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의 내러티브 탐구

        차민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에 대한 집필자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그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을 통해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체육과 7차개정교육과정 3·4학년 체육 교과용 도서에 집필을 담당한 총 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대면적인 방법과 비대면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 졌으며, 수집한 현장 텍스트를 영역분석, 분류분석,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어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체육과 교과서의 연구·집필 과정과 그러한 경험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참여자와 다시이야기하기 과정 등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및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의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집필과정은 이상과 현실의 줄다리기로 다시 이야기 되었다. 객관적으로 권위로 인정받는 신념체계는 교육과정에 대한 무관심 혹은 정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곧 집필자 개인의 신념체계에 따라 집필하는 경향의 요인이 되었다. 한편 실천적 지식의 형성이 미비한 교사는 교육과정의 정보와 운영방법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과정 내용대로 집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지식이 실천적 지식에 포함되어 있는 집필자는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과 협력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재구성 양상을 띤 집필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교사의 신념체계에 의해 형성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에 따라 집필의 경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집필 과정을 통해 새롭게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자의 신념체계가 변하거나, 새로운 신념체계를 형성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교과서 집필에서 교육과정이 규율적 메커니즘으로서 지식의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신체활동 지식이 갖는 특수성에 따라 다른 교과서와 차별적으로 내용 및 체제가 구성되는 신체활동지식의 전환 과정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체육 교과서의 집필 과정은 신체활동 지식의 특수성과 텍스트와 이미지의 한계로 인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집필자에게 해석되지 못하고 집필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체험과 기억의 상기로서 해석되어진다. 이는 체육 교과서 집필이 집필자의 신체를 통한 활동 체험을 전제해야함을 나타낸다. 또한 이렇게 해석되어진 교육과정의 내용은 신체활동 지식을 구현함에 있어 텍스트와 이미지가 갖는 한계로 인해 활동 제시의 형태가 주가 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텍스트와 이미지는 개념적 지식의 제시보다 활동 안내의 용도로 사용되어 지는 특성을 보였다. 셋째. 초등 체육 교과서의 집필 과정은 이상 추구와 현실적 대안의 조율이라는 의미를 갖는데 이는 초등 교사를 배려하는 글쓰기를 통해 초등 체육을 정상화 하려는 현실적 대안 제시와 초등 교사의 체육에 대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사를 고려한 글쓰기를 지양해야 한다는 이상 추구의 갈등, 기능 중심의 교과 인식을 통합 교과로의 인식으로 전환하고자 개정교육과정의 철학적 변화 홍보 과정이라는 현실적 대안 제시와 이로 인해 체육 교육의 존립 위상 격하를 우려하는 이상 추구의 갈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상의 초등 체육 교과서 연구·집필 경험의 의미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현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체육 교과서 심의 기준의 적정화와 현행의 체육 교과서 대한 인식 제고를 바탕으로 체육 교과의 특수한 지식을 담을 수 있는 교과서의 다양한 형태를 찾는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능동적 집필자에 대한 인식, 나아가 능동적 교사로의 인식 전환과 이들의 참여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 작업이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ll writer’s experiences about the process of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and clarify mechanism for the process of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through meaning inquiry on those experiences. To complete this study purpose, narrative research for experiences about study and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was performed aiming at 3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in charge of writing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 for 3-4 grades in the revision of 7th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using face to face method and non-face to face method. And then key words were leaded out by analyzing field texts in ways of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e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process of textbook study and writ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ose experiences were reviewed. In addition, reliability, validity and ethicality were constantly verified through re- telling process with study participants in the course of data collection analysis. The summary and conclusion clarified through these study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 writing process was re-told in confrontation between ideal and reality. Belief system which was objectively recognized as authority caused indifference to education curriculum or concern on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became a cause to be tendency of writing following individual belief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 who was lacking of for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had showed tendency to write just as education curriculum with inform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oncern about operating methods. Finally, writer who has practical knowledge together with knowledge about education curriculum has concern about efficient oper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ooperative framework and also had showed tendency to write in way of reconstruction of education curriculum. This meant that tendency of writing could be different based on concern about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formed by belief system. And also, it was appeared that writer’s belief system was changed based on newly given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writing process, or new belief system was formulated. This meant that education curriculum during writing textbook as acting as power of knowledge which was disciplinary mechanism. Second, writing process was meant as conversion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in which contents and system were formed differently from other textbook according to particularity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Because of particularity of physical activity knowledge and limitation of text and image in writing proces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contents which was suggested in education curriculum was not construed by writer directly but construed by writer’s experiences and memory to physical activity. This meant that writing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should premise activity experience through body. Due to the limitation of text and image in embodying physical activity knowledge, contents of curriculum used to be consisted mainly in way of activity presentation. In this case, text and image showed characteristic of activity guidance rather than presentation of conceptual knowledge. Third, writing proces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has meaning of harmonization ideal with realistic alternative. This harmonization was appeared in type of conflict between presentation of realistic alternative which try to mak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o be normal through writing considering elementary teachers and idealizing that writing should consider teachers and should be oriented to secure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and also in type of conflict between suggestion of realistic alternative, that is, advertising process of philosophical change in revision of curriculum to convert function-centered recognition of textbook into recogni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idealizing that worry about degradation of existenc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caused by realistic alternative. Rationalization of deliberation criteria which can secure diversity of embodiment of curriculum based on study and writing experienc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 and significant efforts that look for various type of textbook in which can contain particular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based on enhancement of recognition to physical education textbook should be necessarily needed. Lastly, recognition to positive writer, furthermore, conversion of recognition to be positive writer and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should be highly requested.

      •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 개발

        채창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통합과 체육이라는 두 단어를 어떻게 연계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통합 연구물들이 존재하고 있고 지금도 통합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체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 연구물들은 통합의 방법 중 다학문적 통합방법이 주를 이루어고 있어 교과간의 연계성과 신체활동 양을 줄어들게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통합의 방법 중 간학문적 통합방법인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합프로그램 개발은 IPA 분석을 통해 체육과 단원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단원을 중심으로 Drake(2007)가 개발한 Umbrella 모형을 근거로 교육과정 개발과 KDB 수업모형 절차에 의한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통합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성 및 태도영역을 검증하였다. 통합프로그램 개발과정에 있어서 단원선정은 교사 109명, 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체육과의 각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건강활동 단원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단원으로 분석되어 건강활동 단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원을 중심으로 Umbrella 모형을 적용하여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Umbrella 모형의 개발 절차는 12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표준 분석하고 연결하기」 2009 개정교육과정 6학년 교과의 단원성취기준을 분석한 후 체육과와 연계 가능한 단원과 차시를 선별한다. 둘째, 「수직스캔」 각 교과별 단원의 내용을 가르치는 순서대로 수직으로 스캔한 후 KDB 분석을 통해 지식과 기능과 인성을 추출한다. 셋째, 「수평으로 클러스터하기」 수직 스캔한 내용을 연계 가능하도록 가르치는 순서대로 수평으로 나열한다. 넷째, 「주제선정하기」 수직스캔과 수평클러스터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 부여를 생각하여 주제를 선정한다. 다섯째, 「주제에 맞는 표준 선정하기」 Umbrella 모형과 KDB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에 맞는 성취기준을 선정한다. 여섯째, 「KDB 우산만들기」 이 우산은 지식과 기능과 인성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큰 아이디어와 큰 이해, 큰 기능을 설정하고, 지식과 기능을 통해 길러질 인성을 설정하여 우산을 만든다. 일곱째, 「탐색망 만들기」 수평클러스터한 교과 내용과 KDB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를 중심으로 지식과 기능과 인성을 분류한다. 여덟째, 「큰 평가과제」 탐색망의 구성 내용을 바탕으로 표준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성취할 수 있는 과제를 만든다. 아홉째, 「큰 질문 만들기」 KDB 우산에서의 큰 이해를 수행할 수 있는 질문을 만든다. 열째, 「소단원 구성하기」 체육교과의 내용을 강화할 수 있게 각 교과의 지식과 기능의 내용을 체육적 내용과 활동에 맞게 재구성한다. 열하나째, 「표준기반활동 및 평가과제 만들기」 소단원으로 구성된 지식과 기능을 중심으로 수업활동과 평가과제를 만든다. 열둘째, 「시간운영」개발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블록시간운영을 선정한다. 이와 같은 개발 절차에 의해 총 53차시의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에 관한 개발과정과 프로그램에 관한 타당도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개발된 통합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은 2015년 K도 Y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실험집단 1개 학급, 비교집단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인성 및 태도영역에 관한 설문을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6주 동안 실험집단은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분절학습이 이루어졌다.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개발, 실천, 타당성 검증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 개발 첫째,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통합프로그램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의 표준, 내용, 평가, 수업전략이 상보적으로 적합한 간학문적 통합방법으로서 체육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지식과 기능을 유지한 활동방식을 체육교과의 특성에 맞추어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국가수준에서 요구하는 학업성취수준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합을 시도하여 보다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의 표준, 내용, 평가, 수업전략이 상보적으로 줄맞추기가 이루어진 간학문적 통합방법으로서 교과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각 교과의 지식과 기능을 가르치면서 활동내용을 체육교과의 특성에 맞춘 통합방법을 적용 기존의 체육과 통합방법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하였다. 둘째,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프로그램은 간학문적 통합방법을 적용하여 주제를 중심으로 위계성과 연계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의한 학습이 이루어져 학생들이 배우는 과정에 있어서 전체적인 맥락을 유지할 수 있었다. 통합수업의 장점은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수업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업으로서 학생들이 배우는 과정 속에서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배웠는지에 관한 전체적인 맥락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현 교육과정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시간표 중심의 교과 분절학습에서는 교육과정의 세분화와 분절화로 인해 무엇을 배웠는지 교육의 중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성이 있다. 이에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위계성과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수업 실천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을 제시하였으며, 실천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적극적 참여자’, ‘우리라는 생각’, ‘창의적인 사고전환’으로의 변화모습을 보여주었다. 통합수업은 모둠의 학습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모둠원들의 협력에 의한 과제해결활동이 수반된다. 즉 실천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둠 내에서 역할분담과 협력 및 관계형성을 통해 책임감과 협동심, 배려심 등 공동체 의식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으며, 작품 표현과정에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면서 보다 창의적인 생각을 발산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통합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적극적인 참여자, 나에서 우리라는 공동체의식 함양, 단편적인 사고에서 창의적인 사고로의 변화양상을 보여주었다. 나.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 타당성 검증 첫째,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체육교과에 대한 관심도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학생들의 교과에 대한 관심도와 충성도는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체육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통합수업은 학생들에게 체육교과의 중요성과 교과의 장래성, 일상생활에서의 유용성 등 교과를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자신감, 적극성,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의 참여 전과 후 학생들의 자신감, 적극성, 만족감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교과 분절적 교육이 이루어진 비교집단은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즉 통합수업이 가지는 장점으로서 적극적 참여와 몰입은 교과 분절적 학습보다는 통합수업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는 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적극성, 만족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킴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셋째,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협동심, 스포츠맨십, 배려심, 책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인성영역인 사회적 특성에 있어서 협동심, 스포츠맨십, 배려심, 책임감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집단 간 차이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비교집단은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즉 Drake가 제시한 간학문적 통합은 지식과 기능을 연결하는 인성이 통합수업을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인성영역이 효과적으로 함양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간학문적 통합방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결과 학생들의 인성 및 태도영역에 통합수업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Umbrella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중심의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주제에 맞게 위계성과 연계성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간학문적 통합방법을 제시하였고, 실천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 참여자, 우리라는 생각, 창의적 사고로의 변화양상을 보여주었으며, 프로그램 타당성 검증을 통해 교과에 대한 인식변화, 기본적 태도인 자신감, 적극성, 만족감의 심리적 특성, 인성영역인 협동심, 스포츠맨십, 배려심, 책임감의 사회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에 체육을 중심으로 신체활동을 유지하면서 보다 교과를 풍성하게 가르칠 수 있는 체육수업의 장으로서 체육과 중심의 간학문적 교과통합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신라 화랑도 활동의 체육사적 의의

        정종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played by Hwarangdo education in unifying the Three Kingdoms, and to study the nature of their education in the Hwarangdo organization. In other words, the treatise aims to examine how Hwarangdo, which united the Three Kingdoms, was taught, to study the related physical activities, to identify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athletics, and by considering Hwarangdo as an ideology that was unique to Korea and an example of a whole system of education, to derive its educational meaning for modern times. The other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present an index for physical activities that can support the health and fitness of today’s youth, and to derive important lessons for current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s described above, the author has studied the origin,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do, and has conducted an in-depth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manner in which its physical ideology could be used to for teaching today.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Hwarangdo were to nurture warriors that were beneficial to the nation, who had refined tastes, and who adhered to principles such as faith in the nation and to one’s parents, credit, courage, beauty and belief. The ideal men aspiring to the principles of Hwarang pursued a great deal of both physical and mental education to develop their strength, which reveals the respect for physical beauty in the Shilla dynasty. Secondly, all of the Hwarang training courses were basically about morality, and the physical ideology of Hwarangdo was to complete a perfect personality by training a sound body and a sound mind. Thirdly, in Hwarangd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s one in which the teachers take care of their beloved students while the students trust and respect their teachers, which stresses a meeting of pers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Finally, the lessons that such Hwarangdo activities hold for modern educ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athletics are as follows. Hwarangdo activities must not be separated from daily life; in other words, life and activities, education and athletics must all be considered in the same context. Hwarangdo athletics directs those of Korea to the future and reflects it more clearly in the history of world athletics, giving us a lesson in modern times. That is, Hwarang athletics is historically in the past, but its value and perspective are meaningful not for the past but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times. From this perspective, going back to the physical activities of Shilla Hwarangdo to restore mental elements, such as original militarism and amusements, could form a framework for modern physical activities. As a form of physical exercise that is unique to Korea, Hwarang exercise is also unique in the whole history of Korean athletics. As such, Hwarang athletics represent the pure origin of our traditional ideology and spirit. Shilla Hwarangdo established and moved the tradition of our national athletics. Shilla Hwarangdo is great because it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our unique physical exercise that could be named 'Hwarangdo-like,' and shows us an ideological index to move us forward. The precedent example of Korean athletics should be found in the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 in the Shilla dynasty. While the physical activities of Hwarang were not able to display its real value because of historical and generational hurt, its buds did not wither. We still have the taste, savor and romance of Hwarang in our blood, as well as amusements to enjoy lmountains and waters. The Korean people’s enjoyment of martial arts, sporting activities and beautiful landscapes are due to the powerful and affluent influence of Hwarangdo.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athletics in an ancient nation and the systemic training of Hwarangdo are valuable in Korean athletics today, as an unbreakable chain. 이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삼국통일에 큰 역할을 한 화랑도의 교육이 어떠한 것이었으며, 화랑도 조직에 있어서 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되짚어 보고자 하였다. 즉 삼국을 통일한 화랑도 교육이 어떻게 행하여졌고, 신체활동은 어떤 것이 있었으며, 그러한 화랑도 활동의 체육사적 의의는 어떠한 것인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유의 사상이자 최초의 전인교육의 표본인 화랑도의 체육활동과 사상사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신라 화랑도의 체육활동이 현대 체육활동에 주는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체력적으로 나약해져 있는 현대의 청소년들에게 체육활동이 나아가야 할 훌륭한 지표를 제시해주고 오늘날의 체육교육의 중요성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화랑의 연원과 화랑도 교육, 화랑의 신체활동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신라 화랑도의 체육사상이 현대 체육활동에 주는 시사점과 체육사적 의의 등을 신라 화랑도 활동에 관한 문헌과 원 자료, 선행연구물을 활용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화랑도의 교육적 인간상은 국가적으로 유용한 실천적 인물의 양성과 충, 효, 신, 용, 미와 신앙심을 겸비한 풍류적 인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화랑이 형성되기 위한 화랑교육은 정신적 교육뿐만 아니라 신체교육을 매우 중요시하였는데, 이점에서 신체의 강인함에 더하여 신체의 아름다움까지 포함한 신라의 신체미 존중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화랑도의 수련과정은 어떠한 행동을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도의의 연마라고 할 수 있으며, 화랑도의 체육 사상은 활동적 수양생활을 통하여 건전한 정신과 신체를 연마하여 전인적 인격체의 완성을 꾀하는데 목적을 둔 체육 사상이라 하겠다. 셋째, 화랑도에서 보는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는, 교사는 학생을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보살피고, 학생은 교사를 신뢰하고 존경하는 태도를 간직하여 교육의 장에서 실현되어야 하는 인격체간의 만남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화랑도 활동이 현대 체육에 대한 시사점과 체육사적 의의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화랑도 활동은 현실과 유리가 되지 않은 활동 즉, 삶과 활동과 교육과 체육이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진 활동이었다. 이러한 화랑체육은 앞으로 우리나라 체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 설정과 세계 체육사 속에서 한국 체육을 보다 명백히 조명할 수 있는 시각을 주는 것과 동시에 화랑 체육의 현대적 의의를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화랑체육은 역사적으로 생성된 살아 있는 과거이지만 그것은 과거를 위해서가 아니라 현대의 체육적 가치와 미래 체육의 전망을 위해서만 의의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라시대의 화랑도의 체육활동으로 되돌아가서 원초적인 상무, 유희 등의 정신적 요소가 회복될 적에 오히려 현대적인 체육활동의 한 틀이 형성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화랑의 신체운동은 우리 민족 고유의 체육방식일 뿐만 아니라 한국체육사 전체의 면에서도 우리 민족 특유의 체육방식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화랑체육은 우리 고유의 전통과 이념의 발로(發露)인 만큼 순수한 우리 체육정신이요, 체육사상이라 하겠다. 신라의 화랑도는 우리 민족의 체육전통을 확립하고 움직여 왔다. 신라의 화랑도가 위대한 것은 체육에 관한 사상을 지니고 화랑도적이라 할 우리 민족 특유의 체육방식의 전통을 보여 주었고, 우리의 체육전통을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사상적 지표였던 것이다. 한국체육의 전범(典範)은 신라시대의 화랑신체운동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화랑신체운동은 다만 역사적, 시대적 상처에 의하여 멍들고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을 뿐 그 싹이 시들어 버린 것은 아니라고 본다. 아직도 우리의 혈맥(血脈)속에는 화랑의 풍류와 멋과 낭만이 깃들어있으며 산수를 즐기는 유희적 특성이 면면히 이어져 흐르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의 무술과 스포츠활동 그리고 유오산수의 풍습은 화랑도의 수련과정에 의해서 강하고 풍부하게 영향받았다 할 것이다. 즉, 화랑도의 체계적 수련방식은 고대국가에 있어서 체육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오늘날의 한국체육에 이어주는 끊을 수 없는 고리로서 그 존재가치가 있다 하겠다.

      •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평가 실태 분석

        오승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체육과 평가계획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체육 교육 철학의 전환이라는 세계적인 흐름 속에 대두된 현행 체육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355개 중학교의 체육과 평가계획서를 수집하였고, Microsoft의 excel을 이용하여 자체 개발한 분석틀과 SPSS for window 14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중학교의 체육과 평가계획서를 분석틀에 맞추어 교육지원청별․설립별로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 양식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학년 및 학기별로 평가 영역, 영역별 평가비율, 신체활동 내용 및 비율 등으로 다시 정리하여 분석을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자료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계획 문서상에 나타난 내용으로 보아 현행 체육과 교육과정은 약 75%정도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고 파악되나, 여전히 심동적 영역․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을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었고, 각 영역의 내용과 방법을 본다면, 아직도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표면적인 수준에서만 적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체육과 평가영역에서, 다섯 가지 신체활동 가치 영역의 균형있는 평가보다는 여전히 스포츠 활동을 기반으로 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으며, 전 영역에 걸쳐 고루 평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표현활동, 여가활동의 실시횟수나 점수반영 비율은 극히 낮았다. 셋째, 각 영역에 활용한 신체활동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양하고 특색있는 신체활동을 활용한 학교들도 있었으나, 대부분이 학교 여건, 교수․학습 환경, 시설 및 교구 부족 등으로 인해 한정된 신체활동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약 82.5%의 학교가 PAPS 종목을 체육과 평가에 반영하고 있었다. PAPS 측정 결과가 학교평가에 반영되고, PAPS 측정의 시간적․환경적 제약이 많은 최근의 중학교에서는 PAPS 종목을 체육과 평가에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체육계열학과 입시실기준비와 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김희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관련학과 대입 실기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입시실기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8개 대학의 체육계열학과 재학생 35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31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정경자(2001)와 오장수(1992)의 선행연구에서 설문지를 참고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75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인식도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관련학과 입시실기교육은 체육입시전문기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개인지도, 학교, 본인 스스로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본인에 의해서 실기준비방법이 선택되었으며, 준비방법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를 준비 기간은 6개월 이상~1년 미만이었으며, 1주일에 5회 이상, 하루 2시간 이상~3시간 미만으로 실기를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에 지출되는 교육비는 20만원 이상~30만원이었으며, 실기준비방법이 본인 스스로와 학교인 학생들의 실기교육비는 10만원미만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과정에서 제공되는 진학정보는 적절하며 시설 및 기자재는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시실기 준비를 위한 운동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운동부상으로 연결되기 쉬우므로 지도자의 효율적인 교수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강사의 학력은 4년제 체육대학 졸업자가 가장 많았으며, 운동기능 및 기술 교육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과정의 장애요인은 실기준비와 병행한 공부, 비용부담, 운동부상, 진학정보부족, 시설부족, 소질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입시전문교육기관의 전문적인 실기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선호도에 대한 인식은 실기준비방법과 실기준비방법의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실기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교육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실기준비방법과 실기준비방법의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에서 실기를 준비한 학생들은 교육비를 비롯한 상업주의로 인해 입시전문교육기관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기준비방법에 따른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교육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개인지도에 비해 입시전문교육기관에서 실기를 받은 학생들이 교우관계와 체육정신함양 등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체육입시 준비기관의 선호도(M=3.5)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점에 대한 인식(M=3.0)과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M=2.7)은 선호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문적인 실기교육에 대한 요구에 비해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의 운영자와 강사는 교육자적 책임감을 갖고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도록 노력해야하며, 체육입시전문교육기관이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y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preparation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to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and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50 students of 8 colleges of physical educa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randomly sampled for questionnaire, and 317s among them were fix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except the data of insincere responses. The survey tool was reorganized with reference to the questionnaires in the previous studies by Jeong Gyeong-ja(2001) and Oh Jang-su(1992),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was .75. As analysis method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 analysis were used. Also,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th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the test of practical skill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o departments of physical education was the most performed in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he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ere selected by students themselves mostly. The period of preparation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as between 6 months and 1 year, and the frequency was 5 times or more per week and 2 hours~3 hours per day. Monthly educational expenses was KW 200,000~300,000. For education of instructors, they mostly graduated from university. Obstacles to the preparation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were scholarly activity, burden on expenses and injury from exercise. Second, the recognition of preference to special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entrance examination to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was very high (mean value ; 3.5), and the preference to them by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The recognition of their problems was high (mean value; 3.0), and the preparation metho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effect toward the institutions was high (mean value; 2.7),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m by preparation methods for test of practical skil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순재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의 한국노인복지시설협회에 등록된 노인복지시설에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인 212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여 참여동기 검사와 이용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를 개인특성에 따른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 차이에서, 성별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에 따라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배우자의 유무에 대해서는 신체적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녀수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동거상황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제생활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상태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수준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신체적만족, 환경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제활동의 유무에 따라 심리적만족, 교육적만족, 사회적만족, 휴식적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이용만족도간에는 크고 작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적동기, 교육적동기가 심리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적동기,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가 교육적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가 사회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육적동기가 신체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계속해서 교육적동기가 환경적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동기, 교육적동기, 휴식적동기가 휴식적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I conducted questionnaire upon 212 senior citizens who are enrolled in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stered in Korea Association of Senior Citizens Welfare Institutions to examine their motive for joining the program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I collected answered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m by senior citizen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he statistic figures for analysis is set to p<.05. As I employed the above means for research I got the following result. First, when examining how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with senior welfare center differs b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physic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Only physi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arriage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number of offspr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habitation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activity.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health status.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cademic backgrou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conomic activenes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close or little correlation between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When examining how senior citizens' motive for joining life-time sports program in senior welfare center affect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t is shown that academic motive and education motive affec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cademic motive, social motive, and education

      • 스포츠문화로 본 학교체육교육

        임재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basic goal of physical education was to improve basal physical fitness regarding strength, physique, weight and so on. Physical educ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of building up basal physical fitness, but in reality, it has fallen into the ignored subject relatively to the major subjects. In short, it was true that physical education has been served as a function of subculture got out of over-culture, as well as considered being disregarded. Moreover, in spite of fast development of industry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hysical education has still got behind in other social values. As a researcher, I interpreted sports as culture, that was because the real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was not only to improve the fitness of students, but also to develop the ability to get involved into many kinds of sports in real life. Also, sports education needed to be introduc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be emphasized. In the thesis, sports view of the researcher was not to focus on passive parts such as fitness, pleasure, satisfaction of desire, leisure and so on, but to emphasize active parts including harmonizing people, unifying nations, building a welfare state and more. In this point of view,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how physical education was explained in a superficial way and in a real way.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better than before, the researcher comprehended it with the literature search in cultural point of view. At first, by defining the notion of culture clearly, physical education was defined as a part of culture, and proved a way of play encouraging us to be energetic. The present state of physical education was revealed through two approaches. One way was to understand existing physical education by analysing history of Korean sports from school sports to professional sports, to sports for all. The other way was the actual analysis of physical educ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as sports has been a part of culture, it has served students with capacity to understand the cultural side of sports itself,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it, and with decision making skills. Second, the changes of being more active sports performers were needed with sports culture education. The last one was that sports culture education included cultural condition and behavioral ways on the whole, and offered people chances to find out the real values related to life. Therefore, life long sports culture education was introduced to school. 학교체육교육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체력, 체격, 체중 등과 관련하여 기초체력의 향상이 기초적인 과제였다. 학교체육이 이러한 학생들의 기초체력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만을 발휘하고 있을 때에, 사회적으로 다른 주요과목과는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는 과목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즉 교육의 중심문화에서 벗어난 하위문화로써의 기능을 담당하면서 상대적으로 등한시 된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산업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에도 불구하고, 학교체육은 여전히 기초체력의 문제와 수업시수의 문제 등 사회적 다른 가치에 밀려나 아직도 과거의 모습에 머물러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포츠를 문화로서 해석하여 학교체육의 목적이 학생들의 건강 증진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있다면, 스포츠 문화 교육을 학교 체육 교육에 도입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자의 스포츠관은 스포츠가 사람들에게 건강, 즐거움, 여가선용의확대, 욕구 해소 등에 관한 소극적 역할에 주안점을 둔 것이 아니라 사람들 간의 화합, 사회통합, 복지국가건설 등 적극적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는 스포츠가 생리적 기능만이 아닌 사회 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문화적, 사회적으로 높은 가치의 기능을 한다고 생각한다. 이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현재 일반적으로 설명되어지는 학교체육의 모습과 실질적으로 나타나는 학교체육의 모습이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학교체육을 문화로서 인식하고 앞으로 좀 더 나은 모습으로 발전되기 위해서, 문화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학교체육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현재를 파악하였다. 먼저 문화의 개념을 명쾌하게 함으로서 이를 학교체육이 문화로서 인식되어야 함을 설명 할 수 있었다. 또한 놀이의 문화로서 우리 삶에 활력을 안겨주는 체육이 문화로서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가지 접근을 통하여 학교체육의 현재를 알아보았는데, 첫째로 학교체육에서 전문체육 그리고 생활체육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스포츠를 역사 분석을 통하여 학교체육의 현재 모습을 파악하였으며, 둘째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학교체육의 현 모습을 파악하였다. 이에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몇 가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로, 스포츠는 하나의 문화로써 스포츠의 문화적 측면들이 스포츠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겨 있는 문화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학생들에게 알리고, 문화적 요인들을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의사 결정 능력을 교육 받게 해야 한다. 둘째로, 스포츠 문화 교육을 통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체육 실천인으로의 변화를 지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문화 교육은 스포츠의 문화적 현상과 행동 양식을 총체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신체활동의 의미를 발견하고 신체 활동과 삶과의 연관성을 체험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하여 평생 스포츠의 실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으로 평생 스포츠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 하여야 한다.

      • 고등학교 체육 심화선택 과목 운영 실태

        조찬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고등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운영에 대한 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도, 편성 및 운영 계획, 수업 운영 실태, 평가 등을 파악함으로써 체육 심화선택 과목 운영 실태를 재조명하고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효율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중 체육 심화선택 과목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체육교사 120명을 임의 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 직급별, 경력별로 백분율을 산출하고 빈도 검정을 통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체육 심화선택 과목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첫째, 고등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며, 각 교과별 목표에 대한 이해도 역시 대체로 높은 편이였으나 체육 심화선택 과목이 세부적(체육 실기-23개, 체육 이론-2개)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보니 일부 종목에 대해서는 교과별 목표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별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평가지침에 대한 이해도는 교과별 목표에 대한 이해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이해도는 높은 편이나 일부 접하기 쉽지 않는 종목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 선정 시 전문교과에서 선택하게 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한 가지 종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대한 견해는 전문교과에서 선택하도록 되어있는 교육과정의 이해도는 높은 편이며, 한 가지 종목 선택에 대한 견해는 ‘바람직하다’는 의견과 ‘보통이다’ 이하의 의견이 각각 절반의 결과를 보이고 있어 체육교사들 간의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체육 심화선택 과목 편성 및 운영 계획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이 학교체육으로서 적합한지의 여부를 알아본 결과 ‘적합’과 ‘부적합’의 견해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기는 하나 ‘부적합하다’는 견해가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심화선택 과목이 학교체육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종목을 가르치는 것보다 한 종목을 심도 있게 지도할 수 있다’가 가장 많았으며,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현재 우리의 체육 교육여건은 심화선택 과목을 운영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가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지정 수준에 대한 견해는 학생 선택이 가장 근간이 되며 주안점이 되어야 하나, 여건상 그러하지 못할 경우 ‘단위학교’에서 지정하여 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내용선정 시 학생의견 수렴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다’의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학생의견 수렴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내용선정 시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사항은 ‘학교의 시설 및 기자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 심화선택 과목에 대한 안내 및 홍보의 정도는 ‘보통이다’ 이하의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의 안내 및 홍보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 편성 및 운영 계획 시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본 결과 ‘교육 컨텐츠(내용 및 방법)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체육 심화선택 과목으로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는 있는 종목으로는 주로 ‘구기’, ‘골프’, ‘체조’, ‘구기경기’, ‘육상’, ‘육상경기’, ‘배드민턴’, ‘무용’ 등의 종목들로 나타났으며 이와는 별도로 여건이 허락된다면 꼭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종목으로는 ‘수영’, ‘골프’, ‘스키’, ‘육상’, ‘배드민턴’, ‘구기’ 등으로 나타났다. 다. 체육 심화선택 과목 수업 운영 실태 첫째, 현재 경기도에서 실시되고 있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선택 현황은 약 203개 인문계 고등학교 중 57.64%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약 42.36%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심화선택 과목의 운영 시 시설 및 환경여건 고려에 있어서는 ‘고려함’ 이상이 높게 나타나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운영할 때 시설 및 환경 여건에 대한 고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운영함에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본 결과 ‘시설 및 기자재의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 편성 및 운영 계획에서의 내용 선정 시 최우선 고려사항인 ‘학교의 시설 및 기자재’와 같은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수업하면서 수업자료는 어떠한 방법으로 구성하고 있는지 알아본 결과 ‘교사 임의로 수업자료를 구성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의 필요 여부를 묻는 설문에서는 ‘필요하다’ 이상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과서의 집필유형으로 가장 적합한 형태는 ‘시․도 교육청 인정도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 심화선택 과목에 대한 학생 호응도는 매우 높은 편으로 이는 체육 심화선택 과목을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 라. 체육 심화선택 과목 평가 첫째, 체육 실기 과목을 평가 할 때 체육 실기와 함께 기본적인 이론 영역도 병행 평가하는지 알아본 결과 ‘기본적인 이론수업을 실시하며 평가에도 적용한다’가 가장 많아 심동적․인지적 영역을 병행하여 평가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실기에 대한 적합한 평가 반영의 견해로는 ‘실기와 이론의 혼합’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본적 이론 영역 병행 평가와도 같은 의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실기 평가 시 평가 항목의 개수는 ‘4개’가 가장 많았으며 기본 점수의 부여 여부에 대해서는 ‘66%~70%’ 정도의 부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실기에 대한 평가 시 실시기회 부여 횟수로는 ‘2회’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질적 평가 비율의 정도는 ‘양적 비율을 더 높여서 실시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평가의 용이함과 평가에 대한 시비를 없애자는 의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 실기에 대한 평가 시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본 결과 ’평가 난이도 조절의 곤란함‘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입과 무관한 과목의 평가에 대한 관심도 부족‘도 평가 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의 동학년 합동체육 수업지식(PCK) 분석

        송유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합동체육수업을 할 때 가지는 수업지식을 일반체육수업을 할 때의 수업지식과 비교 · 분석하여 합동체육수업의 특성과 의의를 제시하고, 합동체육수업이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요건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합동체육수업과 일반체육수업을 함께 실시하는 4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기법(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다각도 분석, 동료 간 평가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합동체육수업 시와 일반체육수업 시의 수업지식을 비교하여 분석한 합동체육수업의 특성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합동체육수업의 특성 첫째는 합동체육수업의 수업목표는 인지적 · 정의적 · 심동적 영역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사의 수업목표지식을 살펴본 결과, 합동체육수업의 수업목표는 교사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달라졌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는 수업목표를 심동적 영역으로 인지하였고, 부정적으로 인지한 교사는 수업목표를 정의적 영역으로 인지하였다. 둘째, 합동체육수업은 교육과정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기 어렵다. 교사의 교육과정지식을 살펴본 결과, 학생 수로 인해 시설, 도구 등 교육환경의 제약과 더불어 수업 내 교사의 동일한 주도권을 위해 역할 분담이 필수적이기에 교사 수에 따른 다양한 활동이 요구되었다. 이로 인해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교육과정 자료를 사용할 수 없음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수적이었다. 셋째, 스테이션 교수(Station Teaching)가 활용된다. 교사의 수업전략지식을 살펴본 결과, 합동체육수업에서 교사 간 명확한 역할 분담을 위해 스테이션 교수를 활용하여 스테이션별 담당하는 교사의 주도권과 결정권을 보장하였다. 스테이션 교수는 교사의 수업목표 주안점에 따라 조직 형태가 달라졌는데 심동적 영역을 수업목표로 설정한 경우에는 운동기능을 수준별로 나누어 스테이션에 배치했고, 정의적 영역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한 경우에는 활동별로 나누어 스테이션 교수를 했다. 넷째, 학생의 만족도와 참여도가 높아진다. 교사들의 학생이해지식을 분석한 결과, 수준별, 활동별 스테이션 교수와 더불어 다른 반 학생들과 함께 배우기에 학생들의 체육 시간에 대한 부담감이 줄었고 학생들은 체육 시간을 온전히 즐길 수 있는 시간으로 받아들여 학생들이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만족도가 높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가 살펴볼 수 있는 합동체육수업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동체육수업은 학생의 수준차를 고려할 수 있다. 1명의 교사가 모든 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일반체육수업에서는 개인차를 고려하거나 수업 시간 내 여러 가지 활동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합동체육수업은 이런 한계점을 보완해 스테이션 교수를 활용하여 수준차를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체육교과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줄 수 있다. 수준별, 활동별 스테이션 수업을 통해 체육 교과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고, 여러 반이 함께 어울리며 공부보다는 즐거운 행사처럼 느낀다. 셋째, 합동체육수업은 교사학습공동체 역할을 한다. 합동체육수업은 여러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하기에 교사 간 역할 분담 및 의견 합일이 중요하다. 또한, 교육환경 제약 등 흔히 사용할 수 있는 교육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데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합동체육수업은 수업연구가 필수적이며 이 과정을 통해 다른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고 토의하며 체육 수업에 대한 지식을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과 의의를 지닌 합동체육수업이 학교 현장에 정착하기 위한 요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동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합동체육수업을 일반체육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정규 수업이라는 인식의 재고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현장의 지원이 필요하다. 충분한 체육 수업 도구 및 시설 확보와 교사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셋째, 합동체육수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합동체육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 넷째, 개방적인 교사 문화형성이 필요하다.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의 개방적인 교사 문화가 협력이 필수인 합동체육수업을 학교 현장에 받아들이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다.

      • 國民學校 體育科 敎育課程 運營實態와 改善에 關한 硏究

        박신률 全南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국민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 보기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 교사들에게 설문지 방법으로 체육교육목표, 체육 교육과정, 지도 방법, 시설·용구, 행정제도와 광주·전남 지역의 아동들에게 좋아하는 교과, 체육시간에 가장 배우고 싶은 운동, 체육시간에 가장 많이 하고 있는 운동, 체육시간 운영에 대한 교사에게의 희망 등에 관한 설문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사들은 체육교육이 인간의 조화적 발달에 반드시 필요하며 전인교육차원에서 체육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2). 시설 및 용구의 설치와 복장의 착용등 체육수업 준비에 많은 부담을 갖고 있다. 3). 아동들이 교사에게 가장 요망하는 사항은 체육시간 준수와 다양한 운동지도를 바라고 있다. 4) 평가의 기준 및 방법이 일정치 않아 일관성이 없다. 5). 체육과 전담제 실시를 대부분의 교사들이 바라고 있으나, 체육전담 교사를 희망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검토된 제반 사항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체육 교과는 반드시 교과전담제를 실시해야 한다. 2. 체육 수업은 시범 위주의 수업보다 탐구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3. 체육평가는 기능위주의 결과평가에서 운동원리를 터득하는 과정중심평가와 성취정도를 동시에 평가해야 한다. 4. 시설, 용구의 적정량의 보급과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5. 체육 시설에 아낌 없는 투자를 해야한다. Physical education is important to attain an objective for the education-over-whole nations and it's objective is to achieve such aims of human cultivation as harmonized physical, spritual, social, and emotional throughout physical activity. Therefor, when a curriculum of physical traning was operated npmaly, it can be attained such objective. Currently operational situ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can be reviewed in many ways of sphere. If I look at it's operational sphere, it is devided into sphere-on-the objective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m of physical education. On a sphere of way the instruction, children and facility for physical education, adminstration and a system for school for the objective of physical education. I examined and emphasized on views etc;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objecctive of physical education by teacher himself, affection childern for the main points of view and physical training activity when teaching, and on the sphere of curriculm of physical education, extent of comprehension, curri-culm by teacher and to the extent of burden for lesson of athletic and difficulty ease for instruction by sphere, and also for the instruction method, an arrangement and a operation of planing for a lesson of athletic, the essential factors for instruction of athletic lesson and for children, requirment to the teacher by children, for the facilities the extent of the arrangement for teaching aids, administration and system of school, practical situation for the athletic training and a professional-in-charge of athletic subject.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erials for it's improvement by drawing the problems occurred to be analized and examied of the operational situation of such phys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to attain such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esult examination through a paper of question to children/teacher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and Jeon-nam. Those are as follows. 1. Teacher must recognizes that physical education is very essential to this in harmonic development of human and in demension of education-over-whole nations. 2, We have many burdens in arrangement, setting for facilities and the necessary instruments, and a preperation for the athltic lesson and wearing of suits of teachers. 3. One of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children want to keep athltic hour and various athletic instructions. 4. There is no consistency not coincide with the standard of critique. 5. Most of children reqire for a system on athltic specialized subject, but there are almost not teachers to have like it. I should like to suggest this here that I have mentioned the above on the matters of study and review. First, Athletic curriculm should be done with professional-in-charge on the subject, if it is presently differculty, it must be allowed even to specialized-in-charge by sphere. Secondly, Athletic lesson must be done with on a basis of more emphasis of reserch than lesson on the emphasis in example. Thirdly, Athletic critique should depend on simultaneously critique of proess-centered experiencing a priciple of exercise from critique of results that based on skill centered. Fourthly, Setting for facilities and instrument must be placed so to be uti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