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드게임이 아동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아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보드게임이 다시 여가로써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다. 보드게임은 교육과 치료 분야에서 그 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정적 여가활동인 보드게임 관련 행복감,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관한 국내외 연구가 전무한 상태로 그 관계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드게임이 아동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그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통계기술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test,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드게임 참여 여부에 따른 아동의 행복감, 긍정적 자아, 부정적 자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드게임이 아동의 행복감, 긍정적 자아, 부정적 자아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이 연구는 보드게임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적합한 여가활동으로 보드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보드게임 개발에 정부의 관심과 지원, 보드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소와 도구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Board games have begun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again as a leisure activity. Board games have been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rapy. However, there are no many researches about board games which are related in happiness, self-esteem, and stre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ard game on happiness, self-esteem, and stress for children. The survey method was applied to 4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 do wit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tatistical techniques wer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happines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between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of board game.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tress between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of board game. Second, board games affect children's happines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However, board games no affect children's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board games are suitable leisure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happiness and self-esteem for children, so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s who can provide board games programs as leisure aactivities, to support developing new board games with supporting the government, and to provide open places and board games for all people.

      • 정보원 유형(AI챗봇과 사람)과 지각된 설득의도 정도가 제품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아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AI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AI챗봇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도입을 철수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제품 상담 서비스 이용 시 소비자의 지각된 설득의도와 구매의도, 지속사용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정보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비자들은 기계가 편향되지 않은 객관적인 행동을 한다고 생각하는 머신 휴리스틱(machine heuristic)을 가지고 있기에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설득지식 모델에 입각해 지각된 설득의도의 수준이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보았다. 둘째, 지각된 설득의도의 수준이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보원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셋째, 지각된 설득의도의 수준이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있어 전문성과 신뢰성 인식의 매개효과와 정보원 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 (지각된 설득의도 수준 : 낮음 vs. 높음) X 2 (정보원 유형 : AI챗봇 vs. 사람) 개체 간 효과 검정으로 온라인 실험을 진행했으며, 실험 참여자(N = 262)는 네 가지 조건 중 하나에 무작위 배치되었다. Two-way ANOVA, PROCESS Macro model 8번으로 연구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설득의도의 수준이 구매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정보원 유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성과 신뢰성 인식의 매개효과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성과 신뢰성 인식이 지각된 설득의도와 구매의도, 지속사용의도 사이를 거치는 과정에서 정보원 유형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함의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감염성 병원균 검출을 위한 PCR-유도 SERS 증폭기술

        이아라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패혈증은 병원균에 의한 감염으로 유발된 염증 반응이 전신으로 번져 전신에 이상 증세가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특히 면역력이 떨어지는 신생아와 유아, 노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사망률 또한 높은 위험한 질병이다.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감염 초기의 원인균 식별과 적절한 항생제 투여가 중요하지만,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과 현재 사용중인 진단 기술들이 가지는 한계들로 인해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까지는 혈액배양을 통한 감염 여부 확인 후 증식된 검체에서 단백질, 핵산 등의 바이오마커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식별하는 방법이 지배적이지만 전체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패혈증은 초기 치료가 지연될수록 사망률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새로운 진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표면 강화 라만 분광법 (SERS)은 다중 검출 능력과 높은 감도에 대한 잠재력으로 인해 화학 물질 및 생물학적 분석물을 모니터링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감염성 질환 및 종양 모니터링을 위한 각종 질병 관련 핵산 바이오마커 분석에도 활용되고 있다. SERS의 다중 검출능에도 불구하고 결과의 재현성은 현장에서 사용을 어렵게 만드는 잠재적인 위협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희귀 돌연변이 및 초기 감염 상태와 같은 고도로 복잡한 생물학적 시료 내의 낮은 표적 농도에 의해 재현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핵산 모니터링에 대한 검출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SERS를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과 통합하여 다양한 질병 관련 병원체를 다중적이고 민감하게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Raman dye를 포함한 dumbbell 구조의 DNA probe (Dumbbell probe)를 제작하였으며, PCR에 의한 타겟 유전자 증폭 과정 중에 dumbbell probe의 구조가 일부 절단되어 SERS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PCR의 타겟 유전자 증폭이 dumbbell probe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여 SERS 신호의 증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에서 사용된 primer와 probe의 서열은 패혈증을 유발하는 원인균들을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본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PCR-SERS 연계 기술이 혈액과 타액과 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시료의 희귀 병원체를 다중적이며 민감한 방식으로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SERS) has become a technique that is widely used for the monitoring chemicals and biological analytes due to its potential of multiplexing ability and sensitivity. More recently, it has been also used to analyze various disease-related nucleic acid biomarkers for the monitoring infectious disease and tumor. Even though its multiplexing ability, result-reproducibility is one of potential threat which makes difficulty of using in the field. Normally it happens according to the low target concentration within highly complex biological samples such as rare mutation and early stage infection status in patients.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detection for monitoring nucleic acids, SERS was integrat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amplify target-specific nucleic acid that triggers SERS amplification sequentially.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pable to simultaneously detect various disease-related pathogens in a multiplexed and sensitive mann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and selectivity of detection, silver and gold hybrid star-shaped nanoparticles (Ag-Au HNPs) were synthesized and nucleic acid Raman probe were immobilized on the Au-Ag HNPs. Basically PCR amplifies pathogen-specific SERS residues and amplified sequences trigger conformational change of target-specific Raman probes by complementary interaction. As a model system, primers and probes are designed against sepsis-causing bacteria and PCR-based target sequence amplification were initiated SERS signal enhancement. We believe this platform technology can be used for monitoring rare-pathogens from complex biological samples such as blood and saliva in a multiplexed and sensitive manner.

      • 한국창작춤에 나타난 페미니즘 성향연구

        이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aper aims at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rt and woman by applying feminism, which is one of varying research methods for dance art, and investigating the property of feminism that shows in Korean creative dances, centering on 「柳Ryu-Tree of Vitality 」choreographed by Kang Mi-ri, 「A Lady Embraced a Moon」choreographed by Lee Eun-ju 「梅窓 Maechang- Plum Blossom on the Window」choreographed by Kim hyun-ja and 「Full Moon」choreographed by Kim Mae-ja.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keeps pace with rapid social·cultural changes, presen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ransgression of genres in which modern dance and each genre’s property are integrated, and a tendency that concentrates on inquiry into individual identity to achieve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the tim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In such a reality,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ontinuously creating dance work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feminism, which is one of the viewpoints to see social·cultural phenomenon. Feminism can be shortly defined as women’s liberation movement. As feminism is one of cultural movements that transcends political·social movements, it raises an objection to problems in social system and human life and to male-dominated ideology, disclosing their unjustness. In addition, it is a movement to seek the lost identity of women who were dealt with as an adjunct of men for a long time and to recover the distorted femininity by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of society against women. Following the flow of the times, feminism has developed absorbing variou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iberalism, Marxism, socialism, radicalism, psychoanalytic feminism, post-modern feminism, and so on. As feminist criticism for the male-dominated social background has grown naturally and slow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feminist dancers have started to appear. Female dancers or choreographers try to sublimate their special emotion and ideology with their unique expression though woman’s body, starting from the change of awareness that newly recognizes a woman who played only a passive role as the subject of dance. The following are the properties of feminism showing feminist dances in Korean creative dance. First, the researched performances re-analyzed patriarchism for woman not from the masculine view but from the feminine view, projecting ‘a new position for self and subjectivity’ and ‘self-reflection’. Second, the main roles of the performances were led by women and women were social subjects there. Third, the emotions and ideologies backing women were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a woman and the performances suggested a direction toward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ourth, the performances show equality by securing the dignity of a man and a woman through the proper and balanced choreography arrangement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s. As the research investigates feminist works in Korean creaThe paper aims at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rt and woman by applying feminism, which is one of varying research methods for dance art, and investigating the property of feminism that shows in Korean creative dances, centering on 「柳Ryu-Tree of Vitality 」choreographed by Kang Mi-ri, 「A Lady Embraced a Moon」choreographed by Lee Eun-ju 「梅窓 Maechang- Plum Blossom on the Window」choreographed by Kim hyun-ja and 「Full Moon」choreographed by Kim Mae-ja.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keeps pace with rapid social·cultural changes, present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ransgression of genres in which modern dance and each genre’s property are integrated, and a tendency that concentrates on inquiry into individual identity to achieve the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the time based on individual uniqueness. In such a reality,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ontinuously creating dance works, reflecting the recognition of feminism, which is one of the viewpoints to see social·cultural phenomenon. Feminism can be shortly defined as women’s liberation movement. As feminism is one of cultural movements that transcends political·social movements, it raises an objection to problems in social system and human life and to male-dominated ideology, disclosing their unjustness. In addition, it is a movement to seek the lost identity of women who were dealt with as an adjunct of men for a long time and to recover the distorted femininity by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of society against women. Following the flow of the times, feminism has developed absorbing variou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iberalism, Marxism, socialism, radicalism, psychoanalytic feminism, post-modern feminism, and so on. As feminist criticism for the male-dominated social background has grown naturally and slow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feminist dancers have started to appear. Female dancers or choreographers try to sublimate their special emotion and ideology with their unique expression though woman’s body, starting from the change of awareness that newly recognizes a woman who played only a passive role as the subject of dance. The following are the properties of feminism showing feminist dances in Korean creative dance. First, the researched performances re-analyzed patriarchism for woman not from the masculine view but from the feminine view, projecting ‘a new position for self and subjectivity’ and ‘self-reflection’. Second, the main roles of the performances were led by women and women were social subjects there. Third, the emotions and ideologies backing women were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a woman and the performances suggested a direction toward community and communication. Fourth, the performances show equality by securing the dignity of a man and a woman through the proper and balanced choreography arrangement between male and female dances. As the research investigates feminist works in Korean creative dance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it embodies an alternative femininity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 not as a passive and weak being who is made by patriarchism. When thinking that feminism is human liberation through an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a woman and seeing the reality of dance field which uses the body of a human as a medium and the overwhelmingly many female dancers in the dance field, if dancers are given the enhanced awareness of woman and qualitative growth, dance art will secure a leading role in woman culture art of the 21stcentur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 of dance art as a fundamental material.tive dance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it embodies an alternative femininity who will lead the 21st century, not as a passive and weak being who is made by patriarchism. When thinking that feminism is human liberation through an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a woman and seeing the reality of dance field which uses the body of a human as a medium and the overwhelmingly many female dancers in the dance field, if dancers are given the enhanced awareness of woman and qualitative growth, dance art will secure a leading role in woman culture art of the 21stcentur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 of dance art as a fundamental material. 본 논문은 무용예술의 다양한 연구 방법론 중 하나인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무용예술과 여성과의 관계를 조명하고 한국창작춤에서 나타나는 페미니즘 성향을 강미리 안무의 「류(柳)- 생명의 나무」, 이은주 안무의 「달을 안고 서는 여자」, 김현자 안무의 「매창-매화, 창에 어리다」, 김매자 안무의 「느린 달(Full Moon)」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20세기말부터 21세기인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창작춤은 국제화 세계화에 따른 국제교류 활성화, 현대춤과 장르의 고유성이 융합되는 탈장르화, 동시대를 대표할 수 있는 개인의 독창성으로 시대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획득하기 위한 개인의 정체성 탐구에 주력하는 경향 등과 같은 특징을 보이며 사회ㆍ문화의 빠른 변화에 발맞춰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한국창작춤은 사회ㆍ문화현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 중 하나인 페미니즘 인식을 반영한 춤작업이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여기서 페미니즘이란 한마디로 여성주의, 여성해방운동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페미니즘은 정치ㆍ사회적인 운동을 초월한 하나의 문화운동으로 사회제도 및 인간생활의 제반문제와 기저에 깔려 있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 이의를 제기하고 부당성을 파헤치며, 오랜 세월동안 남성의 부속물로 취급되어 온 여성의 잃어버린 주체성을 찾고 여성에 대한 사회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왜곡된 여성성을 되찾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페미니즘은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 급진주의, 정신분석학적,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등 시대적 흐름을 타고 다양한 사상적 특성을 가지고 발전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의해 남성 주도적 사회배경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이 서서히 자생됨에 따라 페미니스트 무용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무용수로서 수동적 역할만 담당해왔던 여성들을 주체자로서 새롭게 인식하는 의식의 전환을 출발점으로 하여 여성무용수나 안무자가 춤작업을 통해 여성자신의 신체를 통해 자신들의 독특한 감정과 사상을 여성 특유의 표현법으로 승화시키고자 한다. 한국창작춤에서 페미니즘 작품을 보이는 많은 안무가가 있지만 1990년대 작품으로 1990년대 무용제에 출품된 안무작에서 페미니즘 성향을 보인 작품중 대상이나 안무상을 수상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2000년대 작품으로는 한국창작춤에서 페미니즘적 성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80년대부터 변화를 함께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페미니즘 성향의 작품을 5개 이상 공연하고 이 장르에서 활동경력의 년수가 오래되며, 10회 이상 개인 공연과 최근까지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무용가의 공연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1990년대 작품인 강미리의 「류(柳)- 생명의 나무」, 이은주의 「달을 안고 서는 여자」와 2000년대 작품인 김현자의 「梅窓매창- 매화, 창에 어리다」, 김매자의 「느린 달(Full Moon)」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평문과 같은 관련서적을 통해 한국창작춤에서 나타나는 페미니즘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면서 페미니즘적 성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류(柳)- 생명의 나무」는 버드나무가 갖는 생명성을 한국의 여성성과 결부시킨 안무자의 작업으로 우리 삶의 현장 속에서 재평가 받고 있는 생명의 주체로서 여성적 가치관을 표현하였다. 「달을 안고 서는 여자」는 여성의 자아인식과 교육을 통한 여성의 해방을 말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기초로 하여 한국여인들의 질곡의 삶을 깨뜨리고 자신들의 의지에 따라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려 강인한 여성상을 나타내었다. 「梅窓매창- 매화, 창에 어리다」는 고난과 앓음을 통해 성숙되는 인간, 여성의 모습을 주제로 하여 바람과 찬바람을 견디며 피어난다는 매화의 이미지를 통해 여성억압을 거부하고 벗어나 여성의 권리와 존엄성을 획득한다는 '주체자로서의 여성'으로서 비춰지며 여성의 몸, 여성성을 보여주었고 「느린 달(Full Moon)」은 우리 춤 ‘강강술래’의 원형을 그리는 춤을 모티브로 민족, 종교, 사회적 갈등으로 찢겨진 현대사회를 세상을 치유, 구원하는 힘을 가진 여성(모성)을 움직임을 통해서 '자기반영'을 보여주었고 이는 주체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여성임을 확인시켜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창작춤의 페미니즘 작품에서 보여주는 페미니즘 성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와 주관성에 대한 새로운 입장'과 '자기 반영성'이 투영되어 가부장제도의 남성적 시각이 아닌 여성의 시각에서 여성을 재해석하고 미래의 여성상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둘째, 작품에서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역할은 여성이고 사회의 주체가 됨은 내포한다는 점, 셋째, 여성을 지탱하고 있는 감정과 사상이 여성의 신체를 통해 발산되어지고 공유와 소통의 화두로 향하는 방향성을 제시한 점, 넷째, 여성/남성 무용수의 적절하고 균형 있는 안무배열로 남녀의 존엄이 함께 확보되는 평등에 대한 형태라는 점이다. 본 논문은 한국창작춤에서의 페미니즘적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여성을 수동적이고 가부장적 제도에 의해 만들어진 나약한 존재로서의 여성이 아닌, 21세기를 이끌어갈 대안적 여성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여성주의가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통한 인간해방이라 할 때 신체를 매개로 한 무용예술과 여성의 수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무용계의 현실을 봤을 때 무용전공인들의 여성의식의 함양과 질적 성장이 부여된다면 무용예술은 어느 타 예술보다 21세기 여성문화예술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확립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이 무용예술의 창조적 작업의 자료로써 기여하고자 하는 바이다.

      • (The) Effects of Herbal Mesotherapy on Abdominal Fat Distribution

        이아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herbal mesotherapy on abdominal fat in obese women. Methods Forty obese women those who are diagnosed abdominal obesity have been recruited during February, 2008. They were randomly assigned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under block randomization.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with sobieum injection during 6 weeks (2 times a week) and placebo group were treated with normal saline injection under same procedures. Anthropometry, body impedance analysis, fat computed tomography , blood test, and questionnaires have been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Four subjects were dropped out (voluntary give up), so 18 in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placebo group were evaluate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after treatments in both group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the result of anthropometry, body impedance analysis and fat CT between two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s of total fat area had a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part of abdominal fat. While the placebo group had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ubcutaneous fat area, superficial and deep subcutaneous fat area but not with visceral fat area. Conclusions Compaired with saline group, herbal mesotheraphy (sobieum) is effective in reduction of visceral fat after adjusting TFA. 목적 비만은 체지방의 과잉상태로 절대적인 체내 지방량보다 지방의 신체부위별 분포가 중요하며, 비만의 형태 중 복부비만, 특히 내장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고지혈증, 고혈압등의 대사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 Herbal mesotherapy (소비음, 경피침주요법)를 복부에 시술시에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 2월부터 3월까지 병원 공고 및 홈페이지 광고를 통해 20-55세 사이의 특정한 질병이 없는 폐경 전, BMI 25 kg/m2이상, 허리둘레 85cm이상인 복부비만 여성 40명을 모집하여, 무작위배정으로 각각 20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배정한 뒤 실험군에는 소비음mesotheraphy를, 대조군에는 식염수 mesotheraphy를 동일한 방법으로 6주동안 일주일에 2회씩 총 12회를 시술하였다. 신체계측, 체성분검사, 복부 지방 컴퓨터 단층 촬영, 혈액검사, 설문지를 첫 시술전과 마지막 시술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의 임상연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결과 4명이 연구도중 탈락하여 실험군 18명 대조군 18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두군 모두에서 시술 후에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의 분명한 변화가 있었으며 (p<0.01), 복부 지방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복부 총 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표층부 피하지방면적 (p<0.01), 심층부 피하지방면적 (p<0.05)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대조군에서도 복부 총 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표층부 피하지방면적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그러나 신체계측과 컴퓨터 단층촬영 상 감소에 있어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부 총 지방면적의 감소량과 분획 별 지방 감소량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실험군에서는 내장지방면적과 심층부, 표층부를 포함한 피하지방면적에서 상관성을 보였으나 (p<0.01), 대조군에서는 내장지방면적과의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비음 mesotheraphy는 식염수 mesotheraphy보다 내장지방 치료에 효과적이다.

      • 정보 제공 경험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자상거래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이아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has been disappearing and the base of daily life has been shift to the digital. In order to experience diverse services,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becomes necessary and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provide customized services with utilizing the citizens’ personal information. As data and its utilizatio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daily life also has been enhanced and familiar. However,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 simultaneously, the users’ anxiety over leakage on their information also rises. In this respect, this paper attempt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on the risk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ries to figure out if the information provision types make any difference on its relationship. E-commerce experience is selected in this paper because it is a typical form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ding experience. The analysis is conducted with the raw data of Korea Media Panel Survey from 2016 to 2019 done by the Korea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The results show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E-commerce are more aware of personal information risk than individuals who are not. Thus, more diverse use of E-commerce enhances the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isk. After examining that the activity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could increase the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isk when using E-commerce, this research analyzed which type of E-commerce affects the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isk the most by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the analysis, personal information risk awareness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V home shopping experience, domestic online shopping experience, overseas direct purchase experience, and personal transaction use experi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is detected only in TV home shopping experience variable. This study utilizes panel data to examin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individuals and the results show that few variables are verified statistically.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except TV home shopping but some implications were found i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Given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overseas direct purchases, and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all have (+) values, it is believed that individuals with experience in using E-commerce, although they have not been statistically verified, a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personal information risks than individuals who have not. To sum up, user needs to recognize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be wary of indiscreet use, and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educations and polici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excessively comprehensive regulations on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may retrogress the trend of the big data era. Therefore, selective and careful approach on the regula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needed. In addition, excessive emphasi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individuals with vague apprehensions that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violated could undermine the Internet's essential meaning of spreading and sharing free information.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a proper balance so that information can be used well at the national level while enhancing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mproving awareness through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하면서 세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없어지고 삶은 디지털 기반으로 옮겨가고 있다.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기업과 정부는 개인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개인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데이터 수집과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에서 주는 편리함이 늘어났고 어느새 익숙해져 왔다. 그러나 개인정보의 경제적 가치가 커짐과 동시에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제공 경험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고 정보 제공 유형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통해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개인정보 제공 경험의 대표적인 형태인 전자상거래로 살펴보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개년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원자료(raw data)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경험한 개인이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 개인정보위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상태에 있었고 전자상거래를 다양하게 이용할수록 개인정보위험 인식을 높게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상거래를 사용하면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행동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을 더 높인다는 것을 확인한 이후에는 어떤 유형의 전자상거래를 사용하는 것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해보았다. 개인정보위험 인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TV홈쇼핑 이용 경험, 국내 온라인 쇼핑몰 이용 경험, 해외직접구매 이용 경험, 개인 간 거래 이용 경험을 독립변수로 검증을 수행한 결과 TV홈쇼핑 이용 경험에서만 양의 선형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인 개인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일부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상당히 유의미하게 검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V홈쇼핑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된 변수는 없었지만, 회귀계수에서는 어느 정도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내 온라인 쇼핑몰과 해외직접구매, 개인 간 거래의 회귀계수가 모두(+)의 값을 가지는 점을 볼 때,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전자상거래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개인이 그렇지 않은 개인에 비해 개인정보위험 인식이 높을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정책적으로는 개인이 개인정보에 대한 가치를 인지하고 무분별한 활용을 경계하는 태도가 필요하며 정부는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교육 및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것을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오히려 빅데이터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행동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는 선택적인 규제의 모습을 지향해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가 침해될 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있는 개인들에게 개인정보보호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자유로운 정보의 확산과 공유라는 인터넷의 본질적 의미를 훼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의 가치를 높여주고 정보보호 교육을 통해 인식을 향상시켜 주면서 동시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균형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열 변색 붙임딱지를 활용한 볼록 렌즈로 햇빛 모으기 실험의 개선

        이아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 개정 초등 과학 6학년 교과서의 ‘빛과 렌즈’단원에서는 볼록 렌즈로 햇빛이 모아진 부분의 온도를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한다. 이 실험은 야외에서 진행되며 실험 준비물이 많고, 햇빛이 강한 날에는 볼록 렌즈에 의해 햇빛이 모아진 부분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약 40 ℃에서 색이 바뀌는 A4 크기의 열 변색 붙임딱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로 찾기 게임을 수업에 도입하여, 학생들이 볼록 렌즈의 초점을 계속 이동하도록 하였다. 개선된 실험을 초등 6학년 30명에게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학습 목표의 이해도, 실험의 간편성과 안전성 및 흥미도에 대해 개선된 실험이 교과서 실험보다 우수하다고 응답하였다.

      • 중국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아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국 광동성 G시에 위치한 G대학교, J대학교, S대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인 유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대상자 18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72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11부를 제외한 161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165점 만점에 64.24±18.08점, 진로스트레스는 125점 만점에 65.61±19.98점, 사회적지지는 125점 만점에 98.49±15.94점, 우울은 60점 만점에 13.37±9.28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서 주관적 건강인식(F=8.94, p<.001), 유학 동기(F=3.15, p=.045), 등록금 형태(F=3.75, p=.026), 매주 가족통화유무(t=-3.16,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진로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r=.44, p<.001), 사회적지지와 음의 상관관계(r=-.32, p<.001),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r=.43, p<.001)를 보였다. 진로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음의 상관관계(r=-.17, p=.031),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r=.37, p<.001)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r=-.31, p<.001)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변수는 매주 가족통화유무(β=.22, p=.002)이었으며, 그 다음 순으로는 등록금 형태(β=-.16, p=.021), 문화적응스트레스(β=.27, p<.001), 진로스트레스(β=.25, p=.001) 이었다. 즉, 매주 가족통화를 하지 않았을 때, 등록금은 본인이 부담하는 형태일 때,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았으며, 28.7%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중국내 한국인 유학생의 우울은 매주 가족통화유무, 등록금 형태, 문화적응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중국내 한국인 유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진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 지지와 경제적 지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career stress,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china. The study subjects include Korean students from G university, J university and S university in G city, Guangdong province, China.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0 of them that understood the objective of research and gave a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in survey, and total 172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the exclusion of four questionnaire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total 161 were used in fin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in September 1, and October 27, 201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dow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cculturative stress was measured at 64.24±18.08 out of 165, career stress at 65.61±19.98 out of 125, social support at 98.49±15.94 out of 125, and depression at 13.37±9.28 out of 60.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were subjective health awareness(F=8.94, p<.001),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F=3.15, p=.045), tuition type(F=3.75, p=.026) and weekly family call(t=-3.16, p=.005). Third, the subjects' acculturative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stress(r=.44, p<.001) and depression(r=.43,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r=-.32, p<.001). Career stress was inversely related with social support(r=-.17, p=.031)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r=.37, p<.001). Social support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r=-.31, p<.001). Fourth, the variables that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were weekly family call(β=.22, p=.002), followed by type of tuition(β=-.16, p=.021), acculturative stress(β=.27, p<.001) and career stress(β=.25, p=.001). In conclusion, the depression of Korean students in China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weekly family call, type of tuitio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reducing the depression of Korean students in China should aim at diminishing acculturative and career stress and should seek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lans including family and economic support.

      • 산전요가운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미치는 영향

        이아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it has upon pregnant women's stress, anxiety and fatigue by which the prenatal Yoga exercise changes the imbalance in pregnant women'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us into the harmonized statu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54 pregnant women in the pregnant Yoga classrooms where are located in Seoul.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data processing through SPSS Window Version 19.0 statistical program. To gras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the internal consistency in item was verified by applying Cronbach'α. And to examine influence of prenatal Yoga exercise upon stress,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based on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n stress,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age,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26-30 years old as for anxious psychology out of stress factors and in under 20 years old as for behavioral restriction and appearance. Eve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anxiety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31-34 years old as for a sense of stability, in under 20 years old as for anxiety about pregnant status, and in 21-25 years old as for the mental attitude during pregnancy. General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fatigue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shown in 21-25 years old as for pregnant fatigue syndrome and in 26-30 years old as for behavioral discomfort. In the concentration lacking and the pregnant fatigue syndrom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Second, in the results on stress,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pregnant week number,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over 36 weeks as for anxious psychology and appearance out of stress factors and in 13-20 weeks as for behavioral restriction. Only in appearanc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anxiety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21-28 weeks and over 36 weeks as for a sense of stability, in over 36 weeks as for anxiety about pregnant status, and in 13-20 weeks as for the mental attitude during pregnancy. Only in anxiety about pregnant statu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fatigue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shown in 21-28 weeks as for the lack of concentration, in 29-35 weeks as for pregnant fatigue syndrome, and in over 36 weeks as for behavioral discomfort. Only in the pregnant fatigue syndrome and the behavioral discomfor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Third, in the results on stress,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participation period,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under 1 month as for all in anxious psychology, behavioral restriction and appearance out of stress factors. Eve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Out of anxiety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indicated in over 3 months as for a sense of stability, in under 1 month as for anxiety about pregnant status, and in 2 months as for the mental attitude during pregnancy. Only in two factors except a sense of stabilit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fatigue factors, the high average was shown in under 1 month as for the concentration lacking and the pregnant fatigue syndrome and in over 3 months as for behavioral discomfort. In the concentration lacking and the pregnant fatigue syndrom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본 연구는 산전 요가운동이 임산부의 정서적, 심리적 상태의 불균형을 조화된 상태로 변화시켜 임산부의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서울시에 소재한 임산부 요가 교실에서 임산부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SPSS Window Version 19.0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료처리를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Cronbach'α를 적용하여 문항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전요가운동이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대한 결과에서 스트레스요인 중 불안 심리는 26-30세, 행동제약, 외모는 20세 이하에서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불안요인에서는 안정감은 31-34세, 임신상태불안은 20세 이하, 임신 중 마음가짐은 21-25세에서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로요인에서는 집중력결여, 임신피로증후는 21-25세, 행동불편감은 26-30세에서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집중력결여와 임신피로증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임신주수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대한 결과에서 스트레스요인 중 불안 심리와 외모에서는 36주 이상, 행동제약은 13-20주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외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불안요인에서는 안정감은 21-28주, 36주 이상, 임신상태불안은 36주 이상, 임신 중 마음가짐은 13-20주에서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임신상태불안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로요인 중 집중력결여는 21-28주, 임신피로증후는29-35주, 행동불편감은 36주 이상에서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임신피로증후와 행동불편감에서만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스트레스, 불안, 피로에 대한 결과에서 스트레스요인 중 불안심리, 행동제약, 외모모두 1개월 이하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불안요인 중 안정감은 3개월 이상, 임신상태불안은 1개월 이하, 임신 중 마음가짐은 2개월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고, 안정감을 제외한 두 가지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피로요인 집중력결여와 임신피로증후는 1개월 이하, 행동불편감은 3개월 이상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고, 집중력결여와 행동불편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