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근막이완술이 노인의 경부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박지혜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therapy(MFR) on neck pain and range about elderly patients with neck pain.

      • 한국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학습 동기 변화

        박지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changes happen to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March to April. This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 high and low groups of English ability. For this study, 107 students for first year in high school were participated.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questionnaire about English learning motiv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rist,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was decreased but amotiv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increased. Identified regulation was no change. It seems that students are studying English in external motivation rather than intrinsic motivation. And more and more the lack of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learning motivations was measu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students’ motivations were changed. Second, in the high groups of English ability, intrinsic motiv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were declined but external regul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re risen. Unlike other learning motivations in higher groups, amotivation was statistically meaningful(t=-2.930, p=.004). It shows that the change in higher groups’ learning motivation has become gradually lacking i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low groups, intrinsic motiv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went up but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went down.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in low groups’ learning motivations. This study was us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s. Therefore, if internalized learning motivations of students were measured accurately was not cl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teaching implications.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students’ English learning condition and make a change th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hey can help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posi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영어 능력 상·하위 집단에 따른 영어 학습 동기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남 Y군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생 총 107명을 대상으로 3월과 4월에 각각 학습 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는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감소하였으나 외재적 동기의 외적 조절과 부과된 조절, 무동기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동기의 확인된 조절은 같은 수준을 유지하여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내재적 동기보다 외재적 동기에 의해 영어 학습에 임하고 있으며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가 결여된 무동기 상태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학습 동기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동기간의 변화가 극명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변화하였다고 단언하기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 상·하위 집단에 따른 3월 초와 4월 초의 영어 학습 동기의 차이는 집단별로 상이하였다. 상위 집단은 내재적 동기와 부과된 조절이 하락하였고 외적 조절과 확인된 조절, 무동기는 상승하였다. 상위 집단의 다른 학습 동기들과는 달리, 무동기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므로 상위 집단의 학습 동기가 점점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가 결여된 상태로 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하위 집단은 내재적 동기와 부과된 조절, 확인된 조절은 증가하였으나 외적 조절과 무동기는 감소하였다. 하위 집단의 학습 동기에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무동기 모두 다양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하위 집단의 학습 동기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어떤 작용을 했는지 알 수 없다. 이는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내면화된 학습 동기를 명확히 측정했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 중학교 취약계층 학생의 학교생활경험 사례 연구

        박지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중학교 취약계층 학생의 학교생활경험 사례 연구 박지혜 교육행정・교육사회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이 연구는 새늘중학교 취약계층 학생들의 학교생활경험을 학습생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측면에서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고 그러한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을 학교 맥락,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기존 인식의 틀을 수정하고 실제 학교생활에서 취약계층 학생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학교 현장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새늘중학교 3학년 학생 3명으로 경제적 수준에 따라 일시적 취약계층, 준 취약계층, 취약계층으로 나누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생활 측면에서 취약계층 학생들은 공부를 즐거움과 자신감의 표현으로 인식하며, 자신의 욕구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수업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공동체에 기여하는 학습자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있었다. 교우관계 측면에서는 자신의 가치관을 근거로 서로에게 얽매이지 않는 교우관계를 맺고 있으며, 깊이 있는 사귐을 하는 친구와는 정서적 지지자로서 서로를 돕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를 적극적인 가르침과 깨달음을 주는 존재로 인식하면서도 정서적으로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대등한 존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을 학교 맥락,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 분석하면 학교의 관계 중심의 안전한 학교 분위기와 관계 형성이 일어나는 활동 중심 수업, 학생들의 성정이 일어나는 학생 자치활동 등이 학교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의 사회 자본이 제대로 기능할 때 경제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긍정적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 및 개인 맥락으로는 가정 내 정서적 지지자의 존재, 가정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성숙한 태도, 어려움에 대응하는 자기만의 최선의 방식, 명확한 자기 기준과 학교 안에서의 역할이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경험의 맥락으로 작용하였다. 핵심어: 취약계층, 긍정적 학교생활경험, 학습생활,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 사회자본, 정서적 안정감 ABSTRAC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School life experience case study Park Ji-hye Education Administration/Educational Social Studies Kyungin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school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es of Saeneul Middle School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erms of their learning development, peer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lso, it analyzed the context of such school life experiences by dividing them into school context, home, and personal context. Through this study, the existing framework of perception for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 was modifi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education sector figure out what these students actual need from school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third-year students of Saeneul Middle Sch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temporary, semi-vulnerable, and vulnerabl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conducted on the thre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learning, students from the disadvantaged class had an active learning attitude in realizing their dreams and perceived studying with joy and confidence. They also recognized themselves as learner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Among their peers, they have found that even though they are not bound by their peer relationship, they were able to support their friends emotionally with their own valu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a teacher’s job, to teach and enlighten the students. They perceived teachers as an equal that could emotionally empathize with them. When the social capital of the school functions proper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can lead a positive school life regardles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xt of school life experience by dividing it into school context, home and personal context, it was revealed that the school context was a safe atmosphere centered on relationships, activity-oriented classes where relationships form, and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where students could expression their emotions. In family and personal contexts, the presence of emotional supporters at home, a mature attitude toward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one's own best way to respond to difficulties, clear self-standards, and roles in the school are all important factors in students' positive school life experiences. Key words: Vulnerable class, positive school life experience, learning life, peer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social capital, emotional stability

      • 기업에서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터는 조직 구성원들이 일을 통해 학습하고 성장하는 공간이다. 일터에서의 학습 대부분은 일의 맥락 속에서 무의식적이고 우연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무형식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에서는 멘토링, 코칭, 학습조직, OJT 등의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무형식 학습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근간으로 하며, 조직문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조직문화는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암묵적인 가정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무형식 학습과 조직문화를 함께 논함으로써, 무형식 학습을 조절하는 조직문화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조직에 퍼져있는 일터 환경은 무형식 학습과 조직문화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일터 환경의 많은 특징들은 산업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즉 산업은 무형식 학습과 조직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이다. 이에 이 연구는 산업을 제조업, 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산업별로 무형식 학습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이 연구의 연구문제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제기하였다. 첫째, 일터에서 무형식 학습, 조직문화, 조직성과는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 개인 및 기업 특성, 산업에 따라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성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조직 구성원의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무형식 학습 참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문화가 조절기능을 하는가? 넷째, 산업별로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산업별로 무형식 학습 참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항에서 조직문화가 조절기능을 하는가?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11년에 실시한 제 4차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본사용 자료와 근로자용 자료를 모두 사용하였고, 그 외에도 ㈜한국신용평가의 기업재무 정보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기업은 총 421개이고, 근로자는 9,196명이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으로 변수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이후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 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및 기업 특성에 따라 무형식 학습 참여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에 따른 차이도 발견되었는데, 금융업, 비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 순으로 무형식 학습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업의 조직성과가 타 산업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업의 경우 타 산업보다 남성과 정규직의 비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게 측정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둘째, 전체 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무형식 학습 참여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직은 근로자들이 무형식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 및 지원함으로써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무형식 학습보다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많은 부분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을 관계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로 인지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문화는 인당 매출액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성과중심의 평가, 경쟁적 분위기가 오히려 인당 매출액의 감소를 가져다준다는 것이 밝혀졌다.셋째,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조직문화가 조절기능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무형식 학습과 조직성과를 조절하는 조직문화가 발견되었다. 직무만족은 무형식 학습이 혁신문화라는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향상되며, 위계문화라는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감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당 매출액은 무형식 학습이 관계문화라는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은 관계문화와 혁신문화 구축을 위해 노력함으로써, 무형식 학습의 결과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촉진하여야 한다.이 연구는 전체 산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이후, 제조업, 금융업, 비금융 서비스업으로 구분하여 동일한 분석을 실시하였다.이에 넷째, 산업별로 구분하여 무형식 학습과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산업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 참여, 관계문화, 혁신문화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위계문화는 조직몰입에, 과업문화는 인당 매출액 향상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금융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타 산업과는 다르게 금융업에서만 발견되었다. 관계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보다 조직문화가 조직성과를 보다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금융업 근로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합한 조직문화 구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반면에 무형식 학습 참여와 위계문화가 인당 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비금융 서비스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 참여, 관계문화, 혁신문화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과업문화는 인당 매출액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금융 서비스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 참여를 독려하고, 관계문화와 혁신문화를 구축하여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마지막으로, 산업별로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산업에 따라 다른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문화의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무형식 학습이 위계문화라는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직무만족이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금융업의 경우 무형식 학습이 위계문화의 인식 하에서 이루어졌을 때 조직몰입이 증가하고, 인당 매출액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상 유지, 안전성 등을 강조하는 금융업의 보수적인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반면에 비금융 서비스업의 경우 조직문화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한국 중학교 미술교육과 외국 중학교 미술교육의 비교연구

        박지혜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살고 있는 현재, 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수많은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 교육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다. 세계는 이러한 정보화 시대, 문화의 시대에 각 국의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한국 역시 미래사회에 걸 맞는 인적자원을 기르기 위해서는 세계교육의 변화를 직시한 올바른 미술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때이다. 외국의 교육을 비교분석하는 연구의 실용적 가치는 한국의 교육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현재 국내미술교육은 타성에 젖은 표현중심의 수업방식과 교사 위주의 교수 학습이 남아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풍토로 인해 미술수업은 이제 설자리가 없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한국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돌아보고 개선방향을 찾아가기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미술교육의 고찰을 통해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교 미술교육과 외국 중학교 미술교육의 비교 연구로 세계미술교육의 동향을 고찰하고 국내 중학교미술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며, 새로운 교육과정을 모색함으로써 교사들로 하여금 좀 더 폭넓은 안목과 균형적인 미술지도가 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미술교육 동향을 살피는데 있어,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독일, 일본을 선정하여 각 국과 국내외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특징적 요소들을 검토하고, 각 국이 지니는 교육내용과 방법, 교과서, 미술교육 사이트의 개발 실태를 중점으로 비교 검토 하였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우리미술교육의 실정을 다시금 되돌아보고, 그에 따른 대안과 방향을 제시해 주게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 한국 미술교육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문제를 올바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중학교미술교육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의 미술교육과정을 검토하되, 교육과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이론을 객관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장점을 받아들이고 단점을 보완하여 한국 미술교육의 현실에 맞는 이론을 정립하여 한국만의 독자적인 교육과정이 개발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계의 다양한 교과서의 개발과 현장에서 지도하는 교사들의 협력과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 한국 미술교육의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외국 미술교육의 동향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의 미술교육이 진부한 교육으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resent 21 century, the world changes fast and pour many information. The Education reflects the age transition and social desire positively. The world carry out new education what develops in information the age and culture of social, worth environment repeatedly. For growing human resource is time at the moment that makes way art education's rightly in recognition of world education change. Adapted on The worth research can be understand comparison and analysis to foreign country and use as research. We can see easily that present domestic arts education remains the expression center of class curriculum which gets wet in inertia. The education natural features of entrance examination isn't stand the place as arts education. For it looks back the problem point of Korean fine arts education, We have to search improvement way, I find result points through compare and analysis consideration each world's art educa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considers the world arts education's tendency as study of compare and analysis to Korea's junior arts education and foreign arts education, that suggests way of domestic junior arts education. Besides the aim find to right way to be teacher who can have more direction deeply and balance for new curriculum's groping. This research investigates foreign's arts education tendency, it selects America, England, Canada, Australia, German, Japan. and special factors what come out arts education and class curriculums include domestic and some foreign countries. It investigates the points an important through curriculum and way, school textbook, arts site in each countries. These things can be see back our arts education's real situation, it will suggest to counterproposal and wa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judge right to problem and having worth Korea arts education. I suggest that effectively junior arts education's way through improvement way. While foreign arts education curriculum come out, it accepts strong point through investigation as analysis the theory objectively. Which supply its defects, establish the theory matching reality in Korea arts education. It will be think developing important independent korea style's education curriculum. For it, that will be supported developing in the educational world's varieties school textbook and teach's effort in school. Forward, it needs the interesting for developing balance of arts education through foreign arts education tendency. It will be research study not falling platitude korea arts education continuously.

      •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문명의 발달과 함께 정화되지 않은 정보들이 난무하고 자의든 타의든 무방비 상태로 미디어와 영상자료, 여러 매체에 노출되어 날로 세상이 삭막해지고 이기주의의 팽배, 물질 만능주의 사상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참된 도리나 아름다운 정서 또한 날로 황폐해져 가고 있다. 특히 요즘의 아동들은 이러한 생활속에 일찍부터 노출되어 아무런 비판능력도, 정보의 옳고 그름을 가릴 판단 능력도 없는 상태에서 세상의 부조리, 폭력, 비인간화, 인간소외 현상에 쉽게 속해 버리게 된다. 이러한 아동들에게 어려서부터 정서적으로 따뜻하고, 다른 사람, 다른 사물, 다른 생명체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을 길러주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확립과 공동체 속에서 다른 사람과 어울리며 살 수 있는 사회성의 발달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이며 이는 현대사회에서 반드시 요구되어지고 이루어져야 할 일이며 가장 시급한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자아개념, 사회에서 성숙하게 생활할 수 있는 심성을 길러주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아동의 발달 특성상 직접 체험하고 활동하는 것을 즐겨하고 또 여기서 얻는 것이 많은 실천적 노작교육이 아동들에게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하여 본 연구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초등학생들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에 의한 자아개념 및 사회성숙도 변화를 살펴보면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사전검사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의 여러 가지 하위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전체적인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으며(p<.01), 자아개념의 각 하위영역도 사후검사시 비교집단에 비하여 중요인물(p<.01), 또래친구(p<.05) 정서적응성(p<.05), 성격(p<.05), 정서안정성(p<.05), 자아정체성(p<.05), 사회성(p<.05), 및 긍정적 사고(p<.05) 함양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남학생(p<.05)과 여학생(p<.05)의 정서적응성 발달, 남학생의 성격(p<.05), 정서 안정성(p<.05), 긍정적사고(p<.05), 여학생의 또래친구(p<.05), 자아정체성(p<.05)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숙도의 사후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5), 각 하위영역에서도 사후검사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하여 정서안정성(p<.05), 자아정체성(p<.05), 사회성(p<.05) 및 긍정적 사고(p<.05)에서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정서안정성과 사회성에서 실험집단의 남학생이(p<.05), 긍정적 사고에서(P<.01)을 보이며 사회성숙도 함양에 남학생이 더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사회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교에 식물 가꾸기 활동에 필요한 식물 교재원과 실습지, 이에 필요한 실습기구의 확보가 필요하며, 식물 가꾸기를 위한 식물 교재원과 실습지 확보가 어려우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가꾸기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널리 보급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고, 차후에는 학년과 지역, 성별 특성을 고려한 좀 더 다양한 가꾸기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With the advance of mechanical civilization, we are inadvertently expose to various media including videos, whether voluntarily or regardless of our own will, in the situation where the world are flooded with all kinds of untested information. Accordingly, our society is getting darker and due to surging selfishness and materialism, it is getting hard to find behaviors based on human nature or benevolent sentiments today as time goes by. Children today in particular, are vulnerable to absurdity, violence, dehumanization, and human-alienation as they have been exposed to such media and information at early ages without proper capacity to judge whether certain information is wrong or right. Therefore, it is the education to help students grow as a person that lives with others harmoniously and have a positive self-concept that is most important to help children become an emotionally warm person and respect other people as well as all that have a life, which is the most urgent challenge for us today. The subject matter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ildren enjoy exploratory activities in light of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practical work-based education that they are likely to learn many things would be effective for children, among many other ways to help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a positive self-concept and grow to be a matured member in our society. As a result of analysis on changes in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caused by cultivation activities of flowers and vegetable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omparative and experimental groups alike in a pre-test,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many changes in a number of sub-areas in a post-test. In a post-test,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higher in overall self-concept(p<.01), and the results of a post-test on sub-areas of self-concept showed that such sub-areas had much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important person and peers(p<.05), emotional adaptability(p<.05), character(p<.05), emotional stability(p<.05), self-identity(p<.05), soci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Especially, they were found to have a strong effect on emotional adaptability of boys(p<.05) and girls(p<.05), character (p<.05), emotional st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of boys, and peers(p<.05) and self-identity(p<.05) of girls in experimental group. In a post-test of social maturity, experimental group exceeded the comparative group(p<.05), and as a result of a post-test on sub-areas of social maturity,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emotional stability(p<.05), self-identity(p<.05), sociability(p<.05), and positive thinking(p<.05).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in particular, were much higher among boys of experimental group(p<.05), together with higher positive thinking(P<.01), which implies that boys are more influenced in terms of social maturity. Given that cultivation activities of flowers and vegetab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self-concept and social matur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to a larger degree, it is important to make materials of plant resources, soils for practice, and practice equipments needed for plant-cultivation activities available at school, and find a wide range of alternative methods to carry out plant-cultivation activities, when it is hard to secure materials of plant resources and soils for practice necessary for plant-cultiv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how to promote this program more extensively and to conduct further studie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variety of cultivation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rade, region, and gender.

      •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해외 진출 성공을 위한 소프트웨어 공학 역할 다중사례분석 연구 : WBS(World Best Software) R&D 사업 사례

        박지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WBS((World Best Software)는 기존 SW R&D 사업과 달리 지적재산권을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에 부여하였고, 상용화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실제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전체 단계에 걸쳐 과제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를 통해, 주먹구구식 개발관행과 관리 시스템 부재로 인해 실제 시장에서 개발결과가 외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글로벌 시장이 요구하는 품질수준을 갖춘 SW가 개발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진출에 성공한 WBS과제를 중심으로 소프트웨어 공학 적용 의 다중사례연구와 해외 진출 시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하여 이를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한계점과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WBS 기업 중 품질 점검을 통해 과제의 이해도가 있는 기업 중에 해외 진출에 성공한 기업을 대상으로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이 사전에 준비해야 될 요소를 분석하였다. SWEBOK V3.0 15개 지식 영역(KAs) 기준의 1단계, 해외 진출에 성공한 기업들 인터뷰의 2단계, 전문가 리뷰를 통한 지식 영영들을 도출하는 3단계에서 수립된 지식 영역을 재분류하는 4단계를 거쳐 재분류된 소프트웨어 공학 영역별 다중사례분석을 수행하는 5단계의 분석과정을 이룬다. SWEBOK V3.0 지식 영역(KAs) 중심으로 다중사례를 분석한 결과의 15가지 지식 영역 중 11가지 지식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공학 관점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 인터뷰 내용 제공을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거나, 해외 진출 이후 오히려 한계를 느끼고 있는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에게 해외시장진출 준비 수준을 첫 번째, 차별화 서비스 제공 여부이다. 두 번째, 사용자(User) 중심의 서비스 제공 여부이다. 세 번째, 소프트웨어 안전성(Software Safety) 도메인 여부이다. 네 번째,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및 변경관리 고려여부이다. 다섯 번째, 해외 시장에서의 진입장벽을 인지하고 있느냐는 점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분석연구를 발판으로 많은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이 해외로 진출에 성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증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이에 향후 다수 기업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방법을 통해 시사점에 대한 검증 연구는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공학 경제학 측면에서 해외 진출 기업을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공학의 효율성과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소프트웨어의 무형 자산으로 인한 한계 극복을 위한 경제학 측면의 연구가 해외시장 진출의 진입장벽을 허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성대결절 아동을 위한 음성 오·남용 체크리스트 개발

        박지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elf-reported vocal abuse and misuse checklist for children with vocal nodules,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Newly developed items of vocal abuse and misuse behavio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four conditions : school condition, after-school condition, home condition, and dietary habit condition related to reflux. Content validity was estimated by four certifi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ho are specialized in voice and items to score more than 3-point were chosen to be checklist. Construct validity was also estimated by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items within each condition. Finally, 8- items in school condition, 4-items at after-school condition, 4-items at home condition, and 3-items in dietary habit condition were completed. Twenty-six normal children and twenty-one children who diagnosed vocal nodules from from June 2016 to May 2017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For acoustic analysis, sustained /a/ vowel was recorded at comfortable pitch and loudness in noise treated room from normal and dysphonic children . Children in our dysphonic and control group were asked to fill out the preliminary checklist. For the test re-test analysis we used a same group who filled out after 1 week. Internal consistency was analyzed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by determin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cores of the checklist as well as acoustic measures using MDVP of the control group with the dysphonic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newlyed developed vocal abuse and misuse checklist provid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in school condition (α=0.781), after-school condition(α= .698), home condition(α=.607) and a moderate internal consistency in dietary habit condition(α=.510)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its subscales: school condition (S) 0.715, After-school condition (A) 0.702, home condition (H) 0.711, dietary habit condition (D) 0.552.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s of all conditions except in dietary habit condition between normal and dysphonic group. Fin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observed in jitter percent (r = .453), RAP(r = .462), and VTI(r = .481) between total scores and MDVP parameters. Accordingly, newly developed checklist can be useful for measuring the vocal abuse and misuse behaviors affected to voice and feasible to apply the indirect voice therapy for children with vocal nodules.

      • 영화 장르의 진화와 매너리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서부극 장르 영화를 중심으로

        박지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Mannerism was set by the end of the Renaissance, in the 16th. Later it has been used by the Italian painters who stressed on the idea of form and technical skill. Because of its continuous stressing on form and technique, Mannerism has assumed by time a negative meaning. The term traces origin from the word ‘Maniera’ that means form or method and refers to some writers whose subjective style was based on the idea of imitation. Even though Mannerism refers just as an artistic movement, it influenced the latest generations of artists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16th century the artists masters of Renaissance -Leonardo da Vinci, Michelangelo, Raffaello- focusing on the concepts of harmony and balance, had reached the point of a complete style which put the artists of the next generations into a crisis of creation. Those new artists tried at that point to find their personal way of expression in the ‘form’ of things. They actually without a real reason, created a new artistic movement, giving through their works the idea of subjectivity, following the pre-existing methodologies. During the 20th century Mannerism influenced the cinema making as well. Even though cinema does not seem to have things in common with Mannerism because of the historical period, social changes, subjectivity of artists, it tried to understand and go through those differences finding in the Mannerism idea a useful instrument for making films. Mannerism has been a film genre connected to the imitation of real things. While Mannerism, like in the pictures, is connected to the expression of conventional forms, the film genre imitating mechanically the reality cannot reach the point of evolution comparing to the past. The historical genre following the idea of ‘form’ assumed by the former generations, transforms itself into a subjective genre creating another kind of ‘form’. It is at this point of the research that Mannerism appears. Mannerism tries to overcome social changes, the audience experiences, film industry in order to bring those important points into a new change. New Film Noire, the French Noir by Jean-Pierre Melville, the Hong Kong Noir of the 80s by John Woo, the American Western, the Spaghetti Western by Sergio Leone, all these new film genres through distortion, exaggeration and reduction, represents the metamorphosis of the past generations. The American Western genre just immediately before the War had reached the point of maturity of the classic genre and started to have contacts with Mannerism. From the second half of the 50s till the end of the 60s the Western genre overthrew the historical values and through a self awareness idea of ‘form’ influenced the 70s too with a new genre called Detective Film. The American Western Film Genre deals with the community problems and the metamorphosis of the characters. The protagonists of the first Western films under the objectives of ‘public security’ were fighting against the rascals of the society, becoming a sort of stereotype characters. The detective film <Dirty Harry> of the 70s is a typical example of an American Western were the protagonist fights against the evil of the society and be far apart from the first American Western film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genre in the future. At this point Mannerism becomes close with this film genre. The oppressions due to the attachment and emotions about the past brought the directors to use Manneristic theories while creating their movies, because of metamorphosis of main characters and distortion of stereotypes made up by an esthetic and formal structure. 매너리즘(Mannerism, Manierismo)이란 용어는 16세기 르네상스 말기에 접어들어 이탈리아 화가들의 양식과 기교에 치중하는 경향을 일컬어 사용하기 시작한 표현이다. 매너리즘은 보통 기법이나 형식이 습관적으로 되풀이되는 부정적 의미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이 말은 원래 ‘마니에라Maniera'에서 유래한 것으로 양식, 방식의 개념이며 모방에 근거한 작가의 주관적 스타일을 말한다. 매너리즘 예술 양식은 종말을 고한 후에도 후대의 예술에서 사회적 정신적 변화의 시점에 그 흔적이 되풀이되어 나타났다. 16세기 르네상스의 조화와 균형의 이상화된 예술은 완벽의 경지에 다다르며 예술 역사의 하나의 주기가 완결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를테면 앞서 나타난 거장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이 완벽함에 도달했다면 다음 세대의 창작가들은 이미 ‘성숙’의 단계에 접어든 상황에서, 소재의 위기와 함께 창작의 해답을 찾아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그들이 찾아낸 해답은 전대의 ‘양식Maniera’으로 창조력을 발휘하는 것이었다. 확실한 창작의 이유 없이 컨벤션을 반복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기성의 방법론을 끌어와 작품 속에 주관성을 부여하고 그것을 변형하는 정신은 새로운 예술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20세기의 예술인 영화의 역사에서도 매너리즘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매너리즘은 사회의 변화, 창작가의 주관성, 산업적 발전 차이로 인해 그것이 발현되는 시기적 차이가 있지만 동시대의 다양한 영화들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었다. 영화 창작자들 역시 16세기 매너리즘 화가들이 그랬던 것처럼 과거의 영화를 끌어와 자신의 창작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며 예술의지를 보여주었던 것이다. 영화에서의 매너리즘이 확실히 적용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장르 영화이다. 장르 영화는 그 자체가 모방에 근거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즉 한편의 장르 영화는 관객이 전에 관람한 동일 장르의 영화에 근거를 두고 있다. 장르는 관습이 형성되고 가치가 확실해진 성숙의 단계가 지나면 컨벤션의 반복으로 관객의 경험에 호소해야 하는 틀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매너리즘이 그랬던 것처럼 장르도 관습적 형식의 반복으로 주관적 창작성이 폄하되기도 했지만 장르적 관습이 기계적으로 모방되고 되풀이되기만 했다면 그것의 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장르의 역사는 전대의 관습적 ‘양식’을 토대로 그것을 주관적으로 수정, 변형하여 또 다른 진화된 ‘양식’으로 나아간다. 이 시기에 매너리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적 변화, 관객의 경험, 영화 산업 체제의 외적 요인과 그것을 극복하려는 매너리즘의 발현은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내 왔다. 필름 느와르의 새로운 변형들, 장 삐에르 멜빌의 프렌치 느와르, 80년대 오우삼의 홍콩 느와르, 미국 서부극의 변형들, 세르지오 레오네의 스파게티 서부극 등은 전대의 원형질에서 왜곡, 확대, 축소 등을 통해 또 다른 스타일을 일구어내었다. 미국적 장르인 서부극은 이미 전쟁 직전에 성숙한 형태에 도달하였고 서서히 매너리즘의 단계에 접어들게 된다. 서부극은 전후 50년대 초반에 고전에 대한 회의에서 시작하여 5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개인주의가 심화된 형태를 보였으며, 60년대에 이르러서는 서부극 장르의 역사와 가치를 전복하거나 자의식적인 양식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70년대에 이르러 서부극은 타 장르인 SF 영화나 경찰 영화들로 이식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흐름은 사회 공동체의 변화 속에서 주제적 특징, 인물 변형, 형식적 특징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공공의 안전’이라는 목표 아래 선악이 분명했던 초기 서부극은 주인공의 인물 유형이 변형되고 왜곡되는 것을 시작으로 70년대 경찰 영화인 <더티 해리>에 이르면 감정이 축소되고, 선악이 모호한 초기 서부극과 동떨어진 현대적 서부극을 발견하게 된다. 서부극에서 현대 경찰 영화에 이르기까지 그 변화에는 사회적 경제적 요인과 함께 매너리즘의 정신이 존재하며, 70~80년대를 지나는 동안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텍스트로의 접근성이 쉬워져 과거의 영화와 현재의 영화는 동시대에 접근 가능한 저장소가 되었다. 영화 역사에 대한 애정과 거장에 대한 압박감으로 시작됐던 매너리즘은 현대에 들어와 영상의 재활용이라는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이는 새로운 문화적 기능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최초의 매너리즘 위에 매너리즘은 계속 새로이 세워지고 이는 현대 영화 예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술 창작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적 경험에 관한 연구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gnized North Korean residents' lives below than minimum level of human lives because of extreme economic difficulties under hostile relations of both Koreas. The study investiga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in South Korea, and examined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problems and obstacles, relations with various kinds of interest parties in both Koreas, and the activists' reaction. The study suggested approaches for development of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found ou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at were discovered at project experience, and got information and material that were needed to prepare for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North Korea in the era of unification. The study had a question of "What are value and essence of practice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o humanitarian assistance project to North Korea?": And,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e experience of five NGO activists who worke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or social welfare project in local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have 4-years or more assistance to North Korea as we; as 20 times or more visits to North Korea. The subject was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in their mid thirties to early forties to consist 2 women and 3 men. The NGO activists had job experience of 4-years to 10-year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be 6.4 years on average, and they visited North Korea more than 20 times to be more than 60 times on average.The NGO activists were majored in social welfare or equivalent to have license of social worker. Preliminary survey was done 2 times in April and May 2009, and main survey was done 13 times from August to December 2010. The author interviewed each one of NGO activist 2 times to 4 times to spend 4 hours to 7 hours and to be 5 hours and 30 minutes on average per NGO activist. The author wrote down NGO activists' statement when listening to recording several times.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was done (Giorgi(1985)) was done. The study investigated practical experience of NGO activists who di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ggested not only situation structure but also common structure, and stated common structure to give relation and structure between experience essence and essence. The situation structure that stated values of NGO activist experience investigated background and motive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orth Korea related experience of family and/or school, individ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pecial experience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NGO activists'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t common structure included 29 sub factors, 10 factors and 3 subjects.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 that NGO activists in South Korea contacted North Korea and did North Korea project and met North Korean officials, and it consisted of four factors, that is to say,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The first factor of 'experience of post ideology and cognition on human love' consisted of 'strange place, and contact with the ones having no horn like me' and 'production of pity and sympathy'. The second factor of 'others' cognition on otherness and conflicts' described conflicts and tension of 'experience with the North Korean society and North Korean officials' to consist of 'excessive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tension caused by North Korea's demand' and 'relationship conflicts of spirit fighting and control of men'. The third factor of 'admittance of the other party and having relations' described experience of the process hav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admittance of North Korea from point of view of North Korea',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nd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relations'.The fourth factor of 'communication between both Koreas and discovery of aphorism' described subjects and wisdom at having relations and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to consist of 'genuineness to help', 'will and practice to help from heart',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and 'base of communication, reliability'.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f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obstacles at assistance to North Korea to consist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and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first factor of 'controversy over assistance to hostile party'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base of justification of the assistance', 'counteraction against criticism of the most generous aid: pressure of transparent distribution', and 'limitation of fund-raising and ethical dilemma'. The second factor of 'struggle at political, multi-layer and conflicting structure' consisted of 'North Korea' military behavior, international relations, North Korea authority / South Korea authority, pressure and limitation from public opinion, conflic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criticism and isolation in the group, and other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third factor of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described NGO activists'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obstacles from point of view of time, space and business entity of assistance to North Korea.In other words, the third factor consisted of 'clarification of time characteristics : communication first, and development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larification of space characteristics : Helping compatriot in divided nation', and 'clarification of characteristics of NGO : humanism first'. The third subject of 'border, between and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orth Korea but also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at counteractions. Formation and expansion of NGO activists consisted of 'find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ving counteraction strategi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developed roles of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Finding out position at criticism and chaos' had three factors, that is to say, 'doubt and prejudice from both systems', 'check of political line, thought of secur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ission and vision that are voluntary power'. The second factor of 'set up of counter action strategy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consisted of 'mission and vision of voluntary power', 'professionalism by learning and information', and 'harmony of head and heart'.'Roles of NGO activist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roles of activists who exploited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it consisted of three sub factors, that is to say, 'window : an interpreter of both Koreas instead of stranger', 'from alone to network constructor with various kinds of cooperators', and 'responsible developer rather than passive administrator'.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study suggested discussions from the findings of practical experience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of NGO activists of social welfare at home and abroad. First, the study suggested review and application of aphorism based on 'self-check' factors at various kinds of levels of NGO activists for communication with North Koran officials, and connections with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practice paradigm. Second, assistance to North Korea for political purposes could be done by understanding at national, social, racial and political level to put into practice effectively, and to discuss communication and fusion with science of North Korea, politics, ethics, history, sociology and others. Third, the study argued 'return to the essence' of 'human respect' of practice of social welfare by 'practical attitudes based on human respect' of the NGO activists who took risks and danger to put assistance to North Korea into practice, and discussed interests i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study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policies and practic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irst, NGO activists' reasonable planning and execu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were required, and the activists' job should be divided depending upon process, for instance, assessment &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agency. Second, the study suggested the NGO activists'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al supports, supply of super vision and development project manual. Third, the study put emphasis upon reliability based on understanding of roles of the government and NGO, and suggested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for strengthening of capability of NGO of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supports and partnership of the activists' training. Fourth, cooperation was needed with organiz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nd various kinds of groups in the society 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y. Fifth, assistance to North Korea was likely to be done from various kinds of aspects so that assistance to North Korea should be done from long-term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남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남한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의 발전에 요구되는 접근을 제안하고, 사업 경험에서 발견되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참고, 통일 시대 대북 사회복지실천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남한의 대북지원 민간단체들 중 국제개발이나 국내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NGO에서 대북지원 경력 4년 이상, 방북횟수 20회 이상의 활동가 다섯 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실천 경험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북 인도적 지원 NGO 활동가의 연령은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이며, 여성 2명, 남성 3명이다. 대북 사업 경력은 최소 4년에서 최대 10년으로 평균 6.4년이며, 방북 횟수는 20회 이상으로 평균 60여회 이상이다. 참여자의 전공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학문이나 인접 학문이며, 모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다. 면담은 2009년 4-5월 사이에 2회의 예비조사를 거쳐, 2010년 8-12월 5개월간 본조사를 13회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 1인당 최소 2회에서 4회까지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시간은 최소 4시간에서 최대 7시간으로 연구참여자 1인당 5시간 30분 정도의 면접시간을 가졌다. 연구참여자의 진술은 연구자가 여러 번 녹음을 들으면서 직접 필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1985)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을 분석한 결과는 상황적 의미구조와 일반적 의미구조로 나누어 제시하고, 경험의 본질과 본질간의 관계와 구조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일반적 구조를 진술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개별적인 경험의 의미를 진술한 상황적 의미구조는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동기, 가족이나 학교에서의 북한 관련된 이전 경험, 대북지원 사업과 연관된 개인적 배경과 특성, 대북지원에서 본인만의 특별한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여 진술하였다. 일반적 의미구조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 실천 경험의 본질로 2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 3개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은 연구참여자가 남한의 활동가로서 북한을 접하고 북한 사업을 대하고 북한 관리를 만나면서 겪는 경험에 관한 것으로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의 4개 요소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탈이데올로기의 경험과 인간애의 새로운 인식’은 ‘낯선 곳, 뿔 안 달린 나와 같은 사람들과의 접합’, ‘동포애와 긍휼의 움틈’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타자의 타자성 인식과 갈등’은 북한 사회와 북한 관리와의 경험 중 갈등과 긴장을 다루고 있는데, ‘무리한 대북지원 구조와 북한의 요구로 인한 긴장’, ‘관계적 갈등 : 기싸움, 사람조종’로 구성된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상대에 대한 인정 그리고 관계맺음’은 북한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드러낸 부분으로 ‘북한의 입장에서 북을 인정’, ‘북한과 통(通)하기’, ‘전문적 관계 정립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 구성요소로 ‘남북 소통의 아포리즘 발견’은 연구참여자가 북한과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발견하고 터득한 명제와 지혜들로 ‘도우려는 순수함으로’, ‘진심으로 돕겠다는 의지, 실천’, ‘상호존중과 배려함으로’, ‘소통의 기본, 신뢰’의 4개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주제인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는 대북 사업을 하면서 겪게 되는 장애물에 관한 것으로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과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 3개 의미로 구성된다. 첫 번째 ‘적대적 대상에 대한 지원을 둘러싼 논란의 중심에 섬’ 은 ‘지원 정당성의 근거마련’, ‘퍼주기 비판에 대한 대응 : 분배투명성 확보 압박’, ‘모금의 한계와 윤리적 딜레마’의 3개 하위 의미로 구성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정치적·다층적·갈등적 구조에서 몸부림’에서는 ‘북한의 군사적 행동, 국제관계, 남/북 당국, 여론으로부터의 압박과 제한’ , ‘정부 그리고 단체들 간 갈등’, ‘단체 내부에서의 비판과 소외’ 등 단체 내·외부 환경으로부터 제기되는 대북 인도적 지원의 다양한 장애물에 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세 번째 ‘대북지원 사업의 의미 부여와 해석’은 연구참여자가 대북지원 사업을 하면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사업주체의 측면에서 이 사업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장애물을 극복해나가는 경험을 담고 있다. 이는 ‘시간적 특성 규명 : 소통이 먼저, 대북지원 개척기’, ‘공간적 특성 규명 : 총 겨눈 분단 조국에서 동포를 도움’, ‘민간단체로서의 특성 규명 : 인도주의 우선’ 으로 구성된다. 세 번째 주제는 ‘경계, 그 넘어를 향해’로 연구참여자들이 사업수행에 있어서 북한 현지와 남한 사회에서 겪게 되는 도전과 그에 대한 대응의 과정에서 활동가로서 취해온 태도, 전략, 역할과 관련된 경험에 해당한다. 연구참여자들이 활동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장하는 경험은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성’,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로 구성된다. ‘비판과 혼란스러움 속에 자기자리 찾기’는 ‘두 체제로부터의 의심과 편견’, ‘정치노선, 안보관 그리고 역사의식의 점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세 하위 의미로 나뉜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대북지원 활동가의 대응전략 구축’ 은 ‘자발적 동력으로의 사명과 비전 견지’, ‘학습과 정보습득을 통한 전문성 향상’, ‘머리와 가슴의 조화’ 등 세 개 파트로 구성된다. ‘대북지원 활동가의 역할 진화’는 대북 인도적 지원을 개척하는 활동가로서 역할을 구성하고 새로 만들어 가는 경험에 대한 부분으로 ‘낯선 이방인에서 남북 통역자로’, ‘혼자에서 다양한 협력자들과 네트워크 구축자로’, ‘소극적 행정가에서 책임있는 개척자로’의 3개 하위 의미로 이루어진다. 대북 인도적 지원을 담당하는 NGO 활동가의 실천 경험에 관하여 경험의 본질과 본질을 구조적으로 통합한 결과, 일반적 구조는 - 눈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넘어(Between & Beyond)’를 향해 ― 를 중심 의미로 하여 진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사회복지사업을 주로 하는 개발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로부터 몇 가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북한 관리와의 소통의 과정과 소통을 위한 연구참여자의 다양한 차원의 ‘자기확인‘ 요소를 토대로 소통의 아포리즘에 대한 검토와 적용, 다문화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의 연결을 제안하였다. 둘째, 정치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대북지원에 있어서 실천가의 국가적, 사회적, 민족적, 정치적 차원에서의 자기이해와 현실에 기반한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학문의 북한학, 정치학, 철학, 윤리학, 역사학, 사회학 등 타 학문과의 소통과 융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대북 인도적 지원 실천 현장에서 경계를 넘는 연구참여자의 ‘인간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실천적 태도’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인간존중’이라는 ‘본질로의 환원’을 제기하면서 대북지원에 대한 관심 제고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북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인력 및 조직적 차원, 대북 인도적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실행에 있어서 활동가의 합리적인 계획과 집행을 요구하며, 활동가의 직무를 사업과정에 따라 지역조사(assessment) & 기획(planning)―실시(implementing)-모니터링(monitoring)―평가(evaluation)―기관행정 업무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가에 대한 교육과 훈련, 조직의 지지와 수퍼비전의 제공과 사업 매뉴얼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정부와 NGO의 역할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신뢰구축을 촉구하였고 정부가 대북지원 NGO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활동가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대북 인도적 지원을 수행하는 단체 간, 그리고 남한 사회 다양한 집단을 비롯해 국제 사회와의 보다 협력적 연대를 요구하였다. 다섯째, 향후 대북지원은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 국제개발, 지역개발의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으로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