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과의 갈등요인 및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

        허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 문 초 록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과의 갈등요인 및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 전공 허 후 본 연구는 미래의 주역을 길러내야 할 목적을 지닌 학교에서, 조직 내의 갈등을 완화하고 해결함으로써 그 목적에 충실히 도달하고 최적의 교육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학교조직 내에서 각각 다른 관계 법령과 지위를 부여받은 이원화된 집단은 업무수행, 의사소통, 인간관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불가피하게 갈등을 유발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 갈등을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한다면, 학교의 목적과 그 기능은 더욱 견고해지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요인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을 적용하여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 사이의 관계 개선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조직 내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갈등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두 집단이 인식하는 갈등요인과 갈등해소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학교 조직 내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바람직한 학교풍토를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공무원이 인식하는 갈등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공무원들이 겪는 갈등 요인 및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셋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공무원 사이의 갈등 해소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 지역 및 경기도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및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총 28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관련 변인의 측정을 위해 기존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이 연구에 맞게 일부를 발췌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자료의 처리는 i-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인식하는 갈등은 보통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호 불신에 대해서도 보통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갈등의 요인을 크게 일곱 가지 유형, 여덟 개의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상대 업무에 대한 이해부족, 상대집단 업무 태도에 대한 부정적 시각 요인, 상대집단의 본인 집단에 대한 부정적 시각 인식 요인, 업무 분장 부당성에 대한 인식은 초등교사가 높았고 행정직 업무 능력에 대한 불신 요인, 상대집단의 비협조적 태도 요인은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높게 나왔다. 예산 지출 업무 관련 갈등 요인은 두 집단 모두 보통 이하의 결과가 나왔으며, 직무량 비교 인식 요인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의 갈등에 대한 해소방안에 대한 조사 결과 초등교사의 경우 상호 인격 존중 풍토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학교조직의 일원화가 가장 낮은 해소방안으로 나왔다. 교육행정직공무원의 경우에는 업무분장의 명료화가 가장 높게 나왔고 상대방 업무에 대한 간섭과 침해 배제해소 방안이 가장 낮게 나왔다. 양쪽 집단 모두 갈등해소 방안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상호 업무 협조, 업무분장의 명료화가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보수 및 복무제도 개선을 통한 동등한 처우 보장에 대한 해소방안은 초등교사가 낮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경우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장의 공정한 의사결정과 업무수행을 통한 해소방안에 대하여 초등교사는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낮게 인식하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학교 조직 내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간의 갈등 해소 가능성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하고 있었다. 초등교사가 교육행정직 공무원 보다 갈등 지각 및 불신의 정도가 더 높았지만 갈등 해소의 가능성 또한 높게 인식하고 있다. 학교교육의 가장 근본이며 입문이 되는 초등교육, 그 교육기관의 구성원인 초등교사와 교육행정직 공무원 간의 갈등이 해소된다면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학교조직이 운영될 것이다. 핵심어 : 초등교사, 교육행정직 공무원, 갈등

      • 공립 초등학교 종합감사 지적 사례 분석

        성윤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23

        본 연구는 공립초등학교 종합감사 지적 사례를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자체감사제도를 교육의 질 관리수단으로 재조명하고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 나타나는 행정적인 문제를 유형화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립초등학교 종합감사 사례의 지적 분야/부문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지적빈도가 높은 분야/부문의 유형별 형태와 발생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시도교육청별로 공립초등학교 종합감사 지적 사례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에 사용된 분석틀은 ‘1단계: 감사지적 사례 분석 틀’ 과 ‘2단계: 지적 사례 발생요인 분석 틀’ 이다. ‘감사지적 사례 분석 틀’ 은 문헌자료와 사전 분석을 토대로 완성하였으며, ‘지적 사례 발생 요인 분석 틀’ 은 선행연구에 사용된 자료를 재인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각 교육청 홈페이지에 탑재된 2011학년도 공립초등학교 종합감사 지적 사례로 총 1,490건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초등학교 종합감사의 지적 분야/부문 중에서 ‘계약관리(775건)’ 부분의 지적빈도가 제일 높았다. 그 다음 ‘학교회계집행(208건)’,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159건)’ 분야의 지적빈도가 뒤를 이었다. 둘째, 지적빈도가 높은 분야/부문을 분석한 결과 총 30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유형은 ‘계약관리’ 부문의 ‘검사(준공 및 물품)’ 와 ‘계약체결’ 이다. 고(高)빈도유형의 발생요인으로 개인적 요인(30유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환경적 요인(20유형)에 해당하는 유형이 많았다. 셋째, 각 교육청의 지적 빈도순위를 비교한 결과, ‘계약관리’ 부문과 ‘학교회계집행’ 부문이 상위순위에 포함되고 나머지 순위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계약관리’, ‘학교회계집행’,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 에 대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현장에서 ‘계약관리’ 업무 중에서 ‘검사’ 와 ‘계약체결’ 의 과업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접근을 해야 한다. 이는 학교 행정이 개인차원에 집중되어 있으며 환경적 요소를 반영하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학교 행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관리차원을 강조하고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셋째, 각 공립초등학교에서 비슷한 문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 단위학교와 각 교육청 단위를 벗어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종합감사, 교육행정감사, 공립초등학교

      • 교육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교무부장 조직 모형 연구

        박선영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807

        학교교육은 교육의 질적 향상에 최종적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교무분장 조직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학교의 인적자원을 학교 여건에 맞게 조직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일은 성공적인 학교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무분장 조직은 그동안 상위기관의 지시와 명령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체제로 운영되어왔다. 교사들이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이 교육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그것을 지원하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교무분장 조직이라면 기존의 행정중심의 제도에 교육활동 중심적인 특징을 강조하여 새롭게 개편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행정 중심적인 초등학교 교무분장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활동 중심적인 교무분장 조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정 중심적인 조직에서 교육활동 중심적인 성격을 강조한 교부분장 조직 모형을 제안하여 학교의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제 업무를 나누어 놓은 교무분장안 역시 교육활동적인 업무보다는 행정적 업무의 효율적인 처리에 적합하게 구성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존의 교무분장 조직이 학교조직이라는 공동체적 요소가 등한시되어 협력의 체제를 이루지 못하고 단순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행정 중심적인 성격이 두드러져 왔다. 교육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조직 속에서의 교무분장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활동 중심의 교무분장 예시안을 제시하여 업무의 체계성을 기하고 각 학교에서 업무분장에 따라 조직을 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지원 가능한 조직이 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의 종합적 특징 및 성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무분장 조직 모형이 교육활동 중심적이다. 기존의 조직이 행정업무를 처리하기에 용이하도록 되어있다면 제시된 모형은 학교교육의 본질적 목표에 보다 충실 할 수 있도록 교육활동을 강조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을 운영하기 위한 지원조직이 되도록 하였다. 제시하는 교무분장 조직은 학교의 본래 목표인 교육목적에 충실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조직이 되도록 하였다. 행정조직이 교육활동을 단순 지원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교육활동을 도와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교육활동과 행정업무를 중첩시켜 운영하도록 하였다. 행정부서와 교육 활동 부서를 따로 두어 운영할 경우 인적 자원이 낭비되고 업무가 과중 될 수 있으므로 두 조직을 중첩시켜 보다 효율적인 운영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어느 한 쪽을 강조하지 않고 두 조직 사이의 비중이 동등하게 유지되도록 균형을 꾀하였다. 업무 중첩으로 인한 업무량에 대해서는 기존 업무를 최소화하고 기타의 업무를 이관시킴으로써 업무가 과중 되지 않도록 하였다. 셋째, 초등학교의 교과목을 유사과목끼리 통합하여 같은 교과 교육부로 조직함으로써 서로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초등학교단계에서의 교수-학습 활동은 통합 교과적인 측면이 많기 때문에 유사한 교과끼리의 통합은 아동의 발달 단계적 측면과도 적합하며, 공동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관리함으로써 융통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제시한 교무분장안이 기획, 교과교육, 행정업무의 세 축으로 구성되도록 체계화시켰다. 지금까지는 학교별로 일정한 제계 없이 다양하게 단위업무와 세부업무가 배당되어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제시안에서는 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업무를 배분시킴으로써 업무저리의 효율성을 꾀하였다. 다섯째, 부서의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체제가 되도록 하였다. 기존의 부서에서는 본인의 업무만을 처리하였지 전체적인 공동의 일을 추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예시안에서는 행정업무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부의 일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자동으로 교수-학습을 위한 동료장학적 체계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교과교육부의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교육부의 교과교육연구회에 자동으로 속하게 됨으로써 공동으로 자료를 개발하고 관리하며 교수방법 등을 서로 교환하고 지도·조언하는 협력적인 조직이 되도록 하였다. 여섯째, 업무에 명시되지 않은 사안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특별업무처리부를 둠으로써 탄력적인 조직이 되도록 하였다. 예외적인 업무가 발생할 경우 프로젝트팀을 구성하여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하였다. 일곱째, 학년 교육부의 세부 업무를 교무분장표에 제시함으로써 교육활동과 행정조직의 중첩으로 인해 소홀해 지기 쉬운 학년교육부 조직을 보완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school education is to qualitatively improve education. The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in a school play a vital role in achieving this goal. The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in a school, which are so important, have been an appropriate system for following the instructions of the upper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reach the educational goal effectively, the work environment demands the support of teachers as well as the efforts of the teachers themselves. Therefore,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in a school should be reorganized as systems that focus on educational activities rather than on the existing administration-centered systems. In this study, we will look at the problems of the administration-centered school organiz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provide a model for a school organization that focuses on educational activities. We will provide examples for change in the organization from an administration-centered one to one that focuses on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will help each school apply this system in an autonomous wa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In this study, we tried to systematize work by providing examples of a work assignment plan for a school that focuses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one that will help each school use it as a reference point in organizing work divisions. We also made it a supportable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provided in this study. First, the academic affairs organization model focuses on educational activities. Whereas the existing work organization makes it easy to handle administrative work, the model introduced in this study emphasizes educational activities to be constant for the ultimate goal of school education and it is more effective in suppor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econd, the curriculum division will be operated combined with administrative work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It will not focus on any specific area, but it will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two. Third, the similar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will be integrated into one curriculum division for mutual assistance. A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t the elementary level tend to have integrated-curricula, it is suitable for the growth aspects of the children. Fourth, the proposed work assignment plan will be systematized in order that it may be divided into three big groups ; planning, curricula, and administrative work. The new system will assign work according to the three big groups for a systematized system. Five, the new system makes it possible for the members of teams to cooperate. They will automatically form a mutual scholar-system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y handling curricula work and administrative work at the same time. Sixth, in case of any matters that are not mentioned in the work, the new system will have a special work-handling department, which will provide a more flexible organization. When unusual matters occur, the organization will compose a project team to handle the matters quickly. Seventh, by presenting specific works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each grade on a Work Assignment Table, the organization could complement the problems of neglecting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department of each grade caused by the overlap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works.

      • KOICA의 초등학교 건립사업 사례연구

        김나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KOICA's primary school construction project as education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by analyzing the recent case of KOICA's Nigerian primary school construction project from 2010 to 2012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KOICA's primary school construction project as educational ODA? Second, what ar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school construction for Nigeria from analysis on tasks and the proc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ird, what are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imary school construction to improve outcomes and outputs? To answer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educational ODA and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e final evaluation report for this project provided from KOICA, and also did interviews with the specialist who work as part of the western African Team at KOIC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KOICA’s ODA Project is normally divided eight stages: 1)demand survey, 2)selection of business, 3)preliminary investigation, 4)execution plan discussion, 5)business execution, 6)agreement between a donor country and a recipient country, 7)project implementation, 8)post evaluation. Secondly, throug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alysis, characteristics of this project are that it gave children in Gombe and Adamawa State learning opportunities in primary school,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provided not only hardware point of view for this educational support but also software format. Lastly, in order to improve educational ODA, at the stage of planning, it is necessary that educational specialists be called into investigation and figure out exactly what is needed to make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and more opportunities for children in a recipient country. In addition, empowerment training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into customized one for each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dded the know-how from our previous experience and strengthened so that they would not just admire advanced education environment but could learn and apply to their education system. Furthermore, it might be better to plan outside experts’ involvement in project evaluations, know-how and expertise about the effective way to build a primary school, and more specific and efficient budget. Keywords : education aid, ODA, KOICA, Nigeria, primary school construc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본 연구는 KOICA의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의 사례를 문헌연구와 면담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 ODA 초등학교 건립사업의 발전방향에 시사점을 주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KOICA의 교육 ODA사업 중 초등학교 건립사업의 추진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행정의 과업 및 과정별 분석을 통해 드러난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앞으로 교육 ODA사업의 초등학교 건립사업들이 성과를 내기 위한 바람직한 운영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는 외교통상부 산하의 정부출연기관인 KOICA를 대상으로 하고, KOICA에서 실시한 평가보고서 및 사업 자료와 유네스코 아태 연수원에의 실시한 초청연수 자료들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해당 사업에 대한 면담 대상자의 섭외 어려움으로 인해 현 나이지리아 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KOICA 소속 직원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사업에 대한 교육행정학적 접근을 위하여 교육행정의 과정의 영역을 과업별로 분석하여 사업에서 개선해야 할 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은 KOICA의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①수요조사-②사업선정-③사전조사-④실시협의-⑤사업집행/계획수립-⑥정부 간 합의-⑦용역업체 선정 및 사업시행–⑧종료평가 및 사후관리로 총 8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둘째,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에 대한 KOICA의 과업은 학교건립, 초청연수, 재정운용, 사업관리, 수원국과의 관계이다. 교육행정영역과 KOICA 업무내용별 영역 대비표를 통해 교육과정의 운영, 장학, 학생인사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보이지 않았고, 교직원 인사에 관해서는 초청연수만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사업의 과정은 기획과 의사결정, 조직, 조정, 의사소통, 영향력 및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은 교육기회제공, 교육환경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의 통합적 지원을 제공을 그 특징으로 한다. 셋째, 교육 ODA로서 KOICA의 초등학교 건립사업은 기획과정에서의 교육전문가의 투입하여 교육을 위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기초 교육의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적절한 교구 지원과 교육컨텐츠를 통해 아이들에게 양질의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조장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육 노하우 전수를 위해 수원국에 적용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연수의 효과성 및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그 외에 사전/종료 평가 시 외부전문가 참여, 학교 건립 노하우 전수, 예산의 구체적/효율적 기획, 공사 효율적 진행을 위하여 위탁업체와 현지인력 관계에의 추가적인 대응관리를 통해 사업의 효율적인 진행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KOICA의 초등학교 건립사업은 교육 ODA의 일환으로 다른 나라와 차별화 되는 사업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인 건설과 재정적인 지원에 치우치지 않고 기획부터 평가까지 교육적인 맥락에서의 운영이 필요하다. 주요어 : 교육 ODA, KOICA, 나이지리아 초등학교 건립사업 * 본 논문은 2013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교원의 교육자치 의식에 관한 연구

        허지자 인천교육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807

        교육자치제는 1952년부터 시행되어 왔으나 교육위원회의 위상과 구성,중앙과 지방의 교육행정 관계, 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관계, 지방교육재정,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한 학교자치 등에 관한 많은 과제가 논의되고 문제점이 지적되어 아직도 정착되지 못한 상황에 처해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교육자치가 주로 제도를 중심으로한 논의에 집중되었고, 그에 관련되는 사람들의 의식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극히 부족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자치제에 관해 지금까지 논의·검토한 주요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초등교원들의 교육자치 의식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우리의 교육자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교육자치에 관한 초등교원들의 현실 인식은 어떠한가?' '교육자치에 관한 초등교원들의 발전 전망과 기대는 어떠한가?'를 문제로 설정하고 교육자치에 관한 의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자치에 대한 개념 및 현실 인식과 교육자치에 거는 기대 및 발전방향 등을 설문으로 작성하여 그 결과를 파악하였다. 먼저 초등교원의 교육자치의 개념및 현실의식에 관한 조사 결과 교육자치제에서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관계는 분리 독립의 원리인데 이를 제대로 응답한 초등교원은 35.5%에 불과하였으며, 정부의 지방교육 자치의 법 개정 방향이 "위임형 의결기관에서 합의제 집행기관임"을 제대로 알고 있는 응답자는 34.8% 정도였으며 현행 지방교육자치제의 최종 의결기관이 시·도 지방의회라고 반응한 초등교원은 24.9%에 불과하였다.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자치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초등교원은 60.6%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에서 가장 논쟁이 심하게 제기된 사항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는 교육감과 교육위원의 선출(56.3%), 교육위원회의 위상과 기능(35.1%)의 두 부분에 대해 압도적으로 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며, 학교경영에 대한 교장의 자율성의 정도로서는 잘 되어 있는 편이라고 반응한 초등교원은 20.2% 정도였다. 교육자치에 대한 기대 및 발전 전망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서 교육자치의 발전을 위해 먼저 교육감과 교육위원을 제대로 뽑기 위한 조치로서 필요한 것은 '선출방식의 개선'이 65.4%로서 가장 많았고, 교육자치가 가장 강화되어야 할 곳으로는 '학교' 39.3%, '시·도 교육청' 20.7%, '시·군·구 교육청' 20.4%, '교육부' 19.6% 순으로 반응을 나타내어 학교의 교육 자치를 가장 비중있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교육자치를 발전시키는데 역할을 발휘해야 할 주체로서는 '교원단체' 48.0%, '교육부' 25.8%, '전문가' 7.7%의 순으로 반응을 보였으며, 우리나라 교육자치에 대한 전망으로서는 상당한 시일이 걸려야 할 것 같다는데 대해 77.8%로 대체로 일치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초등 교원의 교육자치 의식은, 교육자치의 개념 및 현실 인식이 아주 부족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즉 교육자치의 기본 원리인 분리·독립의 원리, 현행 지방자치의 법 개정 추진방향, 최종 의결기관인 시·도 지방의회, 교육자치의 필요 이유 등 기본적인 사항조차 30% 만이 제대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우리나라 지방교육 자치에 대한 현실인식은 72.9%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경영에 대한 교장이나 교사의 자율성이 잘 되어 있지 않다는 인식을 갖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 지방교육자치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 밝은 편이 못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 우리나라 교육자치의 발전에 대해 제도적 측면보다 인적 측면을 더 강조하고 있는데 그것은 교육행정가들의 자치의식 부족(36.6%), 정치인들의 타성적 의식(25.8%), 중앙집권방식 계속 예상(24.5%), 교육자치 주체들의 미숙(13.1%) 등의 반응이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교육자치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나 시·도 자치단체등 관련기관에서 교육자치의 실상에 대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고, 교육행정 전문가들이나 학회, 연구기관 등에서 교육자치에 대한 운영상황에 관한 정기적인 평가가 있어야 하겠다. 또, 교육자치 인식 발전을 위해 양성과정이나 현직연수에서 교육자치의 개념 및 실상 등에 관해 이해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지방의 교육행정 전문요원에 대한 자치의식 및 전문적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정부나 국회 등에서도 교육자치 발전을 위한 획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하겠으며, 시·도 차원의 교육자치와 학교자치의 발전이 곧 교육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관련기관들의 이해 갈등차원을 초월하고 타협과 상호 협력적 차원에서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educational autonomy system has been enforced since 1952, this system doesn't become fixed yet, because there are still many tasks under discussion and many problems raised, such as the position of the Board of Education, its organization,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author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general local autonomous system, local educational finance, or school autonomy through school steering committee. Until now, studies on educational autonomy has mainly concentrated on the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people's consciousness concerned to the system, despite its impor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our country's educational autonomy, by analyzing the major past studies on educational autonomy system which are under review and discussion, and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ciousness of educational autonomy. The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as follows: 'wha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educational autonomy's reality?' and 'wha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spect of and expec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utonomy?'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educational autonomy, a questionnaire is prepared, which involves items about concept of educational autonomy, understanding of reality, expectation for educational autonomy and how its development shall be pursued. As a result of making investigation through questionnaire, the concept of elementary education autonomy and the consciousness of reality are brought to light first. Although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general administration in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s built 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just 35.5%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give the right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Approximately 34.8% know correctly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ct is revised from commitment-based legislative organ to concensus-based executive organ. And only 24.9% give the right response that the final legislative organ of the current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s municipal or provincial council. 60.6%, a relatively high rate, understand the school steering committee is an organ to reinforce school autonomy. Among the questions about things under the most severe dispute in our country's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y overwhelmingly point out the following two matters: the election of a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s and of school board members(56.3%),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board of education(35.1%). About 20.2% answer principal tends to be given a fair autonomy for school manag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ir expectation for educational autonomy and their opinion about its future prospect, what's most needed to make a right choice of superintendent of school affairs and of school board member appears to change the way of election, which is pointed out by 65.4%. The place whose educational autonomy must be most reinforced is school(39.3%), followed by municip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20.7%), municipal, county or district Office of Education(20.4%)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19.6%) in the order named. This fact means that they put the highest value on school educational autonomy. The subject who should play a critical role in developing educational autonomy appears to be teacher's organization(48.0%), the Ministry of Education(25.8%), and experts(7.7%) in the order named. Concerning the prospect of our country's educational autonomy, they generally agree that it will take a great deal of time, which is replied by 77.8%.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ciousness of educational autonom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very poo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utonomy's concept and reality. Just 30%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even the following basic thing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that is the basic one of educational autonomy, the revision of the current local autonomy act, municipal or provincial council that is the final legislative organ, or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autonomy. 72.9% show a negative response to the reality of our country's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y don't have a bright view of the development of our country's local educational autonomy in the future, since they don't think principal or teacher is given a proper autonomy for school management. Besides, their opinion is that the development of our country's educational autonomy depends on manpower aspects rather than on institution, as they point out the followings: the lack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consciousness of autonomy(36.6%), politicians' stereotyped consciousness(25.8%), the expected persistence of centralization(24.5%), or the inexperienced subject of educational autonomy(13.1%). Accordingly, the followings are needed to develop educational autonomy in the future: The organs concerned, like government, municipal or provincial autonomous bodies, has to publicize the reality of educational autonomy more widely. The exper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rned society or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evaluat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autonomy periodically. The expert personnels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all be encouraged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autonomy or professionalism, by having teacher's training course or service education include more reinforced programs that elevate an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autonomy's concept or reality. The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has to prepare a big alternativ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utonomy under the recognition that educational development is greatly affected by the growth of municipal or provincial educational autonomy and school autonomy. The institutions concerned shall put joint efforts on its development through mutual cooperation, putting aside conflicts of interests among them.

      • 초등교사의 갈등 요인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최인양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07

        사회 변화와 더불어 이루어진 교육개혁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초등교사들이 느끼는 갈등의 정도와 그 대처 행동방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차원에서 갈등을 통제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 하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갈등정도는 배경요인(교사의 성별, 직위, 지역, 경력, 학급수, 담임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가 가장 갈등을 많이 느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교사의 배경요인(교사의 성별, 직위, 경력)에 따라 갈등에 대한 대처 행동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개인적 요인, 학부모 요인, 동료교사 요인, 학생요인, 행정가 요인, 근무환경요인, 승진요인, 변화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의 9개 갈등 요인에 대한 갈등정도와 갈등 대처행동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간 차이 검정은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고 사후 검정은 Scheffe´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절차에 따라 조사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갈등 요인별 갈등 정도 개인적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 2.79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요인에 대한 갈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3.02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에서, 학급수에서는 학교 규모가 클수록 학부모 요인에 의한 갈등이 크게 나타났다. 동료교사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2.52로 갈등 요인 중 갈등 정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교사가 동료교사 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3.42로 학생 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교사가,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학급 수별로는 학교 규모가 클수록 학생 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가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2.78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특성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근무환경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3.57로 근무환경에 의한 갈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특성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승진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3.59로 승진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갈등이 더 심하고, 학급 수에서 12학급이하, 37학급이상, 25-36학급, 13-24학급 순으로 갈등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 요인에 의한 갈등정도는 평균이 3.91로 갈등 요인 중 갈등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수에서 학교규모가 12학급이하로 적거나 37학급 이상으로 크면 중간규모의 학교보다 변화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임학년 별로도 고학년 담임 교사가 변화 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적 지원 요인에 의한 갈등 정도는 평균이 3.85로 갈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여교사가, 학급 수에서 36학급까지는 학급수가 많을수록 행정적 지원 요인에 의한 갈등이 낮았지만 37학급이상에서는 행정적 지원 요인에 의한 갈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 갈등 요인별 갈등 빈도수 교사들에게 제시된 갈등 요인 중 가장 갈등을 많이 느끼는 요인을 선택하도록 한 결과 변화요인에 의한 갈등(35.1%)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근무환경요인(18.9%), 행정적 지원 요인(8.3%), 승진 요인(4.9%), 행정가 요인(2.4%), 학생 요인(1.9%), 학부모 요인(1.4%), 개인적 요인(0.9%), 동료교사 요인(0.2%) 순서로 나타났다. 다. 갈등 요인별 갈등 대처행동 교사들의 개인적 갈등 요인에 대한 대처 행동 방식은 적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학부모와의 갈등 요인에 대한 대처 행동 방식은 타협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참여증가에 대한 반응도 타협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별로 회피행동은 5년 이하 교사에게 높게 나타났고, 적응행동은 6-10년 교사에게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동료교사와의 갈등 요인에 대한 대처 행동 방식은 협력행동과 타협행동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학생과의 갈등 요인 중 과잉학급과 선행학습에 대한 반응은 적응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지도에 대한 반응은 타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교사에게 협력행동과 적응행동이 여교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행정가와의 갈등 요인 중 지시, 감독과 교직단체의 차이에 대한 반응은 타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불공정성 대한 반응은 협력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별로 적응행동은 5년이하 교사에게 많이 나타났고, 협력행동은 6-11년 교사에게 많이 나타났다. 권위주의에 대한 반응은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근무환경 요인에 대한 대처 행동 방식은 모두 적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근무환경에 대한 반응도 적응행동이 가장 높으나 직위별로 협력행동은 부장교사에게 높게 나타났고, 타협행동은 평교사에게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승진에 대한 갈등 요인 중 낮은 승진 기회와 승진점수에 대한 대처 행동 방식은 적응 행동이 가장 높았고, 승진에 대한 부정적 사례에 대한 대처행동 방식은 회피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로는 타협행동이 남교사에게 높게 나타났고, 직위별로도 타협행동이 평교사에게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변화에 대한 대처행동 방식은 적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행정적 지원에 대한 갈등 요인 중 전달위주장학과 전문프로그램 부족에 대한 대처행동방식은 적응 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에 대한 반응은 타협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위별로는 협력행동이 부장교사에게 많이 나타났고, 적응행동은 평교사에게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갈등 요인별 갈등정도를 교사의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높은 갈등 정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교사들의 갈등이 심하면 사기가 저하되어 교육의 고유 목표 달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정책의 일관성과 교사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갈등 요인을 최소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의 갈등 요인별 대처 행동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적응과 협력, 타협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노력과 안정지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행정가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대한 적응 행동은 결국 의사표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교사들의 창의적 사고를 제한하여 학교조직의 발전을 어렵게 할 것이다. 또한 승진 때문에 학급 운영을 소홀히 하는 사례를 보고도 무관심한 회피 행동은 교육 목표 달성에 매우 치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은 갈등 요인의 해결에 보다 능동적 태도가 교육 조직의 변화와 나아가 교육 목표 달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셋째, 승진 제도의 개혁이 필요하다. 승진제도와 교육행정가의 권위주의적 태도와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사들의 교육 활동은 서열을 매기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연구 실적이나 근무평정 등이 승진점수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는 행정가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지므로 교사들은 행정가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적응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이 발전적 조직체로 전환하고 교사 갈등을 갈등 해소를 위해 승진 제도의 개혁이 절실히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deals with how different conflicts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in the school are by sex, position, region, experience and class, and how different their coping behaviors are by sex, position and experience. For the study, questionaire was made to 408 teachers(man 99, woman 309) who were randomly sampled from 30 schools in Kwangwon-Province. I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n processing data, and tested the difference among groups by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eachers are exposed to severe and various conflicts. Especially they have more conflicts from computerization, changing of education,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system oriented for performance. Second, teachers was found to have most conflicts from changing factors in conflict frequency as well. Third, analyzing coping behaviors by conflict factors, it was found out that teachers mainly chose adaptability, cooperation and compromising to reduce the conflicts. However, confronting with the conflict between promotion and negligence of class management, they preferred avoidance. I would like to propose some solutions for reduction of conflicts as follows. First, teacher's conflict should be minimized through consistency of education policy and improvement of teaching circumstance. The severe conflict discouraged teachers, which in turn, would have a negative effect upon achieving the ultimate object of education. Second, teachers need to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in resolving conflict factors. Choosing adaptability, cooperation and compromising as a means of resolving conflicts indicates that teachers persue stability and amiable human relationship. However, adaptability to administrator's prestigious posture prevents free communication and restricts creativity and futhermore can hamper the development of school. Third, promotion system has to be reformed.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system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prestigious posture. Studies and performance, which are evaluated by administrator, are very important for promotion because education activities is difficult to evaluate objectively. Therefore, the reformation of promotion system is necessary for reduction of conflicts and conversion of school into a developing organization.

      • 초등학교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정착방안 연구

        최유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운영실태와 성과를 분석하여,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정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성과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정착 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은 서울특별시 공립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 393명과 초등학교 교무행정지원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Statistic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제도에 대한 학교차원의 안내도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무행정지원사의 담당 업무는 명확하게 규정된 편이었으나 다른 문항에 비해 상대적인 점수가 낮았다. 업무수행 측면에서, 교무행정지원사의 학교업무 파악 정도, 업무담당 교사와의 의사소통 수준에 대해 교사와 교무행정지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교무행정지원사에게 업무를 지시(부여)하는 사람은 주로 보직교사였으며, 이는 보직교사, 교무행정업무 전담팀 소속 교사 등 일부교사에게만 도움이 되는 제도라는 교사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단위학교마다 교무행정지원사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와 수행하는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었다.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교사들은 교무행정지원사의 업무수행 시, 책임소재가 불명확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교무행정지원사의 응답에 따르면, 제도의 목적과 다르게 학교 손님접대를 위한 차 심부름, 교무실 청소, 교장의 점심준비와 같은 사적인 지시를 받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교무행정지원사를 위한 교육지원청이나 학교차원의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조사 결과, 교무행정지원사들은 직무 및 처우에 매우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현실적이지 못한 낮은 급여, 고용불안정, 교무행정 업무 이외의 잡무 부여, 불분명한 업무분장을 들었다. 둘째, 제도의 성과로서 교사들은 교무행정지원사 제도가 전반적인 행정업무를 경감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운영이 교사의 교육활동 전념에 미치는 효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교사의 업무 중 행정업무를 과감히 축소함으로써 학생에 대한 학습지도와 생활지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제도 본래의 목적 달성에는 이르지 못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정착방안에 대하여 교사와 교무행정지원사 모두 ‘교무행정지원사의 업무분장 명확화’를 우선적으로 요구하였다. 그러나 ‘교무행정지원사들의 처우 개선’과 ‘교무행정지원사의 증원’에 대해서는 교사와 교무행정지원사의 인식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무행정지원사 제도의 정착방안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무행정지원사의 업무 분장 시,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는 고유업무를 교무행정지원사에게 부여하고 그 내용을 교사들에게 안내해야 한다. 또한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교무행정지원사들에게도 책임감이 요구되는 업무를 부여하여 학교에서 이들이 존재감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무행정지원사의 처우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무행정지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교에서의 업무수행을 원활하게 하기위하여 교육지원청과 학교차원의 지속적인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교사와 교무행정지원사의 역할과 업무를 이해하기 위한 연수를 통해 구성원들 간에 서로 인격을 존중하고 신뢰하는 분위기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초등학교 대상 자체감사에 관한 연구

        장인영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자체 감사제도의 운영과 관련하여 단위학교와 교육청이 참고할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교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교 자체감사 제도도 동시에 개선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1개 교육지원청별 자체 감사결과를 업무분야에 따라 영역별로 분류하였을 때 감사영역별 건수와 비율, 지적사항 등 지적내용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자체감사 결과를 행정적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할 때 각 판단기준의 적용빈도 등 통계적 특징과 교육적 시사점은 어떠한가? 셋째, 감사 처분요구안에 나타난 법령 등 업무근거별 적용빈도의 특징은 어떠한가? 넷째, 감사 처분요구안에 나타난 감사결과 처리를 위한 처분(신분상·행정상 조치) 내용의 특징은 어떠한가? 다섯째, 감사결과 분석을 통해서 살펴본 학교 자체감사제도 운영의 시사점과 발전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관련 논문 등 문헌 연구와 감사제도 관련 제도 운영 등에 대한 국내․외 연구보고서와 학술지 게재논문, 학위논문 자료, 서적 등 수집으로 선행 연구 분석과 이론적 배경을 도출 하였다. 학교 자체감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분석기준을 정하여 감사결과의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먼저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11개 교육지원청의 자체감사 결과 220건을 학교 업무 분야에 따라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감사결과 분석기준인 판단기준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감사결과 분류체계와 분석 기준을 기초로 감사영역별 지적사항 비율, 감사 판단기준의 적용, 신분상․행정상 처분내용 등 감사결과의 특징과 시사점, 학교 자체감사제도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지적내용이 행정 분야 중심으로 운영되는 특징이 있다. 감사영역을 교육활동 분야와 행정 분야로 대별할 경우 교육활동 분야로 볼 수 있는 ‘교무학사(10.9%)’ 영역과 ‘방과후 학교(8.2%)’ 영역은 두 영역을 합계한 비율도 19.1%에 불과하고, 대부분 행정 분야의 감사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목표달성과 성과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교육청이 주관하는 행정 분야위주의 감사는 감사의 불균형과 교육활동에 대한 감사가 사각지대로 남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교육활동 분야의 감사에서도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행정적 판단기준의 적용빈도 등 특징을 보면 분석대상인 전체 처분요구안 220건 중에서 판단기준별 적용빈도는 합법성이 220건이다. 합법성 기준이 처분요구건수에 100% 적용되었다. 이는 전체 판단기준 적용건수에서 1위에 해당한다. 다음으로는 ‘타당성’ 137건, ‘형평성’ 37건, ‘효율성’ 27건, ‘합리성’ 19건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자체감사에서 행정적 판단기준인 합법성 위주로 판단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법령 등 업무근거별 적용빈도의 특징 중에서 개별 처분요구안에서 가장 많이 적용된 업무근거별 적용빈도가 가장 높은 근거들을 보면 먼저 법률은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고, 시행령은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었으며, 시행규칙은 사학기관 재무ㆍ회계 규칙이다. 또한 중앙정부 지침은 공무원 보수 등의 업무지침이고, 자치법규는 서울특별시 공립학교 회계규칙이었으며, 교육청지침(계획) 이하 수준에서는 학교회계 예산편성기본지침이 적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이었다. 한편, 감사 영역별 업무근거의 적용 빈도가 가장 많은 것을 보면 먼저 교무학사 영역에서 적용빈도가 가장 많은 업무근거는 개인체험학습지침이었다. 방과후 학교 영역에서는 방과후 학교 길라잡이였고, 급식 영역에서는 학교급식 기본방향이었으며, 인사관리 영역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었다. 보수수당 영역에서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이었고, 계약 영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었으며, 재무회계 영역에서는 서울특별시공립학교 회계규칙 및 학교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이었다. 일반행정관리 영역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과 개인정보보호법이었고, 시설물품 영역에서는 서울특별시교육감 소관 물품관리 조례 시행규칙이 적용빈도가 가장 많은 업무근거였다. 넷째, 감사결과 처리를 위한 처분(신분상·행정상 조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신분상 처분 적용빈도는 ‘주의’가 1위를 차지한다. 다음으로는 ‘경고’, ‘경징계’의 순이었다. 중징계는 요구 사례가 없었다. 이는 인사상 온정적으로 감사 제도를 운영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행정상 처분 적용빈도는 ‘현지조치’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시정’, ‘기관주의’, ‘기관경고’ 및 ‘권고’, ‘통보’의 순이었다. 교육청의 처분기준상 신분상 또는 행정상 처분이 가능한 사항인데도 현지조치를 과다하게 적용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섯째, 감사 지적방식 등 감사제도 운영의 틀에 관한 특징이다. 개별적인 처분요구안을 보면 감사인의 일방적인 판단을 바탕으로 단편적인 사안을 건별로 사후 적발위주로 지적하는 방식의 감사라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숲이 아닌 나무보기 방식으로 문제점의 지적을 위한 족집게(Pinpoint)형 접근으로 운영을 하므로 현행 자체감사제도가 학교운영에 통합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대상 자체감사에 관하여 연구하여 얻게 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자체감사 활동은 교육활동의 질적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행정 분야 외에 교육활동에 대해서 관심을 높여야 할 것이다. 수업 등 교육활동에 대한 감사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육활동에 대한 다양한 감사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행정적 판단기준 외에 교육활동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적 판단기준인 전문성, 학습권 보장성의 판단기준도 적용함으로써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육 및 행정 활동에 대한 감사활동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청이 주관하는 자체감사로 운영을 하기 때문에 감사결과 처분요구안의 전제(정당론)에서 정당성의 근거로 제시되는 업무근거가 법률과 하위의 규정 또는 제도 운영계획이나 지침의 일부 조항이나 내용 위주로 되어 있다. 업무근거는 특정 조항의 준수여부 점검을 위한 제시이므로 교육활동의 성과 확보차원에서 교육청의 정책 추진을 확인하거나 해당 학교 내부에서 생산한 계획을 점검하기 위한 감사 근거의 확보나 감사제도의 운영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학교가 생산한 학교 학교교육과정과 학교규칙 등도 업무근거로 적극 검토하여 학교 스스로 문제의 진단과 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장 주관 자율감사제 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감사 지적 방식 등 감사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단편적인 사후 적발위주의 감사보다는 학교운영과 문화의 구조적 개선까지 유도하고 문제의 근원적 개선을 중시하는 감사제도로 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감사제도는 학교운영의 숲을 보는 안목으로 종합적(Comprehensive) 접근을 통해서 학교운영을 통합적으로 개선하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예방중심 감사와 성과감사, 컨설팅 감사 등 다양한 감사 제도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만족도 조사 연구

        백진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owards the support of administrative office, and by analysis that the study aims to find the implication for the school management 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rimary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garding the support of administrative office? Second, how 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 level on the support of administrative office? Third, by the result of the study, what can be inferred for the school management 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I performed the survey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The process of the stud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selecting subdomain, developing questions,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credibility, and actual research. For the selection of subdomain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I performed the Delphi survey twice by creating the professional group organized by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4 general government officials. By utilizing the contents validity CVR, I have confirm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tisfactory index model on regarding the support of administrative office, and I developed the questions based on this. Through the revised Delphi survey, I conducted the survey and the target groups were comprised of randomly selected 31 principals, and 10 to 15 teachers including vice principal level, and a total of 345 questionnaire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the previous study analysis the background variables were set by gender, experience, title role, and size of the school. T/F analysis was used to interpret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general work support was the highest, and the next were facilities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spects of gender, experience, and title role, but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from the size of school. For the gender part, the male teachers had higher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ratings were high as the experience of teaching job gets high.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have higher satisfactory level than general teachers or managerial teachers. The final conclus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towards the administrative support can be divided into three.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he administrative work, and try to cooperate with administrative office. Second, the differences inferred by the gender, experience, and title role should be decreased. Teachers with short experience should try to cooperate with the related parties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lture. Also, the administrative office should give more support to the general teachers rather than focus on the work of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본 연구의 목적은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만족도 조사를 위해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교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한 교원의 만족도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여 학교경영이나 교육행정에 시사하는 바를 추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교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만족도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이러한 결과가 학교경영이나 교육행정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크게 ‘하위영역 설정’, ‘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본조사’의 4단계로 이루어졌다. 하위영역 설정과 문항개발을 위해 초등학교 교원 11명과 일반직 공무원 4명으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때 내용타당도 비율값(CVR)을 활용하여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만족도 구인화 모형을 확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항개발을 하였다. 수정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구성된 설문 문항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무선 표집 한 31개 학교의 교장, 교감을 포함한 10∼15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345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설정한 배경변인은 성별, 경력, 직위, 학교규모로 설정하였다. 배경변인별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F 분석을 사용하였다.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만족도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 만족도는 사무운영지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관리지원, 교육지원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 영역을 배경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별, 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교규모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서는 남자 교원이, 경력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위별 만족도는 부장교사와 일반교사보다 교장과 교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이 만족도 구성요인은 크게 3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교육지원 영역은 학교운영위원회 간사 역할, 교육물품 구매 및 검사·검수, 인쇄, 조달 계약, 수익자부담 관리로, 사무운영지원 영역은 보수, 교육관련 학교회계 예산편성 및 심의, 기록물 관리와 과제카드 편철 및 담당자 지정으로, 시설관리지원 영역은 학교 외관 관리, 시설안전 점검, 시설유지 및 보수로 나눌 수 있다. 교원은 이처럼 다양한 행정실의 역할과 업무를 이해하고, 행정실과의 상호이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 성별, 경력, 직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줄일 필요성이 있다. 저경력 교사는 학교조직문화를 이해하고 학교 구성원간 상호협력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행정실은 교장과 교감 위주로 업무를 수행할 것이 아니라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학생을 교육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의 지원에 대한 교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의 대상을 학교 유형이나 학교 급별로 확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남윤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91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협의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기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나아가 이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동학년 협의회는 교사들에게 어떤 기능을 하며 교사들은 개인배경(성별, 직위, 교직경력, 학교규모)에 따라 동학년 협의회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시키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설문지 전체를 전체 분석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교육경력, 학교규모, 직위별 변인에 대해 x²검증을 하였으며 SPSS Win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의 대부분은 동학년 협의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내자율장학에서 교육활동과 교육과정 개선의 목적을 최우선으로 두었으며 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장학은 동료장학이라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이러한 동료장학의 한 형태인 동학년 협의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배경변인별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상당수의 교사가 시간의 확보를 필수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개선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은 교육활동과 교육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활동 및 학교생활을 위해서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상대로는 동료교사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여 대다수의 교사가 여러 장학 중에서 동료장학을 부담 없이 느끼고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동학년 협의회는 대부분 주2~3회 이하로 운영되고 일과 중 수업을 모두 마친 후에 운영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때에 논의되는 주제로는 학교업무 전달이 51.5%였고, 교육과정 지도와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이 그 뒤를 이었다. 동학년 협의회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주로 다과를 곁들이면 안건 준비 없이 자유롭게 실시한다는 의견이 57.5%로 가장 많았다. 이것으로 보아 현재 학교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여러 교육활동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거나 준비된 형태가 아닌 다과회의 형식을 빌어 운영되고 있는 학년이 많았으며 학교 차원의 지원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이 동학년 협의회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많은 교사들이 과도한 학교 업무와 잡무로 인해 시간의 확보가 어려움과 학교차원의 재정적인 지원 및 시설확충 등의 여건 조성이 미흡함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학년 협의회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저해요인의 제거와 더불어 관리자들의 인식 변환 및 물리적인 환경 조성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태도 및 구성원들 간의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초등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간의 래포 형성 및 협동적인 교사 관계 형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목적의식 및 기대를 갖고 동학년 협의회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나온 제안 및 건의안을 학교교육과정 수립과 운영에 반영하고 학기 초에 동학년이 구성될 때 교사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금보다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체계적인 동학년 협의회가 전개되어야 하며 학년 연구와 동학년 단위의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각 학년마다 동학년 협의실을 마련하여 주며 필요한 기자재 등을 제공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 of same grade councils, problems related to the counci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issues include; firstly, this study explored how same grade councils were managed in an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study examined how same grade councils worked for teachers and how teachers recognized same grade counci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genders, position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size of schools). Thirdly, the factors that retarded same grade councils and the factors that promoted same grade councils were examined.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concret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by applying same grade councils. A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study issues, who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x² test was conducted for the variables of genders, educational experiences, the size of a school, and positions that were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firstly, a majority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ame grade councils. They agre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urses were priority in inner school self-supervision and peer-supervision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y thought that a same grade council, as one of peer-supervision types, was importan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believed that securing time was necessary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were observed, and they recognized that a same grade council had a direct effect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urses. Most teachers recognized that peer-supervision among various encouragements was the most effective and easy method, peer teachers claimed overwhelming majority to ask help in teach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Secondly, based on the answers, most same grade councils were held after school and two or three times a week. School work delivery was 51.5% as a discussed subject followed by the guidance for educational course,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57.5% of respondents replied that a same grade council was held, offering refreshments and free discussion without any preparation of agenda. Based on the results, alth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are discussed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at a school, most same grade councils has not been established systematically or well prepared. They have been held like a meeting with refreshments and had no supports from school. Therefore, although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 same grade council, it has not been vitalized yet. Thirdly, it is recognized that the factors that retard a same grade council were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time due to excessive school works and the lack of sufficient financial supports from school and the expans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of a same grade council, the efforts to eliminate negative factors mentioned earlier, changes in recognition,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e attitudes and two-way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re required. Lastly,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the establishment of Rapport among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 relations should precede. In addition, they should participate in a same grade council with a sense of purpose and expectation, reflect suggestions and proposi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courses and management, and consider th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in the early semester when same grades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a same grade council be held deliberately and systematically, a variety of training courses for grade studies and same grades be conducted, a council room be prepared for each grade, and necessary tools and materials be off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