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방향 비교연구 : 외식·조리전공을 대상으로

        김희나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문초록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방향 비교연구 -외식·조리전공을 대상으로- 조리교육전공 김희나 지도교수 박계영 본 연구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른 진로결정 방향 비교연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따라 조리교육을 함에 있어 학생들의 진로결정에 큰 영향을 줄 것을 예상하여 연구모형을 토대로 연구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분석(documentary analysis), 실증분석(empirical analysis)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분석은 교수요인, 교육시설, 학생만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을 국내외 문헌과 학술전문지를 중심으로 고찰 하였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실증조사에 필요한 개념 정립과 측정도구의 적절성에 대하여 기술 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설문지조사법(survey method)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2월 01일부터 12월 10일(주말제외)까지 10일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외식·조리전공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고등학교, 대학교(전문대학 포함)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33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뺀 305매를(회수율 92%)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Window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사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방법, 교차분석, t-test, One 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e, 이원변량분석, 단순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설문항목이 신뢰성을 인정받기 위한 절대적인 기준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알파(Alpha)계수가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높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0.6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설문항목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인 사항의 학력에 따른 졸업 후 희망하는 진로계획에는 고등학교 재학은 취업이 90.1%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2년제 대학 재학은 취업이 70.0%, 4년제 대학 재학은 취업이 55.7%로 과반수 이상이었으며, 진학을 할수록 취업률 보단 진학률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졸업 후 희망하는 진로계획에는 특급호텔이 40.4%로 과반수 가까이 되었고 식품계열회사가 20.2%, 프랜차이즈가 18.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학을 원하는 집단은 대학교, 대학원 진학이 72.1%로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유학을 원하는 집단은 미국이 53.8%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기타로는 이태리, 프랑스, 캐나다 등으로 나타났다. 학교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교육환경의 경우에는 ‘전공학과의 실기 수업에 관심이 많다’가 5점 만점에 4.28점, ‘전공학과의 교과내용에 흥미를 느낀다’가 4.12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전공 자격증 교육 중심으로 학습한다’는 3.4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수요인의 경우에는 ‘전공학과의 교수(선생님)는 전공지식이 풍부하다’가 5점 만점에 4.32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전공학과의 교수(선생님)의 교육방법은 전체적으로 만족한다’는 4.16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육시설의 경우에는 ‘실습실의 환기 및 배수 수세관리가 잘 되어있다’가 5점 만점에 3.88점, ‘실습실의 조리대 등 규격이 적당하다’가 3.8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실습실의 기자재 및 도구가 최신 것이다’는 3.29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교육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전공과 일치하는 취업이나 진학을 할 것이다’가 5점 만점에 4.13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노력한 만큼 전공 성적이 좋아서 만족한다’는 3.67점, ‘전공자격증 취득이 다양해서 만족한다’는 3.77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진로성과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 살펴보면 ‘전공을 살려서 진로결정을 하고 싶다’가 5점 만점에 4.10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부모님의 소득은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3.45점으로 타 문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가설 H1의 ‘고등학교의 교육은 교육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학교의 교육, 교육만족도, 진로성과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학교의 교육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는 r=.346(p<.01)에서 r=.646(p<.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교의 교육 점수가 높으면 교육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설명력은 54.1%를 설명하며 교수요인(β=.304, p<.001), 교육시설(β=.222, p<.01), 교육만족도(β=.384,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환경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수요인, 교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가설 H2의 ‘대학(교)의 교육은 교육환경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학교의 교육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는 r=.605(p<.01)에서 r=.701(p<.01)의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학교의 교육 점수가 높으면 교육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대학생의 경우에는 설명력은 62.6%를 설명하며 교수요인(β=.265, p<.001), 교육시설(β=.289, p<.001), 교육만족도(β=.358,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환경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육시설, 교수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가설 H3의 ‘교육환경은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해 살펴보면 설명력은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모델1은 설명력은 7.6%를 설명하며 교수요인, 교육시설, 교육만족도는 진로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2는 설명력은 11.1%를 설명하며 추가로 투입한 교육환경(β=.278, p<.05)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환경이 높아지면 진로성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경우에는 모델1은 설명력은 35.3%를 설명하며 교육시설(β=.163, p<.05), 교육만족도(β=.435, p<.001)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시설,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성과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교육만족도, 교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모델2는 설명력은 35.3%를 설명하며 추가로 투입한 교육환경은 진로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식·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박소라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 문 초 록 외식·조리전공 학생의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박 소 라 지도교수 : 김 희 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 리 교 육 전 공 이 연구는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2020년 중·고등학교 외식·조리 전공 학생들의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이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의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외식·조리전공 중학교·고등학생들의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이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하위 영역 6개의 가설 중 1개는 기각되고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실증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설인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은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가설인 ‘조리교육환경은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 번째 가설인 ‘교육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조리교육 분야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함으로써 중·고등학교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이 외식·조리전공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실태 점검을 하였다. 외식·조리전공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이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교육환경을 개선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향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체계적이고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조리교육환경(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에 대한 교육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우수한 교과·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의 개선방안 및 개발의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며 조리교육환경이 더욱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방안으로 구성하여 분위기 조성과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외식·조리전공 진학 동기를 묻는 질문에서 본인 스스로 결정이 77.2%로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권유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판단과 기준이 진로를 결정하고 진로결정 동기부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넷째, 학생의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서 교육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진학동기에 따라서는 대체로 모든 항목에 대해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진로상담 선생님의 권유로는 3.37점으로 타 동기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아직 본인스스로 진학을 결정하고 자신의 판단과 흥미로 선택 하는 것이 학생의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계획에 따라서는 창업은 3.51점으로 타 계획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아직 진로계획에 전공계열로 취업과 진학이 진로계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사점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표본추출에 있어 고등학교학생들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전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추후 중학교 표본추출을 통해 표본오류를 최소화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 된다. 둘째, 통계적 수치에서 설명력이나 유의수준은 큰 문제가 없으나, 교육만족도의 범주 설정에 있어 교육시설, 교육프로그램, 교수요인으로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으로 범주에 대한 보충과 연구모형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의 외식·조리전공 교육과정이 실행된 지 오래 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교육 내실화기간이 충분하지 않았고 학생들의 전공 학습기간이 비교적 타 전공보다 짧았다는 점에서 변구간의 인과관계가 구조적 상관의 대표성을 지니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넷째, 이 연구는 아직 현장에 나가지 않은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조리교육환경으로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을 통하여 전공계열로 진학 및 취업 교육을 목표로 두는 만큼 긍정적인 영향으로 학습하고 활용하여 교육만족도 및 진로결정과 전공계열로 진학 및 취업을 위해 얼마나 잘 교육했는지를 향후 연구과제에는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NCS교육이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조리 전공 중심으로

        백영신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839

        국 문 초 록 NCS교육이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조리 전공 중심으로- 백 영 신 지도교수 : 김 희 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 리 교 육 전 공 특성화고교 조리전공 학생들은 직업훈련 교육을 받지만 실제 현장 직무능력과는 거리가 있는 직업교육과 자격증에 관련된 교육을 받고, 졸업 후 취업을 하여도 산업체에서는 현장에 맞는 필요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다시 재교육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특성화고교의 조리계열 NCS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NCS교육과정의 도입배경과 개발 정책방향을 고찰해 보고, 2018년 NCS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있는 특성화고교 조리 전공 학생들의 학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CS시행 초기에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NCS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NCS교육이 조리 전공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하위 영역 12개의 가설 중 3개는 기각되고 9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실증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설인 ‘NCS교육이 조리전공 특성화고등학생들의 NCS학습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가설인 ‘NCS교육이 조리전공 특성화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 번째 가설인 ‘특성화고등학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진로결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면 인력양성유형과 과정형자격취득 등이 고려되지 않은 학교가 대부분이었는데, NCS 기반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 및 지역 전략산업을 분석하여 인력양성유형을 설정하고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고교 직업교육과정으로 재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정부와 교육청은 학습자에게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있어서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인적, 물적, 및 제도적 환경 구축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환경 및 시설과 관련하여 기능 기술의 숙련도와 전문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실습에 필요한 조리도구를 충분히 마련하고 실습실의 환기시설과 냉난방시설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수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우수한 교육 과정 및 체계적인 교육방법이 학습에 효과적인 도움이 되어야 교육생의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교육자는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산업체 중심의 교육내용 체제를 갖추고 프로그램의 내용 또한 전문적 기술 습득, 자격증 취득, 취업 및 진학에 대응하여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외식조리계열의 진학은 본인 스스로의 결정이 진로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직업탐색의 기회나 직업체험 등의 다양한 진로지도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자신의 자질과 능력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시사점 외에도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추출에 있어 전국에서 몇 개 지역만을 선정한 조리 전공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후 지역별 표본추출을 통해 표본오류를 최소화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통계적 수치에서 설명력이나 유의수준은 큰 문제가 없으나, 학습만족도의 범주 설정에 있어 교육프로그램, 학습자 지원서비스, 교육환경 및 시설, 학습자로 한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으로 범주에 대한 보충과 연구모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기적으로 볼 때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NCS교육과정이 실행된 지 2년이 채 안된 점으로 보아 교육 내실화기간이 충분치 않았고 학생들의 학습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점에서 변구간의 인과관계가 구조적 상관의 대표성을 지니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넷째, 이 연구는 아직 현장에 나가지 않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지만 NCS란 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과 할 수 있는 교육을 목표로 두는 만큼 NCS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현장에 투입되어 얼마나 잘 활용되는지에 대한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고등학생의 조리 관련 과목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기에 향후 연구에서는 조리 관련 과목에 한정되지 않고 전반적인 NCS교육과정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진로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NCS교육과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NCS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현장에 나아가 NCS교육과정에서 배운 업무능력을 현장업무에 활용하고 직접 NCS교육과정의 실효성을 몸으로 느껴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 역시 주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조리 전공 특성화고등학생이라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공공직업훈련기관, 직업전문학교, 민간·직업 기술계 학원의 교육생 등 다양한 집단을 포함한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23

        국문초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지도교수 : 김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본 연구에서 조리를 전공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함에 따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정된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임의로 선정된 조리를 전공한 고등학생, 2·4년제 대학생(졸업생포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부의 표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Ver.22.0으로 여러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 연구에서 교육환경의 차별성이 각각의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질 높은 교육환경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54.0%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연령은 20대가 84.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재학중이 82.3%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이 87.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학년은 4학년이 54.0%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고등학교 유형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7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리기능사 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는 1개가 43.7%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리교육환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재학생 유지충원의 어려운 상황에서 조리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 재학 및 졸업생을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조리교육환경, 교육만족도와 진로진비행동의 변수를 가지고 동시에 영향관계를 파악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조리를 전공하여 배우는 학생들의 학교에 대해 조리교육환경이 학생들에게 지각되는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간의 영향관계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교육에 있어 교수자 자질과 적절한 교육과정, 최신식 실습실로 인한 교육의 만족도를 확보하면 내가 관심을 가지는 적성 또는 직업에 대해 다양한 체험과 정보를 누적 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것이다. 둘째, 교육환경 요소를 개선하여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사료되며, 대대적인 개선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셋째, 각 학교들의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진로상담 또는 지도교수 관리 아래의 모의면접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질적인 진로준비행동의 대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가진다. 첫 번째, 본 연구는 표본 추출에 있어 광주, 전남, 전북의 일부지역 학생들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전국적인 학생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일반화 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 대상자들은 소속되어 있는 교육기관의 교육환경만을 접했을 뿐 타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대해 모른채로 진행되는 연구에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조리교육환경이 갖추어진 대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본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아직 현장에 진입하지 않은 조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교육환경(교수요인,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 문항에 제한적으로 한계점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측정도구에 대한 개발의 필요함이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oking Major Students Lee, Joung Min Advisor : Kim, Hee Kee Culin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ambu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re verified as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was hypothesi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randoml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nd second- and fourth-year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ased on a total of 300 sampl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Ver.22.0. This researcher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into a systematic and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whether the differenti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general matters, men accounted for 54.0% of the gender, more than a majority, and those in their 20s were overwhelmingly high at 84.0%.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overwhelmingly high at 82.3 percent for college graduates/secondary students, and 87.0 percent for unmarried students. As for the grade, 4th graders accounted for 54.0% of the total, and general high schools accounted for 71.7% of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from. As for whether to obtain a certificate related to cooking technicians, one was 43.7%, showing a majorit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and graduates in the current difficult situation of maintaining students. Second,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conducted research at the same time with variables of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flight. Third, it is considered valuabl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tudents for schools that learn by majoring in cook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results of the study secure the teacher's qualifications, appropriat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rough the latest laboratorie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have a direction to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bout the aptitude or job I am interested in.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take classes in a good environment, suggesting that extensive improvement is an important task. Third,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or improve more qualita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introducing a mock interview system under the management of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fessors at each school's student counseling center. Despite presenting positiv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ationwide a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on students in some regio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Second,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from a study conducted without know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randomly select universities with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compared to the schools to which this study belongs. Third, this study has limited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factors,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facilit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who have not yet entered the field.

      • 조리고등학교 학생들의 조리교육 만족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서양조리교육을 중심으로

        신원성 남부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조리고등학교 학생들의 조리교육 만족도에 관한연구를 분석해, 조리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조리교육에 자기 자신 그리고 사회적으로 얼마나 많은 긍정적 만족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수업을 더 발전시키고 나아가서는 학생들의 능력과 역량을 발전시키며 교육적으로 필요로 하는 조리교육의 필요성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서울특별시, 경기도) 조리고등학교에서 수업하는 고등학교 학생을 조사단으로 설정한 후 무선집약표집법(Cluster Re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200부중 182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7.0Ver 통계프로그램을 목적에 따라 t-test, 빈도분석(frequency),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정의 유의수준은(p)<0.5 수준에서 검정 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서양조리를 중점으로 조리고등학교 학생들의 조리교육 이론 및 실습에 대한 수업의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실습의 만족도의 이론과 실습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면 다만 학년별로 느끼는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공 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과 연령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다만 서양요리를 중점으로 볼 때 학년 별로 전공 선택의 차이가 있으며 남녀 비율도 여자보다는 남자의 서양조리 선택해서 만족도가 더 크다. 셋째, 조리 전공의 학생들의 조리교육의 만족도가 교사의 자질과 역량의 관계, 그리고 경력 및 학력이 미치는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수업의 방식과 교사의 역량과 경력과는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그리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사의 학력과 자질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는 학년별, 남녀 그리고 교사의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년이 높아지고 이론교육 만족도, 환경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결정에 대한 인식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으며 그 순위는 환경만족도, 이론교육 만족도, 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공의 만족도는 성별, 학업성적, 적성, 지능, 재능과 같은 개인적 요인 외에도 부모나 교사의 영향, 사회계층의 배경, 교육 등 사회적 요인도 여러 면에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어떻게 조리 교육을 이론과 실습을 전공과 맞추어서 합리적인 수업을 학과의 특성에 맞게 교과과정운영 및 진로 지도는 학생들의 조리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학습몰입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황지현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07

        미래사회는 직업의 전문화와 다양화가 촉진될 전망으로, 학교교육에서 조리실습교육과 훈련으로 지식 정보와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고 직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훈련제도를 개혁하는 것이 미래를 대비하는 핵심 전략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조리실습교육의 멘토링 기능은 조리 분야의 업무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교육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시대적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조리실습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방법개선에 영향을 주는 교육으로서의 역할로 중요시되고 있다. 교육의 변화와 함께 조리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및 전문화가 되어가는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교와 대학원에 이르기까지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개설 비율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질적 문제에서 적정한 수준의 유지 여부는 검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논의되는 시점에서 바람직한 조리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에게 학습의 효율성을 멘토링 관계에서 증대시킴으로서 조리교육의 실효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효성은 학생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멘토링 관계에서 긴밀하고 원활하게 상호 교류함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이 학습몰입 및 진로결정에 관해 서로간의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는 2017 년 02 월 21 일부터 2017 년 02 월 28 일까지 총 350 개의 설문지로 배포되었으며 나머지 335 개의 설문지는 불공정하게 응답 한 15 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는 실증 연구에 사용되었다. 통계 처리를 위한 데이터 코딩 과정 후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멘토링 기능 요인은 상담, 코칭, 보호 및 공유와 같은 4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학습 몰입은 감각, 주의집중, 자아의식, 통제, 지식 향상 및 목표향상 6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도구로는 서술 통계 및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교차 분석, 상관 분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된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조리실습교육의 멘토링이 학생들의 수업에 참여하여 학습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멘토링 기능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조리실습교육은 조별 교육이 대부분인 집단적인 교육방법에서 부족한 조리기술에 대해 개별지도 교육방법이 학습몰입에 더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남에 큰 의의가 있다. 조리실습교육으로 학습몰입에 있어 멘토링 기능과의 관계가 더 중요시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조리실습의 멘토링 기능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진로결정을 반영한 다양성을 높인 멘토링 기능이 요구되며, 학습몰입의 성과를 향상시켜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조리실습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조리전공학생의 학습동기(ARCS)가 학습태도,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예슬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91

        본 연구에서는 조리를 전공하는 특성화고 및 조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전공학생의 학습동기(ARCS)가 학습태도,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계 및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에 있는 조리전공 특성화고등학교 및 조리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402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에 대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리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ARCS)이론이 학습태도,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조리교육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전공학생의 학습동기(ARCS)가 학습태도,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5개의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첫 번째 가설인 조리교육의 학습동기는 학습태도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인 ‘학습동기는 학습몰입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의 하위 영역에서 ‘주의집중 학습동기는 학습몰입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세 번째 가설 ‘학습동기는 학습성과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네 번째 가설 ‘학습태도는 학습몰입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섯 번째 가설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에 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 모두 유의미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Keller의 학습동기 유형으로 다양한 수업 방안이나 평생학습자와 관련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는 많았으나 조리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조리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조리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태도, 학습몰입, 학습성과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리교과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and hypothesis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ARCS) of culinar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s were established, and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from specialized culinary high schools and culinary specialized high schools in Korea, and based on a total of 402 samples,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suitability, and validity review. In this study,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cook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learning attitude,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s for culinary students. Fiv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ll five hypotheses were adop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RCS) of pre-cooking symbiosis on learning attitudes,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s. The hypothesis that the first hypothesis, the learning motivation of cooking educa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attitud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cond hypothesis, learning motiva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The hypothesis of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sub-area of the second hypothesis, the hypothesis that attention-focused learning motiva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was rejected. The third hypothesis learning motivation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outcomes. And the fourth hypothesis learning attitud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commitment. 
The fifth hypothesis learning commitment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outcomes. It was found that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s Keller's type of learning motivat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otivation related to lifelong learners, bu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ha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s interest in culinary education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direction of guidance on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ooking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that learning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s,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cooking education.

      • 조리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한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 -부산지역 조리과대학생 중심으로-

        이아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조리실습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한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 -부산지역 조리과대학생 중심으로- 이아라 지도교수 김용완 학과 조리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조리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실습 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 요인간의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IPA Matrix 분석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조리실습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경쟁력 있는 조리전공대학을 만드는데 전략적인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위치한 조리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6일부터 2016년 4월 13일까지 총 300부를 배포 후 불성실 응답자의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2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Microsoft Excel 2010를 사용하여 IPA matrix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리실습교육에 관한 중요도 만족도 요인은 강사의 교육능력, 교육내용의 질, 물리적 환경으로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3개요인(강사의 교육능력, 교육내용의 질, 물리적 환경)의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 결과 3개요인 모두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요인 모두 중요도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실습교육에 관한 측정문항별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평균을 살펴 본 결과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강사의 실기능력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측정문항의 IPA Mtrix 분석 결과 1사분면에 속하는 항목들은 강사의 실기능력, 이론지식,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 현재 수준을 잘 유지하는 것에만 노력을 기울이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2사분면에 위치한 항목들은 강의준비, 수업흥미, 인테리어로 수강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는 낮으나 만족도는 높은 요소로 다른 요소에 비하여 과잉투자가 이루어진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3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교재의 적절성, 조명, 강의진행방식, 실습인원, 냉난방 및 환기시설, 조리시설, 시설물로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별다른 투자를 하기 보다는 지금 현재 상황을 그대로 유지한다면 다른 항목에 비하여 노력을 적게 기울여도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사분면에 위치한 항목은 강의내용, 차별화된 프로그램, 강의방식으로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는 낮은 항목으로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개선노력을 집중해야 할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우미희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최근 산업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직업구조는 신지식기반 사회로 변화되어가고 있으며 ICT정보통신 기술이 사회 전반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전문화와 수요자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 변화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와 조리전공 고등학교를 집중 육성시켜 고등학교 단계에서 산업 현장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이론적 실무를 겸비한 직업교육의 선진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조리전공 고등학교 대상 학생들에게 직업가치와 전문적 인력 양성의 목표를 갖는다는 점에서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진로지향성에 미치고 있는 현주소를 파악한다. 특히, 선행학습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지향성에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20년 12월 1일부터∼2021년 1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과 인터넷 설문조사(구글서베이)로 실시하였다. 총 설문지 352부에서 미 응답자 및 불성실 응답을 한 46부를 제외한 30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Ver. 22.0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단순상관관계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만족, 교육환경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이 진로지향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육만족, 교육환경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이 진로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행학습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1단계 회귀분석에서 교육만족, 교육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2단계 회귀분석에서 교육만족, 교육환경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3단계에서, 교육만족, 교육환경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에 대하여는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세 번째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로 미루어 볼 때 교육만족과 진로지향성, 교육환경과 진로지향성은 자기효능감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매개 검증의 3단계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크기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완전매개변수임을 검증하였다.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선행학습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지향성에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첫째, 선행학습 교육만족과 교육환경을 분석한 결과는 높게 나타났다. 교육적 특성이 교육현장에 반영되어 윤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학습은 산업 가치와 전문적 인력 양성의 목표를 가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적합한 선행학습의 교육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육생에게 다양한 현장정보와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과 교육환경이 높은 학생들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는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록 분석값이 크지 않다고 해도 교육서비스 요소는 조리전공 교육기관에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요자의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서비스정보와 교육을 공급하는 교사의 교육진행방식과 정보제공에 있어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