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T기업 재직자의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태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23

        4차 산업혁명으로 IT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코로나19(COVID-19)로 비대면 환경에 IT 기술 활용이 증가하며 산업계에서는 52시간 근무제가 실시되어 IT 기술을 활용해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기업은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통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재직자의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대한 이해없는 교육은 그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T기업 재직자의 최종학력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 컴퓨터교육(학습) 방식 등에 따라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 기업에서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고 배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상당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에 따른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있고 컴퓨터 교육(학습) 방식에 따라서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과 담당업무에 따라서는 수준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해 교육 프로그램을 분반으로 운영하고 국가기술자격증 취득과 연계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교재 활용하여 상황에 맞게 운영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The importance of IT technology is emphasiz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use of IT technology in non-contact environments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and the 52-hour workday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industry to focus on effectively processing work using IT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inal academic major, job,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computer education method, etc. of IT company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 특성화고의 IT교육과정과 정보·컴퓨터 임용시험 출제경향 비교 분석

        이두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23

        Korea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ftware education through chang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questions of the information department from 2017 to 2020 and the questions of the competitive examination for the selection of new candidate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see if they are suitable for selecting teachers with expertise. It was also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appointment test reflected what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actual school si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employment test in the institution that trains teachers. The method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of the 2017-2020 recruitment exam, the appointment tests that satisfies the criteria for the ratio of the employment test propo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is 2017, 2019, and 2020 and the appointment tests that does not meet the criteria is 2018.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urriculum of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s and appointment tests was analyzed. Third,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appointment tests was analyzed. Fourth,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the appointment tes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of the 2017-2020, the appointment tests that satisfies the criteria for the ratio of the appointment tests propos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is 2017, 2019, and 2020 and the appointment tests that do not meet the criteria is 2018. In addition, on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subjects for the 2018 school year were reflected. In the case of discrete structure, software engine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alysis and design, and system programming subjects,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not reflected from the 2018 school year to the 2020 school year appointment tests. Second, computer education subject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past four year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questions every year. In the case of curriculum, database and operating system subjects are presented at a high rate of three questions each year. Subsequently, the questions are presented at a high rate of two to three questions in data structure and computer network subjects. For computer programming subjects, fewer questions are asked. In addition, for computer structure, logic circuit, and algorithm subjects, one~two question was give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subjects in 2018. For programming linguistics, discrete structures, software engine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alysis and design, and system programming subjects, no questions were given. Third, two out of eight universities were found to have opened all the subjects for the appointment tests, while one out of four graduate schools for education. Fourth, the questions of the appointment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curriculum. Except for one question in the information culture, data and information field of the 2018~2020 academic year, not a single question was asked. Fifth, the questions of the appointment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basic subjects of the specialized subjects. If you look at each of the basic subjects, it looks like most of the subjects are questions, but if you look at the details, you can see that only certain parts are questions.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basic subjects and classification of 'informatics and computer teacher qualification criteria and assessment areas and assessment contents elements'. In the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more detailed criteria, including sub-domain. In addition, in order to select teachers with the necessary expertise in software education, not just the level of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estions of appointment tests, and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this purpose. 우리나라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변경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학년도부터 2020학년도까지의 정보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문항을 분석하여 전문성을 가진 교사를 선발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에서의 교육내용의 기준과 일반계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임용시험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내용들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7~2020학년도 정보·컴퓨터 임용시험의 제 1차 시험문항을 ‘정보·컴퓨터과목의 교사 자격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를 기준으로 각 문항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일반계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7~2020학년도 임용시험의 출제문항을 분석한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임용시험의 출제 비율 기준을 만족하는 임용시험은 2017, 2019, 2020학년도이며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임용시험은 2018학년도이다. 또한 정보통신윤리 과목은 2018학년도에 반영이 되어 단 1문항만 출제되었다. 이산구조, 소프트웨어공학, 인공지능, 시스템분석 및 설계, 시스템 프로그래밍 과목의 경우 2018학년도부터 2020학년도 임용시험까지 반영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최근 4년간 진행된 임용시험에서 교과교육학의 컴퓨터교육론 과목이 매년 가장 높은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다. 교과내용학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과목이 매년 3문항의 높은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다. 뒤를 이어 데이터구조, 컴퓨터네트워크 과목 2~3문항의 높은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다. 컴퓨터프로그래밍과목의 경우에는 출제문항이 적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구조, 논리회로, 알고리즘과목의 경우 1~2문제의 비율로 출제가 되고 있으며, 정보통신윤리 과목은 2018학년도에 단 1문항만 출제되었다. 프로그래밍 언어론, 이산구조, 소프트웨어공학 인공지능, 시스템분석 및 설계, 시스템 프로그래밍 과목의 경우 단 1문항도 출제가 되지 않았다. 셋째, 임용시험에서 출제되는 모든 과목을 개설한 사범대학은 8개중 2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은 4개중 1개의 대학원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용시험의 출제문항을 2015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였다. 2018학년도의 정보문화 영역의 1문항을 제외한 2018~2020학년도의 정보문화, 자료와 정보영역에서의 문항은 단 1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 다섯째, 임용시험의 출제문항을 전문교과 기초과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기초과목으로 살펴본다면 대부분의 과목에서 출제가 된 것처럼 보이나 세부적인 내용영역으로 살펴본다면 특정한 부분에서만 출제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컴퓨터과목의 교사 자격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까지의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에는 하위영역을 포함하는 더욱 더 세부적인 기준을 가지고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단순한 지식의 수준이 아닌 소프트웨어교육에 필요한 전문성을 가진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ICT 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김경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823

        <국문초록>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보통신기술에 관한 소양 교육을 국민 공통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모든 학생에게 제공함으로 누구나 정보통신기술을 학습과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수준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방안을 마련하고, 2001년부터 초등 1, 2학년에 컴퓨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부터는 모든 교과의 수업에 10% 이상 컴퓨터를 활용하도록 지침을 세워 각 급 학교에 전달하였다. 또한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 정보 과목 관련 선택 과목의 운영상 문제점을 보완하고 급격한 정보환경 변화 및 새로운 국가·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내용의 개선의 필요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ICT를 활용한 연구나 시도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ICT를 활용한 수업과 ICT 소양교육에 대한 이해부족과 형식적인 운영으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보다 소극적으로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재량활동 컴퓨터 교육에 관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는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고찰과 현장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학교 컴퓨터 교육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는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교육에 있어 컴퓨터 전담교사가 턱없이 부족하고 전담교사가 있다 하더라도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전문교육을 시키기에 역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각 급 학교에 컴퓨터 전공 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또한 H/W와 S/W 관리 및 오류 대처를 위해 전문적으로 컴퓨터를 관리하고 보조해줄 수 있는 전산보조 요원이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초·중등학교에 컴퓨터 과목이 선택과목이 아닌 독립교과나 필수과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이는 국가 미래의 경쟁력확보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컴퓨터교과가 기초과목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셋째, 컴퓨터 교육의 새로운 영역 개발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생활 실태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특히 독서나 다른 교과활동과 연계한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컴퓨터 수량의 확보 및 주변기기의 확보, 컴퓨터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며,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필요하다. S/W 지원 사업에대한 계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선생님들을 위한 연수과정과 학생들의 개인별 학습을 위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한다. 특히 재량활동 컴퓨터 교육과정과 밀접한 정보통신기술교육관련 연수가 필요하다. 끝으로 교사들 간에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교환과 정보공유로 교수·학습에 대한 많은 개선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리고, 학생 특성에 맞는 매체의 활용으로 블로그, 미니홈피, 카페 등의 활용을 통하여 활발히 정보 교환과 공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CT교육은 교육공학의 입장에서 타 전공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is to help students gain basic knowledge that will aid them in actively adjusting to the 21st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solve matter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practical contents by themselv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examin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s, particularly whether computer education was well implemented at schools, and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The main method of study was documentation and questionnaire with each classroom environmenton the subject of teachers and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plan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on how to make school computer education move in a better direc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1) The educationof students should be done by teachers who have majored in computer science or are at least certified at a high skilllevel for working with computers. 2) Computer class should be selected not as an elective class but as an independent or compulsory clas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levels. 3) There should be a new area of computer education and a curriculum for each level of education. 4)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quired amount of computers, educational software and peripherals to ensure each computers'capacity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Even more important than the above improvements outlined, is that proper training for school computer teachers is attained, and that a strong, systematic curriculum laid out for each stage of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levels is developed. The sharing and exchange of idea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also be encouraged, so that new methods for delivering high quality education can be realized at all schools and levels of education.

      •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07

        <국문초록> 오늘날의 사회는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를 획득하고 평가하는 능력, 정보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능력, 정보를 해석하고 유통시키는 능력, 정보처리를 위한 컴퓨터의 사용 능력 등이 개인의 생활이나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더욱이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인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은 정보통신과 정보화에 대한 기본적 소양 및 정보 윤리 교육은 물론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술 및 기기의 응용에 관한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교육내용이 계열성과 연계성을 갖도록 체계적으로 조직되어야 할 것이며, 급변하는 시대변화에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현장욕구에 부응하는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 및 우리 나라 컴퓨터 교육의 변천과정, 최근 컴퓨터 교육의 동향 및 외국의 컴퓨터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고,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목표와 현행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컴퓨터 교과목별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적 교육과정, 문제해결에 컴퓨터를 활용하는 정보 능력적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연계성 확립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컴퓨터 및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뒤쳐지지 않는 적시성과 효용성 있는 내용의 교과서를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실무교과는 물론 기초이론 교과목도 실기 위주의 수준별 수업을 해야하며 웹 기반 교육 등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수행평가 및 과제평가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컴퓨터 교육 담당 교사들이 학습지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며 최신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과 관련된 내용의 연수, 산학 협동의 실무연수 등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연수제도를 확립하여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Nowadays, our information society is rapidity of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enabled us to link the whole world with computer network and the importance of computer education which can produce better adaptational competence to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prolonged. The curriculum of commercial high school which are aimed at the development of the adaptational competence of the students to the information society must be changed into those which are better organized and more flexible to enhance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competence. This research has reviewed the literatures concerning the necessity of computer education the desirable aim of computer education on commercial high school the recent tendency of computer education and the history of our computer education and the recent tendency of information society with this review data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content and problems of curriculum. It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omputer education programs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s in Kwang.Ju. The ma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the following: First, computer education must be moved into informational education. The curriculum has to include the informational use of computer to utilize computer in problem solving. Second, the curriculum must be supplemented for the adaptational one for practice. Third, the transformation from the textbook of official approval to the one of admission must be achieved to develop a textbook with contents of efficacy to catch up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Fourth, it is requir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ore distinctive by eliminating the repetitions the computer and making web.sites must be selective with the variety differentiated curriculum with course selection. Fifth, various methods of learning and teaching have to be developed. performance test and researches must be extended to include the group test as well as individual test. Sixth, specialists in charge of the computing to help them concentrate on teaching. retraining programs that instruct teachers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in the latest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also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to succeed in practicing the computer curriculum.

      •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신은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07

        21세기 지식사회를 대비한 정보화 교육은 다양한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교육시키는 것이며, 정보 사회화하여 바람직한 가치관과 컴퓨터를 도구로 하여 정보 관리 능 정보의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한 창조적인 정보 관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정보 기술 능력은 컴퓨터 조작이나 사용 능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정보 소양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지금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전문 지식의 교과 내용도 미흡하지만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교육도 부족하다고 지적받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호한 시설과 잘짜여진 교육과정도 필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유능한 교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환경의 변화와 프로그램의 발전 및 다양화를 고려할 때 전자계산 전공, 비전공을 떠나 컴퓨터 담당교사 전원이 자신의 수준에 알맞은 연수과정을 선택하여 내실 있는 연수교육이 되어야 하며, 실습위주의 교육을 위해서는 컴퓨터 시설을 확보하는 것이다. 유능한 교사의 우수한 성능의 컴퓨터 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잘짜여진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은 급변하는 컴퓨터 환경과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교육이 사회의 변화에 뒤쳐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세계화ㆍ정보화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육과정이 시대에 늦지 않도록 향상 수정, 검토, 변화되어야 한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병행되어 보다 나은 교육과정이 현실성 있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연구

        황지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07

        This research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divide and suggests possible solutions for future information technology (IT)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 utilize comparative analyses of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s from disabled subjects, general education targets and subjects associated with IT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the disabled are assessed accuratel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on disabled subjects and general subjects. The analyses reveal that disabled subjects experience prolonged limitations in the society resulting from either physical or mental challenges,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disabled to secure specialized education along with a specialized instructor.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a field study have performed by volunteer IT educators from December 16th 2008 to April 16th 2009 in a cerebral paralysis welfare facility to a total of 15 disabled subjects (cerebral paralysi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 The disabled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have partaken in IT education at least once in the past. Primary candidates are those with mental disability and cerebral paralysis, 150 from Gang-Seo area in Seoul, and 50 from Si-Heung city in Gyeong-Gi Do. For the general subjects, 70 students from HanCom education institute in Si-Heung city, 100 students from Yeong-Hwa Girl’s IT High School, and 30 students from Si-Heung city computer education institute have been selected. For educator subjects, life-time educators with experience in IT education for the disabled, Holt school in Go-Yang city, Gang-Seo cerebral paralysis welfare center, and resident educators of Si-Heung city have been selected for a total of 200. They analyze current IT education status, education satisfaction and rising problem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IT education customized for mentally challenged students reaches at 76.6% for adults and 20.0%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also shows that 20.71%, 46.9%, and 32% of classes for disabled students consist of more than 10 people, 5-6 people, and a person, respectively. However, the study reveals that most of the disabled students (59.45%) prefers individualized 1-on-1 education while 37% of students prefers a class of small group (i.e., 5-6 people). That is, more than half of the disabled students have a need for an individualized education. In addition, 21.50% of general subjects, 30.05% of disabled subjects, and 31% of educator subjects dissatisfy with their classes. For an area that needs the most improvement, 30% of student subjects choose lack of convenient education environment, while 36.4% of educators choose lack of proper education equipments. In terms of "helpers," 69% of student subjects and 79% of educators said that they need helpers, showing the immediate need for specialized aids or help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obstacles, expansion of high quality regional IT education facilities rather than a quantitative expansion, establishment of convenient education environment, securing proper equipment for the disabled, and systemic mentoring process using specialized instructors at a federal level, will a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IT education and will take a great part in minimizing the digital divide. 본 연구는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장애인 교육대상자ㆍ일반 교육대상자ㆍ정보화 교육관련 교육자의 교육현황과 교육만족도 설문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장애인 정보화 교육의 대안 및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인 교육대상자와 일반 교육대상자를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서 장애인의 요구와 특성이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고 강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08년 12월 16일 ~ 2009년 4월 30일까지 서울시 강서구 뇌성마비복지관에서 정보화교육과정 강사 봉사를 통하여 15명의 장애인(뇌성병변, 신체장애, 지적장애)을 대상(기간별 인원수 변동)으로 정보화 교육과정 현장실습을 통한 장애인 정보화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연구하였고, 그 밖의 선행연구 문헌들의 설문 문항을 참고하여 설문조사한 내용의 집계를 통해 연구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장애인교육 대상자로는 정보화교육을 1회 이상 받아본 경험이 있는 장애인으로 장애인원이 가장 많은 지체 장애ㆍ뇌 병변 장애ㆍ지적장애인을 주대상자로 서울시 강서뇌성마비복지관 및 강서지역 장애인 150명과 경기도 시흥시 장애인 50명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일반 교육 대상자로는 한컴미래교육학원 수강생 70명, 영화여자정보고등학교 재학생 100명, 경기도 시흥시 컴퓨터교육센터 30명을 일반교육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교육자 대상으로는 장애인 정보화 교육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평생교육사, 고양시 홀트학교, 강서뇌성마비복지관, 경기도 시흥시 거주 교육자 200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 실태와 교육만족도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체 장애ㆍ뇌 병변 장애ㆍ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 교육 실태는 성인이 76.6%였고, 중ㆍ고등학생이 20.0%였고, 교육 방식은 10명이상 대그룹지도가 20.71%, 5-6명 대상의 소그룹지도가 46.9%, 1대 1의 개별지도가 32%로 교육 환경은 그리 열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인 교육대상자들이 요구하는 교육방식은 5-6명 대상의 소그룹지도가 37%, 1대 1의 개별지도가 59.45%로 교육대상자 과반수이상이 개별지도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정보화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일반 교육 대상자는 21.50%, 장애인 교육 대상자는 30.05%, 교육자는 31%의 불만족으로 나타나 정보화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계속 연구 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장 개선 되어야할 문제점으로 교육대상자는 쾌적하고 편리한 교육환경 부족 30%, 교육자는 장애별 보조기기 부족 36.4%로 교육환경과 보조기기의 부족으로 인해 정보화 교육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우미의 필요성에서는 교육대상자의 69%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나타났고, 교육자의 79%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나타나 보조교사의 부족으로 인해 정보화 교육의 효율성을 저하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보화 교육 기관의 양적인 확대가 아닌 질적인 확대와 쾌적하고 편리한 교육환경 개선, 장애별 보조기기의 확대 보급, 무엇보다도 보조교사 및 봉사자의 양성을 통해 1대 1의 멘토링 시스템을 정부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실시한다면 정보화교육의 능률을 높이고 정보격차 해소를 좁히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또한, 제도적 전문 자격을 갖춘 교육자의 배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정보 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

        최정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91

        교육의 목표와 방향은 시대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변화된다. 현대 사회는 컴퓨팅 시스템의 활용이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게 되면서 국가 경쟁력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컴퓨팅 시스템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인력이 되고 있다. 전 세계적인 추세가 이러하다보니 미국이나 영국 등의 주요 선진국에서는 전 국민 혹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한 정책 과 활성화 방안 등을 수립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과거 값싼 노동력으로 국가의 발전을 이루던 시대와 달리 매우 부족한 자원과 비싼 노동력으로 인해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사람의 두뇌가 국가 발전의 핵심이라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우수한 인재의 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과거에는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많은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을 인재로 여겼다. 그러나 정보 통신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인해 시공간을 초월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보니 정보의 습득보다는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고 습득한 정보를 적절히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인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컴퓨터 과학 분야의 우수한 인재는 컴퓨터 과학이 사회의 기반 학문이 되면서 많은 분야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들의 영재성을 조기에 계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길러줄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강조되고 있다. 컴퓨터 과학에서의 핵심은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것인가이다. 이의 중심에 있는 능력이 컴퓨팅 사고력으로, 자신이 직면한 복잡한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모델링하고 이 모델을 컴퓨팅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절차적인 능력이다. 컴퓨팅 사고력은 사람의 사고 능력과 컴퓨팅 시스템이 갖는 능력을 결합하도록 하여 사람의 사고가 갖는 기억 능력, 수행 속도, 처리 가능한 복잡도 등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컴퓨터 과학을 배우는 모든 학습자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팅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과학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모델링하는 방법, 컴퓨팅 시스템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특히 문제 해결 과정을 설계하는 방법은 건축가가 튼튼한 건물을 세우기 위하여 설계를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설계가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정교할 때 문제 해결에 대한 시행착오를 줄이고 해에 빠르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익히는 부분은 알고리즘 학습이 담당하고 있다. 현재 정보 영재라고 일컫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은 문제 해결을 중심으로 알고리즘이 수렴되는 의미 있는 형태의 교육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의 종류별로 분절하여 가르치는 교육이 되고 있다. 이는 학습자에게 대량의 지식만을 가르치고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가르치지 않는 현재 교육 실태에 비유할 수 있다. 알고리즘 학습에 있어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가 문제 해결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함께 제시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활용은 학습자 능력에 전적으로 맡겨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컴퓨터 과학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해결 과정을 모델링하는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자 퍼즐을 도입하였다. 퍼즐은 복잡해서 정의내리기 어려운 실세계 문제와 달리 단순한 형태로 문제가 제시되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제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 과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제 상황이 구조화된 형태로 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문제 해결에 대한 접근이 개방적이므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며 정교한 형태의 문제 해결 과정 설계를 경험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퍼즐의 개방적인 문제 해결 접근이라는 점으로 인하여 학습자가 문제 해결에 대한 성공을 쉽게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교사가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이 정보 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은 학습자가 스스로 모든 문제 해결 과정을 설계하고 성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함에 있어 최적의 학습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들을 검토하여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과 방법을 설정하였다.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은 일반적인 문제 해결 단계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의 역할과 학습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문제 해결 단계에는 교사가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지원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은 하나의 해결해야 할 퍼즐을 단위로 교수 학습 단계가 진행이 되며, 학습자가 스스로 모든 학습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인 참여와 문제 해결 성공의 경험을 위한 방안들이 제공 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5일간 총 20차시 동안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전통적인 알고리즘 수업을 한 집단에 비해 컴퓨팅 사고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이 정보 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컴퓨팅 사고력의 문제 해결 전략들을 의식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개선된 모형을 적용 및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간다면 서로 다른 변수를 갖는 다양한 수업 환경에 널리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 모형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습 효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TPB기반 토의학습 설계 및 적용

        박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정보화 사회가 발달되어 감에 따라 정보 역기능 현상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면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나 현행 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수업 방식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여, 이론적이거나 수동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 중심의 자발적, 적극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기반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은 물론 행동실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토의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상위지표인 절제, 존중, 책임, 참여를 기준으로 개정 7차 교육과정과 ICT 교육 운영지침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도출한 기본 교수‧학습전략을 습관화와 내면화 과정으로 정립하고 정보통신윤리 수업 모형의 구체적인 교수‧학습전략과 활동을 정하여 토의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셋째, 설계된 수업 모형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토의수업 모형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모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교과서의 인지적 영역 학습목표 분석 : 중학교 정보교과서를 대상으로

        최연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의ㆍ융합적 미래 인재양성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응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가 모색되고, 사회 전 분야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우리 모두의 삶과 생활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교육의 본질을 구성하고, 교육은 학습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실천적 행동이다. 교육목표는 교사에게 교육의 방향을 결정해 주고, 학습자에게는 학습대상을 명확히 하고 학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5정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정보문화 소양을 갖추고, 보다 창의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교과서가 올바르게 기술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고 나아가서 개선할 사항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정보교과서 7종을 임의로 선정하고, 정보교과서 학습목표의 인지적 영역 301개를 추출하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분석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지식차원의 “개념적 지식” 50.2%,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 46.8%로 저차원적 요소의 쏠림현상이 2015개정 교육과정 이후에도 기존 선행연구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출판사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 “창안하다”가 출판사마다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어 “출판사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없게 나타났다. 셋째, “단원별” 비교 분석 결과 지식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고, “이해하다” 다음으로 단원마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창안하다” 등이 진술되어 있어 “단원별”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는 차별성이 있게 나타났다. 넷째, 중학교 정보교과서 목표가 컴퓨터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문제해결력을 키우고, 창의적인 역량을 갖추려면 지속 발전 가능한 메타인지지식 유형의 교육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로 하는 구성주의 학습이 가능한 인재가 되기 위하여 교육 인프라를 활용한 교육목표의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future talents, software education is being sought as a national response, and it is spreading across all sectors of society, which has a great impact on our lives and lifestyles. Textbooks constitute the essence of school education, and education is a practical action to lead learners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educational goal determin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teacher, and serves to clarify the learning object and promote learning for the learn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improvements to the textbooks in order to equip the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to pursue in the 2015 information curriculum, and to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more creatively and efficiently. There is a purpose. Seven types of middle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randomly selected, and 301 cognitive areas of the information textbook learning objective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s Bloom's new education target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educational goals, 50.2% of the “conceptual knowledge” at the knowledge level and 46.8% of the “understand”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aft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many publishers have been describ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publishers”, “conceptual knowledge”, “knowledge level procedural knowledge”, cognitive process level “understanding” and “creation”. There was no discrimination in regional education goals.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unit”,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any cognitive processes and “understanding” are “applied” for each unit. Analysis”, “Creation”, etc. were mentioned, so the goal of cognitive domain education was differentiated. Fifth, in order to be a talent capable of learning constructivism that students ne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educational objectives us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컴퓨터 교육

        최형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As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computer education is important in practical use as well as a school subject. Emphasizing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is especially needed computer competence in many school activities. The 7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as a general subject for secondary schools in Korea has relatively stressed in the application software as a learning tools. Accordingly computer education as subjects is lost the identity and direction in sudden social changes.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computer education and necess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o establish definitely computer subjects and their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