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도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에 대한 조사 연구

        이승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현황과 순회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순회교육 방법을 파악에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 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에서는 순회교육에 대한 정보를 공문과 특수(통합)교육 담당 교사로부터 얻고 있었으며 학생의 기초학습기능 향상 및 문제행동에 대한 지원을 받 기 위해 순회교육을 신청하고 있었다. 둘째, 순회교육의 운영 실제와 관련하여 순회교 육의 빈도는 평균 주당 2회, 1회 방문시 2시간의 시수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개별화교 육계획 작성 지원 및 순회교육계획 및 평가에 대해서 안내하고 있었다. 특수학급 미설 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주요 인식과 요구로 두 교사 모두 특수(통합)교육 연수 필요 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고, 통합방법 또는 교육과정 관련 연수를 요청하였다. 나아가 순회교육 업무 담당 교사 간 의사소통 및 협력의 부재, 구체적인 지침, 및 행ㆍ재정적 지원의 부재를 어려움으로 응답하였고, 이와 관련한 개선점을 요구하였다. 주제어: 순회교육, 특수학급 미설치교, 조사 연구

      •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태도와 운영 실태에 관한 면담 연구

        성영혜 청주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면담을 통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태도,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명료성이 부족하고, 현장 적용이 어려운 교육과정 자체의 문제점과 잦은 기본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피로감와 실망이 커서 교육과정 개정에 더 이상 관심을 가지지 않으며, 적절히 대응하고 있지 않다.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기본교육과정에 관심을 덜 가지는 이유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최근 동향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일반교육과정에의 접근으로 편제나 시수, 교과목까지 일반교육과정에 준하여 동일하게 맞춰가고 있는 추세 때문이다. 둘째, 초등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초등 특수학급에서는 도구 교과를 중심으로 공통교육과정 해당 학년이나 학년 수준을 낮춰 재구성한 교과 지도가 주로 이뤄지고 있다. 그래서 특히 공통교육과정 교과서의 범위를 벗어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모두 통합학급에서 수업이 이뤄지기에 특수학급에서 시수는 교과로 잡아놓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암묵적으로 자체 운영하고 있다. 초등 특수학급 교사 모두는 교육과정 자체보다는 교과지도나 생활지도에 대한 고민을 더 많이 하고 있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특수학교에 비해 자율재량이 많은 특수학급이지만 명확한 지침이 없는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의구심과 불안이 늘 존재한다. 무엇보다 단위 시간에 다른 수준, 다른 학년, 다른 교과목의 학생이 모이는 복수학급 형태의 특수학급 운영을 어려워한다. 셋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자나 교육 행정가들 위주가 아닌 현장 교사들 중심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교육과정 대한 낮은 기대와 높은 실망감을 호의적인 태도로 바꾸는 것이 시급하다. 또 기본교육과정의 존재 이유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통교육과정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 안 되고, 시간에 쫓기는 졸속 개정이 되지 않게 충분한 현장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 구체적인 지침이 없어 교사들마다 교육과정 운영에 편차가 큰데, 좀 더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지침이 필요하다. 한편 교육실습도 특수학교 위주로 이뤄져서 예비 특수교사들이 특수학급의 실제를 잘 모르고 무엇보다 공통교육과정 국어, 수학에 대한 교과교육을 많이 요구하고 있다. 현장에 도움이 안 되고, 단순 전달에 그치는 형식적인 개정 교육과정 연수가 아닌 실제 도움 되는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 및 연수도 계속 잘 이뤄져야 한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육과정은 좁게는 개별화교육계획, 넓게는 문서로 존재하는 학급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했다. 또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모두 수업에 대한 고민들이 많았다. 초등 특수학급에서 교과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이영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 문 초 록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for Integrated Education with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이 영 희 지도교수 추 연 구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변인이 가장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관점에서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장애인과의 직․간접 접촉 경험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학생 200명과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의 특수교육 전공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이영애(2003)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다시 특수교사에게 문항 및 영역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주요 설문내용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장애인과의 접촉경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 정도 등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chi-square 검증과 t검증 분석을 실시하여 처리하였다. 앞에서의 연구과정을 걸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면 예비 특수교사들은 예비 초등교사 보다 장애인과의 접촉이나 보장구, 장애인시설의 설치, 장애인과의 직장 근무 같은 10개의 문항 모두에서 예비 초등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장애인과의 직․간접 접촉 경험 정도를 알아보면 두 집단 모두 가족이나 친인척관계 속에서 장애인을 접한 직접적인 경험은 적었고, 장애인과의 직접 접촉 정도에 따른 태도 문항 중에서 ‘친구 중 장애인 유무’, ‘통합교육 받은 경험’, ‘장애인 시설 봉사 경험’, ‘통합교육의 형태’, ‘장애인 시설봉사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특수교사의 장애인 시설 봉사 경험이나 봉사 횟수가 예비 초등교사에 비해 훨씬 많았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예비 초등교사가 2.94점인데 비해 예비 특수교사가 4.63점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볼 때, 특수교육과목을 이수하고 공부한 예비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예비 초등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높았고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성도 보다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아동의 신체적․심리적 특성을 좀 더 잘 알고 있었으며, 통합에 필요한 실제적 지식과 기술의 습득 정도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들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교육은 교육현장에서 통합학급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태도와 자질을 향상시키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 학급을 담당할 목적으로 육성되는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있어서 장애아동 통합교육은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이다. 교원을 양성하는 과정에서 장애학생의 이해에 관한 이수과목을 개설하고 이것을 전공 필수로 하여 반드시 교육 현장에 나오기 전에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래서 모든 예비 초등교사가 특수교육을 공부하고 현장에 투입되어 통합교육이 현장에서 일반교육과 서로 윈(win)-윈(win)하는 체제가 되는 토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주제어 : 예비 초등교사, 예비 특수교사,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통합교육, 특수교육.

      •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이지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855

        논 문 요 약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이 지 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강 옥 려) 보육의 기능을 중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을 떠나 사회적으로 교육의 기능을 중시하며 아동의 발달 단계상 또래와의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로의 진학은 아동 본인과 가족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과 낯선 환경에 대한 두려움은 환경의 변화에 더디게 적응하는 장애를 가진 아동과 그들의 부모에게 더욱 크게 느껴진다. 따라서 장애아동이 낯선 초등학교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초등학교로의 전이교육과정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아동을 위한 초등전이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적용시키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초등전이기술을 알아보고 초등전이기술 간 중요도를 인식하여 장애아동에게 가장 필요한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개별화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세 집단인 장애아동의 부모와 특수교사,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장애아동이 초등학교 과정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성공적인 초등전이기술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끌어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9개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고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거나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장애아동의 부모 110명과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의 일반교사 110명 및 특수교사 110명을 임의 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전이에 관한 선행 연구들(김민정, 2009; 김승현, 2005; 이소영, 2005; 황순영 강영심, 안성우, 박재국, 김자경, 2011)과 Piotkowski(2000)가 Head Start에 참여한 초등학교 입학생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관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CARES(Community Attitudes on Readiness for Entering School)를 참고하여 초등전이기술의 하위 문항을 정하고 황순영 외,(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초등전이기술을 4가지 영역 즉, 학교생활적응기술, 학업기술, 일상생활기술, 사회적 상호작용기술로 나누어 연구도구를 제작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전체 배부한 330부의 질문지 중 287부가 회수되어 86.9%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무응답이 있거나 신뢰도가 낮은 질문지 14부를 제외한 273부를 통계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이에 따라 우선순위를 구하였으며, 초등전이기술의 각 영역별 하위 기술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장애아동의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리드만(Friedman)의 순위에 의한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장애아동의 부모나 특수교사, 일반교사 모두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의 하위 영역인 학교생활적응기술과 일상생활기술, 사회적 상호작용기술에 Likert식 5점 척도 중 평균 4점 이상씩을 주었고, 가장 중요도 인식이 낮게 나온 학업기술 역시 4점에 근접한 점수를 주어 초등전이기술의 모든 하위영역기술들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세 집단 모두 사회적 상호작용기술을 장애아동에게 가장 필요한 초등전이기술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세 집단에서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초등전이기술의 4가지 영역인 학교생활적응기술과 학업기술, 일상생활기술, 사회적 상호작용기술에서 세 집단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하위영역의 기술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으나. 프리드만(Friedman)의 순위에 의한 이원배치분산분석 결과, 각 집단 간 입장과 자주 접하게 되는 상황에 따라 중요하게 인식하는 초등전이기술 중 영역별 하위기술의 중요도 인식의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장애아동의 부모들은 교사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었고, 또래 아동들과 함께 생활하고 부딪치면서 초등학교생활에 적응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학부모 교육이 학교 차원이나 교육청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하였으며, 장애아동의 안전과 교육권 보호를 위한 행정적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교사들은 교육청 단위의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관한 학부모 연수가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장애아동 부모들에게 기다려줄 수 있는 마음적 여유와 교사에 대한 신뢰, 장애아동이 초등학교에 적응하기까지 적극적인 학부모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장애아동의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 모두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하위 영역별 기술에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직경험과 대처방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숙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초등학교에서 소수자로서,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학교 안팎에서 겪는 경험과 대처방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직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교직경험에 따라 어떤 대처방식을 사용하는가? 이다. 실증주의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인간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의 분석방법 중 Colaizzi(1978)가 제시한 6단계의 분석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삼각검증법, 참여자 확인법, 동료검토법을 활용하였고, 이로써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장애인을 바라보는 차별적 시각에서 기인한 ‘특수교사에 대한 불평등한 사회적 인식’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장애학생의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에서 기인한 ‘장애학생 교육에서의 애로사항’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장애학생 교육을 계획할 때, 교육과정 선택에 책임감을 느꼈고, 확신 없는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중증 장애학생의 부적응 행동으로 신체적,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고, 장애학생의 교육 성과가 두드러지지 않아 보람을 느끼기 어려웠으며, 특수학급을 창피해하는 장애학생이 이해되면서도 동시에 서운한 감정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급이 일반학급과 별도의 체제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전통적 특수교육에서 비롯된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이원적 구조 속 고립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통합학급 시간표에 따라 특수학급 시간표가 구성되는 초등학교에서 특수학급 시간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오롯이 특수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몇 년간 같은 학생을 가르치는 것에서 미안한 감정을 느꼈고, 교원평가에서 성과를 인정받지 못해 사기가 저하되었으며, 초등학교 교직문화의 대표적인 특징인 동학년 조직에서 한 구성원으로 활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특수교사로서 학교의 구성원들과 협력하는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과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수학급이 두 학급 이상일 경우 동료 특수교사와의 상이한 업무처리방식과 기간제 교사와의 책임의 무게 차이를 경험하였고, 보조인력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것에서 불편함과 서로 간 입장차이를 경험하였으며,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를 다르게 인식하는 장애학생 학부모에게 서운함을 느꼈고, 관리자의 지지 여부에 따라 특수교사의 입지가 달라짐을 경험하였으며, 통합학급 교사의 비협조적인 태도와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특수교사로서 역할의 한계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교직생활에서 겪은 어려움을 만족감으로 승화시키는 방식인 ‘어려움 속 만족감 찾기’를 통해 대처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교사의 안정적인 직업적 처우에서 만족감을 찾고 있었고, 장애학생의 선한 모습과 성장에 기쁨을 느꼈으며, 비주류로서 경쟁 세계에 뛰어들지 않아도 된다는 것과 자유롭게 학급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였고, 그리고 장애학생 교육의 목적인 사회통합에 가장 근접한 환경인 일반학교에서 장애학생을 보편성 측면에서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감을 찾고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인적 네트워크 구축하기’를 통해 학교 안팎으로 다양한 인적자원을 마련하고 있었고, 그들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학교 구성원과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있었다. 통합학급 교사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통합학급 교사를 장애학생 학부모의 마음으로 대했으며, 통합학급 교사와 학부모 간 중재자 역할을 하였고, 학교 내 일반교사들과 정서 공유를 통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교직생활에 활력을 얻었으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 일반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업무를 수월하게 추진하기도 하였다. 또한, 동료 특수교사와 협력의 관계를 형성하고, 특수교육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없는 초등학교 내에서는 관리자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장애학생 학부모에게 수용적인 태도로 다가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으며, 학교 밖 특수교사와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초등학교에서의 고립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동질집단 속에서 소속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를 통해 어려움에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로 맞서며 대처하고 있었다. 통합학급의 잦은 시간표 변경으로 인해 특수교사가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통합학급 교사에게 직관적으로 제시하거나, 본인만의 기준을 명확히 하여 스스로를 대변하였고, 불합리한 처사나 장애학생을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또한, 동학년 조직에서의 어려움은 동학년 모임에 빠짐없이 참여하거나 동학년 조직의 총무나 친목회 간사 역할을 자진해서 맡는 등의 적극적인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그리고, ‘소극적으로 대처하기’를 통해 갈등 상황을 회피하거나 장애학생 교육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구조적 불평등에 체념하거나, 자포자기하는 태도를 보였고, 장애학생 교육의 기대 수준을 낮추는 등 욕심을 버렸으며, 동 시간대에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학생이 몰려 한 학생에게 충분한 시간을 쏟지 못하는 수업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에서 상대에게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키기보다는 받아들이고 포기하는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초등학교 교직문화 속에 동화되는 방식과는 달리 ‘정체성 확립하기’를 통해 일반교사들과의 차별성을 내면화하고, 초등학교 내 유일한 특수교육 전문가이자 장애학생 행동중재 전문가, 일반화를 좇는 교사, 그리고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교사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모두 초등학교 여성 특수학급 교사로,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남성 특수학급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여성이 다수를 차지하는 교직 사회의 특성상 교사의 성별 또한 교사가 겪는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남성 특수학급 교사의 경험을 살펴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특수교사로서 역할 수행을 위해 여러 구성원들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므로,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교직문화를 조성하도록 학교의 다른 구성원들이 특수교사에 대해 갖는 인식과 기대역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교육 체제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초등학교에서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데 한계를 느꼈던 특수교사의 교직적응을 돕기 위해 일반 초등교사 출신의 특수교사는 어떤 교직경험을 하고, 그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학교의 공식적 교육과정을 문헌연구하거나 학교 교육현장에 참여하고 관찰하는 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학교 내 잠재적 교육과정, 영교육과정에 내포되어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요소를 밝혀낼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s a minority, a teacher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wo research questions that guided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what kind of coping strategies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use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uman experience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mpirically, this study follow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specifically based on constructivist paradigm to understand experience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n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qualitative method; Colaizzi(1978)’s phenomenological method of step six. To achieve truthfulness and ethics of the study, the study was progressed through triangulationing, member checking, and peer examining.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experiencing ‘unequal soci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emming from discriminatory views on the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elt responsible for the curriculum selection. And they were unsure of the classes, experienc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due to maladap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y were hardly rewarding because of poor educational performance of disabled students. They felt hurt by students who felt ashamed of the special classes, but also they were understood them. In addition, in general schools, they experienced ‘isolatedness in the dual structure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which originated from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in Korea, where special classes are operated in a separate system from general classes.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run a special class timetable, and they were feeling burdened by planning and executing special education by themselves, and due to the unchanged special class composition, such as students, classroom, they fell into mannerism or they were demoralized by not being recognized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y had difficulty being a member of the teacher organization in elementary schools.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school members’ in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school members. They experienced a difference in the weight of responsibilities with a fixed-time teacher, and a different work method each other. And they were placed in the same classroom as the assistant staff, causing inconvenience. They felt sad becaus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erently. And they experienced the 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pending on the support of principal in schools, and limited roles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e to the uncooperative attitude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ped with difficulties using ‘finding satisfaction in difficulty’ strategy.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teacher's stable job.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goodness of disabled students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being non-mainstream because they didn’t have to compete among teachers. In addition, they were finding for satisfaction in that they can discover not only the specificity but also the universa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They were coping in a way that developed a variety of human resourc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hrough ‘building a human network' and formed a smooth relationship with them.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integrated classroom teacher, treated them with the minds of the parents of student with disabled, acted as a mediator between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integrated class teacher. And they shared emotions wi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y were assisted in carrying out their work. In add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partnership with fellow special teachers. And they had a smooth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 and were helped by them. They treated the parents of disabled students in an receptive manner and formed friendly relations and formed a community with special teachers outside the school and escaped the isolated life in elementary school and felt a sense of belonging in a homogeneous group. They were coping in a positive and proactive manner to the difficulties using ‘Active Coping Strategy'. They intuitively presented the difficulties faced by frequent changes in the integrated class timetable to the integrated class teacher. They represented themselves by clarifying the standards and responded by actively presenting opinions on disabled students. In addition, they dealt with in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organization by fully participating in it or taking the role of teachers' organizations. They tried to avoid the conflict or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Passive Coping Strategy'. They coped a structural inequality, taking a desperate attitude, and lowered expectations for the education of disabled students. They tried not to be stressed out in the classroom. Also,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y were using the coping strategy of accepting and giving up rather than arguing their opinions to others. Unlike the way of being assimilated into the teaching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the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ism from general teachers was achieved using the strategy ‘establishing identity'. They were coping a manner that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the only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in elementary schools, experts in behaviora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s who pursue generalization, and teachers wh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Some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ll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ema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limitations that have not explored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ma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is study.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teaching community, where women are the majority, teachers may have different experiences depending on gender. So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becau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st cooperate with various members in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other members of the school abou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helps to make up culture of teachers wh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in elementary schools. Third, to help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 to teaching positions who felt limited in supporting disabled students, due to the la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was a general education teacher. Fourth, in order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the disabled,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study on literature review of the formal curriculum of schools containing prejudice against the disabled.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on ethnography that participate in and observe the school's educational scenes that are embedded in latent curriculum and null curriculum in schools in order to expose prejudices against the disabled.

      • 통합교육에 대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연구

        남민우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39

        이 연구는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 있는 태도를 보이는가를 밝히고, 이를 통해 공립초등학교 뿐만 아니라 사립초등학교에서도 특수교육, 특히 통합 교육에 더욱 관심과 실질적인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사립초등학교 교사는 통합교육의 하위 영역별 질문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와 성별, 교육 경력, 특수아동 지도 경험, 특수교육 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통합교육에 어떤 태도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 보았다. 지도교수의 협의 후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선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특수학교를 제외한 서울특별시 공·사립 초등학교 교사만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320부를 배포하여 30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 중 손상되었거나 매우 성의 없이 답한 9부를 제외한 공립 159부, 사립 136부를 합하여 총 295부를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학교 교사들은 통합교육 시 장애 아동들이 교과 활동에서의 학업 성취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데 다소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일반아동이 교과 학습 면에서 장애 아동에게 도움을 주는 측면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으며, 보조교사의 활용에서는 공·사립 교사 모두 그 필요성을 매우 높게 제시하였다. 둘째, 공·사립 교사 모두 통합교육을 함으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장애 아동들도 생활 태도가 더욱 바람직하게 발전할 수 있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다. 또한 특수아동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젊은 교사일수록 아동들의 생활 태도 변화에 더욱 동의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환경 부분에서 공·사립교사의 관심은 특수 교육에 대한 교육 정책의 강화, 적정 학급당 인원 수, 교육 재정 확보, 교육 환경 개선에 있다. 또한 교사의 장애 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필요성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사립학교 교사가 오히려 공립 교사보다 교사의 태도를 우선 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완전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 높게 반응하였다. 또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현행처럼 특수학급을 운영하여 절충하는 특수교육보다는 완전통합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공·사립 교사는 초등특수교육에 대해 적극 찬성하고, 통합교육 실시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평소 통합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수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공립의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통합 교육에 관심 정도에서는 남자 교사가, 통합 교육 실시의 찬성에 관해서는 비교적 젊은 교사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 자신의 학급에 장애 아동을 교육시킬 수 있다는 질문에서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더욱 적극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립에 비해 공립 교사가 더욱 통합 교육 연수가 있다면 꼭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사립이 공립에 비해 교외 연수 활동에 소극적인 현상에서 기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이 연구의 결론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사립 초등 교사들도 공립 교사에 비해 통합 교육에 대해 결코 관심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며 사립에서도 교육 환경과 여건이 주어진다면 충분히 특수교사와 함께 통합교육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공·사립 교사들은 아직도 통합교육을 위한 국가적 관심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일회성에 그치는 단순한 관심과 지원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통합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투자만이 특수교육의 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 또한, 통합교육을 위해 보조교사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는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은 연수 및 장애 아동을 경험했을 때 훨씬 높아 질 수 있다. 보다 활성화되고, 계획적인 연수와 이에 참여시키기 위한 유인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특히 사립교사의 연수 및 특수 아동 경험 기회가 더욱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point out the degree interests shown by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purpose of serving as basic material that may derive greater attention by teachers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while stressing the necessity for substantial support not only in public schools but also in private schools as well. In oth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study focussed on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sex, teaching experiences, experiences in teaching disabled children and experience in attending programs designed for teaching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difference in attitude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in reaction to the questions given to them that deal with sub-related domain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possibility of academic improvement of disabled students when integrated with normal students. However, teachers agreed that disabled students would receive academic assistance from the normal students. Teacher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chools strong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utilizing help from supporting teachers. second, teachers of public and private schools believe that the attitudes of normal students toward disabled students could change in a positive way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ar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reinforcement plans of educational policies relate to special education, the conditions of class size in relation to guranteeing a reasonabl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securing finan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educational environment. The necessity of having true awareness of the situation and needs of disabled students was also pointed out as an essencial factor in carrying out integrated education. A noticeable fact is that more private school teachers pointed out the teacher's attitude as a priority condition in integrated education. Privat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response in questions realted inclusion of integrated education. Fourth, most of the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rongly agree in the need for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system. Teacher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tegrated education and have had continuous interest. Public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ining programs showed higher response in the necessity for special education. Male teachers showed more interest in integrated education compared to female teachers. Younger teachers and those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agreed stronger in the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n whether the teacher is willing to have a disabled student in his or her class, more teachers who have ha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compared to those who lack such experience. By overlooking such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First of all, private school teachers are not less interested in integrated education when compared with public school teachers. This suggests that with 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existence of integrated education in private schools is possible along with the hel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till believe that national interest an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insufficient. Third, The attention and interest teachers have towards integrated education could be greatly enhanced through training programs and by providing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have direct contact with disabled students.

      •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운영의 실태 및 지원 요구

        김순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경력이 있는 통합학급 담당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의 실태와 지원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충청북도 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5명의 초등학교 통합학급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운영 실태와 관련하여 면담한 결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일반학급 배치는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서 전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담임교사보다는 특수교사가 주무자가 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및 운영, 개별화교육계획을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통합학급 경우에는 특수교사가 작성하였다. 특수학급이 미설치된 일반학교의 경우에는 담임교사가 특수교육 업무를 담당하며 지역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지원을 받아 개별화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통합학급의 운영 시 장애의 종류와 정도 및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 방법의 어려움, 긍정적 행동중재 실행의 어려움, 사회적 관계 형성 지도의 어려움, 부모상담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은 특수교육 연구, 연수 참여, 교과 연구 참여 등이 있었지만, 학급 운영 및 학교 업무 수행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면에 특수교육 캠프 참여하거나 특수교육 대학원에 입학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이해와 지도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통합학급 운영 및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지도와 관련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보다는 무기력하게 수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담임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 배치되는 것이 교육적으로 효과적이다 라고 하였다. 그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교수의 사각지대에 놓이거나, 문제행동으로 인한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을 겪기보다는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개별적인 학습 지도와 또래관계 형성,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지원 등을 통하여 학습능력 향상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성공적인 완전통합교육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로는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적합한 수준별 교육과정 및 학습 자료 제공, 다양한 교구 확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이해교육 및 특수교육 연수, 학부모 상담 지원, 특수교육실무사 및 자원봉사자 등의 인적 지원, 지역교육청 및 유관기관의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장학, 컨설팅 지원, 통합학급담당교사 인사이동 점수 부여 인센티브 등이 있었다. 또한 특수학급 미설치교에 대한 통합교육 지원으로는 특수학급 설치를 통한 특수교사 배치, 학교-특수교육지원센터간의 완전통합교육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제공함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의 운영 실태와 담임교사의 지원 요구를 분석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심층 면담을 통한 깊이 있고 현실적인 상황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비록 완전통합교육 경력이 있는 소수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다양한 학급별 완전통합교육 상황과 사례를 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더 발전된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유가영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39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에서 나타난 학생과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고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자이자 자문화기술자인 ‘나’, 연구자가 근무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특수교육대상학생 7명 등이다. 연구 방법은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및 면담 녹화 자료, 녹음 자료, 연구자 성찰일지, 연구 노트, 연구자 기억 자료, 각종 문서 및 활동사진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에서 나타난 학생의 경험은 학급회의 횟수가 여러 번 쌓일수록 자연스럽게 진행되었으며 우리 학급만의 문화로 자리잡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도 학생자치활동을 충분히 해낼 수 있다고 믿어주는 태도와 다양한 반응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깨닫게 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생활 속에 여러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는 이들을 민주시민으로 기르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교육적 의미를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애 정도나 학년에 상관없이 동등한 참여의 기회를 주었다는 점과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학생자치활동을 시도하여 그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 on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of a special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o find out what they mean.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I’, as a researcher and an autoethnographer and 7 students attending a special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ed. The autoethnograph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 materials such as recorded video for class activities and interviews, researcher’s journals, research notes, researcher’s personal memory data. There were also various documents and activity photo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As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happened, the better the students managed the activities. The experiences have become a culture unique to the class. Second, the teacher’s experiences on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made the teacher realize that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accept students’ various responses. Students also needed an attitude of teachers to believe that they can fully carry out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Finally,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of a special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influenced on the live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ositively. The teacher realiz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need to make efforts to encourage the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students had equal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level of disabilities or grades. It shows that there are possibilities of the students’ self-governing activities in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 2011과 2015 개정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 비교 분석

        김용혁 대구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의 내적·외적 체제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한 변화를 알아보고 개정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여 적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선 학교의 교사들에게 수학과 교과서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기본교육과정으로 학습하는 학생을 위한 교재 및 학습자료의 개발과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사전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교과서의 분석 기준을 외적체제와 내적 체제로 나누고 판형, 권수 및 분량, 글자의 모양과 지질, 교과서의 판면 구성 등의 외적 체제와 단원 수, 영역별 내용 요소, 영역별 제제, 영역별 비중, 단원 전개 방식 등의 내적 체제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교과서는 종전 교과서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점과 불편한 부분을 개선하였다.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외적 체제의 변화로 본 연구에서 판형, 교과서의 권수와 분량, 글자의 모양, 본문의 지질, 교과서의 판면 구성을 분석 기준으로 정하여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보다 분량이 약간 늘고 부록이 2권에서 1권으로 줄어 부피와 무게가 줄었다. 종전보다 세로의 길이 약 5mm 정도 긴 변형된 국배판이며 뾰족한 테두리를 라운드 처리하여 안전성을 강조 하였다. 또한 1~2학년 교과서는 글자의 모양이 종전과 같지만 본문 크기가 2포인트 정도 커졌고 3~4학년 교과서는 크기는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본문은 고딕체로 제목은 엽서체로 바꾸어 변화를 주었다. 둘째, 교과서 내적 체제의 변화로 분 연구는 ‘단원 수’, ‘영역별 내용 요소’, ‘영역별 제재’, ‘영역별 비중’, ‘단원 전개 방식’을 분석 기준으로 정하여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의 내적 체제는 전 교과서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도 연속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개정하였다. 먼저 2015 교과서는 핵심 개념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여 내용별 범위를 좁히고 난이도와 학습량을 적정화 하였다. 그리고 종전 교과서보다 단원수가 늘었지만 제재수와 차시수를 비슷하게 하여 발달 단계에 필요한 내용 영역을 적당하게 조정하였다. 또한 수완 연산의 비중을 높이고 조정하여 장애아동이 수학의 기초를 필수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단원 전개 방식은 이야기·놀이마당을 놀이마당으로 통합 구성하여 자유로운 활동을 통해 몸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2011 교과서는 보편성을 강조했다면 2015 교과서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조화롭게 유지한 교과서라고 하겠다. 교과서를 개선하는 것은 수업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중요하고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교과서 분석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적었고 특히 초등 수학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빈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수학과 교과서의 올바르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며 나아가 교과서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인터넷 활용 실태 조사 연구

        구자청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고학년(4∼6학년) 아동의 인터넷 활용 실태와초등학교 일반학급 고학년(4∼6학년)아동의 인터넷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인터넷 활용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학급 아동의 인터넷 활용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 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고학년 아동과 초등학교 일반학급 고학년 아동의 인터넷에 대한 이해 정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고학년 아동과 초등학교 일반학급 고학년 아동의 가정에서의 인터넷 활용 실태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고학년 아동과 초등학교 일반학급 고학년 아동의 학교에서의 인터넷 활용 실태의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고학년 아동과 초등학교 일반학급 고학년 아동의 인터넷 정보통신윤리의식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수학급아동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전반적으로 인터넷에 대한 활용도는 뒤떨어지나 인터넷에 대한 호응도와 기대치는 일반학급 아동들과 다름이 없으므로 특수학급 아동 수준에 맞는 적절한 타자 기능,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 우수한 인터넷 회원제 무료 사이트의 가입, 청소년 권장 우수 사이트 이용 등의 정보화교육이 필요하다. 특수학급아동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인터넷 활용도가 떨어지는 만큼 인터넷 중독, 불건전 정보와 음란물 접촉의 피해를 덜 보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인터넷 정보 검색, 이메일(전자우편) 활용, 채팅 활용, 학교홈페이지 활용 등의 인터넷 활용도 제고와 정보통신윤리교육과 부모님의 적절한 가정 지도로 인터넷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유익한 정보화교육을 이룰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해본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current Internet u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room(4-6 grade)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regular classroom(4-6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current Internet use comparing two group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hildren in special classroom and regular classroom children in Internet network knowledge?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Internet use at home? 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Internet use at school? 4.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ir ethics utilizing Internet information? In conclusion Special class children were slow of learning Internet use, but they were less exposed on unhealthy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