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반려동물 상실과 애도에 대한 중년여성의 통합예술치료 기반 내러티브 탐구

        마수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35

        반려동물 상실과 애도에 대한 중년여성의 통합예술치료 기반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치료 전공 마 수 현 지도교수 : 임 정 은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중년여성의 상실과 애도에 대한 통합예술치료 사례를 통해 중년여성의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연구하고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5년 3개월간 함께 하던 반려동물을 상실한 지 1년 2개월 된 49세의 중년여성 1인이다. 연구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4월부터 ~ 2023년 8월까지 심층 인터뷰 2회와 통합예술치료의 과정 12회기를 주 1~2회로 하였으며, 회당 프로그램 진행 시간은 120분에서 180분 정도 소요되었다. 반려동물 상실과 애도에 대한 중년여성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일대일 방식으로 진행하고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인터뷰 자료, 통합 예술치료 작품, 사진 자료, 진행 과정 동안의 모든 내용을 전사한 축어록과 현장 관찰 노 트 등이 탐구자료로 활용되었다. 프로그램은 예술 매체의 장점을 두 가지 이상 상호 보완 적으로 통합하여 통합예술치료로 Worden(2007)의 애도 과업을 프로그램 목표에 단계적으 로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모든 회기 후 작품을 돌아보며 통합예술치료 경험에 대한 진술 인터뷰를 진행하여 연 구 참여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고, 스스로 변화 과정을 발견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 은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단일사례 연구로 그 경험의 내용과 구조를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자기 경험 이야기를 통하여 고유한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서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 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내러티브 연구방법의 핵심 특징으로 볼 수 있는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인 시간성, 공간성(장소), 사회성(상호작용)의 맥락을 고려하여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의 반려동물 상실과 애도 경험을 범주화하였으며, 코딩 과정에서 발 견된 새로운 범주 간의 연결점을 찾아 연구 참여자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 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 참여자가 통합예술치료를 통해 얻은 경험의 의미를 내러 티브 탐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1) 혼자 버티며 어둠 속 무겁게 가라앉음‘상실로 인한 고통 반응’ (2) 너와의 추억은 그대로 내 안에‘애도 의 직면과 감정 표출’ (3) 너를 느끼고 기억할게‘갈등의 해소와 자기 이해를 통한 변 화’ (4) 너는 그곳에‘대상이 없는 현실의 적응과 통찰’ (5) 다시 길을 찾다‘발견과 실 제적 변화로 성장과 통합에 이르는 길’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하던 반려동물과의 사별은 어렵고 힘들지만, 슬픔을 억누르고 감추는 것이 아닌, 함께 했던 좋은 기억들을 떠올려 표현하고 애도 과정을 충분히 거침으로써 상실 고 통을 완화하고 나아가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달았다. 둘째, 반려동물 상실이 사람 가족의 상실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반려동물 상실로 인 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애도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통합예술치료가 치료적 접근에 활용방 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통합예술치료 과정을 통해 참여자 스스로 통찰을 통해 개인·사회·관계의 상호 작용에 긍정적인 변화와 실제적 성장을 이뤘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사람의 사 별만큼 상실의 고통과 슬픔의 아픔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하기에 반려동물의 상 실로 인한 애도의 중요성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또 이러한 상실을 다루는 과정에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적용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1) 주 제 어 : 반려동물 상실, Pet Loss, 상실과 애도, 통합예술치료, 내러티브 탐구

      •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자기성장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장유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19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자기성장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예술치료전공 장 유 진 지도교수:임정은⋅박지은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과 자기 성장주도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진행은 2023년 6 월부터 7월에 걸쳐 사진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구상과 선정, 사전검사, 사진 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35세 이상 55세 미만의 경력단절여성 2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은 주 1회, 매회기 120분 총 8 회기의 사진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10명은 같은 기간 아무런 처치 없이 일상생활만 하게 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자아정체감 검사지는 서봉연(1975)이 번안하고, 박아청(2003)이 한국형 자아 체감 검사의 타당화 작업을 다시 시도한 Dignan(1965)의 자아정체감 측정 도구를 총 60 개의 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이경혜(1997)가 수정 보완한 20문항의 자아정체감 척 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성장주도성 검사지는 자기성장주도성 척도Ⅰ의 한계점을 보 완하여 발전시킨 척도를 국내 실정에 맞게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된 척도 (Robitschek et al., 2012)인 한국판 자기성장주도성 척도Ⅱ를 사용하였다(손단비, 2016). 본 연구는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2.0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 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성장주도성과 자아 정체감의 사전측정감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둘째, 측정 시점(사전-사후)에 따른 변화가 유의미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에 대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별 비교를 위하여 사후점수와 사전점수의 차이 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기성장주도성이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자기성장주도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 사진치료, 경력단절여성, 자아정체감, 자기성장주도성

      •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엽의범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431

        본 논문은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 학과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예술경영학과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미국과 비교분석하여 중국 예술경영 학과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대학 사례는 예술경영학과를 최초로 설립한 중앙희극학원과 예술경영학부 모집 코드를 최초로 신고한 중앙미술학원, 상하이희극학원 에 단과 예술 대학교에서 개설한 예술경영학과를 선정해, 학과 교수진과 커리큘럼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우선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후 학부 과정으로 확장했기 때문에 학부에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학교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필자가 예술행정교육자협회(AAAE: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의 구성원인 Butler University, 종합대학교 Drexel University와 예술대학교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를 선정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두 국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중국의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는 학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무용계 활성화를 위한 예술경영교육도입 방안연구

        전선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415

        본 연구는 무용계의 활성화를 위해 예술경영교육도입을 통하여 아직체계를 잡지못한 무용계의 학문적인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준비되어진 무용전공 예술경영인이 필요하게 된 문화예술계의 현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능력의 무용전공자를 무용계는 양성해 내야 한다고 본다. 10년이 족히 넘는 긴 시간의 훈련으로 ‘무용’ 이라는 속성상 자발적이든 타의적이든 졸업과 동시에 진로를 찾지 못하는 전공자와 또 30대초의 이른 이에 조기은퇴를 해야 하는 상황을 전문무용수는 직면하게 된다. 이렇듯 어릴 적부터 오랜 훈련과 교육을 통해 무용에 깊은 열정을 가진, 공연을 통해 무대 경험과 단체 생활에 익숙해진 그들이 너무나 이른 나이에 사회로 나오게 된다. 긴 시간동안 무용을 전공한 이들은 무용예술과 관련된 일에 활동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실기위주의 수업으로 인하여 많은 다양한 문화 예술계의 길이 있음에도 그 길을 알지 못하고 졸업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무용계의 양·질 향상과 사회적 위상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무용공연예술관련 업무가 상당히 많음을 설명하였다. 이젠 무용계에 예술경영교육과 무용경영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예술경영학은 이러한 폭증하는 문화예술과 소비자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매개할 방법론을 총계 적으로 연구하는 신생학문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다. 무용경영학은 무용학과 경영학의 복합적 교과로서의 학문이 아니라, 무용학의 일부로서 무용이 보다 네트워크화 되어 가고 있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매개체적인 학문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술경영학은 시스템화한 일부 산업현장과 달리 '현장성, 노동집약적, 휴먼네트워크 중심, 비(非)자동화, 공익성, 창조성‘ 등 예술현장의 특성을 감안해 이런 전제조건들을 명확하게 교육하고 수용시킬 특화된 커리큘럼이 요구된다. 무용 경영학 역시 사회적 수요의 변화분석과 예측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며, 무용경영학에서 다루어야 할 대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류 및 분석연구에 이어 이를 실제 사회적 요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분석 및 무용경영학 교과과정 제안 등 세부적인 선행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예술경영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한 영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무용경영학의 연구방향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예술경영분야에서의 미국의 6개 대학의 커리큘럼과 예술경영교육 사례를 들었으며 우리나라의 교과과정과 함께 분석해 보았다. 또한 무용학 석사학위를 토대로 예술경영학 영역에 대한 논문을 중점으로 연구하여 예술경영과 무용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용학 분야의 예술경영학은 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에 관한 연구로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다. 마케팅 이외에 예술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포함하는 ‘예술경영개관’, 예술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예술 정책 및 행정‘ 그리고 예술의 정보체계구축을 위한 ’예술경영과 정보체계‘, 공연을 위한 극장의 활성화와 운영에 대한 ’극장 경영‘, 예술단체의 운영방안에 대한 ’예술단체‘, 예술가의 인력관리관령 연구인 ’인적자원관리‘, 공연의 대중화를 위한 ’이벤트/축제‘ 관련 연구 등 여러 분야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되어져야 만이 앞으로 무용학의 예술경영학 분야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또한 무용경영학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또한 생겨 날 것이다. 아울러 예술경영의 전반적인 흐름과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용공연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자하며, 현재 무용학과내 예술경영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곳의 교육 실태와 우리나라 무용학과내에 부재되어 있는 예술경영교육을 통해 무용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무용공연시스템의 개선점과 방안을 올바르게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research plan below proposes an academic-based approach to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of dance, which up to now has yet to be formalized in Arts Management education. Such an approach requires a closer look at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nd its actual demand for professional dancers, which in turn drives the need to cultivate more dancers who are qualified to meet those demands. From having majored in dance with over 10 years of training and still not being able to decide on a career path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 in dance, to having danced professionally but suddenly having to retire in one’s early 30s, these are some of the realities that dance professionals face today. Dance professionals develop a deep passion for dance through a long and arduous course of training and education that starts from a young age, and become accustomed to stage life and working in a team environment at an age much younger than most in other professional fields. Due to the fact that current approaches to dance education focuses solely on the practice and exercise of the art of dance, many of those who have trained in d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end up graduating without the knowledge that there are many other career options available to them in the field of D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with specificity the changes needed in Performing Arts and Danc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eld of Dance as well as its place and status in society today. Currently, there is a great need for Art and Dance Management education. Art Management Studies is a somewhat new but comprehensive field of study that researches methodologies to define and set the relationship between surging cultural arts and its consumers. Dance Management Studies should be recognized as not simply a combination of Dance studies and Management studies, but rather as a truly interdisciplinary field of academic study that attempts to respond to the complex networking needs of the dance industry as it exists in today’s modern world. In Art Management Studies requires a specialized curriculum that understands and can clearly educate its students on the unique demands of the industry. For example, unlike the typical industrialized or corporate workplac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of art can be among others, "on-site, labor intensive, human network focused, un-automated, beneficial to the public, and creative.” There is also a dire need in Dance Management Studies to research and track changes in the social demands of the field and to make sensible projections based on newfound understandings in order to further categorize and identify what areas in Art Management are in need of study. In addition, a more active pursuit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prerequisite studie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s a possible career path are needed to better prepare students for a fulfilling a career upon grad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Art Management education in South Korea which has increased rapidly of late, and to provide a direction and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as a new and emerging field. To accomplish this, we will analyze and compare the curriculum in 6 Art Management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curricula that exists today in South Korea. We also used the Masters’ theses in the field of Art Management and Dance Studies to augment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trends in these fields. There is a tendency in Art Management studies related to the dance field to focus too much on researc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business of dance performance.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ed curriculum for Dance Management studies is needed which should include courses in a diverse range of topics including: "Art Management Fundamentals," which should teach Art Management as a structured curriculum excluding marketing; "Art Policy and Administration," which focuses on managing the business of performing arts; "Art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that teaches the structure of IS in the arts; "Theater Management" for managing theater performances and operations; "Art Groups" for operational plans of art organiz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lated to the stud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artists; and "Events and Festivals," which touches on ways to promote performances. Additionally, based on the overall flow and theories of Art Management, we pla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South Korea's performing arts. Furthermore, we plan to observe the education status of locations where Art Management studies courses are currently being offered, and consider ways to promote the field of dance as we provide improvement points and a plan to correct currently implemented systems.

      • 우리나라의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 교육과정 실태와 설문조사를 통한 운영방안 개선 연구 :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399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lated subjects(music) an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training courses that run from organized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overall status and measures to improve operations through a survey research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Promotion of research and analysis, we first determine the status and complete questionnaires on the basis of thi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lated subjects (music) students were surveyed. The survey result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is traditional art-related departments (music), the problems of curriculum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side of related elements for a good curriculum design. University educational goals, philosophy, vision, and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lthough they appeared as a result of unsatisfactory. Curriculum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needs were obvious problems with claims, respectively. The needs of students with frequent or regular feedback, and th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uch as the configuration will be improved through feedback. Second, It is the side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cour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in the ratio of theory and practical learning of students in terms of practical ratio was high. This can also be interpreted otherwi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Survey of major practical assignments in the average weekly hours to 65 minutes, respectively. This is an extension of time , many students hoping to major practical is the fact .Music education-related course of some negative perceptions about open social change and future career path and choose adjustments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at choice, and persuasion is required. Third, it is the si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learning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faculty , counseling courses in various fields of the activation and opening requirements are determined by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 As indicated in a survey of practical hands- class activities for lack of time is difficult to score first , second weakness of the class interest or concentration , and the third was due to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particular, the lack of time, the students practical training and recognized as a common frustration. This solution should be presented on a curriculum. The weakening of interest or concentration of the class each student's interest, attention , concentration is related to . But, This is a practical, hands-on lab, to the lessons of that educators who are responsible for class representatives, learning materials, preparation through critical density.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classes in order to improve this, Professor of materials, that can be fixed should be accompanied by a thorough preparation is the problem. In addition, global talent, the ability of a foreign language with the aim of suet, various music areas, equipped with a wide range of insights for the integrated learning of is expected to be tried. In conjunction with th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performed in more than one major department or in conjunction with Convergence Education will be the preferred alternative . The theory, practical lab course Professor as sufficient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working on. Fourth, It is the side of the learners'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future career and future aspects of arts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concerts throughout the year as a whole, the results for the number of responses were also found to be appropriated. However, in terms of number of participating in concert. the deviation of the University. In addition, concert for students with issues of sufficient skills and opportunities has been a meaningful time and students in the content and quality of music concerts, the stage becomes a problem also spreads. These are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various gigs through the opinions of sympathetic enough to be a solid concert that set the direction will have to be efforts . Some are career-related course at a University that is a necessity in many sympathetic. Also, the conditions are different for each univers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reflect far more variable . So we think that Review these points and for the need to be able to enforce the consensus. Some University, performing arts, music therapy, such as subjects of a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planning courses, cultural content,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arts courses such as philosophy. These courses are traditional performing arts-related departments (music) graduates of the activity area, expansion, new academic requirements ,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learning and students must be the subjects you want to open is no judgment . So University needs to try selectively introduce. 우리나라의 4년제 대학교를 중심으로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과정의 현황 즉 편성에서부터 운영 전반에 걸쳐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실태와 설문조사를 통한 운영방안 개선 연구가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추진을 위해서 먼저 실태를 파악, 분석하고 여기에 근거하여 설문을 작성하고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결과를 분석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바람직한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관련 요소 반영 측면이다. 대학교 교육목표, 철학, 비전 등이 교육과정에 잘 반영되어야 함에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로 나타났다.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요구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당연한 주장으로 판단되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대학교 교육목표, 철학 비전 등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고 학생들이 인식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를 수시 혹은 정기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다음 교육과정 구성에 반영하는 등 피드백을 통하여 개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이론과 실기  실습 교과목 측면이다.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에서 시행중에 있는 이론과 실기 학습의 비율 측면에서 학생들은 실기 비율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전공과목 별 특성에 따라 달리 해석될 여지도 있다고 보여 진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 전공 실기의 실태조사에서 주당 평균 배정시간은 65분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전공 실기시간의 연장을 희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음악교육 관련 교과목의 개설에 대한 일부 부정적 인식은 사회 변화와 장래 진로와 선택에도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식의 설득이 필요한 대목이다. 셋째, 교수  학습의 질 개선 측면이다. 학습자와 교수와의 면담, 상담의 활성화와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 개설 요구는 문제점이자 애로사항으로 판단된다. 실기실습 수업 활동 중에서 어려운 점이나 애로점으로 첫째로 시간 부족을, 둘째로 수업의 흥미나 집중도의 약화, 셋째 교수 및 학습 자료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기 실습 시간의 부족은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애로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과정상의 해법이 제시되어야 한다고 본다.수업의 흥미나 집중도의 약화는 학생 개개인의 흥미, 관심, 집중력 등과 관련되겠지만, 실기 실습을 담당하는 수업 담당자 즉 교육자의 수업 밀도, 학습자료, 준비성과도 직결되는 문제가 더 크다고 본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방식의 도입과 교수 자료, 철저한 준비가 수반되어야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글로벌 인재를 목표로 외국어 능력의 구비, 인문학적 소양 쌓기, 다양한 음악 분야에 대한 폭넓은 식견의 구비를 위하여 통합학습도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시도되고 있는 둘 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융합교육도 일부 시도한다면 바람직한 대안이 될 것이다. 현대 예술의 경향은 탈장르, 장르 융합의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외국의 교육기관도 이런 변화에 발맞추고 있음을 착안해야 할 것이다. 이론, 실기 실습 교과목 담당 교수간의 충분한 정보 교환으로 교수 학습의 질 개선에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참여 활동 및 향후 진로와 미래의 예술 교육 측면이다. 학생이 참여하는 각종 연주회의 연중 횟수에 대한 응답 결과는 전반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주회의 내용으로 들어가 보면, 연주회의 참여 횟수 면에서 대학교별 편차가 나타나고 있다. 연주회의 문제점으로는 연주회의 횟수보다 학생들이 충분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하였는가와 학생들이 연주회 무대에서 펼쳐지는 음악의 내용과 질이 문제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각종 연주회는 참여자인 학생들과의 교감을 통해 그 의견을 충분히 들어 내실 있는 연주회가 될 수 있도록 그 방향을 설정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진로 관련 교과목은 그 개설의 필요성에 다수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각 대학교의 여건이 다르고 교육과정 반영까지는 변수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나 이를 검토하고 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부 대학교에서 도입하고 있는 공연예술, 음악 치료 등 과목 중에서 국악 공연기획 과목, 문화컨텐츠, 한국문화 이해, 예술철학 등의 과목은 전통예술 관련학과(국악)전공자의 활동 영역확대, 새로운 학문적 요구, 새로운 지식의 학습과 습득의 측면에서 학생들이 개설을 원하는 과목임에 착안하여 대학교에서 선택적으로 도입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한국무용분야 학술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양효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83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 discipline is establishing firm knowledge systems; to study the knowledge systems of a discipline, analyzing what specific subjects the discipline handles is needed. Bibliometric analysis, one of methods to analyze subject bibliographies, is methodology to study the preferences, types and trends that are expressed through bibliographies; this investigates the way of distribution and deploy of knowledge and traces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discipline by metrically analyzing bibliographies. Although dance is the most primitive way of expression for human, which was generated and has developed with human, there was no philosophical attention or systemic effort for theorization; it was no earlier than the 20th century when dancing began to be recognized as a research area equal to other fields of arts. Studies on Korean dance, which was spontaneously generated and developed by Korean people based on Korean culture and has been handed down to these days' generation, started with the production of the very first master of Korean dance from the Department of Sports at Ehwa Women's University in 1958, and today, 69 universities have a dancing department that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on Korean danc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knowledge system with regard to masters' and doctors' thesis on Korean dance will allow for understanding its common problems in today's society and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each genre and finding a future image of Korean dance.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is necessary to discuss its identity, and bibliometrically analyz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dance studies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this discussion.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knowledge structures of various discipline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however, merely no biblio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dance, especially Korean dance.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will conduct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title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s' thesi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I used Krkwic, a Korean language analyze program, to find frequently used words, regulate and systemize the words by grouping similar word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the thesis, based on the systemized words I analyzed the frequency in the use of names in Korean dance, research trends in each genre and among genres and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cultural and art genres, social functions and managerial elem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udies began to rapidly increase since 2000 and that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increasing. The frequently-used names to refer to Korean dance were muyong, mu and chum; of these, mu was the most frequent. With regard to genres, many studies investigated folk dance. The result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itles and artists of Korean dance indicated that Seon-young Gang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titles and artists.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cultural and art genres showed that Korean dance had the most frequent relations with music that is one of important components of dance and humanities that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Korean dance.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mperial court dance had frequent relations between humanities while folk dance, ritual dance and new dance with music.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social functions showed a remarkable relation with education; inter-genre 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itual dance and new dance had the most active relation with performance while imperial court dance and folk dance with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 with managerial elements showed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are related to production man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Korean dance while relations with financial management were insignificant. Although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has remarkably developed since late 1990s including increased multi-disciplinary studies, there still exist many challenges for Korean dance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on this I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an academic system for the name of Korean danc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in-depth studies. Secondly, active multi-disciplinary studies between cultural and art genres and Korean dance genres are needed to suggest an image of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Thirdly, professional multi-disciplinary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convergent academic system. Fourthly, as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various fields of arts are rapidly increasing, I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ance studies for the field to develop as a new academic field by adopting the components of art management and started this study. However, due to lack of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this study was not thoroughgoing with regard to the approach of art management.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investigate Korean dance from viewpoints of management and marketing and focus on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overall research trends in Korean dance and clarified the relations among various disciplines. However, the study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a word may be differently understood by difference researchers and the titles of thesises were not sufficient to deduce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dance and various disciplines. I look forward that based on this study many original and professional studies such as combined multi-disciplinary studi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art management and cultural and social functions will be conducted so that Korean dance will grow as a more systemic field of research. 학문 분야의 발전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는 탄탄한 지식체계를 형성해 나가는 일로서 학문의 지식체계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문헌이 다루는 주제의 분석이 필요하다. 주제문헌의 분석방법 중 하나인 계량학적 분석방법은 문헌의 서지를 계량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헌을 통한 지식의 배포 및 유통과정을 연구하고, 특정 학문분야의 발달과정을 추적하는 등 문헌을 통해 표출되는 지식의 속성과 형태, 동향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표현수단으로 인류와 함께 생성, 발전되어 온 예술인 무용에 대한 철학적 주목이나 이론화의 시도를 위한 노력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20세기에 들어서면서야 비로소 다른 예술분야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연구영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한국무용에 관한 연구는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에서 한국무용분야의 석사가 처음 배출된 이후 69개의 대학 및 대학원에 무용학과가 설치되어 각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무용 이론 및 실기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무용 석·박사학위논문 관련 지식체계를 조사 ․ 분석한다면 오늘날 우리사회가 가지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공통된 문제점은 물론 한국무용분야의 장르별 발달 과정도 관찰 할 수 있으며, 한국무용이 추구하는 미래상의 발견도 가능할 것이다. 한국무용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한국무용의 현재 모습을 파악하는 연구이며,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지적 구조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는 연구는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나 무용 분야 특히 한국무용분야의 계량서지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은 형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분야 석․박사 학위논문의 서명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후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대학별 논문 발표현황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분석 프로그램인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높은 빈도를 보인 단어를 찾아 통제작업을 거친 후 유사단어를 묶어 단어 체계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한국무용분야 학위논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체계화된 단어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명칭의 사용 빈도분석, 한국무용분야 장르별 ․ 장르간 연구동향, 문화예술장르, 사회적 기능, 경영요소와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대에 들어 한국무용분야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며 다양한 주제와의 복합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한국무용의 명칭으로는 무용, 무, 춤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중 ‘무’ 라는 단어를 사용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르별로는 민속무용 장르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고 한국무용 작품명과 무용가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무용가 강선영씨가 작품명 및 무용가들과 가장 빈번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문화예술장르와의 연구동향 분석결과 무용의 중요 구성요소인 음악, 한국무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인문학과의 관계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장르별 관계분석에서는 궁중무용은 인문학과 민속무용, 의식무용, 신무용은 음악과의 관계형성이 활발했다. 사회적 기능과의 연구동향에서는 교육과의 관계가 돋보였고 장르별 관계분석 결과 의식무용, 신무용은 공연과 궁중무용, 민속무용은 교육과의 관계가 가장 활발했다. 마지막으로 경영요소와의 관계 분석에서는 한국무용 제작에 깊은 관련이 있는 생산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재무관리와의 관계형성은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90년대 후반부터 예술경영을 비롯한 다양한 학제간의 복합연구가 증가하는 등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학문의 한 고유영역으로 정착하기 위해선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재해 있음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국무용 명칭 사용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무용 명칭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무용분야의 새로운 발전상 제시를 위해 문화예술과 한국무용분야 각 장르간의 활발한 복합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국무용분야 관련 연구가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적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간의 연결성을 가진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예술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무용분야 역시 예술경영적 요소를 받아들여 새로운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무용분야 연구의 현 주소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에 관한 연구물 부족으로 인하여 예술경영적 시각에서 접근하는 점이 미흡하였다. 그리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경영 및 마케팅적 측면에서 한국무용분야를 바라보고 예술경영을 접목시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무용분야가 학문적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본 연구 진행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동일 단어라도 연구자별로 의미 해석의 차이를 가질 수 있으며, 분석대상인 학위논문 서명이 한국무용분야와 다양한 학제간의 관계 도출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 등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무용분야의 예술경영 도입 및 문화예술 ․ 사회적 기능과 관련된 복합연구 등 다양한 학제간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한국무용분야가 좀 더 체계적인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 연출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칠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83

        The various phenomenon of social field appeared in the 21st century, a cultural age suggests us the necessity to nurture the creative talent who has the rich artistic sensibility and cultural creativity. While watching a economic ripple effect made by the creative talent, we also experience the situation leaded by creativ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dustrial society, in the creation method of value added. Since 1960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already concentrated on nurturing of the talent with creativity in order to assur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n Korea, the importance of the arts education was recognized and the various kinds of policies and businesses have been earnestly initiated from 1990s. In Korea, a arts high school is representative as the early education institution for nurturing the professional artists. It would be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arts high school, the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at this time when the necessity to train the creative talent is highlighted. In particular,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may be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in 21st century, the cultural age in that the purpose of it is to enhance the creative imagination and critical intellect of the majors.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theater, film, direct in arts high school would be the basis to examine the situation in which we strive to nurture the creative talent in early education. However, In Korea, the reality is that a different recognition of the direct eduction is shown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the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in arts high school and professors in the university which established the similar departments. This is revealed as the contrast between the education course of arts high school with a purpose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selection method of freshman in the university which tries to evaluate the basic knowledge and academic ability, and leads to the confusion of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ontrary perspectives of both groups on the direction education in arts high school and attempt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by conduct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the verification of contrary recognition through the various survey of current condition, the questionnaire of 156 teachers and professors in chare of the education of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in arts high school and university. And the following proposal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education conference to investigate the policy of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ion in arts high school by constructing the network among the professors in chare of direct and representatives of teachers in arts high school. The education course and curriculum in arts high school sh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education conference, and the role in which the arts high school as the connection institution for entering university must engage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Second, It is important for the university which selects the students majored in theater, film, direction to suggest the accurate education course of direct major, that is, what kind of examinee would be selected and educated for four years and what category of artists or theorists would be nurtured in future. Only then various methods to select the freshman suitable for the education goal may be suggested in the university, and the arts high school would perform the adequate education and do a role as the connection institution for entering college. The current uniform selection method with a purpose to competitively receive the students with high score of entrance exam has the form which ignores the evaluation of quality and aptitude of the major of theater, film, direct and lacks the features of each universities. Third,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ubject in arts high school needs to be organized as the subject related with a humanity faculty. Because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requires the knowledge about the adjacent disciplines and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 make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 the evaluation standard, in reality, it would be desirable to strength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and simultaneously prepar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y organizing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ubject as the subject related with a humanity faculty such as philosophy, logic, literature and enhancing the basic knowledge of various humanities. Fourth, the education course of arts high school should be newly modified in order to nurture the creative talent. The reason is that because the creative talent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can think comprehensively with the artistic sensibility and cultural creativity and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is able to enhance the creative imagination and critical intellect higher than any other fields, the direction education in arts high school should be suitable to nurture the creative talent necessary in the 21st century. In spite of some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various survey of current condition 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would suggest the beneficial plan to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in arts high schoo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make som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of theater, film, direct in arts high school. 21세기 문화의 시대가 만들어 내는 사회분야의 여러 현상은 우리에게 풍부한 예술적 감수성과 문화적 창조성을 지닌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창의적인 인재가 만들어내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켜보며 우리는 부가가치의 창출방식 역시 산업사회와는 달리 창의성이 주도해가는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전 세계의 여러 나라는 이미 1960년대 말부터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창조성을 지닌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었고, 국내에서도 1990년대부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종 정책과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국내에서 전문예술인을 양성하기 위한 조기교육기관으로는 예술고등학교가 대표적이다. 창의적인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표적인 교육기관인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특히나 연극․영화 연출교육은 전공생들의 창의적인 상상력과 비평적인 사고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21세기 문화의 시대에 가장 적합한 교육과정일 수 있다. 따라서 예술고등학교의 연극․영화 연출전공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조기교육에서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는 우리의 현실을 살펴보는 기준이 될 것이다. 하지만 국내 연극․영화 연출교육의 현실은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담당교사들과 연극영화계열 개설대학의 대학교수들 조차 연출교육을 바라보는 상반된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 이는 전문교육을 목표로 하는 예술고등학교로서의 교육방향과 기초소양 및 학업능력을 평가하고자 하는 대학의 신입생 선발방식으로 표면화되어 연극․영화 연출교육의 혼선을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연출교육을 바라보는 두 집단간의 상반된 시각차에 주목하고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각종 현황조사를 통한 상반된 인식의 검증, 또한 예술고등학교와 대학 연극영화과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교수와 담당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극․영화 연출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예술고등학교 교사들의 대표들과 대학의 연출전공 담당 교수들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 연출교육의 방향을 연구할 교육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협의체를 통해 예술고등학교의 커리큘럼과 교육방향을 설정하고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연계기관으로서의 예술고등학교가 과연 무엇을 담당해야 하는지 그 역할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극․영화 연출전공 학생들을 선발하는 대학에서는 대학의 연출전공 교육방향이 무엇인지, 즉 어떤 수험생을 선발해서 대학 4년간 어떠한 교육을 시키고, 향후 어떠한 예술가 혹은 이론가를 양성해 낼 것인지 명확한 교육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래야만 대학에서도 교육목표에 적합한 신입생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선발방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고,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는 이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여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연계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 할 것이다. 수능성적이 좋은 우수한 인재만을 경쟁적으로 입학시키려는 지금의 획일적인 선발방식은 연극․영화 연출전공자로서의 자질 및 적성평가가 간과된, 대학마다의 색깔이 없는 선발방식이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보통교과의 심화선택과목을 인문학관련 과목으로 편성하는 것이다. 연극․영화 연출교육 자체가 인접 학문에 대한 소양을 필요로 하고, 현행 대학입시 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을 주요평가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상황에서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은 보통교과의 심화선택과목을 철학, 논리학, 문학, 사회․문화와 같은 인문학관련 과목으로 편성해서 다양한 인문학적 기초소양을 쌓아 연극․영화 연출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에 대한 대비를 같이 하는 것이다. 넷째,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좀 더 새로운 형태로 변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는 예술적 감수성과 문화적 창조성을 지닌 융합적 사고가 가능한 존재이고, 연극․영화 연출교육은 어느 분야보다 창의적인 상상력과 비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야이기에 예술고등학교의 연출교육은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기에 적합한 교육과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다양한 현황조사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여 얻은 결론은 몇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 연출교육에 유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예술고등학교 연출교육 및 연극․영화교육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길 기대한다.

      • 국내 오케스트라 경영의 발전방향 연구 : 서울경기지역 오케스트라들을 중심으로

        서원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83

        오케스트라 경영이라는 것은 일반적 예술단체와 달리 대규모의 조직을 운영하는 것이며, 그것은 교향악단의 예술적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행정 및 경영의 파트너십을 통해서 오케스트라의 경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오케스트라의 경영 현황을 비교분석하는 것으로 오케스트라 경영에 필요한 재원마련을 위한 경영전략을 제시하여 국내 오케스트라 경영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오케스트라 운영 현황 비교 분석한 결과 3가지 측면에서 오케스트라 경영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 번째, 오케스트라 운영을 위한 예술가 조직과 예술경영조직의 부조화이다. 두 번째, 서울 및 경기 지역 내 국공립 산하 교향악단들의 외부 재원조달이 현격히 부족하다. 세 번째, 오케스트라 경영을 무조건 상업적인 공연을 통한 수익증대로 인식하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러한 3가지 문제점이 재원마련을 위한 다각적인 경영시스템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오케스트라 재원마련을 위한 경영전략을 제4장에서 제시하였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운영을 위한 재원마련을 위해서 교향악단 자체적으로 운영조직의 능률성, 운영의 안정성, 교향악단의 인지도, 시민의 참여도, 교향악단의 성장성에 대한 비전 제시가 필요하다. 둘째, 오케스트라 재원마련을 위한 개발전략으로서 일반 관객을 교향악단의 기부자 또는 후원자로 전환시키는 후원자 개발전략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후원자를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제도화된 후원회 조직 개발팀이 필요하다. 셋째, 교향악단 운영의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기금모금활동 전략이 필요하다. 이것은 개인과 기업, 공공기관, 기부의 유형 등에 철저한 마케팅적 접근이 필요하며, 공공적 기부와 후원 캠페인과 특별한 이벤트 기획 및 개최를 통해서 가능하다. 넷째, 이 모든 경영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조직개편으로서 오케스트라 리더십이 필요하다. 오케스트라 리더십은 바로 교향악단의 조직을 예술경영적 조직구조로 개편하는 것이다. 행정중심의 예술경영 조직 구조의 1단계 조직개편 모델, 통합적인 예술경영 파트너십 중심의 2단계 조직개편 모델, 교향악단 운영을 기부행정 중심으로 개편하는 조직구조 3단계 조직개편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교향악단의 예술경영 전략을 통해서 소비중심의 교향악단 운영을 생산중심의 창조적이고 활성화된 예술경영조직으로 탈바꿈하여 한국 교향악단 시장에서 클래식음악에 대한 팬덤문화를 형성하고, 기부와 후원문화를 촉진시켜 예술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