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의 요통발생과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조사

        권여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dustrial assembly line workers have become limited in their responsibilities to simple and repeated work. For this reason, work related diseases started to develop on those workers. Many of these work related diseases occur on the skeletal muscles. Skeletal muscle disability and stress has developed into urgent industrial health problems. Of the muscle skeletal disease, Lumber Pain, was shown on 50% of the workers but only 15-20% seeked doctors for treatment. Lumber pain resulted in frequent medial office visits, low productivity, and mental decline effecting normal daily life. The benefit of alternative medicine is that is has a broad use for area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worked related diseases addressing one's physical and and mental situation, daily lif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creased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of limitations of other unorthodox medical treatment.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usag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ate of alternative medicine on the age group of 20 to 30 year old workers who had lumber pain. During 19 days from April 4, 2011 to April 22, 2011,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workers from Youngdengpogu, Junggu, Seungdonggu, Kwangjingu and Gurogu Seoul to take a survey. By researching people who have suffered lumber pain within the last year, lumber pain was present in a surprisingly high percentage of those people. 73.3%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suffered lumber pain within one year. Categorizing workers by weight, over weighted and obese workers had more symptoms of lumber pain than those who had less weight or were normal weight. In addition, workers who frequently consume alcohol showe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consume less alcohol 81.8% of workers who had worked for 6-10 years had lumber pain, which was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is number fluctuated with the varying amounts working hours. Those who worked more than 11 hours per day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worked for 8 hours. This statistic showed useful research results. Working position showed different comparisons in this research. Not only did workers who usually stood up during their works showed more lumber pain but also workers who's work was limited to repeated task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that had varied types of duties. Because a high percentage of workers who worked for longer hours answered that they had lumber pain every single day, there seems to be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umber pain. The 71% of workers answered 'yes' when asked if they had ever tried alternative medicine, and only 29 answered 'no' that they did not. When illness or pain occurred, the most used source of alternative medicine was yoga, hot pack, well-being food, and massage. When asked which illness they used alternative medicine for, lumber pain was a common reason for many workers. Most workers said that they just endured pain. However, for medical treatment seekers,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that use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g with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rather th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e. When asked if their pain was reduced after treatment, more than half the people answered 'yes'. Mos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scale of 1-5 with 5 being very satisfied. In the research, almost half of the people preferred medical treatment while the other half preferred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no negative perceptions of alternative medicine by the survey respondents of workers between the age groups of 20 to 30 years old.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does not use any chemical substances or drugs, it was very suitable for work and did not affect normal life. Although alternative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can be taken together, alternative medicine methods were not well known throughout the population. In addition, most people did not seek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they did not know which method to pursu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to upgrade and develop alternative medicine. In addition, proactive advertising is needed on the facts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a proven treatment on reducing side effect and also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maximize treatment, endless effort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that medical treatment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used together to achieve the best results. Key words : Low Back Pain, Prevale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M)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작업의 형태가 점점 단순·반복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작업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가장 시급한 산업보건과제의 하나로 근골격계 장애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중 하나인 요통은 노동 연령기 사람에게서 50%의 연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15-20%의 사람들이 치료를 위해 의사를 찾는다. 요통 문제는 잦은 의료진 방문,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여 비금전적 손실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보완대체의학적 접근 방법은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하므로 치료와 예방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통적 의학에 한계를 느낀 환자와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직장인의 요통발생 실태와 요통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그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요통 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서울 영등포구, 중구, 광진구, 성동구, 구로구 일대의 직장 종사자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22일까지 19일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허리의 통증발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통증이 있었다는 응답자가 73.2%로 직장인들에게 요통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이거나 표준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인에게서 요통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음주를 하는 사람이나 가끔 하는 사람에 비하여 요통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 6-10년 경력자의 요통 발생은 8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근무 시간에 따라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8시간 이하 근무한 사람에 비하여 요통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무 자세에 따라서는 서서 근무 하는 대상자에게 요통발생이 높았고 근무시 신체 움직임이 반복되는 것이 반복되지 않은 것보다 요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요통빈도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거의 매일 요통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도 또한 근무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보완대체의학의 경험 여부를 물어보았을 때 전체 직장인의 71%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경험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 질병이나 통증발생시 요가와 찜질요법, 건강보조식품, 마사지 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어떤 질병에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했는지 알아보는 항목에서는 요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요통 발생시 대처 방안으로 그냥 참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병원치료만 받는다고 한 사람 보다 높았다. 요통 치료 후 효과에 대해 묻는 사항에 대해 절반이 넘는 사람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요통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긍적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치료하겠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병원치료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20-30대 직장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보완대체요법은 수술이나 화학적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에 직장에서의 작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치료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병원치료와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는지 몰라서 찾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완대체의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가 검증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요통발생시 병원치료의 적절한 병행과 함께 보완대체의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요통, 이용실태, 보완대체요법

      • 일개 지역병원에 내원한 고혈압 환자의 대체의학 경험실태

        손현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 Late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s a result, many chronic invalids tend to use alternative medicine with a purpose of prevention and cure in a variety of field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hav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systematic clinical tests, and continuous understanding and public relations on alternative medicine,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it is admitted as a kind of progressive and leading medicine. method : In this research, descriptive examination method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hypertension patients' use of alternative medicine.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160 hypertension patients (male 69, female 91) who have been diagnosed and were being cured in Park Hospital in Jeong-eup city from Sep 1, 2006 through Sep 30, 2006. Research tools are questionnaires of both self-filling and interviewing styles which include items such as general,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features of the patients for this research, contraction period of hypertension, effect and side effect, whether they have ever used the medicine, and through what channel and to what extent they recogniz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patients(n=160) for this study consisted of males of 69(43.1%) and more of females of 91(56.9%), and 41 patients(25.6%) were the age of 41-50, and they were comparatively young. They were comparatively low in education and income, in religion they were mainly Buddhists or had no religion. They also mainly worked at agriculture and service industry. The majority of them(121) recognized their illness at hospital for the first time. They experienced mainly less than 10 years(77.6%) of the contraction period of hypertension. 30.6% of them(40) had maximum blood pressure of more than 140mmHg and 16.7%(26) minimum blood pressure of more than 90mmHg. They tended to like mainly salty and hot food(36.9%), and 83 of them(51.9%) never drank alcohol. Most of them(71%) did not smoke, and 46.2%) of them did not take enough exercise. 98 of them(62.4%) had no a case history in hypertension and 67 of them(41.9%) took blood pressure check about once a week in hospital. 85 of them(53.5%) took depressants as a treatment and 39 (24.5%) took both depressants and exercise. 21 of them(13.2%) used both depressants and alternative medicine, but only 3 of them treated the high blood pressure through alternative medicine. In alternative medicine, 46.2% of the patients have experienced acupuncture, and 103(96.3%) took effect in high blood pressure. 73 of them(67.6%) were satisfied with the medicine. 123 of them(93.9%) got information about alternative medicine through people around them and the mass media such as TV and newspaper. Conclusion: It was reported that most of the hypertension patients(85.8%) who received medical attention in Park hospital and answered the questions recognized the alternative medicine, and the majority of them experienced mainly acupuncture and 96.3% of them took effect of high blood pressure control and improvement. Also, most of the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medicine reported that they had no side effect.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study the clinical effect of alternative medicine therapies which high blood pressure patients mainly used,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data communication about effect and side effect and appropriate administration methods. 연구배경: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만성 질환자들이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목적으로 대체의학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대한 전반적인 대체의학의 실태조사와 체계적 임상시험 및 지속적인 대체의학에 대한 이해와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진보적이고 선도적인 하나의 제도권 의학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고혈압 환자들의 대체의학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06년 9월 1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전북 정읍 박 병원에 외래로 내원한 환자 중 고혈압 환자로 진단 받아 치료 중인 본 연구의 대상자에 부합되는 160명 (남자69명, 여자91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대상자의 일반적, 환경적, 관리적 특성과 고혈압의 이환기간, 고혈압에 대한 대체의학의 경험유무, 이용경로 및 인지도, 효과 및 부작에 관한 항목을 자기 기입식 및 직접 면담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본 연구의 대상자(n=160)들은 남자 69명(43.1%), 여자 91명(56.9%) 으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41~50세가 41명(25.6%)으로 비교적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력이나 소득은 도시에 비해 낮은 편이였고 종교가 없거나(30.6%)불교를 믿고 있었다(28.8%). 지역적 특성상 농업 또는 기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대상자의 대부분이(121명) 병의원을 통해 처음 고혈압을 진단받았다. 고혈압에 대한 이환기간은 대부분 10년 이하(77.6%)였으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 30.6%(40명),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 16.7%(26명) 으로 분석되었다. 식사습관은 짜고 맵게 먹는 편 이었으며(36.9%), 음주여부는 83명(51.9%)이 안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부분 금연을 하고 있었으며(71%), 운동은 거의 안하는 편(46.2%)이었다. 고혈압에 대한 가족력은 98명( 62.4%)이 없는 상태였고, 혈압 체크는 67명(41.9%)이 주 1회 정도 혈압을 주로 병원을 통해(120명) 체크하고 있었다. 고혈압에 대한 치료는 85명(53.3%)이 혈압 약으로만 혈압을 조절하고 있었으며, 39명(24.5%)이 혈압약과 운동을 병행하고 있었다. 혈압약과 대체의학을 병행하고 있는 환자도 21명 정도(13.2%)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체의학으로만 혈압관리를 하고 있는 대상자는 3명에 불과했다. 이용 종류에서는 침 요법을 경험한 환자(46.2%)가 가장 많았고, 103명(96.3%)이 혈압조절 또는 증상개선에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 하였다. 또한, 73명(67.6%)이 경험한 요법에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123명(93.9%)이 주위 사람들이나 TV. 신문 등 대중매체를 통해 대체의학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병원 외래에 내원하는 고혈압 환자 중 설문에 참여한 대부분이 대체의학을 인식(85.8%)하고 있었고 침 요법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약 96.3% 가 혈압조절 또는 증상개선에 효과를 경험하고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험자의 대부분이 경험 후 부작용에 대한 사례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체의학을 경험한 고혈압 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종류들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좀더 객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적절한 관리방법과 더불어 효과 및 부작용등 정확한 정보의 전달체계가 이루어져야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 응급의학과 의사가 시행한 경질 초음파의 정확성에 대한 연구

        정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여성 환자들의 경우 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하는 산부인과 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산부인과 협진과 경질 또는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경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산부인과 의사가 응급실에 도착할 때까지 검사가 지연되고 이로 인해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며, 응급실 체류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응급실내에 상주하는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산부인과 질환을 감별해야하는 환자들의 진단 시간을 단축하여 빠른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불필요한 협진을 줄여 응급실 체류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하복부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산부인과적 질환의 감별이 필요한 여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하여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질 초음파의 정확성과 산부인과적 질환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8년 3월 19일부터 6월 5일까지 이대목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산부인과적 감별이 필요했던 14세 이상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하고 경질 초음파 양식을 작성하였고, 경질 초음파 양식과 환자의 의무기록 등을 조사하여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질 초음파 시행 이전 및 이후 진단을 산부인과 진료 결과 및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수술 소견 등을 토대로 한 최종 진단과 비교하였고,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질 초음파 소견을 산부인과 의사의 경질 초음파 소견과 비교하였다. 41명 환자의 평균 연령은 33.7세였고 경질 초음파 시행 전의 진단은 골반내감염이 가장 많았고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한 후 산부인과적 질환으로 판단한 환자는 31명이었으며 이중 골반내감염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41명의 환자 중 32명의 환자에게 산부인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9명의 환자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질 초음파 시행 이전의 진단의 정확도는 39.0%,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한 이후의 진단의 정확도는 80.5%로 경질 초음파 이후 진단의 정확도가 월등히 높아졌으며, 산부인과적 질환에 대해 응급의학과 의사가 시행한 경질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각각 100%, 90.9%, 96.8%, 100%였다. 또한 산부인과 질환을 의심하였으나 최종 진단에서 산부인과 질환이 아니었던 환자 9명에게는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 시행 후 진단을 토대로 불필요한 협진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산부인과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응급의학과 의사가 경질 초음파를 시행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불필요한 협진을 줄일 수 있다. 이후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감소, 환자 만족도 등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색인 단어: 경질 초음파, 응급의학과 의사, 산부인과적 질환, 하복부 통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performed by emergency physicia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In this study, female patients with lower abdominal pain and who had some risks for obstetric and gynecologic disease were assessed. the accuracy and efficacy of TVUS performed by emergency physician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ED TVUS interpretations with OG TVUS, CT or surgical pathology. Result: Forty 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uration. Diagnosis of 48.8% of the patients were changed after TVUS performed by emergency physicians. When the accuracy of diagnosis were compared with pre-TVUS and post-TVUS, the accuracy of post-TVUS(80.5%) was higher than that of pre-TVUS(39.0%). The agreement between the sonographic findings of EM physicians and OG physicians was substantial(accuracy=81.3~93.8%, kappa value=0.611~0.811, p=0.000~0.001). The accuracy of TVUS performed by EP in OG disease was 90.6%.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100% and 90.9%,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96.8% and 100%.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VUS performed by emergency physicians is considerably helpful in making the correct diagnosis and has high accuracy. Key word: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emergency physician, obstetric and gynecologic disease, low abdominal pain

      • 북한 소아 과학 연구 동향 : 2006년-2019년까지 발행된 북한의학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이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nalyzed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to predict the status of diseases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in North Korea, which still exist as an unknown country in the 21st century. Currently, 10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are officially published. Despite the fact that North Korean academic journals are published through censorship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rticles are written on the basis of practical achievements and disease cases in each field. Accordingly,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becomes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losed North Korea. So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research articles (academic journals, publication year, specific field, article type, author, research method, and statistics) by analyzing studies related to children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Second, we tried to analyze pediatric diseases that appeared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using ICD-10, and to find out how to approach the diseases by classifying the contents of each research article. Third, we wanted to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disease studied, and the study content change over time. In particular,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 transition by dividing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eras. In this study, Scoping Review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he methodology of Levac, Colquhoun & O'Brien (2010) was applied to strengthen the research design. We identified related studies by reviewing 10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mong the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we decided to analyze the journals from 2006 to 2019 targeting 'Pediatric-Obstetrics', 'Surgery', and 'Chosun Medicine'. Total 7,739 articles in the finally decided journal were reviewed, and 728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diatric research articles in North Korean medical journals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e form of the article is similar, but the teaching of the ruler is mentioned for research purposes, and the length is very short, less than 2 pages. Ethical considerations are not mentioned, and in the case of some articles, research is conducted by mixing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drugs. This characteristic means that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are establishing their own research framework in a closed environment. Second,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has been made up of realistic and practical studies. Research has focused on diseases that actually have a large burden of disease, and research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therapeutic effects. Medicine is the most studied treatment, and traditional medicine research is mainly conducted, and research on mixing traditional medicine and medicine is also conducted. In addition to drugs and surgery, it was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various treatments such as laser treatment, radiofrequency treatment, and exercise therapy are being conducted. Such research trends may be a part of North Korea's efforts to apply various treatments to childhood diseases through independent and practical research. Third, the trend of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is changing over time. Pediatric research is increasing, and research fields are also diversifying. As the economic situation improved during the Kim Jong-un era, the major studied disease groups changed. The establish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policies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efforts to develop the health sector at the national level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iversity of research and treatment. The North Korean pediatric research analyzed through this study had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was realistic and practical. Furthermore, pediatric research is gradually increasing, the groups of diseases studied are changing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research fields and treatment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This is the evidence that the North Korean pediatric field is constantly striving for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utonomously, and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pediatric research in a unified Korea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1세기에도 여전히 미지의 국가로 존재하는 북한의 소아와 관련된 질병 현황과 연구 동향을 예측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북한의학학술지를 분석하였다. 현재 공식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북한의학학술지는 10종으로 북한학술지의 특성상 검열을 통해 출판되고 북한 정부의 통제하에 발간되고 있음에도 학술 논문이 특정 학문 분야의 실제적 성과를 토대로 하고 당시의 질병 실례를 기초로 연구한 결과들이 출판됨에 따라 북한의학학술지 분석은 폐쇄적인 북한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북한의학학술지에서 소아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된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을 추출하고 분류, 분석하여 첫째, 북한의학학술지의 소아 과학 연구 논문의 특성(학술지, 출판연도, 세부분야, 논문 유형, 저자, 연구 방법, 통계)을 파악하고, 둘째, 북한의학학술지에서 나타난 소아의 질환들을 ICD-10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각 연구 논문의 내용을 분류하여 질환들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셋째로 앞에서 분류했던 여러 변수와 관련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 동향에 변화가 있는지, 특히 김정일, 김정은 시대를 구분하여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방법으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설계를 강화하기 위해 Levac, Colquhoun & O’Brien(2010)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10종의 북한의학학술지를 예비 조사를 통하여 검토하여 관련 연구를 식별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9년까지를 분석 시기로 정하고, 북한의학학술지 중 ‘소아-산부인과’, ‘외과’, ‘조선의학’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 선택된 학술지의 7,739개의 논문을 검토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으로 728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학학술지의 소아 과학 연구 논문은 고유의 특수성을 갖는다. 논문의 형식은 유사하나 연구목적에 집권자의 교시를 언급하고, 분량은 2페이지 내로 매우 짧다. 근거 수준에 기반한 질 평가 결과 기준 대부분이 충족되지 않거나 평가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러한 특징은 북한의학학술지가 폐쇄적인 환경 속에서 자신들만의 고유의 연구 틀을 구축하고 있으나 향후 연구력을 강화하고, 실제로 연구의 결과를 진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질적 향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실제적이며 실천적 연구들로 이루어져 왔다.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실제 질병부담이 큰 질환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료 효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주로 출판되고 있다. 연구되고 있는 치료법은 약물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동약 연구가 주를 이루고, 동신배합 연구 또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신약 치료, 수술 이외에도 레이저 치료, 고주파, 운동 치료 등의 다양한 치료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주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를 소아질환에 적용하고자 하는 북한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북한 소아 과학 연구 동향은 변화하고 있다. 소아 과학 연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 분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김정일 시대에서 김정은 시대로 전환되면서 경제 사정이 개선됨에 따라 주요 연구되는 질병군이 변화하였으며, 김정은 정권이 과학기술을 중시하는 정책이 수립되고 보건 의료 분야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연구와 치료의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구를 통해 확인한 북한 소아 과학 연구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적이고 실천적이었다. 또한, 소아 과학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경제 발전에 따라 연구되는 질병군이 변화하고 있었으며, 연구와 치료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었다. 이는 북한 소아 과학 분야에서도 자생적으로 의학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서 향후 통일 한국의 소아 과학 연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전문성 조사

        신성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Medical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Physicians in Korea Seunghwan Sh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Advisor: Prof. Jong Tae Lee, M.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different typ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between specialists and residents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Methods: A survey, asking both perceptions of reality and priority of professionalism virtues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one by 109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in Korea. The physician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 Resident Group and Board certified Specialist group. There are 4 questions about perceptions of reality and survey respondents gave 5-scale scores to each of 10 professionalism virtues in the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given by a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priority difference of each 10 professionalism virtu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student T-test by using the SPSS 17.0K program. Afterwards, the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us the information that specialists have more optimistic views about reali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than residents. 10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listed in order of priority, highest to lowes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valued ‘technical competence’, ‘professional dominance’, ‘morality’ important, but ‘altruism’ has the lowest score.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s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didn't match any of seven typ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from Castellani & Hafferty. This is assumed becaus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field is different from other clinical medicine in physician's role. Further studies and discussions are necessary for establishing suitable model of medical professionalism for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Key Words: Type of medical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 environmental physicians. 국문초록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전문성 조사 신 성 환 (인문의학 전공) (지도교수 :이 종 태) 의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연구목적 전통적으로 의사는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 ‘치료자’이자 ‘전문가’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왔/는데, 이러한 전문직으로의 전통은 중세시대 유럽과 영국의 대학과 길드(guild)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서구사회에서 의학이 전문직으로 성장해온 배경에는 사회계약을 바탕으로한 의사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가 있었던 반면, 우리나라 의사들의 사회적 지위는 스스로의 경쟁과 질적 관리를 통하여 획득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면허제도를 통하여 일방적으로 주어진 수동적인 형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더해서 의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개념조차 모호하였고, 직업전문성에 대한 연구도 질적 분석에 치우쳐 각 전문가그룹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전문직으로써 필요한 덕목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유형을 파악하였고, 해당 분야 전문가로써 적합한 직업전문성 역할 모델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를 통해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Castellani 등은 의료분야에서의 직업전문성의 유형에 대해 설명하면서 전문가로써 필요한 10가지 덕목의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유형을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이러한 분류에 따라 산업의학분야 전문가로써의 현실에 관한 인식차이 4문항과 전문가로써 필요한 10가지 항목 각각의 중요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응답한 10가지 항목의 점수는 각각 평균을 구하여 점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7가지 직업전문성의 유형 중 해당되는 유형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공의와 전문의 두 군으로 나누어서 설문 응답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전공의군은 1,2년차를 포함하는 저년차군, 3,4년차를 포함하는 고년차군으로 나누고, 전문의군은 경력 10년을 기준으로 10년이상군과 10년미만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전공의군과 전문의군 및 각각의 하위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5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율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산업의학과 현실에 대한 인식정도를 설문한 4가지 문항에서는 대체적으로 전문의들이 전공의들에 비해 산업의학과 현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산업의학 전문가로써의 미래가 희망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p<0.01)” 항목과 “지난 10년간의 산업의학의 전문가로써의 위치를 어떻게 표현하시겠습니까?(p<0.01)”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었다. 각 군별 직업전문성 항목의 중요도 우선순위를 요약하면, 산업의학과 의사 전체에서 ‘기술적 능력’, ‘전문직의 권위’, ‘도덕성’에 대해서 중요도를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다. 전공의군을 저년차군과 고년차군으로 비교했을 때 저년차군에서 ‘전문직의 권위’, ‘기술적 능력’, ‘상업주의’ 항목의 중요도를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고, 고년차군에서 ‘사회계약의 성실한 수행’, ‘삶의균형’, ‘도덕성’ 항목을 높게 평가하였다. 전공의 저년차군과 고년차군 간에는 ‘자율성(p=0.03)', ‘이타주의(p=0.01)’, ‘전문직의 권위(p=0.03)', ‘사회계약의 성실한수행(p<0.01)’, ‘상업주의(p<0.01)' 항목에서 중요도 평균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문의군을 경력 10년이상과 10년미만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에서 중요도 평균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은 없었고, ‘기술적 능력’, ‘전문직의 권위’, ‘도덕성’ 항목 순으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결 론 산업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한 직업전문성 유형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전문의들이 전공의들에 비해 산업의학 분야의 현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항목이 확인되었다. 산업의학 전문가로써 필요한 덕목에 대한 중요도 평가에서는 ‘기술적 능력’과 ‘전문직의 권위’ 항목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다. 반면 ‘이타주의’ 항목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게 나타나 후행 연구를 통한 원인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의학 전문가로써 필요한 항목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토대로 직업전문성 유형을 조사한 결과, 향수형(nostalgic), 기업형(entrepreneurial), 학구형(academic), 생활양식형(lifestyle), 경험형(empirical), 무비판형(unreflective), 활동가형(activist)중 경험형과 유사한 특성이 있었으나 ‘이타주의’, ‘자율성’, ‘삶의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다른 임상의학과와는 다른 산업의학과 분야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전문가로써의 역할을 자각하고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업의학과 의사들에게 적합한 직업전문성 역할 모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 Words : 직업전문성, 산업의학과 의사

      • 전통한방 및 서양의학과 동종요법의 감기 치료법에 대한 비교 고찰

        무하마드 아크바르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서양의학과 한의학, 동종요법의 주요한 특성을 살펴보고 각각의 감기치료법을 살펴보므로서 이 세가지 의료를 비교하여 보았다. 감기는 ①인체에 피곤이 누적되면 감기 유해균(바이러스 포함)이 침투번성할 조건이 조성되며, ②이때 서양의학은 적절한 항생제 등 약물로 유해균을 물리치는데 ③우리 몸에서는 균과 약물간의 길항작용이 일어나, 균은 저항성이 생겨나고, 인체는 일단 감기가 나아도 균의 저항성에 따라 후유증을 겪게 된다. ④동종요법의 약으로 인체의 상태를 평소의 상태로 돌리면 유해균이 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생명은 과정이지 고정된 물질이 아니라는 점에서 의학적 사고를 출발해야 한다. 인류의 가장 흔한 질환인 감기! 이를 살펴보면 서양의학은 반세기 전과 감기 치료방법이나 치료효과 면에서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시간이 지나면 결국 나을 질병이 감기인데, 증상(병으로 인한 괴로움)을 무조건 잘못된 것, 나쁜 것, 그러므로 없애야 하는 것이라고 보고 약물투여를 하는데, 서양의학에서 약물은 앞면은 약이고 뒷면은 독이란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말은 전세계 의과대학의 약리학 서적의 서론을 장식하는 말이다.) 동종요법의 치료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아픈 사람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생명을 보는 견해가 한의학과 많이 공통되므로, 상보적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예: 동종요법 제약의 원리를 한방에 적용하면 약용식물의 엄청난 양이 절약 가능함). 동종요법의 원리는 동양의 우주론과 한치도 다른 점이 없으므로, 독일에서 창도되고 유럽과 미국이 주도하고 있지만 동양에서 완성될 운명으로 여겨진다. 현대의학이 주류의학임에 틀림없지만 어쩔 수 없이 한계는 있으므로 그 한계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공부를 반드시 해야 하는데 동종요법은 한의학보다 객관성과 통계학적 유의성으로 인해 현대서양의학과 더욱 잘 어울리며 치료에서 좋은 상호보완관계에 있다고도 여겨진다. 현대의학의 그 많은 장점보다 그중 보완해야할 일부 단점, 이것이 보완된다면 그야말로 인류 최대의 꿈인 완전의학으로 향하는 첫 관문을 통과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국제화로 인해 외국인의 한국 체류가 폭증하고, 다문화를 표방하여 늘어나는 다문화가정과 그 자녀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그들이 신뢰하며 익숙한 동종요법을 희구하는 환자들이 동종요법 치료를 받고자 함에 한국 정부의 유연한 대처를 기대해 본다.

      • 세계 각국의 응급의료시스템 도입시기의 인구·보건지표 비교분석 : Comparison of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at the initial stage of emergency medicine around the world

        김태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응급의료체계의 도입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신속한 응급의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 국가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질병부담을 감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고소득 국가와 유사하게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비감염성 질환이나 외상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질병의 천이를 보이고 있다. 2000년대 후반 까지도 응급의료체계는 도입과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고소득 국가에서 주로 실효성이 있는 의료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외상이나 응급질환에 대해 신속한 의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건학적 통계조사가 가능하고 질병의 조기발견과 같은 이차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응급의학 전문 과목에 대한 교육과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응급의료체계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로 구성되며 효과를 정량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아직까지 전문가 의견에 한정된 논문 외에는 세계적으로 응급의료체계와 인구·보건지표 수치의 정량적인 변화와 영향에 대해서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의학회 혹은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을 문헌고찰 및 웹 검색을 통해 조사하여, 각 나라별 응급의학회의 설립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시의 인구·보건지표를 도식화 하고, 응급의학회 설립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유무 또는 도입 전후의 보건지표 변화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WHO, World bank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214개 나라를 기준으로 Pubmed와 각 나라의 응급의학회 홈페이지 검색을 통해 응급의학회 설립연도가 명시된 58개국과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연도가 명시된 70개국을 선정하였다. 응급의학회 유무에 따른 인구·보건지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WHO, World bank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설립연도가 명시된 58개국과 명시되지 않은 156개국의 1960년부터 2014년 까지 GDP, 인구수, 1000명당 의사 수, 사망원인별 표준화사망률, 사망원인별 사망자수와 같은 인구·보건지표에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회 설립 전후에 변화되는 보건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망률데이터가 있는 44개국에서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에 짝지은 t검정(p<0.05)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유무에 따른 인구·보건지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입연도가 명시된 70개국과 명시되지 않는 144개국의 인구·보건지표에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전후에 변화되는 보건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망률데이터가 있는 27개국에서 사망원인별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에 짝지은 t검정(p<0.05)을 시행하였다. 응급의학회 설립,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과 배출시기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도입 전후 4년에서 8년까지,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에 대한 기울기를 구하고 이를 변수로 사용했다. 응급의학회가 설립되지 않는 나라들에 비해 설립된 나라들에서 GDP (4,795±10,228 vs. 10,228±11,072, p=0.01), 인구수 (14.12x10⁶±32.89x10⁶ vs. 70.62x10⁶±191.86x10⁶ p=0.03), 1000명당 의사수 (1.29±1.43 vs. 2.18±1.44 p<0.01),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사망률 (61.62±128.54 vs. 134.97±142.50 p<0.01), 외상으로 인한 표준화사망률 (13.59±27.17 vs. 34.49±34.6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회가 설립되기 전에 비하여 설립된 후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감염성질환(145.61 vs. -145.26 p<0.01), 외상(-5.16 vs. -41.34 p<0.01) 및 교통사고(-2.95 vs. -24.35 p<0.01)로 인한 사망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되지 않는 나라들에 비해 도입된 나라들에서GDP (4,931±4,907 vs. 8,834±12,116 p=0.05), 인구수 (13.97x10⁶±32.58x10⁶ vs. 61.24x10⁶±176.27x10⁶ p=0.03), 1000명당 의사수 (1.31±1.48 vs. 1.81±1.42 p=0.02),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연령표준화사망률 (47.10±126.71 vs. 107.63±154.68 p=0.03), 외상으로 인한 연령표준화사망률(10.24±27.10 vs. 25.36±32.75 p=0.02)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 전문과목이 도입되기 전에 비하여 도입된 후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감염성질환 (19.95 vs. -28.13 p<0.01) 및 교통사고 (18.27 vs. -27.16 p<0.01)로 인한 사망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하위군 분석에서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는 고소득 국가뿐만 아니라 중·저소득 국가에서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에서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제도가 도입된 시기의 GDP, 인구수, 1,000명당 의사수, 심혈관 질환 및 외상으로 인한 사망률이 응급의학회 또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된 나라들에서의 최근 수치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응급의학과의 발생시기에는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급속한 도시개발과 도시환경정비의 미비로 인하여 외상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예방접종과 항생제의 보급으로 인해 감염성질환은 감소하는 반면 비감염성질환은 증가하는 질병의 천이를 보였다. 외상이나 심혈관질환과 같은 응급질환의 증가는 응급의료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전문가적, 대중적인 수요를 촉발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응급의학회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비하여 도입된 후 감염질환과 외상으로 인한 5년간의 사망자수 변화 기울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감염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중 저소득 국가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나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학회 및 응급의학과 전문의제도 도입 후 감소추세를 보였다. 한 연구에 따르면 59개 중 저소득 국가의 응급센터에서 전문적인 응급의학 교육을 받은 의사가 24시간 상주하는 곳은 4%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외상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고려 하였을 때 중 저소득 국가에서도 응급 환자의 분류, 초기 처치, 소생술 등 전문적인 응급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은 보건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각국의 응급의료체계 도입시기의 배경을 밝혀 응급의료 도입 당시의 수요와 응급의학 도입 전 후의 보건지표를 정량화 하였다. 이는 응급의료시스템의 도입시기에 있는 중·저소득 국가들에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system is devoted to various time-sensitive diseases. It has not taken priority over primary preven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because of the belief that emergency care is innately expensive and profits relatively few patients when communicable diseases have been conventionally considered the major burden of diseas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00s,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injuries appeared to be the major burden of disease even in LM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is likely that 24/7 available clinical staff trained in emergency care could decrease the mortality rate of emergency medical conditions. Considering this disease transition, development in LMICs is in urgent need.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containing diverse medical, epidemiologic, and demographic information on the initial stage of implementation of emergency care in individual countries.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compare EMS systems and patient outcomes among countries due to their heterogeneities, it can be hypothesized that proper emergency care of acute illnesses and injuries might affect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escribe the status of emergency medicine (EM) around the world with baselin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2) to compare individual countries at the time of initiation of either an EM society or EM specialty, and (3) to quantify the effect of establishing an EM society or adopting EM as a medical specialty on total number of deaths by cause. For the literature review, PubMed, Cochrane Review, and the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re searched. For quantitative evidence, 214 countries from the latest online estimates in the databases from the WHO and World Bank were used for assessing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Webpages of societie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active in areas relevant to EM were also screened.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on the year of beginning were described of 58 countries with the year of EM society and 70 countries with that of EM as a specialty established or first recognized. First, a total of 214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M society status.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between countries with and without an EM society.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p<0.05)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epidemiologic, and health tran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Th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was used as a variable. Second, a total of 214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M as a specialty status and then a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and epidemiologic information between countries with and without an EM as a specialty and a paired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epidemiologic, and health tran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EM as a specialty was followed. Th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as a specialty was used as a variable. Gross Domestic Product (GDP) (10,228±11,072 vs. 4,795±10,228 p=0.01), population (70.62x10⁶±191.86x10⁶ vs. 14.12x10⁶±32.89x10⁶ p=0.03),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2.18±1.44 vs. 1.29±1.43 p<0.01), as well as age standardized death rate (ASDR)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134.97±142.50 vs. 61.62±128.54 p<0.01) and injury (34.49±34.63 vs. 13.59±27.17 p<0.01) at the time of EM society establishment in countries with EM socie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ast available in countries without EM societies. The gradients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fectious diseases (145.61 vs. -145.26 p<0.01), injuries (-5.16 vs. -41.34 p<0.01), and road traffic accidents (-2.95 vs. -24.35 p<0.01)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an EM socie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DP (8,834±12,116 vs. 4,931±4,907 p=0.05), population (61.24x10⁶±176.27x10⁶ vs. 13.97x10⁶±32.58x10⁶ p=0.03),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1.81±1.42 vs. 1.31±1.48 p=0.02), as well as ASDR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107.63±154.68 vs. 47.10±126.71 p=0.03) and injury (25.36±32.75 vs. 10.24±27.10 p=0.02) at the time of EM being recognized as a specialty in countries with EM as a formal special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ast available in countries without EM as a formal specialty. The gradients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fectious diseases (19.95 vs. -28.13 p<0.01) and road traffic accidents (18.27 vs. -27.16 p<0.01) in the five-year period from four to eight years before and after the recognition of EM as a special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ositive gradient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58.37 vs. -53.94 p<0.01) became less steep, and the negative gradient of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in LMICs (206.22 vs. -139.28 p<0.01) became steeper after establishing EM societi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showed that GDP, population density, and number of physicians per 1,000 capita were higher in the countries that established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than the latest values of non-established countries.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the rate of ASDR due to injury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higher than the latest values of non-established countries. In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the degree of yearly declin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stablishing EM societies or EM as a formal specialty compared to the same slope for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ing year.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on the total number of deaths due to injury has increased globally over the past 20 years, the implementation of EM in LMICs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ight be an important part of the healthcare system. This study may help guide EM development as a reference point in LMICs where there is a lack of firm emergency medical care infrastructures but increased demand.

      •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복부전산단층촬영 예비판독의 정확성에 대한 평가

        강문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응급실에 내원하는 급성 복통 환자에서 복부 전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는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응급실에서 복부 CT의 정확한 판독능력은 응급의학과 의사에게 필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외상성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에서 시행한 복부 CT의 임시 판독문의 정확성을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와 비교하여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복부 CT판독의 정확성에 대해 평가해 보았다. 방법: 2008년 11월 16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본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기간 동안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의해 시행된 복부 임시 판독문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의해 시행된 복부 임시 판독문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판독된 최종 판독문과 비교하여 판독오류 정도를 평가하였다. 복부 CT의 판독오류는 환자의 진단, 치료, 퇴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884명의 환자들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복부 CT의 판독오류는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16.7%, 영상의학과 전공의는 12.2%였고, 여성 생식계와 기타장기(복막, 부신, 근골격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응급의학과 레지던트에서 임시 판독문의 판독오류가 더 높았다. 결론: 비외상성 복통 환자에게 시행된 복부 CT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비해 여성 생식계, 복막, 부신, 근골격계의 장기들의 판독오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tool in emergency medicine to accurately diagnose abdominal pain.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must be able to offer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T imag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eliminary interpretation ability of a sample of emergency residents presented with adult abdominal CT images, and compared their results with those of radiology resid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from November 16, 2008 to June 30, 2009. During this time, we gathered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onsecutive abdominal CT made by emergency and radiology residents. We assessed the discrepancy rates of both samples by comparing their findings to the final reports from attending radiologists. A discrepancy was defined as a change in diagnosis, treatment, or disposition of the patient. Results: A total of 884 case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The discrepancy rates of emergency and radiology residents were 16.7% and 12.2%, respectively. For CT images of female genital organs and miscellaneous organs (peritoneum, adrenal gland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e difference in r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0.01). Conclusion: When female genital organs, peritoneum, adrenal glands, or the musculoskeletal system were abnormal, we found that emergency residents’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T image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of radiology residents. Key words: Abdominal pain; CT Scan, X-Ray; Emergency Medicine; Radiology;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응급의학과 전문의 진료지도 여부가 단기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

        권재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서론 응급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 정부에서도 환자안전 및 진료의 전문성 확보를 위하여 응급실 전문의 상주근무를 법제화하고 상주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수를 늘리려고 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응급실에 상주하고 있는 응급의학과 전문의 1인이 모든 응급실 환자의 진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과밀화가 심한 응급실에서는 불가능하며, 현재 10여년간 응급의학과 전문의 공급은 수요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들의 진료방향을 결정하는데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결정한 군(staff-supervised group)과 응급의학과 상급 전공의가 결정하고 필요 시에만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연락하는 군(staff on call group)으로 나누어 두 군의 비교를 통하여 제한된 응급의학과 전문의 인력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를 거쳐 2012년 3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10개월간 일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자의무기록지를 이용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15세 미만의 소아, 분만을 위하여 내원한 환자, 접수취소 및 사망한 상태로 내원한 환자를 제외한 전체 54,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진료방향을 결정한 군(staff-supervised group)과 응급의학과 상급 전공의가 진료 방향을 결정하고 필요 시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연락하는 군(staff on call group)으로 나누어 각 군에 따른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타 진료과에 진료의뢰를 시행하는 시간, 중증도에 따른 사망률, 진료 결과의 차이 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각 군의 남녀 성별비는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과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진료 결과는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과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각각 15,473명(60.1%), 20,283명(71.3%)로 두 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나(p<0.05) 모두 귀가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 외 입원, 전원, 사망 순으로 나타났다.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수를 보면 경증(4,5단계)으로 분류된 환자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18,611명(72.3%),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21,462명(75.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응급실에서 타 진료과를 호출한 비율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내과의 호출이 10,423명(40.48%)으로 가장 많았고,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는 응급의학과의 호출이 14,106명(49.57%)으로 가장 많았다(p<0.05).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이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평균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타 진료과를 호출하는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5), 각각의 평균 시간이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보다 더 길었다.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보다 중증-중등증(1,2,3단계) 환자 및 경증 (4,5단계)환자에서 평균 체류시간이 길었다(p<0.05). 생존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증-중등증(1,2,3단계)환자에서 응급실 체류시간에 따라 사망 위험율이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보다 대조군(staff on call group)에서 1.63배 더 높았다. 결론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대조군(staff on call group) 보다 응급실 체류시간, 응급의학과 의사가 환자를 보는 시간 및 타 진료과 요청 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중증-중등증(1,2,3단계) 환자들에서 응급실 체류시간에 따른 누적 사망률은 비교군(staff-supervised group)에서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지도를 받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체류시간은 길어지나 환자의 사망률은 낮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응급실의 혼잡도 및 이용 가능한 검사나 인력을 비교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중증-중등증 환자에서 환자의 사망률을 유의하게 낮추고 있음을 고려해 보았을 때 현재 제한된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중증-중등증(1,2,3 단계) 환자에게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집중이 되어야 하고, 상대적으로 경증 (4,5단계) 환자의 진료 결정은 응급의학과 전공의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응급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향후 모든 환자를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시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대체의학에 대한 조리 종사자의 인식도 조사

        이소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of vitalizing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and surveyed 310 cook workers on 4 types of general information(sex, career, etc.), their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current status of use, perception level, etc.), and 8 perception items of food therapy(perception of nutrition therapy, prospect of use, expected effect, etc.). As for the perception of alternative medicin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it, mostly through “the Internet, TV, radio and printed publications” or “education, lectures, seminars and exhibitions”. Many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alternative therapy as a supplementary means to relieve symptoms and pain. As for the utiliz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positive survey results about “scientific standardization”,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through systematic programs”, “accurate publicity and education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stitution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respon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therapy, because “it enhances the effect of treatment when applied in conjunction with medicine”, and “it can be used and accessed easily”. Most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ood treatment menu to prevent disease, and demanded “development of supplementary treatment menu for a specific disease of an individual”, “development of health menu required for the general public”, “development of diverse food and products as a convenient meal”, and “development of detailed menu by life cycle”. When asked about whether they were willing to be educated when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professional courses were set up, most cooks expressed taking them actively. As for the role of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respondents perceived that “it helps to prevent diseases”, “helps with the treatment of diseases”, “helps to prevent aging and prolong life”, and “it is a safe method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urvey, the perception of cook workers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was found to be positive in most item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ducation systems for cook workers and expend nutrition therapy majors by promoting positive perception about alternative medicine(nutrition therapy)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조리종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 4항목(성별, 경력 등), 대체의학의 인식도(대체의학의 인식, 이용현황, 인지수준 등), 식품치료의 인식도 8항목(식품치료의 인식, 이용전망, 기대효과 등)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도의 경우 과반 수 이상이 대체의학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TV, 라디오 및 인쇄매체’나 ‘교육 및 강연, 세미나, 전시회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체요법을 경험한 이유는 ‘증상 및 통증의 완화 등 치료방법의 보조적 수단으로’이용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대체의학의 활용방안의 경우 ‘과학적 표준화 선행’,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대체의학에 대한 정확한 홍보와 교육’, ‘제도권 진입’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며, 식품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현대의학과 병행하면 치료의 효과가 상승’되기 때문에, ‘손쉽게 활용하고 접할 수 있기 때문에’라고 하였다. 질병예방을 위해 식품치료식 메뉴개발이 매우 필요하다고 대부분이 응답하였으며, ‘개인별 특정 질병에 대한 보조치료식 메뉴개발’, ‘일반인들에게 필요한 건강메뉴개발’, ‘식품 및 제품을 편의식으로 다양하게 개발’,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된 메뉴개발’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 전문인 과정이 마련되면 교육을 받을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부분의 조리종사자들은 적극적으로 받아 볼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의학(식품치료)의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 ‘질병예방에 도움이 된다’, ‘질병치료에 도움이 된다’, ‘노화예방과 수명연장에 도움을 준다’,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 ‘현대 의학적 치료와 병행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다’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조리종사자들의 대체의학(식품치료)에 대한 인식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체의학(식품치료)의 학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 조리사종사들의 교육제도 방안 마련과 식품치료 전공확산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