하기, 한국어 매체 언어 읽고 이해하기와 같이 간단한 수준의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과 관련 학습을 요구하였으며, 고급 단계에서는 학문적 글 읽고 이해하기, 한국어 매체 언어 듣고 이해하기와 같이 특히 수용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학 전공 지식 함양을 위한 학습 내용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학습자 숙달도와 상관없이 한국어 발음과 억양에 대한 학습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는 한국학 관련 텍스트와 어휘, 비교문화적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한국학 전공자와 부전공자의 교육적 요구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밝혔다. 분석 결과, 한국학 부전공자는 한국어 매체 언어 이해 능력 향상과 관련된 학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전공 관련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한국학 전공자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처럼 한국학 전공자와 부전공자 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에 두 집단의 요구 간 균형을 찾아 학습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연구 문제 3에서는 독일 대학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한국학 수업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한국 사회, 역사, 정치, 경제, 문학, 번역학, 한국어학 등 한국학의 주요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어・한국학 연계 과목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학 전공자는 한국 사회와 한국어학과 관련된 수업에 큰 관심을 보인 반면 한국학 부전공자는 한국어 번역학과 한국 사회와 관련된 수업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다. 다만 한국학 부전공자의 한국어・한국학 연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일 대학 한국학과에 한국어로 진행되는 한국학 수업을 개설한다면 전공자와 부전공자가 공통적으로 요구한 한국 사회와 관련 수업 개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한 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독일어권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한국학 현황과 한국학 학부 교육 과정 연구

        정민주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in Korea and analyzes the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undergraduate courses to establish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This is to do better Korean Studies by grasping the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newly created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course within the last 10 years. In addition, as Korean Studies moves in a different direction, it attempts to broaden the horizon of research by capturing various aspects of Korean Studies. In the relatively recent undergraduate course of Korean Studies, different interests in Korean Studies meet to form a department,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Korean Studies are diverse. In addition, as the identity of Korean Studies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current Korean studies meets with much confusion. In particular, we can see Korean studies mix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studies focused on specific discipline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way to establish a systematic Korean studies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Korean studies undergraduate courses. Unlike overseas Korean studie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Korean studies in Korea at a look. Korean studies in Korea are also dealt with in various Korean studies institutes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in Korean studies majors in universities, but research on this has remained relatively underexplor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in Korea through this case study is an essenti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analyzing the curriculum of the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will be an important foothold for academic exchanges within Korean studies. In order to design a better curriculum for Korean studies, it is possible to create a greater synergy effect if the linkage between Korean studies institutes and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Korean studies in Korea and exchanges between Korean studies are activated. By compar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operation of each other, and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and introducing the necessary ones, we will be able to move forward with coexisting Korean studies and sustainable Korean studies. In conclusion, in the curriculum of the undergraduate Korean Studies, more movement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ies as regional studies and to connect Korean studies in Korea and overseas. Appropriate linkage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c disciplines(specify), and attitude to study Korean studies itself are required. Steady efforts also are required to cultivate Korean studies talent through various Korean studies programs. Finally, this study can have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discussed ways to develop Korean Studies through the stories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The subject of research can be very diverse in researching development plans such as the perception and identity of Korean Studies,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nd the exchange of Korean Studies. However, I thought that the subject of Korean studies in Korea is us who are majoring in Korean Studies. As a subject who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than anyone else, we will be able to look at this study based on the sense of academic responsibility to further Korean Studies.

      • 해외 한국학 현황 및 발전 저해요인 분석

        김미라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759

        【 ABSTRACT 】 Current Trends and Problems of Korean Studies Mira Kim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Korean Studies as a field of area studies and improve strategies to promote it; three questions need to be answered: [a] What is area studies, and how does it relate to Korean Studies? [b] How is Korean Studies progressing as an academic interest in other countries? [c] Which challenges face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rea studies is the integrated, interdisciplinary, comparative research and teaching of a particular geographical or cultural region. Korean Studies is a potential catalyst to create wider knowledge of Korea abroad, and to strengthen mutual understanding and ties between Korea and the world.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Korea; Korean Studies programs lack strong and professional financial support, and are not well organized in terms of research and teaching infrastructure. These factors are further complicated by an absence of Korea's obvious national image, or identity to attract students to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re is a resistance, among the separat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sciplines, to accept a scholarly practice of Korean Studies as a valid and independent method of study. For these reasons, Korean Studies has been struggling to restore its academic solidarity. Whether or not Korean Studies overcomes the obstacles it faces, will directly affect how Korean culture is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future generations. If Korean Studies cannot reach a pivotal point intellectually, institutionally, and financially, then Korea, as a nation, risks becoming marginalized in the eyes of the world.

      • 베트남 대학 한국학과의 한국 문화 수업에 관한 실행 연구

        염정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727

        본 연구는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개선을 위한 실행 연구이다. 20여 년간 제기되어 온 교사의 전문성 부족, 비체계적인 한국어 교육과정, 베트남인을 위한 교재의 부재 등의 동일한 문제점들이 개선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베트남 근무 당시 선행 연구에서 지적한 사항들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꼈고 개선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학과 수업 중 한국 문화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전문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계획, 실행, 관찰, 반성의 순환적인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서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학과 문화 수업을 개선해 가는 데 목적이 있다. 실행 연구를 선택한 이유는 이론과 실천이 분리되는 전통적인 연구 방식에서 벗어나 문제를 당면한 현장에서 실천이 실행되고 그 실천을 통해서 현장을 개선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베트남의 한국학 수업의 실제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적합한 연구 방법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으로 온라인 플랫폼 Zoom을 통해 한국 문화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적용하여 한국 문화 수업을 실행 연구한다. 내용 중심 교수법은 언어 자체보다는 내용에 초점을 두는 교수 방법으로 언어의 역할은 내용을 배우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데 제2 언어를 사용하여 내용을 가르치는 과정 안에서 학습자들은 언어와 내용을 동시에 습득하게 된다. 이 교수법이 베트남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 내용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고찰하고 실행 연구를 통해 베트남 현지의 한국 문화 수업이 변화되어 가는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중심 교수법이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내용 이해와 언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4차례 진행된 실행 연구가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 문화 수업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가? 셋째, 베트남 학습자 대상의 온라인 수업에서 한국 문화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 것인가? 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 대해 본교의 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승인을 통보받은 후 22명의 베트남 현지 연구 참여자를 모집했다. 한국학 전공의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1년 이상 한국어 교육을 받은 21명의 베트남 학생과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경험이 있고 박사 학위 소지자인 1명의 베트남 교사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라포르를 형성하고 연구 참여의 설명문 및 동의서의 동의 서명을 위한 한 차례 사전 만남과 4차례의 실행 연구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계획부터 실행 및 관찰, 반성의 과정을 실행 연구의 1회 과정으로 보고 반성 후 3차례 재실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사 연구자로서 한국 문화 수업을 직접 진행하면서 능동적 참여 관찰자를 하고 베트남 교사는 참여 교사로서 수동적 관찰자의 역할을 하였다. 녹화 자료, 현장 노트, 연구 관찰 기록안, 면담, 학습 일지, 자기 평가지, 선행 지식 및 사후 지식 검토 자료 등의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중심 교수법을 통한 학생들의 내용 이해와 언어 능력의 향상이다. 동일한 질문으로 학생들의 수업 전 선행 지식과 수업 후 사후 지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 전후로 지식 향상의 변화가 있었다. 선행 지식 검토에서는 질문에 다수의 학생들이 모르겠다고 답한 반면 사후 지식 검토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각을 적어냈다. 한국어로만 수업을 진행했지만 학생들은 내용을 이해하였고, 이는 지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숙달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학생들 수준에 맞춰 쉽게 설명하면 학생들은 이해할 수 있었다.초반에는 학생들은 한국어로만 수업을 듣고 이해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지만 수업이 진행되면서 한국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갔다. 이는 학습 일지에 작성한 언어, 학생들의 발화 모습, Kahoot 결과 등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내용 중심 교수법에 대한 참여 교사의 인식의 변화이다. 실행 전, 연구 참여자인 현지 교사는 학생들이 아직 한국어 숙달도가 낮아서 내용 중심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이 내용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염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현지 교사는 수동적 관찰자로 전체 실행 연구 수업에 참여하였고, 이를 통해 어려운 내용을 한국어로만 설명을 하고 수업을 진행하는데도 학생들은 교사의 말을 이해하며 수업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고 내용 중심 교수법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해 갔다. 셋째, 한국 문화 수업은 상호 문화적 접근으로 교수해야 한다. 다수의 베트남 선행 연구에서 상호 문화적 관점으로 한국 문화 수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한쪽 문화만 설명하는 것에만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상호 문화적 접근으로 문화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학생들은 두 문화를 비교하여 활동한 부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베트남 거주의 베트남 학습자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날씨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불안정한 상황이 쉽게 일어나고, 열악한 집안 사정으로 집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꺼려 카메라를 끄는 경우가 발생한다. 4차례 실행 연구 수업을 하는 동안 대부분 학생들은 카메라와 마이크를 끄고 수업을 들어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베트남만의 이러한 특수한 상황이 있기 때문에 강요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문제점을 당면한 현장에서 4차례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계획, 실행, 관찰, 반성, 재실행의 실행 연구 과정을 통해 변화 과정의 의미를 발견하고 현장을 개선해 나가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베트남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의 개선을 위해 현장에서 처음 시도한 실행 연구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동일한 문제를 가진 베트남의 다른 대학교 한국 문화 수업에서도 본 연구에서 실행한 과정과 방안이 확대되어 적용할 수 있는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The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dissertation about Korean culture class in a Vietnamese University. It started when, as a researcher, I worked as a teacher in a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a Vietnamese University. Perceived on site, was the need for improvement on problems recognized in previous studies. At that time, I was in charge of the Korean culture classes. Through this field experience, I becam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classes for Vietnamese students. In a recent paper, I found similar problems such as the teacher’s lack of expertise, an unsystematic Korean curriculum, and a lack of textbooks specialized for Vietnamese students etc. This problems have been raised for around 20 years and have not been improved. So this study aims to improve Korean culture class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Using the process of planning, acting, observing, and reflecting and incorporating it into a feedback loop. The reason for choosing an action research approach is that it is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for the actual improvement, of identified issues, on- site. Theory and feedback can be implemented in the field, directly targeting the problem, away from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 where theory and practice are separated. This study conducted Korean culture classes through the online platform Zoom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study applies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eaching method. This is a teaching method that focuses on content rather than language itself, and the role of language is used as a tool for learning content. In the process of teaching CBI, using a second language, learners acquire language and content simultaneously. I will examine how this teaching method affects Vietnam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examine the changes in Korean culture classes on-site through an action research approach.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content-based instruction affect students’understanding of content and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y? Second, what changes did the action research approach make in the delivery of classes over the span of four classes? Third, how should Korean culture classes be conducted online for Vietnamese learn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within the Bioethics Committee of Ewha Womans University for this study, 22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21 Vietnamese students who have studied Korean language for more than a year and 1 Vietnamese teacher with a phD who has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culture classes at the Vietnames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t was conducted with 1 preliminary meeting to gain rapport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d explain the research so participants could give their consent. The process of planing, acting, observing, reflecting is viewed as one process after the first reflection the process is re-executed three times. Acting as a ‘teacher as researcher’ and active participant-observer I conducted the class teaching Korean culture and the Vietnamese teacher played a role of a passive observer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It was intended to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Vietnamese teacher in the fiel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recordings, demand surveys, prior knowledge and post-knowledge test, interviews with the Vietnamese teacher, participation observations, field notes, research observation records, learning journals, and students self-evaluations.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BI methods. At frist, the Vietnamese teacher, who is a research participant in the study, was concerned that students would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tent if they conducted the class with CBI because they have low proficiency in Korean. After she participated in the classes in this study as an observer, it made her change her perception of CBI positively. Through this she saw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content taught, only in Korean, even if the content was difficult. Second, CBI improved students’knowledge. With the same question about Korean culture, I tested students’ prior knowledge before the class and post-knowledge after the class. As a resul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knowledg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In the prior knowledge test, a lot of students answered ‘I do not know’, while in the post-knowledge test, all students wrote down an answer based on what they learned. Although the classes were conducted only in Korean, the students understood the class content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improvement. Even students who had a low proficiency of Korean could understand, if the teacher taught according to their level. Third, CBI improved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y. All students responded saying they want the class to be taught by a Korean teacher. However nearly half of the students preferred Vietnamese as the language of class lectures in the demand survey. In the beginning, students felt pressured to take classes and understand it only in Korean, but as the class progressed, their confidence in the Korean language grew. This could be seen through their written responses in the study journal, first writing most answers in Vietnamese to writing mostly in Korean for the final response. It was also evident in their verbal responses in the class, as they went from giving no answers and hesitation to trying to respond with short sentences and words. Finally,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improved. This is evident from their Kahoot game results. Were they had to read questions in Korean, based on what they learned in the class, and choose an answer. Game scores improved by 32.61%. So from these results I could see CBI was helping to improve their Korean linguistic abilities. Fourth, Korean culture classes should be taught with a mutual cultural approach.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about Vietnam, it was pointed out that Korean culture classes were not conducted from a mutual cultural approach, only one side of culture was explained. In the process of leaning about the target culture, learners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both cultures by thinking about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conducted the cultural class with this approach and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learning culture by comparing the two cultures. Fifth, there are things to consider about online classes for Vietnamese learners who are in Vietnam. During the classes in this study, I had difficulty interacting with students who were turning off their cameras and microphones while taking classes. There are some reasons that should be noted that are special situations in Vietnam. One is that unstable internet connections easily occur due to changes in weather such as rain and typhoons, Another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s that they are reluctant to expose their house due to poor family circumstances. Thus, the classes for Vietnamese students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t is significant that I delivered this research over the span of four classes on-site and facing the problem. Through this, I discover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change by using a continuous feedback loop. Also,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ction research study attempted in the field to improve Korean culture classes at the Vietnamese University. It is hoped that the process and methods implemented in this study will be a good example and applied to Korean culture classes at other universities in Viet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