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체육 교수자 제도의 변화 과정 분석 : 형태발생론과 역사적 제도주의의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동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체육이 시대에 따라 점차 질적인 제고를 이루면서 변화해왔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초등체육의 변화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이는 교수자 제도의 변화 과정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변화의 과정과 인과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초등체육의 교수자 제도 변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형태발생론과 역사적 제도주의를 통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제도를 제도적 맥락의 조건화, 사회적 상호작용, 제도적 정교화의 과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등체육의 교수자 제도가 핵심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바탕으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이는 교과전담교사제 도입 시기(1987–1993), 중초교사제 도입 시기(1994–2005), 스포츠강사제도 도입 시기(2006–2011), 초등체육 교수자 제도의 공존기(2012- )로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들을 바탕으로 초등체육 교수자 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87년부터 현재까지의 초등체육의 교수자 제도를 대상으로 한다. 이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교수자 제도의 도입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정부 문서와 연구보고서, 신문 및 인터넷 뉴스기사, 언론 보도자료, 국회 회의록, 학술지 논문, 학위논문, 단행본 등의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최대한 제도 변화 당시의 맥락을 재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도의 변화 과정과 인과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전담교사제의 도입 시기(1987–1993)에 초등체육의 교수자 제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던 제도적 맥락의 조건은 6월 민주화운동과 6‧29선언, 노태우 대통령의 당선, 민주화 이후의 경제상황 및 노동운동, 6공화국의 노동운동 대응 이데올로기, 교육민주화 운동과 교육현장의 변화, 전교조의 결성, 교원지위 향상을 위한 특별법과 교원 통제 정책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당시 사회 전반에 흐르는 민주화의 열기는 정치‧경제‧교육 등의 부문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민주화 이후 갈수록 호조되는 경제 상황은 노동운동의 증폭을 가져왔다. 이러한 분위기는 교육현장으로 이어졌다. 노동자가 근무환경과 임금의 개선을 주장하듯이, 교사들도 당시 열악했던 교육환경과 근무환경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당시 결성되었던 전교조는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수렴하고 반영하여,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상하였다. 결국 정부에서는 교원들의 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이를 통해 오랜 요구사항이었던 교과전담교사제가 도입된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교육계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으로는 타협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교육계와 정부는 서로의 기득권과 이익을 위해 서로의 존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교육계는 노동환경과 근무환경의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었으며, 정부 역시 여소야대의 정국을 운영할 수 있는 지지층을 원했다. 하지만 서로의 이익은 상충되는 상황이었다. 교과전담제를 통한 근무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지면, 정부차원에서는 큰 예산의 소모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협적 상호작용의 결과, 제도적 정교화로서 형태발생이 이루어졌다. 정부는 교육계에서 요구하는 교과전담제를 도입하면서 타협점을 찾게 되었다. 이는 제도의 점진적 변화 중 대체의 양상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기존에 있던 증치교사제도를 폐지하고, 교과전담교사제도로 대체하였다. 중초교사제 도입 시기(1994–2005)의 제도 변화에 영향을 준 제도적 맥락의 조건들은 김영삼 대통령의 당선과 사회개혁,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과 외환위기, IMF체제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 시민들의 일자리 선호 양상 변화, 7‧20 교육여건 개선사업, 교원노조의 합법화, 교원의 정년단축, 국립사대 졸업자 우선 임용의 위헌 결정으로 볼 수 있다.구체적으로는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을 거치면서 외환위기를 겪었고, IMF체제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는 노동시장의 변화를 가져왔다. 비정규직 제도가 생겨났고, 많은 사람들이 구조조정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민들은 안전한 일자리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교원 역시 고통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정년단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김대중 정부 당시 이루어졌던 7‧20 교육여건 개선사업으로 인한 학급당 학생 수의 감소는 결과적으로 교사 수급 문제를 일으켰다. 정부에서는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중초교사제를 도입한다. 이 시기 정부와 교육계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경쟁적 상호작용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정부와 교육계는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를 필요로 하던 시기가 아니었다. 오히려 서로의 이익이 상충되는 상황이기도 하였다. 정부로서는 교사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교육계는 중초교사를 초등교사로 발령내는 것이 그들의 기득권을 저해하는 것이었기에, 이에 반대하였다. 이러한 경쟁적 상호작용의 결과 형태발생이 나타났다. 정부는 교육계와의 경쟁적인 상호작용을 무릅쓰고 중초교사제도를 세 차례 시행하였다. 이 제도 변화의 양상은 점진적 변화 중 층화로 볼 수 있다. 층화는 기존의 방식을 우회하는 전략적인 방식으로서, 일시적으로 중초교사제도를 활용한 점은 이에 해당한다. 스포츠강사제도 도입 시기(2006–2011)의 제도 변화에 영향을 준 제도적 맥락의 조건들은 노무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의 당선, 노무현 정부의 노동정책과 비정규직의 양산,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 청년실업률의 증가, 노무현‧이명박 정부의 신자유주의적 교육 노선, 학생인권 문제와 학교체육의 패러다임 전환, 학교체육에 대한 관심 증대, 학생의 건강체력 저하와 학교스포츠클럽의 도입이다. 구체적으로 이명박 정부를 겪으면서 신자유주의적인 노동정책이 확산되었다. 이는 비정규직의 양산을 수반하는 상황이었고, 이 과정에서 청년들의 실업률이 급증하게 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기조는 교육에도 적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학생들의 건강체력 저하와 초등체육의 부실화 문제를 지적하였다. 체육계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문체부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대통령의 지시사항과 문체부 차원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스포츠강사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시기 정부와 교육계 사이의 상호작용은 기회주의적 상호작용으로 볼 수 있다. 즉 정부와 교육계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황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정부 측의 이익인 체육계 청년의 일자리 창출과 대통령의 업무지시 이행, 교육계의 이익이었던 체육수업에 대한 부담 경감은 양립가능한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기회주의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형태발생이 나타났다. 정부는 교육계와 윈윈할 수 있는 스포츠강사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는 급진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이는 대통령의 업무지시로 인한 전격적인 사업의 진행이었다는 점, 사전 연구도 없이 바로 시범 사업에 들어갔다는 점, 사업의 목적 달성이 시급한 상황이었다는 점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마지막인 초등체육 교수자 제도의 공존기(2012- )의 제도 변화에 영향을 준 제도적 맥락의 조건은 변화된 보수 박근혜 정부의 출범, 탄핵정국과 문재인 정부의 출범,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학교폭력 문제의 심화와 학교폭력 근절 종합 대책, 박근혜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추진, 학교비정규직 노조의 활성화, 인성교육진흥법, 학교체육진흥법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명박 정부의 교육목적이었던 국가‧사회를 위한 인재육성은 지나친 학력 위주의 교육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이는 학교폭력 문제의 심화를 가져왔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체육을 학생들의 건강체력 증진뿐만 아니라, 인성교육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체육전담교사를 확충하는 것은 스포츠강사에게 위기로 다가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강사는 근무환경이나 임금 등의 처우개선을 요구하였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대부분의 학교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스포츠강사는 무기계약직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교육계의 사이에는 보호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정부와 교육계는 서로의 이익을 지키는 것에 서로의 존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정부차원에서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개별 부처에서는 한 직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 재정적인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었다. 또한 교육계는 스포츠강사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서 학교체육의 한 축을 맡는 집단이 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이는 교육계의 기득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호적 상호작용의 결과 제도의 형태가 유지되었다. 정부와 교육계는 서로의 기득권과 이익을 보존하기 위해 기존의 질서를 강조하고,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는 경로의존적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결과적으로 어떠한 제도적인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특징과 세 가지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징 첫째는 제도 변화와 관련하여 교육계의 주체성 발현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 둘째는 체육수업에 개방성과 교과 전문성을 더하는 방식이었다는 점, 셋째는 체육수업이 갖는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에 대한 고민이 없는 제도 변화 방식이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한 함의로는 첫째, 교육계의 주체성 회복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는 담임교사의 체육수업이라는 본질적인 형태의 발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 셋째는 초등체육의 정당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초등체육 교수자 제도의 변화 과정 및 인과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공동체 및 학문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instructor system, which seems to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hang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is, we aimed to identify the process and causal mechanisms of change and to understand in-depth the changes in the instructor system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o this end, we utilized morphogenetic theory and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an Approach. In doing so, we analyzed each system as a process of institutional contextualization, social interaction, and institutional elaboration. In addition, the time periods were categorized based on key changes in the teaching system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is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ubject specialist teacher system (1987-1993),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elementary teacher system (1994-2005), the introduction of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2006-2011), and the coexistence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system (2012- ), and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se periods. This study focuses on the instructor system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rom 1987 to the pres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structor system in detail, the researcher focused on relevant literature such as government documents, research reports, newspaper and internet news articles, press releases,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journal articles, theses, and book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researcher tried to recreate the context of the system change as much as possible,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system change and the causal mechanis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nditions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influenced the change of the instructor system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the full-time teacher system (1987-1993) can be seen as the Jun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June 29 Declaration, the election of President Roh Tae-woo, the post-democratic economic situation and the labor movement, the ideology of the Sixth Republic's response to the labor movement, the educational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Teachers' Union, the special law to improve the status of teachers, and the teacher control policy. Specifically, the wave of democratization that swept through society at the time affected sector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 increasingly favorable economic situation after democratization led to the amplification of the labor movement. This atmosphere spilled over into education. Just as workers demanded improvements in working conditions and wages, teachers also demanded improvements in educational and working conditions, which were poor at the time. The teachers' union, which was formed at the time, collected and reflected these demands and continued to negotiate with the government. Eventually, the government enacted a special law to improve the status of teachers. This l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long-demanded subject-specific teacher system. In this process,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government and education emerged as a compromise interaction.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needed each other's presence for their own vested interests. The education community was in desperate need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and the government wanted a support base to run the ruling party, but their interests were in conflict.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whole-curriculum system would cost the government a lot of money. The result of this compromise interaction is morphogenesis as institutional elaboration. The government found a compromise by introducing the curricular compulsion demanded by the education community. This was done in a way that resembled a form of substitution during a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The government abolished the existing system of substitute teachers and replaced it with a system of full-time teachers. The conditions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influenced institutional change during the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the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 system (1994-2005) can be seen as the election of President Kim Young-sam and social reforms, the election of President Kim Dae-jung and the foreign exchange crisis, chang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the IMF system, changes in citizens' job preferences, the 7‧20 Educational Conditions Improvement Project, the legalization of teachers' unions, the reduction of the retirement age for teachers, and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to give priority to graduates of the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 Specifically, the country experienced a foreign exchange crisis under Presidents Kim Young-sam and Kim Dae-jung, and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the IMF system. This led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temporary work system came into being, and many people experienced restructuring. In this process, citizens began to favor secure jobs, and the state argued that the retirement age for teachers should be reduced to share the pain.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due to the 7‧20 Educational Conditions Improvement Project during the Kim Dae-jung government resulted in a shortage of teachers.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middle and elementary teacher system.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government and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can be viewed as a competitive interaction. It was not a time when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needed each other to maintain their interests. Rather, their interests were in conflict. The government wanted to solve the problem of teacher supply and demand, but the education community was opposed to the idea of transferring middle school teachers to elementary schools because it interfered with their vested interests. The result of this competitive interaction was morphogenesi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ystem three times in the face of competitive interactions with the education community. This mode of change can be characterized as stratification during incremental change. Stratification is a strategic way of circumventing the status quo, and the temporary use of the middle school teacher system is an example of this. The conditions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influenced the institutional change during the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2006-2011) were the election of President Roh Moo-hyun and President Lee Myung-bak, the labor policy of the Roh government and the production of temporary workers, the labor policy of the Le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youth unemployment, the neoliberal education line of the Roh and Lee Myung-bak governments, the issue of student rights and the paradigm shif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increasing interest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decline in student physical fitness and the introduction of school sports clubs. Specifically, under the Lee Myung-bak government, neoliberal labor policies spread. This entailed the mass production of temporary workers, which led to a surge in unemployment among young people. These neoliberal policies were also applied to education. In this process, President Lee Myung-bak pointed out the declining physical fitness of students and the deteriora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hich had to solve the job problem of young people in the sports industry, it sought a way to solve both the presidential directive and the problem at the ministry level. The sports instructor system was introduc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education sector during this period can be seen as an opportunistic interaction, meaning that the government and the education sector did not need each other for their own interests, but it was compatible with the government's interests in creating jobs for young people in the sports sector and fulfilling the president's work orders, and the education sector's interests in reducing the burde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ult of this opportunistic interaction was morphogenesis.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sports instructor program that is a win-win for the education sector. And it can be seen as a radical change.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t the behest of the president, the fact that it was a pilot project without any prior research, and the urgency of achieving the program's goals. The conditions of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influenced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last period of coexistence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system (2012- ) wer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ervative Park Geun-hye government, the impeachment crisi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the regular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nd comprehensive measures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promotion of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e activation of unions for non-regular workers in schools,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ct. Specificall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goal of fostering human resources for the nation and society created an educational atmosphere centered on excessive academic achievement. This led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To address this,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ought to utilize school physical education not only to improve students' health and physical fitness, but also for character education. At the same time, Park's pledge to increase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s become a crisis for sports instructors. In this situation, sports instructors have demanded improved treatment such as working conditions and wages. In additio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led to the regular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This has played a major role in converting most school irregular workers to fixed-term contracts. However, sports instructors have not been converted to indefinite contracts. In this process, there was a protective interaction between government and education. The government and the education community needed each other to protect their interests. While the government was converting temporary workers to permanent workers, individual ministries were faced with the financial burden of converting a job to a permanent contract. The education sector did not want sports instructors to become a part of the school sports program by converting to permanent contracts. They saw this as a potential violation of their vested interests. As a result of this protective interaction, the institutional form was maintained. Both the government and the education community emphasized and sought to maintain the existing order in order to preserve their vested interests. This can be seen as a path-dependent tendency.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no institutional change occurred as a resul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and three implications. Characteristics First, the expression of the educational system's agency in relation to system change i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method of adding openness and subject expertise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ird, the method of system change without thinking about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first,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sovereignty of the educational system, second, that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intrinsic form of classroom physical education, and third, that it is time to think about the legitimac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nge process and causal mechanism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system obtained in this study,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and academic communities.

      • 체육교과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박동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교육에 있어 교사는 무엇보다 중요한 교육환경이며, 교사가 가진 가치관과 신념은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 아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 개인이 가진 교과에 대한 인식, 나아가 초등교사로서 가진 교육관은 체육교과교육 현실을 바로 이해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초등교육의 특성과 전문성 속에서 체육교과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시 찾아보고 초등체육교과교육의 문제해결방법을 좀 더 다양하게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1:1 개인 심층면담과 2인 이상이 참여하는 집단면담,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의 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를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교육의 특성으로는 교육목표, 아동, 교사, 전문성 요인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등교육의 교육목표를 기초·기본생활교육으로 인식하였으며 이는 기초학습을 위한 생활습관형성, 자아실현을 위한 학급경영, 사회화를 위한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모든 교육적 활동들은 이해와 관심이 필요한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초등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 소양으로는 초등교육에 대한 애정, 긍정적 사고, 희생과 봉사정신, 투철한 사명감이 필요하며, 이러한 초등교사의 전문성으로는 다면화된 통합적 안목, 아이들 수준에 맞게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는 수업기술, 그리고 끊임없는 배움에 대한 열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과교육의 특성으로는 체육교과교육의 목표, 내용, 체육을 가르치는 교사와 교사의 전문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체육교과교육의 목표를 초등교육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소재로써 인식하고 있어 체육활동을 통해서도 기초·기본생활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교사들은 또한 아동들이 교과시간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육활동을 즐기기를 기대하였다. 체육수업은 아이들이 움직임의 즐거움을 느끼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체육수업이 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러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그대로 운영하기 보다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많은 부분에서 재구성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 체육을 가르치는 교사는 체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아동에 대한 이해와 함께 수업에 대한 꾸준한 열정과 열의로써 지도해야 한다고 보았다. 초등교사들은 체육교과를 지도하면서 다른 교과와 수업방법적인 면이나 지식적인 면에서 가급적 통합하여 지도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10개 교과를 가르치는 교육활동의 긍정적 측면으로도 볼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은 체육활동을 통해 평소 다른 교과시간에 나타나지 않는 아동의 특성을 관찰할 수도 있고 아이들을 보다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있어 체육은 아동들과의 교감을 중요시하는 초등교사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교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체육교과교육의 향후 과제는 교사들 자신의 냉철한 반성,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되어 온 사회적 인식 문제 그리고 이러한 반성들을 통한 변화의 구체적 노력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사들의 반성은 우선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은 지극히 지루하고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편협한 인식으로 인해 교육과정대로 운영하지 않거나 단순한 재구성이 아닌 전혀 다른 활동으로 쉽게 대체하는 경우가 흔히 있어 문제성이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체육은 여러면에서 귀찮고 번거로운 교과라는 생각으로 인해 교사의 실천의지와 열정이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나아가서는 양성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이 현실과 괴리감이 크고, 14개 교과의 단순한 교과지식만을 습득하여 나오기에도 짧은 기간으로 인해 체육교과를 지도하는데 있어 전문성 부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고 느꼈다. 다음으로 체육수업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잘못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먼저 기능중심적 체육수업이어야 한다는 교사들의 인식과, 자유시간이나 노는 시간으로써 체육을 기대하는 아이들, 시험과 거리가 멀어 중요도가 낮다고 생각하는 학부모와 관리자들의 편견과 같은 잘못된 체육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하며 아울러 초등교육에 대한 일반인들의 회의적인 시각 즉, 쉬운 것은 누구나 가르칠 수 있다는 오류, 아는 일과 가르치는 일이 동일한 성격이라는 오류, 교사의 위치를 학습자의 수준으로 인식하는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보다 나은 체육교과교육을 위한 구체적 노력으로는 교사들의 새로운 체육교과인식과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려는 실천의지와 열정이 필요하며, 교사양성대학의 현실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보다 많은 실습기간 확보, 학제 변경 등을 통해 전문성 신장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다양한 현장연수 기회를 통해 끊임없는 자기 연찬이 절실하며, 교과전문성 문제해결과 수업시수 감축을 위해 전문 인력을 충원하는 교과전담제가 아닌 교과운영에 있어서도 담임으로서 다양한 경험을 살릴 수 있는 효율적인 교과전담교사제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움직임 교육이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이우용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교육 이론을 근간으로 영국과 미국, 그리고 한국의 움직임 교육을 분석하여, 움직임 교육이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움직임 교육의 창시자인 라반의 생애와 함께 라반의 인간 움직임을 자신의 화두로 삼게된 이유와 그 내용 및 주요개념을 먼저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의 움직임 교육의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라반의 움직임 교육이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영국과 미국의 움직임 교육의 현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움직임 교육이 도입되기 이전과 이후의 한국의 체육교육과정 변천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한국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움직임 교육의 의미를 체육교육에 대한 철학적 해석의 확대, 열린교육과 탐구수업으로서의 체육교육의 가능성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해방이후 제 3차 교육과정 개정말기에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에 수용된 라반의 움직임 교육으로 인하여 변화된 우리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양상을 체육활동의 철학적 이해의 확대, 새로운 체육 학문화의 추구, 움직임 속에서의 열린교육으로의 전환, 체육의 교육적 가치세계의 확대를 주요 개념으로 하여 정리하였다. 움직임 교육이 국내에 도입된 것은 제 3차 교육과정 말기인 1970년대 후반이었으며, 1980년대 제 4차 교육과정기부터 부분적으로 수용하여 제 5차 교육과정기에 대폭적인 도입이 되었다. 제 4차 교육과정기에서는 '움직임 교육'의 개념을 프로그램의 한 형태로 파악하고 있는 학자들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움직임 탐색'의 내용 영역이 새롭게 포함되었다. 특히, 제 5차 체육교육과정은 '발달교육모형'보다는 '움직임 교육모형'이 강조된 교육과정이었다. 제 6차 교육과정기에는 교육적 가치를 고려하여 모든 움직임이 포함하고 있는 운동 요소인 신체 지각, 노력 지각, 공간 지각과 관계 지각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으로 지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체육을 학문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초점 역할을 하였던 움직임 교육은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 그리고 체육교육의 연구내용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문화, 정치, 종교, 사회 등 모든 인간 전반에 걸친 지식과 관련하여 인간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 움직임의 양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라반의 움직임 이론은 인간의 몸이 어떻게, 어디로 움직이며, 또한 그 움직임이 주위 환경과 어떤 관계를 이루어 형성되는가 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 이론의 핵심주제는 움직임으로서 나타나는 인간을 이해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움직임 탐구는 바로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 및 상호의존과 통일을 확인해주었다. 그러므로 움직임 교육의 목적은 자아의식, 이해력, 의사소통 능력, 감상력 발달에 있다. 한국에 도입된 움직임 교육 내용은 영국과 미국에서 정리, 실행되어온 것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입해온 것이다. 이렇게 수입된 움직임 교육으로 인하여 변화된 한국의 교육과정을 살펴볼 때 나타난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견식 교수법이다. 둘째, 움직임 이론의 적용으로 초등학교 체육의 교수내용이 움직임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되고 새로운 탐구이론이 적용되었으며, 무용에 쓰이는 움직임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을 체육에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치 무용처럼 개인별, 조별 움직임과 같은 다양한 팀티칭에 대한 적용이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보았을 때, 움직임 교육은 제 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학교체육 교육과정에 주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상이 아직까지 정립되지 못하였다.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교육이 지니는 체육적 가치에 대한 교육계의 인식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엘리트 스포츠 중심의 체육정책에 의해 학교체육의 방향이 우수선수를 양성하는데 편중되어 일반 학생들의 체육활동을 도외시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 체육교과서가 스포츠 중심의 높은 성취수준으로 인해 초등학생의 성취능력에 비해 높은 부분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주지교과와는 달리 긴장해소나 휴식시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환경 등의 미비로 인해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기구운동, 실내운동의 실행이 어렵다는 점이다. 체육교육은 인간 움직임의 주체적 체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 움직임의 양태를 파악할 수 있는 깨달음과 체험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볼 때, 움직임 교육의 기본 전제와 그 주체적 내용들은 아직도 우리의 초등체육에 참여하는 아동들의 자기이해와 자기인식에 도달하도록 하는 내용으로서 가치가 있다. 특히 이성중심의 세계보다 몸 중심의 세계가 강조되는 21세기에 있어서 개인의 체험과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이 더욱 삶에 큰 영향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movement education o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movement theory established by Laban provided the framework of this analysis. First, in an attempt to provide the impact of movement education o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introduction of movement education to Korean education system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Second, there was an attempt to objectively describe the impact of movement education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oth in America and in England. Third, the change of elementary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fter the introduction of movement education was traced throughly. Finally, to the influence of movement education o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discussed in detail.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mpacts of movement theory on Kore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was the establishment of "fact-finding" tradition. It also transformed the whole structur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Korea by reshaping the curriculum through the concept of body awareness, space awareness, effort, and relationship. In addition,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seminating "team teaching" spirit. Movement education which provided the ground for reform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as induced great changes in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Korea. This, in turn, resulted in an advanced understanding of human interaction and elevated self-consciousness in human movement contexts.

      •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최희정 한국교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계획 및 실행에 대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 계획 단계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과정 실행 단계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심층 면담에 기초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직접적으로 실천한 경험이 있는 3-6학년 담임교사와 전담교사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면담은 초등학교 교사 개인별로 4차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심층 면담 내용과 관련하여 이메일, 메신저, 전화 면담, 서면 질의 및 확인 등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심층적 기술, 주제별 약호화, 사례 추출 등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질적 연구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참여자 검토, 삼각검증법, 심층 기술, 동료 연구자의 조언과 지적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체육과 수업목표 설정의 기초원, 체육과 교육내용 및 활동 선정의 기초원, 체육과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원, 체육과 평가의 기초원으로 인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육과 교육과정을 계획하거나 실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처할 때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를 참고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육과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계획과 실행, 그리고 재구성을 위한 지침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육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거나 운영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때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것을 볼 때, 단위 초등학교의 교사들은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과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지침을 명확하게 이해하거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배경 지식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초등학교 교사들이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도 교육청 또는 학교 단위의 연수가 지원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이해 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계획 단계에서의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사례를 Schwab이 제시한 교사, 학생, 교과, 환경의 4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각각의 차원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재구성 사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교사 요인은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식,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 체육과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교사의 체육과 실기 능력 등이었다.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학생 요인은 체육과 수업에 대한 학생의 선호도, 학생들의 신체적 발달 수준, 학생들의 운동 기능 등이었다.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교과 요인은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체육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내용의 타당성, 실천 가능성, 교육내용의 제시 순서 등이었다.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은 시·도 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 단위 학교의 체육 시설 및 교구, 학습 준비 및 재료 준비 지원, 단위 학교의 특색 사업 및 학교 행사, 체육 보조 교사 지원 등이었다. 이러한 요인은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단위 학교에서는 교사, 학생, 교과, 환경의 4가지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교육내용을 추가, 생략, 대체, 지도 시기의 순서 조정, 타 교과와의 통합 등으로 계획 단계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실행 단계에서의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사례를 학교의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에 따라서 살펴보았다. 실행 단계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영향을 주는 외적 요인은 날씨와 계절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의 공문과 같은 상위 기관의 지침, 학교의 학사일정 변경 등과 관련이 있었다. 한편 내적 요인은 다른 학급과 겹치는 체육 수업 시간, 학생의 특성 및 수준을 고려한 수업,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한 수업, 성취 기준 및 목표 달성을 강조한 수업, 학생들의 안전을 고려한 수업, 체육과 수업 모형을 고려한 수업, 체육과 학생 평가를 고려한 수업 등이었다. 이러한 외적 및 내적 요인은 실행 단계에서의 교육내용을 추가, 생략, 대체, 지도 시기의 순서 조정, 타 교과와의 통합 등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은 이들에게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연수 또는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체육과 교육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검토함으로서,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하고 학생들에게 학습의 질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수업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 변인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교사의 능력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발생하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김진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Kore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omparing it wit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s in foreign count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in Korea. For these purpose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organization systems,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Japan, the U.K., the U.S. (California), and Australia (Victo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nsists of characters, objective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n Korea, of objectives, contents and content manipulation in Japan, of learning programs and achievement target in the U.K., of characters, goals, learning contents, and assessment in the U.S., and of introduction, national statements of learning, and presentation of each level in Australia. As to the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ll the countries have both general objectives and detailed objectives. The Korean curriculum has detailed objectives under general objectives and states objectives by the value area of physical activities. The Japanese curriculum presents general objectives and objectives for each of low, middle and high grades. The U.K. curriculum has general objectives and describes achievement target by stage. The U.S. curriculum suggests general objectives and detailed objectives, and states the roles of administrators, teachers and students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behavior. The Australian curriculum presents general objectives and detailed objectives in the introduction part. As to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are organized focus on events in Japan and the U.K., and centering on topics in Korea, the U.S., and Australia. A characteristic observed in the contents of the Korean curriculum is that they are organized by the value area of physical activities. In Japan and the U.K., the number of events increases with the advance of grade, and the U.K. curriculum presents items for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exercise and health. The U.S. curriculum mentions basic general contents to be covered in each stage, and the Australian curriculum presents the focuses and standards of learning by stage. As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s in Korea and the U.S. describ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detail by content, that in Japan describes them briefly by grade, and that in the U.K. mentions general contents briefly. The Australian curriculum presents the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of terms, and examples of activities by standards. As to the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Korean and U.S. curriculums describe the structure of assessment by item, and present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in detail. The Japanese curriculum does not include details on assessment, and the U.K. curriculum provides contents related to objectives but few contents related to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The Australian curriculum provides descriptions on standards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and presents assessment methods for measuring individual students’ current level and setting the next level to be achiev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문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에 한국, 일본, 영국, 미국(캘리포니아주), 호주(빅토리아주)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구성체제,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영역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체제에서 한국은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이루어져있고, 일본은 목표, 내용, 내용 다루기로 되어 있다. 영국은 학습프로그램, 성취목표의 항목으로 짜여있고 미국은 성격, 목표, 학습내용, 평가의 항목으로 나뉘어 있으며 호주는 도입, 학습에 관한 국가적인 진술, 각 수준의 제시로 이루어져 있다. 각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모든 나라가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를 두고 있다. 한국은 총괄목표 아래 세부목표를 두었고 신체활동 가치영역별로 목표를 진술했다. 일본은 총괄목표와 저․중․고학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영국은 일반목표를 두고 성취목표를 단계별로 기술하였으며 미국은 총괄목표와 세부목표를 제시하고 행정가, 교사, 학생으로 나누어 역할에 따른 이해와 행동적인 단어로 나타내고 있다. 호주는 교육과정의 도입 부분에 목표를 총괄목표와 세부목표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각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일본, 영국은 종목 중심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한국, 미국, 호주는 주제 중심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국은 신체활동 가치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고, 일본과 영국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종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운동과 건강에 대한 지식과 이해 항목 제시하였다. 미국은 단계별로 담아야 할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언급하였고 호주는 수준별로 학습중심과 학습기준을 제시하였다. 각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한국과 미국은 내용별로 자세하게 기술이 되어있고 일본은 저․중․고학년별로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영국은 전반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 호주는 수준에 따른 기준별로 용어 정의․설명, 활동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각국의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평가에서 한국과 미국은 평가의 구성을 항목별로 기술하고 있고 평가방법을 다양하고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일본은 평가에 대한 내용을 교육과정상에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영국은 목표와 연관된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평가방법과 도구에 관한 언급은 미약하다. 호주는 교육과정 내용에 기준과 관련되어 기술하고 있고 학생 개개인의 현재 수준을 측정해서 다음 수준을 성취할 수 있는 자료의 성격으로 평가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 비교 연구

        조효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PPCF’의 목표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 각각의 체육목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총 465명과 광주교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생 총 1071명, 계 1536명을 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체육목표 인식 검사 설문지”로서 Jewett & Mullan(1997) 등이 체계화한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 PPCF)을 조미혜(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과별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과에서는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 목표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능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교과에서는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연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는 자신의 운동 기능이 상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자신의 운동 기능이 중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서, 자신의 운동 기능이 하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심리적 안정성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을 좋아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인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집단 상호 작용 개념을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라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 물체 조작, 의사소통의 개념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 교직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생리적 효율성, 물체 조작 개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왔고, 대체적으로 인문 교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생리적 효율성 개념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초등교사는 없었다.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대체적으로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학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에 있어 3학년, 4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의 체육목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중요함, 보통, 중요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urpose that Jewett and Mullan(1977) evolv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6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Gyeonggido and Jeonlanamdo and 1071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wang-Ju, Seoul, Kong-Ju and Jeon-Ju were participated in this work.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oe, Mi Hye's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education object recogn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ubprogram with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f the SPSS/P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by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2.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ed on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career. 3.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depended on sex, grade,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의 내러티브 탐구

        차민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에 대한 집필자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그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을 통해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체육과 7차개정교육과정 3·4학년 체육 교과용 도서에 집필을 담당한 총 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대면적인 방법과 비대면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 졌으며, 수집한 현장 텍스트를 영역분석, 분류분석,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체육과 교과서의 연구·집필 과정과 그러한 경험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참여자와 다시이야기하기 과정 등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및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의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집필과정은 이상과 현실의 줄다리기로 다시 이야기 되었다. 객관적으로 권위로 인정받는 신념체계는 교육과정에 대한 무관심 혹은 정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곧 집필자 개인의 신념체계에 따라 집필하는 경향의 요인이 되었다. 한편 실천적 지식의 형성이 미비한 교사는 교육과정의 정보와 운영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과정 내용대로 집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지식이 실천적 지식에 포함되어 있는 집필자는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과 협력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재구성 양상을 띤 집필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교사의 신념체계에 의해 형성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 따라 집필의 경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집필 과정을 통해 새롭게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자의 신념체계가 변하거나, 새로운 신념체계를 형성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교과서 집필에서 교육과정이 규율적 메커니즘으로서 지식의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신체활동 지식이 갖는 특수성에 따라 다른 교과서와 차별적으로 내용 및 체제가 구성되는 신체활동지식의 전환 과정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체육 교과서의 집필 과정은 신체활동 지식의 특수성과 텍스트와 이미지의 한계로 인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집필자에게 해석되지 못하고 집필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체험과 기억의 상기로서 해석되어진다. 이는 체육 교과서 집필이 집필자의 신체를 통한 활동 체험을 전제해야함을 나타낸다. 또한 이렇게 해석되어진 교육과정의 내용은 신체활동 지식을 구현함에 있어 텍스트와 이미지가 갖는 한계로 인해 활동 제시의 형태가 주가 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텍스트와 이미지는 개념적 지식의 제시보다 활동 안내의 용도로 사용되어 지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초등 체육 교과서의 집필 과정은 이상 추구와 현실적 대안의 조율이라는 의미를 갖는데 이는 초등 교사를 배려하는 글쓰기를 통해 초등 체육을 정상화 하려는 현실적 대안 제시와 초등 교사의 체육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사를 고려한 글쓰기를 지양해야 한다는 이상 추구의 갈등, 기능 중심의 교과 인식을 통합 교과로의 인식으로 전환하고자 개정교육과정의 철학적 변화 홍보 과정이라는 현실적 대안 제시와 이로 인해 체육 교육의 존립 위상 격하를 우려하는 이상 추구의 갈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상의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경험의 의미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현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체육 교과서 심의 기준의 적정화와 현행의 체육 교과서 대한 인식 제고를 바탕으로 체육 교과의 특수한 지식을 담을 수 있는 교과서의 다양한 형태를 찾는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능동적 집필자에 대한 인식, 나아가 능동적 교사로의 인식 전환과 이들의 참여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 작업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ll writer’s experiences about the process of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and clarify mechanism for the process of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through meaning inquiry on those experiences. To complete this study purpose, narrative research for experiences about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was performed aiming at 3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in charge of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 for 3-4 grades in the revision of 7th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using face to face method and non-face to face method. And then key words were leaded out by analyzing field texts in ways of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e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process of textbook study and writ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ose experienc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liability, validity and ethicality were constantly verified through re- telling process with study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data collection analysis. The summary and conclusion clarified through these study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 writing process was re-told in confrontation between ideal and reality. Belief system which was objectively recognized as authority caused indifference to education curriculum or concern on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became a cause to be tendency of writing following individual belief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who was lacking of for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had showed tendency to write just as education curriculum with inform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oncern about operating methods. Finally, writer who has practical knowledge together with knowledge about education curriculum has concern about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ooperative framework and also had showed tendency to write in way of reconstruction of education curriculum. This meant that tendency of writing could be different based on concern about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formed by belief system. And also, it was appeared that writer’s belief system was changed based on newly given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writing process, or new belief system was formulated. This meant that education curriculum during writing textbook as acting as power of knowledge which was disciplinary mechanism. Second, writing process was meant as conversion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in which contents and system were formed differently from other textbook according to particularity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Because of particularity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and limitation of text and image in writing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contents which was suggested in education curriculum was not construed by writer directly but construed by writer’s experiences and memory to physical activity. This meant that writing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should premise activity experience through body. Due to the limitation of text and image in embodying physical activity knowledge, contents of curriculum used to be consisted mainly in way of activity presentation. In this case, text and image showed characteristic of activity guidance rather than presentation of conceptual knowledge. Third, writing proces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has meaning of harmonization ideal with realistic alternative. This harmonization was appeared in type of conflict between presentation of realistic alternative which try to mak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o be normal through writing considering elementary teachers and idealizing that writing should consider teachers and should be oriented to secure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and also in type of conflict between suggestion of realistic alternative, that is, advertising process of philosophical change in revision of curriculum to convert function-centered recognition of textbook into recogni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idealizing that worry about degradation of existenc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caused by realistic alternative. Rationalization of deliberation criteria which can secure diversity of embodiment of curriculum based on study and writing experienc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and significant efforts that look for various type of textbook in which can contain particular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based on enhancement of recognition to physical education textbook should be necessarily needed. Lastly, recognition to positive writer, furthermore, conversion of recognition to be positive writer and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should be highly requested.

      •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치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seeking for the concrete goal of the education support and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ourses. Through the narrative study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ext is focused on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elementary chalkface conditions. To enhance the authenticity of the result from the narrative study, I recruited thre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neither political nor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Therefore, the three participants could deliver the each story and submit the related documents objectively. From June 13th(Sat), 2009 to September 11th(Sat), 2010, seven times of official interviews, unofficial observations and the net and phone conversations with the participants were used to gather the data, which were transferred and encoded to be classifi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ould be arranged to four aspects; instruction expertise, student-instru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chool surroundings. Firstly, instruction expertise. Generally, the instruction expertise for PE class is not considered as the physical or functional skills of the teacher but as the ability and the sincerity to reorganize and apply the contents to achieve the class object. Secondly, student-instructio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students starts with the affection of the teach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agreed that the affection toward the students can improve not only the physical aspect but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ity of the students. Moreover, they regard watch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carefully as the ideal model of the higher fun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The lack of the PE(physical education)―exclusive system of elementary schools results in insufficiency of time to discuss about PE class or share the documents and the experiences related. At this point, the current PE class is accepted as a somewhat big burden to prepare by oneself. Futhermore, often happens the case that PE class is progressed with limping way the students prefer regardless of. A teacher good at lecturing at PE class is accepted as an competent and rare, but his help or support to other colleagues about PE class is hardly possible due to the lack of the PE-exclusive system. Fourthly, the school surroundings. The schools that the three participants belong to, commonly lack in the PE related budget(Considered as a common phenomenon among almost all domestic schools.) Besides, the playground or the space to exercise PE activ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not to mention the PE facilities and the teaching tools.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the PE budget is mostly focused on PE events like a sports day not on the PE class itself. These external factors often cause the failure of PE class lecturing. From this study, 2 suggestions could be made. At first, to reduce the detachment betwee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tual education, the psychology of the PE curriculum needs to be based on the opinions from the actual education spots. In brief, to settle down the efficient and practical PE system, the writing process of the PE curriculum should be more engaged to the opinions of the general teachers than the current point. At second, to revive the self-esteem of the teachers about PE class, revitalization of the fellow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PE community activities needs to go side by side with the in-depth studies on the elementary PE class expertise. And, "the Mandatory training program for PE class-lecturing" needs to be newly organized to enhance and internalize the PE class expertise of th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을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교육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진단함과 더불어 초등 현장의 특색에 맞는 교육 지원 및 교사 연수의 구체적 지향점을 찾는 것이다. 연구 결과의 진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적 기법에 동참할 수 있는 세 명의 초등교사를 선정했고, 연구참여자들은 연구자와 어떤 정치적 관계나 위계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했고, 연구에 도움이 될 자료들을 제출하였다. 2009년 6월 13일(토)부터 2010년 9월 11일(토)까지 7차에 걸쳐 진행된 공식적인 내러티브 면담과정과 비공식적인 면담 및 비참여 관찰, 기억상자, 네이트온 채팅, 전화 면담, 다시 이야기하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전사 및 코딩 과정을 거쳐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양상을 수업지도 면, 학생지도 면, 교사관계 면, 학교환경 면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수업지도 면이다. 초등교사들이 생각하는 초등체육수업의 전문성은 교사의 신체적 능력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수업 목표에 맞게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여 적용하며 수업을 짜임새 있게 운용하는 능력과 교육과정 및 수행평가의 내용을 준수하는 성실성에 있었다. 둘째, 학생지도 면이다. 학생의 교육적 성취는 교사의 관심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도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특성을 세심하게 살펴보는 혜안을 갖고 학생들의 신체발달과 더불어 자존감과 사회성을 길러주는 체육 교과의 고차적 역할을 그들의 이상향으로 삼고 있었다. 셋째, 교사관계 면이다. 초등학교에서는 체육 전담 시스템이 미비하여 동료교사들끼리 체육 수업에 관해 토론하거나 자료를 공유할 계기나 시간적인 여유가 적다. 그래서 자신의 체육수업을 󰡐혼자 준비하는 공개수업󰡑이라고 여기며 부담을 갖기도 하고, 파행적인 학생 선호 위주의 내용 없는 수업으로 시간을 채우기도 한다. 체육을 잘 가르치는 동료교사는 유능하고 희귀한 동료교사로 여겨질 뿐 다른 교사들에게 수업에 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넷째, 환경조성 면이다. 참여자들이 속한 서울의 초등학교에서는 체육 관련 예산이 전반적으로 부족했고, 운동장이나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및 시설이나 교구도 넉넉하지 못했다. 때문에 체육 수업의 실패요인을 이러한 외적요인에 두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학교에서는 체육교육보다는 체육행사에 더욱 많은 신경을 쓰고 있었고, 예산 집행이나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도 체육행사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과 현장의 괴리를 좁히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저에 현장의 목소리와 숨결을 담아야 한다. 교육과정을 위한 수업이 아닌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보다 실제적인 체육 교육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체육 교육과정 총론의 집필과정부터 현장 교사들의 더 많은 참여가 필요하다. 둘째, 체육 수업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자존감을 살리기 위해 초등체육수업의 전문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체육 동아리 활동’과 ‘동료교사 연수제도(the fellow teacher training system)’를 활성화하여 초등교사의 자존감을 높이고, 체육 교과 내용과 수업지도에 관한 ‘체육의무연수이수제도(the mandatory training program for PE class-lecturing)’를 만들어 초등교사들의 체육 수업 전문성을 확고하게 내면화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차우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it kicks an absolute majority location the schoolmistresses whom it was did this for the operation which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was efficient in the object from elementary school site examines the actual condition in abou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im, contents, teaching · learning method, evaluation and the operation it analyzes, examining a developmental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normalization plan, it presents the data for the normalization of provision an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of the fundamental data for there was the objective to the thing.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study investigation · analyzes it the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and contents based on and question it draws up, 350 people schoolmistresses who work on Gyung-gi provincial from 2008 June until September it executes a question investigation in the object, in about the operation actual condition (aim, contents, professor · studying method, evaluation and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llection it analyzed the data of 315 issue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study aim with result of operation and analysis study object people of most first importantly it is thinking of the physical activity which was ‘various it leads and the craving the students moving’ come true from whil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tudy aiming, teacher career of under 10, from teacher 1, 2 grade charges the answer back came out being high. For ‘physical improvement and the improvement of motor function’ the aim answer back plentifully, from preceding study the advancement of sociability comes out being high but the reinforcement of 'game and sports activity' appeared more highly from this research. After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tor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and the body and mind health it will be able to increase in the territory where the milestone expects as the qualitative thing highly as 'core dynamic territories' the above of half of the object person answer back but, educational careers case of teacher who is an above 15 'core dynamic territories' where it saws it came out, the answer back of ‘knowledge territory’ highly. This result was emphasizing the reconstitution of the recording instruction contents which will be teacher where the career was high, emphasizing the body activity of the child compared to with the fact that it pursues an knowledge advancement. Second,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instruction contents generally they were in about degree of difficulty of the studying contents which with result of the operation and analysis wa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usual’ or ‘it was difficult a little’ answer back, this collected the opinion of teachers who are teaching a physical education from school site enough and with the fact that the decision which degree of difficulty and level and within dosage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appropriate is necessary it appeared. With the cause where the teaching of essential contents was difficult answer back with the 'tribe of facility and the organization', 'teaching ability tribe of teachers', this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school was insufficient with it was caused by in the recognition tribe of facility having like the outer side part of internal part of teacher and teacher who relates with a teaching ability came to relate, it was difficult i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it was feeling. Selective contents to the selective at the time of with the fact that whole it considers 'student circumstances' (interest, practical technique ability and preparation etc.) most plentifully. third,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method with result of the operation and analysis from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in the teaching description below the expressive activity territory does most difficult territory, like 'expressive activity' territories teaching description below the teaching of difficult territory 'teaching descriptions below changed in easy territory and the teaching' it did, or, the 'help of the student whose functions are good it receives the teaching' it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t does. As result of answer back with the fact that it felt the burden where the many schoolmistresses are many in the practical technique teaching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t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ime the low of the preponderance teaching 'game activity' territories first answer back the fact that it does plentifully in territory, preponderates a specific territory or an activity and under the teaching with cause in order to 'respect the interest or an opinion of children' as it appeared. Being difficult in the practical technique teaching, with the 'practical technique ability tribe of teachers' as the 'tribe of the facility and tool for practical technique teaching' answer back with the cause which it felts. From preceding research it holds the tribe of facility and the organization of the hardware side highly but, this study was emphasized that reconstitution of study contents, rationality of teaching to the software side. This plans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and the reconstitution of contents importance was in aim establishment and instruction plan of student putting first, that respects the teaching which practical technique instruction was smooth stands the training study magnification was urgent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the practical technique teaching of teachers it appeared. Fourth,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study evaluation with result of the operation and analysis most it was important from whil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evaluation aiming, what it thoughts that shows as 'development and accomplishing confirmation of students', in 'difficulty of basis of assessment sets' being difficult in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evaluation, it felt. It solves this with the method for expansion of magnification and practical technique training study of teacher training study chance', 'development and supply of the evaluation tool which is various' answer back. Fifth, in about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instruction method with result of the operation and analysis the many schoolmistresses from actual school site are many being difficult in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operation, and the teaching with the fact that it was feeling. Being difficult, instruction preparation complicating, charge feeling of outdoor study, that with practical technique function the subject where the expert knowledge was demanded was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operation was difficult, it appeared with cause. Respect the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which was smooth from school site stand and the administra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financial support to be necessary the community they come and connection they do and it will be able to apply the sports facility which the community was various in order, with the fact that the method will be necessary they are thought.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절대 다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체육수업 목표, 내용, 교수 · 학습 방법, 평가, 운영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발전과 정상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 및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육교육의 제 이론을 고찰 · 분석하고 그 내용을 근거로 하여 질문지를 작성하여, 경기도내에 근무하는 여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2008년 6월부터 9월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운영)에 관한 315부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목표에 대한 운영 및 분석의 결과로 대부분의 연구대상자들은 초등학교 체육수업 목표 중에서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는 것을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10년 미만의 경력 교사, 1, 2학년 담당 교사에게서 응답이 높게 나왔다. ‘체력 향상 및 운동기능의 향상’을 위한 목표를 많이 응답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성의 발달을 꾀한다는 것이 높게 나왔지만 이 연구에서는 ‘게임 및 스포츠 활동의 강화’가 더 높게 나타났다. 체육수업 후 달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영역으로 운동 기능과 체력, 심신의 건강을 증진 할 수 있는 ‘심동적 영역’이라고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응답하였으나, 교육 경력 15년 이상인 교사의 경우 ‘심동적 영역’보다 ‘인지적 영역’의 응답이 높게 나왔다. 이 결과는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수업 내용의 재구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아동의 신체적 활동을 강조하는 것 보다는 지적 발달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내용에 대한 운영 및 분석의 결과로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이다’ 또는 ‘조금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실제 학습 내용량은 전체적으로 ‘조금 많다’와 ‘보통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학교 현장에서 체육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난이도 및 수준과 내용량의 적절한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수 내용의 지도가 어려운 이유로는 ‘시설 및 기구의 부족’과 ‘교사의 지도능력 부족’을 들었는데, 이는 학교의 행정적 지원의 부족함과 시설 구비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외적인 부분과 지도 능력과 관련된 교사의 내적인 부분이 같이 연관되어져서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선택내용 선정 시에는 전체적으로 ‘학생여건(흥미, 실기능력, 준비도 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과 교육과정 교수 · 학습 방법에 대한 운영 및 분석의 결과로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중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으로는 ‘표현활동’영역을 들었으며, ‘표현활동’영역처럼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의 지도는 ‘지도하기 쉬운 영역으로 바꾸어 지도’하거나 ‘기능이 좋은 학생의 도움을 받아서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의 결과로 보아 많은 여교사들이 체육 수업의 실기 지도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시간에 편중 지도하는 영역으로는 ‘게임 활동’영역이었고, 특정 영역이나 활동을 편중하여 지도하는 원인으로는 ‘아동의 흥미나 의견을 존중하기 때문에’라고 나타났다. 실기지도에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으로는 ‘교사의 실기 능력 부족’과 ‘실기 지도를 위한 시설 및 용구의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시설과 기구의 부족을 높게 들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수업내용의 재구성, 지도의 수월성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육수업을 계획하고 내용을 재구성함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목표수립과 수업 계획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기수업의 원활한 지도를 위해서 교사들의 체육과 실기 지도에 대한 연수가 확대가 시급하다고 나타났다. 넷째,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평가에 대한 운영 및 분석의 결과로 초등학교 체육교육 평가 목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학생의 발전 및 달성도 확인’이라고 나타냈으며, ‘평가 기준 설정의 곤란’으로 체육수업 평가 시 어려움을 느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 연수 기회의 확대, 실기 연수’의 확충, 다양한 평가도구의 개발 및 보급’ 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체육과 교육과정 수업 방법에 대한 운영 및 분석의 결과로 많은 여교사들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체육 수업 운영 및 지도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움의 원인으로는 수업준비의 번거로움, 실외 수업의 부담감, 실기 기능과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교과이므로 체육수업 운영이 어렵다고 나타났다. 정상적인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앞에서도 많은 원인으로 제시된 교육과정의 내용, 교사의 실기 능력, 학교 현장의 체육수업설비 등의 재정비 및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의 원활한 체육수업의 운영을 위해서 교육당국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지역사회와도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다양한 체육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실행연구

        유민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perational effects, facilitating factors and imped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SNS and Vedio analysi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an be utilized in school field. The research problems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change in motor function and knowledge, interaction, and self-direction? Second, what are the facilitating and imped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Third, what are the ways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To do this, classes were planned and practiced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program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Firs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had positive experiences in motor function improvement, exercise knowledge improvement, interaction increase, and learner-centered self-driven learning effects. Second, seven factors were identified as facilitating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such as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Process,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own Body by Vedio Feedback, Functional Improvement, Modification of Movement Strategy, Interest in Using Smart Device and SNS,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Applying Smart Devi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ve impeding factors were derived such a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the lack of exercise knowledge, difficulty in using smart devices and SNS, the prejudice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burden of exposure to SNS. Third, a method to activat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was proposed by strengthening the 'effective and active interactions' and supplementing impeding factors to project the analyzed promotional effects on the activation plan. In other words, learners conducted voluntary learning to improve their motor function and exercise knowledge through understanding of body recognized through video and mutual communica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confirmed in that it enabled self-driven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visual feedback and interaction that took advantage of SNS and Vedio analysis. Therefore, if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revised, supplemented, and developed, and the teaching method using SNS and Vedio analysis is applied to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have learning capabilities to improve the exercise performance and self-driven learning attitudes. In addition, it can be a new way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hich can develop intellectual community through effective and activ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and to enhance mutual collaboration ability. This study can be expanded and developed as a method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f it is complemented and improved by researches and executions of many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rather than staying as an activity by a teacher. Through this, we can expect to develop new possibilities of teaching method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can bring up the learners equipped with creative, cooperative, self-directed physical education learning ability required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요구라는 흐름에서 2011년 6월 국가 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다.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지능형 맞춤교수․학습체제’로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등의 교육체제를 혁신하는 스마트교육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스마트교육 중 특히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영상피드백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효과를 입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SNS을 활용하여 영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경험이 될 것인지 대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즉,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할 수 있는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실행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그 방안으로 스마트기기, SNS, 영상분석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주목하여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를 진행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의 운영효과 및 촉진요인, 저해요인을 규명하여 학교현장에서 활용가능한 SNS와 영상분석 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운영은 운동기능 및 지식, 상호작용, 자기주도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둘째,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운영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체육수업 프로그램들을 바탕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SNS 중 본 연구 참여자에게 가장 적합한 ‘Band’, 영상분석 애플리케이션은 ‘Coach’s eye’, 클라우드 환경은 ‘Youtube’를 선정하여 3주간 파일럿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본 연구에 적용할 수업프로그램을 계획하고 8주간 한 학급 2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그룹면담, 체육수업소감문, SNS와 클라우드 수업자료, 참여관찰 자료를 포함한 온라인 및 문서자료와 체육수업활동자료를 종합하여 그 효과와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운동기능향상과 운동지식 향상, 상호작용의 증가,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효과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인으로는 상호작용과 협업의 과정, 영상적 피드백으로 자기신체이해능력 향상, 자신의 기능적 향상, 수정하며 만들어가는 운동전략, 스마트기기와 SNS 사용 자체에 대한 관심, 체육수업의 스마트기기 적용에 대한 인식 변화로 7가지 요인이 촉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저해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운동지식의 부족, 스마트기기와 SNS 사용의 어려움, 체육수업에 대한 선입견, SNS에 자신이 공개된다는 부담감으로 5가지 저해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분석된 촉진효과를 활성화 방안에 투영시키기 위해 ‘효과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저해요인에 나타난 요인들을 보완하여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하는 체육수업 속에서 학습자들은 영상을 통해 인지한 자신의 신체이해와 상호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이 필요한 운동기능과 운동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발적인 학습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SNS와 영상분석의 장점을 살린 영상적 피드백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주도적이고 협력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수정 및 보완, 발전시켜 학교현장 체육수업에 SNS와 영상분석을 활용한 수업방법을 적용시킨다면 체육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운동수행을 향상시키는 학습능력과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학생들 간의 효과적이고 활발한 의사소통 속에 지적공동체를 형성하여 상호협업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초등체육수업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교사 한명의 활동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교현장에서 다양한 교사들의 연구와 실행으로 보완, 개선된다면 초등학교에서 활용가능한 체육수업의 한 방법으로 확대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체육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상호협력적, 자기주도적 체육교육학습 능력을 가진 학습자를 길러낼 수 있는 초등체육수업에 수업방법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발전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