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 서울 소재 공립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를 중심으로

        이금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서울에 소재해 있는 공립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 전공과에서 자율적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는 교육과정의 편제와 시간배당, 편제에 따른 영역별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교육과정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해 보며, 각 단위학교에서 그러한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최선의 방안을 찾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적인 성격을 띤 조사연구로서, 현재 전공과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서울소재 공립정신지체 특수학교 4개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학교에서 발간한 2003학년도 학교 교육과정 운영계획서를 수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로 교양교과와 전문교과로 구성된 교과활동과 재량활동·특별활동·치료교육활동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고등부까지 운영해 오던 치료교육활동은 2개교에서만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과는 4개 대상학교 전체가 편성하여 운영하는 영역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교양교과는 여러 가지 운영형태를 띠며 주당 총 수업 시수 34시간 중 적게는 6시간(전체 시수 중 17.65%)에서부터 최대 7시간(전체 시수 중 20.59%)까지 시간을 배당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전체 4개 학교에서 교양교과에 배당한 시간은 평균 6.5시간으로 전체 시수 중 19.1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교과는 정신지체학교의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전체 수업 시수 중 적게는 52.94%에서부터 많게는 64.71%까지 시간을 배당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정신지체학교 전공과의 재량활동·특별활동·치료교육활동 운영은 각 학교의 7차 교육과정 및 학교 단위의 자체 교육과정에 준해서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이나 교육활동은 전환교육적 관점에서 직업과 생활 기능 중심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공과 운영의 목적 및 목표를 해당 학교 전공과별로 보다 명확하고 실제적으로 설정하여 정체성을 정립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전공과 대상자 선발 기준은 해당 학교 전공과의 운영목표에 기준 해야 한다. 넷째, 관련 기관들과의 지원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다섯째, 정신지체특수학교간의 네트워크 관리체계가 되어 정보 및 자료를 공유하여 학생들의 진로에 대해 수시로 상담을 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공과 담당교사는 무엇보다도 전공과 교사의 특수성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성인으로서 학생들의 성공적인 전환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 지식과 수행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의 직업재활을 돕는 것이라면 전공과 학생에게 지역사회의 작업장에서 현장훈련과 실습을 제공하고 이를 위해 지원고용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체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안지영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문초록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중등특수교육전공 안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중 정신지체영역 전공과가 설치되어 있는 20개 특수학교의 전공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전공과 운영실태와 전공과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살펴 본 후,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직업훈련 직종 및 교육내용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과 운영실태에 있어서 전공과 설치의 이념과 목적(평균 3.83), 학생 선발과 배치(평균 3.49),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평균 3.79), 교육 및 취업(평균 3.31), 시설 및 설비(평균 3.16), 전공과 지원행정(평균 3.12), 교원 실태(평균 3.48),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평균 2.81)로 조사되어 전공과 설치의 이념과 목적,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 대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담당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비해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에 대한 인식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 운영 있어서 지역사회, 학부모, 기관 등과의 협조 및 지원 수준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국가 및 지방단체, 학부모, 지역사회와의 협조체재 구축 및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겠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서의 훈련직종과 취업 직종간의 관련에 있어서 70.7%가 훈련받은 직종과 다른 직종에 취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교 전공과에서의 직업훈련 직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한다는 경우는 9.3%에 불과하며 보통은 70.7%, 불만인 경우는 14.7%, 매우 불만인 경우는 5.3%로 나타났다. 이렇게 전공과의 훈련직종에 대해서 다소 불만스러운 경향이 나타난 것은 현행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의 훈련직종이 실제 취업 직종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므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서의 훈련직종을 현실에 맞게 실제 취업과 관련된 훈련직종으로 계발하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겠다. 셋째,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교육하기를 원하는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사회 적응에 필요한 생활 기능의 습득은 53.3%, 고용을 위한 실제적인 직업 기능의 습득은 24.0%, 전공과 졸업생의 취업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조사로는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정책적 배려와 고용 기관이 더욱더 확충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44.0%로 조사되었으며, 특수학교 전공과 수료 후, 미 취업 학생들을 위한 대책에 대해서는 ,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 주도의 보호작업장이나 사업장 등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68.0%로 조사되었다. 이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이 사회적응에 필요한 생활기능을 습득하는 것과 고용을 위한 실제적인 직업 기능 습득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야 하며,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생의 취업과 미취업자에 대한 대책은 국가에서 정책을 수립 및 운영하여야 하며, 예산 지원 및 시설 확충 등 전반적인 상황을 관장하여야 하고 지방단체 , 관련기관, 기업체 및 학부모와 협력체재를 갖추어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하겠다. 본 연구결과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운영에 있어서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협조에 대한 낮은 인식과 지역사회, 학부모, 기관 등과의 협조 및 지원 수준에 있어서 미흡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 및 지방단체, 학부모, 지역사회와의 협조체재 구축 및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겠다. 또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이 취업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은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기존의 훈련종목을 선정하여 실시함으로서 학생의 개인차와 능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직업 세계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므로, 직무 접근을 통하여 정신지체 학생의 다양한 장애 상태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활동적이고 다양하며 단순한 직무들을 중심으로 직업 훈련직종이 선정·운영되어야 하겠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생의 취업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와 지역사회, 기업체 및 학교가 연계한 직업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전공과 졸업생들이 지역사회에 나아가 정상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활 중심 기능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향후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ng the Majoring Course at the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ir Improving Measures Ji-Young An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Chul Kwak, Ph.D.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joring course, and to make an analysis of the desires of teachers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majoring course and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election of occupational training corse and the improvement of the majoring courses. The following are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First,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ng the majoring courses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 Seco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ing course for occupational training and the employment jobs? Third,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operation of the majoring courses and their improving measures? This study worked with 75 teaches working at 21 special-education schools with the majoring course in mental retardation areas with the help of mails and e-mails in the form of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depended on SPSS 10.0 for Windows for independent sample t-test, χ2 test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subjects' understanding in accordance with the generic features of the subjects in respect to such questions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joring courses and the employment jobs and the things where the majoring courses have room for improvement. The researcher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ve. First,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perating the majoring course shows that the ideologies and purpose of the course, the selection and disposition of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urse,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ive administration for the course, the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nd communities' cooperation accounted for 3.83, 3.49, 3.79, 3.31, 3.16, 3.12, 3.48, and 2.81 on an average, respectively. The subjects had a very high understanding of the ideologies and purpose of the majoring course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and had a relatively low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communities' cooperation. This means that local communities, parents and institutions leave something to be desired in terms of co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construct a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government, local autonomous bodies, and local society and to support it. Second, 70.7 percent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ir students get jobs which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used to be taught at school. Only 9.3 percent of them turned out to be satisfied with occupational training at special schools and 70.7 percent of them turned out to be so-so satisfied with it and 14.7 percent of them turned out to be dissatisfied with the course and 5.3 percent of them turned out to be very dissatisfied. The subjects turned out to be dissatisfied with the occupational jobs of the majoring course. The training jobs provided by special schools are a far cry from the employment jobs. So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work out job-training courses which fit in with the employment jobs. Third, the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forms of the majoring course a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dicates that the subjects want the course to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mprovement of daily and social adjustment abilities, the forms of occup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 degree of students' handicap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he subjects sai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the course that their students were supposed to acquire skills for daily life and employment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s of their students and their requirements. Therefor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mentally retarded should acquire skills necessary for community life and at the same time occupational education for employment .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김현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전공과가 설치되어 있는 47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전공과 편성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학생선발기준은 학교마다 선발기준에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학교자체평가를 통해 선발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교육과정 시행시 학생들에게 적합한 직업교과를 진단하여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영역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전공과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본 결과 중점적으로 실시하는 전공과 과목은 포장조립, 제과제빵, 보치아, 직업 교과, 운동화 세탁, 바리스타 등이었다. 전공과에서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내용은 직업기능훈련 및 훈련공과지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학교교육과정에 따라 기본교과+직업기술훈련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교과 담당교사의 배치는 직업전문교사가 배치되는 경우보다 교사 1인당 한분야씩 맡아서 지도하거나 동 학년에서 적절히 분담하여 지도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체험 기회를 제공해 적절한 직종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훈련 직종을 다양화하고 교육시설이나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적인 교과지식을 지닌 전문교사가 전공교과를 담당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일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For this purpose, 47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the majoring curricul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ly, when the students who will study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are selected, the selective test is different in every school. Secondly, almost school choose the subject that is packing, bakery, boccia, vocational education, shoes cleaning and barista. Thirdly, in many school, the professional majoring subject teachers do not teach students but a teacher takes one majoring subject.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many majoring subjects should be made and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finantial support should be expanded. Also, it is so important that the professional majoring subject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로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적용 및 요구가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생생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 경력 5년 이상인 일반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 중에 있는 특수교육대학원생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자 또한 연구 일지를 통해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연구 결과의 해석이 왜곡되거나 오해되는 부분은 없는지 연구 참여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진실성을 확인받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에 관한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통합교육 초기에 일반유치원교사는 통합학급 교사로서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유아특수교사가 하는 대로 이끌려가거나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반자적 관계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 모두가 통합학급의 담임교사로서 장애유아뿐 아니라 일반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의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아교사는 통합초기에 학부모와의 상담에 소극적이었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들과 특수교육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였으며, 장애유아 학부모와의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 내용을 공유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공동체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유치원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연수가 이루어진 후 통합학급 교사가 되는 방안과 교사의 교직생애주기별 연수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통합교육 경력교사의 강사활용 방안 그리고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한 협력지원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식의 융합에 기반을 둔 통합교육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2명의 교사 이야기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통합학급 교사로서 또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이 어떠한 변화의 힘을 이끌어내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이야기는 통합학급 교사로 하여금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는데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하며,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분석 : 경기도 특수학교 10개교를 중심으로

        김세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국 ·공립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 편성·운영사항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 국· 공립 특수학교 전공과 10개교의 「2022학년도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계획」문서를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을 기반으로 제작한 연구 도구의 기준에 따라 문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에서 전공과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할 때 학교 안팎의 다양한 실정과 여건을 고려하여 편성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의 인·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협력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취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계획 내 교과와 연계한 특색 사업은 취업인증제, 모의 면접대회 등이 있으나 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취업)과 관련된 특색 사업 운영은 미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경기도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방향을 자율성을 기준으로 제시하였으며, 학교 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 특수학급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장진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를 대상으로 전공과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전공과 담당 특수교사들의 의견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8개교에 설치된 일반학교 전공과 교사 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54명(84%)의 의견을 회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는 전문적인 고용을 위한 직업 교육 기관으로서 명확한 목표 확립과 지속적인 확대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를 위한 시도교육청 수준의 교육과정 및 운영 지침이 필요하다 각 시도교육감은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를 위한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교육과정이 편제될 수 있도록 운영 지침 연구에 힘써야 한다. 셋째,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다양한 지원으로 전문성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다양한 업무가 복합적으로 섞여 있는 전공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공과 내 업무만 수행하도록 업무분장이 되어야하며, 보직교사를 배정에 대한 시도교육청 지침을 통해 전문성과 책무성 강화를 도모해야 한다. 넷째,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의 입학전형평가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시도교육청에서는 전공과 입학전형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검사를 개발하여 제공해야한다. 학교에서는 지역 및 학교별 특성에 따라 평가를 재구성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꾸려져야 한다. 다섯째,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 학생의 현장실습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에서는 전공과 과정을 이수하는 장애학생들의 현장실습과 관련된 지침에 고등학교 장애학생들 보다 유연한 운영 방침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전담기관이 설치되어 취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학생과 사업체를 매칭하는 등 전문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 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 of the ordinary schools and explore their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the special cours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64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18 schools throughout the nation for a questionnaire survey. 54 teachers (84%)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are the vocational programs for the special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ir clear goals, while continuing to expand them.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curriculum and its guidelines for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at the level of the municipal ministry of education. Namely, each superintendent of education should endeavor to develop the guidelines for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so that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can be organized. Thirdly, it is essential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in consideration of their peculiar conditions. To be specific, their teachers' jobs should be limited to the affairs of their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in considerations of their special conditions. In this regard, the metropolitan education boards should establish some guidelines about the assign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help them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sense of mission. Fourth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ntrance test and evaluation for the special courses. Namely, the metropolitan education board should develop a standardized test for evaluation of the students applying for the special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ordinary schools should be guided to reorganize their evaluation systems reflecting their conditions. Fifth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upporting system to help activate the field practicing for the special course students. In this regard, the municipal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pply more flexible guidelines to the post-secondary school special vocational courses than those to the secondary school course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the field practicing program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uture-career counselling institution to provide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course students with the job-related information or match them to the employers. In this regards, some professional manpower need to be deployed for the post-secondary special vocational courses of the ordinary schools.

      •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수행 인식에 관한 연구

        김순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들이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경력별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특수교사자격 취득 과정별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생 장애유형별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육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이 5년 이상인 교사가 5년 미만인 교사보다 학교에서 일반교사나 일반학생으로부터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 장애아동 학부모와의 정기적인 상담과 회의를 통하여 특수학급 운영을 위한 지원을 더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직경력이 5년 이상인 교사가 5년 미만인 교사보다 학습지도를 계획할 때 교과별 개인별 장기 단기 목표를 더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고, 장애 학생들의 학습을 지도할 때에도 장애 특성에 따라 교수 전략과 자료를 더 수정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교직경력이 5년 이상인 교사가 5년 미만인 교사보다 담당하고 있는 장애 학생의 자해․간질 등으로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때 대처하는 요령을 알고 더 잘 처리하고 있었다. 넷째, 재직 중 대학원의 특수교육 전공을 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보다 학교에서 일반교사나 일반학생으로부터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를 더 구하고 있고, 가정으로부터도 학부모와의 정기적인 상담과 회의를 갖고, 장애아동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가족의 역할을 더 많이 부여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도 장애아동 관련 기관 및 각종 서비스 제공단체와 연계망을 조성하여 더 많은 지원을 받고 있었다. 다섯째, 재직 중 대학원 특수교육 전공을 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보다 ‘장애 특성에 따라 더 실현가능한 행동목표’를 설정하고, ‘장애 특성에 따라 더 적절한 지도내용’을 선정하며, ‘장애 학생 개인별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여 더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지도 시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 시범 시연을 더 보였고, 적절한 교재 교구 장비를 더 잘 활용하는 것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직 중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보다 장애아동 가정과 연계한 생활지도 계획과 연간 학급 운영 계획을 더 세밀하게 세워 실천하고 있고, 담당하고 있는 장애 학생의 자해․간질 등으로 긴급 상황이 발생할 때 대처하는 요령을 알고 더 잘 처리하고 있었다. 일곱째, 신체적인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지적인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보다 장애 아동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역할을 가족들에게 더 부여하여 활동하게 하고 있었다. 여덟째, 장애아동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장면의 수업계획을 수립하여 활용하는 것은 신체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가 더 활발히 하고 있었다. 아홉째,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가 신체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보다 학급경영계획을 주․월․학기․학년별로 더 치밀하게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직경력이 5년 이상인 특수학급교사가 5년 미만인 교사보다 특수학급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일반교사 ․ 일반학생 ․ 학부모로부터 더 받을 수 있도록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활용하며, 장애 특성에 따라 교수 전략과 자료를 더 수정하여 활용하고, 긴급 상황을 더 잘 처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재직 중 대학원 특수교육 전공을 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가 대학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하여 특수교사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보다 더 활발히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가정과 연계한 생활지도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있으며, 아동의 성장 발달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가족의 적절한 역할을 더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지적인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신체적인 장애를 가진 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보다 교과별 개인별 장기 단기 목표를 더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장애아동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장면의 수업계획을 더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