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 미국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엽의범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중국 대학의 예술경영 학과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예술경영학과의 역사가 가장 오래된 미국과 비교분석하여 중국 예술경영 학과의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중국의 대학 사례는 예술경영학과를 최초로 설립한 중앙희극학원과 예술경영학부 모집 코드를 최초로 신고한 중앙미술학원, 상하이희극학원 에 단과 예술 대학교에서 개설한 예술경영학과를 선정해, 학과 교수진과 커리큘럼에 대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미국에서는 우선 대학원에서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후 학부 과정으로 확장했기 때문에 학부에 예술경영학과를 개설한 학교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필자가 예술행정교육자협회(AAAE: 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의 구성원인 Butler University, 종합대학교 Drexel University와 예술대학교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를 선정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두 국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제적으로 중국의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는 학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산업 생태계분석에 따른 클래식음악공연 시장의 활성화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공급자 유형 중심으로

        김현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831

        Notwithstanding the distinguished value of classical music,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s stagnant due to problems which cause several vicious cycles in the market. It is time to search method to activate market for the leap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n the changing cultural paradigm. Thus,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study issues. First, what is the ecosystem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result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Third, what is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Then, how does the influence in each type of artistic organization vary? To solve the study issues, this study sequentially progressed study 1 for the development of ecosystem model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study 2 to draw the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and study 3 in which empirical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s done to draw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To begin with, the ecosystem theory & ecosystem model is checked to develop model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n study 1 and the conceptual model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service value network of Basole & Rouse(2008). Conceptual model is applied to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n Korea & US in order to design service value network of As-Is model in each country. To this end, 20 experts of classical market in Korea and US are interviewed in 2 times. As a result of study, Tier 2 Enablers showed difference in the curriculum of music college, the institution cultivating musicians and the degree of activation of labor union for musicians besides basic difference (size of national territory, number of artists, historic, social & cultural background, recognition of art). In the area of Tier 1 Enablers, the most differences were drawn in operational aspect including core entities(Korea: agency, performance group, performance hall, USA: performance group, performance hall, festival) that composes market. Further, unlike agency in Korea, ‘artist management company’ was drawn as a large difference that mediates artist & entity of Planning/production(Tier 1 Enablers). Besides them, difference was found in the job burden of artistic organization in US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which is more systematic than that of Korea, specialization of manpower, prior production method, study on developing audiences and programming, specialized fund raising, activation of cooperation. In the area of ‘service provider’, the meaning of performance products, service distribution & ticket distribution is same, but difference was found in function of performance hall, recognition in payment of ticket and prior subscription mode, sales of diverse additional goods. In the area of ‘consum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ge of consumer and education mode. In study 2,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re supplying entities(agency, performance hall, performance group) was search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of ecosystem to solve internal vicious cycle of 'supplier' area in the classical market where the most problems were exposed. Although the improvement of result of supplying organization is immediately connected to activation of market, relevant study is very meager. As a result of study, the factors were largely classified through preceding study into 3 factors, e.g., administrative management factor, artistic business factor, exchange cooperation factor and 16 basic factors were drawn. Then, open-ended questions were asked to 30 market experts to draw the 15 new factors which reflect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The factor that has ambiguous meaning or that is drawn with frequency number of 1 out of them was eliminated and the remaining 29 factors of preliminary influence were drawn into the 26 final influential factor through the close-ended question for 20 experts. The finally drawn influential factor was subdivided at 3 factor classifications in the feedback course through expert FGI. They were finally reclassified into 6 factors(26 minute factors) ‘operation and management factor(dedicated manpower for each department, systematization of operation, analysis of consumer & environment, building customer DB, operating customer feedback platform, customer management)’, ‘fund raising factor (systematic management of supporting organization, campaign of donation expansion, efforts to find business sponsor, efforts to find individual supporter)’, ‘marketing factor(lowering ticket price, star marketing, online sale of products, package ticket, expansion of charged ticket)’, ‘performance planning factor(diverse programming, planning long-term contents, planning new atmosphere, prior planning, qualitative improvement of contents)’, ‘artistic education factor (planning program to enjoy art, studying the effect of artistic education, education linked to university and region)’, ‘exchange cooperation factor (exchange cooperation with manpower of cultural art circle, association activity related to performance art)’. In study 3, the 6 influential factors of result finally drawn through searching study in study 2 and confirmation of influential relation with business performance of supplying organization in the actual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non-financial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influence that the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for each supplying organization ha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was empirically analyzed. To this end, the data of 211 representatives and managers of each supplying organization was collected and SPSS(PASW Statistics) 18.0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study, ‘operation and management factor’, ‘fund raising factor’, ‘performance planning factor’, ‘exchange cooperation factor’ were confirm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fund raising factor’ and ‘performance planning factor’ were confirmed to have influence on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Performance planning factor’ was confirmed to have the most influence, thereby showing the importance of quality and completion of performance contents. It is required to develop creative program and to build new performance atmosphere by studying consumers' diverse desires through construction of performance art archive in level of state & demander-oriented planning. As ‘fund raising factor’ was also drawn as important factor, it is required to campaign of artistic donation expansion, efforts to raise private fund, efforts to develop diverse profit route. Especially, joint symbiosis through constant management of supporting business is emphasized. The extraction of ‘operation & management factor’ and ‘exchange cooperation factor’ whose influence on only non-financial performance is verified suggests that the relevant sector should be steadily managed and enhanced to reinforce the long-term competitiveness of organiz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influence which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ha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ach supplying organization varies in each organiz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agency, the considerable influence of ‘operation & management factor’ is confirmed to emphasize systematic management of organization. The area of special agency to cultivate & manage specialized classical musician becomes necessary. Further, it is required to develop diverse profit routes through exchange cooperation. Performance hall shows that ‘performance planning factor’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marketing factor’ and ‘artistic education factor’ is also confirmed. As the central point of market, finding new players, planning fresh series performance (long-term contents planning), diverse marketing activities, planning and operating artistic education program, etc are found to be important. Among the 3 groups, artistic group shows the largest influence. Especially, as ‘fund raising factor’ was drawn as important factor, the method to raise fund besides government subsidy should be prepared. Further, association to operate/manage organization and to build network of orchestra staff in charge of practical jobs needs to be established. This study grasps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in the viewpoint of ecosystem to present strategy for new insight and sustainable growth. Further, concentrating on the core supplying organization of market to activate market, it carried o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of organization & provided basic data on artistic organization in classical area.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finally drawn influential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t confirmed the factor important to all artistic organization and provided each different business guideline to individual artistic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cosystem in virtuous cycl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through this conclusion.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은 클래식음악의 뛰어난 예술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시장 내부의 악순환을 야기하는 문제점들로 인해 시장이 정체되고 있다. 변화하는 문화 패러다임 속에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도약을 위한 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생태계는 어떠한가? 둘째,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성과영향요인과 경영성과와의 영향관계는 어떠한가? 그리고 예술조직 유형별 영향력은 어떻게 상이한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생태계 모델개발을 위한 연구 1,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성과영향요인 도출을 위한 연구 2,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경영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이 수행된 연구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생태계 모델 개발을 위해 생태계 이론 및 생태계 모형을 살펴보고 Basole & Rouse(2008)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개념적 모델을 설계하였다. 개념적 모델은 한국과 미국의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에 적용하여 각 국의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As-Is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클래식 시장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근본적인 차이(국토면적의 크기, 예술가의 수,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배경, 예술에 대한 인식)외에 ‘제 2결합 지원자’ 영역에서 음악가 양성기관인 음악대학의 커리큘럼과 음악가 노동조합의 활성화 정도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제 1결합 지원자’ 영역의 경우 시장을 구성하는 핵심 주체(한국: 기획사, 연주단체, 공연장, 미국: 연주단체, 공연장, 페스티벌)를 비롯하여 운영적 측면에서 가장 많은 차이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한국의 기획사와 달리 예술가와 기획·제작주체(제 1결합 지원자)를 매개하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사’가 큰 차이점으로 도출되었다. 이 외에도 한국에 비해 체계적인 미국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내 예술조직들의 업무분담, 인력의 전문화, 사전제작방식, 관객개발 및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전문화된 펀드레이징, 교류협력의 활성화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 제공자’ 영역은 공연상품 및 서비스 유통과 티켓 유통으로의 의미는 동일하나 공연장의 기능, 티켓 지불인식 및 예매방식, 각종 부가상품 판매정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소비자’ 영역은 소비자연령과 교육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앞 선 생태계 분석을 통하여 가장 많은 문제점이 도출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내 ‘공급자’ 영역의 내부적인 악순환 해결을 위해 핵심 공급주체(기획사, 공연장, 연주단체)들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공급조직의 성과향상이 곧 시장 활성화로 이어짐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행정관리요인, 예술사업요인, 교류협력요인의 크게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16개의 기초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후 시장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여 현재의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15개의 신규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중 의미가 모호하거나 빈도수가 1로 도출된 요인은 제거 하였고 남은 29개의 예비 영향요인은 전문가 20인 대상의 폐쇄형 설문을 거쳐 총 26개의 최종 영향요인이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영향요인은 전문가 FGI를 통한 피드백 과정에서 3개의 요인분류에서 세분화 되어 최종적으로 ‘운영관리요인(부서별 전담인력, 운영의 시스템화, 소비자 및 환경 분석,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고객피드백/소통 플랫폼 운영, 고객(애호) 관리)’, ‘재원조성요인(후원조직 체계적 관리, 기부확대 캠페인, 기업스폰서 발굴 노력, 개인후원자 발굴 노력)’, ‘마케팅요인(티켓가격 하향조정, 스타마케팅, 상품 온라인 판매, 패키지 티켓, 유료티켓 확대)’, ‘공연기획요인(다양한 프로그래밍, 장기콘텐츠 기획, 새로운 분위기 기획, 사전 리서치/기획, 콘텐츠 질적 향상)’, ‘예술교육요인(예술향유 프로그램 기획, 예술교육효과 연구, 대학 및 지역과 연계교육)’, ‘교류협력요인(문화예술계 인력과 교류협력, 공연예술관련 협회 활동)’의 6개요인(26개 세부요인)으로 재분류 되었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최종 도출된 6개의 성과영향요인(운영관리요인, 재원조성요인, 공연기획요인, 마케팅요인, 예술교육요인, 교류협력요인)과 실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내 공급조직의 경영성과(비재무적 성과, 재무적 성과)와의 영향관계 확인과 각 공급조직별 성과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공급조직 별 대표 및 간부급 총 211명의 자료수집이 이루어 졌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PSS(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운영관리요인’, ‘재원조성요인’, ‘공연기획요인’, ‘교류협력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재원조성요인’과 ‘공연기획요인’은 재무적 성과에도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공연기획요인’은 가장 많은 영향력이 확인되어 공연콘텐츠의 질과 완성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차원의 공연예술 아카이브 구축과 수요자중심 기획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연구하여 창조적 프로그램 개발과 새로운 공연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 한다. ‘재원조성요인’도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어 시즌제, 예술기부확대 캠페인, 민간재원마련 노력, 다양한 수익 창구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후원기업에 대한 지속적 관리를 통해 동반 상생이 강조되었다. 비재무적 성과에만 영향력이 검증된 ‘운영관리요인’과 ‘교류협력요인’의 도출은 조직의 장기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해당 부문의 꾸준한 관리와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공급조직별 성과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직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기획사의 경우 ‘운영관리요인’의 큰 영향력이 확인되어 조직의 체계적인 운영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전문적인 클래식 음악가 양성과 매니징을 위한 전문기획사 영역이 필요시 되었다. 또한 교류협력을 통한 다양한 수익창구 개발이 필요하다. 공연장은 ‘공연기획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마케팅요인’과 ‘예술교육요인’의 중요성도 확인 되었다. 시장의 구심점으로서 신진 연주자 발굴, 참신한 시리즈공연 기획(장기 콘텐츠 기획), 다양한 마케팅 활동, 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단체는 세 집단 중 가장 많은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특히 ‘재원조성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어 정부 지원금 외에 재원마련을 위한 방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의 운영관리와 오케스트라 실무담당자들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회 설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을 생태계적 관점으로 파악하여 새로운 통찰과 지속가능한 시장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장의 핵심 공급조직에 집중하여 조직의 성과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예술조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성과영향요인과 예술조직의 경영성과와의 영향력을 실증 검증하여 전체 예술조직에 중요한 요인을 확인하는 동시에 개별 예술조직에게도 각기 다른 비즈니스 지침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선순환 생태계 형성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전통음악분야 공연예술단체 기획경영인력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규모 민간공연예술단체를 중심으로

        김성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사회 가치가 다양화 됨에 따라 전통음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전통음악분야 소규모 공연예술단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예술의 집단적 창조 및 표현이라고 하는 단체의 기본 목적을 현재의 사회 환경 속에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획경영인력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음악분야 공연예술단체 기획경영인력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 그들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ackman과 Oldham(1975)이 제시한 5가지 핵심직무특성요인과 개인특성을 독립변수로, 종속변수로는 직무만족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공연예술전문단체지원사업과 공연장상주예술단체지원사업에 선정된 17개 단체의 기획경영인력 중 10명을 심층면접하여, 이를 위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들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획경영인력들은 직무특성 요인 중 기능다양성, 업무중요성, 피드백을 높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그 중요성의 인식이 자신의 직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업무가 자신의 성장 및 발전기회를 만드는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이것이 직무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기획경영인력에게 업무정체성과 자율성 요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기획경영인력에게 공연의 기획, 제작을 포함한 다양한 업무들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대표나 예술감독 그리고 다른 구성원들의 도움과 협조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업무정체성과 자율성은 직무만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체의 참여구조가 상하관계의 구조일수록 이 두 가지 요인과 직무만족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획경영인력의 개인특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예술분야 종사자의 특성상 대부분이 전공과 나이에 상관없이 자신의 의지와 관심을 통해 직업을 선택한 경우가 대다수여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개인의 특성보다는 자신이 선택한 일에 대한 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획경영인력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 성과에 대한 원활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정하고 효율적인 업무분담과 이에 대한 업무에 대한 재량권을 부여함으로 업무중요성과 단체에 대한 사명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s more diversified society values led people to have higher expectations for traditional music,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small performing arts presenting organizations in traditional music area. For this type of small organization to effectively manage its business, roles and responsibilities by its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are extremely important to accomplish the organization's goal of collectively creating and articulating its artistic values under modern social conditions. This study is a first study into the impacts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a performing arts presenter's (traditional music)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and provide a guidelin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et the five core job characteristics proposed by Hackman and Oldham (1975)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job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For effective analysis, 10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from 17 performing arts presenting organizations, which won the 'performing arts presenting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and the 'concert hall & performing arts presenter support project', were thoroughly interviewed. Based on analysis of these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drawn. Firstly,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tend to feel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s they put more importance on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and feedback than on other job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se personnel's pride in their jobs along with awareness of the jobs' importance had substantial impacts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y felt that their tasks would be fundamental for their success, and it was derived that their tasks would be very critical for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ly, two other factors, task identity and autonomy, seemed less influential on job satisfaction for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Because most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are required to perform diverse tasks ranging from planning to production, they seemed to know the fact that they would need various supports and cooperation from CEO, arts director and other colleagues. In this regard, task identity and autonomy seemed much less influential on their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most top-down hierarchy organizations had no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it was indicat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had little impacts on job satisfaction.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asks are much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these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Regardless of majors and ages, most performing arts professionals choose their career based on their own wills and interests; therefore, to them, their tasks are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a performing arts presenter, in order to enhance job satisfaction of its planning & management personnel, should provide a wide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for them to cultivate their professional skills and establish an efficient job performance feedback system. Moreover, a performing arts presenting organization should fairly and efficiently assign tasks and authorities to its employees so as to make them more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and task significance.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해외 예술경영 연구 동향 연구

        심다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꾸준하게 중요성이 높아지는 해외 예술경영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가를 연구해보자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해외의 대표적인 예술경영 분야 전문학술지인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에 수록된 185편의 논문들의 초록에 있는 357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최근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제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장 많은 빈도수를 기록한 주제어는 ‘박물관/미술관’이었으며, ‘공연예술’ 그리고 ‘예술’이 빈도수 20회 이상을 기록한 상위 그룹에 포함되었다. 그 뒤로 ‘영화산업’과 ‘연극’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이런 예술경영에 관련된 연구 외에도 ‘소비자행동’과 ‘시장전략’ 등 경영에 관련된 주제어들도 상위 그룹에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보면 지난 10년 동안 매년 평균 19개의 논문에서 약 53개의 주제어들이 다루어져 해외에서의 예술경영연구는 꾸준하게 연구되어져왔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빈도수 중 가장 높은 빈도수 순위인 ‘박물관/미술관’은 10년동안 꾸준하게 연구되어져 왔고, ‘공연예술’ 또한 10년동안 꾸준한 관심 주제어인 것을 볼 수 있었다. ‘영화산업’, ‘연극’ 그리고 ‘문화’는 꾸준히는 아니지만 10년 동안 띄엄띄엄 연구되어져 왔다. 그리고 ‘화랑’의 경우 2011년까지는 언급이 없다가 2012년부터는 꾸준히 다루어졌다. 전반적으로 해외의 예술경영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대중문화나 문화산업보다는 처음에는 순수예술 쪽으로 기울어져 있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경영에 관한 주제들이 다양해지며 연구들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셋째, 주제어별 연결빈도와 관련하여 ‘예술’과 ‘공연예술’이 34회의 연결빈도수로 가장 높은 연결 빈도를 기록하였다. 넷째, 주제어 간 밀도분석 결과 0.039로 주제어들 간의 밀도는 크게 높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다섯째, 중심성분석과 이를 시각화한 결과 ‘예술’, ‘박물관/미술관’, ‘공연예술’, ‘연극’ 그리고 ‘브랜드’ 등이 중심성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international trend of arts management related studi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based on 357 keywords in the abstract of 185 research papers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To fulfill the purpose of researching current trends of arts management, the time frame was limited from 2008 to 2017. To summarize the result,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 was 'museum'. 'Performing arts' and 'arts' ranked the next frequently appeared keyword with more than 20 appearances. Following were 'motion picture industry' and 'theater'. Along with arts management related keywords, management related keywords such as 'customer behavior' and 'market strategy' were also included in the high ranked group. Second, the result of yearly research trend shows that the past ten years there has been average of 19 research papers with about 53 keywords, therefore, arts management has been steadily studied for past ten years. 'Museum' has been steadily studied for the past ten years along with 'performing arts'. 'Motion pictures industry', 'theater', and 'culture' has not been consistently studied over ten years but it has been sparsely studied. Also with 'art gallery', this keyword has not been mentioned till 2011 but from 2012 it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Overall, when looking at the trend of international arts management studies, at first it has been focused on fine arts but as the time goes by there has been various keywords concerning management. Third, in keyword link frequency, ‘arts' and 'performing art' had the highest link frequency(34). Fourth, density resulted in 0.039 showing that the density between keywords are not very high. Fifth, the visualized version of centrality result shows 'art', 'museum', 'performing art', 'theater' and 'brand' were positioned in the middle, therefore, has the highest centrality.

      • 예술기반경영 사례연구 : 넥서스커뮤니티 예술기반경영 사례

        양재현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필자가 창업하여 25년간 경영해 온 기업 ‘넥서스커뮤니티’ (이하 ‘넥서스’)의 예술기반경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창업 이래 지금까지 넥서스에서 실천한 많은 문화 예술적 형태의 시도들은 시장 내 기업 및 제품 인지도 향상에 큰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신제품 아이디어에 신선한 영감을 주었으며, 기업의 근무환경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넥서스가 예술기반경영을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시도하게 되었고, 리더와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라는 명제를 넥서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밝혀 보고자 한다. 이 연구가 예술기반경영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경영진과 조직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 도입을 위한 연구

        이민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체육과는 ‘신체 활동’을 통하여 체력 및 운동 능력을 기르고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며 바람직한 품성과 사회성을 갖추어, 건강하고 활기찬 삶과 여가, 문화와 예술 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함께 체육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는 교과이다. 신체 활동은 ‘체육’을 타 교과와 구별 지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체육과에서는 신체 활동이 교육의 본질이자 교육의 도구로써 활용되며 ‘신체 활동’을 통해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표현 활동은 신체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이를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능력을 추구하는 가치이다. 풍부한 감수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신체적 표현 활동은 창의력을 기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표현 활동’은 신체 활동의 심미적 요소를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표현 유형과 문화적 특성을 감상하는데 초점을 둔다. 표현의 대상을 기준으로 움직임표현, 리듬표현, 민속표현, 주제 및 창작 표현으로 구분한다. 표현 활동 단원은 음악과 소리를 통해 신체를 표현하는 활동으로 음악, 무용의 통합예술교육이 가능하고 논리, 분석적 사고, 독창성, 다양성, 개방성, 상상력, 호기심, 흥미 등의 요소들이 발생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이 이뤄진다. 또한, 주어진 여가 시간을 자기 계발과 사회 발전을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태도를 추구하는 가치이다. 이렇게 체육교과 내에서 표현활동단원의 필요성과 중요함, 꼭 교육 이뤄져야 함이 뚜렷하게 보이는 데 불구하고 그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해결방법 또한 열악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더 이상 누구를 탓하고 미루는 것이 아니라 학교체육교사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학교교육과정의 체육수업이 효율적인 수업경영 방안을 모색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어려움과 거리를 두고 있는 체육교사들을 위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의 체육수업 내에서 이뤄질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 체육수업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더 나은 방법으로 수업을 경영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재구성하여 체육교사와 학생들에게 실제 수업에 적용을 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체육수업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며,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1. 학교의 체육교사는 표현 활동단원 수업을 잘 운영하고 있는가? 1) 체육교사가 경영하는 표현활동 수업은 어떻게 운영되는가? 2) 체육교사가 경영하는 표현활동 수업운영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2.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을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참여하고 있는가? 1)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의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체육수업을 통해 배우는 표현활동을 이해하고 있는가? 3. 학교체육교사의 입장에서 학교체육교육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업 운영하기 위해 개발하고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의 해답을 얻기 위해서 이 논문은 관련된 서적과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였고, 학교에서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방법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함과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 초, 중, 고등학교 체육교사 30명과 학생 50명, 교사를 준비하고 있는 예비교사인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론적 고찰에서는 체육교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과 배경을 살펴보았고 체육교과 내의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기본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효율적인 도입에 관한 연구문제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얻게 되었다. 첫째, 교사들이 교사자신의 요인으로 인해 무용 수업이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교육의 경험이 부족한 교사에게서 무용에 대한 높은 인식과 자신감 있는 교수방법과 지도능력을 바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을 것이다. 체육교과 속의 표현 활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모습을 보였다. 교사의 다양하지 못한 경험과 전문성의 부족으로 전문예술경영인과 비교하였을 때 다양한 프로그램 보유, 효율적인 수업경영의 부분이 매우 부족하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학생들을 인솔할 수 있는 능력과 친밀감, 시간과 공간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에 대해서는 전문예술경영인에 배해 높은 능력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적인 기술과 수업 능력, 다양한 프로그램의 보유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났고 이를 위해서 교사의 연수(교육)의 중요함을 보였다. 둘째, 표현 활동은 활동적인 움직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로 되는 단원이다.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서는 표현 활동을 위한 무용실이나 체조 실 등의 특별실이 필요로 된다. 특별실은 일반적인 교실과 다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런 특별한 교실이 있는가에 따라서 교사의 적극적인 시범과 수업이 이뤄지고 수업의 질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표현 활동은 다른 단원과 달리 공간의 대한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학교 내에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는 교실인 특별실이 확충되어있지 않고 환경과 여건이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표현 활동의 수업은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모든 시설을 갖춘 완벽한 특별실이 꼭 아니어도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할 수 있는 수준과 적한한 공산은 꼭 필요한 곳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 중, 고등학교 체육교과 내 표현 활동 단원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업설계가 효율적으로 올바르게 운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revised curriculum, Physical Education(PE) is a subject to promote the quality that can succeed and develop sports culture creatively and make art activities, healthy and active lives and leisures possible with reasonable character and sociality that understands oneself and the world and promotes athletic ability and strength with physical activities. Physical activity is the core factor that distinguish PE from other subjects. It is utilized as an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ssence in PE and students are educated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it. Expression activity is a value that reveals emotions and thoughts oneself and embellish them with the physical activity. Various physical expressions based on sensitivity and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re very powerful to raise creativity. ‘Expression activity’ focuses on understanding aesthetic factor of physical activity, expressing creatively and appreciating various expression typ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for expression are classified on the standards of movement, rhythm, folk, title and creation. Expression activity chapter is an activity that expresses the body with music and sound, which makes integration of music and dance. Also, its artistic education is done with logical and analytic thinking, originality, diversity, creativity, curiosity and interest. Moreover, it is a value to persue the attitude that utilize given leisure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social growth. However, in this, that activity is not well-done even it looks so clear that expression activity chapter is needed and important so it must be done. Worse thing is its solutions are done poorly. It is time to stop blaming others, find effective instructional management solutions for school PE curriculum on the objective side as a school PE teacher and instruct PE teachers who have difficulties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n this study, it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present problem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programmes that can be done in school PE classes, and reorganize those programmes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at fit to realistic class management. Also for that, it investigates the reality of present school PE classes and how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about this. Study subjects are set like: 1. Do PE teachers manage expression activity chapter class well? 1) How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es are managed?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expression activity class according to the PE teachers? 2. How do students like and participate in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 1) How are the recognition about the expression activity class? 2) Do students understand their learning expression activity class? 3. As a school PE teacher, how they can develop and improve for rather effective expression activity class management? To get answers, this study looked up related publications and Internet sites, made up questionnaires and inadept interviews with 30 current school PE teachers , 50 students and 30 PE teachers in the mill to grasp the recognition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of students and find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that class management through expression activity in school PE class. For this debate, theoretical review gives the concept, background, goal and heading direction of PE itself and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s a result, conclusions on the study subject about effective introduction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hrough expression activities within PE are quired based on the analysis like below: First, teachers were revealed not to educate dance with their self-factors. It is not reasonable to ask teachers short of dance education experiences to have high recognition about dance and be confident about their teaching method and ability. Teachers had low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through expression activities in PE. Comparing teachers with limited experiences and professionalism with professional art executives, it seemed low in the number of owned programmes and effectiveness of classes but it seemed high capacity for student controlling, intimateness, efficient time and space utilizing. Thus, it seems for teachers to have various programmes, professional skills and teaching methods,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training of teachers. Second, expression activity needs space enough for active movements. For good classes, special rooms for expression activity classes like gym and dancing room are required. These room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rdinary classrooms and whethers these rooms exist or not affects the quality of class and the teachers’ attitudes for showing positive models. Expression activity has high need for rooms so schools that have not enough rooms for it or not enough extrinsic supports would have many difficulties for expression activity class. It does not have to be all-set perfect special room but rooms proper enough for free and active movements are required.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is a hope for efficient and positive class design for successful cultural artistic education with expression activity chapter within PE curriculum.

      •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를 위한 경영평가지표 분석

        이혜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Undergoing catastroph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supply chain crises due to wars, ESG became no longer an option but a necessity, significantly influencing not only corporations but also governments and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considered how to introduce and activate ESG for sustainable culture and arts in the context of survival. It especially categorized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to executive agencies, other public institutions, regional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and basic local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based on their executive departments and applicable Acts, and quantified the proportion of ESG in the current management evaluation into a score through analyzing the evaluated it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It also suggests the direction to improve management evaluation in relation to ESG activation by consulting the field experts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rough FGI. First, major concepts related to ESG a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nd various examples of the current trend are introduced. Second, through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 the necessity to introduce ESG to culture and arts is suggested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for the activation of ESG. Third, the status quo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published by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s examined, and ESG classification indices are suggest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that presented ESG evaluation indic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order to select the indice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 that belong to ESG. Fourth, through FGI,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SG management, ESG evaluation process, and the ideal proportion of ESG in management evaluation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Fifth, the scores of the ESG proportion are calculated for two different years of management evaluation handbooks by four different typ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SG classification indices suggested earlier, and th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indice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a suggestion is made that the activation of ESG management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mprovement and revision of the evaluated items in the existing management evalu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indices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rather than conducting a separate ESG evaluation. Furthermore, the management evaluation items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can be continuously analyzed and discussed through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measurement indices suggested her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ESG and potentially expanding this trend to individual artists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전 세계가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등을 겪으며 ESG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고 기업을 넘어 각국의 정부, 공공 및 민간단체까지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을 위해 ESG를 어떻게 도입하고 활성화 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공공문화예술기관을 관리부처와 근거법률 등을 바탕으로 책임운영기관, 기타공공기관, 광역자치단체 출연기관, 기조자치단체 출연기관으로 나누었고 경영평가편람 평가항목 분석을 통해 현재 경영평가 내 ESG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점수로 계량화시켰다. 또한 FGI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ESG활성화와 관련한 경영평가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ESG 관련 주요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현재 동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둘째, 앞서 연구한 이론적 배경과 최근 동향을 통해 문화예술의 ESG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또한 ESG활성화를 위해 평가와 측정의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셋째, 기존에 이뤄지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평가편람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기관과 문화예술기관의 ESG평가지표를 제시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기존 경영평가 내 ESG에 해당되는 지표들을 선별하고자 ESG분류지표를 제시하였다. 넷째, FGI를 진행하여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ESG평가 진행방식, 경영평가 내 ESG의 이상적 비율 등의 내용 등에 대하여 인터뷰하였다. 다섯째, 각기 다른 유형의 네 곳의 문화예술기관의 각각 두 개의 다른 연도의 경영평가편람에서 ESG비중을 점수로 도출하였다. 이에 앞서 제시한 ESG분류지표에 따라 항목을 분류하고 해당 지표의 배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 경영평가에서 이뤄지는 평가항목의 개선과 보완을 통한 문화예술기관의 ESG경영 활성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별도의 ESG평가의 진행보다 기존 경영평가 평가항목을 문화예술단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의 개선을 이뤄가는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지표를 통해 경영평가 평가항목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과 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활성화가 이루어져 이런 추세가 민간예술인과 민간예술단체들로 확대 될 수 있을 것이다.

      • 문화예술기반경영의 프로그램 성과에 관한 연구 : 크라운해태 문화예술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조덕원 추계예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21st century inevitably requires radical change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at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as well as diverse management strategies and leadership for CEOs, oriented toward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For this reason, different form the past, today's enterprises are in a situation in which they should also play a role in integrating society throug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particular, today's enterprises encounter situations in common, such as emergence of mega-corporation, appearance of management specialists, growth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other social problems-related to social pressure. For this reason, in order to cope with these situations, enterprises are at a critical moment to establish a pluralist corporate purpose at a strategic level that encompasses the varying interests of employees, customers, stockholders, government and general public. Consequently, as an indicator of efficient performance of corporate pursuit of profits, the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ed to be not only a necessary condition, but also a sufficient condition of corporations in the past, but nowadays this is not sufficient condition any more. For this reason, in reality, the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transforming into the CSV(Creating Shared Value) proposed by professor Michael Porter of Harvard University. Therefore, corporations should encompass, not only Quality of Life Management recognizing and seeking a social purpose and social welfare as a basic value, but also the role of social integration. In particular, corporate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form a part of this effort to comply with the change of social value, and this corporate participation or sponsorship in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has become a management strategy even for realist corporate management. For this reason, they are pursuing culture and art-based corporate management based on creativity. Consequently, this study was first motivated by a qualitative analysis done by Crown-Haitai, which is pushing forward the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strategy of the first phase, regarding how to carry out this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to increase the future value of each corpora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not only practical utility regarding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strategy, but also a new direction for successful management. This way, finally, to propose a competitive counterplan regarding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s in rapid change.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serving as a foundation for the practical management paradigm that all corporations are able to actualize. This study defined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as defined as a strategy of management which improves the overall value of corporations based on culture and art, and among the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programs promoted by Crown-Haitai, with respect to the poetry program in literatur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in music and sculpture program in fine arts, the research method has been based on an interview guide method and standardized question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programs promoted by Crown-Haitai, such as the poetry program in litera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 in music and sculpture program in fine art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se programs are recognized as a new strategy of management, beyond only strengthen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of corporate organizations. Moreover, this study has allowed us not only to understand that the key corporate concept is the strategy of management based on the art management program, but also to realize the necessity for connecting two concepts in a theoretical and empirical way. I have analyzed and inquired about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existing preceding research and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of corporate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main features of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professionalism, artistic value, exhilaration, formalized traditions and social responsibility. The new implications to many other future corporations which aim to establish a promotion plan based on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are as follows: The analysis findings of the preceding research review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nsciousness of a CEO and organizational members who aim to establish culture and art-based corporate management. Therefore, thi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level of direct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regarding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activities. Second, the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is effecting many areas of the corporation, such as the corporate brand value, the price premium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refore, regarding the education on culture and art-based corporate management programs, Youngdal Yoon (2014) pointed out that it is essential to design and structure culture and art-related education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garding internal and external results and performance of corporations are as follows: First, a new evalu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Crown-Haitai parlayed the organizational members’ AQ and GAQ into the evaluation index Second, from the an economic perspective of Crown-Haitai’s culture and art-based management program, most events hosted by the corporation are carried out by direct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not by external specialized institute, therefore,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ooper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co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program definitely has effects of economizing many waste factors. Third, the external reliability and recognition have 21세기는 급격한 국내외적인 기업 환경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경영전략과 CEO의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다. 현대기업은 사회적 책임 활동 등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사회통합의 기능까지도 담당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이제 기업은 동종의 거대기업의 출현, 전문 경영인의 등장, 다국적기업의 성장, 각종 사회의 문제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의 증가와 같은 공통적 환경에 처해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종업원, 고객, 주주, 정부 및 일반 대중의 관심사를 고려한 다원적 기업의 목적을 전략적 차원에서 설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과거와 같이 기업의 이윤추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지표로서 기업의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등이 기업목적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이 이제 충분조건은 아니기 때문에 CSR에서 하버드대학교 마이클 포터교수가 주장한 CSV(Creating Shared Value)로 변화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기업은 사회목적이나 사회복지를 기본적인 가치로 인식하고 추구하는 삶의 질 경영을 수행하며 사회통합의 기능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는 이러한 사회 가치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이 문화예술을 후원하거나 이에 참여하는 것은 현실적인 기업경영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경영전략이 되고 있다.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가 이러한 사회적 가치의 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 되고 현실적인 기업경영을 위한 경영전략이 되고 있기 때문에 창의성에 근거하는 문화예술 기반경영을 추구한다. 본연구의 동기는 새로운 단계의 문화예술기반경영전략을 추진하고 있는 크라운해태가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개별 기업들의 미래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경영전략을 어떻게 실행해야 할 것인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의 문화예술 기반 경영전략 등에 실제적 유용성을 제시하고, 성공적 경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 한 후 급변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 환경에 대해 경쟁력 있는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모든 기업들이 이를 현실화 시킬 수 있는 실질적 경영패러다임으로 발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기반 경영이 문화예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전반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경영전략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크라운해태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예술을 기반경영의 프로그램 중에서 문학의 시 프로그램, 음악의 국악 프로그램, 미술의 조각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면담 가이드법, 표준화된 질문법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크라운해태가 추진하는 문화예술 기반경영 프로그램인 문학의 시, 음악의 국악, 미술의 조각에 활동 등을 분석한 결과 기업조직의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경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술경영 프로그램을 통한 기업의 경영전략이 기업의 핵심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를 이론적, 경험적으로 융합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을 인식하게 되었다. 문화예술 기반경영에 대한 주요 특성인 전문성, 예술성, 신명성, 공식성,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들과 기업조직의 문화예술 기반경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향후 문화예술 기반경영을 추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기반경영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의 리더(CEO)와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조직구성원들이 문화예술기반경영 활동을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수행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 인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문화예술기반경영에 참여하는 것이 기업의 브랜드 가치나 가격 프리미엄, 그리고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문화예술 기반경영 프로그램의 교육과 관련하여 윤영달(2014)은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기업의 대내외적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평가시스템의 도입이다. 크라운해태는 조직구성원들의 AQ 및 GAQ를 평가 지표로서 활용했다. 둘째, 크라운해태의 문화예술기반경영 프로그램의 경제적 측면에서 회사가 주최하는 거의 대부분의 행사가 외부 전문기관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이 직접 참여하여 추진하는 관계로 구성원들의 협력심 강화와 비용 면에서 많은 낭비요인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외적인 신뢰도와 인지도가 상승하고 고객과의 관계가 증진되었다. 2008년 가을 중국발 멜라민 파동 때에도 고객을 공연에 초대해 멜라민 파동의 전말을 설명하고 이해시킨 결과 한국PR협회에서 위기관리부문 대상을 받았다. 이 멜라민 사과 공연이 문화예술 기반경영의 좋은 사례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국악이라는 예술 콘텐츠를 고객과의 가교로 적극 활용한 크라운해태의 문화예술기반 경영의 참다운 성과임을 증명하고 있다. 넷째, 문화예술 기반경영 프로그램은 고

      • 지방 종합문화예술회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인천광역시 종합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김성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원각사(1908년)를 시발로 하는 우리나라 극장의 역사는 국립중앙극장(1950년), 세종문화회관(1978년)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그 여정에는 이른바 시민회관 시대와 그 후 문예회관 시대를 아우르며 민간극장보다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국공립극장이 중심에 있었다.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국가의 문화정책과 지자체간의 경쟁구도 속에서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각 시도에 종합문화예술회관(이하, 문예회관)이 건립되어 왔다. 일천한 역사에서 사회적으로 극장 또는 문예회관에 대한 시설 표준화와 운영의 이상적 모델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건립하고 그 소속기관으로 운영해 온 것이다. 여기에 산하 예술단체를 거느림으로써 그 운영은 방만함과 비효율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와 같은 운영체제에서는 그 개선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런 반성의 하나로 1998년부터 문화관광부가 해마다 전국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문예회관에서는 객관적인 운영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여기에 사용된 지표를 활용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리고 국립중앙극장의 책임운영기관제, 세종문화회관의 재단법인화, 예술의전당의 특수법인화, 국립발레단 등의 재단법인화 후 예술의전당과 상주계약 등 이전의 경영방식과 다른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개관 10주년을 맞이하는 인천광역시종합문화예술회관은 근본적으로 설립취지를 분명히 하지 못함에서 오는 여러 문제를 낳고 있다. 우선 효율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조직체제를 갖추고 있지 못하며 각 부문별 전문인력의 충원과 활용이 미흡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다. 일반행정부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조직형태로 운영됨으로써 문예회관의 역할과 기능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재정부문에서는 인건비, 시설유지비 위주의 세출구조와 대관료 및 시설임대료가 주도하는 세입구조는 그 간의 방만한 운영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 문제의 집약된 결과로 볼 수 있는 마케팅은 이에 대한 인식부족에서 조직의 경영원리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마케팅은 문예회관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촉발하는 툴(tool)과 프로세스(process)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밖에 구조적인 시설의 문제, 생산자 중심의 프로그램 문제, 체계적인 접근과 지원이 부족한 예술교육의 문제 등이 있다. 이상의 문제는 비슷한 형태로 산하 예술단체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런 제반 문제에 대안을 모색하는 일은 지금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각 부문별로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그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총체적인 접근 내지는 경영방식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서만이 그 실마리를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조직의 운영원리로 효율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조직체제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설립취지를 새롭게 다지는 일부터 시작하여 경영학의 툴과 프로세스로 기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일련의 과정에 접근하는 일이다. 이 작업에서는 문화관광부의 전국문화기반시설조사의 지표와 국립중앙극장의 책임운영기관제에 따른 평가 그리고 각 유수 문예회관의 경영분석 자료를 참고하면서 자체 실정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시행하는 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지자체의 소속기관으로 운영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형태의 경영 방식을 연구하여 해당 문예회관에 적합한 대안을 상정하고 전환을 시도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관장을 중심으로 직급의 상향 조정이나 개방형직위제 도입 등을 검토할 수 있으며, 경영방식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로 책임운영기관제나 재단법인화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단계적으로 관장의 개방형직위제나 책임운영기관제 형식을 거치면서 전문 경영체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원리와 기술을 익혀 재단법인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혼란을 줄이면서 문화공간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로 가는 대안이 될 것이다. 끝으로 산하 예술단체 운영 또한 행정조직과 예술단조직의 이원화에서 비롯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산하 예술단체 쪽에서는 문예회관 행정조직의 일반행정 논리가 갈등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문예회관 쪽에서도 산하 예술단체를 운영하면서 뒷바라지만 할 뿐 소득은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시립예술단노조의 출범으로 문예회관 행정력의 상당부분이 이에 몰입하면서 정작 문예회관 본연의 일은 뒤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쯤해서 문예회관과 산하 예술단체의 관계를 재정립 할 필요가 있겠다. 그것은 사무국을 신설하고 지금까지 문예회관에서 가지고 있던 권한을 이양하여 상호 협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는 재단법인으로 전환하여 문예회관과 상주계약을 맺는 획기적인 방안도 지역의 예술환경과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논의의 시발이 어떻든 중앙의 유수 문예회관 및 산하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일기 시작한 변화는 조금씩 각 지방의 변화에 대한 부담과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현재의 지방 문예회관 및 산하 예술단체의 운영현황과 개선점을 찾아보고 나아가 경영방식 변화에 대한 연구와 모색이 필요하다. 이는 중앙의 유수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실험 성격의 다양한 경영방식에 대한 성과분석과 평가를 기초로 치밀한 연구와 준비를 거치면서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