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고층 건물의 횡변위 감소를 위한 가새골조 시스템의 구조적 거동

        신은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고층 건물에서는 건물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하중보다는 수평하중이 건물의 구조적 거동에 큰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초고층 건물은 수평하중에 의한 횡변위를 일정한 값 이내로 제한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초고층 건물의 구조시스템은 종류가 다양한데, 그 중에서 아웃리거나 튜브 등에 대해서는 구조적 거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어 구조시스템의 설계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새골조 시스템에 대해서는 구조적 거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여 구조시스템의 설계를 위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횡력 저항 요소로서 가새의 기본적인 거동을 고찰하고 가새의 단면적, 형상, 적용 위치, 범위, 골조 강성과의 연관성 등을 변수로 하여, 각 변수에 따른 가새골조 시스템의 횡력 저항 성능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초고층 건물의 가새골조 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골조의 강성에 합당한 강성을 갖도록 가새의 단면적을 결정해야 한다. 둘째, 코어에 설치된 가새는 횡변위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코어 내부의 연속되는 베이에 가새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넷째, 건물의 중상부층 골조에 가새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다섯째, 코어가 있는 골조에 가새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여섯째, 코어와 골조의 강성비가 적절한 경우에 가새의 효율이 높다. 일곱째, 가새를 가능한 한 여러개의 층에 걸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In tall buildings, as the height of building is increased, the effect of horizontal loads on structural behavior is more influential than that of vertical load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all buildings to design appropriate structural system which reduces lateral displacement within a specified value and then guarantees structural stability and serviceability. There are many types of structural system for tall buildings. For some of them, such as outrigger and tube, th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used to design structural system of tall buildings. For braced frame system, however, the detailed structural behavior are not studied and then the braced frame system are designed by trial and error.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asic behavior of braces, which is a lateral resistance factors of tall buildings, and then analyzed the lateral-load-resis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sectional area, shape, position and range of application of brace, and relationship between stiffness of frame and brace. From this study, we identified design guidelines for braced frame system as follow; First, braces need to have proper sectional area which is correspond to the stiffness of frames. Second, braces on core do not have an effect on reducing the lateral displacement. Third, it is efficient to apply braces to inner consecutive bays. Fourth, it is effective to apply braces to the upper part of middle stories. Fifth, it is more efficient to apply braces to frames which have core. Sixth, when the stiffness ratio of core and frame is suitable, braces make good effects. And last, it is good to make braces span as many stories as possible.

      •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은희 우석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a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in, Eun-Hui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Academic Advisor: Lee, Young-Chul,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at purpose, 25 students were sampled from each J Special School in J City and K Special School in K City by considering chronological age, intelligence, and social quotient. The 50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according to pretest - mediation - posttest in order and a total of 32 sessions was performed for 8 weeks by every 4 sessions a week in the researcher's classroom of the J School for handicapped school. This study use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basic educational courses of the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for mediation.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as a self-determination promotion program of the 32 sessions composed focusing on the subjects and activity contents of Korean Language, Society and Practicum of the basic educational course of ‘2008 revised educational course for school of handicapped children’ is composed of 6 areas about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elf-advocacy, choice making,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As for the test tool of self-determination skills, the researcher devised it by referring to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produced by Wehmeyer (1995) and the self-determination skill scale which is based on the program developed by Bang(2006a) and used it after content validation. As for the tool for social validation by class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students as a subject of the study, the self-determination scale for teachers produced by Hoffman(2000) and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questionnaire for parents developed by Kim(2001) were referred and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tool and use it through validation by one expert. The post-test results were treated for descriptive statistics(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mild and moderate) and age(10, 11, and 12), and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nteractive effects of mean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 level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The mild disability group made a bigger increase than the moderate disability group in the age groups except for the 11-year-old group. Of the age groups, the 11-year-old group made the biggest increase. Secon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ub-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elf-advocacy, choice making,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points in all the six sub-el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The 11-year-old group of the age groups had the highest points in all the six sub-elements. The mild disability group had more points in all the six sub-elements except for choice making than the moderate disability group.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sub-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according to age.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iverse programs associated with the curriculums and subjects of a special school in order to help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 more efficient self-determination skills. Furthermore, research efforts are needed on the development of tools to evaluate self-determination skills fit fo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국문 요약 이 연구는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J특수학교와 K시에 소재한 K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중 생활연령, 지능, 사회성 지수 등을 고려하여 학교별로 각각 25명씩 총 5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중재-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J특수학교의 연구자의 교실에서 매주 4회기씩 8주간에 걸쳐 총 32회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중재를 위해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내용을 토대로 한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 사회, 실과 교과의 제재와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한 32회기의 자기결정 증진 프로그램으로, 자기인식, 자기관리, 자기옹호, 선택하기, 목표설정, 문제해결에 대한 여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결정능력 검사 도구는 Wehmeyer(1995)가 제작한 자기결정평가척도(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와 방명애(2006a)가 개발한 프로그램에 기초한 자기결정 기술 척도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후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연구 대상학생의 담임교사와 부모에 의한 사회적 타당도 검증을 위한 도구는 Hoffman 등(2000)이 제작한 교사용 자기결정력 척도와 김혜경(2001)이 개발한 부모용 자기결정 능력 조사지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후 전문가 1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장애 정도(경도, 중등도), 연령(만 10세, 11세, 12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과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삼원변량분석(Thre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에서는 실험집단이 효과적이고 장애 정도에서는 11세 연령집단을 제외한 다른 연령집단에서는 경도집단이 더 높은 향상을 나타냈다. 연령집단에서는 11세 집단이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둘째,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의 하위요소(자기인식, 자기관리, 자기옹호, 선택하기, 목표설정,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의 여섯 가지 하위요소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비교에서는 자기결정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11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 정도의 비교에서는 선택하기 능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도장애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의 하위요소는 연령 간의 변화가 없었다. 앞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좀더 효율적인 자기결정 능력 신장을 위해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발달적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자기결정 능력 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소설 공간으로서의‘집’

        신은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composed of a theory of novel and three created short stories. The theory of novel develops discussion putting emphasi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house as the space of novel and characters. The work for analysis is Bak, Wan-Seo's short story 「House(家)」. Novel is a story. Components like space, time and character are combined to make the framework of the accident and to lead the story. The space in novel is like a face to man. Space i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haracters and the core power source that causes the inner conflict of the character and brings about the accident. Therefore readers can grasp, through careful understanding of the space, the trend of the 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Especially 'House' out of broad space is the most intimate place to us. Our first perception of space roots, germinates and branches out in the 'house'. A person can never free from the recollection and memory of the 'house'. Therefore the 'house' might be called to be the beginning space that determines the behavioral type peculiar to an individual. For example, the 'house' and 'room' in the text「House(家)」 functions as a symbolical and metaphorical space as well as clarifies the reality of the hero's unstable situation of life. The peculiar perception of the hero to the space of 'hou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curing the necessit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ehavior and accident. The 'house' is a vessel containing the behavior of the hero as well as the space itself is the other self of the hero. As such 'house' in 「House(家)」 does not simply remain as a spatial background. The 'house' makes a great contribution to incessantly intervening in the perception and the lifestyle of the hero and shaping the personality. Not only the 'house' but also the space of novel is a mechanism that allows entering into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 and leads the accident.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the space, readers can find the validity of the characters' behavior and read even the theme of the work.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pace of novel is an accumulation of images that defines the peculiarity of an individual. In conclusion, various spaces of novel that the writer may set up at his own accord might b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that intervenes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of the character and segmentalization of the flow of time and completes 'the world of fiction'. 본 논문은 소설론 한 편과 창작 단편소설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론은 소설 공간으로서의 ‘집’과 인물 간의 상호 관련성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했다. 분석 작품으로는 박완서의 단편소설「가(家)」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소설은 이야기다. 공간, 시간, 인물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해서 사건의 골격을 만들고,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소설에서의 공간은 사람에게 얼굴과 같다. 공간은 인물을 에워싸고 있는 주변환경으로서 인물의 내적 갈등을 유발하고 사건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동력원이다. 따라서 독자는 공간에 대한 세심한 이해를 통해 당대의 시대상이나 인물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광범위한 공간 가운데서도 특히 ‘집’은 우리와 가장 밀접한 장소이다. 공간에 대한 우리들의 최초의 자각은 바로 ‘집’ 속에서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며 가지를 뻗는다. 한 개인은 ‘집’에 대한 추억과 기억으로부터 언제라도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므로 ‘집’은 한 개인의 고유한 행동 양식을 결정짓는 최초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텍스트인 「가(家)」에서 ‘집’과 ‘방’은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공간으로서도 기능하지만, 주인공의 불안정한 생활환경의 실상을 곧이곧대로 드러낸다. ‘집’이란 공간에 대한 주인공의 독특한 인식은 행위와 사건의 전개 과정에 따르는 필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집’은 주인공의 행위를 포함하는 그릇일 뿐만 아니라 그 공간 자체가 주인공의 분신이다. 이처럼「가(家)」에서 ‘집’은 소박하게 공간적인 배경에 머무르지 않는다. ‘집’은 주인공의 의식과 삶의 양식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성격을 형상화하는 데에 크게 이바지한다. 비단 ‘집’뿐만 아니라 소설적 공간은 인물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사건을 유도해나가는 기제이다. 독자는 공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서 인물의 행위에 대한 타당성을 찾아낼 수 있으며, 작품의 주제까지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소설의 공간은 한 인물의 고유성을 특징짓는 이미지의 집적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이 작가에 의해 임의로 설정되어질 수 있는 여러 소설적 공간은 인물의 개성화, 시간적 흐름의 분절화에 크게 개입하여 ‘허구의 세계’를 완성시키는 필요충분조건이랄 수 있다.

      • Jennifer Aaker와 Andy Smith의 'The dragonfly effect' 이론을 적용한 미술영재 교육과정 모형의 탐색 : 중등미술영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신은희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재’를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자’ 라면 미술영재는 미술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학생이며, 이 학생들의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특별한 교육과정이 ‘미술영재 교육과정’이다. 미술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화하였고 영재성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다. 또한 미술적 재능도 사회에 따라 다르게 이해되며 영재에게 요구되는 능력도 달라진다. 과거, 미술의 가치가 사실의 재현에 있었다면 지금은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를 통합하고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생산해낼 수 있는 창조력과 예술적 감수성이 요구된다. 미술교과 내용은 국가에 의한 교육과정이 제정, 공포된 이후 최근까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듭해왔다. 6차 교육과정 이후의 정규 미술교과 내용, 특히 「2009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 내용은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와 VCAE(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등 창조주의 이후 새로운 미술교육이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이 반영되며 발전해 왔다. 그러나 문제는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교육목표에 맞도록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 어떠한 절차를 거쳐 실행되며 과연 학생들에게 유용한 경험으로 제공되느냐 하는 것이다. 미술영재는 미술영역에서 일반학생들과 확연히 구별되는 창조력과 시각적 감수성을 갖고 있다. 미술영재가 이러한 능력을 계발하고 사회가 영재에게 기대하는 가치를 생산하며 자신의 영역에서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 실험을 통해 독창성을 키우고 내적 통찰을 거쳐 바른 가치관과 함께 자기 정체성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미술에 대한 지식 축적과 함께 학생 개개의 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술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은 정규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교육에서 접하기 어려운 학습기회로 구성되어야 하고 영재 교육과정을 통해 실현될 목적은 궁극적으로 무엇이냐에 대한 고찰이 우선되어야 한다. 현대 지식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국가 교육체제에 반영되어 교육전반에서 교육활동을 통한 창의력 신장의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창의력 신장은 교육과정 변천의 역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미술교육의 핵심 목표로 여겨지고 있기는 하나 이를 현장 미술교육과 연관 짓는 것은 무리이다. 절대시수의 부족과 입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현재 교육체제로 인해 교육의 기능에 집중하는 양상을 빚으며 중등미술교육에서 심화된 전문영역을 다루기에는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학생 개개의 특성과 재능을 존중하여 이들의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개별화 교육과정의 적용은 특히 더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의 핵심목표를 미술영재의 지능적 특성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능력을 단련시키고 문제해결력, 창의력, 미술적 표현력을 신장시키며 또한 미술을 중심으로 다학문적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종합능력의 신장으로 보았다. 국내외 많은 학자들의 영재교육의 바탕이론으로 삼고 있는 다중지능이론의 측면에서 보면 미술영재들은 자기성찰지능과 공간지능이 높고, 논리·수학적지능이 낮은 특성을 갖고 있다. 다중지능이론은 학생들의 강점지능을 이용한 학습활동으로 약점지능을 보완하고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더욱 가치 있게 발휘하게 하는 데 교육이론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따라서 미술영재 교육과정은 미술영재의 강점지능인 자기성찰지능과 공간지능을 활용하여 상대적 약점지능인 논리·수학적지능을 보완 할 수 있는 학습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선행연구로서 제시되어 있는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교육과정 모형이 대개 수학과 과학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 미술영재 교육과정 연구의 제한점이다. 그러나 직관과 감정에서 비롯된 내적 통찰이 창조적 사고와 표현의 결과로 발현된다는 것은 모든 학문 분야의 공통된 사고과정이다. 특히 예술가와 과학자가 심리적 변인에서 작은 차이를 보일 뿐, 두 집단의 창조과정이 닮아있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이는 극복하기에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 제정 이후 현장 교사를 포함한 많은 영재교육담당자들이 영재교육에 헌신하고 있다. 그러나 미술영재교육 방면에 있어 이렇다 할 교육과정 모형이나 프로그램의 제시 없이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라, 현장교사의 입장에서 단발의 연수만으로 프로그램 개발까지 감당하는 것은 무리한 일이다. 이에 국가수준 중등미술영재교육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현장 미술영재교육 담당자에게 실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진행되었다. 시각예술(미술) 재능은 학생들이 잘 발달된 드로잉 기술과 높은 수준의 인지능력을 결합할 때 발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개별성과 자기주도성을 주요 원리로 삼고 트레핑거(Treffinger)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Self-directed Learning Model), 렌줄리(Renzuli)의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 하버드대학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팀의 아츠 프로펠(ARTS-PROPEL)을 참고로 하고 제니퍼 아커(Jennifer Aaker)와 앤디 스미스(Andy Smith)의 ‘Social Media Dragonfly 모형'을 응용하여 중등미술영재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Social Media Dragonfly 모형’은 제니퍼 아커(Jeninfer Aaker)와 앤디 스미스(Andy Smith)가 2000년 미국의 경영사상가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의 “Tipping point”를 발전시킨 것이다. ‘Social Media Dragonfly 모형’은 '잠자리 효과(The Dragonfly Effect)'의 확산으로 사회적 재화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Social Media에서의 ‘Dragonfly’의 성공적인 비행을 위한 에너지는 ‘윤리의식’이다. '중등미술영재 Dragonfly 교육과정 모형'에서는 학습자 측면에서는 자율성과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 교사측면에서는 사고의 유연성과 영재와 영재교육에 대한 이해와 열정을 성공적인 미술영재교육을 위한 정의적 특성의 핵심으로 보았다. 잠자리의 네 개의 날개와 각 날개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몸통은 가늘지만 질기고 튼튼한 근육으로 연결되어 네 날개의 균형과 힘찬 날개 짓을 가능케 한다. 잠자리의 몸통과 날개를 연결하고 있는 튼튼한 근육처럼 학생과 교사의 이러한 정의적 특성이 미술영재교육이라는 한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강한 결속을 갖게 하여 역동적인 교육활동과 미술영재교육의 성공적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 '중등미술영재 Dragonfly 교육과정 모형'의 기본적인 틀은 렌줄리(Renzulli)의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과 같다. 전체가 3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져 포괄적인 것으로 시작하여 점차 구체적으로 세분화되며 개별화 수업체제를 지향한다. 1단계는 탐색과정으로 미술영역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 단계는 트레핑거(Treffinger)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Self-directed Learning Model)의 1단계에 해당하는 과정으로, 교사가 주도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선택과정으로, 1단계 학습을 바탕으로 한 심화과정을 제시하여 영역별 심화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트레핑거(Treffinger)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Self-directed Learning Model)의 2단계에 해당하는 과정으로, 교사가 주도하되 학습의 선택권이 학생에게로 이관되며 교사는 학습 조력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3단계는 개별학습과정으로 다시 두 단계로 구분된다. 3단계 1차 과정은 2단계까지의 학습을 바탕으로 스스로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개별적 자기주도 학습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이 세운 계획을 점검하고 필요한 학습도구를 제공하는 멘토가 된다. 3단계 2차 과정은 학습계약에 의한 개별학습과정이다. 3단계 자기주도 학습과정까지 거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표현 적성에 맞는 미술영역의 한 분야를 설정하여 스스로 학습목표와 함께 학습계획을 세워 실행한다. 실기영역의 학습을 중심으로 한 3단계 과정 외에도 두 가지 탐색과 쓰기 활동이 주가 되는 병행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미술영재의 상대적 약점지능인 논리·수학적지능의 보완이 목적으로, 3단계 학습과 병행하여 수행했을 때 학습효과가 극대화 된다. '중등미술영재 Dragonfly 교육과정 모형'은 현재 시․도교육청 산하 지역청 단위 영재교육원에서 중학교 1, 2학년 통합반 대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운영체제 면에서 극복해야 할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현장의 운영담당자들이 갖는 불편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되고자한다. 이 '중등미술영재 Dragonfly 교육과정 모형'은 응용하기에 따라 미술영역 이외의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일정 수준까지는 일반교육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영재교육에 대한 부정적 관점 중, 소수의 선발된 학생들이 누리는 혜택이라는 의견에는 동의할 수 없다. 실제 재능 있는 학생들을 교육하며 갖는 교사에 대한 능력 개발의 효과나 일반 학생들에 대한 간접적인 교육효과는 미술교육의 질적 제고 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작용을 한다. 이 교육과정 모형의 확산이 현재 통합반으로 운영되는 교육청 단위 영재교육원 운영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교육의 질을 전반적으로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입체 영상 진단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백래쉬 분석에 관한 연구

        신은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backlash was analyzed an ultrasonic transducer for volumetric imaging with mechanical wobbling of a 1D array transducer to improvement of a mechanical transducer. The backlas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f there is backlash, the images from the transducer will distort in time because the position of the ultrasonic array will vary in time even if the motor controls the array to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lash mechanism of a wobbling transducer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ransducer. For this purpose, an equation about the backlash is derived and analyzed. The backlash equation includes the effects of assembly tolerance of mechanical parts. For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erivation, several test models of a wobbling transducer were fabricated and their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calculation results from the backlash equation.

      • Capacity analysis of multiuser MIMO systems with user selection and precoding

        신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multiuser MIMO transmission schemes have been studied to achieve both multiplexing and multiuser diversity gains. In this thesis, we propose three multiuser MIMO transmission schemes with user selection and precoding: zero-forcing beamforming with modified 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zero-forcing beamforming with direction-indicating matrices, and beamforming with direction-indicating matrices and channel magnitude feedback. In these schemes, we assume that the base station has no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there is no feedback error, and the receiver has 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Receivers feed back own channel stat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en the base station selects good users who have good channel and the corresponding beamforming vectors. While dirty paper coding, which is an optimal strategy in an aspect of achieving capacity,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practical systems due to high computational burden of successive codings, our proposed schemes are simpler than dirty paper coding due to using suboptimal beamforming strategies. In beamforming, finding an optimal beamforming matrix (or vectors) is a difficult nonconvex optimization problem. However, by using zero-forcing beamforming that chooses a pseudoinverse of channel matrix, and beamforming with a fixed weight matrix, we can find the beamforming matrix easily. Also, 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may be impractical because all the channel coefficient to every user can not be made available to the transmitter. We consider a practical side of constraint on a bandwidth for feedback channel, and use methods that feed back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such that only some of the users feed back or a few bits of information is fed back. We show that our schemes achieve the capacity a little lower than previously established multiuser MIMO transmission schemes, bu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gets smaller for a large number of users. Furthermore, we can reduce the feedback rate substantially. 최근에 다중 안테나와 다중 사용자로부터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다중 사용자 MIMO 전송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요자 선택 기법과 프리코딩을 이용한 3가지 다중 사용자 MIMO 전송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제안된 반직교성 사용자 그룹 선택 기법 (semiorthiginal user selection)을 변형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zero-forcing 빔포밍, 각 사용자의 채널 방향을 알려주는 매트릭스를 이용한 zero-forcing 빔포밍, 그리고 제한된 양의 피드백 정보와 사용자 선택 기법을 이용한 빔포밍이 그것들이다. 이들 방식에서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를 모른다고 가정을 하였고 수신기에서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와 수신기가 기지국으로 보내는 피드백 정보에는 에러가 없다고 가정을 하였다. 수신기가 각자의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을 하면,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를 통하여 채널 상태가 좋은 사용자와 그에 따른 빔포밍 벡터를 선택하게 된다. 용량 측면에서 봤을 때 최적 방식은 dirty paper coding은 그 복잡하고 많은 계산량 때문에 실제적인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반면, 우리가 제안한 방식들은 빔포밍을 사용하여 dirty paper coding보다 더 간단하다. 빔포밍에서는 최적 빔포밍 매트릭스 (혹은 벡터)를 찾는 것이 어려운 nonconvex 최적화 문제로 여겨지고 있지만, 우리가 제안하는 방식들에서는 채널 매트릭스의 pseudoinverse 매트릭스를 빔포밍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zero-forcing 빔포밍 방식과, 고정되어 있는 매트릭스를 빔포밍 매트릭스로 사용하는 빔포밍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빔포밍 매트릭스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 모든 사용자의 채널 상태 정보를 완벽하게 아는 것은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피드백 채널의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일부만을 피드백 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부 사용자만 피드백 하는 방법, 혹은 적은 비트 수의 정보만 피드백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을 이용하면 기존에 제안한 다중 사용자 MIMO 전송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용량보다 약간 적은 용량을 얻게 되지만 사용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그 용량 차이는 줄어들게 된다. 게다가,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피드백 비율을 매우 줄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